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187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187A
KR20170020187A KR1020150148909A KR20150148909A KR20170020187A KR 20170020187 A KR20170020187 A KR 20170020187A KR 1020150148909 A KR1020150148909 A KR 1020150148909A KR 20150148909 A KR20150148909 A KR 20150148909A KR 20170020187 A KR20170020187 A KR 20170020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beamforming
update
base st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867B1 (ko
Inventor
노지환
김태영
유현일
이건국
정수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237,61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31342B2/en
Publication of KR2017002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187A/ko
Priority to US17/178,530 priority patent/US116011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2Feedback error hand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획득 방법에 있어서, CSI 설정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빔포밍(beamforming) CSI-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빔에 기반하여 빔포밍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에 CSI를 보고하는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개선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BF-CSI-RS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업데이트를 단말에서 반영하기 위한 지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획득 방법에 있어서, CSI 설정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빔포밍(beamforming) CSI-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빔에 기반하여 빔포밍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획득을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CSI 설정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 빔포밍(beamforming) CSI-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빔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빔에 기반하여 빔포밍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에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 방법에 있어서, CSI 설정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빔포밍 CSI-RS에 기반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채널 상태 정보 및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에 기반하여 CS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를 위한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CSI 설정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빔포밍 CSI-RS에 기반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채널 상태 정보 및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에 기반하여 CSI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개선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BF-CSI-RS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업데이트를 단말에서 반영하기 위한 지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안테나 포트 수에 따른 CSI-RS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CSI-RS 설정에 따른 CSI-RS의 매핑 관계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도 3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CSI-RS를 이용하여 CSI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빔 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 시 CSI 보고에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포밍 업데이트에 따른 측정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원 펑처링(puncturing)기반 측정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B 펑처링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RS 기반 측정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기반 측정 제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제한 주기가 1 서브프레임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포맷 기반 측정 제한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이용한 측정 제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혹은 LTE-A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LTE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와 측정 제한(measurement restriction) 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측정 제재설정(measurement reset)은 측정 제한의 일 예일 수 있다. 즉, 단말이 빔포밍 업데이틀 식별하면, 측정 제한을 수행하거나 측정 제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이 측정 제한 지시를 수신하면 빔포밍 업데이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모든 실시 예에서 빔포밍 업데이트가 반드시 빔의 변경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빔포밍 업데이트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업데이트 시점에 단말에 특정 빔을 제공할 것이나, 동일한 빔이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빔포밍이 적용되는 경우 CSI-RS는 BF-CSI-RS(beamformed-CSI-RS)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안테나 포트 수에 따른 CSI-RS 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는 1, 2, 4, 또는 8개의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전송이 가능하며, 각각 p=15, p=15~16, p=15~18, 그리고 p=15~22의 포트에 맵핑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10, 120, 130은 각각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을 나타낸다. 자원 블록은 2개의 물리 자원 블록 (PRB, physical resource block)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주파수 축에 대하여 12개의 서브캐리어(susbcarrier)와 시간 축으로 14개의 심볼(symbol)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 CP(cyclic prefix)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확장 CP에도 적용가능 하며, 확장 CP 인 경우 자원 블록의 심볼 수는 12개 일 수 있다. 도 1에서 각 자원 블록은 복수 개의 자원 요소(RE, resource element)로 구성될 수 있다. 자원블록(110)에서 0, 1이 매핑된 RE는 2개의 안테나 포트가 사용되는 경우 CSI-RS가 매핑되는 자원이다. 자원블록(120)에서 0, 1, 2, 3이 매핑된 RE는 4개의 안테나 포트가 사용되는 경우 CSI-RS가 매핑되는 자원이다. 자원블록(130)에서 0, 1, 2, 3, 4, 5, 6, 7이 매핑된 RE는 8개의 안테나 포트가 사용되는 경우 CSI-RS가 매핑되는 자원이다. 도 2는 CSI-RS 설정에 따른 CSI-RS의 매핑 관계를 설명하는 테이블이다.
LTE 스펙에서, CSI-RS는 셀-특정(cell-specific) 전송을 지원하며 사전-설정된(pre-configured) 서브프레임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셀-특정 전송은 기지국이 셀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을 위하여 동일한 CSI-RS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UE는 eNB에서 전송한 CSI-RS를 특정한 지시가 없어도 측정할 수 있다. UE에서 측정한 CSI-RS는 eNB로 전송하는 CSI 보고(reporting)에 활용되며, 이러한 CSI 보고는 주기적 보고(periodic reporting)와 비주기적 보고(aperiodic reporting)으로 나뉜다. 또한, CSI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ion)로 구성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획득한 CSI로부터 단말에게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등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여,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수신 성능을 만족시킨다. CQI는 시스템 전대역(wideband) 혹은 일부 대역(subband)에 대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 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소정의 미리 정해진 데이터 수신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MCS의 형태로 표현된다. PMI/RI는 다중안테나 입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다중안테나를 통해 데이터 전송할 때 필요한 precoding 및 rank 정보를 제공한다. 하향링크 채널계수를 나타내는 신호는 CSI 신호보다 상대적으로 상세한 채널상태정보를 제공하지만, 상향링크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여기서 단말은 구체적으로 어떤 정보를 피드백할지를 나타내는 리포팅 모드(reporting mode), 어떤 자원을 사용할지에 대한 자원 정보, 전송 주기 등에 대한 CSI 설정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미리 통지받는다. 그리고 단말은 미리 통지된 CSI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CSI를 전송한다.
UE는 CSI-RS 측정값의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근에 수신된 몇 개의 CSI-RS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CSI를 보고할 수 있다. 도 3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CSI-RS를 이용하여 CSI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CSI 보고에 사용되는 CSI-RS 측정값은 3개이며, 이러한 3개의 CSI-RS에 대한 측정단위를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라 한다. UE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는 각 UE 별 구현 특성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측정 윈도우는 CSI 보고를 위한 CSI-RS 측정 단위(서브프레임 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는 3개의 CSI-RS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 단위를 측정 윈도우로 설정하였으나, 1개의 CSI-RS, n 개의 CSI-RS에 대해서 측정 윈도우를 설정할 수 있다. 측정 윈도우는 단말의 내부 설정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CSI-RS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310 내지 350은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CSI-RS이고, 도면부호 360 내지 380은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CSI 보고이다. 도 3에서는 측정 윈도우의 단위가 3개의 CSI-RS인 경우이다. 단말은 3개의 서브프레임(310, 320, 330)에서 CSI-RS를 측정하고 CSI(360)를 보고한다. 단말은 3개의 서브프레임(320, 330, 340) CSI-RS를 측정하고 CSI(370)를 보고한다. 단말은 3개의 서브프레임(330, 340, 350)에서 CSI-RS를 측정하고, CSI(380)를 보고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은 측정 윈도우를 이용한 복수의 CSI-RS에 대한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FD-MIMO(full dimensio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에서 eNB는 특정 UE에게 CSI-RS를 전송하기 위하여 UE-특정한(UE-specific) 빔포밍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CSI-RS 전송 방식을 beamformed CSI-RS(BF-CSI-RS) 또는 빔포밍 CSI-RS라 한다. BF-CSI-RS 상황에서는 eNB가 특정 UE에게 적합한 빔을 설정하여 보냄으로써 CSI-RS 측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CSI-RS 방식과 마찬가지로 BF-CSI-RS가 전송될 서브프레임은 사전-설정(pre-configured)되어 있으며, BF-CSI-RS는 주기적/비주기적 전송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셀-특정 기반의 CSI-RS 전송 방식과 달리, BF-CSI-RS에서는 eNB가 UE에게 전송될 CSI-RS의 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는 eNB가 UE로부터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ymbol)을 받아서 UE에게 적합한 빔 방향을 계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UE가 eNB에서의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 여부를 알지 못한다면, CSI-RS 측정을 기반으로 한 CSI 보고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CSI-RS 빔이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단말이 CSI-RS 빔 변경을 알 수 없는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빔 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 시 CSI 보고에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UE에서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는 CSI-RS 3개를 기준으로 하며, eNB의 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서브프레임(411, 413, 415)에서 CSI-RS는 제1 빔포밍(BF1)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이 415 CSI-RS 전송 이후 서브프레임(421, 423)에서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하여 제2 빔포밍(BF2)으로 전송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제1 빔포밍과 제2 빔포밍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를 이용한 CSI-RS 측정 및 CSI 보고를 수행할 경우,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함에 따라 CSI 보고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이 CSI 보고를 할 때, 서로 다른 빔의 측정 결과를 함께 보고할 경우 CSI 보고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CSI(430) 보고는 제1 빔포밍(BF1)에 따른 서브프레임(411, 413, 415)에서 전송되는 CSI-RS의 측정에 기반한 보고이다. 하지만 도면 4의 UE에서 제2 CSI(440) 보고와 제3 CSI(450) 보고에는 서로 다른 BF-CSI-RS(BF1, BF2)가 섞여서 사용되어 에러가 발생되었다. 즉, 제2 CSI(440) 보고는 제1 빔포밍(BF1)에 따른 서브프레임(413, 415)에서 CSI-RS 및 제2 빔포밍(BF2)에 따른 서브프레임(421)에서 CSI-RS의 측정에 기반한 보고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빔포밍 RS에 대한 측정 보고이므로 에러가 발생되었다. 제3 CSI(450) 보고는 제1 빔포밍(BF1)에 따른 서브프레임(415)에서의 CSI-RS 및 제2 빔포밍(BF2)에 따른 서브프레임(421, 423)에서 CSI-RS의 측정에 기반한 보고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빔포밍 RS에 대한 측정 보고이므로 에러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UE에서의 빔포밍 업데이트에 따른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eNB에서의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에 대한 정보를 UE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지시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관련 기술에서는 빔포밍 CSI-RS에서 빔포밍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여부를 지시하는 동작 및 방법에 대해서 정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측정 윈도우 및 빔포밍 업데이트로부터 발생하는 CSI 보고의 에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하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BF-CSI-RS 전송 시스템에서 현재 규격에서와는 달리 CSI 보고 에러를 정정하기 위한 측정 제한(measurement restriction)을 제한한다. 하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측정 제한(measurement restriction)과 관련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BF-CSI-RS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 업데이트를 단말에서 반영하기 위한 지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빔포밍 업데이트에 따른 측정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단말에 적합한 빔포밍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B는 각 UE로부터의 SRS 또는 CSI 정보를 이용하여 UE에게 적합한 빔포밍(beamforming)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빔포밍(beamforming)을 기반으로 한 BF-CSI-RS 전송신호를 UE가 수신되면, UE는 CSI-RS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한다. UE는 CSI-RS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를 설정하고, 설정된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 내에 수신되는 CSI-RS들의 평균값을 CSI 보고에 이용한다.
도 4와 같이, eNB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는 경우에 UE에서 업데이트(update)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면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를 잘못 설정하여 CSI 보고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eNB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함에 따라 UE에서 동시에 CSI-RS에 대한 측정 제한(measurement restriction) 을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측정 제한 중 대표적인 방법이 측정 재설정(measurement reset)이다. 측정 재설정은 단말에게 측정을 초기화하라는 지시를 의미할 수 있다. 측정 재설정 또는 측정 리셋이란 빔포밍 업데이트에 대한 지시가 있는 경우 빔포밍 업데이트 이전에 수신한 CSI-RS 정보는 CSI 보고에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단말은 기 설정된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와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전에 수신한 CSI-RS에 기반한 측정 정보는 CSI 보고에 고려하지 않는다. 즉, 측정 윈도우가 3개의 CSI-RS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빔포밍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빔포밍 업데이트 이전에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수신한 1개 또는 2개의 CSI-RS를 이용하여 CSI를 보고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서 UE에서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는 CSI-RS를 전송하는 3개의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며, eNB의 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서브프레임(511, 513, 515)에서의 CSI-RS는 제1 빔포밍(BF1)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이 515 CSI-RS 전송 이후 서브프레임(521, 523)에서의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하여 제2 빔포밍(BF2)으로 전송된다.
535 시점에서 단말이 빔포밍 업데이트에 대한 지시 또는 측정 재설정에 대한 지시를 수신한 것으로 가정한다. UE에서 측정 재설정(measurement reset)이 수행되면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는 최근 1개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축소되며, UE가 BF-CSI-RS를 수신함에 따라 윈도우 사이즈(window size)가 설정된 서브프레임 개수까지 하나씩 증가하게 된다. 즉, CSI(540) 보고에는 1 개의 서브프레임(521)에 대한 CSI-RS가 이용되지만, CSI(550) 보고에는 2개의 서브프레임(521, 523)에 대한 CSI-RS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재설정에 대한 지시가 있는 경우, 측정 윈도우를 축소하지 않고, 측정 윈도우의 설정은 유지한 채 단말이 측정 윈도우의 설정을 고려하지 않고, CSI를 보고할 수도 있다. 즉, 측정 리셋 이후 최초 CSI 보고 시 측정 윈도우는 여전히 3개의 서브프레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단말은 측정 윈도우와 무관하게 측정 리셋 이후 수신한 CSI-RS에 대해서만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정확한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 설정을 위하여 측정 제한(measurement restriction) 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UE에게 측정 제한에 관한 지시자(indication)를 내려주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단말은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을 계산하기 위하여 해당 단말에게 들어오는 간섭(interference)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은 단말에게 채널상태정보 간섭 측정(CSI-interference measurement, (CSI-IM))을 설정해 줌으로써 간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단말에게 할당된 CSI-RS를 기준으로 한 측정 제한을 예시로 들었다. 하지만, CSI-IM에 대하여도 CSI-RS와 동일한 이유로 측정 제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CSI-RS와 CSI-IM에 대한 측정 제한이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후에 제안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CSI-RS를 기준으로 설명되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CSI-IM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원 펑처링(puncturing)기반 측정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RB를 펑처링(puncturing)하여 측정 제한을 하거나,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할 수 있다.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RB의 자원 위치에 CSI-RS를 매핑하고 펑처링하여 전송하는 경우 이를 수신한 단말은 측정 제한 또는 빔포밍 업데이트에 대한 지시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UE에서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는 CSI-RS를 전송하는 3개의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며, eNB의 1번째 서브프레임(611) 및 4번째 서브프레임(621)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서브프레임(611, 613, 615)에서의 CSI-RS는 제1 빔포밍(BF1)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이 615 CSI-RS 전송 이후 서브프레임(621, 623)에서의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하여 제2 빔포밍(BF2)으로 전송된다.
도 6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는 서브프레임(611, 615)의 첫 번째 RB는 CSI-RS 정보를 싣지 않고 전송할 수 있다(RB puncturing). 기지국은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에 CSI-RS를 매핑하지 않고 펑처링하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UE는 수신된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RB를 센싱(sensing)하여 CSI-RS 유무를 체크하고 이를 통하여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611)을 수신한 단말은 특정 RB에 CSI-RS가 매핑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이를 통해 빔포밍 업데이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61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611)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63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611, 613)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640)를 보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611, 613, 615)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65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측정 윈도우와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에 수신한 CSI-RS만 CSI 보고에 이용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621)을 수신한 단말은 특정 RB에 CSI-RS가 매핑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이를 통해 빔포밍 업데이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빔포밍(BF1)에서 제2 빔포밍(BF)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62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621)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66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611, 613)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670)를 보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측정 윈도우와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에 수신한 CSI-RS만 CSI 보고에 이용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를 사용하면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 지시(indication)를 위한 추가적인 오버헤드(overhead)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제로 eNB에서 빔포밍(beamforming)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펑처링된 RB(punctured RB)를 통하여 정보를 지시함으로써 UE에서 정확한 타이밍(timing)에 측정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의 실시 예는은 측정 제한 지시(measurement restriction indication)를 위하여 특정 RB를 비워서 보내야 한다. 하지만 대역폭이 20 MHz일 경우 RB의 수가 100개이기 때문에, 한 개 혹은 일부 RB가 비워진다고 해도 UE에서의 CSI-RS 측정 성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측정 제한 지시(measurement restriction indication)을 위하여 UE의 가장 처음 한 개의 RB을 비우는 경우를 예시로 들었다. 하지만 도 6의 실시 예는 이러한 예시 이외에도 지시(indication)를 위하여 UE에게 할당된 RB들의 일부를 비우는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RB를 비워서 지시(indication)를 내려주는 방법도 도 6의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n 개의 RB를 펑처링하여 CSI-RS가 할당된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eNB와 UE 사이에 펑처링된 RB(punctured RB(s))가 존재할 위치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설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메시지 형식은 L1, L2, L3 메시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UE에게 할당된 RB들 중 어느 위치에나 펑처링된 RB(punctured RB)가 존재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 예는 CSI-IM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는 서브프레임(611, 615)의 첫 번째 RB는 CSI-IM 정보를 싣지 않고 전송할 수 있다(RB puncturing). 기지국은 CSI-IM이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에 CSI-IM 정보를 매핑하지 않고 펑처링하여 서브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RB를 센싱(sensing)하여 CSI-IM 유무를 체크하고 이를 통하여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은 서브프레임(61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IM 정보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611)에서 수신한 CSI-IM 정보 기반하여 CSI-IM 측정 결과(63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611, 613)에서 수신한 CSI-IM 정보에 기반하여 CSI-IM 측정 결과(640)를 보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611, 613, 615)에서 수신한 CSI-IM 정보 기반하여 CSI-IM 측정 결과(65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측정 윈도우와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에 수신한 CSI-IM 정보만 CSI 보고에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B 펑처링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UE에게 할당된 주파수 내에 존재할 수 있는 RB 펑처링 패턴(puncturing pattern)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 k번째 punctured RB의 index
Figure pat00003
: 첫 번째 punctured RB의 index
Figure pat00004
: punctured RB의 주기
Figure pat00005
: 한 subframe 내 punctured RB들의 총 개수
이러한 파라미터(parameter)들이 eNB와 UE 간에 약속되어 있으면, 그로부터 생성된 RB 펑처링 패턴(puncturing pattern)을 통하여 측정 제한에 대한 지시(indic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RS 기반 측정 제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활용하여 UE에서 측정 제한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eNB가 SRS 정보를 기반으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를 수행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UE가 SRS를 적용한 다음 수신하는 BF-CSI-RS 서브프레임에서 빔포밍(beamforming)이 변경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UE가 SRS를 전송한 이후 수신하는 첫 번째 BF-CSI-RS에서 측정 리셋(measurement reset)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며, 이러한 과정은 도 8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면,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 또는 측정 제한 지시를 하기 위한 추가적인 오버헤드(overhead) 없이 측정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UE에서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는 CSI-RS를 전송하는 3개의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며, eNB의 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서브프레임(811, 813, 815)에서의 CSI-RS는 제1 빔포밍(BF1)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이 815 CSI-RS 전송 이후 서브프레임(821, 823)에서의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하여 제2 빔포밍(BF2)으로 전송된다.
단말은 SRS(835)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SRS(835)를 수신한 이후, 빔포밍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빔포밍이 변경될 수 있고, 유지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811)에서 CSI-RS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SRS(835) 이후 수신하는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전송된 CSI-RS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서브프레임(81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811)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83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811, 813)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840)를 보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811, 813, 815)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85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측정 윈도우와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에 수신한 CSI-RS만 CSI 보고에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SRS(865)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SRS(865)를 수신한 이후, 빔포밍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빔포밍이 변경될 수 있고, 유지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821)에서 CSI-RS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SRS(865) 이후 수신하는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전송된 CSI-RS 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이를 통해 빔포밍 업데이트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빔포밍(BF1)에서 제2 빔포밍(BF)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82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821)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86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811, 813)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870)를 보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측정 윈도우와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에 수신한 CSI-RS만 CSI 보고에 이용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eNB가 SRS를 수신했다고 해서 UE에 대한 빔포밍(beamforming)을 변경한다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UE는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지 않아도 SRS 전송에 따라 측정 제한을 수행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할 수 있다. 빔포밍(Beamforming)이 바뀌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 제한을 수행하면, 해당 구간에서 BF-CSI-RS 측정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SRS 기반의 측정 제한 방안을 적용하기 위하여, 아래의 현재 규격 CQI definition (3GPP TS 36.213 subclause 7.2.3)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SRS 수신 이후 첫번째 BF-CSI-RS 전송에서, 기지국은 빔포밍 업데이트를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At the first BF-CSI-RS transmission after SRS reception, eNB determines whether beamforming is updated or not.).
단말은 SRS 전송 이후 첫번째 BF-CSI-RS를 수신할 때, 관찰 주기를 제한한다(UE resets the observation interval at the first BF-CSI-RS reception after SRS transmission.).
도 8의 실시 예는 CSI-IM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단말은 SRS(835)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SRS(835)를 수신한 이후, 빔포밍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빔포밍이 변경될 수 있고, 유지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811)에서 CSI-IM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SRS(835) 이후 수신하는 CSI-IM 정보는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전송된 CSI-IM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서브프레임(81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IM 정보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811)에서 수신한 CSI-IM 정보에 기반하여 CSI(830)를(CSI-IM 측정 결과를 포함)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811, 813)에서 수신한 CSI-IM 정보 기반하여 CSI(840)를 보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811, 813, 815)에서 수신한 CSI-IM 정보 기반하여 CSI(85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거나, 측정 윈도우와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후에 수신한 CSI-IM 정보만 CSI 보고에 이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 기반 측정 제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실시 예는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이 발생될 서브프레임을 미리 설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를 이용한 측정제한 방식이다. 도 9는 제어 메시지를 이용한 일 실시 예로써, 측정 제한을 위한 지시자를 RRC로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실시 에는 이후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측정 제한을 위한 지시자가 사전에 RRC 신호를 통하여 한번만 나가면 되기 때문에 현재의 LTE 시스템에 적용하기 수월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RRC를 통하여 사전에 설정된 측정 제한 정보에 따라 기지국의 빔포밍 타이밍에 대한 유연성(flexibility)가 제한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 유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프로세스(CSI process)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UE에서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는 CSI-RS를 전송하는 3개의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며, eNB의 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서브프레임(911, 913, 915)에서의 CSI-RS는 제1 빔포밍(BF1)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이 915 CSI-RS 전송 이후 서브프레임(921, 923)에서의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하여 제2 빔포밍(BF2)으로 전송된다.
RRC 메시지(905)를 이용하여 빔포밍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단말이 측정 제한을 수행해야 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는 RRC 메시지(905)를 이용하여 서브프레임(911, 921)이 빔포밍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하여 설정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 설정된 서브프레임(911, 921)에서 빔포밍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빔포밍이 변경될 수 있고, 유지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911)에서 CSI-RS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미리 수신한 RRC 메시지(905)에 기반하여 빔포밍 업데이트 후 전송된 CSI-RS 임을 알 수 있다. 또는 측정 제한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서브프레임(91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911)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93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911, 913)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940)를 보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911, 913, 915)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950)를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브프레임(921)에서 빔포밍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빔포밍이 변경될 수 있고, 유지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921)에서 CSI-RS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RRC 메시지(905)에 기반하여 서브프레임(921)이 빔포밍 업데이트가 수행된 서브프레임 또는 측정 제한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인 것을 알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92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921)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96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911, 913)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970)를 보고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 에는 CSI-IM의 측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메시지(905)를 이용하여 빔포밍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단말이 측정 제한을 수행해야 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는 RRC 메시지(905)를 이용하여 서브프레임(911, 921)이 빔포밍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서브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하여 설정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은 기 설정된 서브프레임(911, 921)에서 빔포밍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빔포밍이 변경될 수 있고, 유지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911)에서 CSI-IM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미리 수신한 RRC 메시지(905)에 기반하여 빔포밍 업데이트 후 전송된 CSI-IM 정보 임을 알 수 있다. 또는 측정 제한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서브프레임(91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IM 정보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911)에서 수신한 CSI-IM 정보에 기반하여 CSI(930)를 (CSI-IM에 대한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CSI)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911, 913)에서 수신한 CSI-IM 정보에 기반하여 CSI(940)를 보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911, 913, 915)에서 수신한 CSI-IM 정보에 기반하여 CSI(950)를 보고할 수 있다.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측정 제한을 지시하는 본 실시 예에서 측정 제한의 최소 단위는 1 서브프레임 일 수 있다. 1 서브프레임 측정 제한이라 함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측정을 초기화하여 CSI 보고를 위한 평균을 슈행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도면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제한 주기가 1개의 서브프레임인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측정 재설정(measurement reset) 주기가 1인 경우, CSI 보고는 1 서브프레임으로만 구성된다. 반면에 도 9에서의 예시와 같이 측정 재설정(measurement reset) 주기가 1보다 큰 경우, CSI 보고는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9의 실시 예 설명을 참조한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RRC 신호 기반의 측정 제한을 적용하기 위하여, 아래의 현재 규격 CQI definition (3GPP TS 36.213 subclause 7.2.3)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 단말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따라 관찰 주기를 제한한다 (UE restricts the observation interval according to higher layer signaling.)
제어 메시지를 사용하는 실시 에에서 측정 제한 상세 방안은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는 RRC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 제한을 수행할지에 대한 On/Off 정보를 보내주는 방법이다. 여기서 측정 제한 이 "On" 일 경우, UE는 사전에 약속된 고정된 크기(fixed size)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만을 사용한다. 두 번째는 RRC 신호를 통하여 측정 윈도우 의 크기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첫 번째 방법의 확장된 버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RRC 신호를 통하여 [Off,1,...,N] 중 하나의 정보가 전달된다. 세 번째는 앞서 예시로 설명한 방안으로, 측정 재설정 타이밍(measurement reset timing)에 대한 주기(periodicity)와 서브프레임 오프셋(subframe offset) 정보를 RRC 신호를 통하여 전달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 방안의 RRC 신호는 주기와 오프셋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현 스펙에서의 CSI-RS 서브프레임 설정(subframe configuration) 관련 RRC 신호와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세 번째 방안의 RRC 정보는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1에서 필요에 따라 더 짧은 주기 혹은 더 긴 주기의 subframe configuration이 추가될 수 있다.
MR-subframeConfig IMR MR periodicity
(subframes)
MR subframe offset
0-4 5 IMR
5-14 10 IMR-5
15-34 20 IMR-15
35-74 40 IMR-35
75-154 80 IMR-75
위의 측정 제한 관련 RRC 신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RRC 신호 영역(field)은 크게 3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는 non-zero power CSI-RS resource configuration field이며, RRC에서는 CSI- RS - ConfigNZP로 나타낸다. 아래는 CSI-RS-ConfigNZP와 관련된 RRC 신호를 나타낸다. 새로 추가된 영역에서 ABC는 임의의 키워드를 의미하고, 앞에서의 세 가지 상세 실시예에 따라서 추가되는 내용이 달라진다.
Figure pat00007
두 번째는 CSI process configuration field이며, RRC에서는 CSI-Process로 나타낸다. 아래는 CSI-Process와 관련된 RRC 신호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세 번째는 CSI reporting configuration field이며, RRC에서는 CQI-ReportBothProc로 나타낸다. 아래는 CQI - ReportBothProc와 관련된 RRC 신호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세 번째는 CQI - ReportBothProc 영역에 measurement restriction 정보를 포함시키는 방법이지만, 이러한 방법 외에 추가적으로 CQI - ReportModeAperiodic 영역(Aperiodic CSI reporting configuration) 혹은 CQI - ReportPeriodic 영역(Periodic CSI reporting configuration)에 포함시킴으로써 periodic/aperiodic CSI reporting에 측정 제한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 포맷 기반 측정 제한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110 동작에서 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한다. 1120 동작에서 단말은 측정 제한이 온(on) 상태인지 확인한다. 단말은 1110 동작에서 수신한 RRC 메시지에 수신하여 측정 제한이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120 동작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1130 동작 또는 1160 동작으로 진행한다. 온 상태인 경우 1130 동작으로 진행하고, 온 상태가 아닌 경우 1160 동작으로 진행한다.
온 상태가 아닌 경우 1160 동작으로 진행하며, 이 경우 단말은 기존 레가시(legacy) 동작과 동일하게, 제한 없이 측정 윈도우를 설정한다. 단말은 1140 동작에서 측정 윈도우에 포함된 CSI-RS를 이용하여 CSI를 측정한다. 이후 1150 동작에서 단말은 측정된 CSI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온 상태인 경우 단말은 1130 동작으로 진행한다. 1130 동작에서 측정 윈도우를 제한한다. 단말은 측정 제한 설정에 기반하여 측정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1140 동작에서 단말은 설정된 측정 윈도우에 포함된 CSI-RS를 이용하여 CSI를 도출한다. 1150 동작에서 단말은 도출된 CSI를 기지국으로 피드백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이용한 측정 제한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된다. DCI 는 여러 가지 포맷을 정의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UL grant) 인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DL grant) 인지 여부, 제어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을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 인지 여부 등에 따라 정해진 DCI 포맷을 적용하여 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추가적으로 DCI를 통해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 예는 DCI 포맷(format)을 이용하여 측정 제한 또는 빔포밍 업데이트에 대한 지시(indication)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도 12과 같이, eNB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면 해당 서브프레임에 DCI 포맷(format)을 이용하여 제한 트리거(restriction trigger)를 UE에게 내려준다. 여기서 reset trigger는 beamforming update의 발생 유무만 전달하면 되기 때문에 DCI 포맷(format)에 1 비트(bit)만 추가되면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UE에서의 측정 윈도우(measurement window)는 CSI-RS를 전송하는 3개의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며, eNB의 4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즉, 서브프레임(1211, 1213, 1215)에서의 CSI-RS는 제1 빔포밍(BF1)으로 전송되고, 기지국이 1215 CSI-RS 전송 이후 서브프레임(1221, 1223)에서의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하여 제2 빔포밍(BF2)으로 전송된다.
기지국은 DCI 포맷을 이용하여 서브프레임(1211)에서 빔포밍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단말이 측정 제한을 수행해야하는 서브프레임을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DCI를 수신하고, DCI를 디코딩하여 지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121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1211)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123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1211, 1213)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1240)를 보고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1211, 1213, 1215)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1250)를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브프레임(1221)에서 빔포밍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빔포밍이 변경될 수 있고, 유지될 수도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1221)에서 CSI-RS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DCI를 확인하여 서브프레임(1221)이 빔포밍 업데이트가 수행된 서브프레임 또는 측정 제한이 요구되는 서브프레임인 것을 알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1221) 이전에 수신한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수신한 CSI-RS는 고려하지 않고 서브프레임(1221)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1260)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프레임(1211, 1213)에서 수신한 CSI-RS에 기반하여 CSI(1270)를 보고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 예는 빔포밍 업데이트(beamforming update)가 어떠한 서브프레임에서든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eNB에게 빔포밍(beamforming) 변경에 대한 자유도가 주어진다. 하지만, 빔 포밍(beamforming update)가 일어날 때마다 제한 트리거(restriction trigger)를 내려주어야 한다는 오버헤드(overhead)가 존재한다.
상기 각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CSI-RS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SI-IM의 측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1310 동작에서 기지국은 CSI-RS 관련 정보를 설정하고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CSI-RS 관련 정보는 non-precoding CSI-RS 및/또는 beamformed CSI-RS에 대한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정 정보는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 관련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 관련 설정 정보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빔포밍 업데이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측정 제한을 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RS, 자원 펑처링, 상위 계층 시그널링, DCI를 통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빔포밍 업데이트의 발생 또는 측정 제한이 요구됨을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CSI로 어떤 정보를 피드백할지를 나타내는 리포팅 모드, 어떤 자원을 사용할지에 대한 자원 정보, 전송 주기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CSI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다른 메시지 유형(예를 들어, L1, L2)를 이용하여 CSI-RS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1320 동작에서 기지국은 빔포밍 CSI-RS를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상기 빔포밍 CSI-RS를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CSI-RS 관련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SRS 및/또는 non-precoding CSI-RS에 대한 CSI 보고 일 수 있다. 또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일 수도 있다.
1330 동작에서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빔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빔은 단말이 빔포핑 CSI-RS를 전송하기 위한 빔일 수 있다. 기지국은 상기 빔포밍 CSI-RS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빔포밍 CSI-RS를 위한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빔포밍 CSI-RS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새로운 빔포밍 CSI-RS를 선택할 수 있고, 빔포밍 CSI-RS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선택한 빔으로 빔포밍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 중인 빔이 변경될 수 있고, 동일한 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선택된 빔이 이전에 사용하던 빔과 동일한 경우 빔은 변경되지 않는다.
빔 선택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방법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SRS에 기반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SRS를 수신한 이후 빔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주기에 따라 결정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비주기적으로 결정하는 경우, 비주기적 CSI-RS 설정 이벤트가 트리거 될 때 빔을 선택할 수 있다.
1340 동작에서 기지국은 단말로 CSI-RS를 전송할 수 있다. CSI-RS는 빔포밍 CSI-RS를 포함할 수 있다. 빔포밍 CSI-RS는 이전 단계에서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라서 빔포밍 CSI-RS를 전송할 때, DCI를 전송하여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자원을 펑처링 하여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할 수 있다. 특정 자원은 빔포밍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과 기지국은 단말의 SRS 전송 이후 전송되는 CSI-RS, 제어 메시지로부터 지시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CSI-RS,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일부가 펑처링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CSI-RS,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DCI가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CSI-R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CSI-RS가 빔포밍 업데이트가 되었는지 및/또는 측정 제한이 요구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측정 제한은 단말에서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정하거나, 측정 윈도우의 설정과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전 CSI-RS에 대한 측정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CSI 보고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1350 동작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CSI를 수신할 수 있다. CSI는 기지국이 전송한 빔포밍 CSI-RS에 대한 CSI 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CSI 보고에 기반하여 단말에 대한 스케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CSI-RS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SI-IM의 측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410 동작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CSI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CSI-RS 관련 정보는 non-precoding CSI-RS 및/또는 beamformed CSI-RS에 대한 설정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정 정보는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 관련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 관련 설정 정보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빔포밍 업데이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측정 제한을 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RS, 자원 펑처링, 상위 계층 시그널링, DCI를 통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빔포밍 업데이트의 발생 또는 측정 제한이 요구됨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CSI 관련 정보는 CSI로 어떤 정보를 피드백할지를 나타내는 리포팅 모드, 어떤 자원을 사용할지에 대한 자원 정보, 전송 주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은 CSI 관련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을 통해 CSI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다른 메시지 유형(예를 들어, L1, L2)를 이용하여 CSI-RS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1420 동작에서 단말은 빔포밍 CSI-RS를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빔포밍 CSI-RS를 위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CSI-RS 관련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SRS 및/또는 non-precoding CSI-RS에 대한 CSI 보고 일 수 있다. 또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정보일 수도 있다.
1430 동작에서 단말은 CSI-RS에 기반하여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CSI-RS는 non-precoding CSI-RS 일 수 있고, 빔포밍 CSI-RS 일 수도 있다. 빔포밍 CSI-RS는 상기 1420 동작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한 빔포밍 CSI-RS를 위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된 빔에 기반하여 전송될 수 있다.
1440 동작에서 단말은 CSI를 생성할 수 있다. CSI를 생성할 때,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 여부 또는 측정 제한에 따라 CSI 생성에 사용되는 CSI-RS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가 있거나 측정 제한에 대한 지시가 있는 경우 측정 윈도우 사이즈를 조절하건,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 지시 이전에 측정한 CSI-RS에 기반한 채널 상태는 CSI 생성에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빔포밍 업데이트 또는 측정 제한 지시 이후에 수신되는 CSI-RS에 기반하여 CSI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RS 전송 이후 전송되는 CSI-RS, 제어 메시지로부터 지시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CSI-RS,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일부가 펑처링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CSI-RS,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DCI가 포함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CSI-R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CSI-RS가 빔포밍 업데이트가 되었는지 및/또는 측정 제한이 요구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측정 제한은 단말에서 측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정하거나, 측정 윈도우의 설정과 무관하게 빔포밍 업데이트 이전 CSI-RS에 대한 측정 정보를 고려하지 않고 CSI 보고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1450 동작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 CSI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 전송한 CSI는 기지국이 단말에 대한 스케쥴링을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1500)은 송수신부(1510) 및 제어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510)를 이용하여 기지국(1500)은 다른 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1510)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51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30)는 기지국(1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530)는 CSI 설정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 빔포밍(beamforming) CSI-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빔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빔에 기반하여 빔포밍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에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30)는 빔포밍 업데이트 주기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30)는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30)는 상기 단말로부터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수신하고, 상기 SRS 이후 전송하는 빔포밍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가 적용된 것으로 추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30)는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일부를 펑처링(puncturing)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의 지시 이전에 수신된 CSI-RS에 기반한 채널 측정 결과는 단말에서 CSI 생성 시 제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1500) 및 제어부(1530)의 동작은 도 15에서 설명한 기지국의 동작 및 기능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지국(1500) 및 제어부(1530)는 상기 도 1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한 기지국의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1600)은 송수신부(1610) 및 제어부(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610)를 이용하여 단말(1600)은 다른 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1610)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61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30)는 단말(1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630)는 CSI 설정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빔포밍 CSI-RS에 기반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채널 상태 정보 및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에 기반하여 CSI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30)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빔포밍 업데이트 주기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30)는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30)는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SRS 이후 수신하는 빔포밍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가 적용된 것으로 추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30)는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펑처링(puncturing)된 자원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30)는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의 지시 이전에 수신된 CSI-RS에 기반한 채널 측정 결과를 상기 CSI 생성에서 제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1600) 및 제어부(1630)의 동작은 도 16에서 설명한 단말의 동작 및 기능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말(1600) 및 제어부(1630)는 상기 도 1 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한 단말의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나누어 각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는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실시 예의 조합으로 실시 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획득 방법에 있어서,
    CSI 설정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빔포밍(beamforming) CSI-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빔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빔에 기반하여 빔포밍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빔포밍 업데이트 주기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RS 이후 전송하는 빔포밍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가 적용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일부를 펑처링(puncturing)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의 지시 이전에 수신된 CSI-RS에 기반한 채널 측정 결과는 단말에서 CSI 생성 시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획득을 위한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CSI 설정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 빔포밍(beamforming) CSI-RS(reference signal)를 전송하기 위한 빔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빔에 기반하여 빔포밍 CSI-RS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말에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빔포밍 업데이트 주기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을 수신하고, 상기 SRS 이후 전송하는 빔포밍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가 적용된 것으로 추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일부를 펑처링(puncturing)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의 지시 이전에 수신된 CSI-RS에 기반한 채널 측정 결과는 단말에서 CSI 생성 시 제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 방법에 있어서,
    CSI 설정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빔포밍 CSI-RS에 기반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채널 상태 정보 및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에 기반하여 CS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빔포밍 업데이트 주기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RS 이후 수신하는 빔포밍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가 적용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펑처링(puncturing)된 자원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SI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의 지시 이전에 수신된 CSI-RS에 기반한 채널 측정 결과는 상기 CSI 생성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를 위한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CSI 설정 관련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빔포밍 CSI-RS에 기반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채널 상태 정보 및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에 기반하여 CSI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빔포밍 업데이트 주기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SRS 이후 수신하는 빔포밍 CSI-RS는 빔포밍 업데이트가 적용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포밍 CSI-RS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빔포밍 CSI-RS가 매핑되어야 하는 자원 중 펑처링(puncturing)된 자원에 기반하여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 지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포밍 업데이트의 지시 이전에 수신된 CSI-RS에 기반한 채널 측정 결과를 상기 CSI 생성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50148909A 2015-08-13 2015-10-26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36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37,615 US10931342B2 (en) 2015-08-13 2016-08-15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7/178,530 US11601173B2 (en) 2015-08-13 2021-02-18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4739 2015-08-13
KR1020150114739 2015-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187A true KR20170020187A (ko) 2017-02-22
KR102368867B1 KR102368867B1 (ko) 2022-03-03

Family

ID=5831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909A KR102368867B1 (ko) 2015-08-13 2015-10-26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3995A1 (en) * 2017-03-31 2018-10-04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procedure configuration
KR20200033976A (ko) * 2017-09-18 2020-03-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통한 빔 스위치 커맨드들의 송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783A (ko) * 2010-09-03 2013-06-2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WO2014069956A1 (en) * 2012-11-02 2014-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ference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35555A (ko) * 2012-07-02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9783A (ko) * 2010-09-03 2013-06-26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150035555A (ko) * 2012-07-02 201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WO2014069956A1 (en) * 2012-11-02 2014-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ference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 36.897(V13.0.0)*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3995A1 (en) * 2017-03-31 2018-10-04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procedure configuration
US11159217B2 (en) 2017-03-31 2021-10-26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procedure configuration
US11742921B2 (en) 2017-03-31 2023-08-29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procedure configuration
KR20200033976A (ko) * 2017-09-18 2020-03-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통한 빔 스위치 커맨드들의 송신
US10893516B2 (en) 2017-09-18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beam switch commands through control channel signaling
KR20220040492A (ko) * 2017-09-18 2022-03-3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어 채널 시그널링을 통한 빔 스위치 커맨드들의 송신
US11638244B2 (en) 2017-09-18 2023-04-25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beam switch commands through control channel signa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867B1 (ko)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173B2 (en) Reference signa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784694B2 (en)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856273B2 (en)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0637495B (zh) 无线通信系统中通过波束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用于该方法的装置
CN11016899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及其装置
KR1025217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21754B2 (en)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KR1025204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1890419B1 (ko) 기준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22958A (ko) 다운링크/업링크(dl/ul) 간 빔 연계 방법 및 장치
CN116318301A (zh) 无线通信系统中执行波束恢复的方法及其设备
KR102572619B1 (ko) 다수의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프리코딩 정보 시그날링 방법 및 장치
KR10257495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99946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上行链路信道的方法及其装置
CN112567680A (zh) 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和指示波束信息的方法和设备
KR2018013681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067864A (ko) 비-프리코더 매트릭스 표시자(pmi) 채널 상태 정보(csi) 피드백을 위한 포트 인덱스 신호전송에 관한 방법 및 장치
CN109716703B (zh)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参考信号、控制信号和数据的方法和装置
KR10236886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70123960A (ko) 다수의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준신호 설정 및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317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23009675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기 간섭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2052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