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517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517A
KR20170023517A KR1020150118767A KR20150118767A KR20170023517A KR 20170023517 A KR20170023517 A KR 20170023517A KR 1020150118767 A KR1020150118767 A KR 1020150118767A KR 20150118767 A KR20150118767 A KR 20150118767A KR 20170023517 A KR20170023517 A KR 2017002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timer
circuit card
backoff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8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3517A/ko
Publication of KR2017002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Abstract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MTC 디바이스는,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제1 위치 상태(location status) 값을 전송하고,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제2 위치 상태 값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은 서비스 불가(no service)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은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 또는 정상 서비스(normal service)에 대응하며,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MACHINE TYPE DEVICE WITH BACKOFF TIM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머신-투-머신(Machine-to-Machine, M2M) 통신 머신타입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으로 지칭되는 MTC는 유무선 시스템이 동일한(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기술들을 설명하는 데에 이용된다. MTC는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의미하며, 전자 장치 간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 또는 사람이 제어하는 장치와 기계간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TC는 사람의 관여 없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C는 일련의 몇몇 이벤트(예를 들어, 온도, 저장 레벨 등)를 캡쳐(capture) 또는 검출하기 위한 장치(예를 들어, 센서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캡쳐 또는 검출된 이벤트들은 이벤트를 의미 있는 정보로 번역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검출된 이벤트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메시지를 다른 기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MTC 서비스는 텔레메트리(telemetry)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MTC 통신이 처음 도입된 1990년대 초반에는 원격 조정이나 텔레매틱스 정도의 개념으로 인식되었고, 파생되는 시장 자체도 매우 한정적이었으나, 지난 몇 년간 MTC는 고속 성장을 거듭하면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시장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판매 관리 시스템(Point Of Sales, POS)과 보안 관련 응용 시장에서 물류 관리(Fleet Management), 기계 및 설비의 원격 모니터링, 건설 기계 설비 상의 작동시간 측정 및 열이나 전기 사용량을 자동 측정하는 지능 검침(Smart Meter) 등의 분야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한편, MTC를 위하여 MTC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에 등록되지 않은 MTC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로의 등록을 시도 중에, MTC 디바이스는 백오프 시간(backoff time)이 포함된 거절(reject)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MTC 디바이스는 설정된 백오프 시간 동안 네트워크로의 등록을 시도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백오프 시간 동안에도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부터 모바일 장비(Mobile Equipment, ME)로 프로액티브 명령(proactive command)인 오픈 채널(Open Channel)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명령의 전송은 불필요한 시그널 오버헤드(overhead)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단말 내부의 시그널 오버헤드(signal overhead)를 감소시키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단말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전체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제1 위치 상태(location status) 값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제2 위치 상태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은 서비스 불가(no service)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은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 또는 정상 서비스(normal service)에 대응하며,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Access Restriction by Backoff) 값을 갖는 제1 터미널 응답(terminal response)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의하여,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Release restriction by Backoff)를 추가하기 위한 셋업 이벤트 리스트(setup event list)를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셋업 이벤트 리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벤트 리스트에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나타내는 제2 터미널 응답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미널 응답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터미널 응답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는, 무선 주파수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제1 위치 상태(location status) 값을 전송하고,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제2 위치 상태 값을 전송하고,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은 서비스 불가(no service)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은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 또는 정상 서비스(normal service)에 대응하며,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는, 무선 주파수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Access Restriction by Backoff) 값을 갖는 제1 터미널 응답(terminal response)을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 의하여,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Release restriction by Backoff)를 추가하기 위한 셋업 이벤트 리스트(setup event list)를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셋업 이벤트 리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벤트 리스트에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추가하고,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나타내는 제2 터미널 응답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전송하며, 상기 제1 터미널 응답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터미널 응답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단말이 백오프 타이머로 인하여 네트워크로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불필요한 UICC-ME 간 시그널링을 방지하여 ME가 대기(sleep) 모드에서 벗어나는 횟수가 줄어들어 단말의 배터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백오트 타이머가 설정된 경우, UICC-ME 간의 시그널링을 방지함으로써 UICC에 클록(clock)이 계속하여 인가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UICC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장점, 목적,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또는 당업자가 이하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자가 이하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함에 따라 예측치 않은 장점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MTC 서버를 이용한 MTC 서비스 모델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MTC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MTC 서비스 모델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MTC 서비스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구현하는 네트워크 구조 (architecture)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어태치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도시한다.
도 5는 PDN 연결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도시한다.
도 6은 RRC 연결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단말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단말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실시예들은 3GPP TS 23.272와 같은 표준 문서들에 의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 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를 설명한다.
-TA(tracking area)는 E-UTRAN(Evolved-Universal Terrestrial Access Network)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을 가리키며 하나 또는 다수의 E-UTRAN 셀(cell)을 포함한다.
-RA(routing area)는 GERAN/UTRAN(GSM Edge Radio Access Netwrok/Universal Terrestrial Access Netwrok)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을 가리키며 하나 또는 다수의 GERAN/UTRAN 셀을 포함한다.
-TAI(Tracking Area Identity) 리스트는,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업데이트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단말이 진입할 수 있는 트래킹 지역들을 식별하는 각 TA 식별자(tracking area identity, TAI)의 리스트들을 가리킨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 지역 (Mobility Management Entity area, MME area): MME 지역은 MME가 서비스하는 네트워크의 일부 지역을 가리킨다. MME 지역은 하나 또는 다수의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TA)들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기지국(즉, eNodeB)이 서비스하는 모든 셀은 하나의 MME 지역에 포함된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는 3G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EPS(Evolved Packet System)는 LTE(Long Term Evolution)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이다. 또한, EPS는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NodeB: UMTS 망의 기지국으로 옥외에 설치되며 커버리지(coverage)는 매크로 셀(macro cell)의 규모를 가질 수 있다.
-eNodeB: EPS 망의 기지국으로 옥외에 설치되며, 서비스 커버리지는(coverage)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를 가질 수 있다.
-UE(User Equipment)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고, 또는 PC(Personal Computer),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도 있다.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는 이동통신망에서 국제적으로 유일하게 할당된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ID)이다.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는 IMSI와 같은 사용자 가입자 정보 등이 포함된 카드를 의미한다.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SIM 카드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는 사람의 개입 없이 장치간에 일어나는 통신을 의미한다.
-MTC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통한 통신기능이 있는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단말(UE)로서, 예를 들어, 자판기, 검침기 등이 있다.
-MTC 서버(server)는 MTC 디바이스를 관리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이다. MTC 서버는 코어 네트워크 외부에 있을 수 있다.
-MTC 가입자는 하나 이상의 MTC 장치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사업자와 계약 관계를 가지는 법인 또는 사람을 의미한다.
-MTCu는 사용자 플레인 및 제어 평면 트래픽의 전송을 위한 3GPP 네트워크에 대한 MTC 장치의 접속(access)을 제공한다. MTCu 인터페이스는 Uu, Um, Ww 및 LTE-Uu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MTCi: MTC 서버가 3GPP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하고, 3GPP 베어러(bearer) 서비스/IMS를 통해 MTC 장치와 통신하는 기준점(reference point). MTCi는 Gi, Sgi 및 Wi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MTCsms: MTC 서버는 3GPP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하여 기준점을 이용하고, 3GPP의 SMS를 통해 MTC 장치와 통신한다.
-MTC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MTC 디바이스와 MTC 서버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예를 들어, 원격 검침, 물량 이동 추적 등일 수도 있다.
-MTC 기능(Feature)은 MTC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기능이나 특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TC 감시(monitoring) (장비 분실에 대비한 원격 검침 등에 필요), Low mobility(자판기의 경우 이동이 거의 없다.) 등이 MTC 기능일 수 있다.
-RAN(Radio Access Network)은 3GPP 네트워크에서 NodeB, eNodeB 및 이들을 제어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는 단위로서, UE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존재하며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HLR(Home Location Register)/HSS(Home Subscriber Server)은 3GPP 네트워크 내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HSS는 설정 저장(configuration storage), 아이덴티티 관리(identity management), 사용자 상태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는 RAN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제어를 담당하는 노드 (MME/SGSN/MSC)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셀 캠핑 (또는 캠프) 온 (Cell camping on) 상태란, 단말이 셀 선택 절차 또는 셀 재선택 절차(cell selection/reselection process)를 마치고 셀(cell)을 선택한 상태를 의미한다.
-ISR(Idle mode Signaling Reduction)는, 예를 들어 E-UTRAN 네트워크와 UTRAN/GERAN 과 같이 서로 다른 접속 네트워크 (access network)를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위치등록을 위한 시그널링을 줄여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을 높여주는 서비스이다.
-ICS(IMS Centralized Services)는, 단말이 어태치(attach)되어 있는 접속네트워크 (access network)에 상관없이, IMS(IP Multimedia Subsystem)로 안정되게 일정한 (consistent)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IP 기반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어태치(attach)란, 단말이 네트워크 노드와 접속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써, 넓은 의미로 핸드오버(handover)시 발생하는 어태치 또한 포함할 수 있다.
-ME(Mobile Equipment)는 단말(UE)에서 UICC를 제외한 엔티티(entity)를 의미한다.
-PDN GW(또는 P-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는 수많은 eNodeB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백오프 타이머(backoff timer)는 단말이 정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에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도록 하는 타이머로서, 혼잡(congestion) 상황에서의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프로액티브 명령(Proactive Command)은 UICC로부터 ME로 송신되는 명령을 의미한다.
-인벨로프 명령(Envelope Command)은 ME로부터 UICC로 송신되는 명령을 의미한다.
-오픈 채널(Open Channel) 명령은 프로액티브 명령으로서, UICC로부터 ME로 채널 개방을 요청하기 위하여 송신된다. 오픈채널 명령을 수신한 ME는 명령의 실행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ME는 터미널 응답(Terminal Response)을 이용하여 명령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는지를 UICC에 알려줄 수 있다.
-터미널 응답(Terminal Response)은 프로액티브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결과 값을 포함한다.
-셋업 이벤트 리스트(setup event list)는 프로액티브 명령 중 하나로서, UICC는 ME로부터 알림 받기를 원하는 이벤트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셋업 이벤트 리스트를 이용하여 ME로 송신할 수 있다. 후속하는 셋업 이벤트 리스트 명령은 이전 셋업 이벤트 리스트 명령 내에 제공된 현재 이벤트 리스트를 대체할 수 있다.
-이벤트 다운로드(event download)는 인벨로프 명령 중 하나이다. 셋업 이벤트 리스트 내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ME는 이벤트 다운로드를 통하여 이를 UICC로 전달할 수 있다.
-이벤트 리스트(event list)는 가변 길이의 이벤트들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리스트 내의 각 바이트는 하나의 이벤트를 정의하며, 각각의 이벤트 유형은 리스트 내에서 한번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MT(Mobile Terminated) call”은 “00”의 값을 “Call connected”는 “01”의 값을, “Call disconnected”는 “02”의 값을 “위치 상태(Location Status)”는 “03”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위치 상태(Location Status)는 셋업 이벤트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는 이벤트이다. 위치 상태 또는 위치 정보의 변경 또는 업데이트와 함께 단말이 유휴(idle)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ME는 UICC로 위치 상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위치 상태는 단말의 현재 서비스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정상 서비스(normal service)”는 서비스에 대한 모든 요청이 정상적으로 취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는 긴급 호출 서비스들(emergency call services)만이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서비스 불가”는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기술용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MTC 서버를 이용한 MTC 서비스 모델의 일례를 나타낸다. MTC 장치(110)가 MTCu 인터페이스를 통해 3GPP 네트워크(120)(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evolved-UTRAN), GERAN(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에 접속하는 개념적 구조가 도시된다. MTC 장치는 PLMN(130)이 제공하는 3GPP 베어러 서비스, SMS 및/또는 IMS를 이용하여 MTC Server 또는 다른 MTC 장치와 통신한다. MTC 서버 (141, 142)는 MTC 장치와 통신하기 위하여 MTCi 인터페이스 및/또는 MTCsms 인터페이스를 통해 3GPP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엔티티이다. MTC 서버는 운영자 도메인(domain)의 외부 또는 내부의 엔티티 일 수 있다.
도 2는 MTC 서버를 이용하지 않는 MTC 서비스 모델의 일례를 나타낸다. 특정 MTC 장치(210)는 서비스 제공자 A(220)와 직접 통신하고, 다른 MTC 장치 (240)는 서비스 제공자 B(23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MTC 서비스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구현하는 네트워크 구조(architecture)의 일례를 나타낸다. E-UTRAN은 단말 또는 MTC 장치(312, 314) 방향으로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단자를 제공하는 기지국(330, 332, 334)으로 구성된다. 기지국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기지국들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S1-MME를 통하여 MME(342, 344)에, S1-U를 통하여 S-GW(Serving Gateway)(342, 344)에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MME들, S-GW들 및 기지국들 사이의 다대다(many-to-many) 관계를 지원한다. Un 인터페이스는 공여 기지국(DeNB: Donor eNB)과 릴레이 노드(RN: Relay Node)(320)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고, Uu 인터페이스는 릴레이 노드와 단말(MTC 장치) 사이의 연결을 지원한다.
네트워크의 혼잡(congestion) 제어를 위하여, 백오프 타이머(backoff timer)가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MTC 디바이스로 설정된 단말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연장된 대기 시간(extended wait time)을 갖는 RRC 연결 해제(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lease) 또는 RRC 연결 거부(RRC connection Reject)를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 NAS EMM(Non-access stratum EPS Mobility Management) 절차 중 EMM 사유(cause) 22번(혼잡)을 이유로 하는 거적을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 또는 NAS ESM(EPS Session Management)의 PDN 연결 절차(PDN Connectivity Procedure) 중에 ESM 사유 26번(자원 부족) 또는 ESM 사유 27번(missing or unknown APN)을 이유로 하는 거절을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에, 백오프 타이머(T3346/T3396)가 단말에 설정될 수 있다. 백오프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서비스 요청에 대한 거절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백오프 타이머가 작동(running)되는 동안,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operation)들을 수행할 수 있다. 긴급(emergency) 또는 높은 우선순위 단말이 아닌 경우, NAS 레이어는 백오프 타이머(T3346/T3396)이 동작되는 동안 등록(예를 들어, 어태치 절차/위치 추적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TAU) 절차) 또는 PDN 연결시도(PDN connectivity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RRC 레이어는 상위 레이어(NAS 레이어)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NAS 레이어는 T3346 백오프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술한 NAS 레이어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백오프 타이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3GPP 표준 문서 TS 36.331 및 TS 24.301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어태치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도시한다.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 등록 또는 어태치되지 않은 단말이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하여 어태치 요청(attach request)을 네트워크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TC으로 설정된 단말일 수 있다. 이 경우, 어태치 요청은 PDN 연결 요청(PDN connectivity request)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가 혼잡한 경우, EMM 사유(cause) 22번을 포함하는 어태치 거절(attach reject)이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어태치 거절에 T3346 값이 포함되는 경우, 단말은 백오프를 수행하기 위하여 T3346 백오프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으며, T3346 타이머가 동작되는 동안 단말은 네트워크로의 등록을 시도할 수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태치 요청이 NAS 레벨 이동성 관리 혼잡 제어로 인하여 거절된 경우, 네트워크는 EMM 사유 값을 22로 설정하고 백오프 타이머 T3346을 할당할 수 있다. 어태치 거절 메시지 내에 T3346 값 IE(Information Element)가 존재하고, T3346 값이 0이나 타이머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단말은 다음과 같은 절차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어태치 절차(attach procedure)를 중단(abort)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어태치 시도 카운터(attach attempt counter)를 리셋하고 EPS 업데이트 상태를 EU2 NOT UPDATE로 설정하고 EMM-DEREGISTERED.ATTEMPTING-TO-ATTACH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3346 타이머가 작동중인 경우 T3346 타이머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어태치 거절 메시지가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ed)된 경우, 단말은 T3346 값 IE 내에 제공된 값으로 T3346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어태치 거절 메시지가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ed)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3GPP TS 24.008에 기재된 디폴트 범위로부터의 임의의 값으로 T3346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단말은 현재 서빙 셀에 머무르고, 정상 셀 재선택 절차를 적용할 수 있다. 어태치 절차는 T3346 타이머가 정지되거나 만료되고 어태치 절차가 여전히 필요 되는 경우 시작될 수 있다.
상술한 T3346 값은 TRACKING AREA UPDATE REJECT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MO(mobile originated)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요청이 NAS 레벨 이동성 관리 혼잡 제어로 인하여 거절된 경우, 네트워크는 EMM 사유 값을 22로 설정하고 백오프 타이머 T3346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영역 추적 요청이 NAS 레벨 이동성 관리 혼잡 제어로 인하여 거절된 경우, 네트워크는 EMM 사유 값을 22로 설정하고 백오프 타이머 T3346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어태치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 UICC(410)는 오픈 채널 명령을 ME(420)로 송신(S4-10)한다. 오픈 채널 커맨드에 대응하여, ME(420)는 어태치 요청(attach request)을 MME/P-GW(440)로 송신(S4-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AS 레벨의 이동성 관리 혼잡 제어로 인하여 어태치 요청이 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MME/P-GW(440)는 백오프 타이머(T3346)를 할당하여 어태치 거절(attach reject)을 ME(420)로 송신(S4-30)할 수 있다. T3346이 할당된 어태치 거절을 수신한 ME(420)는 백오프 타이머를 시작(S4-40)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오픈 채널 명령의 송신(S4-10)은 백오프 타이머의 시작(S4-40) 뒤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오픈 채널 명령(프로액티브 명령)에 대한 터미널 응답이 ME(420)로부터 UICC(410)로 송신(S4-50)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ME(420)는 백오프 타이머가 동작 중에는 어태치 절차를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터미널 응답은 오픈 채널 명령을 현재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백오프 타이머의 작동 중에도, UICC(410)로부터 ME(420)로의 프로액티브 명령의 송신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백오프 타이머가 작동중인 동안 오픈 채널 명령의 송신(S4-60)과 터미널 응답의 송신(S4-70)이 반복될 수도 있다.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S4-80)된 후, ME(420)는 UICC(410)로부터 오픈 채널 명령을 수신(S4-90)하여 어태치 요청을 다시 MME/P-GW(440)로 송신(S4-100)할 수 있다.
도 5는 PDN 연결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도시한다.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어태치)된 단말이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네트워크로 PDN 연결 요청(PDN connectivity request)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TC로 설정된 단말일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에서 자원이 불충분하거나, 누락 또는 알 수 없는 APN 정보일 경우, 네트워크는 ESM 사유 26(자원 불충분)번 또는 27번(누락 또는 알 수 없는 APN)을 포함하는 PDN 연결 거절(PDN connectivity reject)를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T3396 값이 포함된 PDN 연결 거절을 수신한 경우, 단말은 T3396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T3396 타이머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단말은 PDN 요청을 송신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PDN 연결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서, 어태치 절차의 성공적인 완료(S5-10) 후, UICC(510)는 ME(520)로 오픈 채널(open channel) 명령을 송신(S5-20)한다. ME(520)는 MME/P-GW(540)로 PDN 연결 요청을 송신(S5-30)한다. 네트워크의 자원이 부족하거나 누락 또는 알 수 없는 APN의 경우, MME/P-GW(540)는 T3396 값을 포함하는 PDN 연결 거절을 ME(520)로 송신(S5-40)할 수 있다. ME(520)는 네트워크가 현재 명령을 처리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터미널 응답을 UICC(510)로 송신(S5-50)할 수 있다. 또한, ME(520)는 T3396 값의 수신에 대응하여 백오프 타이머를 시작(S5-60)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ME(520)는 백오프 타이머가 동작 중에는 PDN 연결 요청을 수행할 수 없다. 그러나, 백오프 타이머의 작동 중에도, UICC(510)로부터 ME(520)로 오픈 채널 명령의 송신(S5-70)과 터미널 응답의 송신(S5-80)이 반복될 수도 있다.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S5-90)된 후, ME(520)는 UICC(510)로부터 오픈 채널 명령을 수신(S5-100)하여 PDN 연결 요청을 다시 MME/P-GW(540)로 송신(S5-110)할 수 있다.
도 6은 RRC 연결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도시한다.
MTC로 설정된 단말이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셋업(setup)이 필요한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를 기지국(eNodeB)으로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무선 베어러의 설정이 불가능한 경우, 기지국은 연장대기시간(extendedWaitTime)을 포함하는 RRC 연결 거절을 단말로 송신한다. 이 경우, RRC는 상위 레이어(예를 들어, EMM)를 통하여 연장대기시간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하위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부터 연장대기시간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연장대기시간의 값에 대응하는 T3346 타이머를 시작한다. T3346 타이머가 작동하는 동안, 단말은 어태치 절차를 시도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RRC 연결 거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서, UICC(610)는 오픈 채널 명령을 ME(620)로 송신(S6-10)한다. 오픈 채널 커맨드에 대응하여, ME(620)는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을 기지국(eNodeB, 640)으로 송신(S6-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의 설정이 불가능한 경우, 기지국(640)은 연장대기시간을 포함하는 RRC 연결 거절(RRC connection Reject)을 ME(620)로 송신(S6-30)할 수 있다. 연장대기시간을 포함하는 RRC 연결 거절을 수신한 ME(620)는 백오프 타이머를 시작(S6-40)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오픈 채널 명령의 송신(S6-10)은 백오프 타이머의 시작(S6-40) 뒤에 수행될 수도 있다.
프로액티브 명령 중 하나인 오픈 채널 명령에 대한 터미널 응답이 ME(620)로부터 UICC(610)로 송신(S6-50)된다. 터미널 응답은 오픈 채널 명령을 현재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백오프 타이머의 만료(S6-80) 전에, 오픈 채널 명령의 송신(S4-60)과 터미널 응답의 송신(S4-70)이 반복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백오프 타이머가 단말에 설정된다고 하더라도 UICC는 프로액티브 명령인 오픈 채널 명령을 ME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UICC와 ME 사이에 불필요한 시그널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 오버헤드는 백오프 시간이 길어질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동안 UICC로부터의 불필요한 시그널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시그널 오버헤드의 감소를 위하여, 백오프 타이머가 작동중인 경우에 새로운 ME의 동작이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백오프 타이머가 작동중인 경우, ME는 서비스 불가(no service) 메시지를 UICC에 송신할 수도 있다. 서비스 불가 메시지를 수신한 UICC는 서비스와 관련된 명령을 ME로 송신하지 않는다. 다만, 서비스 불가 상태라고 하여도, 몇몇 프로액티브 명령(예를 들어, event setup list, poll interval, refresh 등)은 ME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ME로부터 UICC로의 인벨로프 명령(envelope command) 또한 UICC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ME는 인벨로프 명령을 송신하여 UICC로 하여금 새로운 서비스 요청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는 위치 상태(Location Status)를 포함하는 이벤트 다운로드(event download) 명령을 이용하여 이전 상태 값(백오프 타이머 시작 전의 상태로서, 예를 들어, 일반 서비스/제한 서비스(normal service/limited service))을 UICC로 송신할 수 있다. 이벤트 다운로드 명령을 수신한 UICC는 ME로의 새로운 서비스 요청(예를 들어, PDN 연결 요청, RRC 연결 요청, 또는 어태치 요청)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단말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동안에도 UICC로부터 ME로 오픈 채널과 같은 프로액티브 명령이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동안에는 UICC로부터 ME로 일부의 서비스 요청을 제한하는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UICC(710)로부터의 프로액티브 명령인 셋업 이벤트 리스트(setup event list)를 통하여 “위치 상태(location status)” 이벤트가 이벤트 리스트에 추가된 상태이다. 따라서, ME(720)는 위치 상태가 변경될 때 마다, 상태와 위치 정보를 UICC(710)로 송신할 수 있다. ME(720)는 이벤트 리스트 내의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인벨로프 명령 중 하나인 이벤트 다운로드(event download)를 이용하여 UICC(710)에 이벤트의 변동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ME(720)는 이벤트 다운로드(event download) 명령을 이용하여 위치 상태의 변동을 UICC(7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7에서, PDN 연결 거절, RRC 연결 거절 또는 어태치 거절에 의하여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S7-10)된다. 백오프 타이머가 동작 중에 UICC(710)로부터 오프 채널(S7-20)이 수신되면, ME(720)는 명령을 처리할 수 없다는 터미널 응답(S7-30)을 UICC(7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ME(720)는 더 이상의 오픈 채널 송신(S7-20)을 막기 위하여 인벨로프 명령(S7-40)을 UICC(710)로 송신할 수 있다. ME(720)는 인벨로프 명령 중 하나인 이벤트 다운로드를 이용하여 UICC(710)로 위치 상태-서비스 불가(no service)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불가 메시지를 수신한 UICC(710)는 서비스 불가 상태로 설정(S7-50)될 수 있다. UICC(710)는 ME(720)를 서비스 불가능한 상태로 인식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서비스 요청을 네트워크로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이상의 오픈 채널 명령의 송신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ME(720)는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S7-10)되면 위치상태-서비스불가 메시지를 UICC(710)로 송신(S7-40)할 수 있다. 즉, 오픈 채널 수신(S7-20)과 터미널 응답(S7-3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백오프 타이머 시작(S7-10) 이전의 요청에 대응하는 터미널 응답(S7-30)이 송신되고, 오픈 채널 수신(S7-20) 만이 생략될 수도 있다.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S7-60)되면, ME(720)는 인벨로프 명령 중 하나인 이벤트 다운로드 명령을 통하여 위치상태-정상 서비스(normal service) 메시지를 UICC(710)로 송신(S7-70)할 수 있다. UICC(710)는 정상 서비스(S7-80)로 설정되고 다시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을 위한 오픈 채널을 송신(S7-90)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상태-정상 서비스 메시지 대신에 위치상태-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 메시지가 UICC(710)로 송신될 수 있다. 이는 백오프 타이머의 시작(S7-10) 이전의 위치 상태의 값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즉, 백오프 타이머 만료(S7-60) 후의 위치 상태의 값은 백오프 타이머 시작(S7-10) 전의 위치 상태의 값으로 복원될 수 있다. UICC(710)가 위치상태-제한된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UICC(710)는 제한된 서비스 상태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새로운 이벤트의 추가 또는 새로운 명령의 추가 없이도, 기존의 표준의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E(720)가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해제시에 위치 상태의 변경을 위한 이벤트 다운로드 명령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단말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PDN 연결 거절, RRC 연결 거절 또는 어태치 거절에 의하여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S8-10)된다.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이유에 의하여 UICC(810)로부터 시작된 프로액티브 명령(예를 들어, 오픈 채널)에 의한 서비스 요청이 거절되는 경우,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터미널 응답으로서 ME(820)로부터 UICC(810)로 송신된다. 이러한 터미널 응답은 백오프 타이머의 설정 전에 또는 설정 후에 ME(820)로부터 UICC(810)로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응답에 새로운 메시지를 추가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ME(820)는 오픈 채널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 (Access Restriction by Backoff)”를 터미널 응답을 통하여 UICC(810)로 송신(S8-20)할 수 있다. 터미널 응답의 송신(S8-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백오프 타이머의 시작(S8-1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 값을 수신한 UICC(810)는 네트워크 액세스 제한(S8-30) 상태가 된다. UICC(810)는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네트워크로의 등록 또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명령을 ME(820)로 송신하지 않는다. 터미널 응답의 결과(result) 값으로서,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은 “3E (16 진수)”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UICC(810)로 백오프 타이머의 만료를 알리기 위하여, 셋업 이벤트 리스트에 새로운 이벤트가 추가될 수 있다. UICC(810)는 백오프 타이머의 만료를 알려주는 이벤트를 인에이블(enable)하기 위하여, 셋업 이벤트 리스트(S8-40)를 이용하여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Release restriction by Backoff)의 이벤트를 ME(820)의 이벤트 리스트에 추가한다. 예를 들어,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는 이벤트 리스트 상에서 “1D(16진수)” 값을 가지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셋업 이벤트 리스트(S8-40)에 응답하여, ME(820)는 셋업 이벤트 리스트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는 터미널 응답을 UICC(810)로 송신(S8-50)하고, 이벤트 리스트에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추가(S-60)할 수 있다. 한편, 터미널 응답의 송신(S8-5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S8-70)되면, ME(820)는 인벨로프 명령 중 하나인 이벤트 다운로드를 통하여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해제”를 UICC(810)로 송신(S8-80)할 수 있다.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해제”를 수신한 UICC(810)는 네트워크 액세스 허용(S8-90)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UICC(810)는 네트워크로의 액세스 또는 서비스 요청을 위한 오픈 채널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따른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모리(memory) 또는 저장장치(storage) 등(12, 2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코드(software code)에 접속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유닛(processing unit)(컨트롤러,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11, 21) 및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유닛(13, 23)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와 특징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CPU 등, 이동 단말 및/또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섹션(section) 또는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CPU 등, 이동 단말 및/또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서 실행되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툴(software tool)은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섹션(section) 또는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유형의 기술 및 표준과 호환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3GPP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 LTE, LTE-Advanced, etc.), IEEE 802, 4G와 같은 표준에 연관된다. 그러나, 상기 예시적인 표준들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 및 특징에 적용 가능한 다른 연관된 표준 및 기술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 및 특징들은 MTC 및/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 장치(예들 들면, 이동 단말, 핸드셋, 무선 통신 장치 등) 및/또는 네트워크 장치, 엔티티, 구성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청구항에서 정의된 범위 내에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청구 범위 내로 해석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backoff timer)가 설정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제1 위치 상태(location status) 값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제2 위치 상태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은 서비스 불가(no service)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은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 또는 정상 서비스(normal service)에 대응하며,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은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에 설정된 값인,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타이머는, 네트워크로부터의 거절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MTC 디바이스에 설정되고,
    상기 거절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어태치 거절(attach reject), PDN 연결 거절(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Reject) 또는 RRC 연결 거절(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ject)을 포함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절 메시지는,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부터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된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거절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터미널 응답(terminal response)을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거절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 및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은 인벨로프 명령(envelope command) 중 하나인 이벤트 다운로드(event download)에 의하여 전송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backoff timer)가 설정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Access Restriction by Backoff) 값을 갖는 제1 터미널 응답(terminal response)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의하여,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Release restriction by Backoff)를 추가하기 위한 셋업 이벤트 리스트(setup event list)를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셋업 이벤트 리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벤트 리스트에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나타내는 제2 터미널 응답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미널 응답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터미널 응답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은 터미널 응답의 결과 값 중 하나로서 정의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는 이벤트 리스트 내의 하나의 이벤트로서 정의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 이벤트 리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 카드로 상기 셋업 이벤트 리스트가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제3 터미널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타이머는, 네트워크로부터의 거절 메시지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MTC 디바이스에 설정되고,
    상기 거절 메시지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어태치 거절(attach reject), PDN 연결 거절(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Reject) 또는 RRC 연결 거절(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ject)을 포함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타이머의 지속 시간은 상기 거절 메시지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backoff timer)가 설정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로서,
    무선 주파수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제1 위치 상태(location status) 값을 전송하고,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제2 위치 상태 값을 전송하고,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은 서비스 불가(no service)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은 제한된 서비스(limited service) 또는 정상 서비스(normal service)에 대응하며,
    상기 제1 위치 상태 값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위치 상태 값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되는, MTC 디바이스.
  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backoff timer)가 설정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로서,
    무선 주파수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백오프 타이머가 시작되면, 상기 MTC 디바이스의 모바일 장치(Mobile Equipment, ME)로부터 상기 MTC 디바이스의 범용집적회로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로 백오프에 의한 액세스 제한(Access Restriction by Backoff) 값을 갖는 제1 터미널 응답(terminal response)을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에 의하여,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Release restriction by Backoff)를 추가하기 위한 셋업 이벤트 리스트(setup event list)를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셋업 이벤트 리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의 이벤트 리스트에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추가하고,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백오프에 의한 제한 해제를 나타내는 제2 터미널 응답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로 전송하며,
    상기 제1 터미널 응답을 수신한 상기 범용집적회로카드는 상기 제2 터미널 응답의 수신 전에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요청이 제한되는, MTC 디바이스.
KR1020150118767A 2015-08-24 2015-08-2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70023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767A KR20170023517A (ko) 2015-08-24 2015-08-2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767A KR20170023517A (ko) 2015-08-24 2015-08-2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517A true KR20170023517A (ko) 2017-03-06

Family

ID=5839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767A KR20170023517A (ko) 2015-08-24 2015-08-2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35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3620B1 (en) Serving node relocat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KR101339044B1 (ko) 서빙 코어 네트워크 노드가 변경될 때의 모바일 장치의 접근성의 처리
US96096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RAN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56487B1 (ko) 확장 액세스 바링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
EP3342247B1 (en) Method of enhanced timer handling for sim or usim change
KR1016738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간 통신 인가 및 데이터 스니핑
US96616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UE session management procedure retry after network rejection
US10034325B2 (en) Enhance at command for backoff timer control
US11546876B2 (en) Paging for delay tolerant mobile terminals and applications
US10356705B2 (en) Method for location area update in multi-rat environ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aging information
EP2957135B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idle mode
US9756568B2 (en) Enhance AT command for backoff timer control
KR102570814B1 (ko) 네트워크 유지 관리를 위한 측정 보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73504A (ko) 데이터 전송/수신 장치 및 방법, 및 통신 시스템
CN105430593B (zh) 处理用于装置对装置通信的开放直接发现的装置
US9955455B2 (e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paging procedure
US20210276444A1 (en) Method and device of charging session management
US9642178B2 (en) Connection procedure for cellular mobile networks
US20160119943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in Communications
US10383169B2 (en) Base station and terminal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of base station
WO2019047139A1 (en) CONFIGURATION OF COMMUNICATION DEVICE REVIEW
EP3496468B1 (en) Network entity for creating a transmission session via a network system, roaming firewall, network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7002351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백오프 타이머가 설정된 mtc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1526602B (zh) 无线通信中在拥塞控制下发送用户数据的方法和装置
CN115066978A (zh) 用于缺席时间请求的方法及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