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678A -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678A
KR20170020678A KR1020150114911A KR20150114911A KR20170020678A KR 20170020678 A KR20170020678 A KR 20170020678A KR 1020150114911 A KR1020150114911 A KR 1020150114911A KR 20150114911 A KR20150114911 A KR 20150114911A KR 20170020678 A KR20170020678 A KR 20170020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image
providing
displaying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632B1 (ko
Inventor
강유정
김승규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웍스
Priority to KR102015011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632B1/ko
Priority to PCT/KR2016/008939 priority patent/WO2017026862A1/ko
Priority to JP2017562021A priority patent/JP2018526708A/ja
Priority to US15/578,183 priority patent/US20180150188A1/en
Priority to CN201680044842.4A priority patent/CN108463159A/zh
Priority to EP16835502.2A priority patent/EP3335624A4/en
Publication of KR2017002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104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108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92Interactive image processing based on input by user
    • G06T2207/20104Interactive defini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1Blood vessel; Artery; Vein; Vascular
    • G06T2207/30104Vascular flow; Blood flow; Perf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06T7/0016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involving temporal compari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열 이미지 세트를 읽어 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읽어 온 이미지를 각 세트별로 각각의 윈도우에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동역학 분석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FOR TIME-SERIES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촬영된 시간열 영상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직의 혈액 관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현재 단일광자 단층촬영법(SPECT), 양전자 단층촬영법(PET), 혈관 조영술(angiography)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혈관 조영술은 조영제를 주입한 생체의 관심조직으로부터 방사되는 에너지를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심조직의 이상여부를 진단하는 검사 방식이다.
이러한 혈관 조영술은 조영제의 종류에 따라 그 촬영 방식에 있어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촬영된 영상의 각 픽셀들은 단일한 지표(예 : 빛의 강도(intensity))에 대한 값만을 가진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예를 들어 인도시아닌 그린(Indocyanine green, ICG)을 이용한 혈관 조영술 (ICG angiography)은 ICG가 730~790nm의 근적외선을 받아서 더 긴 파장인 800~850nm의 근적외선 영역의 형광을 내는 것을 이용하며, 이를 CCD 카메라나 분광계로 측정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즉 인도시아닌 그린을 이용한 혈관 조영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형광의 세기에 따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예: 형광의 세기에 비례하는 명도를 지닌 이미지)에 해당한다.
한편 컴퓨터 시스템 상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즉 GUI는 윈도우, 제어 아이콘 등을 통해 정보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인식하거나 가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상술한 조영술을 통해 촬영된 영상은 기본적으로 매우 단순한 형태이기 때문에,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돕기 위한 다양한 GUI 제공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GUI들은 한 장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시계열적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에는 미흡한 점이 많아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04520호(2007.10.26)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시계열적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열 이미지 세트를 읽어 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읽어 온 이미지를 각 세트별로 각각의 윈도우에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동역학 분석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미지를 각 세트별로 각각의 윈도우에서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세트의 이미지들을 하나의 윈도우에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바를 표시하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의 프레임 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분석이 수행되는 구간을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이 수행되는 구간이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지정된 구간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미지를 각 세트별로 각각의 윈도우에서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세트의 이미지들을 하나의 윈도우에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바를 표시하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가 변경된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분석이 수행되는 구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의 프레임간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의 픽셀 중 분석이 수행되는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픽셀 방식, 관심영역(ROI) 방식 및 마스킹(masking)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분석 범위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픽셀 방식으로 분석 범위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선택된 픽셀의 시간에 따른 영상값의 그래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그래프의 회귀분석(regression) 적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그래프의 정규화(normalize)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마스킹 방식이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픽셀이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픽셀과의 영상값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인 픽셀들을 마스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값이 변경되면, 변경된 기준값에 따라 마스크의 영역을 변경하되, 상기 기준값은 마우스 휠의 스크롤 또는 기준값 설정 항목을 통해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기준값을 갖는 두 개 이상의 마스크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마스크의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심영역은 원, 타원, 다각형 및 대칭적(symmetric) 형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관심영역 방식 또는 상기 마스킹 방식으로 분석 범위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관심영역 또는 마스크에 근거하여 분석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결정된 분석영역에 대한 동역학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석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마스크가 존재하면 상기 마스크의 영역을 분석영역으로 결정하고, 마스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관심영역을 분석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석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마스크와 관심영역이 모두 존재하면 상기 마스크와 상기 관심영역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새로운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석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관심영역이 존재하면, 각각의 관심영역과 상기 마스크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복수개의 새로운 관심영역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역학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석영역에 대한 컬러맵(color map)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역학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관심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심영역 내에서 계산된 특성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역학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관심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심영역 내에서 계산된 특성값의 최댓값, 최솟값, 평균값 및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복수개의 관심영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각각의 관심영역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읽어 온 이미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공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읽어 온 이미지, 상기 이미지의 저장 경로 및 상기 이미지의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시계열적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복수의 시간열 이미지 세트를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스크롤바를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픽셀 방식으로 동역학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시간열 이미지의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분석 구간을 변경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복수개의 시간열 이미지 세트를 동시에 비교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시간열 이미지의 프레임간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의 회귀분석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의 정규화 적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마스킹 설정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관심영역 설정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관심영역 설정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동역학 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동역학 분석 조건을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관심영역과 마스킹을 통한 동역학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컬러맵을 변경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a 및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분석 결과를 내보내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관심영역의 이름을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제어부(100), 디스플레이부(110) 및 입력부(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로는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가 채용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항목 선택이나 아이콘 조작 등의 인터페이스 제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로는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시간열(time-series) 이미지 즉, 시계열적으로 구성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 및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계열적으로 구성된 이미지는 시간열 이미지 세트로 표현될 수 있으며, 시간열 이미지 세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반적인 이미지 파일, 예를 들어 jpg, tif 등의 포맷으로 촬영된 여러장의 이미지 세트나 시간열 영상으로 촬영된 파일, 예를 들어 avi 등의 포맷으로 촬영된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의미한다. 이때 이러한 시간열 이미지는 생체내(in-vivo) 이미지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로는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00)는 먼저 시간열 이미지를 읽어 온다(S200). 여기서 시간열 이미지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 복수개의 이미지들을 의미한다. 이때 이러한 이미지는 생체내 이미지일 수 있다. 즉 시간열 생체내 이미지는 생체내 관심부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러번 촬영한 이미지들(예를 들어 1초당 1장씩 2분 동안 촬영한 120장의 이미지)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간열 생체내 이미지는 명도로만 구분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즉 시간열 생체내 이미지의 각 픽셀에 저장된 데이터(영상값)는 명도만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명도의 차이가 피촬영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0)에서 제어부(100)는 하나의 세트가 아닌 복수개의 이미지 세트를 읽어올 수도 있으며,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세트에 포함된 이미지들은 각 세트별로 할당된 윈도우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간열 이미지는 기 촬영되어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시간열 이미지를 하나의 윈도우에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스크롤바를 표시한다(S210). 즉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시간열 이미지와 함께,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스크롤바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크롤바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이러한 스크롤바를 좌우 또는 위아래로 움직여 현재 이미지의 앞뒤 이미지들을 순서대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설정(예 : 밝기)이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해당 이미지가 속하는 시간열 이미지 모두에 대해 해당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10) 이후, 제어부(100)는 픽셀(pixel) 방식, 관심영역(ROI) 방식 및 마스킹(mask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분석 범위 설정을 입력받는다(S220).
먼저 픽셀 방식은 분석 범위로 특정 픽셀을 지정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는 입력부(100)를 통해 분석 범위 설정 방식을 픽셀 방식으로 지정하고, 하나 이상의 픽셀(도 5에서는 3개의 픽셀)을 분석 범위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픽셀이 선택된다면 선택된 픽셀들은 각기 다른 색상의 도트(dot)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셀 방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분석 범위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이렇게 선택된 분석 범위의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S220)에서 픽셀 방식으로 분석 범위가 설정되면, 제어부(100)는 설정된 픽셀의 시간에 따른 영상값의 그래프를 표시한다(S230). 여기서 영상값은 해당 픽셀에 저장된 데이터(예 : 명도)를 의미한다. 즉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세 개의 픽셀에 대한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가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각 그래프의 색상은 해당 도트의 색상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6b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스크롤바 외에도, 현재 표시되고 있는 시간열 이미지의 프레임 번호를 표시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에도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의 시간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 바(도 6a 및 6b에서 붉은색 바로 표시됨)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간열 이미지를 앞뒤로 확인하면서 분석에 필요 없는 프레임의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시간열 이미지의 촬영은 조영제가 주입되는 시점에서부터의 데이터 획득을 위해, 촬영을 시작한 후 조영제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해, 이러한 시간열 이미지에는 조영제를 주입하기 이전의 영상 또한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자료는 분석에 도움을 주지 않으므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 번호 등을 표시해줄 경우, 불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a 및 7b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분석이 수행되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Start Frame' 항목과 'End Frame' 항목에 원하는 프레임 번호를 입력하여 분석이 수행되는 구간을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 구간이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스크롤바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된 구간에 맞게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00)가 표시하는 이러한 포인터는 그 자체적으로도 위치 이동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프레인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포인터를 움직여 분석 구간을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포인터를 클릭한 후 드래그 하는 방식으로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Start Frame' 항목과 'End Frame' 항목에 표시된 번호를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분석 구간이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의 표시 구간 역시 분석 구간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이렇게 분석 구간을 변경하여 분석에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외시키는 것은 분석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준다.
한편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개의 시간열 이미지 세트가 동시에 표시되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각 픽셀의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를 하나의 윈도우에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험동물을 이용한 동역학 분석 연구는 한 마리 이상의 실험동물을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통계를 낸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시간열 이미지를 동시에 표시하되, 각 시간열 이미지의 선택된 픽셀에 대한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를 하나의 그래프 위에 표시할 경우, 여러 실험동물 간의 비교 분석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각 세트별로 촬영 조건(예: 조영제를 주입한 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처럼 각각의 분석 구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험동물 간의 제어 역동(control dynamics)의 편차 정도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조직 자체에 편차가 큰 실험동물의 데이터를 미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시간열 이미지의 프레임간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Interval(s)' 항목에 시간열 이미지의 실제 촬영된 간격을 입력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시간열 이미지의 시간 간격이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의 x축(시간축)을 자동적으로 수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의 회귀분석(regression) 적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Regression' 항목을 'True' 또는 'False' 중 하나로 선택하여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에 회귀분석을 적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의 정규화(normalize)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때 정규화 설정 항목의 옵션은 3가지일 수 있다. 첫 번째 옵션은 정규화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이고, 두 번째 옵션은 각각의 픽셀별로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식이며, 마지막 옵션은 전체 분석 범위 중에서 가장 높은 영상값을 기준으로 정규화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즉 사용자는 'Normalize' 항목을 'None', 'Each Pixel' 및 'Whole Frame' 중 하나로 선택하여,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의 정규화(normalize)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계(S230)에서 설명한 GUI 제공 방식 중 현재 표시되고 있는 시간열 이미지의 프레임 번호를 표시하는 것,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 분석 구간을 변경하는 것 및 프레임간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단계(S230)에서뿐만 아니라, 상기 단계(S220) 및 후술할 단계(S240) 내지 단계(S270)에서 제공되거나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계(S220)에서 마스킹(masking) 방식은 이미지의 영상값을 기준으로 배경을 제외한 생체내(in vivo) 형상만을 선택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분석 범위 설정 방식을 오토 마스크 방식으로 지정하고, 대표적인 픽셀을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선택된 픽셀의 영상값(예: 명도)과 유사한 영상 정보를 가지는 주변의 픽셀들을 하나의 마스크(도 12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킹 방식을 이용할 경우, 마스킹 이외의 부분은 배경으로 인식되어 분석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전체 분석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때 기준값에 따라 하나의 픽셀만이 마스크로 선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하나 이상 생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이러한 마스킹의 선택 범위(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픽셀과 제어부(100)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픽셀들의 영상값 차이의 설정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준값은 마우스 휠의 스크롤 또는 기준값 설정 항목을 통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준값이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변경된 기준값에 따라 마스크의 영역을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기준값을 갖는 두 개 이상의 마스크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마스크의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형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마스크의 영역 중 일부를 지우거나, 일부의 영역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ROI) 방식은 사용자가 임의로 관심영역을 선택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20)를 통해 분석 범위 설정 방식을 관심영역 방식으로 지정하고, 분석을 원하는 영역을 임의로(하나의 픽셀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관심영역은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관심영역은 원, 타원, 다각형, 자유형태 및 대칭적(symmetric)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관심영역은 대칭적 형태일 수 있으며, 여기서 대칭적 형태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동일한 관심영역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분석 범위 설정 방식을 대칭적 형태의 관심영역 방식으로 지정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하나의 관심영역만을 설정하더라도 제어부(100)는 이와 대칭적인 관심영역을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생체내(in vivo)의 형태는 좌우 대칭인 경우가 많고, 좌우 중 한쪽만을 컨트롤하고 반대편의 반응을 비교하는 실험 등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대칭적 형태의 관심영역은 사용자의 분석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이러한 대칭적 형태의 관심영역의 중심선의 위치를 움직이거나, 중심선 위의 한 점을 중심으로 관심영역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세트의 시간열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하나의 시간열 이미지에 생성된 관심영역을 다른 시간열 이미지에 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GUI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여러 시간열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같은 크기를 가지는 관심영역이 동일한 위치에 자동적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스크와 관심영역이 같이 설정되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마스크와 관심영역의 교집합만을 새로운 관심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마스크를 벗어난 지점은 배경으로 볼 수 있으므로, 관심영역에 제외하는 것이 분석의 속도를 향상시켜 준다.
또한 제어부(100)는, 복수개의 관심영역이 존재하면, 각각의 관심영역과 마스크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복수개의 새로운 관심영역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계(S220)에서 관심영역 또는 마스킹 방식으로 분석 범위가 설정되면, 제어부(100)는 관심영역 또는 마스크의 존재여부에 따라 동역학 분석을 수행할 분석영역을 결정한다(S240). 예를 들어 상기 단계(S220)에서 마스킹이 수행되어 마스크가 존재하면, 제어부(100) 마스크의 영역을 분석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것과 같이, 마스크가 존재하면 관심영역의 범위는 마스크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마스크 영역을 분석영역으로 결정하면, 관심영역 또한 분석영역에 포함되게 된다. 반면 마스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관심영역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관심영역을 분석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30)에서 결정된 분석영역에 대한 동역학 계산을 수행한다(S250). 즉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00)는 특정시간에서의 미분값이나 적분값, 특정 영상값을 가지는 시간값, PCA, MTT, BFi, Tmax 등 시간에 따른 동역학 분석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다양한 특성값을 계산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특성값들의 계산 방식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6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이러한 동역학 계산을 위한 변수들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여기서 Onset time 설정은 처음 신호(영상값, intensity)가 보이는 영상을 결정하는 기준으로, '5% Tarrival'은 전체 관심영역 중 5%에서 신호가 보이는 시점을 신호의 시작으로 분석하는 것이고, 'Each Pixel'은 각 픽셀별 신호의 시작 시점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이다.
또한 Criterion of a peak time은 영상값의 최고치를 나타내는 시각을 결정하기 위한 변수로, 'Tmax' 방식은 그래프 상에 피크(peak)가 여러 개 나타날 경우 그 중 가장 높은 피크를 피크 타임으로 결정하는 방식이고, '1st peak' 방식은 최초의 피크의 시점을 피크 타임으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Peak time-threshold intensity는 노이즈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한 항목으로, 분석대상이 된 픽셀의 최대 영상값(명도)이 상기 항목에서 설정된 문턱값 미만이면, 제어부(100)는 해당 픽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100)는 노이즈 데이터를 제거하여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MTT-Duration은 Mean Transit Time을 구할 때의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즉 MTT-Duration에 따라 MTT 결과가 달라지므로, 복수개의 영상을 같은 듀레이션으로 분석하기 위해 상기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50)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50)에서 계산된 특성값을 표시한다(S26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관심영역 내부에서 계산된 특성값만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7에서 볼 수 있듯이, 마스크(붉은색 영역)와 관심영역이 같이 설정된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이 마스크와 관심영역의 교집합만이 새로운 관심영역이 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이러한 관심영역 내부에서 계산된 특성값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0)는 특성값 외에도, 특성값의 최댓값, 최솟값,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250)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50)에서 계산된 특성값에 대한 컬러맵(color map)을 표시한다(S26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마스크의 영역 내에서 컬러맵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컬러맵은 관심영역뿐만 아니라 마스크의 전체 영역에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목표 조직 이외의 조직에 대한 동역학 계산 결과도 한눈에 보여 주면서, 목표 조직만의 특성값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므로,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줄 수 있다. 한편 마스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관심영역 내에서 컬러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이러한 컬러맵의 컬러 형태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여러 개의 컬러바 중 하나를 선택하여 컬러맵의 컬러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9a 및 19b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계산된 특성값이나 컬러맵, 픽셀에 대한 시간에 따른 신호 변화 그래프를 표 또는 그림파일 등의 형태로 내보낼 수 있는 GUI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관심영역별 특성값들이 동시에 내보내질 수 있으므로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00)는 관심영역의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읽어온 시간열 이미지 세트에 대한 정보와, 분석이 수행되는 구간에 대한 정보, 분석이 수행되는 픽셀의 범위에 대한 정보(마스킹, 관심영역 등), 컬러맵, 픽셀의 시간에 따른 영상값의 그래프를 등 분석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추후 사용자는 이렇게 저장된 파일을 읽어와서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분석 작업을 수행하거나 이전 분석 조건을 수정하는 등의 연속적인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읽어 온 이미지 그 자체, 이미지의 저장 경로 및 이미지의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세트를 같이 저장하는 경우, 저장 용량이 과도하게 증가할 수도 있으므로, 읽어온 시간열 이미지의 저장 위치에 대한 정보와 분석된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추후 저장된 파일을 읽어올 때, 해당 경로에 저장된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읽어오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이미지의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는 시간열이미지세트를촬영할때의노출시간, 시간열 이미지 촬영의 시간 간격, 전체 이미지의 개수, 전체 이미지 촬영 시간, 조리개 상태, 포커스의 위치, 촬영 장소의 온도, 촬영 일시, 조명 또는 렌즈에 사용된 필터, 촬영에 사용한 카메라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시계열적으로 구성된 이미지를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디스플레이부
120: 입력부

Claims (23)

  1. 제어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열 이미지 세트를 읽어 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읽어 온 이미지를 각 세트별로 각각의 윈도우에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로부터 동역학 분석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각 세트별로 각각의 윈도우에서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세트의 이미지들을 하나의 윈도우에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바를 표시하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의 프레임 번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분석이 수행되는 구간을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이 수행되는 구간이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지정된 구간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각 세트별로 각각의 윈도우에서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세트의 이미지들을 하나의 윈도우에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바를 표시하되,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롤바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가 변경된 포인터의 위치에 따라 분석이 수행되는 구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의 프레임간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미지의 픽셀 중 분석이 수행되는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픽셀 방식, 관심영역(ROI) 방식 및 마스킹(masking)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분석 범위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픽셀 방식으로 분석 범위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선택된 픽셀의 시간에 따른 영상값의 그래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그래프의 회귀분석(regression) 적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그래프의 정규화(normalize)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마스킹 방식이 선택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픽셀이 지정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된 픽셀과의 영상값의 차이가 기준값 이내인 픽셀들을 마스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값이 변경되면, 변경된 기준값에 따라 마스크의 영역을 변경하되,
    상기 기준값은 마우스 휠의 스크롤 또는 기준값 설정 항목을 통해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기준값을 갖는 두 개 이상의 마스크가 설정될 수 있으며, 각 마스크의 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은 원, 타원, 다각형 및 대칭적(symmetric) 형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관심영역 방식 또는 상기 마스킹 방식으로 분석 범위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관심영역 또는 마스크에 근거하여 분석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결정된 분석영역에 대한 동역학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마스크가 존재하면 상기 마스크의 영역을 분석영역으로 결정하고, 마스크가 존재하지 않으면 관심영역을 분석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마스크와 관심영역이 모두 존재하면 상기 마스크와 상기 관심영역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새로운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관심영역이 존재하면, 각각의 관심영역과 상기 마스크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복수개의 새로운 관심영역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역학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석영역에 대한 컬러맵(color map)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역학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관심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심영역 내에서 계산된 특성값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역학 계산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는,
    관심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관심영역 내에서 계산된 특성값의 최댓값, 최솟값, 평균값 및 표준편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픽셀의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복수개의 관심영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각각의 관심영역의 이름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읽어 온 이미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공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읽어 온 이미지, 상기 이미지의 저장 경로 및 상기 이미지의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50114911A 2015-08-13 2015-08-13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737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911A KR101737632B1 (ko) 2015-08-13 2015-08-13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CT/KR2016/008939 WO2017026862A1 (ko) 2015-08-13 2016-08-12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2017562021A JP2018526708A (ja) 2015-08-13 2016-08-12 時系列イメージ分析のためのグラフィック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提供方法
US15/578,183 US20180150188A1 (en) 2015-08-13 2016-08-12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for time-series image analysis
CN201680044842.4A CN108463159A (zh) 2015-08-13 2016-08-12 用于时间序列图像分析的图形用户界面提供方法
EP16835502.2A EP3335624A4 (en) 2015-08-13 2016-08-12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for time-series image ana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911A KR101737632B1 (ko) 2015-08-13 2015-08-13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678A true KR20170020678A (ko) 2017-02-23
KR101737632B1 KR101737632B1 (ko) 2017-05-19

Family

ID=579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911A KR101737632B1 (ko) 2015-08-13 2015-08-13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150188A1 (ko)
EP (1) EP3335624A4 (ko)
JP (1) JP2018526708A (ko)
KR (1) KR101737632B1 (ko)
CN (1) CN108463159A (ko)
WO (1) WO2017026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8585B2 (ja) * 2016-11-30 2021-02-1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9720A (ja) * 1993-05-12 1994-11-22 Hitachi Ltd 時系列画像データ処理方法
US5903664A (en) * 1996-11-01 1999-05-11 General Electric Company Fast segmentation of cardiac images
US6925200B2 (en) * 2000-11-22 2005-08-02 R2 Technology,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 of anatomical information
US20050160113A1 (en) * 2001-08-31 2005-07-21 Kent Ridge Digital Labs Time-based media navigation system
US6697509B2 (en) * 2001-10-04 2004-02-24 Chromavision Medica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oring the uptake of markers in cells
JP3952270B2 (ja) * 2002-01-18 2007-08-0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医用画像登録参照方法、医用画像登録参照システム、コンテンツ登録用サーバ、コンテンツ参照用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2005073817A (ja) * 2003-08-29 2005-03-24 Hitachi Medical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JP4575124B2 (ja) * 2004-11-29 2010-11-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20070016016A1 (en) * 2005-05-31 2007-01-18 Gabriel Haras Interactive user assistant for imaging processes
US7765491B1 (en) * 2005-11-16 2010-07-27 Apple Inc. User interface widget for selecting a point or range
US8014576B2 (en) * 2005-11-23 2011-09-06 The Medipatter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computer-aid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medical images
JP5037866B2 (ja) * 2006-06-28 2012-10-03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JP2008033743A (ja) * 2006-07-31 2008-02-14 Fuji Xerox Co Ltd 時系列データ再生制御の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装置
KR100784692B1 (ko) * 2006-08-28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이미지 처리방법
US8125223B2 (en) * 2006-10-03 2012-02-28 Singapore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Act Segmenting infarct in diffusion-weighted imaging volume
US8307287B2 (en) * 2007-04-13 2012-11-06 Apple Inc. Heads-up-display for use in a media manipulation operation
JP5712343B2 (ja) * 2008-05-13 2015-05-07 大学共同利用機関法人情報・システム研究機構 イメージングデータ処理システム
US8413054B2 (en) * 2009-04-13 2013-04-02 Cisco Technology,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till image capture from video footage
US8553954B2 (en) * 2010-08-24 2013-10-08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Automated system for anatomical vessel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WO2012026145A1 (ja) * 2010-08-27 2012-03-01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22383A1 (en) * 2010-11-12 2013-08-29 Hitachi Medical Corporation Medic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dical image display method
JP2012110400A (ja) * 2010-11-22 2012-06-14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動態診断支援情報生成システム
US8427151B2 (en) * 2011-01-14 2013-04-23 National Yang-Ming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brain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es
US20130139110A1 (en) * 2011-11-29 2013-05-30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User Interface Image Navigation System for Use in Medical or Other Applications
US9129372B2 (en) * 2012-07-30 2015-09-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transformation function to automatically register different modality medical images
KR101296958B1 (ko) * 2012-09-10 2013-08-1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입자 촬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각 종말점 탐지 방법
JP5518970B2 (ja) * 2012-09-28 2014-06-11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
KR102043130B1 (ko) * 2012-11-16 2019-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보조 진단 방법 및 장치
US9576359B2 (en) * 2013-11-01 2017-02-21 Th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Context based algorithmic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embedded images of follicle units
JP6552798B2 (ja) * 2013-11-29 2019-07-31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画像処理装置、x線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467813B2 (ja) * 2014-08-15 2019-02-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6708A (ja) 2018-09-13
KR101737632B1 (ko) 2017-05-19
CN108463159A (zh) 2018-08-28
EP3335624A4 (en) 2018-08-01
US20180150188A1 (en) 2018-05-31
WO2017026862A1 (ko) 2017-02-16
EP3335624A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930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83128B2 (ja) 医用画像シーケンスのスナップショットの選択
EP2760338B1 (en) Anisotropic processing of laser speckle images
US10026159B2 (en) Methods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data derived from medical imaging
JP6222807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x線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716853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92980B2 (en) Nuclear medical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14298980A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及设备
US7767980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8968913B (zh) 用于观察包含一团荧光团的对象的方法、图像处理器和设备
KR101737632B1 (ko) 시간열 이미지 분석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6714652A (zh) 图像分析装置、图像分析系统、图像分析装置的动作方法
JP2018524071A (ja) 医用画像を表示するための伝達関数の選択
JP4996270B2 (ja) 血流量の推定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薬剤血流濃度の推定装置
JP6416350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x線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2596038B (zh) 功能成像
JP201001957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101488775B1 (ko) 구획간 혈류 대푯값을 이용한 질병 진단 장치 및 방법
WO2013041977A1 (en) Method of retinal image enhancement and tool therefor
JP2017169960A (ja) 蛍光画像解析装置
JP202306973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23011303A (ja) 医療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20210219839A1 (en) Method for classifying fundus image of subject and device using same
KR101313295B1 (ko) 엑스레이 영상 데이터 획득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