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698A -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698A
KR20170021698A KR1020150116368A KR20150116368A KR20170021698A KR 20170021698 A KR20170021698 A KR 20170021698A KR 1020150116368 A KR1020150116368 A KR 1020150116368A KR 20150116368 A KR20150116368 A KR 20150116368A KR 20170021698 A KR20170021698 A KR 2017002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ribs
bus bar
piece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003B1 (ko
Inventor
오승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0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02
    • H01M2/1016
    • H01M2/26
    • H01M2/3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장치의 골격을 베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0)를 구성하는 바닥판(11)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측벽(12)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12)중 일측 변과 마주보게 중간벽(14)이 있다. 상기 측벽(12)과 중간벽(14)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안착단(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0)에는 배터리셀의 전극과 결합되는 버스바(30)가 안착된다. 상기 안착단(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한쌍의 안착리브(22)와 상기 안착리브(22)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단(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리브(22)의 상단 외측에는 걸이턱(24)이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30)의 장착날개(33)에 형성된 장착공(34)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리브(22)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강리브(26)가 있는데, 상기 보강리브(26)는 상기 걸이턱(24)이 없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중간벽(14)에서 상기 안착단(20)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버스바(30)의 일측이 밀착되는 밀착리브(18)가 한 쌍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30)가 안착단(20)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레이저용접의 영향을 베이스(10)가 받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Series connection apparatus of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배터리셀의 전극을 차례로 연결하여 전체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도록 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필요한 만큼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배터리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모듈은 또한 다수개의 배터리셀들로 구성되는데, 상기 배터리셀들을 직렬로 연결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배터리팩에서 다수개의 배터리셀의 양극과 음극을 차례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가 직렬연결장치이다.
이와 같은 직렬연결장치에는 배터리셀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버스바가 있는데, 상기 버스바는 다수개가 베이스에 융착되어 고정된다. 하지만, 융착작업을 위해서는 별도의 융착장비가 필요하고 제조공정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융착을 하는 경우에 버스바에 통공을 만들고 베이스에서 돌출된 융착돌기가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선단이 융착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통공의 내경과 융착돌기의 외경을 1:1로 정확하게 맞출 수 없어 버스바와 베이스 사이에 상대 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소음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2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서 베이스에 버스바를 탄성변형을 이용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서 버스바가 베이스에 대해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서 버스바가 조립과정에서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안착단이 중간벽과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중간벽과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안착단에 장착되고 일단부가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며 안착단에 안착되어 전극과 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폭방향 양단에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날개를 구비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단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판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안착리브와 상기 안착리브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리브의 상단 외측에는 상기 버스바의 장착날개에 형성된 장착공에 안착되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을 형성하는 안착리브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안착리브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다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리브의 중간에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리브에 형성된 걸이턱은 상기 보강리브가 없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중간벽에서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외면에는 상기 버스바의 일측이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리브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중간벽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의 일측이 안착된다.
상기 버스바의 결합판의 일단부에는 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기판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측벽에 밀착되는 단부편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날개의 내측 선단에는 안내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리브의 걸이턱의 외면에는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가 안착단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걸이턱의 외면에 상기 안내경사가 안내된다.
상기 기판연결부는 상기 결합편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에서 절곡되어 상기 결합편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편과 상기 안착편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는 연결핀이 있는 기판연결편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상에 버스바가 장착되는 안착단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단의 걸이턱이 버스바의 장착공에 안착되어 버스바가 베이스에 장착되도록 하였고 상기 버스바가 베이스의 측벽과 중간벽의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버스바가 베이스에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스바가 베이스의 안착단에 장착됨에 있어서 양단부가 베이스의 측벽과 중간벽에 밀착되어 장착되도록 하였고 버스바의 장착날개와 안착단의 안착리브의 탄성변형에 의해 버스바가 안착단에 장착되도록 하였으므로 버스바가 안착단에 대해서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장착되어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가 안착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배터리셀의 전극과 레이저용접에 의해 배터리셀의 전극과 결합되는데, 상기 안착단에 공간을 형성하였으므로 레이저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레이저용접시에 베이스가 손상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버스바가 안착되는 베이스의 안착단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을 절단하여 보인 버스바와 베이스의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버스바가 안착단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1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직렬연결장치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0)의 바닥을 바닥판(11)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수개의 안착단(20)이 형성되는데, 이 안착단의 사이에 배터리셀의 전극이 관통하는 관통부(도시되지 않음)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11)의 가장자리를 둘러 측벽(12)이 구비된다. 상기 측벽(12)은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사각형인 베이스(1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12)은 위치에 따라 높이가 낮거나 없는 부분도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중간부분을 가로질러서는 2개의 중간벽(14)이 나란히 연장되어 있다. 상기 중간벽(14)의 사이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44)이 설치된다. 상기 중간벽(14)에는 도 2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6)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안착편(37)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홈(16)은 버스바(30)와 대응되는 갯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6)의 위치와 대응되게 상기 측벽(12)과 마주보는 상기 중간벽(14)의 일면에는 밀착리브(18)가 형성된다. 상기 밀착리브(18)는 하나의 안착홈(16)에 대해서 2개씩 형성된다. 물론, 상기 밀착리브(18)가 안착홈(16) 하나 당 반드시 2개씩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버스바(30)가 측벽(12)과 중간벽(14)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면서도 장착작업이 편리하게 되기 위해서는 하나의 안착홈(16)당 2개의 밀착리브(18)가 적당하다. 상기 밀착리브(18)의 상단에는 안내곡면(19)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곡면(19)은 버스바(30)의 삽입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벽(14) 한쌍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측벽(12)과 중간벽(14)의 사이에 다수개의 안착단(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0)은 버스바(30)가 각각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단(20)은 버스바(30)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되는 안착리브(22)와 상기 안착리브(22)쌍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단(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단(22')은 상기 측벽(12)과 중간벽(14)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리브(22)와 연결단(22')을 평면도로 보면 직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안착리브(22)의 사이에는 빈 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빈 공간(23)은 상기 안착단(20)에 안착된 버스바(30)에 배터리셀의 전극을 레이저용접할 때 베이스(1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원활하게 레이저용접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착리브(22)에는 걸이턱(2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4)은 버스바(30)를 걸어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턱(24)은 상기 안착리브(22) 쌍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24)은 상기 안착리브(22)의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안착리브(22)의 부분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안착리브(22)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리브(26)가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부분에는 없기 때문이고 상기 안착리브(22)의 두께를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보강리브(26)는 상기 안착단(20)의 부분에서 베이스(10)가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26)에는 절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38)는 레이저용접시에 보강리브(26)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26)는 상기 안착리브(22)의 사이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버스바(3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버스바(30)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버스바(3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단(20)에 안착되는 결합판(32)이 직사각형판상으로 있고, 상기 결합판(32)의 폭방향 양단에 절곡되어 장착날개(33)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날개(33)는 상기 결합판(32)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되지 않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된다. 이는 상기 버스바(30)를 형성하는 모재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장착날개(33)의 내측 선단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경사(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경사(33')는 상기 장착날개(33) 내측 선단 전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공(34)과 대응되는 위치에만 상기 안내경사(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날개(33)에는 장착공(3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34)은 상기 결합판(32)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34)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장착날개(33)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34)에는 상기 걸이턱(24)이 걸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착공(34)의 길이는 상기 걸이턱(2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공(34)내에 상기 걸이턱(24)이 안착되면 상기 걸이턱(24)의 양단과 상기 장착공(34)의 양단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있게 된다. 이는 버스바(30)가 상기 안착단(20)에 장착될 때, 여러가지 오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고,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측벽(12)과 중간벽(14)의 사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스바(30)의 결합판(32)의 일단부에는 기판연결부(35)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연결부(35)는 상기 결합판(32)에서 연장된 것으로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기판연결부(35)는 상기 결합판(32)에서 3회 절곡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기판연결부(35)에는 밀착편(36)이 있다. 상기 밀착편(36)은 상기 결합판(32)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결합판(32)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밀착편(36)에서 다시 직각으로 절곡되어 안착편(37)이 있다. 상기 안착편(37)은 상기 결합판(32)의 길이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안착편(37)은 상기 중간벽(14)의 안착홈(16)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편(37)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간벽(14)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게 기판연결편(38)이 있다. 상기 기판연결편(38)의 선단에는 연결핀(38')이 있다. 상기 연결핀(38')은 기판(44)의 통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판(32)에서 상기 기판연결부(35)의 반대쪽에는 단부편(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편(39)은 상기 결합판(32)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부분으로 상기 측벽(12)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단(20)들이 형성된 공간에서 양측의 측벽(14)에 인접하여서는 외부연결버스바(40)가 있다. 상기 외부연결버스바(40)는 직렬연결장치에서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부분이다. 상기 외부연결버스바(40)중 하나의 단부에는 제1외부연결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벽(14)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외부연결버스바(40)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는 제2외부연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외부연결부(42)와 제2외부연결부(42)를 관통하여서는 연결볼트(43)가 있다. 상기 연결볼트(43)가 관통하게 외부단자가 상기 제1외부연결부(42)와 제2외부연결부(42')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너트(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연결볼트(43)에 체결된다.
상기 중간벽(14) 사이의 공간에는 기판(44)이 안착된다. 상기 기판(44)에는 각종 소자들이 장착된다. 상기 기판(44)이 안착된 상기 중간벽(14)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수지(46)가 저압사출에 의해 채워진다. 상기 충진수지(46)가 채워짐에 의해 외부로부터 상기 기판(44)으로 수분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지고, 상기 버스바(30)는 프레스가공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프레임(10)의 안착단(20)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물론, 상기 기판(44)이 상기 중간벽(14) 사이의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안착단(20)에 안착되면서 기판(33)의 통홀에 상기 연결핀(38')이 삽입된다. 참고로 상기 버스바(30)는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장착될 수도 있지만, 전체 버스바(30)(40)를 지그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한 번에 베이스(1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안착단(20)에 안착될 때, 상기 단부편(39)은 상기 측벽(12)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기판연결부(35)의 밀착편(36)은 상기 중간벽(14)의 밀착리브(18)의 쌍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밀착리브(18) 상단의 안내곡면(19)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밀착리브(18)에 의해 상기 밀착편(36)이 탄성변형되어 이동된다.
상기 결합판(32)이 상기 안착리브(22)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날개(33)는 상기 안착리브(22)의 상단 외측에 형성된 걸이턱(24)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걸이턱(24)의 외면은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곡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장착날개(33)의 안내경사(33')가 이를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장착날개(33)도 탄성변형되지만 상기 걸이턱(24)이 형성된 안착리브(22)도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장착날개(33)가 지나치게 탄성변형되어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날개(33)의 장착공(34)에 상기 걸이턱(24)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장착날개(33)가 원래의 상태로 그대로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날개(33)는 상기 안착리브(22)의 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날개(33)가 상기 안착리브(22)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편(36)이 상기 밀착리브(18)에 밀착되며, 반대쪽의 단부편(39)이 상기 측벽(12)에 밀착되며, 이에 더해 상기 장착공(34)에 상기 걸이턱(24)이 걸어짐에 의해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안착단(20)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단(20)에 상기 버스바(30)가 장착되면서 상기 버스바(30)의 기판연결부(35)에 있는 연결핀(38')이 상기 기판(44)의 통홀에 삽입되면, 솔더링 작업을 통해서 상기 기판(44)에 상기 버스바(30)를 전기적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벽(14)의 공간에 충진수지(48)를 저압사출에 의해 채워넣는다. 상기 베이스(10)에 기판(44)과 버스바(30) 등의 설치가 끝나고 나면 배터리팩에 상기 베이스(10)를 안착시키고 상기 버스바(30)의 결합편(32)에 배터리셀의 전극을 위치시키고 레이저용접을 통해 상기 버스바(30)에 전극을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하나의 배터리팩에 있는 다수개의 배터리셀이 직렬로 연결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12: 측벽
14: 중간벽 16: 안착홈
18: 밀착리브 19: 안내곡면
20: 안착단 22: 안착리브
22': 연결단 23: 공간
24: 걸이턱 26: 보강리브
28: 절개부 30: 버스바
32: 결합편 33: 장착날개
33': 안내경사 34: 장착공
35: 기판연결부 36: 밀착편
37: 안착편 38: 기판연결편
38': 연결핀 39: 단부편
40: 외부연결버스바 42: 제1외부연결부
42': 제2외부연결부 43: 연결볼트
44: 기판 46: 충진수지

Claims (7)

  1. 다수개의 안착단이 중간벽과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중간벽과 측벽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안착단에 장착되고 일단부가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며 안착단에 안착되어 전극과 결합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의 폭방향 양단에 절곡되어 형성된 장착날개를 구비하는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단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판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안착리브와 상기 안착리브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리브의 상단 외측에는 상기 버스바의 장착날개에 형성된 장착공에 안착되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을 형성하는 안착리브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상기 안착리브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리브가 다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리브의 중간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리브에 형성된 걸이턱은 상기 보강리브가 없는 위치에 형성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벽에서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외면에는 상기 버스바의 일측이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리브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중간벽의 상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의 일측이 안착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결합판의 일단부에는 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기판연결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측벽에 밀착되는 단부편이 구비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날개의 내측 선단에는 안내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리브의 걸이턱의 외면에는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가 안착단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걸이턱의 외면에 상기 안내경사가 안내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연결부는 상기 결합편에서 연장되어 절곡되는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에서 절곡되어 상기 결합편의 길이방향으로 결합편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편과 상기 안착편에서 절곡되어 연장되고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는 연결핀이 있는 기판연결편을 구비하는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1020150116368A 2015-08-18 2015-08-18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101779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368A KR101779003B1 (ko) 2015-08-18 2015-08-18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368A KR101779003B1 (ko) 2015-08-18 2015-08-18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698A true KR20170021698A (ko) 2017-02-28
KR101779003B1 KR101779003B1 (ko) 2017-09-18

Family

ID=5854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368A KR101779003B1 (ko) 2015-08-18 2015-08-18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0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4346A (zh) * 2018-11-29 2020-06-05 北京科易动力科技有限公司 电池包及具有其的车辆
KR20200078188A (ko) * 2018-12-21 2020-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US11349181B2 (en) 2018-12-07 2022-05-3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insert-injection molded busbar assembly
WO2022153871A1 (ja) * 2021-01-15 2022-07-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部接続バスバーおよび配線モジュ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51B1 (ko) 2012-07-1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51B1 (ko) 2012-07-11 2013-11-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4346A (zh) * 2018-11-29 2020-06-05 北京科易动力科技有限公司 电池包及具有其的车辆
CN111244346B (zh) * 2018-11-29 2022-08-23 北京科易动力科技有限公司 电池包及具有其的车辆
US11349181B2 (en) 2018-12-07 2022-05-3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insert-injection molded busbar assembly
KR20200078188A (ko) * 2018-12-21 2020-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WO2022153871A1 (ja) * 2021-01-15 2022-07-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外部接続バスバーおよび配線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003B1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3236B2 (en) Battery wiring module
CN102859751B (zh) 用于配线部件的连接结构
KR101779003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JP5668555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329252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JP2014532958A (ja) バッテリコネクタシステム
CN109075308B (zh) 连接模块
CN109891660B (zh) 用于印刷电路板的连接器以及包括印刷电路板和连接器的电池系统
EP2876703A1 (en) Bus bar module
EP3319147A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US10680225B2 (en)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batter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ing cover
JP2015133223A (ja) 電池接続モジュール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10637032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battery module and electrical device
KR20180022480A (ko) 배터리모듈용 연결장치
US11211659B2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housing with connector
CN105024191B (zh) 两个电子板之间的电连接单元
KR20220048752A (ko) 배터리셀용 전기적 연결장치
KR101849593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20170001766U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EP3951808B1 (en) Shunt resistor module
KR200485016Y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20170117815A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KR20210006771A (ko) 배터리모듈용 전기적 연결장치
KR101919035B1 (ko) 배터리모듈용 직렬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