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4530A - Air purifica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Bulgama - Google Patents

Air purifica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Bulgam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4530A
KR20170024530A KR1020160088794A KR20160088794A KR20170024530A KR 20170024530 A KR20170024530 A KR 20170024530A KR 1020160088794 A KR1020160088794 A KR 1020160088794A KR 20160088794 A KR20160088794 A KR 20160088794A KR 20170024530 A KR20170024530 A KR 20170024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main body
circulation pipe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3236B1 (en
Inventor
오동원
Original Assignee
오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원 filed Critical 오동원
Priority to KR1020160088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236B1/en
Publication of KR2017002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5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device for a hot sauna room having multiple filtering structures, comprising a body part (100), a purification and dust collection part (20), a circulation part (300), a spray part (400), a control part (500) and a hot sauna room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a hot sauna room, is cooled, purified several times and discharged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in the hot sauna room; when the device is installed in a large restaurant, efficient air purification is possible; maintenance is excellent through partial replacement; and overload of a return motor is prevented by controlling the return motor according to control of a control part, so economic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Air purifica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Bulgama} Description: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본 발명은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불가마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및 수회에 걸쳐 순차적으로 물이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완전히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대형식당에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 청소가 용이한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inhalation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urifying air, which comprises sucking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a bulldozer and sequentially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wa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inhalation which has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which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in a large restaurant and easily cleaned inside.

통상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정화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The air purifier is a device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room air and then supply the purified air to the room.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정화장치는 흡입된 공기를 필터를 이용하여 걸러낸 후 걸러진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흡입된 공기를 물을 이용하여 걸러낸 후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식이 있는데, 하나의 방식으로만 할 경우 제대로 된 필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generally used air purifying device has a method of filtering the sucked air by using a filte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filtering the sucked air by using water, and discharging the air. There is a problem that a proper filter can not be achieved.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First of all,

출원번호 10-1994-0011708 (특) 흡입구로부터의 혼탁한 실내의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로부터의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 및 냄새를 제거하는 제1공기 정화 수단과, 상기 제1공기 정화 수단에 의해 정화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등을 제거하여 상 배출구로 배출하는 제2공기 정화 수단과, 상기 제1공기 정화 수단과 상기 제2공기 정화 수단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구동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 구동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흡입·배출 수단과, 가습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살균 가습된 가습 공기를 발생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하는 가습공기 발생수단과, 상기 실내의 습도율을 감지하여 습도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미리 설정된 기준 습도율과 상기 습도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감지된 습도율과 상기 설정된 습도율의 차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습도율의 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오차를 넘을 때 상기 가습공기 발생수단에 가습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sucking and purifying air in a turbid room from an inlet and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 discharge port. The air purifier includes a first air purifier for removing impurities and odors contained in air from the inlet, A second air purifying means for remov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purified by the first air purifying means and discharging the fine dust and the like to the upper discharge port; and a second air purifying means for purifying the first air purifying means and the second air purifying means A suction / discharge unit that is drive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drive control signal to discharge air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and a humidifying / dehumidifying unit that generates sterilizing / humidifying humidified air in response to input of a humidification control signal,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a humidity rate of the room and outputting a humidity sensing signal; A humidifying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humidifying air generating mean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tracted humidity ratios exceeds a predetermined tolerance by comparing the detected humidity ratio and the set humidity ratio,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등록번호 10-1296799(특) 외형을 형성하며, 이물질이 포함된 오염공기가 공급되는 공간과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 정화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모터; 상기 흡입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축방향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의 하방에 구비되며, 외부로 부터 공급받은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 상기 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워터탱크의 물을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팬 내측의 상기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재; 상기 흡입팬의 외측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흡입팬의 외측면과 케이스 사이를 구획하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분산부재; 상기 흡입팬과 상기 워터탱크의 사이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측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낙하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물은 상기 워터탱크로 배수되도록 하는 슬러지 트레이; 상기 슬러지 트레이의 상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상기 흡입부와 연결부에 연통되는 공간으로 각각 좌우로 구획하여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낙하되고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가 우회하여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획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10-1296799 (especially) a suction unit for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connected to a space to which polluted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is supplied, for sucking in air,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air- ; A suction motor provided inside the case; A suction fan which is rotated by the suction motor,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in which a blade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discharg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water tank provided below the suction fan and storing water supplied from outside; A pump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e for lift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member connected to the pump and supplying water to the space inside the suction fan; A dispersing member partitio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ction fan and the cas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ction fan, wherei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 sludge tray provided between the suction fan and the water tank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t least one side thereof to filter foreign materials falling down and drain water to the water tank; The sludge tray is divided into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the inside of the case being separated from the sludge tray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so that the foreign matter falls down due to its own weight and is guided so that air separated from foreign matter can be bypas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n air purifying apparatus.

등록번호 10-0633527(특)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냉난방설비를 이루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설치되되 물을 저장하며 상하로 관통된 여러 개의 물배출공이 형성된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공기정화를 위한 물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펌프가 설치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받이에서 낙하된 물을 저장하도록 상하로 여러 개가 설치된 하부 물받이 및, 상기 하부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연결되고 개폐밸브가 설치된 물배수관을 포함하는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10-0633527 (EN) An air purifier for removing dust and oth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indoor air to supply purified air to the interior of the room, the air purifier comprising: an evaporator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er;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supply water for purifying the air to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ing hole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 lower water receiv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water receiving units for storing water dropped from the water receiving unit; And a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discharge the water stored in the lower water receptacle to the outside and equipped with an on-off valve, the air purifier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using water.

공개번호 10-2014-0046151 (특)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물에 의해 공기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로서, 사각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 및 상기 케이스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구 내 측면에 1차 오염원을 걸러주기 위해 구비되는 필터; 상기 케이스 내부에 물을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분리판; 및 상기 분리판 중앙에 형성되는 물 배출구; 를 포함하는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Open No. 10-2014-0046151 (particularly) An air purifier for sucking outside air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air by water, comprising: a case having a rectangular box shape; An air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And an air outle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A filter provided to filter a primary contamina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inlet; A separation plate provided to discharge water into the case; And a water outle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parator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water.

상기한 종래 기술들을 보면, 물 또는 필터를 단독적으로 구성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시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완전히 걸러내기 어려운 구조일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제조단가가 높아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In the prior arts described above, water or a filter is solely configured to suck and purify after sucking outside air. However, such a structure is not only a structure in which foreign matter contained in outside air is difficult to completely filt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due to the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the economic efficiency is low.

또한, 구체적으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외부로 배출되는 지에 대한 방법을 설명하고 있지 않다. Further, specifically, there is no description on how the external air is sucked in, how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킴과 동시에 불가마로부터 고온의 공기를 흡입하며 냉각 및 다수에 걸친 필터링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완전히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대형식당에 설치 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를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hich continuously circulates water and sucks in high-temperature air from the air purifier, and allows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be completely purified and discharged through cooling and filtering over a large numb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 technical problem of an air purifier for inhal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capable of creating an environ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외부 일측과 타측에 흡입구(110)와 배출구(120)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150)가 구성되며 하부에는 연장되는 지지다리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이동하는 물(w)과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정화집진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내부에 물(w)과 공기를 정화시켜 분사부(400)로 이동시키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물(w)을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리턴모터(310)와, 각각의 상기 리턴모터(310)와 연결되는 각각의 제1순환파이프(321)가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순환파이프(321)의 끝부와 연결되는 제2순환파이프(323)가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필터(3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부(400)와 연결되는 각각의 제3순환파이프(325)가 구성되고, 상기 순환파이프(320)의 사이에 이동하는 물(w)을 필터링 하는 다수의 필터(330)로 구성되는 순환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상기 순환파이프(320)와 연결되어 필터링 된 물을 분사하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다수의 분사노즐(410)이 설치되는 분사부(400);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턴모터(310)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되, 설정에 따라 작동중인 리턴모터(31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다른 하나의 리턴모터(31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500); 로 구성되는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파이프(320)에는 제2순환파이프(323)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부로 이어지며 끝부가 흡입구(110)와 연결되는 낙하파이프(329)가 구성되고,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성되되, 일측이 상기 흡입구(110)와 연결되며 내부 일측에는 고온의 공기가 공기정화장치 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흡입구(110) 측 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에어커튼(610)이 구성되는 불가마(600)가 연결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코자 하였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uction port 110 and a discharge port 120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a lid 150 selectively openable and closab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support leg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 main body 100; A purifying dust collecting part 200 configured to purify water and air moving inside the body part 100; A plurality of water ws and air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0 to move the water w and air to the spray part 400 and suck and move the water w in the main body part 100 And a second circulation pipe 321 connected to each of the return motors 310. The first circulation pipe 32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321, A third circulation pipe 325 is formed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lter 3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400, And a plurality of filters (330) for filtering the water (w) moving in the circulation part (300). A spraying part 400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320 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spraying filtered wa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praying nozzles 4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0; A control unit 500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and individually operate the return motor 310 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return motor 310 in opera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return motor 310 according to the setting, ; The circulation pipe 3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irculation pipe 323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irculation pipe 323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10. The air- 329, and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high temperature air is not moved to the side of the air purifier, The air curtain 61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airbag 600 to the airbag 600, and the air curtain 610 is connected to the airbag 600. [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에 의하면, 공기정화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불가마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냉각 및 수회에 걸쳐 정화시켜 배출함으로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고, 대형식당에 설치 시 효율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하고, 부분적인 교체를 통한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리턴모터를 제어함으로써 리턴모터의 과부하방지를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for inhal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can maintain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ir purifier while maintaining a simple structure and purifying the high 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inhaler, The air conditioner can be efficiently cleaned when installed in a large dining room and has an excellent effect in maintenance through partial replacement.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eturn mo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through prevention of overloa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정화집진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sectio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eferred purifying dust collec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injec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불가마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흡입하되, 수회에 걸쳐 순차적으로 물이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완전히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대형식당에 설치 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 청소가 용이한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를 구성하며,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본체부(100), 정화집진부(200), 순환부(300), 분사부(400), 제어부(500) 및 불가마(600)로 대분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suck up the high 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inhaler and filter th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water sequentially through a plurality of times so as to discharge the completely purified air, so that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comfortably installed in a large restaurant The air purify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100, a purifying dust collecting part 200, a circulating part 300, and a dust collecting part 300. The air purify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100, An injection unit 400, a control unit 500, and a vigilance unit 600.

①본체부(100) (1)

상기 본체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물(w)이 담수 될 수 있는 공간부(101)를 가지며 상부 일측에 실질적으로 외부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2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10)는 불가마의 고온의 공기가 배출되는 일측과 통상의 파이프 및 배관 등을 연결 구성하여 뜨거운 공기를 인입시켜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1 to 4, the main body 100 has a space portion 101 in which water (water) can be dewatered. The main body 100 has a suction port 110 for sucking outside air substantially at one sid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12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Here, the suction port 110 is configured to connect one side of the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 port with a normal pipe and a pipe to allow hot air to be drawn in and cooled.

공기정화장치를 대형식당과 같은 곳의 실내에 위치시켜 상기한 불가마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뜨거운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The air purifier is placed in a room such as a large dining room, and the above-mentioned bulgari is directly connected so that hot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discharged into the room.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일측에는 최초 물(w)을 급수할 수 있는 급수부(130)가 구성되고, 타측에 상기 급수부(13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수구(140)가 구성되는데, 상기 급수부(130)의 경우 통상의 물을 급수하는 급수원과 연결 되어 본체부(100)의 공간부(101) 상에 물(w)을 급수할 수 있기 위한 구성이며 바람직하게는 급수부(130)가 본체부(100)의 전면 중앙부 보다 높은 위치에 연결된다. A water outlet 13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o supply the water w and a drain 140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water outlet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ase of the water supply unit 130, the water supply unit 130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pace portion 101 of the main body 100, The water supply part 130 is connect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front cent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00.

한편, 상기 배수구(140)의 경우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담수된 물(w)을 하기될 순환부(300)에 의해 지속적인 순환이 이루어질 경우 불가마의 고온의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시 수많은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 등 상기 물(w)의 배수 시켜 내부 청소 및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140)의 경우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구성되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rainage port 140, when water (W) dewater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s continuously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unit 300 to be used, It is possible to clean the inside of the water w by draining the water w and to make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pleasant. Here, the drain 14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but may be located below the drain 140.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150)가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구(110)와 배출구(120)의 사이 즉, 상측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하기될 정화집진부(200)를 삽입시켜 구성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덮여지는 구조 또는 본체부(100)의 상부 일측과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cover 150 selectively openable and closable between the suction port 110 and the discharge port 120. In other words, A structure in which the purge dust collecting unit 200 to be inserted therein can be selectively inserted, or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is hingedly coupl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can be rotated.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하기될 순환부(300)의 리턴모터(310)가 안전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하부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다리(부호없음)가 각각 형성된다. A support leg (not shown)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return motor 310 of the circulation unit 300 can be safely disposed.

또한, 전면에는 본체부(100)의 공간부(101)에 물의 흐르는 양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유량계(160)가 구성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토록 하였다. In addition, a flow meter 16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in order to check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 the space 101 of the main body 100 in real time.

②정화집진부(200) (2) The purifying dust collector 200

상기 정화집진부(2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이동하는 물(w)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230)가 구성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걸림턱(23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30)의 매쉬망(210)이 안착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부직포(220)가 구성된다. 3 to 6, the purifying dust collecting unit 200 includes a filter 230 for purifying water and air moving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more particularly, A hook 2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a mesh net 210 of the hook 230 is seated and a nonwoven fabric 220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do.

상기 걸림턱(230)의 경우 매쉬방(210)이 덮개(150)를 통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In the case of the latching jaws 230, the mesh chamber 21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lid 150 and be seated thereon. The latching protrusion 230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than one and may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n each side.

여기서, 매쉬망(210)은 하나의 일체형 형태로 내부에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하기될 분사부(400)를 통해 분사된 물(w)이 매쉬망(210)과 마찰이 일어나도록 하여 물(w)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상기 부직포(230)의 경우 매쉬망(210)을 통해 이동되는 물(w)을 한번 더 필터링 하도록 하여 공간부(101)의 하부에는 항상 정화된 물(w)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mesh net 210 is formed as a single integral shape, and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are formed therein, so that the water w sprayed through the jetting unit 400 to be made friction with the mesh net 210, w in the case of the nonwoven fabric 230 is filtered once by the water w moved through the mesh net 210 so that purified water w) can be positioned.

즉, 상기 부직포(230)를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물(w)은 완전히 정화되지 않은 물(w)이고 하부에 위치되는 물(w)은 완전히 정화된 물(w)로서 하기될 순환파이프(320)를 통해 완전히 정화된 물(w)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최초,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 및 열을 포함하는 공기와 마찰을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냉각과 정화가 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water w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onwoven fabric 230 is water W which is not completely purified, and the water W located below the water is a completely purified water w, The water W can be continuously circulated through the inlet port 110 and the inlet port 110 so that friction between the inlet port 110 and the air including the foreign substance and heat can be generated. It is.

또한, 상기 매쉬방(210)은 일체형으로 구성 또는 분할된 형태로 구성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분할된 형태로 이등분으로 도시하였다. In addition, the mesh room 210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l type or a divided type, and is divided into two halves in the present invention.

③순환부(300) (3)

상기 순환부(300)는 도 1, 2, 4, 7, 8, 9 ,10, 1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에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공간부(101)에 담수된 물(w)을 흡입하여 순환파이프(320)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리턴모터(310)가 구성되고, 일측에 상기 리턴모터(310)와 연결되고 타측에 본체부(100)의 일측과 연결되되 끝부가 하기될 분사부(400)와 연결되어 상기 리턴모터(310)에 의해 이동되는 물(w)을 상기 분사부(400)로 이동시키는 순환파이프(320)가 구성되고, 상기 순환파이프(320)의 사이에는 이동하는 물(w)을 필터링 하는 다수의 필터(330)가 구성된다. 1, 2, 4, 7, 8, 9, 10, 11 and 12, the circulation part 30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A plurality of return motors 310 which are located in the space 101 and suck the water w taken out from the space 101 and move the circulated pipe 320 to the circulation pipe 320. The return motor 310 is connected to the return motor 310 at one side, A circulation pipe 4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connected to an injection part 400 to be an end part to move the water w moved by the return motor 310 to the injection part 400 And a plurality of filters 330 for filtering the moving water w are formed between the circulation pipes 320.

즉, 상기 순환부(300)는 리턴모터(310)를 통해 공간부(101)에 담수된 물(w)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되, 다수의 필터(330)를 통해 물(w)을 정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circulation unit 300 continuously circulates the water w despooled in the space 101 through the return motor 310, and can purify the water w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330 It will be.

상기 리턴모터(310)의 경우 하기될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지 않고 각각 별도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리턴모터(310)가 두 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장치의 과부하 및 기타 설치 조건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return motor 310 is not operat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and operates separate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urn motor 310 is composed of two units. And other installation conditions.

상기 순환파이프(320)는 각각의 상기 리턴모터(310)와 연결되는 각각의 제1순환파이프(321)가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순환파이프(321)의 끝부와 연결되는 제2순환파이프(323)가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필터(3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부(400)와 연결되는 각각의 제3순환파이프(325)가 구성되되, 상기 제3순환파이프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양측으로 각각 구성되어 하기될 분사부(400)에 각각 물(w)을 이동시키게 된다. The circulation pipe 320 includes a first circulation pipe 321 connected to each of the return motors 310 and a second circulation pipe 321 connected to an end of each first circulation pipe 321, And the third circulation pipe 325 is connected to the filter 3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jetting unit 400. The third circulation pipe 325 is connected to the filter 330, The water w is moved to the jetting unit 400,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unit 100,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제1순환파이프(321)의 일측에는 하기될 제어부(500)에 의해 하나의 리턴모터(310)를 통해 물(w)을 순환시킬 시 다른 하나의 리턴모터(310) 측 방향으로 물(w)이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밸브(327)가 각각 구성되어, 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w is circulated through the one return motor 310 by the control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on one side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321, the backflow prevention valve 327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ackflow prevention valve 32 from flowing backward,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and malfunction of the device.

즉, 상기 순환부(300)는 제어부(500)에 의해 하나의 리턴모터(310)를 제어되어 물(w)을 이동시키게 되고, 제1순환파이프(321), 제2순환파이프(323), 필터(330) 및 제3순환파이프(325)를 거쳐 최종적으로 분사부(400)로 필터링 된 물(w)을 이동시키는 지속적인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뜨거운 공기의 열을 냉각시키는 역할 및 그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w)에 포함되며 이동시키되 필터링 시켜 정화된 물(w)을 분사하고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가 있다. That is, the circulation unit 300 controls the return motor 310 by the control unit 500 to move the water w, and the first circulation pipe 321, the second circulation pipe 323, The filter 330 and the third circulation pipe 325 and finally the filtered water W is moved to the jetting unit 400. The hot wat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The function of cooling the heat of the air an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are included in the water w, and the purified water W is discharged by being moved and filtered to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outside.

이러한 순환부(300)의 구성은 정화장치를 실내에 설치 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20)가 외부로 통하는 별도의 배관과 연결 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lation unit 300 can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when the purifier is installed in a room, and can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when connected to a separate pipe through which the discharge port 12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제1,2순환파이프(321, 323)의 사이에는 배수밸브(328)가 구성되는데, 본체부(100)에 구성되는 배수구(140)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본체부(100)의 공간부(101) 상에 오랜 사용 후 물(w)을 배출시켜 청소에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배수밸브(328)는 리턴모터(310)에 의해 내부의 물(w)을 흡입하여 제1순환파이프(321)를 거쳐 제2순환파이프(323) 측으로 이동을 차단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drain valve 328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irculation pipes 321 and 323. The drain valve 328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drain hole 14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discharge water (W) after long use on the washing machine (101), thereby ensuring easiness of cleaning. That is, the drain valve 328 sucks the water w by the return motor 310, blocks the movement to the second circulation pipe 323 via the first circulation pipe 321, .

또한, 상기 제2순환파이프(323)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부로 이어지며 끝부가 흡입구와 연결되는 낙하파이프(329)가 구성되어, 최초 흡입구(110)를 통해 인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불가마의 고온의 공기를 물(w)과 마찰 시켜 냉각과 정화를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낙하파이프(329)는 하기될 분사부(400)와 더불어 완전히 정화된 물(w)을 순환파이프(300)를 통해 이동되어 물(w)을 분사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a drop pipe 329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irculation pipe 323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is formed, and the high temperature The air of the water can be cooled and purified by friction with the water w. The downfalling pipe 329 moves the purified water w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300 to spray the water w together with the jetting part 400 to be described below.

④분사부(400) ④ Injection section (400)

상기 분사부(400)는 도 3, 4, 9, 11,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상기 순환파이프(320)와 연결되어 필터링 된 물(w)을 정화진집부(200)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410)로 구성되는데, 상기 분사부(400)가 본체부(100)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되 다수의 분사노즐(410)을 통해 정화된 물(w)을 한 번에 많은 양을 집중적으로 분사토록 하여 신속한 물(w)의 정화와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3, 4, 9, 11, 12, and 13, the jetting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320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o filter the filtered water w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410 for spray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purifier block 200. The spraying part 4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410, w) to be sprayed in a large amount at a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rapidly purify water (w) and cool the air.

또한, 상기 분사노즐(410)의 경우 도시하진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여, 지속적인 사용 시 분사노즐(410)의 막힘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시 하나의 분사노즐(41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통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injection nozzle 410, although not shown, the nozzle may be partly joined and separated so that when a problem such as clogging of the injection nozzle 410 occurs during continuous use, only one injection nozzle 410 is replac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conomic efficiency through the excellent effect on the maintenance.

⑤제어부(500) (5)

상기 제어부(5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00)에 구성되는 각각의 구성들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리턴모터(310)를 제어할 시 다른 하나의 모터를 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러한 제어부(500)로 인해 리턴모터(310)의 과부하를 방지토록 함은 물론, 하나의 리턴모터(310)를 작동 시 다른 하나의 리턴모터(310)를 정지시키되, 정지된 리턴모터(310)와 연결된 제1순환파이프(321)에 구성되는 역류방지밸브(327)를 닫도록 제어하여 이동되는 물(w)이 제2순환파이프(323)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필터(330)를 거쳐 분사부(4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13, 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main body 100, which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13, The control unit 500 can prevent the overload of the return motor 310 and the operation of the return motor 310 by operating the return motor 310. [ The flow of water W to be moved is controlled so as to close the other check valve 327 constituting the first circulation pipe 321 connected to the stopped return motor 310 by stopping the other return motor 310 The second circulation pipe 323 and the filter 330 so as to be able to be moved to the jetting unit 400.

⑥불가마(600) ⑥ Bulma (600)

상기 불가마(6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의 일측에 위치되되 내부에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어 공기정화장치의 흡입구(110)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연결 구성되어, 불가마(600)를 사용 시 내부에 뜨거워진 공기가 배출되되, 공기정화장치를 통해 냉각과 정화가 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bulldozer 60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as shown in FIG. 14, and hot air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air purifier 600 to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110 of the air purifier, ), The hot air in the inside is discharged, and the air can be cooled and purified through the air purifying devic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불가마(600)는 통상적으로 대형 식당에 설치되어 사용되기 마련이고 이러한 불가마(60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그대로 배출될 시 실내 환경을 파괴함과 더불어 뜨거운 공기로 인해 고객들로 하여금 불쾌감을 조성할 수가 있게 된다. The bulldozer 600 is usually installed in a large restaurant. When the hot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discharged from the bulldozer 6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indoor environment is destroy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n unpleasant feeling.

이러한 상기 불가마(600)를 공기정화장치와 연결 구성하게 되면 자연스레 이물질을 걸러내며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시킬 수가 있게 된다. When the bulldozer 600 is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the air can be naturally filtered out and the cool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여기서, 상기 불가마(600)의 내부 일측에는 내부에서 작업 시 고온의 공기가 작업자의 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배출구(부호없음)로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에어커튼(610)이 구성되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에어커튼(610)을 통해 신속하게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어 공기정화장치의 흡입구(110) 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냉각 및 정화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air curtain 6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bulldozer 600 so that the high-temperature air is not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operator during operation, So that convenience can be achieved. That is, hot air can be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air curtain 610 and moved toward the suction port 110 side of the air purifying device to be cooled and purifi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를 설명하면, 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불가마로부터 흡입된 뜨거운 공기를 냉각시킴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물(w)에 포함된 이물질을 수회에 걸쳐 필터링 시킴으로써,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 시에는 이물질이 걸러내어지며 냉각과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부(500)의 제어에 따라 장치의 과부하를 방지토록 할 수 있고,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통하여 쾌적한 환경 조성이 가능한 획기적인 발명이다. By cooling the hot air sucked from the bulguma and filtering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ntinuously circulating water (w) several times,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when the inhal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cooled and purified ai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and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에 의하면, 공기정화장치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불가마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냉각 및 수회에 걸쳐 정화시켜 배출함으로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고, 대형식당에 설치 시 효율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하고, 부분적인 교체를 통한 유지보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짐과 더불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리턴모터를 제어함으로써 리턴모터의 과부하방지를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for inhaler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can maintain the original purpose of the air purifier while maintaining a simple structure and purifying the high 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inhaler, The air conditioner can be efficiently cleaned when installed in a large dining room and has an excellent effect in maintenance through partial replacement.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eturn mo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through prevention of overload.

100 : 본체부 101 : 공간부
110 : 흡입구 120 : 배출구 130 : 급수부
140 : 배수구 150 : 덮개 160 : 유량계
200 : 정화집진부 210 : 필터 220 : 부직포
230 : 걸림턱
300 : 순환부 310 : 리턴모터
320 : 순환파이프 321 : 제1순환파이프 323 : 제2순환파이프
325 : 제3순환파이프 327 : 역류방지밸브 328 : 배수밸브
329 : 낙하파이프 330 : 필터
400 : 분사부 410 : 분사노즐
500 : 제어부 600 : 불가마 610 : 에어커튼
w : 물
100: main body 101:
110: inlet port 120: outlet port 130:
140: Drain 150: Cover 160: Flow meter
200: Purification dust collector 210: Filter 220: Nonwoven fabric
230: jaws
300: circulation unit 310: return motor
320: circulation pipe 321: first circulation pipe 323: second circulation pipe
325: third circulation pipe 327: check valve 328: drain valve
329: Falling pipe 330: Filter
400: jetting part 410: jetting nozzle
500: Control unit 600: Bulma 610: Air curtain
w: water

Claims (4)

외부 일측과 타측에 흡입구(110)와 배출구(120)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덮개(150)가 구성되며 하부에는 연장되는 지지다리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이동하는 물(w)과 공기를 정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정화집진부(200);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내부에 물(w)과 공기를 정화시켜 분사부(400)로 이동시키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물(w)을 흡입하여 이동시키는 다수의 리턴모터(310)와, 각각의 상기 리턴모터(310)와 연결되는 각각의 제1순환파이프(321)가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순환파이프(321)의 끝부와 연결되는 제2순환파이프(323)가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필터(3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부(400)와 연결되는 각각의 제3순환파이프(325)가 구성되고, 상기 순환파이프(320)의 사이에 이동하는 물(w)을 필터링 하는 다수의 필터(330)로 구성되는 순환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상기 순환파이프(320)와 연결되어 필터링 된 물을 분사하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다수의 분사노즐(410)이 설치되는 분사부(400);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리턴모터(310)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되, 설정에 따라 작동중인 리턴모터(31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다른 하나의 리턴모터(31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부(500); 로 구성되는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순환파이프(320)에는 제2순환파이프(323)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부로 이어지며 끝부가 흡입구(110)와 연결되는 낙하파이프(329)가 구성되고,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일측에 이격되게 구성되되, 일측이 상기 흡입구(110)와 연결되며 내부 일측에는 고온의 공기가 공기정화장치 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기 흡입구(110) 측 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에어커튼(610)이 구성되는 불가마(600)가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
A main body 100 having a suction port 110 and a discharge port 120 at one side and an outlet 120 at the other side, a cover 150 selectively openable and closable, and a support leg extending downwardly therefrom; A purifying dust collecting part 200 configured to purify water and air moving inside the body part 100; A plurality of water ws and air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0 to move the water w and air to the spray part 400 and suck and move the water w in the main body part 100 And a second circulation pipe 321 connected to each of the return motors 310. The first circulation pipe 32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circulation pipe 321, A third circulation pipe 325 is formed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lter 33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unit 400. The third circulation pipe 325 is formed between the circulation pipe 320, And a plurality of filters (330) for filtering the water (w) moving in the circulation part (300). A spraying part 400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320 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spraying filtered wa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spraying nozzles 4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0; A control unit 500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and individually operate the return motor 310 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return motor 310 in opera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return motor 310 according to the setting, ; In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filtering structures,
The circulation pipe 3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irculation pipe 323 and has a drop pipe 329 connected to the upper end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10 at the end,
The air purifier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110, and hot air is not moved toward the air purifier at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 bulging device (600) constituting the air curtain (610) is connected and configur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집진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230)에 안착되는 매쉬망(210)과,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성되는 부직포(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rifying dust collecting unit (200)
A mesh network 210 which is seated on a latch 2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nonwoven fabric (22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순환파이프(321, 323)의 사이에는 배수밸브(328)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rain valve (328)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irculation pipes (321, 3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는,
일측에는 본체부(100)의 내부로 물(w)을 급수할 수 있는 급수부(130)와,
타측에 상기 급수부(13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수구(1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갖는 불가마용 공기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100,
A water supply unit 130 for supplying water W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drain port (140)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unit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unit (130).
KR1020160088794A 2016-07-13 2016-07-13 One Bulgama an air purifier KR101743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94A KR101743236B1 (en) 2016-07-13 2016-07-13 One Bulgama an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794A KR101743236B1 (en) 2016-07-13 2016-07-13 One Bulgama an air purifi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592 Division 201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530A true KR20170024530A (en) 2017-03-07
KR101743236B1 KR101743236B1 (en) 2017-06-05

Family

ID=5841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794A KR101743236B1 (en) 2016-07-13 2016-07-13 One Bulgama an ai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2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6052A (en) * 2017-11-08 2018-03-13 李文来 It is a kind of can fixed time cleaning indoor air-purific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6052A (en) * 2017-11-08 2018-03-13 李文来 It is a kind of can fixed time cleaning indoor air-purif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236B1 (en)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761B1 (en) air cleaner
JP6899847B2 (en) Humidification module for air treatment equipment
KR101628076B1 (en) a dust clearing device
KR100934316B1 (en) Household dehumidifier wi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0836021B1 (en) An air conditione for an elevator
KR100482926B1 (en) Washer type air conditioner device
KR101752965B1 (en) The filtration method of bad smell and fine dust and thereof device
KR101296799B1 (en) Wet type dust collector for air purifying apparatus
CN106225119A (en) A kind of water-washing type air purification aeration device
KR100589788B1 (en) Water washing type air cleaner
KR20160024507A (en) Air cleaning system
CN205991575U (en) A kind of water-washing type air purification aeration device
KR101743236B1 (en) One Bulgama an air purifier
KR101667951B1 (en) Multi-purpose air purifier
KR20080104482A (en) Air purifier by water cleaned
KR101597324B1 (en) Air-conditioner
CN113260444B (en) Air purifying device
KR20190001334A (en) Humidification air purifier that can perform both one of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US6840987B1 (en) Air filtering apparatus
KR102110122B1 (en) Air cleaner
KR100640733B1 (en) Suction type liquid air-cleaner
KR102106596B1 (en) Air cleaner
KR20080021155A (en) Kitchen aspirator and air cleaner with wet filter system
KR20160111844A (en) Multi-purpose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a dual filter structure
KR102242149B1 (en) 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