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1463A -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 Google Patents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1463A
KR20170021463A KR1020150115839A KR20150115839A KR20170021463A KR 20170021463 A KR20170021463 A KR 20170021463A KR 1020150115839 A KR1020150115839 A KR 1020150115839A KR 20150115839 A KR20150115839 A KR 20150115839A KR 20170021463 A KR20170021463 A KR 20170021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vibration
neck
string
st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금종
Original Assignee
정금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금종 filed Critical 정금종
Priority to KR102015011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1463A/ko
Publication of KR2017002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10D1/085Mechanical design of electric guit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악기에 설치된 다수개의 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헤드부에 배열된 현으로 전달되어 불필요한 진동 발생으로 인한 탁음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현악기의 음질 상태를 보다 명확하고 깨끗이 하여 선명한 음을 얻을 수 있는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METHOD FOR JOINING OF SUPER LONG SET IN NECK FOR ELECTRIC GUITAR}
본 발명은 현악기에 설치된 다수개의 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헤드부에 배열된 현으로 전달되어 불필요한 진동 발생으로 인한 탁음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현악기의 음질 상태를 보다 명확하고 깨끗이 하여 선명한 음을 얻을 수 있는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는 다수개의 현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의 한 종류로서, 기타,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등이 이에 해당된다.
상기한 현악기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외측이 라운드 지게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의 단부와 연결 설치되며 조율구가 다수개 구비된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 형성되며, 타단이 헤드부상에 구비된 조율구 상에 다수개가 연결된 현이 배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현악기는 현을 튕겨주거나 별도로 구비된 활을 사용하여 현을 마찰시킴으로써 소리를 내게 되며, 상기 바디부가 공명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현의 진동에 의한 공명현상에 의해 음이 발생 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현악기에 설치된 현에 의한 진동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1의 A구간은 바디부와 넥크부 사이에서 발생 되는 현의 진동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B구간은 헤드부에서 발생 되는 현의 진동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현악기가 연주될 때에는 다수개의 현의 진동에 의해 음이 발생 되며, 상기한 현의 진동이 발생 되는 A구간에서의 진동폭은 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B구간에서의 진동폭은 작지만 진동폭이 조금씩 줄어 들게 되어서, 상기 A구간에서의 진동이 B구간인 헤드부쪽으로 전달되어 지속적으로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상기 헤드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현악기에서 발생된 원음을 방해하는 미세한 진동 발생으로 인하여 실제 연주자가 연주할 때 상기 헤드부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이 바디부와 넥크부 구간에서의 자연스러운 진동을 방해하게 되어 불필요한 음을 유발시키며, 음을 탁하고 흐리게 하여 선명한 음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로킹너트(Locking Nut)가 특히 기타의 해드부나 바디부(플랫보드) 선단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로킹너트는 다수의 형태와 방식으로 제안되었는데 특히 U.S. Pat. No. 4,517,874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부부재 사이에 현을 고정하기 위해 평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 이상의 평면 상부부재를 포함하는 현 클램핑 메커니즘을 구비한 전자기타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는 네크의 상부와 기타의 헤드부 사이에 경사진 표면 상에 고정되고 기타 연주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얕은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분리된 너트는 제1플렛에서 원하는 현의 선명함을 달성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 U.S. Pat. No. 4,574,678, U.S. Pat. No. 4,579,033, U.S. Pat. No. 5,438,901, U.S. Pat. No. 5,932,822, U.S. Pat. No. 6,723,905에서도 이와 유사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로킹너트는 기본적으로 플렛의 현의 장력과 길이를 고정시켜 쵸킹, 트레몰로 암 등의 사용으로 인한 조율이 부정확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도구이다. 더 나아가 헤드부로 현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편도 가능은 하겠으나 로킹너트 자체가 또 다른 전동수단으로 작용하여 헤드부에 현의 진동을 방지하는 기능은 극히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또 구조적으로 헤드에 별도의 나사홈을 파서 장치를 나사로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러스로드(네크의 휨 조절장치) 홈의 위치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장착에 따른 어려움이 있으며 로킹너트의 사용으로 인한 스트링의 장력 변화가 발생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아주 미미하지만 민감한 문제로서 로킹너트가 장착되어진 기타나 헤드리스 기타(헤드가 없는 스테인버거 기타)의 경우 스트링을 쵸킹(음을 끌어올림) 하였을 때 로킹너트와 브릿지 사이의 스트링이 늘어나면서 음이 올라간다. 반면 로킹너트가 장착되지 않은 펜더 스트라토 타입의 기타의 경우 스트링을 쵸킹을 하였을 때 헤드머신과 브릿지 사이의 스트링이 늘어나면서 음이 올라 가기 때문에 스트링이 늘어나는 범위가 위의 경우보다 길어지므로 스트링의 쵸킹시에 유리한 점이 있다. 즉 로킹너트의 사용으로 인해서 튜닝이 안정되지만 쵸킹시에는 손가락의 힘이 더 많이 들어간다는 결론에 이른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악기의 바디부와 넥크부 구간에서 현의 진동이 헤드부에 배열된 현을 진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불필요한 진동을 방지하여 명확하고 선명한 현악기의 음을 얻을 수 있는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착이 가능하고 이탈착이 편리한 구조로 이루어진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에 나사로 고정 하지도 않으며 트러스로드 홈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현의 장력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방지구는 록킹해제홈(225)으로서 개방이 용이하게 되어 이탈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명체로 이루어진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넥크부, 상기 넥크부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조율구가 설치된 헤드부, 일단이 상기 바디부상에 다수개가 배열 설치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헤드부상에 고정된 현을 포함하는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현의 외측과 면접촉되어 현을 잡아주도록, 넥크부의 선단부와 헤드부 사이에 구비되되 현악기의 바디부와 넥크부상에서 발생된 현의 진동이 헤드부에 전달되어 불필요한 진동으로 인한 탁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를 내측에 수용하고 헤드부상에 설치 가능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일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지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힌지부를 더 포함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드부가 현의 상측과 면접촉되는 상부 패드부, 상기 현의 하측과 면접촉되는 하부 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패드부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현에서 발생 되는 진동을 차단 가능한 두께를 갖도록 설치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패드부가 양모패드, 부직포 또는 합성섬유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패드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패드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편과 록킹 또는 언록킹 결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걸림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는 각종 현악기에 설치되어 사용 가능하며, 다수의 현에서 발생한 진동이 헤드부로 전달되더라도 현악기의 원음을 방해하는 미세한 진동을 차단하여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원음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방지구를 장착한 현악기에서 B영역의 진동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구는 헤드부분에 나사로 고정 하지도 않으며 트러스로드 홈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도 않을뿐더러 장착이 매우 용이하며 헤드부 현의 진동을 완전히 방지 합니다.
또한 로킹너트와 달리 현의 장력변화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방지구는 록킹해제홈(225)으로서 개방이 용이하게 되어 이탈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현악기에 설치된 현에 의한 진동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의 일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방지구를 장착한 현에 의한 진동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상기 패드부가 양모패드, 부직포 또는 합성섬유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패드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패드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편과 록킹 또는 언록킹 결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걸림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의 상부 지지부가 록킹 결합된 하부 지지부에서 언록킹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편이 위치한 반대편 상에 록킹 해제홈이 형성되는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가 헤드부 외측의 곡률을 따라 설치 가능하도록 수평 또는 상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가 지지부의 하측면과 헤드부의 스킨면 사이가 이격되게 설치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방지구가 헤드부의 후단부에 설치된 조율구와 넥크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너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치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의 일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70)는 현(10)의 외측과 면접촉되어 현(10)을 잡아주도록 넥크부(40)의 선단부와 헤드부(60) 사이에 구비되되 현악기(1)의 바디부(20)와 넥크부(40)상에서 발생된 현(10)의 진동이 헤드부(60)에 전달되어 불필요한 진동으로 인한 탁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부(100)와 지지부(20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00)는 현(10)의 상측과 면접촉되는 상부 패드부(110)와, 상기 현(10)의 하측과 면접촉되는 하부 패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패드부(110,120)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현(10)에서 발생 되는 진동을 차단 가능한 두께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부(100)는 양털로 이루어진 양모패드, 부직포 또는 합성섬유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패드부(100)를 내측에 수용하고 헤드부(60)상에 설치 가능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일체 형성된 지지부(200)와, 상기 헤드부(60)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힌지부(210)를 포함하여 진동방지구(20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패드부(1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221)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부(222)와, 상기 패드부(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편(221)과 록킹 또는 언록킹 결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걸림홈(223)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 지지부(222)는 록킹 결합된 하부 지지부(224)에서 언록킹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편(221)이 위치한 반대편 상에 록킹 해제홈(225)이 형성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헤드부(60) 외측의 곡률을 따라 설치 가능하도록 수평 또는 일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부(200)의 하측면과 헤드부(60)의 스킨면 사이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지지부(200)의 하측면과 넥크부(40)의 스킨면 사이가 면 접촉될 경우에는 진동방지구(200)에 전달된 현(10)의 진동에 의해 상기 헤드부(60)와의 간섭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이다.(도 2 참조)
상기 진동방지구(200)는 헤드부(60)의 후단부에 설치된 조율구(50)와 넥크부(40)의 선단부에 설치된 너트(30)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위치가 헤드부(60)의 현(10)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진동의 폭이 많이 발생하는 위치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진동방지구(70)의 길이와 폭은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설치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용 진동방지구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진동방지구(70)를 조율기와 너트(30) 사이에 위치한 현(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하부 지지부(222,224)의 록킹 상태를 해제해야한다.
상기 상부 지지부(222)의 일측 단부는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그 단부에 돌출편(221)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 지지부(224)의 걸림홈(223)과 록킹 결합하게 되며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상부 지지부(222)의 록킹 해제홈(225)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지지부(200)의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상부 지지부(222)를 외측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 지지부(222)가 회전된 상태에서 진동방지구(70)의 하부 지지부(224)를 헤드부(60)에 배열된 현(10)의 하측으로 위치시켜 하부 지지부(224)에 구비된 하부 패드부(120)상에 다수개의 현이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222)의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하부 지지부(224)에 형성된 걸림홈(223)에 돌출편(221)을 록킹 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 지지부(222,224)가 록킹이 이루어지면서 현악기(1)에 설치된 다수개의 현(10)은 상부패드부(110)와 하부패드부(120)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방지구(70)는 헤드부(60)에 구비된 다수개의 조율구(50) 중, 후단부에 설치된 조율구(50, 6현 기타의 경우 6번용 조율구)와 너트(30)의 사이의 중간 지점에 설치된다.
즉 헤드부(60)의 후단부에 설치된 조율구(50)로부터 넥크부(40)의 선단부 까지의 길이를‘L’이라고 할 때,‘L/2’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현(10)의 진동을 차단하고 현악기의 음질 상태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해당된다.
또한 지지부(200)의 하측면과 헤드부(60)의 스킨면 사이가‘h’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바디부(20)와 넥크부(40)상에서 발생된 현(10)의 진동에 의해 헤드부(60)의 스킨면과의 접촉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로써, 상부패드부(110)와 하부패드부(120)사이에 현(10)이 밀착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며 상하부 패드부(110,120)에 의해 흡수되어 헤드부(60)에 배열된 현(10)에서의 진동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현악기의 원음을 방해하는 미세한 진동이 차단되어 선명한 음의 상태로 연주가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진동 방지구는 현악기의 다양한 종류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하도록 진동방지구(70')의 형상이 변경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의 제작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현 20 : 바디부
30 : 너트 40 : 넥크부
50 : 조율구 60 : 헤드부
70 : 진동방지구 100 : 패드부
110,120 : 상하부 패드부 200 : 지지부
221 : 돌출편 222,224 : 상하부 지지부
223 : 걸림홈 225 : 록킹해제홈
210 : 힌지부

Claims (5)

  1. 공명체로 이루어진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넥크부, 상기 넥크부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조율구가 설치된 헤드부, 일단이 상기 바디부상에 다수개가 배열 설치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헤드부상에 고정된 현을 포함하는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현의 외측과 면접촉되어 현을 잡아주도록, 넥크부의 선단부와 헤드부 사이에 구비되되 현악기의 바디부와 넥크부상에서 발생된 현의 진동이 헤드부에 전달되어 불필요한 진동으로 인한 탁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를 내측에 수용하고 헤드부상에 설치 가능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일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상에 탈착 가능하도록 지지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힌지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진동방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현의 상측과 면접촉되는 상부 패드부, 상기 현의 하측과 면접촉되는 하부 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 패드부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현에서 발생 되는 진동을 차단 가능한 두께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양모패드, 부직포 또는 합성섬유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패드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패드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돌출편과 록킹 또는 언록킹 결합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걸림홈이 형성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KR1020150115839A 2015-08-18 2015-08-18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KR20170021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39A KR20170021463A (ko) 2015-08-18 2015-08-18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39A KR20170021463A (ko) 2015-08-18 2015-08-18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463A true KR20170021463A (ko) 2017-02-28

Family

ID=5854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39A KR20170021463A (ko) 2015-08-18 2015-08-18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14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4240B2 (ja) 弦楽器の音響特性改善方法、ギターの固定プレ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ギター
KR100999249B1 (ko) 네크각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기타
US10304435B2 (en) Musical instrument and acoustic transducer device
JP4588109B2 (ja) 弦楽器
US20180336868A1 (en) Musical instrument
KR20100057634A (ko) 어뎁터
KR102091617B1 (ko) 첼로 엔드핀
KR20190011665A (ko) 악기의 대향 측면 상의 2개의 음향 보드로부터 음향을 생성하기 위한 현악기 및 제작 방법
US20080264233A1 (en) Bass drum mute
JP2017044737A (ja) 弦楽器
CA2667874C (en) Chin-rest for a violin
AU2004200436B2 (en) Damping element
KR20170021463A (ko) 일렉트릭기타 슈퍼 롱 셋인넥 접합방식 제조공법
KR100788846B1 (ko) 현악기용 진동방지구
US8373051B2 (en) System for adding a string to a stringed instrument
US6635812B2 (en) String holder for a musical instrument
US20110252941A1 (en) Fix-mounted Guitar Bridge
JP2009186980A (ja) 弦楽器の弦支持方法
US8766068B2 (en) Interchangeable tuners for a tailpiece of a musical instrument
US11205406B2 (en) Accessory assembly for string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ent
US8227678B2 (en) Tailpiece for a musical instrument
KR20230039462A (ko) 현악기 조율 엔드 핀 장치
CN113554995B (zh) 弦乐器的配件组及弦乐器
KR102331351B1 (ko) 현악기 조율 엔드 핀 장치
JP2011221333A (ja) 弦楽器の弦端固定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