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591A -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591A
KR20170024591A KR1020170020252A KR20170020252A KR20170024591A KR 20170024591 A KR20170024591 A KR 20170024591A KR 1020170020252 A KR1020170020252 A KR 1020170020252A KR 20170020252 A KR20170020252 A KR 20170020252A KR 20170024591 A KR20170024591 A KR 2017002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service
mobile terminal
wifi
res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250B1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17002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2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해 와이파이를 기반으로 비콘과 O2O(Online to Offline) 기술을 이용한 무료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더라도 사용자는 무차별적인 광고와 쓸모없는 정보 제공으로 피로감을 느껴 유료 무선통신망 데이터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추세였으나, 이를 개선하여 지역 주민 들이 생활에 꼭 필요한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개별 지역 와이파이 커뮤니티 존에 자발적으로 가입하도록 하여 무료로 와이파이 서비스를 받으면서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제공받고 간단한 광고도 제공할 수 있도록 비콘; 긴급신고를 하거나 위치공유와 신고 위젯을 사용하거나 세게 흔들면 특정 신고가 긴급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비콘과 모바일 단말기로 부터 해당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고객 관리 사항, 고객 제안 사항, 멤버쉽 회원이력관리, 모바일 App 배포, App이용 빈도를 상점 별 고객 별로 관리하여 통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생활에 꼭 필요한 방범, 화재, 유아 찾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마케팅 메시지로 고객들에게 피로감을 줘 결국에는 짜증을 느낀 고객이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과의 커뮤니케이션 자체를 끊어버리는 일을 막기 위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ommercial Information and Public Information using Wifi and beacon}
본 발명은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해 와이파이를 기반으로 비콘과 O2O(Online to Offline) 기술을 이용한 무료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더라도 사용자는 무차별적인 광고와 쓸모없는 정보 제공으로 피로감을 느껴 유료 무선통신망 데이터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추세였으나, 이를 개선하여 지역 주민 들이 생활에 꼭 필요한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개별 지역 와이파이 커뮤니티 존에 자발적으로 가입하도록 하여 무료로 와이파이 서비스를 받으면서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제공받고 간단한 광고도 제공할 수 있도록 비콘; 긴급신고를 하거나 위치공유와 신고 위젯을 사용하거나 세게 흔들면 특정 신고가 긴급 실행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비콘과 모바일 단말기로 부터 해당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고객 관리 사항, 고객 제안 사항, 멤버쉽 회원이력관리, 모바일 App 배포, App이용 빈도를 상점 별 고객 별로 관리하여 통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생활에 꼭 필요한 방범, 화재, 유아 찾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마케팅 메시지로 고객들에게 피로감을 줘 결국에는 짜증을 느낀 고객이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과의 커뮤니케이션 자체를 끊어버리는 일을 막기 위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와이파이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들이 무선랜(WLAN)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고, 비콘이란 블루투스 통신망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장비로 32bit ARM CPU에 256k 메모리와 각종 센서를 탑재하고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동전만한 크기의 장비와 이을 이용한 서비스를 말한다.
블루투스의 에너지 소모, NFC 단거리 제한, GPS 실내 제한 등의 단점을 보완한 블루투스 4.0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 최대 5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다양한 무료 와이파이 존(wifi zone)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3G/4G 이동통신 서비스에 비해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고 있는 실정이다. 무료 와이파이 존이 있는 곳이 많지 않으며, 무료 와이파이 존을 벗어나면 더 이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태블릿 PC(tablet PC)와 같이 3G/4G 통신이 불가하고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단말의 경우에는 더더욱 와이파이 존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도심의 커피 전문점 등에서 무료로 와이파이를 제공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음식점, 서점 등의 와이파이 서비스에는 암호가 걸려있어서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이러한 음식점이나 기타 판매점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무료로 제공하는 대가로 그 단말에 해당 음식점 등의 광고 컨텐츠를 시청하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음식점의 판촉을 위한 쿠폰 등도 와이파이의 무료 사용 대가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료 와이파이 제공의 경우 본인의 데이터 통신망을 사용할지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할지를 결정을 해야 하며,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할 경우 개인 정보를 입력한 후 필요 없는 광고 등을 시청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술한 와이파이를 이용한 서비스나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를 따로 제공하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현재 무상 와이파이로 이루어진 통신 인프라 상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지역 환경에 맞는 콘텐츠와 서비스가 필요하였다.
예를 들어 대전 서구 월평1동은 지역 특성 상 인구의 이동성이 높은 관계로 지역 공동체 가치 인식과 관심이 결여되어, 지역 공동체와 주민 행복을 위한 지역의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비즈니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지역 주민 및 상가 소비자를 위한 안심 거리 서비스를 제공(안전한 거리 서비스 제공으로 방문객 및 재방문을 유도하여 소비의 활성화)하고, 지역민의 경제 활동은 지역 내에서 소비를 우선하는 선순환을 기점으로 지역 경제의 활성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과도한 마케팅 메시지로 고객들에게 피로감을 줘 역효과를 내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소비자가 일반 모바일 광고를 스팸으로 여기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가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광고 데이터가 본인의 모바일 데이터 요금을 소진하면서 자기의 의지와 상관 없이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료 와이파이존에서 광고를 마음 놓고 볼 수 있고, 이동 중에도 본인의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집안이나 사무실의 와이파이가 있는 곳에서 처럼 여러가지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원룸과 임대형 주택이 많은 곳은 주민들의 소통의 부재로 인한 소속감결여와 홀로 사는 것에 따른 위험도와 불안감을 덜어주기 위하여 무료 와이파이존에서 소통과 소속감, 안전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65690호 한국등록특허 제1592406호 한국등록특허 제15334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해 와이파이를 기반으로 비콘과 O2O(Online to Offline) 기술을 이용한 무료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더라도 사용자는 무차별적인 광고와 쓸모없는 정보 제공으로 피로감을 느껴 유료 무선통신망 데이터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추세였으나, 이를 개선하여 지역 주민 들이 생활에 꼭 필요한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개별 지역 와이파이 커뮤니티 존에 자발적으로 가입하도록 하여 무료로 와이파이 서비스를 받으면서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제공받고 간단한 광고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지역 내의 와이파이와 모바일을 기반으로 공공 정보의 전달, 주민 안전, 지역소상공인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비콘과 O2O를 이용하여 생활에 필수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지역 주민센터의 지역 서비스 정보와 주민이 참여하는 생활 정보 서비스의 교환과 소통으로 홈페이지 방문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 지역 주민 중심의 사업화는 마을 공동체라는 신뢰성을 바탕으로 하여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 비콘과 O2O 기반 LBS(위치 서비스)의 ICT 융합 플랫폼을 포함하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지역 내에서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콘; 상기 일정 지역 내에 AP(access point)로 무료 와이파이존을 형성하는 와이파이 모듈; 상기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환하거나,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일정 지역 내의 주민의 위치 정보를 AP 위치로 공유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로 부터 AP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주민 위치 정보와 AP 위치 정보를 상점 별 고객 별로 통계화하여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비콘은 주기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통해 특정 지역의 와이파이 존 내의 거주자 및 소방시설물의 위치들을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건물 외부에서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이용자가 실내공간으로 이동시 그 위치를 연속적으로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복수개의 장치이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 전단지는 와이파이 존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광고주가 LBS 기반으로 직접 제작하여 실시간으로 배포가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 전단지를 제작 할 수 있는 템플릿 형태의 앱을 이용하여 그림, 사진, 광고 문구, 무료쿠폰, 마일리지, 및 LBS 서비스를 포함하여 배포가 가능하다.
상기 비콘에 의해 지정한 단위 시간 이내에 움직임이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 긴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비콘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기압 센서를 포함하여 일정치 이상의 데이터를 감지하면 서버에 전송하여 보호자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갖고,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태그; 상기 BLE 태그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민의 위치를 파악하는 상기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생활에 꼭 필요한 방범, 화재, 유아 찾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마케팅 메시지로 고객들에게 피로감을 줘 결국에는 짜증을 느낀 고객이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과의 커뮤니케이션 자체를 끊어버리는 일을 막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여 지역 주민 들이 생활에 꼭 필요한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받기 위해 개별 지역 커뮤니티에 자발적으로 가입하여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가 시간과 광고 횟수를 선택하여 배포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전달 성공율이 높으므로 기존의 종이 전단지 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광고 효율성이 높고, 지역 주민이 대상으로 배달 앱이나 키워드 광고, SNS 마케팅 보다 광고 효과가 높고 광고 비용이 지역으로 환원되어 지역에서 소비가 선 순환되는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사물 인터넷) 시대의 도래에 따라 특정 지역의 와이파이 존에 속하는 오프라인 매장과 모바일 단말기로 연결 하여 매장고객을 상대로 매출을 위한 분석이 가능하고, 비콘 신호로 모바일 단말기를 감지하여 고객과 와이파이를 통해 연결되어 인지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고객 행태 (위치, 체류시간, 관심 등)의 로그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비콘 신호를 기반하여 매장 모니터링과 고객 데이터 분석으로 매장의 매출증대를 위한 이벤트 설계 및 집행이 가능하여 매장 운영의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ICT 융합 플랫폼은 지역 사업자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모바일 홈페이지, SNS, 실시간 전단지 광고, 안심 거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생활아이디어, 중고 직거래 장터, 물려주기 등의 의견 소통 서비스, 지역의 공공 및 생활정보를 교환하고 지역사업자의 활성화를 위하여 비콘 기술을 이용 모바일 광고지, 이벤트 및 캐쉬백 등의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단위의 좁은 범위에서 제공되는 와이파이 서비스이기 때문에 광역의 범위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 서비스 보다 주민 간 비지니스(상점의 소개, 중고 사고 팔기, 사용안하는 집안의 물건 물려주기 등)가 더 활발히 이루어지고 상호간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주민들은 미리 신뢰성 있는 방범, 화재, 유아 케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을 제공받기 때문에 추가적인 모바일 광고를 자기의 의지와 상관 없이 주민들의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더라도 이를 용인하거나 구매할 수 있어 광고 효과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와이파이 연결 구성과 새소식 정보와 광고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연결 홈페이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광고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간 스마트 광고 서비스 예시 중 사업자 프로모션 샵화면과 홍보플랫폼(쿠폰, 마일리지, 이벤트 통합관리 운영페이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 와이파이 모듈에 의한 와이파이 존을 설치하고, 상기 와이파이 존에 비콘(5), 모바일 단말기(10), 서버(100) 등을 설치하여 운영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일정 지역 내에서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콘(5), 상기 일정 지역 내에 AP(access point)로 무료 와이파이존을 형성하는 와이파이 모듈, 상기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환하거나,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일정 지역 내의 주민의 위치 정보를 AP 위치로 공유하는 모바일 단말기(10), 상기 와이파이 모듈로 부터 AP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주민 위치 정보와 AP 위치 정보를 상점 별 고객 별로 통계화하여 관리하는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 중에서 일정 지역으로 대전 서구 월평 1동은 특정 지역의 명칭으로서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한다.
상기 비콘(5)은 주기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통해 특정 지역의 와이파이 존 내의 거주자 및 소방시설물의 위치들을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건물 외부에서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 이용자가 실내공간으로 이동시 그 위치를 연속적으로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복수개의 장치이다.
매출 활성화 도구로 일정 지역의 와이파이 존에 진입한 모바일 단말기(10)를 소지한 고객에 대한 타겟팅(Targeting) 서비스(매장부근 : 생일자 알림, 할인/이벤트 쿠폰발행, 프로모션, 상품 안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기반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갖고,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10)를 소지한 고객에 대한 구매이력 정보는 매장 내 상품 안내 등에 활용하고, 와이파이 존 내의 상가에서의 체류시간, 매장 내 구매 상품 등 이력관리와, 모바일 쿠폰, 상품권 발행, 쿠폰사용, 캐쉬백 적립 및 결제 기능과 고객 매장 방문 유도, 안내 서비스 및 실시간 모바일 광고 등과 고객 안심 상가 거리 서비스 제공으로 주민 및 방문객을 취객 또는 폭력 등으로 부터 안전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콘(5)과 모바일 단말기(10)로 부터 해당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버(100)는 고객 관리(제안사항), 멤버쉽 회원이력관리, 모바일 App 배포, App이용 빈도 등 관리, 상점 별 관리, 상점 별 고객 방문객수의 통계 관리 역할을 한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NFC(근거리 무선통신) 태그가 설치된 곳을 찾아서 사용자가 직접 태깅 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비콘 방식은 무선으로 모바일 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서버(100)에 전송이 가능한 서비스이고, 이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기반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갖고,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10)와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태그(5)를 이용하여 주민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안심이 서비스는 지역내 주요 장소 및 점포에 설치 운영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지원하는 본인의 모바일 단말기(10)만 있으면 누구나 일정 지역 내에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112 또는 119로 긴급신고를 하거나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10)로 빠른 위치 공유를 위해서 바탕화면에 있는 빠른 위치공유와 신고 위젯을 사용하거나 모바일 단말기(10)를 세게 흔들면 특정 신고가 긴급 실행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한 안심 서비스 사용이력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에만 저장되고, 서버(100) 등 별도의 장소로 저장되지 않고 내사용 이력 정보 보기 기능을 통해 안심거리를 지나간 이력을 일, 월별로 확인이 가능하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에 표시되는 모바일 웹을 통해 모바일 와이파이 접속시 대문에 최초 와이파이 접속 시 표시 내용으로, (1) 최초 접속 표지(설명문), (2) 공공 서비스 내용 표시, (3) 모바일 광고, (4) 월평1동 무료와이파이 존의 상징 및 디자인 등을 포함한다.
또한 기능리스트로서, (1) 최초 접속 메인페이지(설명문), (2) 공공 서비스 내용 표시, (3) 알림글 상세 페이지, (4) 월평1동 무료와이파이 존의 상징 및 디자인, (5) 모바일 광고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스크톱을 통한 본 발명에 따른 공공 정보 서비스 홈페이지로서, 세부사항인 공공정보 서비스 관리 창의 내용은, (1) 공공서비스 내용 작성자 인증 및 관리, (2) 공공 서비스 내역 (일별/월별), (3) 공공서비스 작성자 가입, (4) 예약 서비스 기능, (5) 기타 등을 포함한다.
또한 기능리스트로서, (1) 로그인, (2) 사용자 계정 추가, (3) 사용기관 등록, 공공서비스 내역 히스토리 저장 및 조회(일별/월별), (4) 인증 및 권한 관리 기능, (5) 기관별 게시판 생성, (6) 기관별 관리자 지정, (7) 게시글 작성/수정, (8) 접속자 수/방문자 수 통계 기능, (9) 게시글 예약 서비스 기능, (10) 바로가기 서비스 등록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스크톱을 통한 웹 또는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의 공공 서비스 작성 에디터 항목에 접속하면, 공공 정보 작성 업로드 메뉴에서, (1) 인증된 작성자의 정보 서비스 내용 작성, (2) 작성된 내용 업로드, (3) 업로드 내용 배포, (4) 기타 등을 포함한다.
또한 기능 리스트로서, (1) 인증된 작성자의 정보 서비스 내용 작성, (2) 텍스트 서식 지정, (3) 이미지 등록 기능, (4) 게시글 예약 지정 기능, (5) 업로드 내용 게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10)의 모바일 웹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서비스내용에 대한 주민 센터에 링크하면, 정보 서비스 내용 에 대한 자세한 사항 링크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능리스트로서, 알림글 상세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한 실시간 스마트 전단 광고는 종래의 전단지 광고나 기존 온라인 광고와 비교하여, 광고 템플릿을 이용한 광고 주 자체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온라인 광고 또는 푸쉬 광고이용에 낮은 경비로 가격이 저렴하며, O2O, LBS(위치인식) 기반으로 광고주가 원하는 시간대에 광고가 가능하며, 광고 지역이 일정 지역(예 : 월평1동)으로 한정되어 높은 성공율이 예상되며, 광고주의 마일리지, 할인, 이벤트 등의 행사가 자유롭게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적인 성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와이파이 연결 구성과 새소식 정보와 광고창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모바일 연결 홈페이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역 행정 생활정보, 상점 광고 홈페이지, 안전한 거리 서비스를 통해 가입 상점에는 상점 블로그 운영으로 실시간 전단 광고, 세일, 할인 이벤트, 상점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회원 주민에게는 실시간 생활 정보 제공으로서, 무료 와이파이와 안심거리 알리미가 제공되고, 상점 정보를 제공하고, 이벤트, 할인행사, 캐쉬백이 제공된다.
관리업체로서는 홈페이지 개발, 유지보수 및 관리, 지역 단체 및 주민센터 교류 서비스를 서버(100) 등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민 행정 편의 정보 제공, 주민 지역 생활정보 교환, 주민 안심거리 서비스 제공을 통해 가입 업체 고객의 확보와 지역 경제 활성화가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대문페이지로서 최초 와이파이 접속 표시와 공공서비스 내용 표시와 모바일 광고를 제공 받으며, 연결 홈페이지로 공공 서비스 내역을 제공받는다.
상기 관리업체가 운영하는 관리사이트(50)는 주민센터, 주민자치위원회 등과 연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민 공공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창(14)의 해당영역을 눌렀을 때, 와이파이 존 자동 연결 및 연결완료 알림을 보여주고, 예를 들어, 와이파이 존에 연결된 후 새소식창(15)에 월평 1동의 새 소식이 간략하게 표시되며, 해당 영역을 누르면 주민센터, 주민자치위원회, 새마을 등의 알림글을 볼 수 있는 홈페이지로 연결된다.
이 때 처음 와이파이 존에 연결할 경우 본인의 데이터 통신을 그대로 사용할 것인지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는 것은 기존의 방식과 동일하나 본 발명은 생활에 꼭 필요한 방범, 화재, 유아 찾기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서 고객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민센터 알림글은 주민센터에 관련된 알림글을 표시하고, 주민자치위원회 알림글은 주민자치위원회 관련 알림글을 표시하며, 새마을 알림글은 정부에서 주도하는 새마을 관련 알림글을 표시한다.
또한 상점광고창(16)은 월평1동의 지역상점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공간으로, 해당영역을 누르면 각 광고에 해당하는 링크로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창(1)은 탭을 이용하여 주민센터/주민자치위원회/새마을 등을 구분 짓는 창으로서 추가, 삭제, 수정이 가능하다.
주민센터 소식창(2)은 해당 기관에서 작성한 글의 목록이 보이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게시판과 같은 형태이다.
바로가기창(3)은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를 걸어 연결함으로써 유입을 유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광고 내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서버에서 전송하는 모바일 광고를 통해 월평1동 상가 거리를 걷는 중에 근처 상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매한 상점 이력 조회 및 캐쉬백을 사용 가능하게 하며, 안심 거리 쇼핑 서비스와 생활정보, 실시간 정보 등을 모바일 단말기(10)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심 거리 귀가 서비스, 직거래 공동 구매 정보, 할인, 이벤트 행사 정보, 중고 직거래 홍보, 생활용품 무료 물려주기 행사를 모바일 단말기(10)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 선택 실시간 광고, 할인, 이벤트 행사 홍보와, 회원사 캐쉬백 서비스와, 업종 별 템플릿을 사용하여 직접 광고를 제작하여 발송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10)에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의 상권 이외의 업종에도 광고주가 업종 별 템플릿을 선택하여 실시간 광고할 수 있고, 할인, 이벤트 행사 홍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 전단지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파이 존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광고주가 LBS 기반으로 직접 제작하여 실시간으로 배포가 가능하다.
일반인도 스마트 광고지를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쉽게 제작 할 수 있는 템플릿 형태의 앱을 이용하여 그림 및 사진, 광고 문구, 무료쿠폰 및 마일리지, LBS 서비스를 포함하여 배포가 가능하다.
따라서 광고주가 시간과 광고 횟수를 선택하여 배포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전달 성공율이 높으므로 기존의 종이 전단지 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광고 효율성이 높고, 지역 주민이 대상으로 배달 앱이나 키워드 광고, SNS 마케팅 보다 광고 효과가 높고 광고 비용이 지역으로 환원되어 지역에서 소비가 선 순환되는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정 지역에 적용된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실시간 스마트 광고 서비스 예시 중 사업자 프로모션 샵 화면과 홍보플랫폼(쿠폰, 마일리지, 이벤트 통합관리 운영페이지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호사업자를 위한 SNS형 프로모션 페이지를 모바일 단말기(10) 등에 제공하는 데, 상품판매정보 제공, 판매, 결제, 쿠폰, 이벤트 등록 기능을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10)에서 손쉽게 콘텐츠(사진, 동영상 등) 등록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도 7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스마트 광고 서비스 예시로서, 쿠폰, 마일리지, 및 이벤트 통합관리 운영페이지 등을 포함하는 홍보플랫폼을 모바일 단말기(10) 등에 제공한다.
이러한 통합 프로모션 플랫폼 포털사이트는 사용자의 쿠폰, 이벤트, 마일리지 정보 등의 관리 운영이 가능하다.
한편 일정 지역의 공간에서 화재, 테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와이파이 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10)는 비콘(5)과 서버(100)에 연동되어 실시간 위치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기반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갖고,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10),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태그(5), 상기 BLE 태그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민의 위치를 파악하는 상기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를 소지하고 긴급 상황에 가까이 있는 사람은 순간적으로 대피장소를 찾아 빠른 속도로 달리기 시작한다.
반면 긴급 상황이 일어난 장소에서 멀리 있거나 다른 층에 있고 모바일 단말기(10)를 소지한 사람들은 어디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없어 평상시 행동을 취하다 대피가 늦어져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서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 번째,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재해 근처에 있는 다수의 사람들이 일정한 단위 시간 내에 달리기 수준의 급격한 움직임을 보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같은 공간 내의 사람 수 중 절반 이상의 수가 짧은 시간 내에 달리기로 판단되면 긴급 상황으로 판단한다.
두 번째, 재해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들은 재해에 대한 대피가 늦어지므로 이들에게도 긴급 상황의 발생 사실을 알려 대피를 유도해야 한다.
즉,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태그를 이용하여 상술한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에서 다른 특정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의 차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비콘에 의해 지정한 단위 시간 이내에 움직임이 일정 속도 이상인 경우 긴급 상황 발생으로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인접한 와이파이 존에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도 이러한 정보를 전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 지역의 공간에서 화재, 테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감지한 비콘(5)이 와이파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사람들에게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경고를 하고, 재해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들에게도 화재, 테러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한 지역 정보를 발송하고 안전한 지역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10)를 통해 112 또는 119로 긴급신고를 하거나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10)로 빠른 위치 공유를 위해서는 바탕화면에 있는 빠른 위치공유와 신고 위젯을 사용하거나 휴대폰을 세게 흔들면 실행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10) 기반인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BLE(Bluetooth Low Energy) 태그를 활용하는 거리 안심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비 접촉성 위치 전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 지역의 와이파이 존에 존재하는 다수의 위험물 및 위험장소에 노출된 유아의 경우 신속한 구조나 보호자에 경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유아의 직선속도 증감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유아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 유아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감지하는 기압 센서를 포함하는 BLE 기반 비콘(5)을 유아의 몸에 부착한다.
와이파이 존에 존재하는 유아의 상기 다수의 위험물 및 위험장소에의 노출 여부를 비콘(5)을 통해 확인해서 노출된 경우 서버(100)가 보호자 모바일 단말기(5)에 위험노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기압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유아의 직선운동 데이터를 서버(100)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비콘(5)이 위험장소 근처라는 것을 식별해준 상태에서 유아의 움직임이 활발하거나 높은 지점에 올라가 있다면 그만큼 더 위험하므로 이를 판단하여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주차장이 부족한 특정 지역의 아파트 단지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119 신고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에 대해 비콘(5)과 모바일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택가의 경우 주, 정차 금지표지판을 설치하지 않는 한 이면도로 폭이 5m 이상이면 어디든 주차를 할 수 있고, 특정 지역의 아파트단지 내 주차장은 사유지로 분류돼 소방출동 도로 주차 차량에 대한 단속 권한조차 없다.
소방 출동로에 이중 삼중으로 주차해 도로를 막아버려도 차를 빼지 않는 한 그냥 놔둘 수밖에 없다.
화재 출동시 골목에 차를 빼달라고 방송으로 요구해도 나오지 않고, 무리하게 진입하다 주차 차량과 부딪혀 파손하게 되면 소방공무원이 징계를 받기 때문에 100m ~ 200m 떨어진 곳에서 호스를 들고 뛰어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차 단속용 비콘(5)에 의하여 불법 주차를 사전에 차단하면서, 부득이한 사정으로 불법 주차를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서버(100)에 모바일 단말기(10)로 접수를 하면 화재 출동시 골목에 차를 빼달라고 와이파이 존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에 연락을 하여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종래의 소방관들은 불법주차 차량이 많은 골목길은 아예 막힌 길로 가정하고 도로를 우회하였다.
즉 소방차 전용 내비게이션 '소방안전지도'엔 몇몇 골목들이 노란색 블록으로 막혀있고, 상습 불법주차 구역으로 소방차가 지나갈 수 없다는 표시를 항시 보여주는 실정이다.
따라서 화재 소방 구역 주차장에도 비콘(5)을 설치하고, 와이파이 존에 들어온 소방차 전용 내비게이션 '소방안전지도'와 서버(100)가 실시간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상습 불법주차 구역의 상태를 파악하고, 불법 주차 차량이 없는 골목을 안내하고 불법 차량에 대한 경고문을 해당 모바일 단말기(10)에 발송하여 신속히 차량을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키도록 연락할 수 있다.
1 : 상단부창
2 : 주민센터 소식창
3 : 바로가기창
5 : 비콘
10 : 모바일 단말기
14 : 와이파이창
15 : 새소식창
16 : 상점광고창
50 : 관리사이트
100 : 서버

Claims (5)

  1. 일정 지역 내에서 비콘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콘;
    상기 일정 지역 내에 AP(access point)로 무료 와이파이존을 형성하는 와이파이 모듈;
    상기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환하거나, 와이파이 모듈과 상기 일정 지역 내의 주민의 위치 정보를 AP 위치로 공유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상기 와이파이 모듈로 부터 AP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상기 주민 위치 정보와 AP 위치 정보를 상점 별 고객 별로 통계화하여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은 주기적으로 센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통해 특정 지역의 와이파이 존 내의 거주자 및 소방시설물의 위치들을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건물 외부에서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이용자가 실내공간으로 이동시 그 위치를 연속적으로 파악하여 그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복수개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스마트 전단지는 와이파이 존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광고주가 LBS 기반으로 직접 제작하여 실시간으로 배포가 가능하고, 상기 스마트 전단지를 제작 할 수 있는 템플릿 형태의 앱을 이용하여 그림, 사진, 광고 문구, 무료쿠폰, 마일리지, 및 LBS 서비스를 포함하여 배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및 기압 센서를 포함하여 일정치 이상의 데이터를 감지하면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호 경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5. 애플리케이션 기반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갖고,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기;
    저전력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태그;
    상기 BLE 태그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민의 위치를 파악하는 상기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비 접촉성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020252A 2017-02-15 2017-02-15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101811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52A KR101811250B1 (ko) 2017-02-15 2017-02-15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52A KR101811250B1 (ko) 2017-02-15 2017-02-15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91A true KR20170024591A (ko) 2017-03-07
KR101811250B1 KR101811250B1 (ko) 2018-01-15

Family

ID=5841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252A KR101811250B1 (ko) 2017-02-15 2017-02-15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2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299A (ko) 2018-05-14 2019-11-22 (주)커피위드 O2o 기반의 점포 경영 및 마케팅 방법
US11229005B2 (en) 2018-01-03 2022-01-18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aging location or camping lo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750B1 (ko) * 2021-07-20 2022-04-04 주식회사 모비젠 잠재적 고객의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420B1 (ko) 2013-08-14 2015-08-03 김경식 프리와이파이 서비스와 광고 및 공공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592406B1 (ko) 2014-10-23 2016-02-11 정현희 공간기반 커뮤니티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60065690A (ko) 2014-12-01 2016-06-09 대동산전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보안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420B1 (ko) 2013-08-14 2015-08-03 김경식 프리와이파이 서비스와 광고 및 공공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592406B1 (ko) 2014-10-23 2016-02-11 정현희 공간기반 커뮤니티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60065690A (ko) 2014-12-01 2016-06-09 대동산전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보안관제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9005B2 (en) 2018-01-03 2022-01-18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aging location or camping location
US11751164B2 (en) 2018-01-03 2023-09-05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aging location or camping location
KR20190130299A (ko) 2018-05-14 2019-11-22 (주)커피위드 O2o 기반의 점포 경영 및 마케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250B1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2193B1 (en) Vehicle beacon and method of use
US20240062239A1 (en) Location based consumer interface for retail environment
US11030599B2 (en) Smart beacon point of sale (POS) interface
US10462621B2 (en) Providing city services using mobile devices and a sensor network
US9204257B1 (en) Indoor and outdoor mapping and navigation utilizing RF bluetooth beacons
JP6865869B2 (ja) 行動ログ分析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01032B1 (ko)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5891468B1 (ja)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US11062258B2 (en) Automated logistics management using proximity events
KR101293146B1 (ko) 시간과 위치에 연동하는 버스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할 수 있는 광고권 판매 방법
US201001457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ime-and location-sensitive customer loyalty rewards program
US20140062687A1 (en) Interactive and direct transmission of data from signs and billboards
US20080040219A1 (en) Proximity-based wireless advertising system
KR101811250B1 (ko)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US20160110585A1 (en) Detecting an attentive user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on a display
US20180247330A1 (en) Location-based reward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ed retailers
JP2007293451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効果測定システム及び広告配信方法
Gammer et al. Disseminating real-time bus arrival information via QRcode tagged bus stops: a case study of user take-up and reaction in Southampton, UK
JP202206225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4462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836254B1 (ja) 商業施設における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マーケティング方法
KR101802703B1 (ko) 와이파이와 비콘을 이용한 주민 공공정보 전송 서비스 시스템
KR101391923B1 (ko) 노선별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노선별 광고 방법
JP2003208665A (ja) メタコマース・システム
JP702750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