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003A -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003A
KR20170020003A KR1020150114619A KR20150114619A KR20170020003A KR 20170020003 A KR20170020003 A KR 20170020003A KR 1020150114619 A KR1020150114619 A KR 1020150114619A KR 20150114619 A KR20150114619 A KR 20150114619A KR 20170020003 A KR20170020003 A KR 20170020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striction
communication
inter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희
엄경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0003A/ko
Publication of KR20170020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6Mobility data transfer selectively restricting mobility data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가 단말간 통신을 운용하는 방법은, 단말간 통신을 요청한 단말에 단말간 통신을 제한할 것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통신을 제한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제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면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단말간 통신이 불법적 서비스 또는 비정상적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단말간(DEVICE-TO-DEVICE, D2D) 통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간 통신을 등록하거나 등록 제한하는 것에 의해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등과 같은 무선접속망을 이용하는 단말간 통신 기술은 단말간 직접통신 디스커버리(D2D Discovery) 기술과 단말간 직접통신(D2D Communication) 기술 분야로 나누어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그리고 단말간 직접통신 디스커버리 기술은 제한적 디스커버리(Restricted Discovery)와 개방형 디스커버리(Open Discovery) 기술로 나누어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이 중에 제한적 디스커버리 기술은 친구로 등록된 단말과 같은 특정 단말을 발견하기 위한 기술이며, 개방형 디스커버리 기술은 공개된 단말을 발견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단말간 직접통신 기술을 이용한 통신의 예로는 단말간 P2P(Peer-To-Peer) 연결, 근거리에 위치한 상점들로부터의 근거리 광고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단말간 통신은 각종의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서버 등과 같은 이동통신 운용 주체의 간섭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보안성이 낮아서 불법적 서비스 또는 비정상적 서비스를 위한 통로로 이용될 우려가 높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단말간 통신이 불법적 서비스 또는 비정상적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3079호, 공개일자 2014년 06월 16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면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 해당 단말에서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한 구분자를 포함하여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가 단말간 통신을 운용하는 방법은, 단말간 통신을 요청한 단말에 단말간 통신을 제한할 것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통신을 제한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는, 단말간 통신을 요청한 단말에 단말간 통신을 제한할 것인지 판별하는 판별부와, 통신을 제한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하며, 결정된 제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등록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단말에 의해 단말간 통신을 운용하는 방법은,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로부터 수신한 단말간 통신에 대한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상기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한 사유 정보 또는 제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제한 조건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한 조건 성립 시 등록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를 포함시켜 상기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한 조건이 성립하지 않거나 상기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은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면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단말간 통신이 불법적 서비스 또는 비정상적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아울러,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여, 단말간 통신이 불법적 서비스 또는 비정상적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간 통신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중에 이용되는 등록 제한 요청 신호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중에 이용되는 등록 제한 응답 신호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중에 이용되는 등록 요청 신호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에서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조건 판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간 통신 절차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시스템(10)은 제1 단말(110), 제2 단말(120), 기지국(130), 응용프로그램 서버(140), 검증 서버(150), 가입자 정보 서버(160),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 1에는 총 2개의 단말(110, 12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나 제3 단말, 제3 단말, …, 제N 단말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들을 대상으로 하여 단말간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은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하거나 LTE나 LTE-A 또는 IMT-2020 등의 무선접속망을 이용하여 단말간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각종 휴대형 통신 단말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기지국(130)은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에 대해 통신 중에 이동성을 보장하며, 단말간 통신을 위해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에게 업링크(uplink) 자원과 타이밍(timing) 정보 등을 할당하여 준다.
응용프로그램 서버(140)는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을 포함하여 기지국(130)에 연결된 단말들에게 각종 이동통신 응용서비스를 제공한다.
검증 서버(150)는 단말간 통신 중에서 불법적 서비스 및/또는 비정상적 서비스를 필터링하기 위한 유해 문자열을 수집하며, 수집된 유해 문자열을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에게 제공한다. 또, 검증 서버(150)는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로부터 단말간 통신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서비스 정보와 사전에 미리 등록된 서비스 정보를 비교하여 위조/변조 여부를 검증한다. 이러한, 검증 서버(150)는 위조/변조 여부의 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필요할 경우에는 가입자 정보 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단말 정보를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에게 전송하여 통신 제한을 요구한다. 또한, 검증 서버(150)는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에 대응하여 사전에 미리 등록된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유해등급을 판정하며, 판정된 유해등급에 대한 정보를 단말 정보와 함께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는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면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는 판별부(210), 등록 제한부(220), 정보 저장부(230), 정보 비교부(240), 서비스 등록부(250)를 포함한다.
판별부(210)는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는지를 판별한다. 이러한 판별부(210)는 검증 서버(도 1의 도면부호 150)로부터 단말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단말에 대한 통신 제한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등록 제한부(220)는 판별부(210)에 의해 통신 제한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별되면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등록 제한 요청 신호는 해당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을 나타내는 제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 제한부(220)는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와 매칭하여 제한 시간을 할당할 수 있으며, 제한 사유에 따라 가변하여 할당할 수 있다. 또,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는 해당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제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 구분자는 일 예로, 단말에 단말 간 통신이 제한되어야 할 경우에는 1, 허여되는 경우에는 0을 가질 수 있다.
정보 저장부(230)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예, 제한 구분자에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값이 할당된) 등록 제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등록 제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해당 단말의 단말식별정보를 블랙리스트로 저장한다.
정보 비교부(240)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의 단말식별정보가 블랙리스트로 기 저장된 단말의 단말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
서비스 등록부(250)는 단말간 통신에 대한 등록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또는 그 값, 이하 동일)에 따라 서비스 등록을 거절하거나 허여한다. 이러한 서비스 등록부(250)는 정보 비교부(240)에 의해 비교되는 블랙리스트의 단말식별정보와 등록 요청된 단말의 단말식별정보가 일치하면 해당 단말의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간 통신 절차의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은, 검증 서버가 제1 단말 및/또는 제2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필요할 경우에 해당 단말 정보를 전송하여 통신 제한을 요구하는 단계(S301 내지 S321)를 포함한다.
그리고, 검증 서버로부터 단말 정보가 전송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323)를 더 포함한다.
이어서, 해당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S32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한 시간은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와 매칭하여 할당하거나 제한 사유에 따라 가변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제한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별되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제한 시간 정보 및 단말간 통신을 제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S327)를 더 포함한다.
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제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의 단말식별정보를 블랙리스트로 저장하는 단계(S329 내지 S333)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단말은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경우, 등록 제한 응답 신호에 단말식별정보 포함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한 구분자의 포함 여부, 값에 따라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제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에서 단말이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조건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에 의해 단말간 통신을 운용하는 방법은, 단말간 통신에 대한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701)를 포함한다.
이어서,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한 사유 정보 또는 제한 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제한 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S703, S70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한 사유와 매칭되어 자동 할당된 제한 시간이나 제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제한 시간과 비교하여, 현재 시간이 제한 시간 이내이면 제한 조건이 성립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 시간은 제한 사유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판정의 결과가 제한 조건이 성립하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70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등록 요청 신호에는 단말간 통신을 제한 시간만큼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의 단말식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반대로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또는 판정의 결과가 제한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은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709)를 더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간 통신 절차의 흐름도로서,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한 구분자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은, 단말이 변경되거나 단말 정보가 변경된 상태(구체적인 예는 후술한다.)에서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의 단말식별정보가 블랙리스트로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S335 내지 S339)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에서는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한 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제한 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정하며(S335), 판정의 결과가 제한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336), 판정의 결과가 제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미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37).
다음으로, 비교된 블랙리스트의 단말식별정보와 등록 요청된 단말의 단말식별정보가 일치하면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거절하는 단계(S341, S343)를 더 포함한다.
반면에, 비교된 블랙리스트의 단말식별정보와 등록 요청된 단말의 단말식별정보가 불일치하거나 등록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허여하는 단계(S345)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간 통신 과정을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검증 서버(150)는 단말간 통신 중에서 불법적 서비스 및/또는 비정상적 서비스를 필터링하기 위한 유해 문자열을 수집하며, 수집된 유해 문자열을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에게 제공한다(S301, S303).
그러면,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은 검증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유해 문자열을 이용하여 유해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S305, S307), 단말간 통신 중에 익스프레션(expression) 정보를 유해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유해 문자열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유해 서비스를 검출한다(S309, S311). 여기서,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은 유해 서비스로 판명된 단말간 통신을 차단하여 해당 서비스의 화면 및/또는 정보가 해당 단말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에 의한 유해 서비스 검출 및 차단에도 불구하고 익스프레션 정보가 위조 및/또는 변조 처리된 경우에는 불법적 서비스 및/또는 비정상적 서비스가 필터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라면 불법적 서비스 및/또는 비정상적 서비스의 화면 및/또는 정보가 해당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은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해당 서비스 정보를 검증 서버(150)에게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게 된다(S313, S315).
그러면, 검증 서버(150)는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로부터 단말간 통신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며, 가입자 정보 서버(160)로부터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의 가입자 정보를 수신한다(S317). 이때, 검증 서버(150)가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은 왜곡된 가입자 정보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검증 서버(150)는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와 사전에 미리 등록된 서비스 정보를 비교하여 익스프레션 정보의 위조/변조 여부를 검증한다(S319). 이때, 검증 서버(150)는 위조/변조 여부의 검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익스프레션 정보가 위조 또는 변조된 것으로 판별되면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며, 가입자 정보 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단말 정보, 즉 익스프레션 정보가 위조 또는 변조된 단말의 식별정보를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에게 전송하여 통신 제한을 요구한다(S321).
다음으로,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의 판별부(210)는 검증 서버(150)로부터 단말 정보가 전송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는지를 판별한다(S323).
이어서, 등록 제한부(220)는 통신 제한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별된 해당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이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한 시간은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와 매칭되어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로는 인증에 실패한 경우, 메시지 구분 ID가 존재하지 않는 값일 경우, 허용 응용프로그램이 아닌 경우, 메시지 포맷이 상이한 경우, 반복적 접속 시도인 경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제한 사유는 예를 들어 각각 0 내지 25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드 값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와 제한 시간이 테이블 형태로 기 저장된 상태라면, 제한 사유가 어떤 코드 값을 가지느냐에 따라 대응하는 제한 시간이 자동으로 할당되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등록 제한부(220)는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를 기초로 하여 유해등급을 판정하며, 판정된 유해등급에 따라 제한 시간을 가변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한 사유가 인증에 실패한 경우이거나 반복적 접속 시도인 경우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접근일 경우에는 여타의 제한 사유들보다 유해등급을 높게 판정하며, 이렇게 유해등급이 높게 판정될 경우에는 여타의 제한 사유들보다 제한 시간을 상대적으로 더 길게 결정할 수 있다(S325).
아울러, 등록 제한부(220)는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한다(S327). 도 3에는 제1 단말(110)과 제2 단말(120) 중에서 제2 단말(110)에게 등록 제한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때, 등록 제한부(22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도 4에 예시하였다.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등록 제한 요청 신호(400)에는 해당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409) 정보가 포함된다. 단계 S325에서 결정된 제한 시간이 포함되는 것이다. 또, 등록 제한 요청 신호(400)에는 해당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제한 시간(409)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4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등록 제한 요청 신호(400)에는 메시지 구분 ID(401)와 등록 ID(403) 및 제한 사유(4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로부터 등록 제한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한 해당 단말은 등록 제한 응답 신호를 회신하며(S329), 단계 S327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한 시간 동안 단말간 통신을 등록하거나 처리하지 않는 휴지시간을 가진다(S331). 이때, 제2 단말(12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등록 제한 응답 신호를 도 5에 예시하였다.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등록 제한 응답 신호(500)에는 메시지 구분 ID(501)와 제한 구분자(503)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등록 제한 응답 신호(500)에는 단말식별정보인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505)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제한 구분자의 포함 여부 또는 그 값에 따라 등록 제한 응답 신호(500)에 MAC 주소(505)를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정보 저장부(230)는 제한 구분자(503)가 포함된 등록 제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등록 제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해당 단말의 단말식별정보, 즉 MAC 주소(505)를 블랙리스트로 저장한다(S333).
한편, 단말 간 통신이 제한 단말의 사용자가 단말을 변경하거나 단말 정보를 변경하여 단말 간 통신을 시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120)은 단말간 통신을 이용하기 위하여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정보를 수정하여 단말간 통신을 재시도할 수 있다. 기기변경 서비스나 번호변경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중점적으로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단말(120)에 의해 등록 요청 신호가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에게 전송되기 전, 제2 단말(120)에서는 기 설정된 서비스 등록 제한 조건에 만족되는지를 판정하며(S335), 판정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를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에게 전송(S336)하거나 등록 요청 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등록 요청 신호를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에게 전송하게 된다(S337). 예컨대, 제2 단말(120)에서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에게 전송되는 등록 요청 신호(600)에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한 구분자(607)와 제2 단말(120)의 단말식별정보로서 MAC 주소(609)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등록 요청 신호(600)에는 메시지 구분 ID(601), 단말 ID(603), 무선랜 링크 ID(6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 단말(120)에 의한 등록 요청 신호의 전송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2 단말(120)은 단계 S327에서 수신된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예컨대, 도 4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400)의 제한 구분자(407)에 제한 여부를 표시하는 값이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701).
그리고, 제2 단말(120)은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한 사유 정보 또는 제한 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기 설정된 제한 조건이 만족하는지를 판정한다(S703, S705).
예컨대, 도 4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400)에 제한 시간(409)이 포함되어 전송된 경우라면, 제2 단말(120)은 현재 시간이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한 시간 이내인지를 판정하여 제한 조건이 성립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400)에 제한 시간(409)은 포함되지 않고 제한 사유(405)가 포함된 경우라면, 제2 단말(120)은 제한 사유 정보에 따라 제한 시간을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로는 인증에 실패한 경우, 메시지 구분 ID가 존재하지 않는 값일 경우, 허용 응용프로그램이 아닌 경우, 메시지 포맷이 상이한 경우, 반복적 접속 시도인 경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제한 사유는 예를 들어, 각각 0 내지 25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드 값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와 제한 시간이 테이블 형태로 기 저장된 상태라면, 제한 사유가 어떤 코드 값을 가지느냐에 따라 대응하는 제한 시간이 자동으로 할당되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120)은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를 기초로 하여 유해등급을 판정하며, 판정된 유해등급에 따라 제한 시간을 가변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한 사유가 인증에 실패한 경우이거나 반복적 접속 시도인 경우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접근일 경우에는 여타의 제한 사유들보다 유해등급을 높게 판정하며, 이렇게 유해등급이 높게 판정될 경우에는 여타의 제한 사유들보다 제한 시간을 상대적으로 더 길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말(120)은 단계 S705의 판정의 결과가 제한 조건이 성립되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예컨대, 도 6의 등록 요청 신호(600)의 제한 구분자(607)를 정정하여 저장하며, 제2 단말(120)의 단말식별정보로서 MAC 주소(609)를 추가할 수 있다(S707).
아울러, 제2 단말(120)은 단계 S703에서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은 것이 판정되거나 단계 S705에서 제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은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예컨대, 도 6의 등록 요청 신호(600)의 제한 구분자(607)를 정정할 수 있다(S709).
이후,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는 단말이 변경되거나 단말 정보가 변경된 경우를 판별하여 단말간 통신 허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200)의 정보 비교부(240)는 제한 구분자(607)가 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600)가 수신되면 수신된 등록 요청 신호(600)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인 MAC 주소(609)가 블랙리스트로 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인 MAC 주소(505)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한다(S339).
그리고, 서비스 등록부(250)는 정보 비교부(240)에 의해 단계 S341에서 비교되는 단말식별정보인 MAC 주소(505)와 MAC 주소(609)가 일치하면, 즉 등록 요청 신호(600)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가 블랙리스트에 존재하는 경우(S341)에는 해당 단말이 불법적 서비스 및/또는 비정상적 서비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단말의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거절한다. 따라서, 제2 단말(120)이 기기변경 서비스나 번호변경 서비스를 이용하여 IMSI 정보를 수정한 후에 단말간 통신을 재시도하더라도 여전히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은 거절된다(S343).
반면에, 서비스 등록부(250)는 정보 비교부(240)에 의해 단계 S341에서 비교되는 단말식별정보인 MAC 주소(505)와 MAC 주소(609)가 불일치하면, 즉 등록 요청 신호(600)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가 블랙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허여한다(S345).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면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단말간 통신이 불법적 서비스 또는 비정상적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아울러,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여, 단말간 통신이 불법적 서비스 또는 비정상적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이 요구되면 단말간 통신의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단말간 통신이 불법적 서비스 또는 비정상적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LTE, LTE-A, IMT-2020 등의 이동통신 자원을 이용하는 단말간(DEVICE-TO-DEVICE, D2D) 통신에 적용할 수 있다.
10 : 단말간 통신 시스템 110 : 제1 단말
120 : 제2 단말 130 : 기지국
140 : 응용프로그램 서버 150 : 검증 서버
160 : 가입자 정보 서버 200 :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
210 : 판별부 220 : 등록 제한부
230 : 정보 저장부 240 : 정보 비교부
250 : 서비스 등록부

Claims (13)

  1.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가 단말간 통신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 통신을 요청한 단말에 단말간 통신을 제한할 것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통신을 제한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시간은 상기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와 매칭되어 할당되고, 상기 제한 사유에 따라 가변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는, 상기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상기 제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더 포함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단말 변경 또는 단말 정보 변경 후 단말로부터 단말간 통신에 대한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상기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한 구분자에 따라 서비스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등록 제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6. 단말간 통신을 요청한 단말에 단말간 통신을 제한할 것인지 판별하는 판별부와,
    통신을 제한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을 지정하는 제한 시간을 결정하며, 결정된 제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제한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등록 제한부를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시간은 상기 단말간 통신에 대한 제한 사유와 매칭되어 할당되고, 상기 제한 사유에 따라 가변되는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는, 상기 단말이 단말간 통신을 상기 제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더 포함되는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간 통신에 대한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상기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제한 구분자에 따라 서비스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제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등록 제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된 단말식별정보를 비교하는 정보 비교부와,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단말간 통신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거절하는 서비스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
  11. 단말에 의해 단말간 통신을 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로부터 수신한 단말간 통신에 대한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상기 단말간 통신을 사용할 수 없는 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한 구분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한 사유 정보 또는 제한 시간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제한 조건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한 조건 성립 시 등록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를 포함시켜 상기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한 조건이 성립하지 않거나 상기 등록 제한 요청 신호에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한 구분자가 포함되지 않은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단말간 통신 운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현재 시간이 상기 제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제한 시간 이내인지를 판정하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조건 성립 시, 등록 요청 신호에 상기 단말의 단말식별정보를 더 포함시키는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KR1020150114619A 2015-08-13 2015-08-13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70020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619A KR20170020003A (ko) 2015-08-13 2015-08-13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619A KR20170020003A (ko) 2015-08-13 2015-08-13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003A true KR20170020003A (ko) 2017-02-22

Family

ID=5831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619A KR20170020003A (ko) 2015-08-13 2015-08-13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00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079A (ko) 2012-12-06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기반 단말간 직접통신의 디스커버리와 통신 자원 설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079A (ko) 2012-12-06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기반 단말간 직접통신의 디스커버리와 통신 자원 설정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6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ellular network for sim profile
US109389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ghtweight-machine-to-machine device registration and assignment
CN109246688B (zh) 设备接入方法、设备及系统
WO2019062384A1 (zh) 一种公网用户接入专网的实现方法及设备
CN104244227A (zh) 一种物联网系统中终端接入认证的方法及装置
US20180192264A1 (en) Open Access Points for Emergency Calls
CN105072613A (zh) 一种无线网络系统及无线网络接入方法
CN109937608B (zh) 从传感器装置采集传感器数据的方法和系统
US10257702B2 (en) Validating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in mobile networks
CN108141758A (zh) 无连接的数据传输
US20160088477A1 (en) Coordinator and device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115583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sioning a node in a wireless network
CN113747479A (zh) 获取网络资源的方法、设备及系统
CN105792166B (zh) 邻近请求方法、邻近请求验证方法、服务器及网络实体
JP2015517747A (ja) モバイル装置の認証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9986402B2 (en) Commandeering wireless access points during emergencies
KR20200068101A (ko) 비정상 iot 단말을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00150071A1 (en) Radio network system
KR20170020003A (ko) 단말간 통신 운용 방법 및 장치
CN112703772A (zh) 用于共享网络中的无线资源控制管理的系统和方法
CN102196435A (zh) 家庭基站接入到接入网关的方法及系统
CN109451484B (zh) 一种apn自动配置方法及系统
CN115706997A (zh) 授权验证的方法及装置
CN103582078A (zh) 一种机器类通信的接入控制方法及装置
US11381562B2 (en) Detection of a user equipment type related to access, services authorization and/or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