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748A -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748A
KR20170025748A KR1020150122656A KR20150122656A KR20170025748A KR 20170025748 A KR20170025748 A KR 20170025748A KR 1020150122656 A KR1020150122656 A KR 1020150122656A KR 20150122656 A KR20150122656 A KR 20150122656A KR 20170025748 A KR20170025748 A KR 20170025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file
image file
conversion server
learn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731B1 (ko
Inventor
강병균
최관종
Original Assignee
이솔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솔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이솔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5012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731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1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수업이나 회의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이 보유한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단말기들과 교육자가 사용하는 전자칠판의 운영체제가 상이한 경우에도 상호 문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판서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문서 변환 서버에 공유할 문서를 전송하고,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터를 문서 변환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칠판; 문서 공유 요청시 전자칠판으로부터 전송된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접속된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터는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전자칠판에 전송하여 전자칠판과 학습자 단말기 간의 문서를 변환시켜주는 문서 변환 서버; 및 전자칠판에서 전송된 문서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문서 변환 서버에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및 그 방법{File conversion devices and method thereof through a shared document in electronic blackboard}
본 발명은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업이나 회의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이 보유한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단말기들과 교육자가 사용하는 전자칠판의 운영체제가 상이한 경우에도 상호 문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칠판과 같은 화이트 보드를 이용한 학습방법은 교육자(가르치는 사람)가 전자칠판에 설명을 판서하면서 교육을 하고, 학습자(교육을 받는 사람)는 전자칠판의 판서 내용과 교육자의 음성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초기의 전자칠판은 단순히 정보를 판서하는 것만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과 정보기기의 발달로 전자칠판을 이용하여 실시간 학습을 하는 학습시스템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근래 대부분의 전자칠판은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데, 이러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윈도(Windows) 기반의 컴퓨터(PC) 또는 단말기와 아이오에스(iOS) 운영체제의 모바일 장비들과의 연동에 제한이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시스템에서 윈도 기반의 컴퓨터 또는 단말기나 iOS 운영체제의 모바일 장비들과 실시간으로 파일을 주소 받으며 동시에 공동 작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자칠판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 대한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인터넷 등과 연결되며 학습지가 로딩될 작업공간과 설명도구를 구비한 전자칠판을 구비하고, 학습지 학습자가 별도의 학습장치 없이 근거리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학습지를 학습할 수 있으며, 대화식 학습진행을 통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지도강사는 자신의 앞에 준비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하여 피교육자들의 질문을 실시간으로 접하게 되고, 이를 자신의 전자칠판과 음성을 통하여 지도하여, 지도강사와 학생 간에 쌍방향 교육으로 발전시켜 일방적인 교육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교육자의 강의 내용을 판서할 수 있는 전자 칠판을 구비하고, 인터넷을 통한 양방향 화상 교육을 수행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096497호(2001.11.07. 공개)(발명의 명칭: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지 간의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18243호(2002.03.08. 공개)(발명의 명칭: 인터넷의 동영상과 채팅 그리고 전자칠판을 이용한 쌍방향 교육 시스템 및 웹브라우저)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0-0037327호(2000.07.05. 공개)(발명의 명칭: 인터넷 양방향 화산 교육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전자칠판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종래기술들은 운영체제가 다른 여러 가지의 스마트 단말기들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 전자칠판과 학습자 단말기의 문서 공유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스마트교실이나 스마트 회의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자칠판뿐만 아니라 전자칠판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들을 함께 구비하여 하기 때문에, 전자칠판 학습 시스템을 구현하기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이는 스마트교실 및 스마트 회의실 보급을 늦추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수업이나 회의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이 보유한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단말기들과 교육자가 사용하는 전자칠판의 운영체제가 상이한 경우에도 상호 문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운영체제를 갖춘 각종 모바일기기와 쉽게 연동할 수 있는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칠판 위에 판서를 하고 판서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저장하거나 열람하거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컴 office, MS office, PDF, JPG 등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이미지 형태의 문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는 판서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문서 변환 서버에 공유할 문서를 전송하고,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터를 상기 문서 변환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칠판; 상기 전자칠판으로부터 문서 공유 요청시 상기 전자칠판으로부터 전송된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접속된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터는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칠판에 전송하여 전자칠판과 학습자 단말기 간의 문서를 변환시켜주는 문서 변환 서버; 상기 문서 변환 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칠판에서 전송된 문서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학습자 단말기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iOS, 윈도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자칠판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문서 변환 서버는 전자 칠판 및 학습자 단말기에서 각각 전송된 문서 파일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상호 문서 파일을 인터페이스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은 (a) 전자칠판에서 변환할 문서 파일을 선택하고,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b)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일 경우, 문서 변환 서버에 문서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변환할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 및 학습자 단말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상기 문서 변환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f) 상기 전자칠판에서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면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문서 변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a)단계는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검색하여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은 (a) 학습자단말기에서 변환할 문서 파일을 선택하고,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b)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일 경우, 문서 변환 서버에 문서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변환할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 및 학습자 단말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전자칠판에서 상기 문서 변환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f)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면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문서 변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에 전송하는 단계; (h) 상기 전자칠판에서 수신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a)단계는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검색하여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업이나 회의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이 보유한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단말기들과 교육자가 사용하는 전자칠판의 운영체제가 상이한 경우에도 상호 문서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컴퓨터(PC) 없이 운용되며 다양한 운영체제를 갖춘 각종 모바일기기와 전자칠판을 쉽게 연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것과 무관하게 전자칠판 위에 판서한 내용을 학습자 단말기에서 저장하거나 열람하거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며, 학습자 단말기에서 판서한 내용을 전자칠판에서 저장하거나 열람하거나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컴 office, MS office, PDF, JPG 등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문서 변환 서버에서 문서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문서 변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는 전자칠판(200), 문서 변환 서버(100) 및 복수의 학습자 단말기(310 ~ 310+N)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학습자 단말기(310 ~ 310+N)의 각각의 학습자 단말기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 하나의 학습자 단말기(3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각각의 학습자 단말기의 운영체제(OS)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간주한다. 예컨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iOS, 윈도 운영체제를 각각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전자칠판(200)은 판서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문서 변환 서버(100)에 공유할 문서를 전송하고, 학습자 단말기(310)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터를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를 통해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한다.
문서 변환 서버(100)는 상기 전자칠판(200)으로부터 문서 변환 요청시 상기 전자칠판(200)으로부터 전송된 문서를 수신하여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고,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200) 및 학습자 단말기(310)에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310)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터는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칠판(200)에 전송하여 전자칠판(200)과 학습자 단말기(310) 간의 문서를 공유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문서 변환 서버(100)는 통상의 서버 급 컴퓨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자 단말기(310)는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를 통해 상기 전자칠판(200)에서 전송된 문서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에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학습자 단말기(310)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윈도 운영체제(MS OS), iOS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가 구비된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학습자 단말기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구비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정의 강의실 또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영역 내에서 학습자는 전자교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교재용 단말기(310)를 이용하여 학습을 받고, 교육자는 전자칠판(200)을 이용하여 교육을 진행한다.
교육시 교육자는 전자칠판(200)의 화면에 교육하고자 하는 화면을 띄워놓고, 교육을 진행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화면에 판서를 하게 되고, 판서가 이루어지면 판서지원 S/W에 의해 화면에 판서가 이루어진다.
교육중 또는 필요에 따라 교육자는 전자칠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화면 데이터(문서 파일)를 학습자 단말기(310)로 전송하고, 학습자 단말기(310)는 이를 수신하여 자신의 표시기에 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교육자와 학습자 간의 문서 공유를 한다.
이때, 문서 공유를 위해서는 교육자 시스템인 전자칠판과 학습자 시스템인 학습자 단말기 간의 운영체제가 동일해야, 상호 문서 파일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전자칠판과 학습자 단말기 간의 운영체제가 서로 상이하다면, 상호 문서 파일을 공유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문서 변환 서버(100)를 통해 전자칠판(200) 또는 학습자 단말기(310)에서 각각 전송된 문서 파일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상호 인터페이스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육자는 전자칠판(200)에서 학습자 단말기(310)로 전송할 문서 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문서 파일을 선택한다. 여기서 문서 파일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따로 저장된 파일일 수 있다. 전자칠판(200)은 전송할 문서 파일이 선택된 후에, 파일 변환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파일 변환의 가능 여부는 파일의 확장자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예컨대, 파일의 확장자가 한글(HWP), 파워포인트(PPTX), 전용문서(PDF), 워드(word), 엑셀(exel), 그림파일일 경우에는 파일 변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외의 확장자를 갖는 문서 파일에 대해서는 파일 변환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파일 변환이 가능한 문서 파일에 대해서는 선택한 문서 파일을 문서 변환 서버(100)로 전송한다.
문서 변환 서버(100)는 파일 변환 매니저를 이용하여 수신한 문서 파일을 이미지 형태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을 한다. 그리고 변환한 이미지 파일의 리스트를 생성하고(List Image Chain),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200) 및 학습자 단말기(310)에 전송한다.
학습자 단말기(310)는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자칠판(200)과 상이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자칠판(200)에서 전송된 문서 파일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자칠판(200)도 학습자 단말기(310)로부터 전송받거나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파일이 자신의 운영체제와 다른 플랫폼에서 작성된 문서 파일일 경우에도, 파일 변환을 통해 해당 문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교육자는 전자칠판(200)을 통해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교육을 위한 판서를 한다. 이미지 파일 상에서 판서가 이루어지면 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고, 판서된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 파일은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문서 변환 서버(100)로 전송하여, 학습자 단말기(310)로 전송토록 한다. 학습자 단말기(310)는 문서 변환 서버(100)를 통해 전송되는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자칠판(200)에서 전송된 판서 문서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전자칠판에서 각종 문서를 불러온 뒤 이 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을 하고, 이렇게 변환된 파일을 윈도나 아이오에스와 같은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장비들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전자칠판(200)에서 변환할 문서 파일을 선택하고,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 ~ S102); (b)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일 경우, 문서 변환 서버(100)에 문서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S103); (c)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에서 변환할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S104); (d)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에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200) 및 학습자 단말기(310)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S105); (e) 상기 학습자 단말기(310)에서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06); (f) 상기 전자칠판(200)에서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면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문서 변환 서버(100)에 전송하는 단계(S107 ~ S110); (g)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에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학습자 단말기(310)에 전송하는 단계(S111); (h) 상기 학습자 단말기(310)에서 수신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12)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검색하여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1에서 교육자는 전자칠판(200)에서 학습자 단말기(310)로 전송할 문서 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문서 파일을 선택한다. 여기서 문서 파일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따로 저장된 파일일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전자칠판(200)은 전송할 문서 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문서의 파일 변환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파일 변환의 가능 여부는 파일의 확장자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예컨대, 파일의 확장자가 한글(HWP), 파워포인트(PPTX), 전용문서(PDF), 워드(word), 엑셀(excel), 그림파일일 경우에는 파일 변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외의 확장자를 갖는 문서 파일에 대해서는 파일 변환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다음으로, 단계 S103에서 전자칠판(200)은 파일 변환이 가능한 문서 파일에 대해서 선택한 문서 파일을 문서 변환 서버(100)로 전송한다.
단계 S104에서 문서 변환 서버(100)는 파일 변환 매니저를 이용하여 수신한 문서 파일을 이미지 형태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을 한다. 그리고 변환한 이미지 파일의 리스트를 생성하고(List Image Chain), 단계 S105에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200) 및 학습자 단말기(310)에 전송한다.
단계 S106에서 학습자 단말기(310)는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자칠판(200)과 상이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자칠판(200)에서 전송된 문서 파일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계 S107에서 전자칠판(200)도 학습자 단말기(310)로부터 전송받거나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파일이 자신의 운영체제와 다른 플랫폼에서 작성된 문서 파일일 경우에도, 파일 변환을 통해 해당 문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교육자는 전자칠판(200)을 통해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교육을 위한 판서를 한다(S108). 이미지 파일 상에서 판서가 이루어지면 단계 S109에서 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고, 판서된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 파일은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문서 변환 서버(100)로 전송하여, 학습자 단말기(310)로 전송토록 한다(S111).
학습자 단말기(310)는 단계 S112에서 문서 변환 서버(100)를 통해 전송되는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자칠판(200)에서 전송된 판서 문서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전자칠판에서 각종 문서를 불러온 뒤 이 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을 하고, 이렇게 변환된 파일을 윈도나 아이오에스와 같은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장비들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로서, (a) 학습자단말기(310)에서 변환할 문서 파일을 선택하고,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201 ~ S202); (b)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일 경우, 문서 변환 서버(100)에 문서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S203); (c)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에서 변환할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S204); (d)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에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200) 및 학습자 단말기(310)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S205); (e) 상기 전자칠판(200)에서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06); (f) 상기 학습자 단말기(S310)에서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면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문서 변환 서버(100)에 전송하는 단계(S207 ~ S210); (g) 상기 문서 변환 서버(100)에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200)에 전송하는 단계(S211); (h) 상기 전자칠판(200)에서 수신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212)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검색하여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201에서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310)에서 전자칠판(200)으로 전송할 문서 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문서 파일을 선택한다. 여기서 문서 파일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따로 저장된 파일일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학습자 단말기(310)는 전송할 문서 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문서의 파일 변환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파일 변환의 가능 여부는 파일의 확장자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예컨대, 파일의 확장자가 한글(HWP), 파워포인트(PPTX), 전용문서(PDF), 워드(word), 엑셀(excel), 그림파일일 경우에는 파일 변환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외의 확장자를 갖는 문서 파일에 대해서는 파일 변환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3에서 학습자 단말기(310)는 파일 변환이 가능한 문서 파일에 대해서 선택한 문서 파일을 문서 변환 서버(100)로 전송한다.
단계 S204에서 문서 변환 서버(100)는 파일 변환 매니저를 이용하여 수신한 문서 파일을 이미지 형태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을 한다. 그리고 변환한 이미지 파일의 리스트를 생성하고(List Image Chain), 단계 S205에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200) 및 학습자 단말기(310)에 전송한다.
단계 S206에서 전자칠판(200)은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학습자 단말기(310)와 상이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학습자 단말기(310)에서 전송된 문서 파일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단계 S207에서 학습자 단말기(310)도 전자칠판(200)으로부터 전송받거나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파일이 자신의 운영체제와 다른 플랫폼에서 작성된 문서 파일일 경우에도, 파일 변환을 통해 해당 문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310)를 통해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판서를 한다(S208). 이미지 파일 상에서 판서가 이루어지면 단계 S209에서 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고, 판서된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 파일은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문서 변환 서버(100)로 전송하여, 전자칠판(200)로 전송토록 한다(S211).
전자칠판(200)은 단계 S212에서 문서 변환 서버(100)를 통해 전송되는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학습자 단말기(310)에서 전송된 판서 문서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의 학습자 단말기에서 각종 문서를 불러온 뒤 이 문서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을 하고, 이렇게 변환된 파일을 윈도나 아이오에스와 같은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장비(전자칠판)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칠판에서 자신의 운영체제와 상이한 시스템에서 작성된 문서 파일을 문서 변환 서버를 통해 변환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변환한 문서를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실시간 연동하여 공유할 수 있다.
아울러 학습자 단말기에서도 자신의 운영체제와 상이한 시스템에서 작성된 문서 파일을 문서 변환 서버를 통해 변환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변환한 문서를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실시간 연동하여 공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전자칠판과 학습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을 하는 경우, 운영 체제가 상이한 경우에도 문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적용된다.
100: 문서 변환 서버
200: 전자 칠판
310: 학습자 단말기

Claims (8)

  1. 판서 내용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문서 변환 서버에 공유할 문서를 전송하고,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터를 상기 문서 변환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칠판;
    상기 전자칠판으로부터 문서 공유 요청시 상기 전자칠판으로부터 전송된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접속된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화면 데이터는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전자칠판에 전송하여 전자칠판과 학습자 단말기 간의 문서를 변환시켜주는 문서 변환 서버; 및
    상기 문서 변환 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칠판에서 전송된 문서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 화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학습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iOS, 윈도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자칠판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iOS, 윈도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4. 청구항 1에서, 상기 문서 변환 서버는 전자 칠판 및 학습자 단말기에서 각각 전송된 문서 파일을 이미지 형태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상호 문서 파일을 인터페이스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5. (a) 전자칠판에서 변환할 문서 파일을 선택하고,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b)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일 경우, 문서 변환 서버에 문서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변환할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 및 학습자 단말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상기 문서 변환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f) 상기 전자칠판에서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면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문서 변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
  6. 청구항 5에서, 상기 (a)단계는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검색하여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
  7. (a) 학습자단말기에서 변환할 문서 파일을 선택하고,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b)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일 경우, 문서 변환 서버에 문서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변환할 문서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변환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 및 학습자 단말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전자칠판에서 상기 문서 변환 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f)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이미지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파일에 판서가 이루어지면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문서 변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문서 변환 서버에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전자칠판에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전자칠판에서 수신한 판서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 및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
  8. 청구항 7에서, 상기 (a)단계는 문서 파일의 확장자를 검색하여 변환 가능한 문서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방법.



KR1020150122656A 2015-08-31 2015-08-31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KR10175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56A KR101753731B1 (ko) 2015-08-31 2015-08-31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656A KR101753731B1 (ko) 2015-08-31 2015-08-31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748A true KR20170025748A (ko) 2017-03-08
KR101753731B1 KR101753731B1 (ko) 2017-07-06

Family

ID=5840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656A KR101753731B1 (ko) 2015-08-31 2015-08-31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7894A1 (zh) * 2017-12-25 2019-07-04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Pdf文件转图片的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14229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니켈계 활성 촉매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273B1 (ko) 2023-02-02 2023-04-25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전자칠판 기능이 탑재된 인터넷 텔레비전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327A (ko) 2000-04-18 2000-07-05 오세원 인터넷 양방향 화상 교육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20010096497A (ko) 2000-04-17 2001-11-07 뉴먼 에드워드 단열 모바일 컴퓨터
KR20020018243A (ko) 2000-09-01 2002-03-08 박종민 인터넷의 동영상과 채팅 그리고 전자칠판을 이용한 쌍방향교육 시스템 및 웹브라우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497A (ko) 2000-04-17 2001-11-07 뉴먼 에드워드 단열 모바일 컴퓨터
KR20000037327A (ko) 2000-04-18 2000-07-05 오세원 인터넷 양방향 화상 교육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20020018243A (ko) 2000-09-01 2002-03-08 박종민 인터넷의 동영상과 채팅 그리고 전자칠판을 이용한 쌍방향교육 시스템 및 웹브라우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7894A1 (zh) * 2017-12-25 2019-07-04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Pdf文件转图片的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10114229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니켈계 활성 촉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731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elaiwi et al. Enhanced engineering education using smart class environment
CN103957190A (zh) 一种在线教育互动的方法及客户端、服务器、系统
KR101460090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463153A (zh) 向观众交互地呈现演示的系统和方法
CN103839451A (zh) 信息化无纸课堂教学系统
KR101753731B1 (ko) 전자칠판에서 문서공유를 위한 파일변환장치
Badan et al. Multimedia Technologie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under Pandemic.
US20140024005A1 (en) Multi-Platform Learning Environment
CN1437128A (zh) 网络互动教学实时显示的方法
KR20170073187A (ko) 차세대 이러닝 실시간 쌍방향 화상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22415A (ko) 학습컨텐츠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6672A (ko) 다중화면 인터랙션을 이용한 온라인 디자인 실기수업 영상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bler et al. Distributed engineering education: evolution of the telecollaboration stations for individualized distance learning
TWM631873U (zh) 主題式線上互動教學系統
Hofstein et al. Using iPads in the chemistry classroom: Focusing on paperless education and identification and directed use of pedagogically directed applications
KR20170099826A (ko) 전자칠판에서 이기종간 문서공유를 통한 다인 학습장치
Maciver et al. Fostering design collaboration: Novel IC T tools to support contemporary design pedagogy
KR20220067402A (ko) 쌍방향 인터넷 실시간 강의 시스템 및 강의 방법
KR20170025747A (ko) 전자칠판에서 이기종간 문서공유를 통한 다인 학습장치
Kaware Use of virtual classroom software for teaching
TWI827033B (zh) 兼具遠距教學與現場教學雙重教學模式之主題式虛實整合共學協作互動教學方法
KR20190018353A (ko) 동영상을 이용한 다수 사용자 간 인터랙티브 학습 시스템 및 방법
Iio et al. Cross-cultural Education in Asia using Online Communication Tools and the Dialogbook
Cavanaugh Applying Low Tech Modifications and Accommodations for Emergency Remote Teaching using Zoom
Agu et al. CHALLENGES TO THE USE OF ONLINE EMERGING COMPUTER TECHNOLOGIES (OECT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S DURING COVID-19 PANDEM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