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618A -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618A
KR20170022618A KR1020150117847A KR20150117847A KR20170022618A KR 20170022618 A KR20170022618 A KR 20170022618A KR 1020150117847 A KR1020150117847 A KR 1020150117847A KR 20150117847 A KR20150117847 A KR 20150117847A KR 20170022618 A KR20170022618 A KR 2017002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stand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storage
storage clo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민
Original Assignee
안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철민 filed Critical 안철민
Priority to KR1020150117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2618A/ko
Publication of KR2017002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05B37/0227
    • H05B37/02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에 따르면, 세면가능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1신체감지센서; 수도꼭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신체감지센서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상기 세면대로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전자석 밸브; 및 상기 세면대가 지지되며, 상기 수도꼭지와 연결된 배관과, 상기 세면대로 배출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트랩이 내부에 구비된 수납장;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장은, 상기 세면대의 하부가 삽입되고 세면대의 상단이 걸쳐질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수납장의 상측면에 세면 또는 욕실용품을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세면대와 수납장을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선반보다 수납장의 상측면과 내부에 배치 및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세면대 배관과 배수트랩 등을 수납장 안으로 간단하게 가릴 수 있으며, 욕실디자인과 시공비용, 그리고 시공기술면에서 종래의 선반보다 저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세면대 뒤편에는 “젠다이”라고 부르는 조적선반(이하, '선반'이라 함)이 있다. 이 선반의 기능은 세면대 배관을 선반 뒤편으로 숨겨 배관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선반 위쪽에 욕실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선반 없이 세면기 위쪽에 욕실장을 설치할 경우 머리가 욕실장에 부딪힐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욕실에는 선반을 설치한다.
그러나, 선반은 시공시간과 자재비, 인건비면에서 소비자들에게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공공 화장실에서의 세면대와 가까이 물기건조기기가 구비되어 있어 화장실 사용이 불편하였다.
더불어, 가정의 화장실에서는 물기건조기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건을 사용해야 하는데 가족 전체가 사용하고 마르지 않은 수건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세균의 오염이 쉽게 노출되는 불편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48700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대와 수납장을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선반보다 수납장의 상측면과 내부에 배치 및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세면대 배관과 배수트랩 등을 수납장 안으로 간단하게 가릴 수 있으며, 욕실디자인과 시공비용, 그리고 시공기술면에서 종래의 선반보다 저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에 따르면, 세면가능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1신체감지센서; 수도꼭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신체감지센서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상기 세면대로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전자석 밸브; 및 상기 세면대가 지지되며, 상기 수도꼭지와 연결된 배관과, 상기 세면대로 배출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트랩이 내부에 구비된 수납장;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장은, 상기 세면대의 하부가 삽입되고 세면대의 상단이 걸쳐질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수납장의 상측면에 세면 또는 욕실용품을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장의 상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세면대의 상부 테두리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테두리단을 따라 LED가 다수개로 구비되고, 빛을 발산하는 제1발광부; 및 상기 전자석 밸브가 작동되면, 상기 제1발광부가 빛을 발산하도록 작동시키되, 기 설정된 작동순서대로 상기 제1발광부를 작동시키고, 마지막 제1발광부를 작동시켜 제1발광부 전체가 빛을 발산할 때 상기 제1발광부 전체를 일체로 점멸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도꼭지가 구비된 세면대의 내부 측면과 마주하는 반대 측면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2신체감지센서; 상기 수납장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신체감지센서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고압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에어팬; 일단이 상기 에어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면대의 반대 측면에 연결된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팬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압공기류는, 상기 가이드관을 따라 상기 세면대의 반대 측면에서 세면대의 내부로 배출되되, 상기 세면대의 배출구를 향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팬이 작동되면, 상기 제1발광부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1발광부 전체를 작동시키고, 일정시간 이후에 상기 기 설정된 작동순서대로 상기 제1발광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마지막 제1발광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때 상기 에어팬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장은, 상기 배수트랩, 배관, 에어팬이 구비되는 설치공간과, 세면 또는 욕실용품이 보관될 수 있는 보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수납장의 양 측면 또는 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개폐가능한 도어와 상기 수납장의 보관공간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3신체감지센서 및 상기 제3신체감지센서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작동되며, 빛을 발산하는 제2발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제3신체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빛을 발광하여 상기 수납장의 내부를 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세면대와 수납장을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선반보다 수납장의 상측면과 내부에 배치 및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세면대 배관과 배수트랩 등을 수납장 안으로 간단하게 가릴 수 있으며, 욕실디자인과 시공비용, 그리고 시공기술면에서 종래의 선반보다 저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는, 세면대(10), 제1신체감지센서(20), 전자석 밸브(30), 수납장(40)을 포함한다.
먼저, 세면대(10)는 물을 받아 놓을 수 있으며, 물이 배수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된다.
이때, 세면대(10)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세면이 가능하다.
제1신체감지센서(20)는, 세면대(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한다.
이때, 제1신체감지센서(2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후술하는 제2신체감지센서(70)와 제3신체감지센서(46)가 동일할 수 있다.
전자석 밸브(30)는, 수도꼭지(11)에 구비되어, 제1신체감지센서(20)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세면대(10)로 물의 배출을 제어한다. 이때, 전자석 밸브(30)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신체감지센서(20)가 신체를 감지하면 전자석 밸브(30)가 오픈되어 세면대(10)로 물이 배출된다. 반대로, 감지되지 않으면 전자석 밸브(30)가 오프되어 세면대(10)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이때, 전자석 밸브(30)는, 물이 공급되는 배관(12)에 구비될 수 있다.
수납장(40)은 세면대(10)가 지지되며, 수도꼭지(11)와 연결된 배관(12)과, 세면대(10)로 배출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트랩(13)이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수납장(40)은, 세면대(10)의 하부가 삽입되고 세면대(10)의 상단이 걸쳐질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개구부(41)가 형성되고, 개구부(41)를 제외한 수납장(40)의 상측면에 세면 또는 욕실용품을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는, 제1발광부(50) 및 제어부(60)를 더 포함한다.
제1발광부(50)는, 수납장(40)의 상측면에 구비되되, 세면대(10)의 상부 테두리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테두리단을 따라 다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1발광부(50)는, 빛을 발산한다. 이때, 제1발광부(50)는 LED(51)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발광부(50)는, 수도꼭지(11)를 중심으로 양쪽이 대칭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된다.
제어부(60)는, 전자석 밸브(30)가 작동되면, 제1발광부(50)가 빛을 발산하도록 작동시키되, 기 설정된 작동순서대로 상기 제1발광부(5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기 설정된 작동순서는, 수도꼭지(11)를 중심으로, 최대로 가까이 있는 제1발광부(50)의 첫번째 LED(51)를 1번, 제1발광부(50) 중 수도꼭지(11)와 최대로 이격된 마지막 LED(51)를 n번이라 할 때, 1번부터 n번까지를 말할 수 있으며, n번부터 1번까지를 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제1발광부(50)의 1번부터 마지막 n번 LED(51)를 작동시켜 제1발광부(50) 전체가 빛을 발산할 때 제1발광부(50)의 LED(51) 전체를 일체로 점멸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는, 제2신체감지센서(70), 에어팬(80) 및 가이드관(90)을 더 포함한다.
제2신체감지센서(70)는, 수도꼭지(11)가 구비된 세면대(10)의 내부 측면과 마주하는 반대 측면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한다.
에어팬(80)은, 수납장(4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신체감지센서(70)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고압공기류를 발생시킨다.
즉, 에어팬(80)은 제2신체감지센서(70)가 신체를 감지하면 고압공기류를 발생시키고, 감지하지 않으면 고압공기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가이드관(90)은, 일단이 에어팬(80)에 연결되고, 타단이 세면대(10)의 반대 측면에 연결된다.
즉, 제2신체감지센서(70)와 가이드관(90)의 타단은 세면대(10)의 내부 후방측,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세면대(10)에 손등이 수도꼭지(11)와 마주하도록 넣었을 때, 손바닥과 마주하는 세면대(10)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에어팬(80)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압공기류는, 가이드관(90)을 따라 세면대(10)의 반대 측면에서 세면대(1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가이드관(90)의 타단은 고압공기류가 세면대(10)의 배출구(14)를 향해 배출되도록 하측을 향하게 기울어져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을 세척한 후, 손에 남은 물기를 고압공기류로 제거할 수 있어 손의 세척과 물기의 제거를 세면대(10)에서 진행하여 별도의 물기건조기기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손으로부터 털어지는 물기는 세면대(10)의 배출구(14)로 배출됨으로써, 세균의 번식이 없어 더욱 청결한 세척이 가능하다.
그리고 공공 화장실에서의 세면대(10)와 가까이 물기건조기기가 구비되어 있어 화장실 사용이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다. 더불어, 가정의 화장실에서는 물기건조기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건을 사용해야 하는데 가족 전체가 사용하고 마르지 않은 수건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세균의 오염이 쉽게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는, 에어팬(80)이 작동되면, 제1발광부(50)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1발광부(50) 전체를 작동시키고, 일정시간 이후에 기 설정된 작동순서대로 제1발광부(50)의 n번 LED(51)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1발광부(50)의 1번 LED(51) 작동을 중지시킬 때 에어팬(8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즉, 에어팬(80)이 작동될 때는, n번 LED(51)부터 1번 LED(51)까지 순서대로 중지시킨다.
더불어, 제어부(60)는, 에어팬(80)의 작동을 중지시킬 때, 제1발광부(50) 전체를 점멸시키되 설정된 횟수만큼 점멸시킬 수 있다.
한편, 수납장(40)은, 구획판(44), 도어(45), 제3신체감지센서(46) 및 제2발광부(47)를 포함한다.
또한, 수납장(40)은, 배수트랩(13), 배관(12), 에어팬(80)이 구비되는 설치공간(42)과, 세면 또는 욕실용품이 보관될 수 있는 보관공간(4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획판(44)은 설치공간(42)과 보관공간(43)을 구획한다.
도어(45)는, 수납장(40)의 양 측면 또는 정면에 구비되어 보관공간(43)을 개폐가능하다.
제3신체감지센서(46)는, 수납장(40)의 보관공간(43)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한다.
즉, 제3신체감지센서(46)는, 사용자가 도어(45)를 열었을 때, 신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제2발광부(47)는, 제3신체감지센서(46)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작동되며, 빛을 발산한다. 이때, 제2발광부(47)는 LED(51)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발광부(47)는, 도어(45)가 열릴 때 제3신체감지센서(46)의 감지에 따라 빛을 발광하여 수납장(40)의 내부를 밝힌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납장(40)에 보관한 용품들을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세면대 11: 수도꼭지
12: 배관 13: 배수트랩
14: 배출구 20: 제1신체감지센서
30: 전자석 밸브 40: 수납장
41: 개구부 42: 설치공간
43: 보관공간 44: 구획판
45: 도어 46: 제3신체감지센서
47: 제2발광부 50: 제1발광부
51: LED 60: 제어부
70: 제2신체감지센서 80: 에어팬
90: 가이드관

Claims (5)

  1. 세면가능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1신체감지센서;
    수도꼭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신체감지센서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상기 세면대로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전자석 밸브; 및
    상기 세면대가 지지되며, 상기 수도꼭지와 연결된 배관과, 상기 세면대로 배출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트랩이 내부에 구비된 수납장;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장은, 상기 세면대의 하부가 삽입되고 세면대의 상단이 걸쳐질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수납장의 상측면에 세면 또는 욕실용품을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의 상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세면대의 상부 테두리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테두리단을 따라 LED가 다수개로 구비되고, 빛을 발산하는 제1발광부; 및
    상기 전자석 밸브가 작동되면, 상기 제1발광부가 빛을 발산하도록 작동시키되, 기 설정된 작동순서대로 상기 제1발광부를 작동시키고, 제1발광부 전체가 빛을 발산할 때 상기 제1발광부 전체를 일체로 점멸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가 구비된 세면대의 내부 측면과 마주하는 반대 측면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2신체감지센서;
    상기 수납장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신체감지센서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고압공기류를 발생시키는 에어팬;
    일단이 상기 에어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면대의 반대 측면에 연결된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팬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압공기류는, 상기 가이드관을 따라 상기 세면대의 반대 측면에서 세면대의 내부로 배출되되, 상기 세면대의 배출구를 향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팬이 작동되면, 상기 제1발광부가 빛을 발산하도록 제1발광부 전체를 작동시키고, 일정시간 이후에 상기 기 설정된 작동순서대로 상기 제1발광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1발광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때 상기 에어팬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은,
    상기 배수트랩, 배관, 에어팬이 구비되는 설치공간과, 세면 또는 욕실용품이 보관될 수 있는 보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수납장의 양 측면 또는 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개폐가능한 도어와
    상기 수납장의 보관공간에 구비되어 신체를 감지하는 제3신체감지센서 및
    상기 제3신체감지센서를 통해 신체가 감지되는 유무에 따라 작동되며, 빛을 발산하는 제2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발광부는,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제3신체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빛을 발광하여 상기 수납장의 내부를 밝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KR1020150117847A 2015-08-21 2015-08-21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KR20170022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47A KR20170022618A (ko) 2015-08-21 2015-08-21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47A KR20170022618A (ko) 2015-08-21 2015-08-21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18A true KR20170022618A (ko) 2017-03-02

Family

ID=5842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847A KR20170022618A (ko) 2015-08-21 2015-08-21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26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425A (zh) * 2018-11-19 2019-02-15 广东工业大学 一种智能家庭洗手台
CN111248803A (zh) * 2020-03-06 2020-06-09 浙江英特汉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在洗手台上的干手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735A (ko) 2000-09-16 2002-03-22 박영준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735A (ko) 2000-09-16 2002-03-22 박영준 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425A (zh) * 2018-11-19 2019-02-15 广东工业大学 一种智能家庭洗手台
CN111248803A (zh) * 2020-03-06 2020-06-09 浙江英特汉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在洗手台上的干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531275A (zh) 餐具清洗機
KR20170022618A (ko) 세면대와 수납장의 일체형 세면장치
CN108567359B (zh) 洗脸台下柜
JP2011067453A (ja) 発光手段付水廻り装置
KR102172717B1 (ko) 클린 현관
KR20140045757A (ko) 다기능 위생비데
JPS6318484B2 (ko)
JP7478129B2 (ja) 玄関収納システム
CN209353417U (zh) 一种卫浴室
JP7112671B2 (ja) 洗面化粧台
KR101392374B1 (ko) 여성 전용 화장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331006B1 (ko) 신체 세정 수단 및 의복, 신발 관리 수단을 갖는 현관 구조
KR200471433Y1 (ko) 변기 세척솔용 걸이구
KR101762620B1 (ko) 식기 세척기가 일체로 형성된 싱크대
JP1756472S (ja) 住宅の内装
KR20220159125A (ko) 수도꼭지와 핸드 드라이어가 일체로 구비된 수전
KR102249790B1 (ko) 세면대 하부장
JP1755235S (ja) 住宅の内装
KR200486258Y1 (ko) 식기 건조 장치
JP2022036378A (ja) ミニキッチン
JP1755231S (ja) 住宅の内装
KR20180102953A (ko) 세면대 하부장
KR200469658Y1 (ko) 양변기 악취 제거장치
CN203113837U (zh) 三分离卫浴系统
JP2014083060A (ja) 玄関用手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