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6418A - Flexibl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6418A
KR20170026418A KR1020170023006A KR20170023006A KR20170026418A KR 20170026418 A KR20170026418 A KR 20170026418A KR 1020170023006 A KR1020170023006 A KR 1020170023006A KR 20170023006 A KR20170023006 A KR 20170023006A KR 20170026418 A KR20170026418 A KR 2017002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device
hinge
fixed
fix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9612B1 (en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170023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612B1/en
Publication of KR2017002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4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ody in which a hinge shape is reflected in one or two edges thereof; a flexible display device of which one part is fixed to the fixing body and the other end part, which is not fixed, is maintained in a foldable or unfoldable state, while being supported by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hinge; a perturbation through-part rotatably assembled to the hinge shape of the fixing body and in which an unfixed end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perturbed therethrough and supported thereby; and a cover plate having a perturbation stop protrusion. In addition, a perturbation plate, which is perturbed through the cover plate while covering the unfixed end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further provided in order to solve the friction problem of the unfixed end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positioned at the cover plate.

Description

플렉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접힘 및 펼침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패널 또는 전자종이가 적용된 접이식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측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되는 플렉시블 패널 또는 전자종이가 힌지의 펼침 또는 접힘시 힌지 바깥 외주면의 둘레길이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길이 방향의 변화를 흡수하지 못하고 힌지 펼침시 중앙 부분이 위로 돌출되어 솟아오르거나 힌지 접힘시 신축성 부족으로 인해 일측 끝단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치 않도록 힌지의 접힘 및 펼침에 따라 플렉시블 패널 또는 전자종이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이 플렉시블 패널 또는 전자종이의 탄성력을 이용해 자체적인 섭동이 가능한 플렉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a foldable and unfoldable flexible panel or an electronic paper is applied, more specifically, a flexible panel or an electronic paper having both ends fixed and a central portion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inge, It is impossible to absorb the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used by the change i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at the time of folding and to avoid the problem that the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when the hinge is extended or that one end is torn due to lack of elasticity when the hinge is folded The flexible panel or the non-fixed portion of the electronic paper can perform its own perturbation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lexible panel or the electronic paper according to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표시장치는 영상기기 및 모바일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전의 판상 형태를 유지하는 LCD패널 이외에 휘어짐 및 접힘이 가능한 플렉시블 패널 및 전자종이와 같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선보이고 있다.The display device occupies an important part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image de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such as a flexible panel and an electronic paper capable of curving and folding in addition to an LCD panel that maintains a conventional plate shape has been introduced .

유연성있는 표시장치를 영상기기 및 통신기기에 적용함에 있어 롤러를 사용해 감아서 보관하는 감김 방식 및 접히는 부분에서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며 접어서 보관하는 접이식 방식에 대하여 각각 다수의 특허들이 제시되고 있다.In apply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to the video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a plurality of patents are proposed for a wrapping method in which a roll is wound and stored, and a folding method in which a curved portion is kept at a folded portion while being folded.

접이식 방식이 적용된 특허들의 경우는 감김 방식과 달리 롤러 및 롤러관련 구성품들이 필요치 않은 관계로 인해 수첩과 같이 영상표시면이 서로를 마주보며 내부로 접혀지고 수첩 케이스 안쪽에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고정 지지되는 방식의 특허들이 다수 제시되었으나 완전 펼침 상태에서 영상표시면 단차 발생의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되지 못함과 더불어 곡률을 유지하며 접히는 부분이 외력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the case of the folding type patent, since the rollers and roller related components are not required unlike the winding method, the image display faces are faced to each other like a notebook,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fixedly supported inside the case case A number of patents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blem of occurrence of the step of the image display surface is not completely solved in the fully opened state, and the folded portion is not protected from the external force while maintaining the curvature.

접이식 방식의 다른 방안으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영상표시면이 바깥면을 향하며 서로를 등지는 상태로 중앙부분이 직접 접혀지는 방식의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8-0012667)가 제시되었으나 중앙부분의 펼침 및 접힘시 접힌 부분의 원주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 변화를 신축성이 부족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흡수할 수 없어 밀봉상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해 이의 해결방안으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을 직접 고정시키지 않고 힌지 반대편에 위치한 모서리 내부의 롤러를 이용해 안쪽면으로 방향전환 시킨 후 방향 전환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에 스프링을 적용해 길이변화를 흡수하는 힌지가 반영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0-0062787)가 제시되었다.As another method of the folding method, a pat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2667) in which the image display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faces directly to the outside and the central portion is directly folded with each other is presen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insufficient stretchability can not absorb the change in length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folded portion when the portion is unfolded and folded, and thus the sealing state is damaged. A patent that reflects a hinge that absorbs a change in length by applying a spring to one end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that has been redirected to the inner side using a roller inside the edg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without directly fixing one end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62787).

그러나 힌지가 반영된 특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에 스프링에 의한 상시적인 장력을 국부적으로 작용시키고 내부의 롤러를 이용해 급격히 방향 전환시켜 끌어당겨 주어야하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밀봉상태가 파괴될 수 있다.However, the patent which reflects the hinge is that the elasticit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due to the structural limitation that locally acts on the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y the spring, Can be destroyed.

또한 힌지의 펼침 및 접힘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둘레가 주변부와 마찰되어 장기간 사용시 밀봉상태가 훼손될 가능성도 상존한다.In addition, when the hinge is folded and folded, the periphery of the non-fixe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rubbed against the peripheral portion,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aling state is damaged when using for a long time.

그리고 모서리 일측에만 단일 힌지가 적용되어 있으나 적용개념을 확장하여 모서리 양측에 힌지가 적용된다고 가정하여도 적용방법이 불분명하며 양측의 힌지가 동시에 접힐 시 상호간섭 회피 방안이 추가로 고려되어야 한다.In addition, although a single hinge is applied to only one side of the corner, the application method is unclear even if it is assumed that the hinge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edge by expanding the application concept, and a mutual interference avoiding plan should be additionally considered when both hinges are folded at the same time.

또한 힌지를 구성하는 몸체가 얇은 판상형의 형태를 갖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주거나 편평한 바닥에 뉘여서 사용하는 단조로운 사용방식만을 강요하는 불편함도 갖는다.Also, since the body constituting the hinge has a thin plate-like shape, it is inconvenient to force the user to hold it by hand or force it to use only a monotonous method of using it on a flat floor.

상기의 힌지가 반영된 특허와 달리 힌지의 기능을 대신하는 링크부재를 적용해 펼침 및 접힘시 접힘이 발생하는 모서리 부분의 원주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 변화를 링크부재가 흡수하는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2-0068710)가 제시되었다.Unlike the patent in which the above-described hinge is reflected, a link member replacing the function of the hinge is applied to apply a link member in which the link member absorbs a change in length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orner portion where folding occurs at the folding and folding A pat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68710) was presented.

그러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링크부재의 접힘 또는 펼침 완료 상태인 경우에만 접힘이 발생하는 모서리 부분의 원주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 변화를 정확히 흡수할 수 있고 접힘 또는 펼침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는 링크부재의 양쪽이 항시 동일하게 동시에 작동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무작위로 먼저 작동되는 특징으로 인해 완벽한 길이변화를 흡수하지 못하고 그 결과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접힘이 발생하는 부분의 밀봉상태를 손상시킬 수 있다.However, the patent to which the link member is applied can accurately absorb a change in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orner portion where folding occurs only when the link member is in the folded or unfolded state, and during the course of folding or unfolding, Both sides are not always operated simultaneously at the same time, and one of them is operated randomly first, so that it can not absorb the perfect length change and as a result, the sealing condition of the part where folding occurs at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may be damaged.

또한 고정몸체에 해당하는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에 서로 다른 외력이 작용할 경우 힌지와 달리 링크부재가 뒤틀려 관련부분이 손상될 가능성도 존재한다.Also, when different external forces act on the first support or the second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fixed body, unlike the hin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nk member is twisted and the related part is damaged.

그리고 완전 펼침 상태시 링크부재가 존재하는 중앙 부분의 뒷면에서 입사되는 주변광을 적절히 차단해주는 부분이 전무해 양측 끝단 부분과 중앙 부분의 색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fully opened state, there is no portion that appropriately blocks the ambient light inciden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link member exists, and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color between the both end portions and the central por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첫째, 외력이 작용하여도 접힘 관련부분의 파손 우려가 적고 접힘 정도에 따른 접힘 외주면의 길이변화에 정확히 대응되는 힌지방식이 적용되며 방향전환 롤러 및 끝단에 상시 장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의 적용 없이도 힌지의 작동시 힌지가 위치한 중앙 부분의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위로 돌출되어 솟아오르거나 신축성 부족으로 인해 일측 끝단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folding ty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t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hinge is located when the hinge is operated without protruding upward or tearing at one end due to the lack of elasticity is not caused.

둘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둘레가 힌지의 작동시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여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둘레부분 밀봉상태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Second, the periphery of one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factors when the hinge is operated, so that the peripheral portion sealed stat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not damaged.

셋째,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확장 및 보관 편의성을 위해 양측의 모서리에 각각의 힌지를 적용함에 있어 양측의 힌지를 동시에 접어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데 있다.Third, in applying each hinge to the edges of both sides for expansion and storage convenience of the image display surface, even if both hinges are folded at the same time, mutual interference is prevented.

넷째,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주거나 편평한 바닥에 뉘여서 사용하는 단조로운 사용방식 이외에도 힌지의 펼침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지지력 적용 없이도 다양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Fourth, in addition to the monotonous use mode in which the user grasps by hand or is placed on a flat floor,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hinge in various states without applying the supporting force according to the hinge spread state.

상기 첫째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1에 따르면 일측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A,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판1,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ngle hinge fixing body having a hinge shape reflected at an edge of one side thereof, and a remaining portion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A flexible display device A that is held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a flexible display device A which is assembled in a rotatable state on the hinge shape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A perforated perforation for perforating perturbation and support, and a perforated protruding ta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in such a manner th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removed and one side edge is opened, A fixing plate 1 fixed to the body, a fixing plate 1 attached to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to detect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It may comprise a force sensor.

상기 첫째 및 둘째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2에 따르면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되는 섭동판,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섭동판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B,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고정되는 고정판1,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에 고정되는 고정판2,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에 조립되어 상기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ngle hinge fixing body having a hinge shape reflected at an edge thereof, and a remaining portion of which the one end portion is fixed to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A flexible display device A that is held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a flexible display device A which surrounds the u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and is closely fix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surface A perforated plate pivoting with a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a perturbing perforation for perturbing and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and being assembled in a rotatable manner on the hinge shape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A cover plate B on which a jaw is formed, A fixing plate 1 which presses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 and fixes to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a central portion of which is removed and which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with one side edge open, And a folding detection sensor assembled with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to detect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상기 첫째, 셋째 및 넷째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3에 따르면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측에 중앙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A, 직선 형태를 갖으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상부면 둘레를 밀착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hinge fixing body having a hinge shape reflected at two corners, a center portion fix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dual hinge fixing body, A flexible display device B in which the remaining two end portions of the flexible hinge fixing body are held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inge, A pair of cover plates A formed with perturbation penetrating portions and perturbation retaining protrusions for perforating perturbation and support at one non-fixed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A pair of fixing plates 3 fixed to the dual hinge fixing body, It may include folding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a force and deployment.

상기 첫째, 둘째, 셋째 및 넷째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4에 따르면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측에 중앙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되는 한쌍의 섭동판,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섭동판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 및 섭동걸림턱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B, 직선 형태를 갖으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상부면 둘레를 밀착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2,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 조립되어 상기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hinge fixing body having a hinge shape reflected at two corners, a center portion fixed to one side of the dual hinge fixing body,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is a flexible display device B that is held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surrounds the periphery of a non- A pair of swing plates fixedly attach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to be pivoted together with a non-fixed on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B, A pair of cover plates B, on which a perturbation penetrating portion and a perturbation stopping jaw for perforating perturbation and support of the copper plate are formed, A pair of fixing plates 3 fixed to the dual hinge fixing body while pressi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removed and having one side opened, A pair of fixing plates 2 fixed to the perforated plate by pressi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and folding detection sensors assembled to the dual hinge fixing body to sense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및 실시예4에 따르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전체가 고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 또는 중간 부분만이 고정된 상태로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상기 덮개판A에 직접 섭동되거나 또는 상기 섭동판에 밀착된 상태로 섭동판과 함께 상기 덮개판B에 섭동되는 관계로 인해 힌지의 작동시 힌지가 위치한 중앙 부분이 위로 돌출되어 솟아오르거나 신축성 부족으로 인해 일측 끝단이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치 않는다.The entirety of the flexible display apparatus A and the flexible display apparatus B is not fixed, and the remaining portion, in which only one or the middle portion is not fixed in a fixed state, is directly perturbed to the cover plate A,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hinge is located protrudes upward when the hinge is operated and the one end is torn due to the shortage of elasticity due to the relationship that the hinge is moved due to the perturbation of the cover plate B together with the peristaltic pl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실시예4에 따르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이 섭동판에 의해 감싸지며 고정되고 밀착 고정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상부면 둘레부분을 고정판2가 압박하며 섭동판에 고정되는 관계로 인해 직접적인 섭동을 수행하는 둘레 부분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밀폐상태로 보호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밀봉상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secon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which are not fixed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are enclosed by the perforated plate, Sinc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B is pressed by the fixing plate 2 and fixed to the perforated plate, the peripheral portions performing the direct perturbation are protected in the closed state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s solved.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실시예3은 상기 섭동판 및 고정판2가 적용되지 않아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둘레를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실시예4와 같이 보호할 수는 없지만 상기 섭동판의 섭동걸림턱에 위치하는 부분은 외부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제한적인 범위에서 최소한도로 보호 된다고 할 수 있다.In Examples 1 and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pheries of the non-fixe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were not applied to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fixed plate 2, 4, the portion of the perturbation plate located on the perturbation jaw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said that it is protected at a minimum in a limited ran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3 및 실시예4와 같이 힌지가 접힘상태로 지지되도록 해주는 형상인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이 평행하지 않고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에서 힌지에 조립되어 회동 하는 덮개판A 또는 덮개판B들의 끝단들이 힌지 접힘 지지면 연장선의 교차점을 넘지 않도록 길이를 제한함으로 인해 양측에 위치하는 두개의 덮개판A 또는 덮개판B들이 동시에 펼쳐지거나 접혀져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게 된다.Further, as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folding supporting surfaces on both sides, which is a shape for supporting the hinges in a folded state, are not parallel but the hinge shape is reflected on the two corners. The two cover plates A or the cover plates B located on both sides are expanded or collapsed at the same time by restricting the length of the cover plate A or the cover plate B rotating so that the ends of the cover plate A or the cover plate B do not exceed the intersection of the extension lines of the hinge- Interference does not occur.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3 및 실시예4와 같이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이 평행하지 않은 듀얼 힌지 고정몸체를 적용함으로 인해 힌지가 접혀있는 면을 바닥면삼아 경사진 형태의 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으며 실시예4와 같이 실시예3에 섭동판을 추가로 적용함으로 인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완전 펼침 상태에서 상기 섭동판의 끝단 모서리와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힌지 접힘 지지면 연장선의 교차점 부근에 위치하는 인근의 곳에 각각 접촉면이 형성되어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영상표시면의 확장성 증대 및 보관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사용 편리성을 추가로 얻을 수 있게 된다.As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ual hinge fixing body having the parallel hinge folding support surfaces on both sides is applied, the folded hinge can be stably maintained As a result of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n the third embodiment as in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fully extended stat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near the intersection of the end edge of the perforated plate and the extended line of the hinge folded support surface of the dual- And the contact surface is formed and maintained in the vicinity of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surface is loca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expandability of the image display surface and the storage convenience,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use.

도 1은 힌지 펼침 및 접힘에 따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덮개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덮개판 및 섭동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양쪽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일측 펼침 및 일측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양쪽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양쪽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일측 펼침 및 일측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양쪽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nge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hinge spreading and folding,
Fig. 2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ver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folded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ver plate and a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the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in an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ample of a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unfolding and one side folding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both the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unfolded and one folded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both the unfolded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since they are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order of descrip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도 1은 힌지 펼침 및 접힘에 따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변화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nge in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hinge spreading and folding.

상기의 도 1에서 힌지의 접힘 각도 변화에 따른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와 접촉되는 힌지 원주면의 길이(L1)는 완전 접힘 상태에서 최대를 이루고 완전 필침 상태에서는 최소값을 갖으며 접힘 각도 변화에 따라 아래의 계산식을 따른다.
In FIG. 1, the length L1 of the hinge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angle of folding of the hinge is the maximum in the fully folded state, the minimum value in the fully folded state, Follow the formula.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와 접촉되는 힌지 원주면의 길이(L1)=힌지 반지름 x 접힘 각도(라디안)
(L1) of the hinge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 hinge radius x folding angle (radian)

길이 방향의 신축성이 미미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양측 끝단 부분이 밀착 고정된 상태로 힌지가 접힘되면 접힘 각도의 증가에 따라 상기 L1값이 증가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어느 일측에서 고정이 해제되지 않는 한 접힘이 불가능 하거나 또는 강제로 접을 경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찢어짐을 피할 수가 없다.If the hinge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 portions are closely fixed to each other,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small stretchabi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lded so that the L1 value increases as the folding angle increases and the fixing is not released from either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t is impossible to avoid the tearing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when it is impossible to fold or when it is forcedly folded.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측에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을 해제하면 전기적 접속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In order to avoid such a problem, i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released from the side w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an electrical connection problem may occur.

반대로 완전 접혀있는 상태에서 완전 펼침 상태로 전환되어 접힘 각도가 감소하면 상기 L1값이 감소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어느 일측에서 고정이 해제되지 않는 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힌지 부위에서 솟아오르거나 또는 완전한 펼침에 도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contrary, if the folded angle is decreased by switching from the fully folded state to the fully extended stat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may be lifted up from the hinge portion or the full A problem that the unfolding can not be reached occurs.

상기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일측의 모서리에 힌지를 반영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0-0062787)가 출원되었으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은 밀착 고정 상태를 유지하지만 반대측 끝단은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모서리 내부의 롤러를 이용해 안쪽면으로 방향 전환된 후 일측 끝단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을 적용해 내측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적용되어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pat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62787) having a hinge at one corner has been filed.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maintained in a tightly fixed state, It is not directly fix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but it is changed to the inner side by using the roller inside the corner and then applied to the inner side by applying a spring that applies a tension to one end.

그러나 상기의 힌지를 반영한 특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에 스프링에 의한 상시적인 장력 작용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을 롤러를 이용해 안쪽으로 급격히 방향 전환시켜 끌어당겨 주어야하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밀봉상태가 파괴되거나 또는 전기적 접속부위가 손상될 가능성이 존재한다.However, the patent reflecting the above-described hinge has a drawback in that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structurally limited due to the normal tension action by the spring at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the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suddenly turned inwardly by using the roll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ealing stat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broken or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s damaged.

또한 고정되지 않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둘레 부분이 힌지 작동시 주변 지지물체와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되어 장기간 사용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밀봉상태가 훼손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도 안고 있다.Al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which is not fixed may be continuously frictioned with the peripheral supporting object when the hinge is operated, and the sealing stat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may be damaged during long-term use.

상기의 도 1 및 상기의 힌지를 반영한 특허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힌지를 적용치 않고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2-0068710)가 출원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atent reflecting the above-described FIG. 1 and the above hinge, a patent applying a link member without applying a hing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68710) was filed.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힌지의 기능을 대신하는 링크부재를 적용해 펼침 및 접힘시 접힘이 발생하는 모서리 부분의 원주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 변화를 링크부재가 흡수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In the patent to which the link member is applied, a link member replacing the function of the hinge is applied, and a method in which the link member absorbs the change in length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orner portion where folding occurs at the folding and folding is applied .

그러나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각각의 링크부재 하나에 3개소의 회전부분이 존재하고 이러한 링크부재가 2개 이상이 작동되어 접힘 및 펼침이 수행되는 특징을 갖는다.However, the paten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link member is applied has the feature that there are three rotating parts in each link member and two or more of these link members are operated to perform folding and spreading.

따라서 접힘 또는 펼침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는 링크부재의 양쪽이 항시 동일하게 동시에 작동되지 않고 링크부재의 어느 한쪽 회전부위가 무작위로 먼저 작동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접힘부분의 정확한 길이변화를 흡수하지 못하고 그 결과 접힘이 발생하는 부분의 밀봉상태가 손상될 수 있다.Therefore, during the process of folding or unfolding, both of the link members are not simultaneously operated at the same time, and any one of the rotating parts of the link member is operated at random, so that the accurate length change of the folded parts can not be absorbed The sealing state of the portion where the folding occurs may be damaged.

또한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부재인 제1지지대 또는 제2지지대에 서로 다른 외력이 작용할 경우 힌지와 달리 링크부재가 뒤틀려 관련부분이 손상될 가능성도 존재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ying the link member also has a possibility that when the first support or the second support, which is the fixing member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receives different external force, the link member is twisted unlike the hinge,

그리고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는 접힘 동작시 가위처럼 접어지는 링크부재에 이물질이 끼어 접힘과정이 중단되거나 또는 손가락 끝단이 끼여 상처를 입을 수 있는 잠재적 안전 위험성도 상존한다.Also, the paten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link member is applied has a potential safety risk that the folding process of foreign matter may be interrupted or the fingertip may be injured by being stuck on the link member folded like a scissors in the folding operation.

상기의 도 1, 상기의 힌지를 반영한 특허 및 상기의 링크부재가 적용된 특허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제시되며 본 발명은 여러 사례별로 구현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및 실시예4가 각각 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case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atent reflecting the hinge of FIG. 1 and the patent applied to the link member,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fourth embodiment are presented, respectively.

실시예1은 단일 힌지가 일측 모서리에 적용되고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일측 끝단은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힌지 작동 과정시 힌지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섭동지지 대상을 관통 섭동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특징을 갖는다.In Embodiment 1, a single hinge is applied to one corner,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fixed, and the remaining unfixed portion pierces through the perturbation support objec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inge rotation axis during the hinge operation,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덮개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ver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folded state planar view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5 is an exploded top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1은 한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A(30A),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고정되는 고정판1(50),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3, 4 and 5,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having a hinge shape reflected at one corner, a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having a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A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in which one end portion is fixed and the remaining portion that is not fixed is held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inge, And a cover plate A (30A) having a perforation penetration portion (31) and a perturbation protrusion (32) for penetrating and supporting the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 A fixing plate 1 (50) having a central portion removed and one side edge opened so as to press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and fixed to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In the body 10A, And a folding detection sensor 60 for sensing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힌지의 접힘 각도 변화에 따른 상기 L1 값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1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시키지 않고 상기 덮개판A(30A)에 관통 섭동되는 상태로 유지시킨다.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 of the L1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olding angle of the hinge, the first embodiment is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is perturbed through the cover plate A (30A) .

이를 위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상부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일측 끝단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2단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A(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의 반대면에는 힌지가 접힘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인 힌지 접힘 지지면(12)이 반영되어있다.To this end, a fixing plate support portion A (11A) having a two-step recess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so as to fix on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A (11A) is reflected on a hinge foldable support surface (12) in a shape that can be supported in a folded state of the hinge.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에 일측 끝단이 감싸지며 밀착 고정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반대측 끝단 부분을 상기 덮개판A(30A)에 지지 방안 없이 위치시키면 힌지의 접힘 상태에서 상기 덮개판A(30A)에 섭동 상태로 보관되지 못하고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상기 덮개판A(30A)을 벗어나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휴대성 저하 및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손상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When the opposit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which is fixed at one end to the fixed plate support A (11A) and closely fixed thereto, is positioned on the cover plate A (30A) without a support pla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can not be kept in a floating state on the cover plate A (30A) but is held in a protruding state by being released from the cover plate A (30A) Which can lead to damage problems of the battery.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판A(30A)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이 지지된 상태로 관통 섭동될 수 있는 형상이 반영되어야 하며 상기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ver plate A (30A) should reflect the shape that the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can be perturbed while being supported, and as shown in FIG. 3 A perforating penetration portion 31 and a perturbation stopping protrusion 32 are formed.

상기 섭동관통부(31)는 상기 덮개판A(30A)에 위치되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단면 형상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제거되어 형성되며 이를 통해 고정되지 않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끝단 부분이 평면을 유지하며 제한 없이 관통 섭동될 수 있다.The perforated perforation 31 is formed by remov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located on the cover plate A 30A in the direction of the perturbation axis, The end portion of the A 20A maintains a flat surface and can be perturbed through without limitation.

상기 섭동걸림턱(32)은 상기 섭동관통부(31)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되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자유롭게 노출되게 된다. The perturbation latching jaw 32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ion penetration portion 31 so as to be capable of engag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from both ends parallel to the pivot axis,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imag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is displayed is freely exposed through the opened portion.

상기의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은 상기 힌지가 반영된 특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10-0062787)에도 유사한 형상이 존재하나 그 기능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들과는 상이하다.The perturbation penetrating portion 31 and the perturbation stopping jaw 32 are similar in shape to the patent that reflects the hing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62787), but its function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fferent.

상기 힌지가 반영된 특허에서 상기 섭동관통부(31)와 유사한 형상은 섭동축 방향으로 양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지 않고 힌지 측에 위치한 일측만 개방 형성되어있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이 관통되지 않은 일측 끝단면을 벗어나 관통 섭동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화면표시면의 확장성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들보다 낮다.In the patent in which the hinge is reflected, a shape similar to the perforation penetrating portion 31 is formed such that both sides thereof are not penet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perturbation axis but only one side located on the hinge side is formed so that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Can not be perturbed through the end surface of one end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and thus the expandability of the screen display surface is lower than th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힌지가 반영된 특허에서 상기 섭동걸림턱(32)과 유사한 형상은 본 발명의 상기 섭동걸림턱(32)과 달리 해당 형상이 제거되어 있다하여도 유연성있는 표시장치가 이탈되거나 섭동지지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치 않는 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의 둘레를 단순 숨기는 기능만 하는 점이 다르다.In the patent having the hinges reflected, the shape similar to the perturbation stopping chin 32 is different from the perturbation stopping chuck 32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it only functions to hide the peripher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which is not generated.

상기 실시예1은 상기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 측에 고정되는 고정판1(50)에 의해 일측 끝단이 밀착 고정되어있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 부분은 섭동이 불가능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덮개판A(30A)측에 위치하는 반대측 끝단 부분은 관통 섭동 상태로 유지되어 힌지의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전환시 접힘 각도 증가에 따른 상기 L1값의 증가를 상기 덮개판A(30A) 측에 위치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끝단 부분이 힌지 측으로 딸려가며 상쇄시키는 효과를 얻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찢어짐과 같은 손상을 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전기적 접속 상태 유지도 용이하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 4 and 5,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50) having one end fixedly attached by a fixing plate 1 (50) The fixed portion of the hinge 20A is kept in a fixed state in which it can not be perturbed, and the opposite end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ver plate A (30A) is maintained in a perturbed perturbed state, The increase of the L1 valu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folding angle is effected by offsetting th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ver plate A 30A with the hinge side, Damage such as tearing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can be avoided and the electric connection state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an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can be easily maintained.

또한 힌지의 완전 접힘 상태에서 완전 펼침 상태로의 전환시 접힘 각도 감소에 따른 상기 L1값의 감소를 상기 덮개판A(30A) 측에 위치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끝단 부분이 힌지 측으로부터 밀려 나가며 섭동되어 상쇄시키는 결과를 얻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가 힌지 부위에서 솟아오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Also, when the hinge is changed from the fully folded state to the fully extended state, the decrease of the L1 valu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folding angle is caused by th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ver plate A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rises from the hinge region as a result of perturbing and canceling.

상기 실시예1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이 상기 덮개판A(30A)에 지지되어 관통 섭동되는 방식을 갖음으로 인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둘레가 힌지 작동시 마찰 발생 문제가 존재하나 다른 한편으로는 구성품의 단순화 및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공간 확보가 유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is supported by the cover plate A (30A) and is perturbed through it,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There is a problem that friction occurs when the periphery of the non-hinged portion is operated, but on the other h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components are simplified and the space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is secur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2는 상기 실시예1이 갖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이 갖는 마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1에 섭동판(40) 및 고정판2(51)가 추가 적용된다.Embodiment 2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for improving a friction problem of an u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of Embodiment 1, 40 and the fixing plate 2 (51) are additionally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덮개판 및 섭동판의 사시도 및 정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cover plate and a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plate and a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in the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의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2는 한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일측 끝단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둘레를 감싸며 함께 섭동되는 섭동판(40),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섭동판(40)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는 덮개판B(30B),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고정되는 고정판1(50), 중앙부분이 제거되고 일측 모서리가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40)에 고정되는 고정판2(51),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접힘감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7, 8, and 9,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having a hinge shape reflected on one corner, a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having a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A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in which one end portion is fixed and the remaining portion which is not fixed is held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inge, A perforated plate 40 which is tightly fix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display surface of the end image and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and is perturbed together with the hinge structure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A cover plate B (30B) having a perforation penetration portion (31) and a perturbation protrusion (32) for penetrating and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40) The flexibility A fixed plate 1 (50) for pressi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 (20A) and fixed to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a flexible display device A And a folding detection sensor 60 mounted on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to sens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

상기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2의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 일면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일측 끝단 부분을 감싸며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A(11A)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on one surface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is wrapped A fixing plate support portion A (11A) having a recessed shape is formed.

그리고 상기 도 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2의 덮개판B(30B)는 상기 실시예1과 유사하게 상기 섭동판(40)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섭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31)와 상기 섭동관통부(31)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섭동판(40)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cover plate B (30B)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central portion penetratingly removed so that the peristaltic plate 40 can be perturbed in the direction of the perturbation axis,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existing on the perforation penetration portion 31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hat allows the perforation plate 40 to be engaged from both ends parallel to the pivot axis, A percussion locking step 32 is formed.

또한 상기 섭동판(40)의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을 감싸며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섭동판 지지부(4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erforated plate supporting portion 4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40 to enclose and fix a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상기의 실시예1이 갖고 있는 마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2는 상기 도 6,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섭동판(40)이 추가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은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 지지부(41) 측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판2(51)에 의해 상기 섭동판(40)과 일체화되어 관통 섭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In order to solve the friction problem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6, 8 and 9,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The unfixed end of the upper plate 20A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 port plate 40 by the fixing plate 2 (51), which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and fixed to the sup- port plate supporting portion 41 side, do.

이와 같이 실시예2에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둘레가 상기 덮개판B(30B)와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관통 섭동되는 관계를 유지함으로 인해 상기의 실시예1이 갖고 있는 마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Embodiment 2, since the periphery of the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maintain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B (30B) It is possible to solve the friction problem.

그러나 상기 실시예2는 상기 섭동판(40) 및 상기 고정판2(51)가 추가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덮개판B(30B)의 상기 섭동관통부(31) 높이가 상기 실시예1의 상기 덮개판A(30A)의 상기 섭동관통부(31) 높이보다 증대되며 이로 인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상기 힌지 접힘 지지면(12)이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실시예1 보다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공간 확보가 불리해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perforation penetration portion 31 of the cover plate B (30B)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over plate A (30) of the first embodiment due to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the peristaltic plate 40 and the fixation plate 2 The hinge folding support surface 12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is moved toward the fixed plate support portion A 11A side of the first hinge fixing body 30A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perforation penetration portion 31 of the first hinge fixing body 30A, The space for securing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becomes disadvantageous.

상기 실시예1 및 상기 실시예2에서 힌지 펼침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 또는 섭동판(40)이 상기 섭동걸림턱(32)에 섭동 지지되며 힌지 회전축으로부터 자체적으로 밀려나가며 펼쳐지는 동력원은 힌지 부위에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가 갖는 탄성력이다.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or the flexible plate 40 is peripherally supported by the perturbation latching jaw 32 when the hinge is unfold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is pushed out of the hinge rotation axis, Is the elastic for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at the hinge region.

그러나 힌지의 펼침 진행에 따라 힌지 부위에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가 갖는 탄성력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 또는 상기 섭동판(40)을 이동시키는 섭동 구동력으로 항상 전환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힌지 인접부위가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로부터 박리되어 들고일어나면 탄성력이 섭동 구동력으로 변환되지 않고 힌지 부위 위로 솟구쳐 올라가는 상방 돌출력으로 변환되게 된다.However, the elastic for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at the hinge portion along the unfolding progress of the hinge causes the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or the perturbation driving force And when the adjacent portion of the hing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is peeled off from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and the elastic force is not converted into the perturbing driving force, .

따라서 힌지 펼침 진행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 또는 상기 섭동판(40)이 탄성력을 이용해 원만하게 섭동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20)의 힌지 인접부위가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로부터 박리되어 들고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moothly perturb the non-fixed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 (20A) or the supporter (40) by using the elastic force when the hinge spread is progressed, So as not to be peeled from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이를 위해서는 상기 도 4, 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20A)의 일측 끝단 부분이 상기 단일 힌지 고정몸체(10A)의 일면에 형성된 2단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11)의 하단에 감싸지며 밀착 고정되고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위치하는 상부면 둘레를 상기 고정판1(50)이 압박하며 상기 고정판 지지부A(11A)의 상단 둘레에 고정되는 특징을 갖는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4, 5, 8 and 9, on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20A is formed in a two-step recessed shap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ingle hinge fixing body 10A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rapp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supporting portion 11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supporting portion A 11A by pressing the fixing plate 1 (50) around the upper surface where the image display surface is positioned .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는 상기 도 2 및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일측의 모서리에 단일 힌지가 구비된 고정몸체가 적용된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지 않는 한 평면에 놓여진 상태 이외의 사용방법은 어려우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확장을 위하여 나머지 반대측 모서리에 힌지를 추가 적용한다 하여도 힌지의 접힘 및 펼침시 덮개판들의 교차지점에서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2 and 6, a fixing body having a single hinge at one corner is applied. As shown in FIG. 2 and FIG. 6, The method is difficult and interference may occur at the intersection of the cover plates at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even if the hinge is further applied to the other opposite corner for expanding the image display surface.

상기 실시예1 및 실시예2와 달리 다양한 사용 상태를 제공하며 양측의 모서리에 힌지가 각각 적용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확장성이 증대되고 힌지들의 접힘 및 펼침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3 및 실시예4가 제시된다.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various states of use are provided, hinges are applied to the corners of both sides to increase the expandability of the surface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and to prevent the folding and unfolding interference of the hinges from occurring. Other embodiments 3 and 4 are present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양쪽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일측 펼침 및 일측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대한 양쪽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11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folded and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both the un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의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3은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각각 반영되어있으며 접힘 상태의 힌지가 밀착 지지되는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12)들이 평행하지 않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일측에 양측 힌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A(30A),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중앙 부분의 상부면 일측을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52),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한쌍의 접힘감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11, 12 and 13, in the third embodiment, hinge shapes are reflected on the two corners, and the hinge folding supporting surfaces 12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has a central portion located between the two hinges on one side of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and a non-fixed center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hinge fixing body 10B. A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which is held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is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A pair of cover plates A and B on which a perforating penetration portion 31 and a perturbation stopping protrusion 32 are formed for penetrating perturbation and support at on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A pair of fixing plates 3 (52) fixed to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by press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 pair of folding detection sensors assembled with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to detect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60).

상기 실시예1 및 상기 실시예2와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3의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중앙 부분의 상부면 일측을 감싸며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B(11B)가 형성되어 있다.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of the thir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recess for holding and fix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Shaped support portion B (11B).

그리고 상기 실시예1과 같이 상기 실시예3의 상기 덮개판A(30A)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각각의 일측 끝단 부분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섭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31)와 상기 섭동관통부(31)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ver plate A (30A) of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of each of the non-fixed end portion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is pierc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capable of engag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existing on the perturbation through-hole (31) And a perturbation stopping chin 32 formed by opening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formed.

양측의 모서리에 힌지가 각각 적용될 수 있는 형상은 각기둥, 각뿔대 및 각뿔을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의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실시예3은 양측의 모서리에 힌지가 각각 적용되어있고 나머지 모서리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었을 시 날카로운 느낌을 받지 않도록 곡률을 갖는 삼각기둥 형상이 적용된다.As shown in FIGS. 10, 11, 12 and 13, the hinge can be applied to the corners of both sides, and the hinge can be applied to the corners of both sides. And the other corner is applied with a triangular prism shape having a curvature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a sharp feeling when held by hand.

상기 실시예3에서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는 접힘 상태의 힌지가 밀착 지지되는 양측의 힌지 접힘 지지면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는 형상을 갖으며 이로 인해 한쌍의 상기 덮개판A(30A)가 동시에 작동되어도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게 된다.In the embodiment 3, the double hinge fixing body 10B has such a shape that the hinge folding supporting surfaces on both sides where the hinges in the folded state are closely supported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pair of the covering plates A and 30A are simultaneously Interference does not occur mutually even if it is operated.

상기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은 상기 실시예3이 상기 실시예1과 달리 다양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 사용 편리성과 함께 접힘 상태 대비 펼침 상태의 영상 표시면 확장 비율이 증대됨을 보여주며 좌우 양측의 힌지들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특별한 지지수단 없이 평면위에 놓아도 영상이 표시되는 면이 사용자를 향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FIGS. 10, 11, 12 and 13 illustrate the ease of use in which the third embodiment can be used in various state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expansion ratio of the image display surface in the expanded state versus the folded state is increased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hinges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user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special support means in this state. .

또한 좌우 양측의 힌지들이 모두 접힘 상태로 전환되면 폭이 넓은 판상형태가 아닌 폭이 좁은 각기둥 형태를 유지하므로 손이 작은 사용자도 보다 용이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In addition, if the hinges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olded into a folded state, the shape of the narrow prism is maintained instead of the wide plate shape, so that even a small user can easily hold the hand.

그러나 상기 실시예3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각각의 끝단 부분 둘레가 상기 실시예1과 유사하게 상기 덮개판A(30A)과 접촉되며 섭동 지지되는 방식이 적용되므로 마찰발생의 문제가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존재한다.However, 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non-fixed end portion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are in contact with the cover plate A (30A)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problem of occurrence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실시예4는 상기 실시예3이 갖는 장점을 유지하고 마찰발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3에 한쌍의 섭동판(40) 및 한쌍의 고정판2(51)가 추가로 적용된다.The four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for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third embodiment and solving the problem of the occurrence of friction, and the pair of the swinging plates 40 and the pair of fixing plates 2 (51) are additionally applied do.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상태별 예시도 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양쪽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일측 펼침 및 일측 접힘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대한 양쪽 펼침상태 평면도 및 단면도 이다.1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folded and folded sta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both the unfolded state for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4는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각각 반영되어있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일측에 양측 힌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되는 한쌍의 섭동판(40),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힌지 형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섭동판(40)의 관통 섭동 및 지지를 위한 섭동관통부(31) 및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덮개판B(30B),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중앙 부분 일측 상부면을 압박하며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3(52),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40)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판2(51),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에 조립되어 힌지의 접힘 및 펼침을 감지하는 한쌍의 접힘감지 센서(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4, 15, 16, and 17, the fourth embodiment has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A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in which a central portion located between the two side hinges is fixed on one side of the hinge, and the remaining opposite side ends are hel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inge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is wrapped around a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and tightly fixed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surface, A perforation penetration portion 31 for rotatably assembling the hinge form of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and for perforating and supporting the perforated plate 40, A pair of cover plates B and 30B on which the locking jaws 32 are formed and a pair of fixing plates B and B fixed to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A pair of fixing plates 2 51 which are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and fixed to the perforated plate 40 and a pair of fixing plates 2 and 51 fixed to 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And a pair of folding detection sensors 60 that detect folding and unfolding of the hinge.

상기 실시예1 및 상기 실시예2와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4의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10B)의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중앙 부분 일측 상부면을 감싸며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고정판 지지부B(11B)가 형성되어 있다.The dual hinge fixing body 10B of the fourth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recessed shape for holding and fixing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formed on the base plate 11B.

그리고 상기 실시예2와 같이 상기 실시예4의 상기 덮개판B(30B)는 상기 섭동판(40)이 섭동축 방향으로 관통 섭동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이 관통 제거되어 형성된 섭동관통부(31)와 상기 섭동관통부(31) 위에 존재하는 상부면을 섭동축과 평행한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섭동판(40)의 걸림을 수행할 수 있는 일정 길이만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하여 형성된 섭동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cover plate B (30B) of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perforation penetration part 31 formed by removing the central part of the cover plate B so that the perforation plate 40 can penetrate and perturb in the direction of the perturbation axis (32) formed by opening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existing on the perforating penetration portion (31), leaving only a predetermined length capable of engaging the perforated plate (40) from both ends parallel to the pivotal axi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실시예2와 같이 상기 실시예4의 상기 섭동판(40) 일면에는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을 감싸며 고정시키기 위한 함몰 형상인 섭동판 지지부(41)가 형성되어 있다.Also,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 perforated plate supporter 41, which is a depressed shape for enclosing and fixing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Respectively.

상기의 실시예3이 갖고 있는 마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4는 상기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한쌍의 상기 섭동판(40)이 추가 적용됨으로 인해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각각의 끝단은 상부면 둘레를 압박하며 상기 섭동판 지지부(41) 측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판2(51)에 의해 상기 섭동판(40)과 일체화되어 관통 섭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In order to solve the friction problem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4, 15, 16 and 17, a pair of the supporters 40 is additionally applied, Each of the unfixed end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is integrated with the perforated plate 40 by the fixing plate 2 51 which is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perforated plate supporting portion 41 So that the through perturbation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이 실시예4에서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고정되지 않은 끝단 부분의 둘레가 상기 덮개판B(30B)와 직접 접촉되지 않으며 관통 섭동되는 관계를 유지함으로 인해 상기의 실시예3이 갖고 있는 마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since the periphery of the non-fixed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maintain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cover plate B (30B) It is possible to solve the friction problem.

상기 실시예4의 상기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양쪽 힌지에 조립되어있는 상기 덮개판B(30B)가 모두 펼쳐져있는 상태는 상기 실시예3의 상기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내어져 있는 양쪽 펼침상태와 달리 고정되지 않은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20B)의 끝단이 강성을 갖는 상기 섭동판(40)과 밀착 고정된 상태로 상기 덮개판B(30B)의 상기 섭동걸림턱(32)에 지지되어있는 상태를 갖음으로 인해 상기 섭동판(40)의 끝단 모서리가 평면에 접촉되는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어도 끝단 부분의 화면이 표시되는 면이 자중에 의해 휘어지지 않는 장점을 갖게 된다.As shown in Figs. 14 and 17 of the fourth embodiment, a state in which all the cover plates B (30B) assembled on both hinges are unfolded is shown in Figs. 10 and 13 Th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20B which is not fixed unlike the both unfolded states is fixed to the perturbation stopping chin 32 of the cover plate B 30B in a state of being tightly fixed to the perturbation plate 40 having rigidity, The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winging plate 40 is not bent by its own weight even if the end edge of the swinging plate 40 is maintained in a tilted state in which the end edge of the swinging plate 40 contacts the plane.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restrictive in every respect.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A: 단일 힌지 고정몸체 10B: 듀얼 힌지 고정몸체
11A: 고정판 지지부A 11B: 고정판 지지부B
12: 힌지 접힘 지지면 20A: 유연성있는 표시장치A
20B: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 30A: 덮개판A
30B: 덮개판B 31: 섭동관통부
32: 섭동걸림턱 40: 섭동판
41: 섭동판 지지부 50: 고정판1
51: 고정판2 52: 고정판3
60: 접힘감지 센서
The main par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as follows.
10A: Single hinge fixing body 10B: Dual hinge fixing body
11A: Fixing plate supporting part A 11B: Fixing plate supporting part B
12: Hinge folding support surface 20A: Flexible display device A
20B: Flexible display B 30A: Cover plate A
30B: Cover plate B 31: Perforation penetration part
32: perturbation jaw 40:
41: peristaltic support part 50: fixing plate 1
51: fixing plate 2 52: fixing plate 3
60: Folding sensor

Claims (8)

두개의 모서리에 힌지 형상이 각각 반영되어는 듀얼 힌지 고정몸체;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측에 양측 힌지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이 고정되고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 끝단 부분은 각각 힌지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이 구비되며,
듀얼 힌지 고정몸체는, 접힘 상태의 힌지가 밀착 지지되는 양 쪽의 힌지 접힘 지지면을 더 구비하되, 양 쪽의 힌지 접힘 지지면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A dual hinge fixing body in which a hinge shape is reflected at two corners;
A flexible display device B in which a central portion located between the two side hinges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ual hinge fixing body and the remaining two side end portions which are not fixed are held in a state capable of being folded and unfold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outer periphery of the hinge; Respectively,
Wherein the dual hinge fixing body further comprises hinge folding support surfaces on both sides where the hinges in a folded state are closely contacted and supported, and both hinge folding support surfaces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힌지 접힘 지지면의 연장선과 상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가 고정되는 상기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일측면의 연장선은 곡률을 갖는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xtension line of the two hinge folding support surfaces and an extension of one side of the dual hinge fixing body to which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is fixed form a triangular prism shape having a curvature.
제1항에 있어서,
플렉시블 표시장치는 두 개의 힌지가 접혀진 상태에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로 이루어지는 3면이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ree surface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are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two hinges are folded.
제1항에 있어서,
힌지의 동작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탄성력에 의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양 끝단은, 고정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섭동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are perturbed abou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ed flexible display device (B)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in the operation of the hinge.
제1항에 있어서,
듀얼 힌지 고정몸체의 양 쪽의 힌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각각 조립되는 한 쌍의 덮개판;을 더 구비하되,
한 쌍의 덮개판은 두 개의 힌지가 접혀진 상태에서 끝단부가 힌지 접힘 지지면의 연장선의 교차점을 넘지 않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ir of cover plates assembled to be rotatable on both hinges of the dual hinge fixing body,
Wherein the pair of cover plates has a length such that an end portion thereof does not exceed an intersection of extension lines of the hinge folding support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two hinges are folded.
제5항에 있어서,
덮개판은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이 관통하여 섭동 동작하는 섭동관통부; 및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섭동 동작 범위를 제한하는 섭동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ver plate includes a perforation penetration part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is not fixed, And
And a perturbation latch step for limiting the range of perturb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is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의 둘레를 감싸며,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영상 표시면의 반대면에 밀착되어 유연성있는 표시장치B의 고정되지 않은 일측 끝단 부분과 함께 섭동 동작하는 한쌍의 섭동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pair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which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non-fixed one end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and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 of the image display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to perturb the flexible display device B with one non- Further comprising: a swinging plat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제7항에 있어서,
섭동걸림턱은 섭동관통부의 상부면을 섭동판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길이만큼 남기고 중앙부분을 개방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erturbation latching jaw is formed by opening a central portion of the perforation penetrating portion leaving a length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KR1020170023006A 2017-02-21 2017-02-21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1759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006A KR101759612B1 (en) 2017-02-21 2017-02-21 Flexibl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006A KR101759612B1 (en) 2017-02-21 2017-02-21 Flexible display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358A Division KR101779012B1 (en) 2014-08-15 2014-08-15 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ability of sliding during a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418A true KR20170026418A (en) 2017-03-08
KR101759612B1 KR101759612B1 (en) 2017-07-20

Family

ID=5840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006A KR101759612B1 (en) 2017-02-21 2017-02-21 Flexibl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6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726B1 (en) * 2018-12-30 2020-02-19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Apparatus for unfolding foldable display device
KR20200038903A (en) * 2016-10-11 2020-04-14 (주)에이유플렉스 Infolding Hinge Structure for Flexible Display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908B1 (en) * 2018-12-13 2020-05-13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otection Cas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9997B2 (en) * 2012-06-12 2016-08-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ped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903A (en) * 2016-10-11 2020-04-14 (주)에이유플렉스 Infolding Hinge Structure for Flexible Display Panel
KR102078726B1 (en) * 2018-12-30 2020-02-19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Apparatus for unfolding fold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612B1 (en)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012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ability of sliding during a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
KR101759612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1452872B1 (en) Display Device Hinge
KR100235888B1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980374B1 (en) Keyboard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EP2546720B1 (en)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JPH057629Y2 (en)
JP6639313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37405A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ability of over unfolding more than complete plane forming angle
KR20150082918A (en)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JP2021184162A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20140045024A (en) Flexible display device
JP6747271B2 (en) Electronics
CN111798752B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2006325923A (en) Compact container
JP2006300978A (en) Screen
KR102357039B1 (en) notepad fixed plate
CN201440768U (en) Foldable handheld device
KR200327069Y1 (en) rotation type hinge apparatus
JP7395419B2 (en) roll paper holder
JP2010231055A (en) Portable display device
CN215410906U (en) Article support structure
KR102422537B1 (en) Anti-wrinkle apparatus of flexible display
CN211669900U (en) Protection device of folding display screen
JP2001027913A (en) Information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