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695A -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acces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st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acces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st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695A
KR20170020695A KR1020160091642A KR20160091642A KR20170020695A KR 20170020695 A KR20170020695 A KR 20170020695A KR 1020160091642 A KR1020160091642 A KR 1020160091642A KR 20160091642 A KR20160091642 A KR 20160091642A KR 20170020695 A KR20170020695 A KR 20170020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ti
terminal
uplink
signal
random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6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1529B1 (en
Inventor
조승권
정수정
노태균
이안석
장성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235,95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75334B2/en
Publication of KR2017002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5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s a first signal through an uplink dedicated channel allocated in a first radio resource based on a firs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having a first time length at a first step for uplink access. If the terminal can operate based on a second TTI having a second time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time length, uplink data is transmitted after the remaining steps for uplink access are performed by using a second radio resource based on the second TTI from a base station. So, fast access can be possible.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빠른 접속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빠른 접속 지원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ACCES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ST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fast access support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빠른 접속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빠른 접속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전송시간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s, TTIs)을 이용하여 빠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quick access suppor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st access method using two transmission time intervals (TTIs) having different time lengths An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기지국으로 이루어진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서 기지국 또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가 단말 또는 기지국의 송신 버퍼에 도착한 시점부터 최종적으로 수신측인 기지국 또는 단말로 전송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걸리는 지연 시간(latency)을 줄이는 것이 최근 5세대(5G, 5-th Generation) 통신에 필요한 기술로서 언급되고 있다.In a communication system composed of at least on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or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e data is finally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transmission buffer of the terminal or the base station to the base station or terminal (5G, 5-th Generation) communication has been mentioned as a technology to reduce the latency to the point of time.

구체적으로, ITU-R에서 2015년 6월에 합의된 5G 이동통신의 비전에 관한 문서에 따르면, 8개의 핵심 성능 지표 중의 하나가 지연 시간(latency)으로 결정될 만큼 지연 시간 축소가 향후 통신시스템에서의 핵심 사항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document on the vision of 5G mobile communications agreed in ITU-R in June 2015, it is assumed that one of the eight key performance indicators is determined as latency, It seems to be a key issue.

이에 따라,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줄이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TI는 단말 또는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소 전송 시간 간격으로서, 예를 들어 IEEE 802.16e에 기반한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통신 시스템의 경우 TTI가 5ms이고, 3GPP Release 8~ Release 12에 기반한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Advanced) 통신 시스템의 경우 TTI는 1ms이다.Accordingly, studies are underway to reduce the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The TTI is a minimum transmission time interval in which a terminal or a base station transmits data. For example, a TTI is 5 ms for a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EEE 802.16e, and a LTE (Long) based on 3GPP Release 8 to Release 12 Term Evolution) and LTE-A (Advanced) communication systems, the TTI is 1 ms.

대부분의 통신 시스템은 TTI를 줄이는데 있어 과거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고려해야 한다. 기존 통신 시스템이 가지는 TTI를 정상 TTI(Normal TTI)라 정의하고, 정상 TTI보다 시간 길이가 짧은 새로운 TTI를 짧은 TTI(Short TTI)라 정의할 때, 과거 호환성이란 새로운 짧은 TTI를 지원하는 기지국에 기존의 정상 TTI만 지원하는 단말이 접속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으로 정의된다. Most communication systems should consider backward compatibility in reducing TTI. When a new TTI having a shorter time length than a normal TTI is defined as a short TTI (Short TTI), the TTI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is defined as a normal TTI, The terminal supporting only the normal TTI of the mobile station should be able to access.

짧은 TTI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짧은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 외에, 과거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해 반드시 정상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을 가지게 된다. A base st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short TTI must have a radio resource based on a normal TTI in order to support past compatibility, in addition to radio resources based on a short TTI.

현재까지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비록 하나 또는 복수의 반송파(carrier)를 가지고 있더라도 모든 반송파가 동일한 TTI에 기반한 무선자원을 가진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이 이종 TTI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 통신 시스템의 기존 규격에의 영향(impact), 시스템 오버헤드(overhead), 새로운 물리 채널 설계에 따른 단말 및 기지국 복잡도 증가 등 다양한 시스템 설계 시의 고려 사항들을 염두에 두고 짧은 TTI의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지연시간 축소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 제시되지 않았다. In current communication systems, all carriers have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same TTI, even though the base station has one or more carriers. Therefore, when a communication system has a heterogeneous TTI, considering various system design considerations such as an impact on the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system overhead, increase in terminal and base station complexity due to a new physical channel design There has not been proposed a technique for efficiently using radio resources of a short TTI in order to reduce the delay tim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지연 시간 축소를 통한 빠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시스템에서의 빠른 접속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빠른 접속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ic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and a quick access support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quick access through reduction of delay time.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빠른 상향링크 접속 방법이 제공된다. 빠른 접속 방법은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제1 단계에서, 제1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반한 제1 무선 자원 내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짧은 제2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TTI에 기반한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 uplink access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t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In a fast access method, in a first step for uplink access, a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n uplink dedicated channel allocated in a first radio resource based on a first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having a first time length If the UE can operate based on a second TTI having a second time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time length, transmitting the uplink access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based on the second TTI from the base station,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for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and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상기 제1 신호는 대역폭 요청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대역폭 요청 채널일 수 있다. The first signal may be a bandwidth request signal, and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may be a bandwidth request channel.

상기 제1 신호는 BSR(Buffer Status Report)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상향링크 공유 트래픽 채널일 수 있다. The first signal may be a BSR (Buffer Status Report) signal, and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may be an uplink shared traffic channel.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1비트의 플래그를 리셋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1비트의 플래그를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includes the steps of resetting a flag of 1 bit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when the terminal operates based on the first TTI, And if so, setting a flag of 1 bit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상기 제1 신호는 랜덤 접속 프리앰블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일 수 있다. The first signal may be a random access preamble signal, and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may be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제1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제1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제1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when the terminal operates based on the first TTI, a first random access preamb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random access preambles as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first random access preamble as the first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random access preambles when the UE operates based on the second TTI.

상기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랜덤 접속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BSR(Buffer Status Report)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자원 사용 허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random access respons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which has received the second random access preamble,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Report), and receiving an uplink resource use grant message including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상기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자원 및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각각 전송한 랜덤 접속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랜덤 접속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BSR(Buffer Status Report)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자원 사용 허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comprises: transmitting a random access response each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radio resource and the second radio resource; when the terminal operates based on the second TTI, Receiving a random access response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transmitting a BSR (Buffer Status Report)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and transmitting the BSR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And transmitting an uplink resource utilization grant message including the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의 빠른 상향링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빠른 접속 지원 방법은 상기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제1 단계에서, 제1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반한 제1 무선 자원 내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짧은 제2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TTI에 기반한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supporting fast uplink access of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The fast access support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in a first step for the uplink acces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rough an uplink dedicated channel allocated in a first radio resource based on a first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Receiving a first radio signal based on the second TTI when the UE is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econd TTI having a second time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time length;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for the uplink access, and receiving up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상기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may include determining from the first signal whether the terminal is a terminal operating on the first TTI or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on the second TTI.

상기 제1 신호는 랜덤 접속 프리앰블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일 수 있다. The first signal may be a random access preamble, and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may be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이 복수 개의 제1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제1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제1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이 복수 개의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제1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first signal comprises the step of the UE operating on the first TTI transmitting the first random access preamble as the first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random access preambles, May include transmitting a first random access preambl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random access preambles as the first signal.

상기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접속 응답을 상기 제1 무선 자원과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각각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BSR(Buffer Status Report)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comprises transmitting a random access response for the random access preamble using the first radio resource and the second radio resource, and transmitting the random access response for the random access preamble from the terminal to the BSR (Buffer Status Repor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econd TTI.

상기 제1 신호는 대역폭 요청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대역폭 요청 채널일 수 있다. The first signal may be a bandwidth request signal, and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may be a bandwidth request channel.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사용할 대역폭 요청 신호를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대역폭 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hecking step may include discriminating whether the terminal is operating on the first TTI or on the second TTI, allocating a bandwidth request signal to be used by th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econd TTI based on the bandwidth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상기 제1 신호는 BSR(Buffer Status Report)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상향링크 공유 트래픽 채널일 수 있다. The first signal may be a BSR (Buffer Status Report) signal, and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may be an uplink shared traffic channel.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BSR의 플래그 값이 셋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BSR의 플래그 값이 리셋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nfirming comprises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can operate based on the second TTI if the flag value of the BSR is set and if the flag value of the BSR is reset, And determining to operate based on the first TTI.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빠른 상향링크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빠른 접속 장치는 프로세서, 그리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반한 제1 무선 자원 내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상향링크 접속 절차의 제1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짧은 제2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TTI에 기반한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제2 단계부터 최종적인 데이터 전송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상기 상향링크 접속 절차에 따른 무선 신호를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 uplink access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by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A quick access device includes a processor and a transceiver. Wherein the processor performs a first step of an uplink access procedure through an uplink dedicated channel allocated in a first radio resource based on a firs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having a first time length, If it is possible to operate based on a second TTI having a second time length shorter than the one-hour length, performs a final data transmission step from the second step using a second radio resource based on the second TTI from the base station . The transceiver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uplink access procedure to /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계에서 랜덤 접속 프리앰블, 대역폭 요청 신호 및 BSR(Buffer Status Report) 중 하나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the processor may transmit one of a random access preamble, a bandwidth request signal, and a buffer status report (BSR) through the transceive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정보를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 상기 대역폭 요청 신호 및 상기 BSR 중 하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알려줄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for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andom access preamble, the bandwidth request signal, and the BSR that the UE can operate based on the second TTI in the first step.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시간 길이가 다른 두 개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s)에 기반한 무선 자원을 가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상향링크 접속 절차에서, 두 번째 단계부터는 두 개의 TTI 중에서 시간 길이가 짧은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시간 길이가 긴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지연 시간(latency) 축소를 통해 빠른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wo TTIs (Transmission Time Intervals) having different time lengths, in an uplink access procedure required for a UE to transmit data to a base station, Time TTI is performed using a radio resource based on a TTI having a shorter time length, thereby enabling faster access through reduction of latency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radio resource based on a TTI having a longer time length.

또한 상향링크 접속 절차에서 첫 번째 단계는 두 개의 TTI 중에서 길이가 긴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에 맞게 설계된 물리 채널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길이가 짧은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첫 번째 단계를 수행할 때 필요한 길이가 짧은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에 맞게 설계된 새로운 물리채널이 필요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길이가 짧은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에 맞게 설계된 새로운 물리채널의 채용에 필요한 시스템 오버헤드, 설계의 복잡도, 제품 단가의 상승 등을 없앨 수 있다. Also, the first step in the uplink access procedure is to use the physical channel designed for the radio resource based on the long TTI among the two TTIs, and perform the first step us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short TTI A new physical channel designed for radio resources based on a short TTI is need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system overhead, the complexity of the design, and the increase in the product cost required for adopting a new physical channel designed for radio resources based on a short TTI.

또한 첫 번째 단계를 짧은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첫 번째 단계를 길이가 긴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고 두 번째 단계부터 짧은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에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첫 번째 단계에 필요한 짧은 TTI에 기반한 무선 자원의 부하(load)를 분산 시킬 수 있다.Also, even if the first stage is a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in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irst stage in a radio resource based on a long TTI and a radio resource based on a short TTI from a second stage ,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load of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short TTI required for the first ste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TTI의 종류에 따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구조에 따른 이종 TTI의 무선 자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기존 LTE 및 LTE-A 통신 시스템에서 PRACH를 이용한 랜덤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랜덤 접속 방법에서 단계 2부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랜덤 접속 방법에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이 단계 2부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기존 LTE 및 LTE-A 시스템에서 PUCCH를 이용한 SR(Scheduling Request)에 의한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용의 대역폭 요청 채널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기존 LTE 및 LTE-A 통신 시스템에서 BSR(Buffer Status Report)을 이용한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BSR을 이용한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빠른 접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빠른 접속 지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radio resources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ypes of TTIs.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adio resource of a heterogeneous TTI according to a subframe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ndom access method using a PRACH in a conventional LTE and LTE-A communication system.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ndom access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from step 2 in the random access method shown in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enabling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in the random access method shown in FIG. 4 to us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from step 2.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by SR (Scheduling Request) using a PUCCH in a conventional LTE and LTE-A system.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link access method using a dedicated bandwidth request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using a BSR (Buffer Status Report) in a conventional LTE and LTE-A communication system.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using a BSR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quick access devic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st access support apparatus for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section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terminal is referred to as a mobile terminal (MT), a mobile station (MS), an advanced mobile station (AMS), a 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n access terminal (AT), a user equipment (UE) , HR-MS, SS, PSS, AT, UE, and the like.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Also, a base station (BS) is an advanced base station (ABS), a 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a node B, an evolved node B, ),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S),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mobile multihop relay (MMR) -BS, a relay station (RS), a relay node (RN) serving as a base station, an advanced relay station (ARS) serving as a base station, a 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 A femto BS, a home Node B, a home eNodeB, a pico BS, a metro BS, a micro BS, Etc.) or all or some of the ABS, Node 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 There's also an included feature.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빠른 접속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빠른 접속 지원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ow, a fast access method and apparatus and a fast access support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통신 시스템이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 및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모두 가질 때, 해당 통신 시스템은 이종 TTI(heterogeneous TTIs)를 가진다고 정의한다. 여기서, 정상 TTI와 짧은 TTI는 절대적인 시간 길이 기준에 의해 나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TTI의 시간 길이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상대적인 개념이다.When a communication system has both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and a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the communication system defines that it has heterogeneous TTIs. Here, the normal TTI and the short TTI are not divided by the absolute time length criterion but are a relative concept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ime lengths of the two TTIs.

또한 반송파 내에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 및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모두 가지는 반송파를 이종 TTI 반송(a carrier with heterogeneous TTIs)라 정의하고, 반송파 내에 정상 TTI 기반 무선자원만을 가진 반송파를 정상 TTI 반송파(a carrier with only normal TTI)라 정의하며, 반송파 내에 짧은 TTI 기반 무선자원만을 가진 반송파를 짧은 TTI 반송파(a carrier with only short TTI)라고 정의한다. A carrier having both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nd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in a carrier is defined as a carrier with heterogeneous TTIs, and a carrier having only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in a carrier is defined as a normal TTI carrier with only normal TTI), and a carrier having only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in the carrier is defined as a short TTI carrier.

이종 TTI 반송파, 정상 TTI 반송파, 그리고 짧은 TTI 방송파의 정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진 통신 시스템은 두 가지 분류에 속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된다. A communication system with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ll cases belonging to two categories, using definitions of heterogeneous TTI carriers, normal TTI carriers, and short TTI broadcast waves.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반송파의 개수를 N(N은 1과 같거나 큰 자연수)이라고 하면, 분류 1은 N=1인 경우이고, 분류 2는 N > 1인 경우이다. Assuming that the number of carriers used by the communication system is N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Class 1 is N = 1, and Class 2 is N> 1.

분류 1의 경우, 통신 시스템은 시스템은 하나의 반송파 사용하며, 해당 반송파는 이종 TTI 반송파이다. In the case of Classification 1, the communication system uses one carrier and the carrier is a heterogeneous TTI carrier.

분류 2의 경우, 통신 시스템은 J개의 이종 TTI 반송파, K개의 정상 TTI 반송파, 그리고 L개의 짧은 TTI 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J≥0, K≥0, L≥0 이고, J+K+L=N을 만족한다.In case of Class 2,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J heterogeneous TTI carriers, K normal TTI carriers, and L short TTI carriers. At this time, J? 0, K? 0, L? 0, and J + K + L = N.

예를 들면, 가령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반송파가 2개이고 이 중에서 하나의 반송파가 정상 TTI 반송파이고, 다른 하나의 반송파가 짧은 TTI 반송파일 수 있다. 이 경우는 분류 2의 N=2, J=0, K=1, L=1에 해당된다. For example, for example, there may be two carriers used by the communication system, one of which is a normal TTI carrier and the other carrier is a short TTI carrier file. This case corresponds to N = 2, J = 0, K = 1, and L = 1 in classification 2.

또한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반송파가 2개이고 이 중에서 하나의 반송파가 이종 TTI 반송파이고, 다른 하나의 반송파가 정상 TTI 반송파일 수 있다. 이 경우는 분류 2의 N=2, J=1, K=1, L=0에 해당된다. In addition, there are two carriers used by the communication system, one of which is a heterogeneous TTI carrier, and the other carrier is a normal TTI carrier file. This case corresponds to N = 2, J = 1, K = 1, and L = 0 in classification 2.

통신 시스템이 복수 개의 반송파를 가지는 경우의 한 예를 들면, 3GPP 규격에 기반한 LTE 또는 LTE-A 통신 시스템의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또는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과 같은 방법 등이나, IEEE 802.16 계열 규격에 기반한 이동 WiMAX 시스템의 다중 반송파 동작(Multicarrier operation) 등이 있을 수 있다. One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system has a plurality of carriers is a method such as Carrier Aggregation (CA) or Dual Connectivity of an LTE or LTE-A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3GPP standard, or a method such as IEEE 802.16 And a multicarrier operation of a mobile WiMAX system based on a series standa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TTI의 종류에 따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radio resources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ypes of TTIs.

도 1을 참고하면, 통신 시스템이 가진 전체 무선 자원은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 및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의 영역 및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의 영역이 물리적인 자원량의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Referring to FIG. 1, the entire radio resource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divided into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nd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At this time, the region of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and the region of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shown in FIG. 1 do not represent the relative ratio of the physical resource amoun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서브프레임 구조에 따른 이종 TTI의 무선 자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의 3GPP LTE 또는 LTE-A 통신 시스템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 1ms 길이의 정상 TTI와 0.5ms 길이의 짧은 TTI를 가지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adio resource of a heterogeneous TTI according to a subframe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 3GPP LTE or LTE-A communication system of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And a normal TTI having a length of 1 ms and a short TTI having a length of 0.5 ms are shown in the uplink subframe.

도 2를 참고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과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은 주파수 축을 기준으로 서로 번갈아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반송파는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 및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모두 가지는 이종 반송파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 2,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nd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in the uplink subframe can be alternately allocated based on the frequency axis. The carrier having the uplink subframe structure corresponds to a heterogeneous carrier having both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nd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과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에서 각 단말(UE1, UE2, UE3)에 대한 무선 자원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단말(UE1)에는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의 일부가 할당되고, 단말(UE2, UE3)에는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의 일부가 할당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2, radio resources for the UEs UE1, UE2, and UE3 are allocated in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nd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For example, some of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may be allocated to the UE1 and some of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may be allocated to the UEs UE2 and UE3.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향링크 접속 방법(access scheme)은 다양하다. 가령, LTE 시스템의 경우 상향링크 접속 방법으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이용한 랜덤 접속(random access) 방법,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이용한 SR(Scheduling Request)에 의한 방법, BSR(Buffer Status Report)에 의한 방법,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에 의한 방법, 사전 할당(pre-allocation)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An uplink access scheme for transmitting data to a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varies. For example, in the LTE system, a random access method using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a method using SR (Scheduling Request) using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a BSR Report),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and pre-allocation.

도 3은 기존 LTE 및 LTE-A 통신 시스템에서 PRACH를 이용한 랜덤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ndom access method using a PRACH in a conventional LTE and LTE-A communication system.

도 3을 참고하면, 단말(100)은 PRACH를 통해 랜덤 접속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전송한다(단계 1, S310). Referring to FIG. 3, the UE 100 transmits a random access preamble through the PRACH (step 1, S310).

기지국(200)은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랜덤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 RAR(Random Access Response)을 전송한다(단계 2, S320). Upon receiving the random access preamble,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RAR (Random Access Response) in response to the random access preamble (Step 2, S320).

RAR을 수신한 단말(100)은 L2(Layer 2) 또는 L3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3, S330). 이하 L2 메시지로 BSR을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The terminal 100 receiving the RAR transmits an L2 (Layer 2) or L3 message (Step 3, S330).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BSR is transmitted in the L2 message.

기지국(200)은 수신한 BSR에 대해 상향링크 자원 사용 허가 메시지인 그랜트(Grant)를 단말에게 전송한다(단계 4, S340).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a grant (Grant), which is an uplink resource use grant message, to the received BSR to the UE (steps 4 and S340).

이후 단말(100)은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5, S350). Thereafter, the terminal 100 transmits data using the allocated uplink resources (step 5, S350).

이러한 랜덤 접속 방법은 모바일 와이맥스의 랜덤 접속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계 1(S310)에서 레인징 코드(ranging code)를 전송하고, 단계 2(S320)에서 MAP 메시지를 이용해 응답하며, 단계 3(S330)에서 대역폭 요청(bandwidt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계 4(S340)에서는 MAP 메시지를 통해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며, 최종적으로 단계 5(S350)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LTE/LTE-A 통신 시스템이나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은 단계 1(S310)에서 전용의 상향링크 채널을 사용한다. This random access method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random access of mobile WiMAX. In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a ranging code is transmitted in step 1 (S310), a MAP message is used in step 2 (S320), and a bandwidth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in step 3 (S330) In step 4 (S340), uplink resources are allocated through the MAP message. Finally, uplink data is transmitted in step 5 (S350). Also, the LTE / LTE-A communication system or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uses a dedicated uplink channel in step 1 (S310).

이러한 기존 LTE 및 LTE-A 통신 시스템에서 PRACH를 이용한 랜덤 접속 방법은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In the conventional LTE and LTE-A communication systems, the random access method using the PRACH is performed using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과거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In order to support past compatibi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a normal TTI must exist.

하지만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은 다음의 이유 또는 기타 이유로 통신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1(S310)을 위한 전용의 상향링크 채널에 사용되는 자원은 통신 시스템의 오버헤드로 작용한다. 랜덤 접속 채널의 로드가 일순간 낮더라도 랜덤 접속 전용 채널에 사용되는 자원의 양을 동적으로 변경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 오버헤드 측면에서는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이 있을 경우 짧은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이 통신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a short TTI-based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may not exist in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following reason or other reasons. The resource used for the dedicated uplink channel for the first step S310 serves as an overhead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is is because even if the load of the random access channel is low for a moment, the amount of resources used for the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is not changed dynamically. Therefore, in the system overhead, if there is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the normal TTI,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a short TTI may not exist in the communication system.

또한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을 설계/구현함에 있어 짧은 TTI 자원에 맞게 설계된 새로운 랜덤 접속 전용 채널에 필요한 설계의 복잡도, 제품의 복잡도 등으로 인한 제품 단가의 상승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이 있을 경우 짧은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이 통신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Also, in designing /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the complexity of the design required for a new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designed for short TTI resources, and the increase in the product unit price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 can be caused. Therefore, if there is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normal TTI,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short TTI may not exist in the communication system.

이 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는 짧은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이 없을 수 있다. In additio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may not have a random-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a short TTI for various reasons.

또한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여러 가지 이유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이 랜덤 접속 절차의 단계 1(S310)에서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 예로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이 짧은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의 로드가 높아 랜덤 접속 실패 확률이 매우 높을 경우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Also,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even if there is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a short TTI,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for various reasons may perform normal TTI in step 1 (S310) Based random access channel. As an example, if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has a high load on a random access channel based on a short TTI and a random access failure probability is very high,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a normal TTI can be used.

이 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짧은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이 존재하더라도 단말은 랜덤 접속 절차의 단계 1(S310)에서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a short TTI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for various reasons, the UE can use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the normal TTI in step 1 (S310) of the random access procedure .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접속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단계 1을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하되, 이후의 단계 2부터는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In order to perform the random access procedu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dom access channel based on the normal TTI is used in step 1, Explains in detail how to use resource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andom access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기지국(200)을 기준으로 좌측의 단말(100)과 우측의 단말(100)을 도시하였으나, 좌측의 단말(100)과 우측의 단말(100)은 다른 단말이 아니라, 동일한 단말이며,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4, the left terminal 100 and the right terminal 100 are shown on the basis of the base station 200. However, the left terminal 100 and the right terminal 100 are not the other terminals but the same terminal, And to distinguish between using a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and using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도 4를 참고하면, 단말(100)은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한다(단계 1, S410).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은 기존 LTE 및 LTE-A 통신 시스템의 경우 PRACH를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UE 100 transmits a random access preamble using a dedicated random access channel based on a normal TTI (steps 1 and S410). The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may mean PRACH for existing LTE and LTE-A communication systems.

단계 1(S410) 이후, 단말(100)과 기지국(200)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계 2부터 단계 5를 수행할 수 있다(S420~S450). After step 1 (S410),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may perform steps 2 to 5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S420 to S450).

이와 같이,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계 2부터 단계 5(S420~S450)는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말(100)과 기지국(200)에서의 처리시간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짧아지므로, 데이터 전송까지 걸리는 지연 시간이 줄어들어, 빠른 접속이 가능해진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s, since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are used in the steps 2 to 5 (S420 to S450), the processing time in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is the normal TTI Based radio resource, the delay time required for data transmission is reduced, and quick connection is possibl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랜덤 접속 방법에서 단계 2부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from step 2 in the random access method shown in FIG.

도 5를 참고하면, 단말(100)은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전송한다(단계 1, S510). Referring to FIG. 5, the UE 100 transmits a random access preamble using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a normal TTI (steps 1 and S510).

단계 1(S510) 이후, 단말(100)과 기지국(200)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계 2부터 단계 5를 수행한다(S520~S550). After Step 1 (S510),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perform Step 2 to Step 5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S520 to S550).

이와 같이, 단계 2(S520)부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 가능한 단말, 다시 말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이 단계 1(S510)에서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한 기지국(200)은 랜덤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 RAR을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과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S520, S520'). 이때 기지국(200)은 RAR을 같은 시간에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과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서도 다른 시간에 전송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us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from step 2 (S520), a terminal capable of using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that is, a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In step S510, the base station 200 receiving the random access preamble transmitted using the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the normal TTI transmits the RAR in response to the random access preamble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and normal TTI- (S520, S520 ').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200 may transmit the RAR using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and a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at the same time, but may transmit the RAR at another time.

단계 2(S520, S520') 이후로 기지국(200)은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해서 전송하고,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해서 전송한다.After step 2 (S520, S520 '),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for a signal received in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using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and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in the short TTI- The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즉,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단계 1(S510)을 수행한 후 오직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200)이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계 2(S520)에서 전송하는 RAR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계 2(S520)부터 단계 5(S550)를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monitors only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after performing step 1 (S510), so that the base station 200 uses the short TTI- (RAR) transmitted in step S520. Therefore, 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can perform the step 2 (S520) to the step 5 (S550) using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한편, 단말(100)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 경우, 오직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만 이용 가능하므로, 단계 1(S510)을 수행한 후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200)이 단계 2(S520)에서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RAR만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은 이후의 RAR 수신, BSR 송신, 그랜트 수신, 그리고 데이터 송신까지의 모든 동작을 정상 TTI에 기반하여 수행이 가능하다. 도 5에서는 단말(100)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In the case where the terminal 100 operates on the normal TTI, only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re available. Therefore, only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re monitored after the step 1 (S510) ) May receive only the RAR that is transmitted using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in step 2 (S520). Accordingly, the UE operating on the normal TTI can perform all operations from the RAR reception, the BSR transmission, the grant recep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normal TTI. In FIG. 5, the terminal 100 is a terminal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은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의 동작을 보장하면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이 단계 2(S520)부터 모든 동작을 종료할 때까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한 상향링크 접속 절차에 비해 최종적인 데이터 전송까지 걸리는 접속 시간이 짧아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on the short TTI guarantee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operating on the normal TTI, S520) to use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until all operations are completed. In this way, compared to the uplink access procedure using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the connection time required until the final data transmission is shortened.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랜덤 접속 방법에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이 단계 2부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enabling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in the random access method shown in FIG. 4 to us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from step 2. FIG.

기존의 통신 시스템은 단말(100)이 단계 1에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물리 신호의 종류를 X(X는 0보다 큰 자연수)개로 정해두고 다수의 단말(100)이 이를 공유한다. 랜덤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100)은 X개의 물리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단계 1에서 전송한다. 예를 들어 LTE/LTE-A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100)은 64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단계 1에서 전송한다. In the existing communication system, a plurality of terminals 100 share a physical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00 using a random access channel in step 1, with X being a natural number (X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0). The terminal 100 attempting random access selects one of the X physical signals and transmits the selected one in step 1. For example, in the LTE / LTE-A communication system, the terminal 100 selects one of 64 random access preambles and transmits it in step 1.

이때 단계 2부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이 단계 1에서 사용 가능한 물리 신호가 총 X개일 때,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이 단계 1에서 사용 가능한 물리 신호를 별도로 정의한다. 즉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을 위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이 단계 1에서 사용 가능한 물리 신호와 다른 별도의 Y(Y는 0보다 큰 자연수)개의 물리 신호가 정의된다. 따라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은 Y개의 물리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단계 1에서 전송한다. 예를 들어, LTE/LTE-A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두 64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들이 단계 1에서 사용 가능하다. 기존 64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들은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만이 사용한다.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을 위해 기존 64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과 다른 별도의 Y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이 정의되고,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은 추가적인 Y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사용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use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from step 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operating on the normal TTI has a total of X usable physical signals in step 1, The terminal that can perform the processing in step 1 separately defines the usable physical signals. That is, for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a terminal operating on a normal TTI defines a physical signal different from a usable physical signal in step 1 (Y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0). Therefore, a mobile station that can operate based on a short TTI selects one of Y physical signals and transmits the selected physical signals in step 1. For example, in the LTE / LTE-A communication system, all 64 random access preambles are available in step 1. The existing 64 random access preambles are used only by the terminal operating on the normal TTI. For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on a short TTI, 64 random access preambles and Y random access preambles are defined, and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uses an additional Y random access preamble do.

도 6을 참고하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정상 TTI에 기반한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을 이용하되 별도의 Y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선택하여 전송한다(단계 1, S610). Referring to FIG. 6, a UE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selects one random access preamble among the Y random access preambles using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based on a normal TTI and transmits the selected random access preamble ( Step 1, S610).

기지국(200)은 수신한 랜덤 접속 프리앰블이 X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 하나일 경우 RAR을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으로 전송한다(단계 2, S620'). 이와 달리, 기지국(200)은 수신한 랜덤 접속 프리앰블이 추가적인 Y개의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의 하나일 경우 RAR을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으로 전송한다(단계 2, S620). If the received random access preamble is one of the X random access preambles,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the RAR as a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step 2, S620 '). Otherwise, if the received random access preamble is one of the additional Y random access preambles,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the RAR as a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step 2, S620).

단계 2(S620', S620) 이후, 기지국(200)은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해서 전송하고,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는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After step 2 (S620 ', S620),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a signal received in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using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and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in the short TTI- The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도 5와 달리, 단계 2(S620, S620')를 수행함에 있어 기지국(200)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 또는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 중에서 하나의 무선 자원만을 이용하여 RAR을 전송하는 차별성을 가진다. 6, in performing step 2 (S620, S620 '),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6 differs from that of FIG. 5 in that the base station 200 uses a single TTI-based radio resource or a short TTI- Transfer differentiation.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단계 1(S610)을 수행한 후 오직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200)이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계 2(S620)에서 전송하는 RAR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계 2(S620)부터 단계 5(S650)를 수행할 수 있다. 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monitors only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after performing step 1 (S610), so that the base station 200 uses the short TTI- Lt; RTI ID = 0.0 > RAR < / RTI > Accordingly, 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can perform the step 2 (S620) to the step 5 (S650) using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은 오직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만 이용하므로, 단계 1(S610)을 수행한 후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200)이 단계 2(S620')에서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RAR만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은 이후의 모든 동작을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terminal operating based on the normal TTI uses only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the base station 200 monitors only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fter performing step 1 (S610) It is possible to receive only RARs transmitted using TTI-based radio resources. Accordingly, the UE operating on the normal TTI can perform all subsequent operations using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이와 같이, 기지국(200)은 단말(100)이 전송하는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지 판단함으로써, 정상 TTI를 기반하여 동작하는 단말의 동작을 보장하면서 짧은 TTI를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이 단계 2(S620)부터 모든 동작을 종료할 때까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manner, the base station 200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or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by using the random access preambl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00, And th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can use the short TTI based radio resource from the step 2 (S620) to the end of all the operations.

도 7은 기존 LTE 및 LTE-A 시스템에서 PUCCH를 이용한 SR(Scheduling Request)에 의한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by SR (Scheduling Request) using a PUCCH in a conventional LTE and LTE-A system.

도 7을 참고하면, 단말(100)과 기지국(200)간 활성화된 연결이 존재하고, 단말(100)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SR 신호가 있는 경우, 단말(100)은 PUCCH를 통해 단말(100)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SR을 전송한다(단계 1, S710). 7, if there is an activ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and there is an SR signal uniquely assigned to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SR signal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UCCH, (Step 1, S710).

기지국(200)은 수신한 SR에 대해 상향링크 자원 사용 허가인 그랜트를 단말에게 전송한다(단계 2, S720).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a grant, which is an uplink resource use permission, to the received SR to the terminal (step 2, S720).

이후 단말(100)은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3, S730). Thereafter, the terminal 100 transmits data using the allocated uplink resources (step 3, S730).

도 7에서 도시한 PUCCH를 이용한 SR에 의한 상향링크 접속 방법은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의 BR 코드(bandwidth request code)를 사용한 상향링크 접속 방법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계 1(S710)에서 BR 코드를 전송하고, 단계 2(S720)에서 MAP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며, 최종적으로 단계 3(S730)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LTE/LTE-A 통신 시스템이나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은 공통적으로 단계 1(S710)에서 전용의 대역폭 요청 채널을 사용한다. The SR-based uplink access method using the PUCCH shown in FIG. 7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uplink access method using the BR code (bandwidth request code) of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In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the BR code is transmitted in step 1 (S710), the uplink resource is allocated in step 2 (S720) through the MAP, and finally the uplink data is transmitted in step 3 (S730). In addition, the LTE / LTE-A communication system or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commonly use a dedicated bandwidth request channel in step 1 (S71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용의 대역폭 요청 채널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접속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단계 1(S710)을 정상 TTI에 기반한 전용의 대역폭 요청 채널을 이용하되, 이후의 단계 2(S720)부터는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link access procedure using a dedicated bandwidth request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a dedicated bandwidth request channel based on normal TTI is used in step 1 (S710) , And a method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is presented from the following step 2 (S72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용의 대역폭 요청 채널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link access method using a dedicated bandwidth request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의 랜덤 접속과 달리, 전용의 대역폭 요청 채널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접속 절차의 경우, 단계 1에서 사용하는 대역폭 요청 신호는 단말(100)과 기지국(200) 사이의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각 단말마다 고유하게 할당된다. 대역폭 요청 신호는 기존 LTE 및 LTE-A 시스템에서 SR을 의미하고,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에서 BR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Unlike the above-mentioned random access, in the uplink access procedure using a dedicated bandwidth request channel, the bandwidth request signal used in step 1 is transmitted to each terminal through separate signaling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base station 200 Are uniquely assigned. The bandwidth request signal means SR in the existing LTE and LTE-A systems, and BR code in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200)은 임의의 단말이 기지국에 초기에 접속하여 등록될 때 해당 단말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 또는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기지국(200)은 단말(100)에게 대역폭 요청 신호를 고유하게 할당할 때, 단말(100)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를 구분하고, 대역폭 요청 신호 별 단말(100)의 종류를 저장한다.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s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or a terminal operating based on a normal TTI when an arbitrary terminal is initiall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nd registered. Based on this, when the base station 200 uniquely allocates the bandwidth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00 can operate based on the normal TTI or the short TTI And stores the type of the terminal 100 for each bandwidth request signal.

도 8을 참고하면, 단말(100)은 기지국(200)에게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 내 전용의 대역폭 요청 채널을 이용하여 SR을 기지국(200)에 전송한다(단계 1, S810). Referring to FIG. 8, the MS 100 transmits an SR to the BS 200 using a normal TTI-based bandwidth request channel dedicated to a radio resource (steps S 1 and S 810).

기지국(200)은 수신한 SR을 토대로 단말(100)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한다. 기지국(200)은 기 저장되어 있는 대역폭 요청 신호 별 단말(100)의 종류를 토대로 단말(100)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할 수 있다. The base station 20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00 can operate based on the normal TTI or the short TTI based on the received SR. The base station 200 can confirm whether the terminal 100 can operate based on the normal TTI or the short TTI based on the type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tored bandwidth request signal.

기지국(200)은 수신한 SR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의 SR일 경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를 전송한다(단계 2, S820). 이와 달리, 수신한 SR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의 SR인 경우,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를 전송한다.If the received SR is the SR of the terminal 100 that can operate based on the short TTI,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the grant using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step 2, S820). Alternatively, if the received SR is an SR of a terminal operating on the normal TTI, the grant is transmitted using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단계 1(S810)을 수행한 후 오직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200)이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계 2(S820)에서 전송하는 그랜트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단계 2(S820)부터 모든 동작을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monitors only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after performing step 1 (S810), so that the base station 200 uses the short TTI- ) To receive the grant. Therefore, 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can perform all the operations from step 2 (S820)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한편,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은 단계 1(S810)을 수행한 후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200)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계 2에서 전송하는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후의 모든 동작을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E operating based on the normal TTI monitors only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fter performing step 1 (S810), thereby receiving the grant transmitted in step 2 using the normal TTI- And all subsequent operations can be performed using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이와 같이,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은 전용의 대역폭 요청 채널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접속 절차를 수행할 때,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의 동작을 보장하면서 짧은 TTI에 기반한 동작을 할 수 있는 단말이 단계 2(S820)부터 모든 동작을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한 상향링크 접속 절차에 비해 최종적인 데이터 전송까지 걸리는 접속 시간이 짧아진다. In this way, whe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performs an uplink access procedure using a dedicated bandwidth request channel, it performs an operation based on a short TTI while ensur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operating on a normal TTI The UE can perform all the operations from step 2 (S820)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In this way, compared to the uplink access procedure using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the connection time required until the final data transmission is shortened.

도 9는 기존 LTE 및 LTE-A 통신 시스템에서 BSR(Buffer Status Report)을 이용한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using a BSR (Buffer Status Report) in a conventional LTE and LTE-A communication system.

도 9를 참고하면, 단말(100)과 기지국(200)간 활성화된 연결이 존재하고, 단말(100)에게 할당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자원이 있는 경우, 단말(100)은 할당된 PUSCH 자원을 이용해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메시지인 BSR을 전송한다(단계 1, S910). 9, when there is an active connection between the MS 100 and the BS 200 and there is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resource allocated to the MS 100, the MS 100 transmits the allocated PUSCH (Medium Access Control) layer using a resource (step 1, S910).

기지국(200)은 수신한 BSR에 대해 상향링크 자원 사용 허가인 그랜트를 단말(100)에 전송한다(단계 2, S920).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a grant, which is an uplink resource use permission, to the received BSR to the terminal 100 (step 2, S920).

이후, 단말(100)은 할당 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 3, S930).Thereafter, the UE 100 transmits data using the allocated uplink resources (step 3, S930).

도 9에서 도시한 BSR을 이용한 상향링크 접속 방법은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의 BR 헤더(bandwidth request header)를 사용하는 접속 방법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계 1(S910)에서 BR 헤더를 전송하고, 단계 2(S920)에서는 MAP을 통해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며, 최종적으로 단계 3(S930)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LTE/LTE-A 통신 시스템이나 모바일 와이맥스 통신 시스템은 단계 1(S910)에서 단말들의 상향링크 트래픽(traffic)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상향링크 공유 트래픽 채널을 사용한다. 상향링크 공유 트래픽 채널은 LTE의 경우 PUSCH를 의미한다. The uplink access method using the BSR shown in FIG. 9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access method using the BR header (bandwidth request header) of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In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the BR header is transmitted in step 1 (S910). In step 2 (S920), uplink resources are allocated through the MAP. Finally, in step 3 (S930), uplink data is transmitted. Also, the LTE / LTE-A communication system or the mobile WiMAX communication system uses an uplink shared traffic channel used for transmitting uplink traffic of the UEs in step 1 (S910). And the uplink shared traffic channel means PUSCH in case of L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MAC 계층의 대역 요청 메시지인 BSR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접속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단계 1(S910)을 정상 TTI에 기반한 상향링크 공유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되, 그 이후의 단계 2(S920)부터는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erforming an uplink access procedure using BSR, which is a bandwidth request message of the MAC layer, step 1 (S910) Traffic channel is used, and from step 2 (S920) thereafter, a method using short TTI based radio resources is propos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BSR을 이용한 접속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method using a BSR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를 구분하기 위해 BSR에 1비트의 플래그가 사용된다.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a 1-bit flag is used for the BSR to distinguish whether the terminal can operate based on a short TTI or a terminal that operates based on a normal TTI.

도 10을 참고하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BSR에 1비트의 플래그를 셋팅(setting)하여 PUSCH를 통해 기지국(200)에 전송한다(단계 1, S1010). 한편,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100)은 BSR에 1비트의 플래그를 리셋하여 PUSCH를 통해 기지국(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BSR에 1비트의 플래그를 1로 셋팅하여 기지국(200)에 전송하고, 정상 TTI에 기반한 동작만을 할 수 있는 단말은 BSR에 1비트의 플래그를 0으로 리셋하여 기지국(200)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UE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sets a flag of 1 bit in the BSR and transmits the 1-bit flag to the base station 200 via the PUSCH (steps 1 and S1010). Meanwhile, the terminal 100 operating on the normal TTI can reset the 1-bit flag to the BSR and transmit it to the base station 200 via the PUSCH. For example, a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a short TTI sets a 1-bit flag to 1 in the BSR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200, and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only normal TTI- The flag of 1 bit can be reset to 0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200.

기지국(200)은 수신한 BSR의 플래그 값이 셋팅되어 있는 경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를 단말(100)로 전송한다(단계 2, S1020). 이와 달리, 기지국(200)은 BSR의 플래그 값이 리셋되어 있는 경우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를 단말(100)로 전송한다.When the flag value of the received BSR is set,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the grant to the terminal 100 using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step 2, step S 1020). Alternatively, when the flag value of the BSR is reset,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the grant to the UE 100 using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단계 1(S1010)을 수행한 후 오직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200)이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에서 전송하는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100)은 단계 2(S1020)부터 모든 동작을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monitors only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after performing step 1 (S1010) so that the base station 200 receives the grant transmitted from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 Therefore, the terminal 100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can perform all the operations from the step 2 (S1020)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한편,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100)은 단계 1(S1010)을 수행한 이후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지국(200)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에서 전송하는 그랜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100)은 단계 2부터 모든 동작을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100 operating based on the normal TTI monitors only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after performing step 1 (S1010), so that the base station 200 can receive the grant transmitted from the normal TTI- have. Accordingly, the MS 100 operating on the normal TTI can perform all operations from the step 2 using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이와 같이, 이종 TTI 기반 무선 자원을 가지는 통신 시스템은 MAC 계층의 BSR을 사용하는 상향링크 접속을 수행함에 있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의 동작을 보장하면서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이 단계 2(S1020)부터 모든 동작을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하면,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한 상향링크 접속 절차에 비해 최종적인 데이터 전송까지 걸리는 접속 시간이 짧아진다. In this way,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heterogeneous TTI-based radio resource is capable of performing uplink access using the BSR of the MAC layer, and a terminal operating on a short TTI while ensuring operation of a terminal operating on a normal TTI From step 2 (S1020), all operations can be performed using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s. In this way, compared to the uplink access procedure using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s, the connection time required until the final data transmission is shorten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빠른 접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quick access device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고하면, 단말(100)의 빠른 접속 장치(1100)는 프로세서(1110), 송수신기(1120) 및 메모리(1130)를 포함한다. 11, the quick access device 1100 of the terminal 100 includes a processor 1110, a transceiver 1120, and a memory 1130.

프로세서(1110)는 도 4, 도 5, 도 6, 도 8 및 도 10에서 설명한 단말(100)의 상향링크 접속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110)는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으로 할당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접속 절차의 단계 1을 수행하고, 단말(100)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상향링크 접속 절차의 단계 2부터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까지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한편, 프로세서(1110)는 단말(100)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향링크 접속 절차의 단계 2부터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까지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The processor 1110 performs the uplink connection operation and functions of th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S. 4, 5, 6, 8, and 10. FIG. Processor 1110 performs step 1 of the UL procedure using an uplink dedicated channel allocated to a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and when the UE 100 can operate based on a short TTI, From the step 2 to the transmission of the final data. Meanwhile, the processor 1110 performs normal TTI based radio resources from the step 2 of the uplink access procedure to the final transmission of data when the terminal 100 operates based on the normal TTI.

송수신기(1120)는 프로세서(1110)에 연결되고,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무선 신호를 기지국(200)과 송수신한다. The transceiver 11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10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for uplink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10)에 연결되고, 프로세서(1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Memory 1130 is coupled to processor 11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processor 1110. [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빠른 접속 지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ast access support apparatus for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고하면, 기지국(200)의 빠른 접속 지원 장치(1200)는 프로세서(1210), 송수신기(1220) 및 메모리(1230)를 포함한다. 12, the quick access support device 1200 of the base station 200 includes a processor 1210, a transceiver 1220, and a memory 1230.

프로세서(1210)는 도 4, 도 5, 도 6, 도 8 및 도 10에서 설명한 단말(100)의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기지국(200)의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210)는 단말(100)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지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하고, 단말(100)이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상향링크 접속 절차의 단계 2부터 짧은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하며, 단말(100)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향링크 접속 절차의 단계 2부터 정상 TTI 기반 무선 자원을 이용한다. The processor 1210 performs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base station 200 for the uplink connection of the terminal 100 illustrated in Figs. 4, 5, 6, 8, and 10. The processor 121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100 operates based on the short TTI or the normal TTI and if the terminal 100 can operate based on the short TTI, The mobile station 100 uses the short TTI-based radio resource and uses the normal TTI-based radio resource from the step 2 of the uplink access procedure when the UE 100 operates based on the normal TTI.

송수신기(1220)는 프로세서(1210)에 연결되고,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무선 신호를 기지국(200)과 송수신한다. The transceiver 12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10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for the uplink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메모리(1230)는 프로세서(1210)에 연결되고, 프로세서(12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30)는 단말(100)이 정상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 짧은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단말의 종류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Memory 1230 is coupled to processor 12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processor 1210. [ The memory 1230 may store the type of the termi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100 operates based on the normal TTI or th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hort TTI.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es and / or methods,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Such an embodiment can be read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20)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빠른 상향링크 접속 방법으로서,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제1 단계에서, 제1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반한 제1 무선 자원 내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짧은 제2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TTI에 기반한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방법.
A fast uplink access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a first signal over an uplink dedicated channel allocated in a first radio resource based on a firs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having a first time length in a first step for an uplink access,
If the UE can operate based on a second TTI having a second time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time length, transmitting the remaining TTI for the uplink access using a second radio resource based on the second TTI, Performing the steps, and
Transmitting uplink data
Lt; / RTI >
제1항에서,
상기 제1 신호는 대역폭 요청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대역폭 요청 채널인 빠른 접속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gnal is a bandwidth request signal,
Wherein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is a bandwidth request channel.
제1항에서,
상기 제1 신호는 BSR(Buffer Status Report)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상향링크 공유 트래픽 채널인 빠른 접속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gnal is a BSR (Buffer Status Report) signal,
Wherein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is an uplink shared traffic channel.
제3항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1비트의 플래그를 리셋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1비트의 플래그를 셋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Resetting a 1-bit flag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when the terminal operates based on the first TTI; and
And setting a flag of 1 bit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when the terminal operates based on the second TTI.
제1항에서,
상기 제1 신호는 랜덤 접속 프리앰블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인 빠른 접속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gnal is a random access preamble signal,
Wherein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is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제5항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제1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제1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복수 개의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제1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Transmitting, by the first signal, a first random access preamble from among a plurality of first random access preambles when the UE operates based on the first TTI; and
And transmitting the first random access preamble as the first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random access preambles when the terminal operates based on the second TTI.
제5항에서,
상기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수신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랜덤 접속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BSR(Buffer Status Report)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자원 사용 허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Receiving a random access respons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which has received the second random access preamble,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Transmitting a BSR (Buffer Status Report)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and
And receiving an uplink resource use grant message including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제5항에서,
상기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무선 자원 및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각각 전송한 랜덤 접속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랜덤 접속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BSR(Buffer Status Report)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 상향링크 자원 사용 허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Transmitting a random access response each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radio resource and the second radio resource,
Receiving a random access respons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when the mobile station operates based on the second TTI;
Transmitting a BSR (Buffer Status Report)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and
And transmitting an uplink resource use grant message including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의 빠른 상향링크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제1 단계에서, 제1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반한 제1 무선 자원 내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짧은 제2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2 TTI에 기반한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접속을 위한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지원 방법.
A method for supporting fast uplink access by a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a first step for the uplink access, a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E through an uplink dedicated channel allocated in a first radio resource based on a first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having a first time length, Receiving,
When the UE can operate based on a second TTI having a second time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time length, the remaining steps for the uplink access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based on the second TTI, Performing steps, and
Receiving up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9항에서,
상기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comprises determining from the first signal whether the terminal is a terminal operating on the first TTI or a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on the second TTI, .
제10항에서,
상기 제1 신호는 랜덤 접속 프리앰블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랜덤 접속 전용 채널인 빠른 접속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signal is a random access preamble,
Wherein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is a random access dedicated channel.
제10항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이 복수 개의 제1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제1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제1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이 복수 개의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제2 랜덤 접속 프리앰블을 상기 제1 신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receiving the first signal
The UE operating on the first TTI transmits a first random access preambl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random access preambles as the first signal,
And transmitting, by the terminal operating on the second TTI, one second random access preamble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random access preambles as the first signal.
제9항에서,
상기 나머지 단계들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접속 응답을 상기 제1 무선 자원과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각각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BSR(Buffer Status Report)을 수신하면,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performing the remaining steps
Transmitting a random access response for the random access preamble using the first radio resource and the second radio resource, respectively; and
Receiving a BSR (Buffer Status Report) from the UE using the second radio resource; and determining that the UE is a UE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econd TTI.
제10항에서,
상기 제1 신호는 대역폭 요청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대역폭 요청 채널인 빠른 접속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ignal is a bandwidth request signal,
Wherein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is a bandwidth request channel.
제14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말인지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를 구분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사용할 대역폭 요청 신호를 할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대역폭 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단말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지원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verifying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operating on the first TTI or on the second TTI;
Allocating a bandwidth request signal to be used by the terminal, and
And determining from the bandwidth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whether the terminal is capable of operating based on the second TTI.
제10항에서,
상기 제1 신호는 BSR(Buffer Status Report) 신호이며,
상기 상향링크 전용 채널은 상향링크 공유 트래픽 채널인 빠른 접속 지원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ignal is a BSR (Buffer Status Report) signal,
Wherein the uplink dedicated channel is an uplink shared traffic channel.
제16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BSR의 플래그 값이 셋팅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BSR의 플래그 값이 리셋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TTI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지원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verifying step
If the flag value of the BSR is set,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can operate based on the second TTI; and
And if the flag value of the BSR is reset, determining that the terminal operates based on the first TTI.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빠른 상향링크 접속 장치로서,
제1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에 기반한 제1 무선 자원 내에서 할당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통해 상향링크 접속 절차의 제1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시간 길이보다 짧은 제2 시간 길이를 가지는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TTI에 기반한 제2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제2 단계부터 최종적인 데이터 전송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상기 상향링크 접속 절차에 따른 무선 신호를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를 포함하는 빠른 접속 장치.
A fast uplink access device for a terminal to transmit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A first step of an uplink access procedure through an uplink dedicated channel allocated in a first radio resource based on a firs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having a first time length, A processor for performing a final data transmission step from a second step using a second radio resource based on the second TTI from a base station when the base station can operate based on a second TTI having a shorter second time length,
A transceiver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transmitting / receiving a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uplink access procedure to /
Lt; / RTI >
제18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단계에서 랜덤 접속 프리앰블, 대역폭 요청 신호 및 BSR(Buffer Status Report) 중 하나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빠른 접속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processor transmits one of a random access preamble, a bandwidth request signal, and a buffer status report (BSR) through the transceiver in the first step.
제19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TTI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정보를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랜덤 접속 프리앰블, 상기 대역폭 요청 신호 및 상기 BSR 중 하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알려주는 빠른 접속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processor informs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andom access preamble, the bandwidth request signal, and the BSR of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can operate based on the second TTI in the first step.
KR1020160091642A 2015-08-13 2016-07-19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acces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st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4415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35,956 US10575334B2 (en) 2015-08-13 2016-08-12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access and method of supporting fast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928 2015-08-13
KR20150114928 2015-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95A true KR20170020695A (en) 2017-02-23
KR102441529B1 KR102441529B1 (en) 2022-09-08

Family

ID=5831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642A KR102441529B1 (en) 2015-08-13 2016-07-19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acces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st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52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1719A1 (en) * 2006-06-20 2007-12-20 Mustafa Demirhan Random Access Request Extension for an Additional Resource Request
KR20120056510A (en) * 2010-11-25 2012-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20147830A1 (en) * 2009-06-18 2012-06-14 Loehr Joachim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for mobile communications
KR20130137643A (en) * 2010-12-07 2013-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79718A (en) * 2012-10-30 2015-07-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Uplink coverage enhance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1719A1 (en) * 2006-06-20 2007-12-20 Mustafa Demirhan Random Access Request Extension for an Additional Resource Request
US20120147830A1 (en) * 2009-06-18 2012-06-14 Loehr Joachim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for mobile communications
KR20120056510A (en) * 2010-11-25 2012-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37643A (en) * 2010-12-07 2013-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79718A (en) * 2012-10-30 2015-07-0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Uplink coverage enhanc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529B1 (en)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282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side and user equipment side device and method
US20190289621A1 (en) Uplink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10362599B2 (en) Method for obtaining uplink synchronization and configuring uplink connection
CN108353439B (en) First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handling access reques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3738388B1 (en) Handling communication of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318151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EP3793296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105753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access and method of supporting fast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1097998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cheduling non-competing random access and transmitting preamble.
RU2730168C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7401523B2 (en) User equipment and method with improved critical communication no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582634B2 (en) Transport block size (TBS) configuration for small data transfer
US20170048906A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US20230247657A1 (e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JP2020519058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EP329402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quiring uplink data transmission resource
US10098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iority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N108282905B (en) Random access method and network element thereof
US20220377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procedure
US1129104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eamble sequence management for contention based access
CN109328478B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EP3905736A1 (en) Device discover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220338273A1 (en) Methods, ue and network node for handling prach configurations
KR1024415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acces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st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JP7169874B2 (en)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