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948A - 태그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태그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948A
KR20170024948A KR1020150120591A KR20150120591A KR20170024948A KR 20170024948 A KR20170024948 A KR 20170024948A KR 1020150120591 A KR1020150120591 A KR 1020150120591A KR 20150120591 A KR20150120591 A KR 20150120591A KR 20170024948 A KR20170024948 A KR 20170024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search
query
meaning
target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후
Original Assignee
박시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후 filed Critical 박시후
Priority to KR102015012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4948A/ko
Publication of KR2017002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864
    • G06F17/218
    • G06F17/2785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 (Tag) 기반의 검색 질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태그 기반으로 이종 플랫폼 간의 데이터 검색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입력 텍스트에서 태그를 추출하는 TAG 파싱부 (101), 태그의 의미와 목적 단어를 분석하는 시멘틱 해석부 (102), 태그와 태그의 목적어를 이용하여 검색 엔진 및 검색 위치를 결정하는 검색 테이블 생성기 (103), 목적 단어를 기반으로 검색 테이블에서 검색 위치를 결정하는 테이블 참조부 (104), 결정된 검색 위치로부터 목적어의 검색을 수행하는 검색부(105)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태그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EARCH BASED ON TAG}
데이터 검색
인터넷의 발달에 힘입어 사용자들은 찾고자 하는 정보를 웹상의 검색 서비스를 통해 더욱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국내의 네이버와 다음 카카오, 국외의 구글 등이 웹 상에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대표적인 검색 서비스 업체들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빠르게 보급되고, 스마트폰 등에서 기본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탑재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 장치를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찾고자 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웹2.0 환경에서는 사용자들이 자신이 생성한 콘텐츠에 대해서 직접 태그를 붙임으로써, 웹 문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들이 검색 시스템을 통해 더 쉽고 정확하게 검색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으로 인하여, PC 환경보다 디스플레이 및 입력 장치의 크기가 작은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검색의 빈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카카오톡, 라인과 같은 메신저 서비스의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메신저를 기반으로 한 검색 서비스도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메신저의 채팅창을 통해서 채팅과 검색을 동시에 수행하는 UX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메신저 기반의 검색 서비스는 기존의 웹 기반의 검색 서비스와 비교하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표적인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나 iOS는 운영체제 자체에서 검색을 지원한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검색 기능을 통해서 운영체제에 설치된 앱이나 모바일 디바이스내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하지만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검색 기능은 일차원적인 UI/UX만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내에서 데이터를 찾는 데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태그는 웹 2.0 환경에서 효율적인 웹 콘텐츠 검색을 위해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본 발명 및 장치에서는 사용자들이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태그를 육하원칙의 여섯 가지 중 하나의 의미가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검색을 가능케 한다. 특히, 태그와 태그의 목적 단어를 조합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문장구조와 비슷한 형태의 검색 쿼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장구조를 통해 메신저 기반의 검색이나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레벨의 검색에 있어 더욱 효율적인 검색을 가능케 한다.
육하원칙은 기사문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여섯 가지 요소로 글을 간결하고 명확하기 쓰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 및 장치는 태그가 육하원칙 중 하나의 의미를 가지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검색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하는 '#' 태그는 육하원칙 중 '무엇을'에 해당하는 의미를 가지며, '@' 태그는 육하원칙 중 '어디서'에 의미를 가진다. 이처럼 태그에 육하원칙의 여섯 가지 요소에 해당하는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일상생활에서처럼 간결하고 명확하고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모바일 메신저의 채팅창 기반 검색의 불편함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운영체제 레벨의 검색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TAG 시멘틱 해석부(102)의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장치에서의 검색 엔진 테이블 생성기의 예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장치의 검색 창에 대한 UI 예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장치는 태그 파싱부 (101), TAG 시멘틱 해석부 (102), 검색 엔진 테이블 생성기 (103), 테이블 참조부 (104), 검색부(105)로 구성된다.
태그 파싱부 (101)은 사용자가 검색을 위해 입력한 전체 질의 쿼리 안에서 사전에 정의 된 태그의 포함 여부를 검사한다. 일반적으로 검색을 위한 질의 쿼리는 '무엇을', '어디서'를 의미하는 두 개의 태그와 각 태그를 뒤따르는 목적어로 구성된다. 해당 단계에서는 태그와 각 태그의 목적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질의 쿼리에서 사용되는 태그의 수를 두 개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한 개 이상의 태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태그의 목적어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정지 영상, 동영상, 혹은 음성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TAG 시멘틱 해석부 (102)는 파싱된 태그에 대해서, 각 태그의 의미를 분석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데이터를 읽는다. 추가적인 데이터는 태그와 함께 하나의 단어로 입력되거나 연속되는 다음 단어, 혹은 다음 문장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도 있다. 해당 단계에서 태그와 함께 기술되는 태그의 목적어는 특정 위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미리 정의함으로써 추가 데이터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각 TAG는 육하원칙의 여섯 가지 요소 중 하나에 해당하는 의미를 부여 받게 된다.
검색 엔진 테이블 생성기는 (103)은 접근 가능한 외부/내부 서버, 혹은 각종 저장 장치의 경로를 생성한다.
테이블 참조부 (104)는 TAG 시멘틱 해석부 (102)로부터 입력 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하나의 검색 서버 혹은 저장 장치를 선택한다.
검색부 (105)는 선택된 서버 혹은 저장 장치에서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사용자들에게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TAG 시멘틱 해석부(102)의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AG 시멘틱 해석부 (102)는 입력된 태그에 대해 육하원칙의 요소 중 하나로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각 태그의 목적어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해서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 태그는 육하원칙 중 '무엇을'에 해당하는 의미를 사전에 부여 받았으며, '@' 태그는 육하원칙 중 '어디서'에 해당하는 의미를 사전에 부여 받았다. 또한, 각 태그의 목적어는 해당 태그의 뒤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 사과 @ 이마트'와 같은 형태의 질의 쿼리의 조합이 가능하다. 해당 질의 쿼리는 이마트 ('어디서')에서 사과 ('무엇을')를 검색하라는 의미로 TAG 시멘틱 해석부에서 해석될 수 있다.
TAG 시멘틱 해석부의 또 다른 예로 '# 순천 용산 @ 코레일'과 같이 하나의 태그에 한 개 이상의 목적어를 매핑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쿼리는 스마트폰의 코레일 앱에서 순천-용산간 기차표 예매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육하원칙에 매핑되는 태그는 '#'과 '@' 에 한정되지 않고, TAG 시멘틱 해석부에 입력되는 엔트리에 따라 태그와 태그에 할당 된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당 단계에서는 하나의 태그에 매핑되는 단어의 수를 제한하지 아니하고, 하나의 태그에 한 개 이상의 목적어가 사용되거나, 태그의 목적어 없이 태그 자체만으로 특별한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장치에서의 검색 엔진 테이블 생성기 (103)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색 엔진 테이블 생성기 (103)는 육하 원칙 중 '어디서'에 해당하는 태그의 목적어에 따라 검색 위치를 결정하는 예를 보인다. 예를 들어, '#' 태그가 육하원칙 중 '무엇을'을, '@' 태그가 육하 원칙 중 '어디서'에 해당하는 의미를 가질 때 '# 수박 @ 네이버'라는 쿼리가 입력 될 때 검색 엔진 테이블 생성기 (103)는 '#' 태그의 목적 단어인 '수박'을 '@' 태그의 목적 단어인 '네이버'에 매핑되는 검색 위치인 네이버 제공 검색 DB'로부터 검색한다. 검색 위치 테이블 (301)은 육하 원칙 중 '어디서'에 해당하는 태그의 목적 단어와 해당 목적 단어에 연관된 검색 위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육하 원칙 중 '어디서'에 해당하는 태그의 목적 단어가 검색 위치 테이블 (301)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지정한 DB 혹은 목적 단어에 따라 적응적으로 위치를 결정하고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검색 테이블의 '어디서'에 해당하는 검색 위치는 웹 싸이트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스마트 폰, 혹은 PC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하여 검색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태그 기반의 검색어 처리 방법 및 장치의 검색창에 대한 UI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색창 UI는 (401)는 채팅 프로그램 (400)의 글 입력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무엇을'을 의미하는 태그가 기본적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검색을 원하는 경우 해당 태그를 눌러 태그를 검색창(채팅창)에 입력시킬 수 있다.
검색창 UI에서 태그를 선택하여 입력하고 해당 태그의 목적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402), 검색창 UI는 자동으로 적절한 다른 태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엇을'을 의미하는 태그 이후에는 '어디서'를 의미하는 '@' 태그가 자동으로 검색창 UI에 표시될 수 있다 (403).
두 개 이상의 태그와 각 태그에 대한 목적 단어가 입력됨으로써 의미 있는 질의 쿼리 (404)가 완성되는 경우 더 이상 추가적인 태그는 검색창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Claims (6)

  1. 태그에 육하 원칙의 여섯 가지 요소 중 하나에 해당하는 의미를 부여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문장 구조와 비슷하게 해석될 수 있는 형태의 질의 쿼리를 만드는 태그 기반의 검색 방법 및 장치
  2. 상기 청구항 1에서 '#'에 '무엇을'을 '@'에 '어디서'라는 육하 원칙의 의미를 사전에 부여하는 태그 기반의 검색 방법 및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어디서'에 해당하는 의미를 가진 태그의 목적 단어에 따라 검색 위치를 적응적으로 결정하거나 미리 정의된 검색 위치로부터 검색을 수행하는 태그 기반의 검색 방법 및 장치
  4. 두 개 이상의 태그에 서로 다른 육하 원칙의 요소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태그와 각 태그의 목적 단어를 조합하여 질의 쿼리를 만드는 방법 및 장치
  5. 태그의 의미와 각 태그에 대한 목적 단어의 위치를 사전에 정의된 데이터로부터 도출하는 태그 기반의 검색 방법 및 장치
  6. 두 개 이상의 태그가 사용되는 경우 검색창에서 다음에 사용될 태그를 자동으로 표시하는 검색창 UI 방법 및 장치
KR1020150120591A 2015-08-26 2015-08-26 태그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70024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591A KR20170024948A (ko) 2015-08-26 2015-08-26 태그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591A KR20170024948A (ko) 2015-08-26 2015-08-26 태그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948A true KR20170024948A (ko) 2017-03-08

Family

ID=5840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591A KR20170024948A (ko) 2015-08-26 2015-08-26 태그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49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590A (ko) * 2017-04-04 2018-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지식 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590A (ko) * 2017-04-04 2018-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지식 베이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9009B2 (en) Related links
KR101953303B1 (ko) 브라우징 액티비티에 기초하여 정합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기법
US10817613B2 (en) Access and management of entity-augmented content
US964610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r-specified URL keyword navigation
US20140032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searching of semantic entities
US201201259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using image code
CN110362372A (zh) 页面转译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US201501543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CN103020191B (zh) 一种用于显示文件的装置及方法
US11360640B2 (en) Method, device and browser for presenting recommended news, and electronic device
RU2601138C2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рекомендуемой информации для браузера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и система, применяющая данный способ
US20090112833A1 (en) Federated search data normalization for rich presentation
US10133815B2 (en) Document association device, document association system, and program
JP6147629B2 (ja) ページコンテンツについて注目箇所を直ぐに表示するページサイト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方法
WO20150435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070053B1 (ko) Url을 이용하여 검색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101537555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상의 메시지 바로 검색 지원 방법
KR20100117335A (ko) 검색어가 포함된 텍스트를 기초로 검색 사이트를 특정하여 검색 결과를 요청하는 검색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012501B1 (ko)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9402A (ko) 이용자 반응형 웹페이지 제공 방법
US9092409B2 (en) Smart scoring and filtering of user-annotated geocoded datasets
EP24585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en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30248A1 (en) Ensuring validity of the bookmark reference in a collaborative bookmarking system
US20130179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uggestions to a user of a software application
KR20170024948A (ko) 태그 기반의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