KR20170027031A -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031A
KR20170027031A KR1020150123435A KR20150123435A KR20170027031A KR 20170027031 A KR20170027031 A KR 20170027031A KR 1020150123435 A KR1020150123435 A KR 1020150123435A KR 20150123435 A KR20150123435 A KR 20150123435A KR 20170027031 A KR20170027031 A KR 20170027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le
file name
menu
unit
f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대우
Original Assignee
천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대우 filed Critical 천대우
Priority to KR102015012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031A/ko
Publication of KR2017002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123
    • G06F17/301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파일명을 변경하는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명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데이터 파일명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부와, 상기 데이터 파일명이 선택되면, 파일명의 변경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와, 상기 메뉴를 조작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변경된 데이터 파일명을 원래 상태로 복구시키는 초기화부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Description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Management apparatus for Data file name}
본 발명은 파일명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 파일명의 색상, 글꼴 및 크기 등의 모양을 변경 관리하도록 한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일은 크게 라이브러리 파일로서 프로그램 파일과 데이터 파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데이터 파일은 프로그램으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파일, 문서처리파일, 스프레드시트파일, 화상파일, 음성파일, 영상파일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데이터 파일은 소정 폴더 내에 생성되어 저장될 때 관리장치(예컨대, PC나 셀룰러 폰)가 미리 셋팅한 형식대로만 생성되고 있다. 즉 도 1과 같이 임의의 폴더 내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는데, 이때 각각의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을 보면 색상, 글꼴 및 크기 등이 모두 동일하게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지 파일 형식을 나타내는 아이콘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처럼, 폴더 내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이 모두 동일한 형태로 생성되면 파일 관리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에서 주요한 데이터 파일을 관리할 경우 모든 데이터 파일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 파일을 자신이 정해놓은 특정 폴더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밖에 없었다. 즉 도 1을 보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파일이 하나의 폴더 내에 저장되고 있지만, 이를 여러 개의 폴더를 생성하고 그 각각의 폴더에 동일한 확장자를 가지는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데이터 파일이 많을수록 폴더 개수도 비례하여 더 많이 생성할 수밖에 없어 데이터 관리에 어려움이 초래된다.
또한, 도 1과 같이 폴더 내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 파일의 크기, 색상, 글꼴 등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그리고 종래 데이터 파일은 그 데이터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를 나타내는지를 알 수 있도록 파일명을 정하고 있다. 하지만, 파일명만으로 데이터 파일에 어떠한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지 쉽게 알지 못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일명이 모두 동일하고 일련번호로 데이터 파일을 구분하는 것도 있는데, 이때에는 더더욱 데이터 파일에 대한 내용을 알수 없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그 데이터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데이터 파일을 각각 열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19113호(2008. 03. 03.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폴더명 및/또는 파일명 변경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파일 이름의 크기나 색상, 글꼴 등을 사용자 자신이 목적하는 대로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파일을 더 쉽게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파일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폴더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 파일 이름의 심미감을 더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파일을 열지 않고서도 간단한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그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내용을 충분히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명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 파일명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부; 상기 데이터 파일명이 선택되면, 파일명의 변경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 상기 메뉴를 조작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변경된 데이터 파일명을 원래 상태로 복구시키는 초기화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메뉴는, 상기 크기, 색상, 글꼴을 변경하는 메뉴이고, 상기 메뉴에는 상기 데이터 파일명에 대한 정보를 메모 창 형태로 기재하도록 한 메뉴 버튼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메뉴에 따라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 상기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때 파일명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추출하는 추출부; 그리고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파일명을 기초로 하여 미리 셋팅되어 있는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고 화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데이터 파일 관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생성한 각종 데이터 파일 이름의 크기나 색상, 글꼴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파일을 더 편리하게 인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폴더 내에 저장된 다수의 데이터 파일을 쉽게 구분할 수 있고, 데이터 파일의 메모 기능을 활용하면 데이터 파일을 열지 않고 간단한 클릭 조작만으로 데이터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를 알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소정 폴더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 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파일명의 디자인을 변경하도록 제공되는 메뉴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파일명 크기, 색상, 글꼴이 변경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파일명에 메모가 기재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 관리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데이터 파일명을 기존에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자신이 목적하는 대로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등을 자유롭게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데이터 파일에 메모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파일명 관리의 새로운 비전을 제공함을 주된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10)가 마련된다. 표시부(110)는 PC나 스마트폰의 화면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모니터 외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도 모두 해당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부에는 하나 이상의 표시창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10)에 표시된 데이터 파일(또는 데이터 파일명)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부(120)가 구성된다. 파일 선택부(120)는 화면 표시된 데이터 파일명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입력 기구로서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말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경우는 그 터치스크린의 터치 조작을 통해 데이터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파일 선택부(12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파일명이 선택되면, 그 데이터 파일명의 디자인 변경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130)가 구성된다. 메뉴 제공부(130)는 표시부(110)에 팝-업 형태로 메뉴를 표시한다. 그러나 표시부(110)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표시부(110)에 둘 이상의 표시창이 표시된 상태라면 어느 하나의 표시창에 있는 데이터 파일명을 선택한 경우, 그 표시창 이외의 영역에 메뉴를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변경하고자 하는 데이터 파일명이 메뉴에 의해 가려지거나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메뉴 제공부(130)가 제공하는 메뉴는 크기 메뉴, 색상 메뉴, 글꼴 메뉴를 포함한다. 그리고 크기 메뉴, 색상 메뉴, 글꼴 메뉴는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거나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동시에 표시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메뉴에 순서대로 크기, 색상, 글꼴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메뉴 제공부(130)가 제공하는 메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명에 대한 크기, 색상, 글꼴의 변경 요청이 발생하면 이를 수행하고 표시부(110)에 표시하는 제어부(140)가 구성된다. 제어부(140)는 PC나 스마트폰에 마련된 마이크로컨트롤러이거나, 이와는 별도로 이의 기능만을 전담하는 컨트롤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초기화부(150)가 구성된다. 이는 제어부(140)에 의해 크기, 색상, 글꼴 등이 변경된 데이터 파일명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초기화부(150) 역시 파일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명을 초기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데이터 파일명에 메모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파일이 어떤 파일인지에 대한 정보를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기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메뉴 제공부(130)가 제공한다. 도 3과 같이 상기한 크기 메뉴, 색상 메뉴, 글꼴 메뉴와 함께 메모 버튼이 더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메모 버튼을 조작하면, 데이터 파일명 옆에 팝-업 형태로 소정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메모가 표시된다(도 5 참조).
다음에는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등을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변경하고자 하는 데이터 파일명이 저장된 폴더를 표시부(110)에 하나의 표시창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폴더 내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명 중 변경할 데이터 파일명을 파일 선택부(120)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 선택한다. 둘 이상 선택할 경우에는 드래그 동작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터치스크린에서는 단순한 터치 조작만으로도 데이터 파일명을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파일명이 선택 완료되면, 메뉴 제공부(130)는 현재 활성화된 표시창 이외의 영역 또는 표시창의 여백에 메뉴를 표시한다. 실시 예에서는 도 3과 같이 크기, 색상, 글꼴, 메모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메뉴 제공부(130)가 제공하는 메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또는 메모를 기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이터 파일명의 변경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변경과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제어부(140)가 데이터 파일명을 변경하여 저장한 예를 도 4에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보면, MS 워드 데이터 파일 중 '보고서_1', '보고서_2', '신청서_2015_9' 파일의 파일명 크기, 색상, 글꼴이 변경되어 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데이터 파일명을 정렬하면 사용자는 데이터 파일을 더 쉽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데이터 파일명에 메모가 기재된 경우는 도 5에 도시하였다. 메모는 메모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메모 창에 내용을 입력하면 된다. 이러한 메모 창은 데이터 파일명이 선택되었을 때만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상술한 실시 예처럼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을 변경하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저장된 데이터 파일명을 선택한 후 변경하는 것이 아니고, 데이터 파일명을 생성 및 저장할 때,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변경 작업을 먼저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파일 생성부(200)가 구성된다. 파일 생성부(200)는 파일을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예컨대 워드(word)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문서파일을 저장할 때 파일이름 및 파일 형식을 지정하도록 하는 메뉴('제1 메뉴'라 함)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메뉴가 표시될 때, 그 제1 메뉴와 함께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210)가 구성된다. 제2 메뉴는 도 3과 같은 형식이다. 여기서 제1 메뉴의 파일 형식 아래에 상기 제2 메뉴가 제공하는 크기, 색상, 글꼴 정보를 연달아서 표시하거나, 또는 제1 메뉴와는 별도의 제2 메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메뉴 및 제2 메뉴에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하여 파일 이름 및 파일 형식을 지정하면서 그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도 변경하는 제어부(220)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데이터 파일명을 새롭게 저장할 때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도 함께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파일이면 데이터 파일을 새롭게 생성할 때 원하는 대로 파일명을 디자인할 수가 있을 것이다. 물론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 파일명에 대해서 상술한 첫 번째 실시 예를 통해 크기, 색상, 글꼴을 다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메모 기능도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때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파일이 새롭게 저장될 때 그 파일명을 추출하는 추출부(230)를 더 추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추출된 파일 이름에 따라 미리 셋팅된 크기, 색상, 글꼴로 자동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파일 이름에 특정 년/월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제1 타입, '보고서'란 키워드가 있는 경우에는 제2 타입으로 변경하도록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을 미리 지정할 수 있고, 그래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할 때 그 파일명에서 특정 키워드가 추출되면 사용자가 변경할 필요없이 제어부(220)가 자동으로 미리 셋팅된 정보로 데이터 파일의 크기, 색상, 글꼴을 변경시킨다는 것이다. 여기서 제1 타입은 '15', '파랑', '고딕체'와 같이 말할 수 있고, 제2 타입은 '20', '보라', '궁서체'와 같이 말할 수 있다. 상기 '15', '20'은 글자의 사이즈를 말한다. 숫자가 클수록 글자 크기도 더 크다. 그리고 상기한 타입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하여 저장부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폴더 내에 리스트 상태로 표시되는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나 색상, 글꼴 등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같이 폴더에 파일명이 '자세히 보기'와 같은 상태로 표시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파일명을 보는 다른 방식으로 '아이콘' 표시나 '나란히 보기' 표시 등과 같은 타입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110: 표시부 120: 파일 선택부
130: 메뉴 제공부 140: 제어부
150: 초기화부

Claims (3)

  1.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명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 파일명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부;
    상기 데이터 파일명이 선택되면, 파일명의 변경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
    상기 메뉴를 조작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변경된 데이터 파일명을 원래 상태로 복구시키는 초기화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상기 크기, 색상, 글꼴을 변경하는 메뉴이고,
    상기 메뉴에는 상기 데이터 파일명에 대한 정보를 메모 창 형태로 기재하도록 한 메뉴 버튼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3. 파일이름과 파일형식을 제공하는 제1 메뉴에 따라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파일 생성부;
    상기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때 파일명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추출하는 추출부; 그리고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파일명을 기초로 하여 미리 셋팅되어 있는 파일명의 크기, 색상, 글꼴 정보를 액세스하여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고 화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KR1020150123435A 2015-09-01 2015-09-01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KR20170027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35A KR20170027031A (ko) 2015-09-01 2015-09-01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35A KR20170027031A (ko) 2015-09-01 2015-09-01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31A true KR20170027031A (ko) 2017-03-09

Family

ID=5840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435A KR20170027031A (ko) 2015-09-01 2015-09-01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0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113A (ko) 2006-08-24 2008-03-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폴더명 및/또는 파일명 변경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9113A (ko) 2006-08-24 2008-03-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폴더명 및/또는 파일명 변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5435A (en) Computer window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off-screen document storage and retrieval
JP5792287B2 (ja) オプションを選択するためのスピンコントロー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10915226B2 (en) Mobile user interface to access shared folders
TWI512591B (zh) 用於顯示軟體功能控制的多個分區的命令使用者介面
US6826729B1 (en) Gallery user interface controls
US6072486A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customizing a deskbar
US7464343B2 (en) Two level hierarchy in-window gallery
US6496206B1 (en) Displaying thumbnail images of document pages in an electronic folder
CA2512102C (en) An improve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electable software functionality controls that are contextually relevant to a selected object
Matejka et al. Patina: Dynamic heatmaps for visualizing application usage
US92691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e and interaction with internet applications
US20130067412A1 (en) Grouping selectable tiles
US11385774B2 (en) Intuitive workspace management
US20110138313A1 (en) Visually rich tab representation in user interface
US20110271217A1 (en) Configurable presets for tab groups
JPH06332661A (ja) コントロール・ウィンドウ・コンテナ、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ファイル・ウィンドウ管理方法
AU2013214946A1 (en)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documents from a computing device
NZ541301A (en) An improve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electable software functionality controls that are relevant to a selected object
US5896491A (e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function icons
US8635529B2 (en) Page turning in electronic document readers
US20120159375A1 (en) Contextual tabs and associated functionality galleries
US9910835B2 (en) User interface for creation of content works
CN104951477B (zh) 用于过滤数据的方法和装置
US11157142B2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70027031A (ko) 데이터 파일명 관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