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198A - Method for measurement of degree of degradation of fuel cell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measurement of degree of degradation of fuel cel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198A
KR20170019198A KR1020150113292A KR20150113292A KR20170019198A KR 20170019198 A KR20170019198 A KR 20170019198A KR 1020150113292 A KR1020150113292 A KR 1020150113292A KR 20150113292 A KR20150113292 A KR 20150113292A KR 20170019198 A KR20170019198 A KR 2017001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blower
flow rate
stop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4189B1 (en
Inventor
이용희
김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189B1/en
Publication of KR2017001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79Failure or abnormal function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fuel cell sys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s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a step of driving a fuel cell vehicle; a blower stopping step for stopping an operation of a blower driven to supply air to a fuel cell while the fuel cell vehicle is not on the move; and a step of sensing a moment at which the flux exists by means of a flux sensor disposed between a cathode and an end of an air inlet while the operation of the blower is halted.

Description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Method for measurement of degree of degradation of fuel cell system}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easuring degradation of a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연료전지 시스템이 탑재된 연료 전지 차량에서는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를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연료전지 스택에 의해 생산된 전기로 전기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을 구동시킨다.In a fuel cell vehicle equipped with a fuel cell system, hydrogen used as fuel is supplied to the fuel cell stack to produce electricity, and an electric furnace electric motor produced by the fuel cell stack is operated to drive the vehicle.

연료전지 스택은 연료전지 자동차의 주 에너지원인 전기를 생산하는 일종의 발전장치로서, 전극막 어셈블리를 사이에 두고 수소가 공급되는 연료극과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극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공기중의 산소와 외부에서 공급된 수소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한다.The fuel cell stack is a type of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produces electricity that is a main energy source of a fuel cell vehicle. The fuel cell stack has a structure in which a fuel electrode to which hydrogen is supplied and an air electrode to which air is supplied are stacked with an electrode film assembly therebetween. It refers to a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chemically reacting hydrogen supplied from the outside.

따라서,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 중, 전기에너지의 생성을 위하여 고순도의 수소가 연료전지의 연료극(anode)으로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에어블로워와 같은 공기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대기중의 공기가 직접 연료전지의 공기극(cathode)으로 공급된다.Therefor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hydrogen of high purity is supplied to the anode of the fuel cell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and at the same time, air in the ai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anode of the fuel cell by using an air- Is supplied to the cathode of the fuel cell.

그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된 수소가 연료극(anode)의 촉매에서 수소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고, 분리된 수소이온은 전해질 막을 통해 공기극(cathode)으로 넘어가게 되며, 연이어 공기극에 공급된 산소는 외부도선을 통해 공기극으로 들어온 전자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면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As a result, the hydrogen supplied to the fuel cell stack is separated into hydrogen ions and electrons in the catalyst of the anode, the separated hydrogen ions are passed through the electrolyte membrane to the cathode, and oxygen supplied to the air electrode It combines with the electrons that enter the air electrode through the external lead to generate water and generate electrical energy.

한편 연료전지는 구동 조건 등에 따라 열화가 발생하고 이는 연료전지의 성능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열료전지의 열화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fuel cell deteriorates due to driving conditions and the like, which greatly affects the performance and safety of the fuel ce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heat batter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일반적인 주행 상황에서 연료전지 차량의 열화를 측정하는 것이다.First, it measures the deterioration of the fuel cell vehicle under normal driving conditions.

둘째, 별도의 측정 장비 없이 기존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다.Second, the existing fuel cell system is used without any additional measuring equipmen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은, 연료전지차량이 주행하는 단계; 연료전지차량의 정차 중, 연료전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블로워의 작동을 중단하는 블로워 스탑 단계; 및 블로워 작동 정지 중 캐소드와 공기입구단 사이에 배치된 유량센서가 유량이 발생하는 때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a fuel cell vehicle traveling; A blower stop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driving to supply air to the fuel cell during a stop of the fuel cell vehicle; And a flow senso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ir inlet end during blower shutdown to sense when the flow occu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은, 연료전지차량이 주행하는 단계; 연료전지차량의 정차 중, 수소를 애노드에 공급하고, 연료전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블로워의 작동을 중단하는 블로워 스탑 단계; 및 캐소드와 공기입구단 사이에 배치된 유량센서가 수소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lso, the method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running a fuel cell vehicle; A blower stop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or supplying hydrogen to the anode and for supplying air to the fuel cell during the stop of the fuel cell vehicle; And a flow senso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ir inlet end sensing hydrogen movement.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일반적인 주행 상황에서 연료전지 차량의 열화를 측정할 수 있다.First, deterioration of the fuel cell vehicle can be measured in a normal driving situation.

둘째, 별도의 측정 장비 없이 기존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Second, existing fuel cell systems can be used without additional measuring equipm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다른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의 이해를 돕기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block diagram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helping an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다른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block diagram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연료전지시스템은 크게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스택),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시스템, 스택에 전기화학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중의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시스템, 스택의 반응열을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스택의 운전온도를 제어하는 열 및 물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fuel cell system mainly includes a fuel cell (stack)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a fuel supply system for supplying fuel (hydrogen) to the stack, An air supply system that supplies oxygen, and a heat and water management system that removes the heat of reaction from the stack outside the system and controls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stack.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료전지시스템에서는 연료인 수소와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 생시키고, 반응부산물로 열과 물을 배출하게 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in the fuel cell system, electricity is generated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hydrogen as fuel and oxygen in the air, and heat and water are discharged as reaction byproducts.

스택에서는 수소가 양극(Anode, “연료극”이라고도 함)으로 공급되고, 산소(공기)는 음극(Cathode, “공기극” 혹은 “산소극”이라고도 함)으로 공급된다. 양극으로 공급된 수소는 전해질막의 양쪽에 구성된 전극층의 촉매에 의해 수소이온(Proton, H+)과 전자 (Electron, e-)로 분해되고, 이 중 수소이온(Proton, H+)만이 선택적으로 양이온교환막인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음극으로 전달되며, 동시에 전자(Electron, e-)는 도체인 기체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12))과 분리판(10)(Separator)을 통하여 음극으로 전달된다.In the stack, hydrogen is supplied to the anode (also referred to as "anode"), and oxygen (air) is supplied to the cathode (also referred to as cathode) or oxygen electrode. Hydrogen supplied to the anode is decomposed into hydrogen ions (Proton, H +) and electrons (Electron, e-) by the catalyst of the electrode lay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lyte membrane. Only hydrogen ions (Proton, H +) are selectively converted into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the electrons are transmitted to the cathode through a gas diffusion layer (GDL 12) and a separator 10 (separator), which are conductors.

음극에서는 전해질막을 통하여 공급된 수소이온과 분리판(10)을 통하여 전달된 전자가 공기공급기에 의해 음극으로 공급된 공기중의 산소와 만나서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일으킨다.In the cathode, the hydrogen ions supplied through the electrolyte membrane and the electrons transferred through the separator plate 10 meet with oxygen in the air supplied to the cathode by the air supplier to generate water.

이때 일어나는 수소이온의 이동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외부 도선을 통한 전자의 흐름으로 전류가 생성되고, 아울러 물 생성 반응에서 열도 부수적으로 발생하게 된다.The current is generated by the flow of the electrons through the external conductor genera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hydrogen ions occurring at this time, and the heat is incidentally generated in the water production reaction.

이러한 고체 고분자 전해질형 스택의 전극반응을 나타내면 아래의 반응식과 같다. The electrode reaction of the solid polymer electrolyte type stack is shown in the following reaction formula.

[연료극에서의 반응] 2H2 → 4H+ + 4e- [Reaction at the anode] 2H2? 4H + + 4e-

[공기극에서의 반응] O2 + 4H+ + 4e- → 2H2O [Reaction in air electrode] O2 + 4H + + 4e-? 2H2O

[전체반응] 2H2 + O2 → 2H2O + 전기에너지 + 열에너지 [Total reaction] 2H2 + O2 → 2H2O + electric energy + thermal energy

수소입구단은 수소탱크와 연결되어 애노드(7)에 수소를 공급한다. The hydrogen inlet end is connected to the hydrogen tank to supply hydrogen to the anode (7).

블로워(10)는 공기입구단(2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캐소드(3)에 공기를 주입한다. The blower 10 sucks air from the air inlet end 20 and injects air into the cathode 3.

캐소드(3)는 블로워(10)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받아들이고 수소이온과 반응 후 남은 공기는 공기출구단(30)으로 배출한다.The cathode (3) receives fresh air from the blower (10), and the air remaining after reacting with the hydrogen ions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end (30).

제어부(50)는 타이머(70)와 연결되어 시간을 측정한다. 제어부(50)는 블로워(10)와 연결되어 캐소드(3)에 대한 공기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유량센서(40)와 연결되어 공기입구단(20)과 캐소드(3)를 연결하는 유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한다. 제어부(50)는 정차감지부(60)와 연결되어 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정차감지부(60)는 브레이크답력센서 이거나 차속센서일 수 있다.The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the timer 70 to measure time. The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the blower 10 to control the air supply to the cathode 3. The controller 50 is connected to the flow sensor 40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air inlet end 20 and the cathode 3. The control unit 50 is connected to the charge sensing unit 60 to sense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For example, the acceleration sensing portion 60 may be a brake pedal sensor or a vehicle speed sensor.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은, 연료전지차량이 주행하는 단계(S1); 연료전지차량의 정차 중,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블로워(10)의 작동을 중단하는 블로워(10) 스탑 단계(S2); 및 블로워(10) 작동 정지 중 캐소드(3)와 공기입구단(20) 사이에 배치된 유량센서(40)가 유량이 발생하는 때를 감지하는 단계(S5)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method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 of running a fuel cell vehicle; A step (S2) of a blower (10)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0) driving to supply air to the stack during a stop of the fuel cell vehicle; And a flow sensor (40)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3) and the air inlet end (20) during operation of the blower (10) to detect when the flow occu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은, 블로워(10) 스탑 단계(S2) 후 캐소드(3)와 공기입구단(20) 사이에 배치된 유량센서(40)가 유량이 0인 때를 감지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은, 유량이 0인 때를 시작으로 시간을 카운팅 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은, 유량이 발생하는 때를 감지하면 유량이 0인때부터 유량이 발생하는 때 까지의 시간인 누출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은, 누출시간을 기초로 열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열화도를 판단하는 단계(S7)는, 누출시간이 짧을수록 열화 정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유량이 발생하는 때를 감지하는 단계(S5)는, 스택의 멤브래인을 통과한 수소분자의 유량 발생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블로워(10) 스탑 단계(S2)는 차량의 정차 중에 수행된다. 블로워(10) 스탑 단계(S2)는 수소를 애노드(7)에 공급하며 수행된다. 블로워(10) 스탑 단계(S2)는 공기입구단(20)과 공기출구단(30)을 개방한 상태에서 수행된다. The method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sensor 40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3 and the air inlet end 20 after the step 10 of the blow- (S3) when it is zero.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4 of counting time starting from when the flow rate is zero. A method of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a leak time from a flow rate of 0 to a flow rate when a flow rate is detected, . The method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terioration degree based on the leakage time.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terioration degree (S7),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horter the leak time, the higher the degree of deterioration. The step S5 of sensing when a flow rate occurs may be to sense the occurrence of a flow rate of hydrogen molecules passing through the membrane of the stack. The blow step (10) stop step S2 is performed during stoppage of the vehicle. The blower 10 stop step S2 is performed by supplying hydrogen to the anode 7. The blower 10 stopping step S2 is carried out with the air inlet end 20 and the air outlet end 30 op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은, 연료전지차량이 주행하는 단계(S1); 연료전지차량의 정차 중, 수소를 애노드(7)에 공급하고, 스택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블로워(10)의 작동을 중단하는 블로워(10) 스탑 단계(S2); 및 캐소드(3)와 공기입구단(20) 사이에 배치된 유량센서(40)가 수소이동을 감지(S5)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measuring deterioration of a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 of running a fuel cell vehicle; A step (S2) of a blower (10)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0), which supplies hydrogen to the anode (7) and supplies air to the stack, during a stoppage of the fuel cell vehicle; And a flow sensor 40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3 and the air inlet end 20 sensing (S5) the hydrogen movement.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의 이해를 돕기위한 개념도로서, 도4a는 연료전지 차량의 주행 중 스택 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4b는 연료전지 차량의 정차 중 스택 내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4c는 도4b의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한 경우 스택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FIG. 4A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tack during running of the fuel cell vehicle, FIG. 4B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uel cell vehicle is stopped FIG. 4C shows the inside of the stack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passed in the state of FIG. 4B. FIG.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50)는 차량의 주행 중, 캐소드(3)에는 공기를 공급하고 애노드(7)에는 수소를 공급한다. 제어부(50)는 차량의 주행 중 블로워(10)를 구동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effect of the fuel ce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ontrol unit 50 supplies air to the cathode 3 and hydrogen to the anode 7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50 drives the blower 10 during running of the vehicle.

제어부(50)는 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답력센서에 의해 차량이 정차여부를 판단하거나, 차속센서를 통해 차량의 정차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50)는 차량이 정차 중이라고 판단하면 애노드(7)로 수소 공급은 지속하지만 공기 공급은 중단하기 위해 블로워(10)의 구동을 정지한다. 한편 공기입구단(20)과 공기출구단(30)은 개방상태를 유지한다.The control unit 50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or not.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by the brake pedal sensor or whether the vehicle is stopped by the vehicle speed sensor. When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stationary, the hydrogen supply to the anode 7 continues but stops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0 to stop the air supply. While the air inlet end 20 and the air outlet end 30 remain open.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스택의 캐소드(3) 측은 정압이 발생하고 스택의 애노드(7) 측은 부압이 발생한다. 한편 블로워(10)의 정지로 캐소드(3)와 공기입구단(20) 사이의 유로는 유체의 흐름이 없게 되어 유량이 0이 된다.In such an environment, a positive pressure is generated at the cathode 3 side of the stack and a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t the anode 7 side of the stack. On the other hand, the flow path between the cathode 3 and the air inlet end 20 due to the stop of the blower 10 has no flow of fluid, and the flow rate becomes zero.

제어부(50)는 유량센서(40)에 의한 감지값이 0이 되면 타이머(70)를 통해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The control unit 50 starts measuring the time through the timer 70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flow sensor 40 becomes zero.

분리막(5)이 열화되어 있으면 수소분자는 분리막(5)을 통과하여 캐소드(3) 측으로 넘어온다. 즉 캐소드(3) 측으로 넘어온 수소분자 들에 의해 캐소드(3)와 공기입구단(20) 사이의 유로는 수소가스의 이동으로 인한 유량이 발생한다.If the separation membrane 5 is deteriorated, the hydrogen molecules pass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5 and pass to the cathode 3 side. In other words, the flow path between the cathode 3 and the air inlet end 20 due to the hydrogen molecules passing to the cathode 3 generates a flow rate due to the movement of the hydrogen gas.

유량센서(40)는 유량의 발생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감지값을 전달한다. 제어부(50)는 감지값이 전달되면 타이머(70)를 통해 경과된 시간 즉 누출시간을 확정한다. 누출시간은 유량이 0인 때부터 유량이 발생하는 때 까지 소요된 시간이다. 제어부(50)는 누출시간이 짧을수록 열화 정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flow sensor 40 senses the occurrence of the flow rate and delivers the sensed value to the controller 50.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e elapsed time, that is, the leak time, through the timer 70 when the detection value is transmitted. Leakage time is the time from when the flow rate is zero to when the flow rate occurs. The control unit 50 can determine that the shorter the leak time, the higher the degree of deterior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스택
3: 캐소드
5: 분리막
7: 애노드
10: 블로워
20: 공기입구단
30: 공기출구단
40: 유량센서
50: 제어부
60: 정차감지부
70: 타이머
1: stack
3: Cathode
5: Membrane
7: anode
10: Blower
20: air inlet end
30: air outlet end
40: Flow sensor
50:
60:
70: Timer

Claims (11)

연료전지차량이 주행하는 단계;
연료전지차량의 정차 중, 연료전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블로워의 작동을 중단하는 블로워 스탑 단계; 및
블로워 작동 정지 중 캐소드와 공기입구단 사이에 배치된 유량센서가 유량이 발생하는 때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A step in which the fuel cell vehicle travels;
A blower stop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driving to supply air to the fuel cell during a stop of the fuel cell vehicle; And
And detecting when a flow rate senso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ir inlet end during the blower operation stop generates a flow 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스탑 단계 후 캐소드와 공기입구단 사이에 배치된 유량센서가 유량이 0인 때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when the flow rate senso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ir inlet end after the blower stop step has a flow rate of zero.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이 0인 때를 시작으로 시간을 카운팅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unting time starting from when the flow rate is zero.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이 발생하는 때를 감지하면 상기 유량이 0인때부터 상기 유량이 발생하는 때 까지의 시간인 누출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measuring leakage time, which is a time from when the flow rate is 0 to when the flow rate is generated, when sensing the occurrence of the flow r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시간을 기초로 열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determin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based on the leaking tim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누출시간이 짧을수록 열화 정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includes:
Wherein the deterioration degree of the fuel cell system is determined to be higher when the leakage time is shor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이 발생하는 때를 감지하는 단계는,
연료전지의 분리막을 통과한 수소분자의 유량 발생을 감지하는 것인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ensing when the flow rate occurs comprises: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low rate of hydrogen molecules passing through the separation membrane of the fuel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스탑 단계는 차량의 정차 중에 수행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stop step is performed during a stop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스탑 단계는 수소를 애노드에 공급하며 수행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stop step is performed by supplying hydrogen to the an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스탑 단계는 공기입구단과 공기출구단을 개방한 상태에서 수행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stop step is performed while the air inlet end and the air outlet end are opened.
연료전지차량이 주행하는 단계;
연료전지차량의 정차 중, 수소를 애노드에 공급하고, 연료전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블로워의 작동을 중단하는 블로워 스탑 단계; 및
캐소드와 공기입구단 사이에 배치된 유량센서가 수소이동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열화도 측정 방법.
A step in which the fuel cell vehicle travels;
A blower stop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for supplying hydrogen to the anode and for supplying air to the fuel cell during the stop of the fuel cell vehicle; And
And a flow sensor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ir inlet end sensing hydrogen movement.
KR1020150113292A 2015-08-11 2015-08-11 Method for measurement of degree of degradation of fuel cell system KR101714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92A KR101714189B1 (en) 2015-08-11 2015-08-11 Method for measurement of degree of degradation of fuel ce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292A KR101714189B1 (en) 2015-08-11 2015-08-11 Method for measurement of degree of degradation of fuel cel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98A true KR20170019198A (en) 2017-02-21
KR101714189B1 KR101714189B1 (en) 2017-03-08

Family

ID=5831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292A KR101714189B1 (en) 2015-08-11 2015-08-11 Method for measurement of degree of degradation of fuel cel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18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36A (en) * 1995-07-13 1997-01-28 Toshiba Corp Fuel cell stack diagnostic method
JP2006032098A (en) * 2004-07-15 2006-02-02 Nissan Motor Co Ltd Failure diagnostic apparatus for fuel cell
JP2015072736A (en) * 2013-10-01 2015-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Fuel cel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336A (en) * 1995-07-13 1997-01-28 Toshiba Corp Fuel cell stack diagnostic method
JP2006032098A (en) * 2004-07-15 2006-02-02 Nissan Motor Co Ltd Failure diagnostic apparatus for fuel cell
JP2015072736A (en) * 2013-10-01 2015-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Fuel cel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189B1 (en)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2869B2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for fuel cell system
JP4905182B2 (en) Fuel cell system
JP4905706B2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004503A1 (en) Fuel cell system
US9853311B2 (en) Fuel cell system and fuel cell powered vehicle
US20060286418A1 (en) Fuel cell system for setting predetermined operation state when substitutional value control is impossible
KR20160057978A (en) Fuel cell system
KR10142794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blower of fuel cell vehicle
JP4145641B2 (en) Sensor alternative estimation control device for fuel cell system
JP2007012402A (en) Fuel cell system
JP5899000B2 (en) Method for judging leakage abnormality of fuel cell system
JP2008130442A (en) Fuel cell system
JP5066929B2 (en) Fuel cell system
US6898964B2 (en)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for an air supply system in a fuel cell apparatus
KR101887687B1 (en)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of oxygen and hydrogen in fuel cell system
JP6287011B2 (en) Fuel cell system
KR101714189B1 (en) Method for measurement of degree of degradation of fuel cell system
WO2015136677A1 (en) Fuel cell system
JP7176032B2 (en) fuel cell system
JP2009259519A (en) Fuel cell system and cross leak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JP5172605B2 (en) Fuel cell system and cross leak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147301B2 (en) Fuel cell system
JP2012248522A (en) Fuel cell system
JP2015125911A (en) Fuel cell system
KR20140110141A (en) Method of utilizing power transistor of fuel cell stack diagnosti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