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469A -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469A
KR20170021469A KR1020150115853A KR20150115853A KR20170021469A KR 20170021469 A KR20170021469 A KR 20170021469A KR 1020150115853 A KR1020150115853 A KR 1020150115853A KR 20150115853 A KR20150115853 A KR 20150115853A KR 20170021469 A KR20170021469 A KR 20170021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execution screen
control unit
icon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은
권현정
김태은
박준원
이지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469A/ko
Priority to US15/214,980 priority patent/US20170052657A1/en
Publication of KR2017002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아이템을 실행하는 동작,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동작 및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행 중인 아이템과 관련된 아이템에 대한 아이콘을 실행 중인 화면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한 전자장치의 진화 속도가 점차 빨라짐으로 인해 전자장치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전자장치 메모리의 용량 증가와 함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미디어 파일 및 도큐먼트 파일들을 포함하는 아이템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자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아이템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런처(launcher)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런처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템들을 미리 등록하여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런처 프로그램은 전자장치에 저장된 아이템에 접근할 때, 런처 프로그램에 등록된 아이템을 선택하여 접근함으로써 기존에 아이템에 접근할 때 발생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전자장치는 실행 중인 아이템의 종류와 관계 없이 사용자에 의해 런처 프로그램에 등록된 아이템만을 고정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현재 실행 중인 아이템과 연관성이 높은 아이템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실행 중인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제1 아이템 실행 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실행한 제2 아이템을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아이템으로 설정하여 제1 아이템의 실행 화면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제1 아이템 실행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아이템을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아이템으로 설정하여 제1 아이템의 실행 화면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아이템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상기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제1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상기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는, 실행 중인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 제1 아이템 실행 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실행한 제2 아이템 및 제1 아이템 실행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아이템으로 설정하여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공함으로써, 제1 아이템 실행 시에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다운로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다운로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련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관련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정보관련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관련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이용하여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을 녹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이용하여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을 축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서 웹 브라우저를 제2 아이템으로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서 다른 아이템을 제2 아이템으로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서 제2 아이템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카메라(130), 영상처리부(140), 표시부(150), 오디오처리부(160), 메모리(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에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외부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 또는 데이터 통신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 기지국, 서버 및 위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방식은 LTE(Long Term Evolu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전자장치에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때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물리 버튼, 터치 패널(touch panel), 조그 셔틀(jog & shuttle) 및 센서(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30)는 영상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카메라(130)는 광학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30)는 광학적 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카메라(130)는 카메라 센서와 신호 변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는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신호 변환부는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때 영상처리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표시부(150)의 특성 및 크기에 대응시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처리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50)는 다수개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5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6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이때, 오디오처리부(16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오디오처리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처리부(160)는 마이크(MIC)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미디어 파일 및 도큐먼트 파일들을 포함하는 아이템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70)는 아이템DB(17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DB(17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아이템을 하기의 표 1과 같이 카테고리별로 저장할 수 있다. 표 1과 같은 경우, 각각의 카테고리 목록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저장될 수 있고, 각각의 카테고리에 디폴트로 저장되는 디폴트 아이템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템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되는 아이템 예컨대, “금융”카테고리의 “A은행”일 수 있고, 제2 아이템은 “A은행”과 동일한 카테고리인 “금융”카테고리에 저장된 다른 아이템(즉, 가계부, B카드, 계산기)들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아이템은 “금융”카테고리에 디폴트 아이템으로 저장된 “캡쳐”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금융 뉴스 여행 게임
아이템 A은행 C신문 F항공 풍선 터트리기
가계부 D포털 G호텔 도형 쌓기
B카드 E매거진 H여행사 퍼즐게임
계산기 - I여행사 -
디폴트 아이템 캡쳐 캡쳐 캡쳐 캡쳐
아이템DB(171)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표 2와 같이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을 하기의 표 2와 같이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이템은 제1 아이템의 실행 화면에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는 아이템일 수 있다. 제2 아이템은 제1 아이템 실행 시에 사용자에 의해 일정횟수이상 실행된 아이템일 수 있고, 제1 아이템 실행 시에 선택신호에 의해 제2 아이템으로 추가된 아이템일 수 있다.
제1 아이템 A은행 C신문 H여행사 풍선 터트리기
제2 아이템 B카드 D포털 캘린더 녹화
가계부 메모 지도 게임사 웹 사이트
계산기 메신저 계산기 메신저
- - 메신저 -
디폴트 아이템 캡쳐 캡쳐 캡쳐 캡쳐
제어부(180)는 전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카테고리확인부(181) 및 아이템관리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확인부(181)는 제1 아이템 실행 시에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확인부(181)는 실행 중인 제1 아이템이 “A은행”이면, 표 1에서와 같이 “A은행”의 카테고리인 “금융”에 포함된 “가계부, B카드, 계산기”와, 디폴트 아이템으로 설정된 “캡쳐”를 제2 아이템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이템관리부(182)는 제1 아이템 실행 시에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관리부(182)는 실행 중인 제1 아이템이 “A은행”이면, 표 2에서와 같이 “A은행”에 관련된 제2 아이템이 “A카드, 가계부, 계산기”이고, 디폴트 아이템으로 설정된 “캡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테고리확인부(181)에서 확인된 제2 아이템들 또는 아이템관리부(182)에서 확인된 제2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들의 아이콘들을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을 대표하는 대표 아이콘을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대표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2 아이템들의 아이콘들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의 아이콘들 중에서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실행화면을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의해 대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의해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에 의해 제2 아이템의 실행화면을 축소 또는 확대하여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아이템관리부(182)는 제1 아이템 실행 시에 일정횟수이상 실행된 아이템(예컨대, 계산기 또는 가계부)을 표 2와 같이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으로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아이템관리부(182)는 제1 아이템 실행 시에 선택신호에 의해 제2 아이템으로 추가된 아이템을 표 2와 같이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으로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외부장치로부터 아이템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카테고리확인부(181)는 다운로드된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고, 확인된 카테고리에 따라 표 1과 같이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장치(100)는, 제1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저장하는 메모리(170) 및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확인하고,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고,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설정된 제2 아이템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아이템은, 제1 아이템 실행 시 일정횟수 이상 실행된 아이템 또는 제1 아이템 실행 시 관련 아이템으로 선택된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대표 아이콘을 표시하고, 대표 아이콘이 선택되면, 대표 아이콘을 기준으로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방사상형, 직선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2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를 변경하고, 변경된 제2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제2 아이콘의 표시 위치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축소된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제1 아이템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목록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테고리로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제1 아이템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테고리 목록에 대한 명칭을 수신하고, 명칭으로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하여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제1 아이템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아이템(이하, 제1 아이템이라 함)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템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20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03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203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아이템 실행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2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05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아이템(이하, 제1 아이템이라 함)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207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0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의 다운로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207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303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아이템(이하, 제2 아이템)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303동작의 확인결과, 제2 아이템이 존재하면 제어부(180)는 3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05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30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제2 아이템에 대한 아이콘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301동작으로 회귀할 수 있다.
30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제2 아이템에 대한 아이콘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09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09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실행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31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11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부(150)에 표시된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309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실행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1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13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실행 중인 제1 아이템의 종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05동작으로 회귀하여 305동작 내지 313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313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실행 중인 제1 아이템의 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도 2로 회귀하여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303동작의 확인결과, 제2 아이템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3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15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31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실행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319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19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부(150)에 표시된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31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실행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2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21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실행 중인 제1 아이템의 종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15동작으로 회귀하여 315동작 내지 321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다운로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동작에서 제어부(180)는 도 2의 205동작에서 수신된 다운로드 실행신호에 대응되는 제1 아이템에 설정되어 있는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마켓 등에 어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할 때, 기본적으로 설정해야 하는 카테고리로, 여행, 금융, 뉴스, 게임 등의 다양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403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갖는 카테고리 목록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403동작의 확인결과,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갖는 카테고리 목록이 존재하면, 제어부(180)는 407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0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확인된 카테고리 목록에 제1 아이템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403동작의 확인결과,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갖는 카테고리 목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4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405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로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40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제1 아이템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다운로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동작에서 제어부(180)는 도 2의 205동작에서 수신된 다운로드 실행신호에 대응되는 제1 아이템에 설정되어 있는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503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갖는 카테고리 목록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503동작의 확인결과,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갖는 카테고리 목록이 존재하면, 제어부(180)는 511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511동작에서 제어부(180)는 확인된 카테고리 목록에 제1 아이템을 저장할 수 있다.
503동작의 확인결과,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를 갖는 카테고리 목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5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505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카테고리 생성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50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카테고리를 생성하고자 하는 입력신호가 수신되면 509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509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로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511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제1 아이템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507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카테고리를 생성하고자 하는 입력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513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513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카테고리 목록으로 생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의 명칭을 수신할 수 있다. 515동작에서 제어부(180)는 수신된 카테고리의 명칭으로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511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제1 아이템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1 아이템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동작은,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동작,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설정된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템은 1 아이템 실행 시 일정횟수 이상 실행된 아이템 또는 상기 제1 아이템 실행 시 관련 아이템으로 선택된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은, 대표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 대표 아이콘이 선택되면, 대표 아이콘을 기준으로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은, 방사상형, 직선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2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은, 제2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 변경된 제2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제2 아이템의 표시 위치로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소된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이템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동작, 제1 아이템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로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상기 제1 아이템을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 목록에 대한 명칭을 수신하는 동작, 수신된 명칭으로 상기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하는 동작,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상기 제1 아이템을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융관련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의해 제1 아이템인“A은행”에 대한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A은행”의 실행화면(601)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실행화면(601)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에 대한 대표 아이콘(610)을 통화단위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610)이 선택되면, “A은행”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611, 612, 613)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611, 612, 613)은 상기의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A은행”과 관련되어 저장된 아이템들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611, 612, 613)을 확장하여 표시하면서 대표 아이콘(610)을 “X”모양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X”모양으로 변경되어 표시된 대표 아이콘(610)이 선택되면, 확장되어 표시된 아이콘들(611, 612, 613)을 축소하고, 통화단위모양($)의 대표 아이콘(610)만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콘들(611, 612, 613) 중에서 계산기 아이콘(613)이 선택되면, 제2 아이템인 계산기의 실행화면(620)을 “A은행”의 실행화면(601)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계산기를 실행하면서, 대표 아이콘(610)을 통화단위모양($)으로 다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계산기에 대한 인디케이터(621)가 선택되면, 인디케이터(621)를 제외한 계산기의 실행화면(620)을 “A은행”의 실행화면(601)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A은행”의 실행화면(601)에 입력되는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인디케이터(621)가 다시 선택되면, 계산기의 실행화면(620)을 “A은행”의 실행화면(601)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621)의 이동에 따라, 계산기의 실행화면(620)을 “A은행”의 실행화면(601)에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계산기 실행화면(620)의 가장자리에 드래그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신호에 따라 계산기의 실행화면(620)을 축소 및 확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관련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의해 제1 아이템인 “C신문”에 대한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C신문”의 실행화면(701)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실행화면(701)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에 대한 대표 아이콘(710)을 핀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710)이 선택되면, “C신문”와 관련된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711, 712, 713)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711, 712, 713)은 상기의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C신문”과 관련되어 저장된 아이템들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711, 712, 713)을 확장하여 표시하면서 대표 아이콘(710)의 모양을 “X” 모양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X”모양으로 변경되어 표시된 대표 아이콘(710)이 선택되면, 확장되어 표시된 아이콘들(711, 712, 713)을 축소하고, 핀 모양의 대표 아이콘(710)만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콘들(711, 712, 713) 중에서 메모 아이콘(711)이 선택되면, 제2 아이템인 메뉴의 실행화면(720)을 “C신문”의 실행화면(701)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를 실행하면서, 대표 아이콘(710)을 핀 모양으로 다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메모에 대한 인디케이터(721)가 선택되면, 인디케이터(721)를 제외한 메모의 실행화면(720)을 “C신문”의 실행화면(701)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C신문”의 실행화면(701)에 입력되는 명령어에 따른 기능(예컨대, 텍스트 복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인디케이터(721)가 다시 선택되면, 메모의 실행화면(720)을 “C신문”의 실행화면(701)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C신문”의 실행화면(701)에서 복사된 텍스트를 메모의 실행화면(720)에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721)의 이동에 따라, 메모의 실행화면(720)을 “C신문”의 실행화면(701)에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메모 실행화면(720)의 가장자리에 드래그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신호에 따라 메모의 실행화면(720)을 축소 및 확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여행정보관련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의해 제1 아이템인 “H여행사”에 대한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H여행사”의 실행화면(801)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실행화면(801)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에 대한 대표 아이콘(810)을 스케쥴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810)이 선택되면, “H여행사”와 관련된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811, 812, 813, 81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811, 812, 813, 814)은 상기의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H여행사”와 관련되어 저장된 아이템들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811, 812, 813, 814)을 확장하여 표시하면서 대표 아이콘(810)을 “X” 모양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X”모양으로 변경되어 표시된 대표 아이콘(610)이 선택되면, 확장되어 표시된 아이콘들(811, 812, 813, 814)을 축소하고, 스케쥴 모양의 대표 아이콘(610)만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콘들(811, 812, 813, 814) 중에서 달력 아이콘(811)이 선택되면, 제2 아이템인 달력의 실행화면(820)을 “H여행사”의 실행화면(801)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달력을 실행하면서, 대표 아이콘(810)을 달력 모양으로 다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달력에 대한 인디케이터(821)가 선택되면, 인디케이터(821)를 제외한 달력의 실행화면(820)을 “H여행사”의 실행화면(801)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H여행사”의 실행화면(801)에 입력되는 명령어에 따른 기능(예컨대, 여행사에서 예약한 여행날짜 및 항공시각 등을 달력에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인디케이터(821)가 다시 선택되면, 달력의 실행화면(820)을 “H여행사”의 실행화면(801)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821)의 이동에 따라, 달력의 실행화면(820)을 “H여행사”의 실행화면(801)에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달력 실행화면(820)의 가장자리에 드래그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신호에 따라 달력의 실행화면(820)을 축소 및 확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게임관련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의해 제1 아이템인 “풍선 터트리기”에 대한 실행신호가 수신되면, “풍선 터트리기”의 실행화면(901)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실행화면(901)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에 대한 대표 아이콘(910)을 조작기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910)이 선택되면, “풍선 터트리기”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911, 912, 913, 914)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911, 912, 913, 914)은 상기의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풍선 터트리기”와 관련되어 저장된 아이템들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911, 912, 913, 914)을 표시하면서 대표 아이콘(910)의 모양을 “X”모양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X”모양으로 변경되어 표시된 대표 아이콘(910)이 선택되면, 확장되어 표시된 아이콘들(911, 912, 913, 914)을 축소하고, 조작기 모양의 대표 아이콘(910)만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콘들(911, 912, 913, 914) 중에서 웹 브라우저 아이콘(911)이 선택되면, 제2 아이템인 웹 브라우저의 실행화면(920)을 “풍선 터트리기”의 실행화면(901)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웹 브라우저의 실행화면(920)은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풍선 터트리기”를 제공하는 게임사 웹 사이트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게임사 웹 사이트를 실행하면서, 대표 아이콘(910)을 조작기 모양으로 다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게임사 웹 사이트에 대한 인디케이터(921)가 선택되면, 인디케이터(921)를 제외한 게임사 웹 사이트의 실행화면(920)을 “풍선 터트리기”의 실행화면(901)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풍선 터트리기”의 실행화면(901)에 입력되는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인디케이터(921)가 다시 선택되면, 게임사 웹 사이트의 실행화면(920)을 “풍선 터트리기”의 실행화면(901)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921)의 이동에 따라, 게임사 웹 사이트의 실행화면(920)을 “풍선 터트리기”의 실행화면(901)에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게임사 웹 사이트 실행화면(920)의 가장자리에 드래그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신호에 따라 게임사 웹 사이트의 실행화면(920)을 축소 및 확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제2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대기화면(1001)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대기화면(1001)에서 아이콘(1003)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1003)에 대한 제1 아이템을 실행하고, 실행화면(1005)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행화면(1005)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에 대한 대표 아이콘(101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실행화면(1005)에 표시된 대표 아이콘(1010)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신호가 수신되면, 드롭 신호가 감지된 위치(1011)로 대표 아이콘(10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드롭 신호가 감지된 위치(1011)에 대표 아이콘(1010)의 일부(1012)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된 대표 아이콘(1012)를 왼쪽 방향(1013)으로 플릭(Flick)하면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1005)에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021, 1022, 1023, 1024, 1025, 1026)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관련된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021, 1022, 1023, 1024, 1025, 1026)을 확장하여 표시하면서 대표 아이콘(1010)의 “X” 모양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X”모양으로 변경하여 표시한 대표 아이콘(1010)이 선택되면 확장되어 표시된 아이콘들(1021, 1022, 1023, 1024, 1025, 1026)을 축소하고, 대표 아이콘(1010)의 일부(1012)를 드롭 신호가 감지된 위치(1011)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들(1021, 1022, 1023, 1024, 1025, 1026)은 각각 실행 중인 제1 아이템(예컨대, 게임)을 방송하는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템에 대한 아이콘(1201), 실행 중인 제1 아이템을 녹화하는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202), 실행 중인 제1 아이템의 현재 화면을 캡쳐하는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203), 제1 아이템 실행 중에 발생되는 전화 및 알람을 숨기는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204), 제1 아이템 실행 중에 제1 아이템의 실행 화면을 최소화하는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205) 및 즐겨찾기된 아이템 또는 웹 브라우저를 여는 아이템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1206)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이용하여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을 녹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101)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110)을 실행화면(1101)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111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111, 1112, 1113, 1114, 1115, 1116)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111, 1112, 1113, 1114, 1115, 1116) 중에서 녹화 아이콘(1112)이 선택되면, 제2 아이템인 녹화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녹화가 실행 중일 때, 녹화 아이콘(1112)을 녹화 중인 아이콘(1121)로 변경하여 녹화시간을 (00:00)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녹화 중인 아이콘(1121)에 입력이 발생되면, 녹화 중인 아이콘(1121)을 녹화가 완료됨을 나타내는 아이콘(1122)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녹화시간을 (01:20)을 아이콘(1122)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녹화가 완료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데이터 저장 시에 저장 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123)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시간의 흐름에 따라 아이콘(1123)에 저장이 완료된 양을 색깔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이 완료되면,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1124)을 표시하고, 실행화면(1101)의 하단에 메시지(1125)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완료 아이콘(1124)과 메시지(1125)를 표시한 후 일정 시간(N Sec)이 경과하면, 실행화면(1101)에 대한 대표 아이콘(1110)을 표시부(150)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저장완료 아이콘(1124)과 메시지(1125)를 표시부(150)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이용하여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을 축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201)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210)을 실행화면(1101)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121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211, 1212, 1213, 1214, 1215, 1216)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211, 1212, 1213, 1214, 1215, 1216) 중에서 실행화면(1210)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소화 아이콘(1211)이 선택됨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최소화 아이콘(1211)이 선택되면, 표시부(150)에 대기화면(1202)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210)이 최소화된 화면(1220)을 대기화면(1202)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최소화된 화면(1220)을 특정 위치(1221)로 이동하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신호가 수신되면, 드롭 신호가 감지된 위치(1221)로 최소화된 화면(1220)을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대기화면(1202)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 제1 아이템과 다른 제1 아이템에 대한 아이콘(1230)이 선택되면, 다른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203)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을 종료하지 않고, 최소화된 화면(1220)을 다른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203)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른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203)의 지정된 위치에 다른 아이콘(1230)과 관련된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24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제1 아이템이 “A은행”이면,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240)은 도 6과 같이 표시부(150)의 우측 상단에 표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표시부(150)의 우측 상단에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220)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80)는 대표 아이콘(1240)을 표시부(150)의 좌측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서 웹 브라우저를 제2 아이템으로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301)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310)을 실행화면(1301)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131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311, 1312, 1313, 1314, 1315, 1316)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311, 1312, 1313, 1314, 1315, 1316) 중에서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1311)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1311)인 즐겨찾기 추가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즐겨찾기 추가에 대한 실행화면(1322)을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1301)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즐겨찾기 추가에 대한 실행화면(1322)은 웹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는 항목(1323)과, 전자장치에 저장된 아이템(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하여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는 항목(1324)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즐겨찾기 추가에 대한 실행화면(1322)에서 웹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는 항목(1323)이 선택되면, 웹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실행화면(1325)를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웹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실행화면(1325)에서 블랭크(1326)에 웹 주소가 입력되고, 완료메뉴(1327)가 선택됨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블랭크(1326)에 입력된 웹 주소를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고, 추가가 완료되면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1311)의 색깔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된 웹 주소를 표 2와 같이,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웹 주소의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되면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1301) 하단에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1330)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된 후 임계 시간(N Sec)이 경과하면,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1301)에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310)만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서 다른 아이템을 제2 아이템으로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401)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410)을 실행화면(1401)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141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411, 1412, 1413, 1414, 1415, 1416)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411, 1412, 1413, 1414, 1415, 1416) 중에서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1411)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1411)인 즐겨찾기 추가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즐겨찾기 추가에 대한 실행화면(1422)을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1401)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즐겨찾기 추가에 대한 실행화면(1422)은 웹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는 항목(1423)과, 전자장치에 저장된 아이템(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하여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는 항목(1424)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즐겨찾기 추가에 대한 실행화면(1422)에서 아이템을 선택하여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는 항목(1424)이 선택되면, 전자장치에 저장된 아이템들의 목록(1425)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템들의 목록(1425)에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1426)되고, 완료메뉴(1427)가 선택됨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특정 아이템(1426)을 즐겨찾기에 추가할 수 있고, 추가가 완료되면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1411)의 색깔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된 아이템을 표 2와 같이,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템의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되면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1401) 하단에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됨을 알리는 메시지(1430)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즐겨찾기 추가가 완료된 후 임계 시간(N Sec)이 경과하면,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1401)에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410)만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서 제2 아이템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대기화면(1501)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대기화면(1501)에서 아이콘(1510)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아이콘(1510)에 대한 제1 아이템을 실행하고, 실행화면(1502)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행화면(1502)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에 대한 대표 아이콘(15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 의해 실행화면(1502)에 표시된 대표 아이콘(1520)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신호가 수신되면, 드롭 신호가 감지된 위치(1521)로 대표 아이콘(1520)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502)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기화면(1501)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을 전자장치의 백 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하고, 포어 그라운드(foreground)에 대기화면(1501)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대기화면(1501)에서 다른 아이콘(1530)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선택된 다른 아이콘(1530)에 대한 다른 제1 아이템을 실행하고, 실행화면(1503)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실행화면(1503)의 지정된 위치에 제2 아이템에 대한 대표 아이콘(154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른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503)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기화면(1501)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다른 제1 아이템을 전자장치의 백 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포어 그라운드에서 대기화면(1501)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로부터 대기화면(1501)에서 아이콘(1510)에 대한 선택신호가 다시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아이콘(1510)에 해당하는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502)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변경된 위치(1521)에 아이콘(1510)에 해당하는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의 대표 아이콘(15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601)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610)을 실행화면(1601)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161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611, 1612, 1613, 1614, 1615, 1616)을 대표 아이콘(1610)을 중심으로 반원형태로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701)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710)을 실행화면(1701)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171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711, 1712, 1713, 1714, 1715, 1716)을 실행화면(1701)의 하단에 일렬로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표시부(150)에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1801)을 표시하고,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제2 아이템들의 대표 아이콘(1810)을 실행화면(1801)의 지정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20)에서 대표 아이콘(1810)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들에 대한 아이콘들(1811, 1812, 1813, 1814, 1815, 1816)을 대표 아이콘(1810)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들(1811, 1812, 1813, 1814, 1815, 1816) 중에서 표시부(150)에는 1812, 1813, 1814, 1815에 해당하는 아이콘이 표시되고, 1811 및 1816에 해당하는 아이콘은 아이콘의 일부만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1811 및 1816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 화살표 방향(1817)으로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면,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만큼 아이콘들(1811, 1812, 1813, 1814, 1815, 1816)을 회전하여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전자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카메라
140: 영상처리부 150: 표시부
160: 오디오처리부 170: 메모리
171: 아이템DB 180: 제어부
181: 카테고리확인부 182: 아이템관리부

Claims (26)

  1. 제1 아이템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상기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 실행 시 일정횟수 이상 실행된 아이템 또는 상기 제1 아이템 실행 시 관련 아이템으로 선택된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은,
    대표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대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대표 아이콘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은,
    방사상형, 직선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작인 디스플레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상기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
    상기 변경된 제2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상기 제2 아이템의 표시 위치로 저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된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목록에 저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로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상기 제1 아이템을 저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카테고리 목록에 대한 명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명칭으로 상기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상기 제1 아이템을 저장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1 아이템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아이템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상기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고,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설정된 상기 제2 아이템을 확인하는 전자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 실행 시 일정횟수 이상 실행된 아이템 또는 상기 제1 아이템 실행 시 관련 아이템으로 선택된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표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대표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대표 아이콘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의 아이콘을 방사상형, 직선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전자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상기 제1 아이템의 실행화면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전자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제2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상기 제2 아이콘의 표시 위치로 저장하는 전자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전자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소된 제1 아이템에 대한 실행화면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전자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아이템의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목록에 저장하는 전자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로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상기 제1 아이템을 저장하는 전자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테고리 목록에 대한 명칭을 수신하고, 상기 명칭으로 상기 카테고리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카테고리 목록에 상기 제1 아이템을 저장하는 전자장치.
KR1020150115853A 2015-08-18 2015-08-18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70021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53A KR20170021469A (ko) 2015-08-18 2015-08-18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5/214,980 US20170052657A1 (en) 2015-08-18 2016-07-20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53A KR20170021469A (ko) 2015-08-18 2015-08-18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469A true KR20170021469A (ko) 2017-02-28

Family

ID=5815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53A KR20170021469A (ko) 2015-08-18 2015-08-18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52657A1 (ko)
KR (1) KR201700214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7886578A (zh) * 2017-11-24 2018-04-06 石化盈科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三维数字化平台按钮环形弹出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4113A1 (en) * 2003-06-20 2004-12-29 Apple Computer, Inc. Computer interface having a virtual single-layer mode for viewing overlapping objects
US10788976B2 (en) *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20130019175A1 (en) * 2011-07-14 2013-01-17 Microsoft Corporation Submenus for context based menu system
CN103034643A (zh) * 2011-09-29 2013-04-1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文件下载方法及装置
KR101867513B1 (ko) * 2012-05-29 2018-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82088B2 (en) * 2012-12-06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gh screen device
KR20140106887A (ko) * 2013-02-27 201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246484A1 (en) * 2013-11-08 2016-08-2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20160001266A (ko) * 2014-06-27 2016-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52657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309B2 (en) Bullet 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N113473204B (zh)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2754352B (zh) 提供多个应用的信息的方法和装置
EP309375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143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JP5956725B2 (ja) コンテキスト認識型ヘルプ・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974067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a webpage from an original design file comprising layers
RU2612362C1 (ru) Способ запис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 и система
KR102013338B1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5016918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osition of a hom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5446726A (zh) 生成网页的方法和装置
JP6219642B2 (ja) 使用者デバイスで入力文字を利用した知能型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CN105302784A (zh) 复制/剪切和粘贴数据的方法和系统
US201402982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 for executing application
KR102280474B1 (ko)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208436B1 (ko)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50007760A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CN110168487A (zh) 一种触摸控制方法及装置
KR102013329B1 (ko) 광학식 문자 판독기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5094809A (zh) 组合图片布局修改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CN104881844A (zh) 一种图片组合的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CN102646037A (zh) 菜单显示处理方法和终端设备
CN104133624A (zh) 网页动画显示方法、装置及终端
KR101999762B1 (ko)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024255A (ko) 데이터 복합 기록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