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793A - Working vehicle - Google Patents

Working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793A
KR20170023793A KR1020167031322A KR20167031322A KR20170023793A KR 20170023793 A KR20170023793 A KR 20170023793A KR 1020167031322 A KR1020167031322 A KR 1020167031322A KR 20167031322 A KR20167031322 A KR 20167031322A KR 20170023793 A KR20170023793 A KR 2017002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frame
side door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이치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Abstract

캐빈의 좌우측부에 설치한 1매 유리제 등의 수평 회동식의 사이드 도어의 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은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한다.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캐빈(7)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를 갖는다. 사이드 도어(323)의 내면측에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401)을 배치한다. 보강 프레임(401)은 사이드 도어(323)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402)와, 세로 프레임부(402)의 상단측으로부터 사이드 도어(323)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403)와, 세로 프레임부(402)의 하단측으로부터 사이드 도어(323)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를 갖는다.And to improve the rigidity of a horizontally sliding type side door such as a one piece glass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abin. The working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bin (7) which covers a steering seat (8) on a traveling vehicle (2). The cabin 7 has a cabin frame 300 constituting a frame and a side door 323 closing the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cabin 7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 C-shaped reinforcing frame 401 i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ide door 323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re the strength of the side door 323 is increased. The reinforcing frame 401 includes a vertical frame portion 402 extending along the rear edge side of the side door 323 and a lower frame portion 402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402 along the upper edge side of the side door 323 And a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extending forward to divid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door 323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402. [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Working vehicle {WORKING VEHICLE}

본원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작업용의 휠로더라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ing vehicle called a tractor for agricultural work or a wheel loader for civil works.

종래, 농업용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은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등 참조).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캐빈 프레임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를 갖고 있다. 캐빈 프레임은 지주(필러)나 빔부재(빔)를 조합한 소위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지주 및 빔부재에 의해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Conventionally, a working vehicle such as an agricultural tractor has a cabin that covers a steering seat on a traveling vehicl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and 2, etc.). The cabi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has a cabin frame constituting a frame structure and a roof structu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 frame. The cabin frame has a so-called frame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filler) or a beam member (beam) is combined, and a rigidity is secured by a support and a beam member.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 58-171715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8-171715 일본 특허공개 2002-6765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67657 일본 특허공개 2004-25703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57036

이 종류의 캐빈이 부착된 작업 차량에서는 캐빈의 좌우측부에 수평 회동식의 사이드 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는 시계 확보를 위해서 1매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사이드 도어에는 이것을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와,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를 직접적으로 부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도어의 지지 하중이나 개폐 시의 충격 하중 등이 상하 양쪽 힌지나 도어록 부재와의 연결부에 집중하여 사이드 도어가 비틀리거나 파손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In a working vehicle with this type of cabin, a horizontal turning type side door is provided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abin. Side doors are often made of a piece of glass to secure the watch. In the side door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a door lock member for switching the lock door to a lock state and a lock release state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hinges for connecting the side door to the cabin frame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are directly attached.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ossibility that the support load of the side door or the impact load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are concentra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hinges and the door lock member, and the side door may be twisted or broken.

또한, 종래의 도어록 부재는 사이드 도어의 전방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캐빈으로부터 내릴 때에는 조종 좌석으로부터 일어서서 도어록 부재의 실내 레버를 해제 조작하고나서 사이드 도어를 밀어서 연다는 동작을 하지 않으면 안되어 사이드 도어의 개방 조작성의 점을 감안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door lock member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door, when the operator moves down from the cabin, he must stand up from the steering seat and release the indoor lever of the door lock member and then push and open the side door.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view of operability.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상황을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provides a working vehicle in which improvements are made.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상기 캐빈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면측으로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도어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ing vehicle having a cabin for covering a steering seat on a traveling vehicle, the cabin including a cabin frame constituting a frame and a side door for closing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abin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Wherein a reinforcing frame having a C shape is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so a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ide door and the reinforcing frame has a vertical fram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rear edge side of the side door, An upper horizontal frame portion extending forwardly along the upper edge side of the side door and a lower lateral frame portion extending forwardly so as to divid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door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와, 상기 캐빈 프레임에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에 상기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다는 것이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further comprising: a door lock member for switching the side door to a locked state and a lock released state; And the reinforcing frame is connected.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 중 상기 조종 좌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 손으로 쥠으로써 상기 도어록 부재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를 설치하고 있다는 것이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lower horizontal frame portions, a grip portion for switching the door lock member in the unlocking direction by manually pressing the portion of the operator seat, It is said that the sieve is installed.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빈 프레임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와, 상기 힌지 스테이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를 갖고, 상기 힌지 스테이에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부착하고 있다는 것이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the hinge includes a hinge for connecting the side door to the cabin frame so that the sid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a hinge cover pivotally pivotally mounted on the hinge stay. The hinge stay is provided with a stopper member that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hinge cover and restricts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힌지 스테이에 나사 삽입하는 스토퍼 볼트이며, 상기 스토퍼 볼트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힌지 커버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조절한다는 것이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member is a stopper bolt for screwing the stopper member into the hinge stay, and changes the contact position with the hinge cover by adjusting the screw-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is controlled.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원발명에 의하면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상기 캐빈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면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도어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부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캐빈측방의 시계를 확보하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을 상기 사이드 도어 자체의 강도 멤버에 이용하여 1매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를 상기 캐빈 승강 시의 난간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ing vehicle having a cabin for covering a steering seat on a traveling vehicle, the cabin including a cabin frame constituting a frame and a side door for closing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abin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A reinforcing frame having a C shape i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ide frame so as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ide door and the reinforcing frame has a vertical fram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rear edge side of the side door, And a lower lateral frame portion extending forward so as to divid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door from a lower end side of the longitudinal frame portion. Therefore, the upper side of the side door And the reinforcing frame It i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side door, which is often composed of one piece of glass by using the reinforcing frame as a strength member of the side door itself while securing a clock on the side of the cabin. Further, the lower transverse frame portion can be used as a railing at the tim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cabin.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도어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와, 상기 캐빈 프레임에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에 상기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도어록 부재 및 상기 상하 한쌍의 힌지와 상기 보강 프레임에 의해 상기 사이드 도어를 협지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도어에 대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을 간단하며 또한 고강도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조립 작업의 용이화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2, since the door frame member for switching the side door to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and the reinforcing frame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airs of hinges that openably and closably connect the side door to the cabin frame, The side door can be sandwiched by the door lock member, the upper and lower pairs of hinges and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reinforcing frame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door with simple and high strength. Therefore, the assembly work of the side door can be facilit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 중 상기 조종 좌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 손으로 쥠으로써 상기 도어록 부재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상기 조종 좌석에 착좌한 채,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체째 상기 그립체를 쥔다는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도어록 부재를 록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개방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since the grip body for switch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member in the unlocking direction is provided by manually pressing the hand side of the operator seated on the steering seat among the lower side horizontal frame parts, The door lock member can be unlocked only by a very simple operation of gripping the grip body, for example, in the frame body while sitting on the steered seat, so that the operability of opening the side door can be improved.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빈 프레임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와, 상기 힌지 스테이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를 갖고, 상기 힌지 스테이에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힌지 스테이에 부착하는 상기 스토퍼 부재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만으로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의 규제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비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어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 frame including a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de door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with respect to the cabin frame, wherein the hinge comprises a hinge stay provided on the cabin frame, a hinge stay pivotally rotatable on the hinge stay, The hinge stay is provided with a stopper memb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hinge cover and restricts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so that only the stopper member attached to the hinge stay is used, The regulation of the maximum opening angle can be achieved. Therefore, it can be manufactured at a lower cost tha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힌지 스테이에 나사 삽입하는 스토퍼 볼트이며, 상기 스토퍼 볼트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힌지 커버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의 조절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member is a stopper bolt for screwing the hinge stay into the hinge stay. By adjusting the screw insertion amount of the stopper bolt, the contact position with the hinge cover is changed to adjust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The adjustment of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can be performed very simply.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트랙터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은 주행기체의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주행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주행기체를 좌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기체의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주행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주행기체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캐빈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캐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캐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캐빈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캐빈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캐빈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캐빈 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캐빈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9은 캐빈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캐빈 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캐빈 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캐빈 프레임을 좌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3은 캐빈 프레임을 좌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좌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캐빈의 방진 지지 구조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우측 전방 지주 및 전방측 빔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우측 후방 지주 및 후방측 빔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8은 지붕체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이너 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a)는 전방측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0(b)는 후방측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0(c)는 우측방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0(d)는 좌측방 빔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1(a)는 전방측 빔부재, 좌측방 빔부재 및 좌측 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1(b)는 전방측 빔부재, 우측방 빔부재 및 우측 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2(a)는 후방측 빔부재, 좌측방 빔부재 및 좌후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2(b)는 후방측 빔부재, 우측방 빔부재 및 우측 후방 지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3(a)는 베이스 브래킷의 측면도, 도 33(b)는 베이스 브래킷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4는 보강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캐빈의 좌측면도이다.
도 35는 보강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 사이드 도어의 내면도이다.
도 36은 힌지의 부착 구조를 나타내는 캐빈 프레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7은 힌지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8은 리어 유리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리어 유리의 내면도이다.
도 40은 회동식 핸들과 피록킹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회동식 핸들과 피록킹 블록의 평면 단면도이다.
1 is a left side view of a tractor.
2 is a plan view of the tractor.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tracto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ctor as seen from the right side oblique rear side. Fig.
5 is a left side view of the traveling vehicle.
6 is a left side view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raveling vehicl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nning vehicle as seen from the left tilted rear side. Fig.
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unning vehicle.
9 is a right side view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raveling vehicl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unning vehicle as seen from the right side oblique rear side.
11 is a left side view of the cabin.
12 is a plan view of the cabin.
13 is a front view of the cabin.
14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abin.
15 is a rear view of the cabin.
16 is a bottom view of the cabin.
17 is a left side view of the cabin frame.
18 is a plan view of the cabin frame.
19 is a front view of the cabin frame.
20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abin frame.
21 is a rear view of the cabin frame.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bin frame viewed from the left obliquely from the front. Fig.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bin frame as seen from the left side inclined rear side.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damping support structure of the cabin as seen from the left side obliquely from the front.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damping support structure of the cabin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right side inclined.
2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right front strut and front beam member.
2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ight rear support column and the rear side beam member.
28 is a plan view of the roof.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loop.
Fig. 30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ont beam member, Fig. 30 (b)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rear beam member, Fig. 5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beam member.
31 (a)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front beam member, a left beam member, and a left front beam, FIG. 31 (b) Fig.
32 (a)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ear beam member, the left beam member and the left post support, and FIG. 32 (b)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ear beam member, the right beam member, Fig.
Fig. 33 (a) is a side view of the base bracket, and Fig. 33 (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bracket.
34 is a left side view of the cabin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frame.
35 is an inner view of the left side do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frame.
3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abin frame showing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hinge.
37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hinge.
38 is a rear view of the rear glass.
39 is an inner view of the rear glass.
4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able handle and the locked block.
41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pivotable handle and the locked block;

이하에 본원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예로 들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embody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an example of a tractor as a work vehicle.

우선, 처음에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트랙터(1)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전차륜(3)과 같이 좌우 한쌍의 후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레일식의 디젤 엔진(5)(이하, 간단히 엔진이라고 함)으로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 있다. 주행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타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둥근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좌우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바닥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First, the outline of the tractor 1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Fig. The running vehicle 2 of the tractor 1 in the embodiment is suppor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wheels 4 like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3 as a running section. The tractor 1 is driven by driving the rear wheel 4 and the front wheels 3 with a common rail type diesel engine 5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n engine) as a power source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traveling base 2 And is configured to travel forward and backward. The engine 5 is covered with a bonnet 6. A cabin 7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base 2 and a steering seat 8 is provided in the cabin 7 and a steering handlebar 8 for steering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front wheels 3 by steering, Round handles) 9 are dispos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abin 7, there are provided steps 10 in which the operator moves up and down. A fuel tank 11 for supplying fuel to the engine 5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of the cabin 7.

주행기체(2)는 전방 범퍼(12) 및 전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전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차축(16)을 통해 전차륜(3)을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이동력을 적당히 변속하여 전후 4륜(3, 3, 4, 4)으로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바닥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판형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나뉘어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누어 탑재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부 삽입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차축(20)을 통해 후차륜(4)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 덮여 있다.The traveling base 2 is constituted by an engine frame 14 having a front bumper 12 and a train axle case 13 and left and right base frames 15 detachably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engine frame 14 have. And the electric train shaft 16 is rotatably projecte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lectric train shaft case 13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front wheels 3 are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case 13 of the electric vehicle via the electric train shaft 16. [ A transmission case for the transmission of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engine 5 to the front and rear four wheels 3, 3, 4, 4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base frame 15. A rectangular frame plate-like tank frame 18 is bolte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base frame 15 and the mission case 17 as seen from a bottom surface protruding in left and right outward directions. The fuel tank 11 of the embodiment is divided into two right and left sides. The left and right fuel tanks 11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left and right projecting portions of the tank frame 18 in a divided manner.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 surfaces of the transmission case 17 are mount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eft and right rear axle cases 19. The left and right rear axles 20 ar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rear axle cases 19. And the rear wheel 4 is attached to the transmission case 17 via the rear axle 20. The upp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4 are covered by the left and right rear fenders 21.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라는 작업기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 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쌍의 로어 링크(23) 및 톱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해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을 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mission case 17, for example, a hydraulic lifting mechanism 22 for lifting and moving a working machine called a rotary tiller is detachably attached. A rotary tiller or the like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mission case 17 through a three-point link mechanism composed of a pair of right and left lower links 23 and a top link 24. A PTO shaft 25 for transmitting a PTO driving force to a working machine such as a rotary tiller or the like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transmission case 17 so as to protrude rearward.

엔진(5)의 후방측면으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는 엔진 출력축(도시 생략)에는 플라이 휠(26)을 직결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양단에 자재축 이음을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개재하여 플라이 휠(26)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앞면측으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도 1, 도 7 및 도 10 참조).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하여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으로 전달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 적당히 변속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통해 좌우의 후차륜(4)으로 전달된다.The flywheel 26 is attached directly to an engine output shaft (not shown)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side of the engine 5. A main shaft 27 projecting backward from the flywheel 26 via a power transmission shaft 29 having a material shaft coupling at both ends and a peripheral speed input shaft 28 projecting forward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ission case 17 (See Figs. 1, 7 and 10). In the transmission case 17, a hydraulic CVT, a forward / backward switching mechanism, a traveling portion transmission gear mechanism, and a rear differential gear mechanism are dispose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engine 5 is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speed input shaft 28 of the transmission case 17 via the main shaft 27 and the power transmission shaft 29 and is transmitted to the input shaft 28 via the hydraulic CVT and transmission gear mechanism It is shifted moderately. Then, the transmission power i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4 through the rear differential gear mechanism.

미션 케이스(17)의 앞면 하부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개재하여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는 전차축 케이스(13)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전달축(도시 생략)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으로부터 전차축 케이스(13) 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경유하여 좌우 전륜(3)으로 전달된다.The front wheel output shaft 3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face of the transmission case 17 is moved rearward from the front wheel axle case 13 housing the front wheel differential gear mechanism (not shown) via the front wheel drive shaft 31 And connects the protruded whole wheel transmission shaft (not show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hydraulic CVT and transmission gear mechanism in the transmission case 17 is transmitted from the front wheel output shaft 30, the front wheel drive shaft 31 and the front wheel transmission shaft to the front differential gear And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front wheels 3 via the mechanism.

이어서,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캐빈(7) 내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스티어링 컬럼(32)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은 캐빈(7) 내부의 앞면측에 배치한 대시보드(33)의 배면측에 매설하는 상태로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 핸들축의 상단측에 평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둥근형의 조종 핸들(9)을 부착하고 있다.Next, the structure inside the cabin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The steering column 3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teering seat 8 in the cabin 7. The steering column 32 is installed to stand on the backside of the dashboard 33 disposed on the front side in the cabin 7. A steering handle 9 of a substantially round shape as viewed from the top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steering shaft project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32.

스티어링 컬럼(32)의 우측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를 최상승 위치나 최하강 위치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원터치 승강 레버(34)와, 주행기체(2)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브레이크 페달(35)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컬럼(32)의 좌측에는 주행기체(2)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리버서 레버)와, 동력 계단용의 클러치(도시 생략)를 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페달(37)을 배치하고 있다.A one-touch lift lever 34 for forcibly moving a working machine such as a rotary tiller or the like to the highest position or the lowest position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eering column 32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brake pedals 35 for braking the traveling vehicle 2 ). On the left side of the steering column 32, forward and backward switching levers 36 (reverser levers) for switch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veling base 2 forward and backward, and clutches (not shown) And a clutch pedal 37 for operating.

스티어링 컬럼(32)의 좌측에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의 하방에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를 따라 연장되는 오조작 방지체(38)(리버서 가드)를 배치하고 있다. 접촉 방지구인 오조작 방지체(38)를 전후진 스위칭 레버(36)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트랙터(1)에 승강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대시보드(33)의 배면 상부측에는 액정 패널을 내장한 조작 표시반(39)을 설치하고 있다.A manipulation preventing member 38 (reverser guard) extending along the forward / backward switching lever 36 is disposed below the forward / backward switching lever 36 on the left side of the steering column 32. The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member 38 is disposed below the forward and backward switching levers 36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inadvertently touching the forward and backward switching levers 36 when ascending and descending to the tractor 1. [ An operation display panel 39 incorporating a liquid crystal panel is provided on the backside of the dashboard 33.

캐빈(7) 내에 있는 조종 좌석(8) 전방의 바닥판(40)에 있어서 스티어링 컬럼(32)의 우측에는 엔진(5)의 회전 속도 또는 차속을 제어하는 액셀 페달(41)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40) 상면의 대략 전체는 평탄면에 형성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 칼럼(42)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좌측 사이드 칼럼(42) 사이에는 좌우 양쪽 후차륜(4)을 제동 상태로 유지하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와, 트랙터(1)의 주행 속도(차속)를 강제적으로 대폭으로 저감시키는 초저속 레버(44)(크리프 레버)와, 미션 케이스(17) 내의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의 출력 범위를 스위칭하기 위한 부변속 레버(45)와, PTO축(25)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PTO 변속 레버(46)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하방에는 좌우 양쪽 후차륜(4)의 차동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디펜스 록 페달(47)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후방좌측에는 PTO축(25)을 역전 구동시키는 조작을 실행하는 역전 PTO 레버(48)를 배치하고 있다.An accelerator pedal 41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r the vehicle speed of the engine 5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teering column 32 in the bottom plate 40 in front of the steering seat 8 in the cabin 7. Further, substantially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0 is formed on a flat surface. Side columns 42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ering seat 8. A parking brake lever 43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maintaining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4 in a braked state is provided between the steering seat 8 and the left side column 42, An auxiliary speed change lever 45 for switching the output range of the transmission side speed change gear mechanism in the transmission case 17 and a PTO shaft 25 for reducing the output range of the transmission side speed change gear mechanism in the transmission case 17, And a PTO shift lever 46 for switching the drive speed of the PTO shift lever 46 are disposed. A defense lock pedal 47 for turning on and off the differential drive of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4 is disposed below the steering seat 8. On the rear left side of the steering seat 8, there is disposed a reverse PTO lever 48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reversely driving the PTO shaft 25. [

조종 좌석(8)과 좌측 사이드 칼럼(42) 사이에는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팔꿈치를 얹기 위한 암레스트(49)를 설치하고 있다. 암레스트(49)는 조종 좌석(8)과는 별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트랙터(1)의 주행 속도를 증감속시키는 주변속 레버(50)와, 로터리 경운기라는 작업기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는 다이얼식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51)(승강 다이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암레스트(49)는 후단 하부를 지점으로 하여 복수 단계로 리프업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Between the steering seat 8 and the left side column 42, there is provided an armrest 49 for placing an arm or an elbow of an operator seated on the steering seat 8. The arm rest 49 is constructed separately from the steering seat 8 and is provided with a peripheral speed lever 50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tractor 1, And a dial position dial 51 (elevation dial) for dialing. In addition, the armrest 49 is structured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up in a plurality of steps with the rear lower end as a point.

좌측 사이드 칼럼(42)에는 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엔진(5)의 회전 속도를 설정 유지하는 스로틀 레버(52)와, PTO축(25)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을 계단 조작하는 PTO 클러치 스위치(53)와, 미션 케이스(17)의 상면측에 배치하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서브 컨트롤 밸브, 도시 생략)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조작 레버(54)(SCV 레버)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압 외부 인출 밸브는 트랙터(1)에 후장착되는 프론트 로더라는 별도의 작업기에 작동유를 공급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의 수(4연)에 맞춰 유압 조작 레버(54)를 4개 배치하고 있다.The left side column 42 is provided with a throttle lever 52 for setting and maintain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5 in order from the front side and a PTO shaft 52 for stepping th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PTO shaft 25 to a working machine such as a rotary tiller. A clutch switch 53 and a plurality of hydraulic operating levers 54 (SCV levers) for switching operation of a hydraulic external withdrawal valve (sub-control valve, not show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transmission case 17 have. Here, the hydraulic external draw-out valve i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ng oil to a separate working machine called a front loader, which is mounted on the tractor 1 afterwards. In the embodiment, four oil pressure operating levers 54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hydraulic external draw-out valves (four wheels).

이어서, 도 11~도 27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은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조종 좌석(8)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측 빔부재(303)와,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전방 지주(301)와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한 대략 상자 프레임형상의 것이다.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 즉 전방측 빔부재(303),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로 구성한 직사각형 프레임 상에는 지붕체(30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Nex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abin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27. Fig. The cabin 7, which covers the steering seat 8 on the traveling base 2, is provided with a cabin frame 300 constituting a frame. The cabin frame 3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struts 301 positioned in front of the steering seat 8, a pair of right and left rear struts 302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teering seat 8, A rear beam member 304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rear struts 302 to each other and a front strut 301 and a rear strut 302 arranged back and forth, And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beam member 305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rame members 302. The roof member 306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cabin frame 300, that is, on the rectangular frame composed of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have.

각 전방 지주(301)의 하단측에는 좌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외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좌우 양쪽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내단측에 대시보드(33)를 고정 지지하는 세로 길이의 보드 지지판(308)을 연결하고, 좌우 양쪽 전방 지주(301) 사이에 보드 지지판(308)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한편, 좌우 양쪽 후방 지주(302)의 하단부 사이에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평행형상으로 연장되는 후방 중간 빔부재(309)를 연결하고 있다. 후방 중간 빔부재(309)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상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전후로 배열되는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과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하단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저부 프레임(311)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On the lower end side of each of the front struts 301, the left and right outer end sides of the front lower plate plate 307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inward directions are connected. A vertical board support plate 308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dashboard 33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inner end sides of the left and right front lower plate plates 307 and a board support plate 308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ont supports 301 I installed it standing up. On the other hand, a rear intermediate beam member 309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rear beam member 304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rear supports 302. The rear intermediate beam member 309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lower frames 310 extending downward. The front lower plate plate 307 and the rear lower frame 310, which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connect the respective longitudinal ends of the bottom frame 311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각 후방 지주(302)의 하단측에는 리어 펜더(21)의 형상을 따라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전방이며 또한 상방으로 팽창하도록 만곡한 펜더 프레임(312)의 후단 상부측을 연결하고 있다. 각 펜더 프레임(312)의 전단 하부측은 대응하는 전방 지주(301)의 하부로부터 후향으로 돌출된 사이드 프레임(313)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각 사이드 프레임(313)에는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좌우 외단측도 연결되어 있다. 각 펜더 프레임(312)의 좌우 외면측 및 이것에 대응하는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좌우 외면측에 좌우의 리어 펜더(21)를 부착하고 있다.The lower end of each rear support 302 is connected to the rear upper end side of the fender frame 312, which is curved forwardly and upwardly as viewed from the side along the shape of the rear fender 21. [ The front end lower side of each fender frame 312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side frame 313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front support 301. The left and right outer end sides of the front lower plate plate 307 are also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ide frames 313. Left and right rear fenders 21 are attached to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respective fender frames 312 and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rear lower frame 310 corresponding thereto.

후방 중간 빔부재(309)와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에는 후방 중간 빔부재(309) 및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로 둘러싸인 영역을 덮는 후방 커버판(314)을 부착하고 있다. 후방 커버판(314)의 하단측과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에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L자판형상의 좌석 지지판(315)을 부착하고 있다. 좌석 지지판(315) 상에 조종 좌석(8)이 배치된다.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 후방 하부 프레임(310) 및 저부 프레임(311)에는 후차륜(4)의 전방부 내면측을 따른 팽출형상의 펜더 내판(316)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펜더 내판(316) 상에 사이드 칼럼(42)이 배치된다. 좌우의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 저부 프레임(311)의 전방부측, 사이드 프레임(313) 및 좌석 지지판(315)의 전단측에 바닥판 지지 플레이트(317)를 부착하여 지지하고 있다. 좌우의 바닥판 지지 플레이트(317) 상에 바닥판(40)이 배치된다.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의 전단 하부측과 이것에 대응하는 저부 프레임(311)의 전후 중도부는 좌우 가로 길이의 보조 프레임(318)으로 연결되어 있다.A rear cover plate 314 is attached to the rear intermediate beam member 309 and the left and right rear lower frames 310 to cover a region surrounded by the rear intermediate beam member 309 and the left and right rear lower frames 310. An L-shaped seat support plate 315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rear cover plate 314 and the left and right bottom frames 311 when viewed from the side. A steering seat 8 is disposed on the seat support plate 315. The fender inner plate 316 of the bulging shap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rear wheel 4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fender frame 312, the rear lower frame 310 and the bottom frame 311. [ The side columns 42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fender inner plates 316. A bottom plate supporting plate 317 is attached and support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left and right front lower plate plates 307, the front frame side of the bottom frame 311, the side frames 313 and the seat support plate 315. A bottom plate 40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bottom plate support plates 317. [ The front lower end side of the left and right fender frame 312 and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bottom frame 311 corresponding thereto are connected by an auxiliary frame 318 of left and right width.

캐빈 프레임(300)의 앞면측, 즉 좌우의 전방 지주(301), 전방측 빔부재(303) 및 좌우의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프론트 유리(321)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후면측, 즉 좌우의 후방 지주(302), 후방측 빔부재(304) 및 후방 중간 빔부재(309)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리어 유리(322)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좌우측면측, 즉 전후로 배열되는 전방 지주(301) 및 후방 지주(302), 측방 빔부재(305), 펜더 프레임(312) 및 사이드 프레임(313)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는 투명한 유리로 구성한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각 사이드 도어(323)는 대응하는 후방 지주(302)에 상하 한쌍의 힌지(324)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The front glass 321 is disposed in a region surrounded by the front side of the cabin frame 300, that is, the left and right front struts 301,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and the left and right front lower plate plates 307. The rear glass 322 is disposed in a region surrounded by the rear side of the cabin frame 300, that is, the left posterior support 302, the rear beam member 304 and the rear intermediate beam member 309. The area surrounded by the front strut 301 and the rear strut 302, the side beam member 305, the fender frame 312, and the side frame 313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 frame 300, And a side door 323 made of glass is disposed. Each side door 323 is attached to a corresponding rear support 302 via a pair of upper and lower hinges 32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프론트 유리(321), 리어 유리(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의 배치 구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지주(301, 302) 및 각 빔부재(303, 304, 305)는 캐빈(7)(캐빈 프레임(300))의 측변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측면에 창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측면에 프론트 유리(321), 리어 유리(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투명한 유리제)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확보하는 것과,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을 양립하고 있다.As is apparent from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ront glass 321, the rear glass 32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doors 323, the struts 301 and 302 and the respective beam members 303, 304, Cabin frame 30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take a wide window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 frame 300. In the embodiment, the front glass 321, the rear glass 322, and the left and right side doors 323 (made of transparent glass) are arrang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 frame 300. As a result, both the securing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clocks of the operator, and ensuring the rigidity of the cabin frame 300 are achieved.

도 22~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전방 하부 플레이트판(307)의 전방부측은 방진 부재로서의 전방 방진 고무체(98)를 개재하여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부착한 전방부 지지대(9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부(맞대기부)에는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베이스 브래킷(327)을 설치하고 있다. 좌우의 베이스 브래킷(327)은 방진 부재로서의 후방 방진 고무체(99)를 개재하여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 상에 부착한 후방부 지지대(9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기체(2)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98, 99)를 개재하여 캐빈(7)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22 to 25, the front side of the left and right front lower plate plates 307 is provided with a front support plate 96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base frames 15 via a front anti- ). Further, a base bracket 327 protruding leftward and rightward is provided at a connecting portion (a base por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ar lower frames 310 and the bottom frame 311. The left and right base brackets 327 are connected to a rear support 97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rear axle cases 19 via a rear anti-vibration rubber member 99 as an anti-vibration member. Therefore, the traveling base 2 is supported by the vibration-proof rubber members 98, 99 in a vibration-proof manner to the cabin 7.

도 11~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300)에는 등구 부재 부착용의 각종 지지 스테이(331, 335, 338, 343)를 설치하고 있다. 즉, 전방측 빔부재(303)의 길이 중도부에는 좌우 한쌍의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를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는 전방 비스듬히 상향으로 돌출된 박판형상의 것이다. 각 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1)에는 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부착편(332)을 개재하여 등구 부재의 일례인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전방 상단 작업등(333)은 트랙터(1)의 전방을 비추는 것이다. 좌우의 전방 상단 작업등(333)은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정면으로 볼 때 전방측 빔부재(303)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지붕체(306)의 전방부측에는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끼워지도록 상향으로 함몰된 함몰부(334)(팽출부라고도 함)를 형성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지붕체(306)를 부착할 때에는 전방부측의 각 함몰부(334)에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수용되기 때문에 지붕체(306)와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간섭하는 일은 없다.11 to 27, the cabin frame 300 is provided with various support stays 331, 335, 338, and 343 for attaching a lug member. In other words, a pair of right and left front upper support stays 331 are weld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Each front upper support stay 331 is of a thin plate shape projecting obliquely forward and upward. A front upper work lamp 333, which is an example of a lamp member, is attached to each front upper support stay 331 via a front attachment piece 332 extending forward and downward. The left and right front upper work lamps 333 illuminate the front of the tractor 1. The left and right front upper work lamps 333 are positioned so as to overlap with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when viewed from the fron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ront watch of the operator. A depression 334 (also referred to as a swelling portion) which is depressed upwar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roof body 306 so as to sandwich the front upper work lamps 333 therebetween. Since the front upper work lamp 333 i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depressed portions 334 on the front side when the roof body 306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cabin frame 301, (333) does not interfere.

한편, 좌우의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는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으로부터 볼 때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측 방향의 후방으로 돌출한 후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기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의 선단측에 후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부착편(336)을 개재하여 등구 부재의 일례인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방 상단 작업등(337)은 트랙터(1)의 후방(작업기 등)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후방측 빔부재(304)가 아니라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좌우의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지붕체(306)의 후방부측의 배치 스페이스(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는 후방부 커버(36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left and right rear pillars 302, rearward and leftward outward directions away from both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as viewed from the plane are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ront watch of the operator And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upper support stay 335 is welded and fixed. And a rear upper work lamp 337, which is an example of a lamp member,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side of each rear upper end support stay 335 via a rear attachment piece 336 extending backward. The left and right rear upper work lamps 337 illuminate the rear of the tractor 1 (such as a working machine). The rear upper support stay 335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side of each rear support 302 rather than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so as to secure the rear view of the operator. (Arrangement space of the rear cover 363 for accommodating the air conditioner 364) at the rear side of the roof body 306 is secured.

좌우의 전방 지주(301)의 상하 중도부에는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기단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선단측에 등구 부재의 일례인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있다. 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는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전방측 빔부재(303)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측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길이 중도부로부터 전향으로 연장되도록 만곡하고 있다. 전방 복합등(339)은 트랙터(1)의 전방에 있는 차나 사람에 대하여 트랙터(1)의 차폭 및 좌우 회동 등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형태 전방 복합등(339)은 방향 지시등과 차폭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전방 중단 작업등(340)은 트랙터(1)의 전방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338)의 선단측에 상하 길이의 부착 브래킷(341)을 설치하고, 부착 브래킷(341)의 앞면측에 전방 복합등(339)을 부착하고 있다. 부착 브래킷(341)의 상단측에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전방 지주(301)에 있어서 전방 중단 지지 스테이보다 상방에는 미러 스테이(341)를 개재하여 사이드 미러(342)를 부착하고 있다. 미러 스테이(341)도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평면으로부터 볼 때 전방측 빔부재(303)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양쪽으로부터 멀어지는 좌우 외측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side of the front interrupted support stay 338 is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front supports 301. A front composite lamp 339 and a forward stop work lamp 340, which are examples of lamp members, are attached to the front end side of each front interchangeable stay 338. [ Each front interrupting stay 338 includes a front side beam member 303 and a left side beam member 303 and a right side beam member 314 when seen from the plane so that the front composite light 339 and the front interrupting operation lamps 340 do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or & 305, and is curved so as to extend forward from the lengthwise middle portion. The front composite lamp 339 indicates the intentions such as the width of the tractor 1 and the turning of the tractor 1 relative to a person or a person in front of the tractor 1. The front composite lamp 339 is a light source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forward interruption work lamps 340 illuminate the front of the tractor 1. In the embodiment, upper and lower length attachment brackets 341 are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ront interchangeable support stay 338, respectively, and a front composite light 339 is attached to the front face side of the attachment bracket 341. A front interrupting operation lamp 34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attaching bracket 341. In the left and right front struts 301, a side mirror 342 is attached above the front interrupted support stays via mirror stays 341. The mirror stay 341 also extends forward in the left and right outward directions away from both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when seen from the plan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ront view of the operator.

좌우의 후방 지주(302)의 하부에는 상하 길이의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앞면측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후면측에 등구 부재의 일례인 후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다.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는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이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면으로부터 볼 때 좌우의 후방 지주(302)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후방 복합등(344)은 트랙터(1)의 후방에 있는 차나 사람에 대하여 트랙터(1)의 감속, 정지, 후퇴 및 좌우 회동 등의 의사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시형태의 후방 복합등(344)은 미등과 제동등과 후퇴등과 방향 지시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후방 하단 작업등(345)은 트랙터(1)의 좌우측방을 비추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각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앞면측에 후방 복합등(344)을 부착하고 있다. 후방 하단 지지 스테이(343)의 상단측에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다. 전방 복합등(339)과 후방 복합등은 거의 같은 정도의 상하 높이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lower end support stay 343 of the upper and lower lengths is wel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ight and left rear supports 302. [ A rear composite light 344 and a rear lower work light 345, which are examples of lamp members, ar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side of each rear lower stage support stay 343. Each rear lower support stay 343 projects left and right outward from the left and right rear supports 302 as viewed from the rear so that the rear composite lamp 344 and the rear lower work lamp 345 do not interfere with the rear view of the operator have. The rear composite lamp 344 indicates the intention of the tractor 1 to decelerate, stop, retract, and turn to the left or to the rear of the tractor 1, A brake light, a retraction light, and a turn signal lamp. The left and right rear lower work lights 345 illuminate the right and left chambers of the tractor 1. In the embodiment, a rear composite lamp 344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side of each rear lower stage support stay 343. And a rear lower end work lamp 345 is attached to an upper end side of the rear lower end support stay 343. The front composite light 339 and the rear composite light are set to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up and down positions.

또한,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을 중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공형상의 내부를 케이블류 삽입 통과용의 배선 통로에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지주(301, 302), 빔부재(303, 304) 및 지지 스테이에 형성한 노치 구멍(도시 생략)으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하여 상기 케이블을 각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에 접속하고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cabin frame 30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the inside of the hollow shape is formed in the wiring passage for inserting and passing the cable flow. Then, cables are drawn out from notches (not shown) formed in the respective struts 301 and 302, the beam members 303 and 304 and the support stay, and the cables are wound around the respective lighting member members 333, 337, 339, 340 and 344 And 345, respectively.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를 부착하는 지지 스테이(331, 335, 338, 343)를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상기 등구 부재(333, 337, 339, 340, 344, 345)를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여 비용 다운이 도모된다.11 to 27, the cabin 7 covers the cabin frame 300 which constitutes the frame, and the cabin 7 covers the cabin frame 8 on the running vehicle 2. The cabin 7, And a roof member (306) dispos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cabin frame (300), wherein the support stay (333, 337, 339, 340, 344, 345) 333, 337, 339, 340, 344, and 345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cabin frame 300 because the cabin frames 331, 335, 338, and 343 are installed in the cabin frame 300. This contributes to an improvement in assembling workability in the manufacturing line, thereby reducing cost.

또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측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방 지주(301)과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전방 지주(301)의 상하 중도부에 설치한 상기 지지 스테이(338)에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부착하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하부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43)에는 상기 등구 부재로서의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각 전방 지주(301)측의 지지 스테이(338)에는 전방 복합등(339) 및 전방 중단 작업등(340)을 정리하여 부착할 수 있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측의 지지 스테이(343)에는 후방 복합등(344) 및 후방 하단 작업등(345)을 정리하여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지지 스테이(338, 343)를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339, 340, 344, 345)에 대한 지지 부재로서 겸용할 수 있고, 부품수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등구 부재(339, 340, 344, 345)에 대한 케이블류의 처리도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캐빈(7) 내로부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의 확보도 용이하다.The cabin frame 3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supports 301, a pair of right and left rear supports 302 and a front side beam member 303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front supports 301 A rear beam member 304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rear struts 302 and a side beam member 305 connecting between the front strut 301 and the upper ends of the rear struts 302, A front composite lamp 339 and a front interrupting operation lamp 340 as the lighting member are attached to the support stay 338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ront support columns 301, Since the rear composite lamp 344 and the rear lower work lamp 345 as the lamp members are attached to the support stay 343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pport 302, The front composite lamp 339 and the front interruption lamp 340 are arranged and attached And the rear composite lamp 344 and the rear lower work lamp 345 can be collectively attached to the support stay 343 on the side of each of the rear supports 302. [ That is, each of the support stays 338, 343 can be used also as a support member for the plurality of fixture members 339, 340, 344, 345,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parts. Also, the treatment of the cable flow to the plurality of lighting fixture members 339, 340, 344, and 345 can be simplified. It is easy to secure the front, back, right, and left timepieces from within the cabin 7.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측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방 지주(301)와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측 빔부재(303)의 길이 중도부에 설치한 좌우 한쌍의 지지 스테이(331)에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각각 부착하는 한편,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는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전방측 빔부재(303)에 상기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직접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후방측 빔부재(304)에 상기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직접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기여하여 비용 다운이 도모된다. 게다가, 상기 지붕체(306)에 상기 각 상단 작업등(333, 337)을 부착하거나 케이블류를 인회하거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대한 상기 지붕체(306)의 조립 작업도 간소화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도 제조 라인에서의 조립 작업성 향상에 공헌한다.11 to 27, the cabin 7 covers the cabin frame 300 which constitutes the frame, and the cabin 7 covers the cabin frame 8 on the running vehicle 2. The cabin 7, And a roof member (306) disposed on an upper end side of the cabin frame (300), wherein the cabin frame (3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supports (301) A front side beam member 303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front struts 301 and a rear side beam member 304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rear struts 302, And a side beam member 305 connecting the front strut 301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strut 302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front upper work lamp 333 is attached to the support stay 331 while the front upper work lamp 333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side of each of the rear supports 302 Since the rear upper work lamp 337 is attached to the installed support stay 335, the front upper work lamp 333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And the rear upper work lamp 337 can be directly attached to the rear upper work lamp 304. This contributes to an improvement in assembling workability in the manufacturing line, thereby reducing cost.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attach the upper work lamps 333 and 337 to the roof body 306 or to crawl cables, it is also possible to simplify the assembly work of the roof body 306 with respect to the cabin frame 300 can do. This also contributes to improvement in assembling workability in a manufacturing line.

또한, 상기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을 정면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전방측 빔부재(303)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상기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차단할 우려를 각별히 저감할 수 있어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ront upper work lamps 333 are positioned so as to overlap with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when seen from the front, the front watch of the operator seated on the steering seat 8 is positioned at each of the front upper work lamps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the possibility of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333, and thus it is possible to ensure a good front watch of the operator.

이어서, 도 11~도 23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좌우 하부에 설치한 스텝(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에 배열되는 전차륜(3)과 후차륜(4) 사이에서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을 매달아서 설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실시형태에서는 2단)과, 이들 발판 단차부(351)에 연결하는 전후의 측판부(352, 35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는 하단으로 갈수록 후차륜(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쪽이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보다 전방에 어긋난 위치에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23,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tep 10 provid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of the cabin 7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11 to 23, a step 10 in which an operator moves up and down is hung on the left and right lower sides of the cabin 7 between the front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arranged front and rear. The step 1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oot stepped sections 351 (two steps in the embodiment) and front and rear side plate sections 352 and 353 connected to the foot step sections 351. The plurality of foot stepped portions 351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move away from the rear wheel 4 toward the lower end. In the embodiment, the foot stepped portion 351 on the lower end side is shifted forward from the foot stepped portion 351 on the upper end side.

이 경우, 전방측판부(352)는 정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전방측판부(352)에 있어서의 세로 길이부(354)의 상단측은 각 전방 지주(301)의 하단측에 용접 고정한 브래킷편(355)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전방측판부(352)에 있어서의 세로 길이부(354)의 상하 중도 개소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방측판부(352)의 하단 수평부(356)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전방측판부(352)의 하단 수평부(356)는 세로 길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The upper end side of the vertical length portion 354 of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is bolted to a bracket piece 355 weld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side of each front support 301. The front end side of the step portion 351 of the upper end side is fixed to the vertically long portion of the longitudinal portion 354 of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The lower end side horizontal portion 356 of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fixes the front end side of the foot step portion 351 on the lower side. The lower end horizontal portion 356 of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protrudes forward than the vertical length portion.

후방측판부(353)의 상단측은 좌우의 펜더 프레임(312)과 저부 프레임(311)을 연결시키는 보조 프레임(318)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후방측판부(353)의 상하 중도부에는 상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후방측판부(353)의 하단측에는 하단측의 발판 단차부(351)의 후단측을 고정하고 있다. 후방측판부(353)는 전방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져 있어 상하 중도부 부근에서 더욱 전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캐빈(7)에 승차하는 오퍼레이터의 이동 방향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후방 비스듬히 상향을 향하기 쉬워진다(각 발판 단차부(351)의 어긋남 배치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동선을 조종 좌석(8)을 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다.The upper end side of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is bolted to an auxiliary frame 318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ender frames 312 to the bottom frame 311.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step portion 351 of the upper end side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lower step side step portion 351 is fixed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is inclined downward in an obliquely forward direction and is further bent forward in the vicinity of the vertical midway por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perator riding on the cabin 7 can be easily directed upward obliquely rearwardly toward the steering seat 8 (by shifting the arrangement of the foot stepped portions 351) It is possible to direct the light to the light source. Therefore, the elevation of the cabin 7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13, 도 19,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판부(353)의 좌우 방향의 폭은 전방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오퍼레이터가 각 발판 단차부(351)에 발을 얹을 때 전방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후방측판부(353)가 폭이 넓기 때문에 후방측판부(353)의 존재에 의해 후차륜(4)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3, 19, 22, and 23,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is se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the longitudinal portion 354) in the lateral direction have. In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ce of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the longitudinal portion 354) is not disturbed when the operator puts the foot on each foot stepped portion 351, and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of the cabin 7 . Further, since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is wide, the presence of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soil of the rear wheel 4.

상기 기재 및 도 11~도 2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엔진(5)을 탑재한 주행기체(2)와, 상기 주행기체(2)를 지지하는 좌우 한쌍 전륜(3) 및 후차륜(4)과, 상기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과, 상기 캐빈(7) 내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10)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차륜(3)과 상기 후차륜(4) 사이에서 상기 캐빈(7)의 좌우 하부측에 상기 스텝(10)을 매달아서 설치한 구조로서, 상기 스텝(10)은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와, 이들 발판 단차부(351)에 연결하는 전후의 측판부(352, 353)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발판 단차부(351)는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후차륜(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상기 캐빈(7) 내외를 향하는 오퍼레이터의 동선을 따라 상기 각 발판 단차부(351)를 위치시키게 되어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다.11-23, the traveling vehicle 2 on which the engine 5 is mounted,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3 and rear wheels 4 for supporting the traveling vehicle 2, A work vehicle (1) comprising a cabin (7) covering a steering seat (8) on a traveling base (2) and a step (10)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cabin (7) The step 10 is provided between the wheel 3 and the rear wheel 4 by hanging the step 10 on the left and right lower sides of the cabin 7. The step 10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ed steps 351, And the front and rear side plate portions 352 and 353 connected to the foot step portions 351. The plurality of foot step portions 351 are arranged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so as to move away from the rear wheel 4 toward the lower end So that the foot stepped portions 351 are located above the stepped portions 351 along the copper lines of the operator fac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bin 7 Thereby it is possible to highly improve the rigidity of the W to the cabin (7).

또한, 상기 후방측판부(353)의 좌우 방향의 폭을 상기 전방측판부(352)(세로 길이부(354))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상기 각 발판 단차부(351)에 발을 얹을 때에 상기 전방측판부(352)의 존재가 방해되지 않고, 이 점에서도 상기 캐빈(7)으로의 승강성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상기 후방측판부(353)가 폭이 넓으므로 상기 후방측판부(353)의 존재에 의해 상기 후차륜(4)의 흙의 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lateral width of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is set wid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the longitudinal portion 354)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resence of the front side plate portion 352 is not disturbed when the foot is placed on the cabin 7 and contributes to the elevation of the cabin 7 in elevation. Further, since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is wide, the presence of the rear side plate portion 353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soil of the rear wheel 4.

이어서, 도 1, 도 2, 도 11, 도 14,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서 지붕체(306) 내외의 공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부착한 지붕체(306)는 외장인 아우터 루프(361)와, 캐빈(7)의 천장을 구성하는 이너 루프(362)와, 후방측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후방부 커버(363)를 구비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 및 후방부 커버(363)를 아우터 루프(361)로 상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지붕체(306) 내부를 중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아우터 루프(361)의 후방부측도 후방측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전방 상단 작업등(333)이 끼워지는 함몰부(334)(팽출부)는 아우터 루프(361)의 전방부측에 형성하고 있다.Next, the air conditioning structure inside and outside the roof body 30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11, 14, 28, and 29. Fig. The roof member 306 attach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cabin frame 301 includes an outer loop 361 which is an outer case, an inner loop 362 which constitutes a ceiling of the cabin 7, And a rear cover 363 protruding rearward. The inner roof 362 and the rear cover 363 are covered with the outer loop 361 from above so that the inside of the roof body 306 is hollow. Therefore, the rear side of the outer loop 361 also extends rearward beyond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 The depressed portion 334 (swollen portion) in which the front upper work lamps 333 are fitte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loop 361.

지붕체(306) 내부는 이너 루프(362)와 후방부 커버(363)에 의해 전후 2실로 구획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측의 공간이 전실에 상당하고, 후방부 커버(363)측의 공간이 후실에 상당한다.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에는 캐빈(7) 내의 공조를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364)는 엔진(5)의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이나,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컴프레서, 콘덴서 및 이배퍼레이터 등을 이용한 냉방에 의해 캐빈(7) 내의 공조(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364)를 후방측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한 후방부 커버(363)측에 배치함으로써 캐빈(7)의 전고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실시형태에서는 후방측 빔부재(304)가 아니라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를 설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면서 좌우의 후방 상단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지붕체(306)의 후방부측의 배치 스페이스(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는 후방부 커버(363)의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있다.The interior of the roof body 306 is partitioned into two front and rear chambers by an inner loop 362 and a rear cover 363. The space on the inner loop 362 side corresponds to the front chamber and the space on the side of the rear cover 363 corresponds to the rear chamber. An air conditioner 364 for managing the air conditioning in the cabin 7 is accommodated in the rear room side (the rear cover 363 side) inside the roof body 306. The air conditioner 364 adjusts the air conditioning (room temperature) in the cabin 7 by cooling using the cooling water of the engine 5, cooling u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 distributor driven by the engine . The air conditioner 364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ar cover 363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beam member 304 to prevent the height of the cabin 7 from becoming higher than necessary.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the rear upper support stay 335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side of each rear support 302 rather than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so that the rear right support stay (Space for disposing the rear cover 363 for accommodating the air conditioner 364) between the front roof cover 331 and the rear roof cover 335 is secured.

후방부 커버(363)는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측 빔부재(30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부 커버(363) 및 공기 조화기(364)는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측 빔부재(304)로 지지하고 있다. 후방부 커버(363)의 가장자리부에는 밀봉재(365)를 부착하고 있다. 이너 루프(362) 및 후방부 커버(363) 상에 아우터 루프(361)를 씌워서 부착한 상태에서는 아우터 루프(361)의 내면측에 밀봉재(365)가 밀착하여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이 밀폐형상이 된다.The rear cover 363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of the cabin frame 300. Therefore, the rear cover 363 and the air conditioner 364 are supported by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of the cabin frame 300. A sealing member 365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rear cover 363. [ The seal member 36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loop 36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roof 361 (On the side of the rear cover 363) becomes a sealed shape.

아우터 루프(361)의 좌우측부는 좌우 내측을 향하는 비스듬히 하향으로 잘라낸 것 같이 경사져 있다. 아우터 루프(361)의 좌우측부 중 엔진(5)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229)(도 1~도 10 참조)와 반대측의 측부에는 지붕체(306) 내부의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테일 파이프(229)는 캐빈(7)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우측 전방 지주(301)를 따라 연장되어 있음). 이에 대하여 외기 도입구(366)는 아우터 루프(361) 좌측부의 후방부측(후방부 커버(363)와 대응하는 개소)에 형성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66)는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도시 생략)를 통해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에 좌측방으로부터 면하게 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366)에는 격자형상의 통기 프레임체(367)를 장착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에는 제진 필터를 부착하고 있다. 한편,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후방 헤드부에 대치하는 이너 루프(362)의 후방부측에는 후방부 커버(363) 내와 캐빈(7) 내를 연통시키는 내기 도입구(368)를 형성하고 있다. 내기 도입구(368)에는 격자상의 통기 프레임체(369)를 장착하고 있다.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outer loop 361 are inclined such that they are cut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inside and the outside. 1 to 10)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of the engine 5 out of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outer loop 361 to the rear side of the roof body 306 (The side of the sub cover 363) is mad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tail pipe 229 is provided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side o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cabin 7 (extending along the right front support 301). On the other hand, the outside air inlet 366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outer loop 361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cover 363). The outside air inlet 366 faces the air conditioner 364 in the rear cover 363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left side wall of the rear cover 363 from the left side. A lattice-shaped ventilation frame body 367 is attached to the outside-air introduction port 366. Although a detailed illustration is omitted, a dust filter is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left side wall portion of the rear cover 363. On the other hand, an inner air inlet 368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rear cover 363 and the inside of the cabin 7 is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inner loop 362, which is opposed to the rear head portion of the operator seated on the steering seat 8 . A ventilation frame body 369 on the lattice is mounted on the inside air inlet 368.

후방부 커버(363) 내에는 후방부 커버(363)의 좌측벽부에 형성한 연통구를 개폐하는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배치하고 있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은 액츄에이터(371)의 구동에 의해 개폐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개방 이동시키면, 후방부 커버(363)의 연통구가 개방되어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의 구동에 의해 외기 도입구(366)로부터 연통구를 거쳐 후방부 커버(363) 내에 외부 공기가 유도된다.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을 폐지 이동시키면, 후방부 커버(363)의 연통구가 폐지되어 외기 도입구(366)로부터 외부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되고, 공기 조화기(364)의 구동에 의해 내기 도입구(368)로부터 후방부 커버(363) 내에 캐빈(7) 내의 공기가 유도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내외기 스위칭 셔터판(370)의 개도(개폐 정도)에 의해 후방부 커버(363) 내의 공기 조화기(364)로 유도되는 외기와 내기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An inside / outside switching shutter plate 370 for opening / closing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left side wall of the rear cover 363 is disposed in the rear cover 363. The internal and external switching shutter plate 370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driving of the actuator 371. When the indoor / outdoor switching shutter plate 370 is opened, the communication port of the rear cover 363 is opened so that the air conditioner 364 in the rear cover 363 is driven to communicate with the ambient air introducing port 366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ear cover 363 through the opening. When the indoor / outdoor switching shutter plate 370 is removed and closed,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rear cover 363 is closed so that outside air does not enter from the outdoor air inlet 366. By driving the air conditioner 364 The air in the cabin 7 is guided from the air introduction port 368 into the rear cover 363. In the embodiment, the ratio of the outside air to the insid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er 364 in the rear cover 363 can be adjusted by the opening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inside / outside switching shutter plate 370.

공기 조화기(364)의 앞면측에 형성한 조정 공기 방출구(372)에는 후실측(후방부 커버(363)측)으로부터 전실측(이너 루프(362)측)으로 조정 공기를 안내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두갈래형상의 공조 덕트(373)의 상류측을 접속하고 있다. 공조 덕트(373)의 상류측은 내기 도입구(368)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후방부 커버(363)의 앞면측과 이너 루프(362)의 후면측을 관통하고 나서 좌우로 두 갈래형상으로 분기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두갈래형상의 덕트부(374)는 전방측 빔부재(303),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로 구성한 사각형 프레임을 따라 평면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각 덕트부(374)의 중도 부분에는 이너 루프(362)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한 냉난방용 분출구(375)와 덕트부(374)의 연통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 셔터판(37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의 조절 셔터판(376)은 액츄에이터(377) 및 푸쉬풀 와이어(378)에 의해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조 덕트(373)의 각 덕트부(374)의 하류측은 이너 루프(362)의 전방부에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에 연통하고 있다. 각 분출구(375, 379)에는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이나 풍향을 변경 조절하는 핀(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있다.The adjustment air discharge port 37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364 is connected to the adjustment air discharge port 372 from the plane that guides the adjustment air from the rear chamber side (the rear cover 363 side) to the front chamber side (the inner loop 362 side)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duct 373 having a bifurcated shape is connected. The upstream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373 is located above the air inlet opening 368 and is branched into a bifurcate shape passing through the front side of the rear cover 363 and the rear side of the inner loop 362 have. The bifurcated duct portion 374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373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viewed from a plane along a rectangular frame constituted by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And extends in a rectangular shape. A regulating shutter plate 370 for regulating the communicating state of the air blowing vent 375 and the duct portion 374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loop 362 is provided at the middle portion of each duct portion 374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373 376 are disposed. The left and right adjusting shutter plates 376 are configured to rotate in cooperation with the actuator 377 and the push-pull wire 378. The downstream side of each duct portion 374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373 is communicat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 inner loop 362 to the fog removal spouting port 379. [ Each of the air blow-out ports 375 and 379 is provided with a pin (not shown) for changing the air flow rate or direction of the air to be adjusted from the air conditioner 364.

좌우 양쪽 조절 셔터판(376)에 의해 각 덕트부(374)의 하류측으로의 흐름(각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로의 흐름)을 막으면,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는 좌우의 냉난방용 분출구(375)만으로부터 캐빈(7) 내로 분출한다. 좌우 양쪽 조절 셔터판(376)에 의해 좌우의 냉난방용 분출구(375)로의 흐름을 막으면, 공기 조화기(364)로부터의 조정 공기는 좌우의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만으로부터 캐빈(7) 내로 분출한다. 좌우 양쪽 조절 셔터판(376)의 회동각도에 따라 냉난방용 분출구(375)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과, 김서림 제거용 분출구(379)로부터의 조정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flow of the conditioned air from the air conditioner 364 to the downstream side of each of the duct portions 374 is blocked by the left and right adjusting shutter plates 376, And blows into the cabin 7 only from the cooling / heating jet port 375. The control air from the air conditioner 364 is supplied to the cabin 7 only from the left and right fog removing spouts 379. In this case, Lt; / RTI >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ir volume of the conditioned air from the cooling / heating spray port 375 and the air volume of the conditioned air from the fog removal spray port 379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eft and right adjustment shutter plate 376. [

상기 기재 및 도 1, 도 2, 도 11, 도 14, 도 28 및 도 2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 프레임(300)의 상단측에 배치한 지붕체(306)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2)에 탑재한 엔진(5)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방출하는 테일 파이프(135)를 상기 주행기체(2)의 좌우 한쪽에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내부를 전후 2실로 구획하고, 후실(363)측에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좌우측부 중 상기 테일 파이프(229)와 반대측에 상기 후실(363)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기 도입구(366)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테일 파이프(229)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상기 외기 도입구(366)에 도입할 우려를 각별히 방지할 수 있다.A cabin 7 which covers the steering seat 8 on the running vehicle 2 as is evid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and Figs. 1, 2, 11, 14, 28 and 29, 7 is a working vehicle 1 having a cabin frame 300 constituting a frame and a roof body 306 arrang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cabin frame 300. The working vehicle 1 includes a cabin frame 300, A tail pipe 135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of the engine 5 to the outside is provided on one of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raveling base 2 and the inside of the roof body 306 is divided into two front and rear chambers, And an outside air inlet 366 for communicating the rear chamber 363 with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ail pipe 229 from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roof body 30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haust gas from the tail pipe 229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outside-air introduction port 366 without fail.

또한, 상기 캐빈 프레임(300)은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상기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측 빔부재(303)와, 상기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측 빔부재(304)와, 전후로 배열되는 상기 전방 지주(301)와 상기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상기 지붕체(306)의 후실(363)을 상기 후방측 빔부재(304)보다 후방으로 돌출시켜 상기 후실(363)을 상기 후방측 빔부재(304)로 지지하고,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캐빈(7)의 전고를 높게 하는 일 없이 상기 지붕체(306) 내부에 상기 공기 조화기(364)를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붕체(306)의 전실(362)에 상기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를 제한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 설치한 지지 스테이(335)에 후방 상단 작업등(337)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지붕체(306)의 후실(363)측의 배치 스페이스를 상기 양쪽 후방 상단 작업등(337)용의 상기 지지 스테이(335) 사이에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퍼레이터의 후방 시계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The cabin frame 30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supports 301, a pair of right and left rear supports 302 and a front side beam member 303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front supports 301 A rear beam member 304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rear struts 302 and a side beam member 305 connecting the front strut 301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strut 302 arranged forward and backward The rear chamber 363 of the roof body 306 is projected rearward from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to support the rear chamber 363 with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Since the rear upper work lamp 337 is attached to the support stay 335 provid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rear support 302, The air conditioner 364 can be disposed in the front chamber 362 of the roof body 306, 64), it is possible to avoid the problem of limiting the front clock of the operator. A rear upper work lamp 337 is attached to a support stay 335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rear supports 302 so that the arrangement space of the roof body 306 on the rear room 363 side It can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 stay 335 for the upper work lamp 337 and the back watch of the operator can be secured well.

이어서, 도 30(a)~도 30(d),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서 빔부재(303, 304, 305)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붕체(306)를 지지하는 사각형 프레임은 전방측 빔부재(303),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 빔부재(303),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30(a)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 빔부재(303)는 중공형상(단면 직사각형상)의 각 파이프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도 31(a),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 빔부재(303)의 좌우 각 끝면은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Nex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eam members 303, 304, and 30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0 (a) to 30 (d), Figs. 31 and 32. Fig. As described above, the rectangular frame supporting the roof body 306 is provided with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correspond to a frame member constituting the cabin frame 300. As shown in Fig. 30 (a), the front beam member 303 is made of a pipe material having a hollow shape (rectangular in cross section), and is elong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31 (a) and 31 (b), the left and right end surfaces of the front beam member 303 are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strut 301. [

후방측 빔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모두 단면 C자형상(홈형)의 강재로 이루어져 있다. 후방측 빔부재(304)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후방측 빔부재(304) 및 각 측방 빔부재(305)의 개구부에는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304a, 305a)을 끼워넣어 용접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방측 빔부재(304) 및 각 측방 빔부재(305) 중 적어도 길이 중도부는 각 파이프와 같은 중공형상(단면 직사각형상)이 되어 있다.The rear beam member 30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are both made of a C-shaped (groove-shaped) steel material. The rear beam member 304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einforcing plates 304a and 305a extending along the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s are inserted and welded to the openings of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and the side beam members 305. [ Therefore, at least the longitudinal middle portion of the rear beam member 304 and each lateral beam member 305 is hollow (cross-sectional rectangular in shape) like the square pipe.

32(a),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 빔부재(304)의 좌우 각 끝면은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도 31(a),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방 빔부재(305)의 전방 끝면은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방 지주(301)의 상단측에는 전방측 빔부재(303)의 좌우 어느 하나의 끝면과,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측방 빔부재(305)의 전방 끝면이 맞대어 있다. 전방측 빔부재(303)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내측에는 비스듬한 형상의 보강 브래킷(319)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보강 브래킷(319)의 존재에 의해 전방측 빔부재(303)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와 전방 지주(301)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The left and right end surfaces of the rear beam member 304 are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rear support 302 as shown in Figs. 32 (a) and 32 (b). As shown in Figs. 31 (a) and 31 (b), the front end surfaces of the respective side beam members 305 are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trut 301. [ Thus, the left and right end surfaces of the front beam member 303 and the front end surface of one of the right and left side beam members 305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strut 301. The reinforcing brackets 319 having an oblique shape are weld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beam member 30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The presence of the reinforcing bracket 319 secures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front beam member 303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and the front support column 301.

도 32(a),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방 빔부재(305)의 후방 끝면은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면에 용접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후방 지주(302)의 상단측에는 후방측 빔부재(304)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끝면과, 좌우 중 어느 하나의 측방 빔부재(305)의 후방 끝면이 맞대어 있다. 후방측 빔부재(304)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의 내측에도 비스듬한 형상의 보강 브래킷(319)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보강 브래킷(319)의 존재에 의해 후방측 빔부재(304)와 좌우의 측방 빔부재(305)와 후방 지주(302)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32 (a) and 32 (b), the rear end surface of each side beam member 305 is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rear support 302. Thus, one end surface of the right and left rear beam members 304 and the rear end surface of one of the right and left side beam members 305 are oppos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rear support 302. The reinforcing brackets 319 having an oblique shape are welded to the inside of the rear beam member 30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 The presence of the reinforcing bracket 319 ensures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rear beam member 304 and the left and right side beam members 305 and the rear support 302.

상기 기재 및 도 30~도 3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 중 적어도 1개의 프레임 부재(304, 305)을 단면 C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판(304a, 305a)을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의 개구부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부재(304, 305) 중 적어도 길이 중도부를 중공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종래와 같은 고비용의 각 파이프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 부재(304, 305), 나아가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비용화가 도모된다.30 and 32, the cabin 7 covers the cabin frame 300 constituting the frame. The cabin 7 covers the cabin frame 8 on the running vehicle 2, Wherein at least one frame member (304, 305) of the cabin frame (300) is formed in a C-shape in cross section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s (304, 305) 305 of the frame members 304, 305 are welded and fixed to the openings of the frame members 304, 305, at least the lengthwise middle portion of the frame members 304, 305 is hollow. The rigidity of the frame members 304 and 305, and hence the cabin frame 300, can be improved without using ash,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이어서, 도 22~도 25 및 도 33(a), 도 33(b)를 참조하면서 캐빈(7) 후방 하부측의 방진 지지 구조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맞대기부에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 브래킷(327)을 부착하고 있다. 이 경우, 도 22~도 25 및 도 33(a), 도 3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부(맞대기부)에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이스 브래킷(327)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기체(2)의 미션 케이스(17)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후차축 케이스(19) 상의 후방부 지지대(97)에 방진 부재인 후방 방진 고무체(99)를 개재하여 베이스 브래킷(327)을 연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 상면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하단면을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측에 베이스 브래킷(327)을 미리 용접에 의해 부착하여 유닛화하고 있다.Next, details of the anti-vibration support structure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cabin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5, Figs. 33A and 33B. The base bracket 327 i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butt portions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cabin frame 300 so as to protrude leftward and rightwar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2 to 25 and Figs. 33 (a) and 33 (b), protruded leftward and right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abutting por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rear lower frames 310 and the bottom frame 311 A base bracket 327 is provided. The rear support member 97 on the rear axle case 19 projecting from the transmission case 2 of the traveling vehicle 2 in the left and right outward directions is supported by a base bracket 327). In the embodiment, the lower end face of the rear lower frame 310 is welded to the upper end face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frame 311. A base bracket 327 is previously weld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bottom frame 311 to form a unit.

베이스 브래킷(327)은 후방 방진 고무체(99)가 매달리는 기판 플레이트(328)와, 기판 플레이트(328)와 저부 프레임(311)의 연결 강도를 보완하는 전후 한쌍의 지주편(329) 및 보강판편(330)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 플레이트(328)는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 하면측에 대하여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용접 고정하고 있다. 전후 한쌍의 지주편(329)은 기판 플레이트(328)의 상면과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후방 지주편(329)은 중공형상(단면 직사각형상)의 각 파이프재인 저부 프레임(311)의 후방 개구 단면을 가로막고 있다. 전방 지주편(329)은 보강판편(330)을 개재하여 저부 프레임(311)의 후단측면을 지지하고 있다. 보강판편(330)은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맞대기부에 측방으로부터 겹치도록 배치하고 있다. 보강판편(330)에는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과의 맞대기부에 면하는 개구 구멍(330a)을 형성하고 있다. 개구 구멍(330a)의 존재에 의해 후방 하부 프레임(310)과 저부 프레임(311)의 맞대기부 중 보강판편(330)이 덮이는 부분과, 보강판편(330)을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base bracket 327 includes a base plate 328 on which the rear anti-vibration rubber body 99 is suspended, a pair of front and rear support pieces 329 that complement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base plate 328 and the bottom frame 311, (330). The substrate plate 328 is welded and fixed so as to protrude in the right and left out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ear bottom side of the bottom frame 311. The pair of post members 329 connec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plate 328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bottom frame 311. The rear supporting piece 329 blocks the rear opening cross section of the bottom frame 311, which is a hollow pipe (rectangular in cross section). The front support piece 329 supports the rear end side face of the bottom frame 311 with the reinforcing plate piece 33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pieces 330 are disposed so as to overlap from the side at the butt portion of the rear lower frame 310 and the bottom frame 311. The reinforcing plate piece 330 is formed with an opening hole 330a facing the base portion of the rear lower frame 310 and the bottom frame 311. The presence of the opening hole 330a makes it possible to weld the reinforcing plate piece 330 to a portion of the buttock portion of the rear lower frame 310 and the bottom frame 311 covered by the reinforcing plate piece 330 .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저부 프레임(311)에 보강판편(330)이 부착된 베이스 브래킷(327)을 미리 부착해서 유닛화한 후에 저부 프레임(311)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을 후장착으로 용접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저부 프레임(311)에 후방 하부 프레임(310)을 용접 고정함에 있어서 개구 구멍(330a)의 존재에 의해 저부 프레임(311)과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맞대기부 중 보강판편(330)이 덮이는 부분의 용접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저부 프레임(311) 및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접합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면서 저부 프레임(311) 및 후방 하부 프레임(310)의 접합 강도 향상, 나아가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 향상이 도모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the base bracket 327 with the reinforcing plate piece 330 attached to the bottom frame 311 is previously assembled into a unit, the rear lower frame 310 is welded back to the bottom frame 311 . In addition, in welding and fixing the rear lower frame 310 to the bottom frame 311, the reinforcing plate piece 330 among the butt portions of the bottom frame 311 and the rear lower frame 310, due to the presence of the opening hole 330a, The welding length of the covering portion can be sufficiently secured. It is therefore possible to improve the joining workability of the bottom frame 311 and the rear lower frame 310 and to improve the joint strength of the bottom frame 311 and the rear lower frame 310, Rigidity can be improved.

또한,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에 있는 좌우의 맞대기부에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베이스 브래킷(327)을 부착하고, 주행기체(2)의 미션 케이스(17)로부터 좌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후차축 케이스(19) 상의 지지대(97)에 방진 부재(99)를 개재하여 베이스 브래킷(327)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을 그보다 좌우 외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고, 캐빈 프레임(300)의 후방 하부측을 주행기체(2)에 대하여 방진적이며 또한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base bracket 327 is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butt portions of the rear lower side of the cabin frame 300 so as to protrude in the left and right outward directions and protrudes leftward and rightward from the mission case 17 of the traveling base 2 Since the base bracket 327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ase 97 on the rear axle case 19 via the anti-vibration member 99, the rear lower side of the cabin frame 300 can be support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rear lower side of the frame 300 can be connected to the traveling base 2 in a dustproof and stable manner.

이어서,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서 캐빈(7) 후방 하부측의 방진 지지 구조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빈(7)의 좌우 각 측부(캐빈 프레임(300)의 좌우측면측)에는 상기 개소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투명한 1매 유리제의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323)는 대응하는 후방 지주(302)에 상하 한쌍의 힌지(324)를 개재하여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323)의 전방부측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400)를 설치하고 있다. 도어록 부재(400)의 외면측에 설치한 손잡이(400a)를 조작함으로써 도어록 부재(400)가 록킹되거나 록 해제되거나 해서 사이드 도어(323)의 개폐가 행해진다. 사이드 도어(323)의 내면측에는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401)을 배치하고 있다.Next, the details of the anti-vibration support structure on the rear lower side of the cabin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4 and 35. Fig. As described above, a transparent one-piece glass side door 323 is dispos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 7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abin frame 300) so as to openably close the opening. The side door 323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rear support 302 via a pair of upper and lower hinges 324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 door lock member 400 for switching the side door 323 between a locked state and a lock released state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ide door 323. [ The door lock member 400 is locked or unlocked by operating the knob 400a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door lock member 400 so that the side door 323 is opened and clos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ide door 323, a C-shaped reinforcing frame 401 is disposed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re the strength of the side door 323 is increased.

보강 프레임(401)은 사이드 도어(323)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402)과, 세로 프레임부(402)의 상단측으로부터 사이드 도어(323)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403)과, 세로 프레임부(402)의 하단측으로부터 사이드 도어(323)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를 갖고 있다.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는 사이드 도어(323) 내면의 상하 중도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높이는 전후 길이의 프레임체에 상당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도어(323)의 상부측을 둘러싸도록 보강 프레임(401)이 위치하고 있다.The reinforcing frame 401 has a vertical frame portion 402 extending along the rear edge side of the side door 323 and a lower frame portion 402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402 along the upper edge side of the side door 323 And a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extending forward so as to divid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door 323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402. [ The lower transverse frame portion 404 is located at the vertically middl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door 323 and corresponds to a frame body of a longitudinal length that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side door 323. [ In the embodiment, the reinforcing frame 401 is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side door 323.

보강 프레임(401)은 도어록 부재(400)와 상하 한쌍의 힌지(324)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의 전단측을 도어록 부재(400)에 연결하고 있다.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와 세로 프레임부(402)의 코너부를 하부 힌지(324)의 전단측에 연결하고, 세로 프레임부(402)의 상단측을 상부 힌지(324)에 연결하고 있다. 즉, 도어록 부재(400) 및 상하 한쌍의 힌지(324)와 보강 프레임(401)에 의해 사이드 도어(323)를 협지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측 가로 프레임부(403)의 전단측은 사이드 도어(323)의 상단 전방부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힌지(324)와 펜더 프레임(312)은 에어 실린더(405)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The reinforcing frame 401 is connected to the door lock member 400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hinges 324. In the embodiment, the front end side of the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is connected to the door lock member 400. [ The corner portions of the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and the vertical frame portion 402 are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lower hinge 324 and the upper end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402 is connected to the upper hinge 324. [ That is, the side door 323 is sandwiched by the door lock member 400 and the upper and lower pairs of hinges 324 and the reinforcing frame 401. The front end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portion 403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side door 323. The lower hinge 324 and the fender frame 3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air cylinder 405.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의 전후 중도부, 즉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 중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는 손으로 쥠으로써 도어록 부재(400)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406)를 설치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그립체(406)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에 내장한 와이어 부재를 통해 도어록 부재(400)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째 그립체(406)를 쥐면 와이어 부재를 통해 도어록 부재(400)가 록 해제 방향으로 스위칭 작동한다. 그 결과, 도어록 부재(400)가 록 해제된다. 오퍼레이터는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채, 예를 들면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째 그립체(406)를 쥔다는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 도어록 부재(400)를 록 해제할 수 있다. 그대로 사이드 도어(323)를 누르면 스무드하게 사이드 도어(323)가 개방 회동한다.The door lock member 4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unlocking by hand to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that is, the portion of the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A grip body 406 for switching operation is provided. The grip body 406 is linked to the door lock member 400 through a wire member embedded in the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For example, when the lower transverse frame part 404 is gripped by the grip body 406, the door lock member 400 is operated to switch in the unlock direction through the wire member. As a result, the door lock member 400 is unlocked. The operator can unlock the door lock member 400 only by a very simple operation of gripping the grip body 406, for example, the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while sitting on the steering seat 8. [ When the side door 323 is pressed as it is, the side door 323 smoothly opens.

상기 기재 및 도 34 및 도 3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7)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내면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401)을 배치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401)은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402)과, 상기 세로 프레임부(402)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403)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402)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상부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401)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캐빈(7)측방의 시계를 확보하면서 상기 보강 프레임(401)을 상기 사이드 도어(323) 자체의 강도 멤버에 이용하여 1매 유리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강성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404)를 상기 캐빈(7) 승강 시의 난간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34 and 35, the cabin 7 covers the steering seat 8 on the running vehicle 2. The cabin 7 is a cabin frame 300 which constitutes the frame, And a side door (323) that closes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abin (7)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wherein a side surface (323) of the side door (323) A reinforcing frame 401 having a C shape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frame part 402. The reinforcing frame 401 includes a longitudinal frame part 402 extending along the rear edge side of the side door 323, An upper horizontal frame portion 403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side door 323 along the upper edge side of the side door 323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portion 403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402 The lower side extending forward to divide Because it has a frame portion 404, wherein the reinforcing frame (401)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side door 323 is positioned. The reinforcing frame 401 is used as a strength member of the side door 323 itself while securing a clock on the side of the cabin 7 so that the stiffness of the side door 323, Improvement is achieved. Further, the lower lateral frame portion 404 can be used as a railing when the cabin 7 is lifted and lowered.

또한,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400)와,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324)에 상기 보강 프레임(401)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도어록 부재(400) 및 상기 상하 한쌍의 힌지(324)와 상기 보강 프레임(401)에 의해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협지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도어(323)에 대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401)을 간단하며 또한 고강도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조립 작업의 용이화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이 도모된다.A door lock member 400 for switching the side door 323 to a locked state and a unlocked state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hinges 324 for connecting the side door 323 to the cabin frame 3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de door 323 can be sandwiched by the door lock member 400 and the upper and lower pairs of hinges 324 and the reinforcing frame 401, The reinforcing frame 401 can be connected to the door 323 easily and with high strength. Therefore, the assembly work of the side door 323 can be facilit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상기 기재 및 도 34 및 도 3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7)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전방부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400)를 설치하고, 상기 사이드 도어(323) 내면 중 상하 중도부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전후 길이의 프레임체(404)를 배치하고, 상기 프레임체(404)의 전단측에 상기 도어록 부재(400)를 연결하고, 상기 프레임체(404) 중 상기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 손으로 쥠으로써 상기 도어록 부재(400)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406)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상기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채, 예를 들면 상기 프레임체(404)째 상기 그립체(406)를 쥔다는 매우 간단한 동작만으로 상기 도어록 부재(400)를 록 해제할 수 있어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개방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34 and 35, the cabin 7 covers the steering seat 8 on the running vehicle 2. The cabin 7 is a cabin frame 300 which constitutes the frame, And a side door (323) that closes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abin (7)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door (323) A frame body 404 having a longitudinal length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side door 323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door 323, The door lock member 40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steering lock member 404 and the door lock member 400 is fixed by hand to a portion of the frame body 404, A grip body 406 for performing switching operation in the lock release direction, The operator unlocks the door lock member 400 with only a very simple operation of holding the grip body 406 for the frame body 404 while sitting on the steering seat 8 And the opening operability of the side door 323 can be improved.

이어서,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서 사이드 도어(32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324)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 프레임(300) 중 후방 지주(302)에 대하여 사이드 도어(323)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각 힌지(324)는 후방 지주(302)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408)와, 힌지 스테이(408)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409)를 갖고 있다. 힌지 커버(409)의 전반부를 사이드 도어(323)의 후방 가장자리측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힌지 스테이(408)는 후방 지주(302)로부터 돌출한 평판부(408a)와, 평판부(408a)의 선단측에 형성한 피봇팅부(408b)를 구비하고 있다. 힌지 스테이(408)의 평판부(408a)에는 힌지 커버(409)의 내면 후방부측에 접촉하여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로서의 스토퍼 볼트(410)를 부착하고 있다. 스토퍼 볼트(410)는 힌지 커버(409)의 내면 후방부측에는 금속제의 접촉 플레이트(411)를 설치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323)를 개방하여 힌지 커버(409)의 접촉 플레이트(411)에 스토퍼 볼트(410)의 헤드부 또는 선단부를 접촉시킨 상태가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이 된다. 스토퍼 볼트(410)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힌지 커버(490)의 접촉 플레이트(411)와 스토퍼 볼트(410)의 접촉 위치가 변경되어서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이 조절된다.Next, a detailed structure of the hinge 324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ide door 3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6 and 37. Fig. The upper and lower angled hinges 324 that openably and closably connect the side door 323 to the rear support 302 of the cabin frame 300 include a hinge stay 408 provided on the rear support 302 and a hinge stay 408 And a hinge cover 409 which pivotally rotatably pivots on the hinge cover 409. And the front half of the hinge cover 409 is bolted to the rear edge side of the side door 323. The hinge stay 408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408a projecting from the rear support 302 and a pivoting portion 408b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lat plate portion 408a. A stopper bolt 410 as a stopper member for restricting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323 is attached to the flat plate portion 408a of the hinge stay 408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inge cover 409. [ The stopper bolt 410 is provided with a metal contact plate 411 on the rea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inge cover 409. The state in which the head portion or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topper bolt 4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late 411 of the hinge cover 409 by opening the side door 323 becomes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323. [ Th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contact plate 411 of the hinge cover 490 and the stopper bolt 410 is chang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screw insertion of the stopper bolt 410 so that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323 is adjusted.

상기 기재 및 도 36 및 도 3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7)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를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323)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324)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324)는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408)와, 상기 힌지 스테이(408)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409)를 갖고, 상기 힌지 스테이(408)에는 상기 힌지 커버(409)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410)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힌지 스테이(408)에 부착하는 상기 스토퍼 부재(410)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만으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의 규제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구조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비용 다운이 도모된다.36 and 37, the cabin 7 covers the steering seat 8 on the running vehicle 2. The cabin 7 is a cabin frame 300 which constitutes the frame, And a side door (323) for closing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cabin (7) so as to open and close the cabin (7),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in frame (300) And the hinge 324 has a hinge stay 408 provided on the cabin frame 300 and a hinge cover 409 pivotally pivotable on the hinge stay 408, The hinge stay 408 is provided with a stopper member 410 which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hinge cover 409 and restricts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323, Only the simple structure using the stopper member 410 I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maximum opening angle control of the door (323). Therefore, the structure for regulating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323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and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스토퍼 부재(410)는 상기 힌지 스테이(408)에 나사 삽입하는 스토퍼 볼트이며, 상기 스토퍼 볼트(410)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힌지 커버(409)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을 조절하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도어(323)의 최대 열림각의 조절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The stopper member 410 is a stopper bolt that screws the hinge stay 408 and adjusts a screw insertion amount of the stopper bolt 410 to change the contact position with the hinge cover 409, Since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door 323 is adjusted, the adjustment of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323 can be performed very simply.

이어서, 도 38~도 41을 참조하면서 개폐창으로서의 리어 유리(322)의 개폐 위치를 복수 단계로 스위칭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빈(7)의 후방측부(캐빈 프레임(300)의 후면측)에는 상기 장소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투명한 1매 유리제의 리어 유리(322)를 배치하고 있다. 리어 유리(322)는 후방측 빔부재(304)에 좌우 한쌍의 경첩(413)을 개재하여 개폐 가능(리프업 회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 중 후방 중간 빔부재(309) 상면의 좌우 중앙부에는 리어 유리(322)의 개폐 위치를 결정하는 피록킹부로서의 피록킹 블록(414)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피록킹 블록(414)은 한쪽의 후방 지주(302)를 향해서 개구한 평면으로부터 볼 때 コ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Next, a structure for switching the open / close position of the rear glass 322 as an opening / closing window in a plurality of step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8 to 41. Fig. On the rear side of the cabin 7 (the rear side of the cabin frame 300), a transparent rear glass 322 made of transparent glass is dispose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cabin 7 as described above. The rear glass 322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beam member 304 via a pair of right and left hinges 413 so as to be openable / closable (lifting-up rotatable). A locked block 414 as a locked portion for determ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s of the rear glass 322 is bolted to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intermediate beam member 309 among the cabin frames 300. The locked block 414 is formed in a U-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opened toward one of the rear supports 302.

리어 유리(322) 내면의 자유단측에는 회동식 핸들(415)을 부착하고 있다. 회동식 핸들(415)은 리어 유리(322) 내면의 자유단측에 체결한 핸들 베이스부(416)와, 핸들 베이스부(416)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회동축부(417)와, 회동축부(417)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핸들부(418)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축부(417)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적당히 간격을 형성하여 위치하는 하향 돌출형상의 복수의 결합 돌기(420a, 420b)를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결합 돌기(420a, 420b)는 2개 있으며, 각 결합 돌기(420a)와 피록킹 블록(414)의 결합의 조합에 의해 전폐 위치를 포함하여 리어 유리(322)의 개폐 위치를 4단계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A rotatable handle 415 is attached to the free end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glass 322. The rotary type handle 415 includes a handle base portion 416 fastened to the free end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glass 322, a rotary shaft portion 417 projecting forward from the handle base portion 416, a rotary shaft portion 417, And a handle portion 418 project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pivot shaft portion 417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ownward protruding engagement protrusions 420a and 420b which are positioned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s of the rear glass 322 including the full closing posi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engaging projections 420a and the locking blocks 414 are two As shown in FIG.

즉, 피록킹 블록(414)의 캐빈(7) 내부측 전방측면(414a)에 회동축부(417) 후단측의 제 1 결합 돌기(420a)를 서로 겹치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캐빈(7)의 후방측부가 리어 유리(322)에 의해 폐쇄된다(리어 유리(322)는 전폐 위치가 된다). 피록킹 블록(414)의 コ자형상의 함몰 홈(414b)에 제 1 결합 돌기(420a)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리어 유리(322)가 캐빈(7)의 후방측부로부터 약간 멀어진 최소 반개 위치가 된다. 피록킹 블록(414) 전방측면(414a)에 회동축부(417) 전단측의 제 2 결합 돌기(420b)를 서로 겹치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리어 유리(322)가 최소 반개 위치보다 캐빈(7)의 후방측부로부터 멀어진 중간 반개 위치가 된다. 피록킹 블록(414)의 함몰 홈(414b)에 제 2 결합 돌기(420b)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는 리어 유리(322)가 캐빈(7)의 후방측부로부터 가장 멀어진 최대 개방 위치가 된다. 또한, 개폐창으로서는 리어 유리(32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폐창은 리프업 회동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회동식의 것이나 수평 회동식의 것이어도 좋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s 420a on the rear end side of the pivot shaft portion 417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front side surface 414a of the inside of the cabin 7 of the locked block 414, The side portion is closed by the rear glass 322 (the rear glass 322 becomes the full closing position). The rear glass 322 is at least a half distance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rear side of the cabin 7 in a state where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420a is fitted into the concave recess 414b of the locked block 414. [ The rear glass 32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414a of the locked block 414 so that the rear engaging protrusion 420b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rotating shaft 417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gaging protrusion 420b of the cabin 7 It is in the middle half position away from the rear side. The rear glass 322 becomes the maximum opening position that is the farthest from the rear side of the cabin 7 in a state where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420b is fitted in the recess 414b of the locked block 414. [ The opening / closing window is not limited to the rear glass 322. The opening / closing window is not limited to the lifting up pivoting type, and may be a vertical pivoting type or a horizontal pivoting type.

리어 유리(322)의 외면 상부측에는 리어 유리(322)를 청소하는 와이퍼(421)를 설치하고 있다(도 38 참조). 한편, 리어 유리의 내면 상부측에는 와이퍼(421)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모터(도시 생략) 등을 수용한 와이퍼 구동 케이스(422)를 부착하고 있다(도 39 참조). 와이퍼(421)는 리어 유리(322)의 외면 상부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지붕체(306)의 후방부 커버(363)에는 리어 유리(322)를 크게 리프업 회동시켰을 때에 와이퍼(421)가 후방부 커버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향으로 함몰된 함몰부(423)를 형성하고 있다(도 29 참조).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유리(322)의 좌측부에 부착한 고정 브래킷(424)에는 반사판(427)을 설치하고 있다. 고정 브래킷(424)과 좌측의 후방 지주(302)는 에어 실린더 등의 댐퍼체(425)를 개재하여 연결하고, 리어 유리(322)의 우측부와 우측의 후방 지주(302)는 에어 실린더 등의 댐퍼체(426)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도 39 참조).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glass 322, a wiper 421 for cleaning the rear glass 322 is provided (see FIG. 38). On the other hand, a wiper drive case 422 accommodating a wiper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wiper 421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glass (see Fig. 39). Since the wiper 421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glass 322, when the rear glass cover 323 is largely lifted up to the rear cover 363 of the roof body 306, the wiper 421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rear cover (see Fig. 29). As shown in Fig. 38, a reflection plate 427 is provided on the fixing bracket 424 attached to the left side of the rear glass 322. Fig. The right bracket 424 and the left rear bracket 302 are connected via a damper body 425 such as an air cylinder and the right side portion and the rear side bracket 302 of the rear glass 3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ir cylinder And is connected via a damper body 426 (see Fig. 39).

상기 기재 및 도 38~도 4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2) 상의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과, 상기 캐빈(7)의 일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회동식의 개폐 창(322)을 갖는 작업 차량(1)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300)에는 상기 개폐창(322)의 개폐 위치를 결정하는 피록킹부(414)를 부착하고, 상기 개폐창(322)의 자유단측에 설치한 회동식 핸들(415)에는 상기 회동식 핸들(415)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피록킹부(414)에 선택적으로 계탈하는 복수의 결합 돌기(420a, 420b)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회동식 핸들(415)의 회동 조작이라는 매우 간단한(원터치적인) 조작만으로 상기 개폐창(322)의 개폐 위치를 복수 단계로 스위칭할 수 있어 상기 개폐창(322)을 전폐로 하거나 반개로 하거나 하는 개폐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38 to 41, the cabin 7 includes a cabin frame 300 which constitutes a frame, and a cabin 7 which covers the cabin 7 on the cabin 7, The work vehicle (1) has a rotatable opening / closing window (322) for closing one side of the cabin (7)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In the cabin frame (300) The locking portion 414 is attached to the locking portion 414 and the rotatable handle 415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322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locking portion 414 by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rotatable handle 415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open / close position of the opening / closing window 322 to a plurality of stages by only a very simple (one-touch operation) operation of rotating the pivoting handle 415 because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420a, Closing operation for opening or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window 322 And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트랙터 2 : 주행기체
3 : 전차륜 4 : 후차륜
7 : 캐빈 8 : 조종 좌석
300 : 캐빈 프레임 301 : 전방 지주
302 : 후방 지주 303 : 전방측 빔부재
304 : 후방측 빔부재 304a, 305a : 보강판
305 : 측방 빔부재 327 : 베이스 브래킷
330 : 보강판편 330a : 개구 구멍
400 : 도어록 부재 401 : 보강 프레임
406 : 그립체 408 : 힌지 스테이
409 : 힌지 커버 410 : 스토퍼 볼트
414 : 피록킹 블록 415 : 회동식 핸들
420a : 제 1 결합 돌기 420b : 제 2 결합 돌기
1: tractor 2: running vehicle
3: front wheel 4: rear wheel
7: Cabin 8: Pilot seat
300: cabin frame 301: front seat
302: rear support 303: front side beam member
304: rear side beam member 304a, 305a: reinforcing plate
305: side beam member 327: base bracket
330: reinforcing plate piece 330a: opening hole
400: door lock member 401: reinforcing frame
406: Grip body 408: Hinge stay
409: Hinge cover 410: Stopper bolt
414: Locked block 415: Rotary handle
420a: first engaging projection 420b: second engaging projection

Claims (5)

주행기체 상에 있는 조종 좌석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과, 상기 캐빈의 좌우측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를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의 내면측에 상기 사이드 도어의 강도를 높이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C자형상의 보강 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도어의 후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방 가장자리측을 따라 전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가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하단측으로부터 상기 사이드 도어의 상하를 구획하도록 전향으로 연장되는 하측 가로 프레임부를 갖고 있는 작업 차량.
1. A working vehicle having a cabin for covering a steering seat on a traveling vehicle, the cabin having a cabin frame constituting a frame and a side door for closing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cabin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A reinforcing frame having a C shape i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ide door when viewed from a side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side door, the reinforcing frame including a vertical fram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rear edge side of the side door, An upper horizontal frame portion extending forwardly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side door toward the upper edge side of the side door and a lower side horizontal frame portion extending forward to partiti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ide door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도어를 록 상태와 록 해제 상태로 스위칭하는 도어록 부재와, 상기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하 한쌍의 힌지에 상기 보강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는 작업 차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oor lock member for switching the side door to a locked state and a lock released state; and a reinforcing frame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pairs of hing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ide door with respect to the cabin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가로 프레임부 중 상기 조종 좌석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부위에 손으로 쥠으로써 상기 도어록 부재를 록 해제의 방향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그립체를 설치하고 있는 작업 차량.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grip body for switch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member in the unlocking direction by means of a hand on a portion of the lower side horizontal frame portion which is seated by the operator sitting on the steering sea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빈 프레임에 설치한 힌지 스테이와, 상기 힌지 스테이에 가로 회동 가능하게 피봇한 힌지 커버를 갖고,
상기 힌지 스테이에는 상기 힌지 커버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규제하는 스토퍼 부재를 부착하고 있는 작업 차량.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hinge which opens and closes the side door with respect to the cabin frame. The hinge includes a hinge stay provided on the cabin frame and a hinge cover pivotally rotatable on the hinge stay,
Wherein the hinge stay is provided with a stopper member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hinge cover and restricts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힌지 스테이에 나사 삽입하는 스토퍼 볼트이며, 상기 스토퍼 볼트의 나사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힌지 커버와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사이드 도어의 최대 열림각을 조절하는 작업 차량.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member is a stopper bolt that screws into the hinge stay and adjusts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side door by changing a contact position with the hinge cover by adjusting a screw insertion amount of the stopper bolt.
KR1020167031322A 2014-06-26 2015-06-19 Working vehicle KR2017002379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31858A JP2016008034A (en) 2014-06-26 2014-06-26 Working vehicle
JPJP-P-2014-131858 2014-06-26
PCT/JP2015/067783 WO2015198999A1 (en) 2014-06-26 2015-06-19 Working vehic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728A Division KR20200035487A (en) 2014-06-26 2015-06-19 Working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93A true KR20170023793A (en) 2017-03-06

Family

ID=549380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322A KR20170023793A (en) 2014-06-26 2015-06-19 Working vehicle
KR1020207008728A KR20200035487A (en) 2014-06-26 2015-06-19 Working vehic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728A KR20200035487A (en) 2014-06-26 2015-06-19 Working vehicl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008034A (en)
KR (2) KR20170023793A (en)
CN (1) CN106457981A (en)
WO (1) WO2015198999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1715A (en) 1982-04-02 1983-10-08 Sony Corp Reproducing device
JP2002067657A (en) 2000-09-04 2002-03-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Structure of cabin for mounting air conditioner
JP2004257036A (en) 2003-02-25 2004-09-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of cabi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89A (en) * 1991-06-26 1993-01-14 Iseki & Co Ltd Cabin roof for tractor and the like
JP3475952B2 (en) * 2001-12-10 2003-12-10 井関農機株式会社 Cabin of moving vehicle
JP4259094B2 (en) * 2002-11-07 2009-04-30 マツダ株式会社 Upp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CN202788376U (en) * 2012-08-31 2013-03-1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Automobile door hinge
JP5319029B1 (en) * 2013-02-22 2013-10-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Construction machinery cab and construction machinery
CN203285214U (en) * 2013-06-06 2013-11-13 无锡同捷汽车设计有限公司 Limiting hinge with adjustable ang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1715A (en) 1982-04-02 1983-10-08 Sony Corp Reproducing device
JP2002067657A (en) 2000-09-04 2002-03-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Structure of cabin for mounting air conditioner
JP2004257036A (en) 2003-02-25 2004-09-1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Opening-closing device of ca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7981A (en) 2017-02-22
KR20200035487A (en) 2020-04-03
WO2015198999A1 (en) 2015-12-30
JP2016008034A (en)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404B1 (en) Work vehicle
KR102140360B1 (en) Industrial vehicle
KR20050096813A (en) Revolving work vehicle having revolving frame
KR102140429B1 (en) Industrial vehicle
KR20170023793A (en) Working vehicle
JP4814742B2 (en) Tractor
JP6346001B2 (en) Tractor
JP6309363B2 (en) Work vehicle
WO2016060022A1 (en) Working vehicle
JP6275568B2 (en) Work vehicle
JP6216281B2 (en) Tractor
JP2016010990A (en) Working vehicle
JP2016008036A (en) Work vehicle
JP2016008030A (en) Work vehicle
WO2015147231A1 (en) Working vehicle
JP2016008032A (en) Work vehicle
JP6177176B2 (en) Work vehicle
JP2015189450A (en) work vehicle
JP2015189449A (en) work vehicle
JP2015193306A (en) work vehicle
JPH1159503A (en) Tractor with cabin
JP2016008033A (en) Work vehicle
JPH1159502A (en) Tractor with cabin
JP2005343348A (en) Tractor
JP2005178553A (en) 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