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976A -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 Google Patents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976A
KR20170017976A KR1020170016242A KR20170016242A KR20170017976A KR 20170017976 A KR20170017976 A KR 20170017976A KR 1020170016242 A KR1020170016242 A KR 1020170016242A KR 20170016242 A KR20170016242 A KR 20170016242A KR 20170017976 A KR20170017976 A KR 2017001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sensor
wearable device
snoring
sens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5872B1 (en
Inventor
이진균
Original Assignee
이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균 filed Critical 이진균
Priority to KR102017001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872B1/en
Publication of KR2017001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9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8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attachment to teeth. The wearable device for attachment to tee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wearable device for attachment to teeth that has a tooth attach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form and includes: a snoring sensing sensor coupled with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ment portion and sensing at least one of vibration, oxygen saturation, and sound resulting from snoring; a sensor chip coupled with the snoring sensing sensor, fixed to the tooth attachment portion, and supply electricity to the snoring sensing sensor;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coupled with the sensor chip, fixed to the tooth attachment portion, stor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vibration, oxygen saturation, and sound sensed by the snoring sensing sensor, and transmitting the stored vibration information.

Description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및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본 발명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일반적으로 치아 교정장치 종류에는 메탈(금속) 교정장치, 세라믹 교정장치, MTA 교정장치, 클리피씨 교정장치, 데이몬 교정장치 등이 있다.Typical types of orthodontic appliances include metal (metal) orthodontic appliances, ceramic orthodontic appliances, MTA orthodontic appliances, Clippi orthodontic appliances, and daemon orthodontic appliances.

최근 이러한 다양한 치아 교정장치 가운데 투명 교정장치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투명 교정장치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심미성 즉, 교정장치를 착용해도 티가 나지 않는 특징이 있고, 대부분 비발치로 교정이 가능하며, 장치를 환자 스스로 뺐다 끼웠다 할 수 있고, 다른 철사 교정장치에 비하여 교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증이 적다.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choose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among these various orthodontic devices. The most important advantages of 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are that it can not be used for aesthetics, that is, it can not be touched even when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worn, most of it can be calibrated with a nonunion, the device can be removed by the patient himself, There is less pain in the process.

그러나, 환자가 스스로 교정장치를 뺐다 끼웠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 교정장치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만큼 효과가 저하되며, 교정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atient can insert the correcting device by himself or herself, if the correcting device is not properly attached, the effect is lowered, and the calibration period becomes longer.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환자가 제대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 교정장치의 착용 시간을 체크할 수 있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which can check whether or not a patient wears a wearable device for tooth attachment properly and can check the wearing time of 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so a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또한, 환자의 타액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감지 및 기록하여 이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는 치아용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that can detect and record biometric information from a patient's saliva and transmit it to a remote location by storing it as dat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환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생체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for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as data and transmitting the stored data.

또한, 상기 센서부는, 환자의 혀 또는 잇몸에 접촉되거나 구강 내부에 노출되고, 타액 또는 체온을 감지하여 환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헤드와, 상기 센서 헤드와 결합되는 센서칩을 포함한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sensor head contacting the tongue or gum of the patient, being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sensing the saliva or body temperature and sen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a sensor chip coupled with the sensor head.

또한, 상기 센서 헤드에는 적어도 열전소자, 압전소자, 화학물질 검출소자, 마커 센서 가운데 어느 하나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nsor head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thermoelectric element, a piezoelectric element, a chemical detection element, and a marker sensor.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환자의 생체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patien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s data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remotely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또한,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한다.The data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어도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원격 전송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is provided as a display device for at least a desktop, a notebook, a smart phone, and a remote transmission to display the data.

또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타액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일부분이 소수성 코팅막으로 코팅 처리 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coated with a hydrophobic coating film at least partially so as not to be deformed by the saliv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치아의 치형에 대응되는 치아 부착부가 형성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부의 일 면에 결합되고, 구강 내에 노출되어 환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 헤드; 및 상기 센서 헤드에서 감지된 체온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 부착부가 치아에 부착된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를 포함한다.The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tooth corresponding to a tooth profile of a tooth. The wearable device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ment part, Sensing sensor head; And a tim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time at which the tooth attaching unit is attached to the tooth using the body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or head.

또한, 상기 센서 헤드에는 열전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소자는 기설정된 온도에서만 전기를 발생하며,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는 상기 시간 측정부에 제공될 수 있다.The sensor head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generate electricity only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provided to the time measurement unit.

또한, 상기 센서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 헤드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칩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chip further includes a sensor chip coupled to the sensor head and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The sensor chip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상기 치아 부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헤드에서 감지된 환자의 체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체온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센서 헤드에서 감지한 환자의 체온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controller provided in the tooth attaching portion, for storing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head and transmitting the store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wherei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control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head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as data,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remotely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또한,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어도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원격 전송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may be provided as a display device for at least a desktop, a notebook, a smart phone, and a remote transmission to display the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치아의 치형에 대응되는 치아 부착부가 형성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부의 일 면에 결합되고, 구강 내에 노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환자의 타액과 접촉하여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헤드; 및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 헤드에서 감지된 환자의 타액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타액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tooth corresponding to a tooth profile of a tooth. The wearable device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ment part, A sensor head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contact with saliva;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which is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stores the saliva information of the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head, and transmits the stored saliva information.

또한, 상기 센서 헤드에는 화학물질 검출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화학물질 검출소자는 적어도 타액 속에서 글루코스를 감지하여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거나, 호로몬의 양, 종류, 변화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head may be provided with a chemical detecting element, and 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may detect glucose in at least saliva fluid, measure blood sugar of the patient, or measure at least one of the amount, type and change of the hormone .

또한, 상기 센서 헤드에는 화학물질 검출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화학물질 검출소자는 구강 내부의 구취를 측정할 수 있다.Further, the sensor head is provided with a chemical detecting element, and 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can measure bad breath inside the oral cavity.

또한, 상기 센서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 헤드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칩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상기 센서 헤드로 공급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further includes a sensor chip coupled to the sensor head and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wherein the sensor chip is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To the sensor head.

또한, 상기 센서 헤드는 치아, 잇몸, 구강 내부의 피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 접촉되고, 혈압, 심전도, 맥박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head may contact at least one of the teeth within the teeth, the gums, and the oral cavity, and may measure at least one of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and pulse.

또한,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또한, 상기 치아 부착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센서 헤드 근처에 구비되며 환자의 타액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액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tooth attach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aliv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ensor head and formed in a bowl shape capable of receiving a patient's saliv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치아의 치형에 대응되는 치아 부착부가 형성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부의 일 면에 결합되고, 치아와 상기 치아 부착부가 맞물리는 힘을 감지하는 센서 헤드; 및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 헤드에서 감지된 힘의 크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힘의 크기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that has a tooth attach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profile of a tooth.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tooth- A sensor head for sensing the sensor;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which is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and stores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force sensed by the sensor head and transmits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stored magnitude.

또한, 상기 센서 헤드에는 압전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압전소자는 치아의 윗면과 상기 치아 부착부가 맞물리는 힘을 감지하여 적어도 환자의 이갈이 여부 및 교합력을 기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head is provided with a piezoelectric element,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senses a force with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and the tooth attaching portion are engaged, thereby recording at least the patient's irregularity and the occlusal force.

또한, 상기 센서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 헤드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이 더 포함되고, 상기 센서칩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상기 센서 헤드로 공급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further includes a sensor chip coupled to the sensor head, the sensor chip being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and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wherein the sensor chip is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To the sensor head.

또한, 상기 압전소자에 압력이 가해지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한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Also, a battery may be provided in which electric energy is generated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ic energy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stored.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치아 부착부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tooth attachment unit.

또한,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적어도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원격 전송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may be provided as a display device for at least a desktop, a notebook, a smart phone, and a remote transmission to display the dat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치아의 치형에 대응되는 치아 부착부가 형성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부의 일 면에 구비되고, 혀에 의하여 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패널이 구비되는 터치 센서;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터치 센서를 누르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tooth having a tooth attach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profile of a tooth.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A touch sensor provided with the touch panel; And a transmitter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and transmitting a signal when the touch sensor is pressed.

또한, 상기 송신부는 컴퓨터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의 커서는 상기 터치 센서에 접촉되는 혀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transmits a signal to the computer, and the cursor of the computer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ongue contacting the touch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는, 치아의 표면에 고정되는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치아의 일 부분에 부착되는 교정 브라켓; 상기 교정 브라켓에 구비되고, 적어도 구강 내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타액과 접촉하여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헤드; 상기 센서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교정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 헤드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 상기 센서칩과 결합되고, 상기 교정 브라켓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헤드에서 감지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ing device for fixing a tooth to be fixed to a surface of a tooth, the sensing device comprising: a calibration bracket attached to at least one portion of the teeth; A sensor head provided in the calibration bracket and exposed at least into the oral cavity to contact the patient's saliva to sense biometric information; A sensor chip coupled to the sensor head and provided in the calibration bracket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coupled to the sensor chip for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detected by the sensor head and transmitt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stored patient to the calibration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는, 치조골 또는 잇몸에 고정되는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치조골 또는 잇몸에 이식되는 미니 스크류; 상기 미니 스크류에 구비되고, 구강 내에 노출되어 환자의 타액에 접촉하여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헤드; 상기 센서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미니 스크류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 헤드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 및 상기 센서칩과 결합되고, 상기 미니 스크류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 헤드에서 감지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ing device for fixing a tooth fixed to an alveolar bone or a gum, comprising: at least a miniscrew implanted into the alveolar bone or the gum; A sensor head provided in the mini screw and exposed to the oral cavity to contact the patient's saliva to sense biometric information; A sensor chip coupled to the sensor head and fixed to the miniscrew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coupled to the sensor chip,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being fixed to the miniscrew,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head, and transmit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stored patient.

또한, 상기 미니 스크류는, 치주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센서 헤드가 결합되어 환자의 타액을 감지하는 미니 스크류 헤드와, 상기 미니 스크류 헤드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치주 내부로 삽입되어 치조골에 고정되는 미니 스크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niscrew includes a miniscrew head protruding from the periodontal surface and coupled to the sensor head to sense a saliva of a patient, a miniscrew head detachably coupled to the miniscrew head, and inserted into the periodontal bone and fixed to the alveolar bone Mini-screw bodi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치아의 일 부분에만 부착이 가능하며, 치아의 치형에 대응되는 치아 부착부가 형성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부의 일 면에 결합되고, 구강 내에 노출되어 환자의 타액 또는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 헤드; 상기 센서 헤드와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 헤드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 및 상기 센서칩과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 헤드에서 감지된 환자의 타액 정보 또는 체온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환자의 타액 정보 또는 체온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arable device for a dental attachment, which is attachable to only one portion of a tooth and has a tooth attaching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profile of a tooth, A sensor head which is exposed in the oral cavity to sense saliva or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A sensor chip coupled to the sensor head and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which is coupled to the sensor chip and is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art and stores saliva information or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head and transmits saliva information or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tored patient .

또한, 상기 치아 부착부의 가운데 일 부분은 치아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a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may have a cut-out portion to expose the teet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치아의 치형에 대응되는 치아 부착부가 형성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부의 일 면에 결합되고, 코골이에 의한 진동, 산소 포화도, 소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코골이 감지 센서;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와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어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 및 상기 센서칩과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 산소 포화도, 소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wherein a tooth attach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profile of a tooth is formed.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vibration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ment portion, A snoring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the sounds; A sensor chip coupled to the snoring sensor and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noring sensor;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which is coupled to the sensor chip and is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art and stores at least one of vibration, oxygen saturation, and sound sensed by the snoring sensor, and transmits the stored information .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noring sensor, and a data transmitter for remotely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또한,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또한,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는 코와 성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 호흡 시 발생하는 산소 포화도, 코골이 시에 발생하는 소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noring sensor can sense at least one of the vibration occurring between the nose and the vocal cords, the oxygen saturation occurring during breathing, and the sound generated during snoring.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가 투명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투명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어 환자가 자발적으로 투명 교정장치를 일정 시간 이상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tient wears 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the time during which 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is worn can be measured, so that the patient can voluntarily wear 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또한, 의사가 실시간으로 환자의 치아 교정 상태 확인과 생체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검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hysician can check the patient's orthodontic condition in real time and perform various tests using biometric information.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장치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can confirm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wearable device for tooth attachment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센서 헤드에 열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센서 헤드에 화학물질 검출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센서 헤드에 압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진동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터치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치아 일부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통신 제어부로부터 원격으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at a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in a sensor head of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the chemical sensor is provided in the sensor head of the wearable apparatus for attaching the lower teet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at a piez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in a sensor head of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a vibration sensor is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touch sensor provided in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tooth to a part of a tooth of a pati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ensing device for fixing teeth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a sensing device for fixing teeth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ensing device for fixing teeth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rm of transfer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patient remotely from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of 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differently by adding, modifying and deleting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가 투명 교정 장치인 것을 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가 투명 교정 장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이나 교정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치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본 발명의 대상이 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wearable devices C1 and C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of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earable devices (C1, C2) for tooth attachment are described as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ransparent materials and orthodontic appliances. Any device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eeth It can be an object of.

투명 교정 장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특수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수 강화 플라스틱 재질은 일반 플라스틱보다 강도가 크고 매우 가벼우며, 마모성이 작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치아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투명한 특수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경우 교정장치를 착용하고 있어도 티가 나지 않기 때문에 심미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may be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a special reinforced plastic material. Special reinforced plastic material is stronger than general plastic, very light, and has a small abrasion resistance, so that it can be easily deforme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addition, when formed of a transparent special reinforced plastic,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esthetics is excellent because a tent is not produced even when a correcting device is wor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는 센서부(10)와, 통신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는 상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와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로 나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wearable device C1 or C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10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FIG. More specifically, the wearable devices C1 and C2 for dental attachment can be divided into a wearable device C1 for upper tooth attachment and a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센서부(10)는 환자의 혀 또는 잇몸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에 형성된 치아 부착부(P1, P2)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unit 10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formed on the wearable devices C1 and C2 for the teeth, as a portion contacting the tongue or the gums of the patient.

센서부(10)는 환자의 타액 또는 체온을 감지하여 환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헤드(11)와, 센서 헤드(11)와 결합되는 센서칩(1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헤드(11)는 후술될 열전소자(11a), 압전소자(11b), 화학물질 검출소자(11c), 마커 센서(미도시) 가운데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nsor unit 10 may include a sensor head 11 that senses the saliva or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and can detect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a sensor chip 12 that is coupled to the sensor head 11. The sensor head 11 may include any one of a thermoelectric element 11a, a piezoelectric element 11b, a chemical detection element 11c, and a marker sensor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특히, 센서부(10) 가운데 센서 헤드(11)는 치아 부착부(P1, P2)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환자의 타액 등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일부분이 소수성 코팅막으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반면에, 센서칩(12)과, 후술될 통신 제어부(20)는 치아 부착부(P1, P2)에 내장되어 코팅되므로 타액으로부터 완벽히 차단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sensor head 11 of the sensor unit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a part of the sensor head 11 can be coated with the hydrophobic coating film so as not to be deformed by the saliva of the patient.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nsor chip 12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are embedded in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and coated, they can be completely blocked from the saliva.

통신 제어부(20)는 센서부(10)에서 감지한 환자의 생체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와, 데이터 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송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송신부(22)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M, M')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모니터링부(M, M')는 데스크탑(PC), 노트북, 스마트폰, 기타 원격 전송 가능한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기타 원격 전송 가능한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문자, 숫자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어떠한 물건이라도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창문 또는 자동차의 앞 유리창 등도 상기 기타 원격 전송 가능한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21 for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unit 10 as data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remotely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1 22). In this case, a monitoring unit M, M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22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monitoring units M and M 'may be desktop (PC), notebook, smart phone, and various other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motely transmitting. The various other remotely transmittable display devices may be anything that can display images, characters, numbers, etc., and may be included in various other remotely transferable display devices, for example, a window or windshield of a car have.

통신 제어부(20)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 내부에 몰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earable device C1 or C2 for molding.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센서부(10) 및 통신 제어부(20)가 여러 치아에 걸쳐서 있쳐서 설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치아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sensor unit 10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may be installed over a plurality of teeth or may be installed in a single tooth.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센서 헤드에 열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at a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in a sensor head of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의 센서 헤드(11)에는 열전소자(11a)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nsor head 11 of the wearable device C2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11a.

보다 상세히, 센서부(10)는 환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치아에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가 착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가 착용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를 착용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가 투명 교정 장치인 경우, 센서부(10) 또는 통신 제어부(20)에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가 치아에 착용된 이후부터 분리될 때까지의 착용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 측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간 측정부는 열전소자(11a)로부터 전기를 제공받는 경우에만 시간을 측정 및 누적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열전소자(11a)는 센서부(10)에서 측정된 온도가 체온과 가까운 대략 35~38℃인 경우에만 전기를 생성하여 상기 시간 측정부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열전소자(11a)가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측정 온도 범위는 착용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0 can sense whether or not the wearable devices C1 and C2 are worn on the teeth by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and can detect that the wearable wearable devices C1 and C2 are worn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wearing time of the wearable wearable devices C1 and C2. When the wearable devices C1 and C2 are 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s, the sensor unit 10 or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is worn on the teeth until the wearable devices C1 and C2 are worn on the teeth A time measuring unit (not shown) for recording time can be provided. The time measuring unit can be set to measure and accumulate time only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a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a can be set so that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 is approximately 35 to 38 Lt; RTI ID = 0.0 > C, < / RTI >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time measurement unit. The measurement temperature range for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a to generate electricity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wearer.

이와 같은 방식으로 투명 교정장치의 착용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투명 교정장치는 환자 마음대로 뺐다가 끼웠다 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의 자발적인 교정장치 착용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투명 교정장치의 경우에는 근본적으로 골격의 형태를 바꾸어야 하는 어린 아이를 제외하고는 어느 연령에서든 시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루에 17시간 이상을 환자가 자발적으로 끼울 수 있어야 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시간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 평균적으로 하루에 17시간 미만으로 나타난다면, 투명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정 치료 기간이 증가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wearing time of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because it is important for the patient to wear the orthodontic appliance in order to improve the orthodontic effect because the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 can be removed and inserted at will. Transparent orthodontic applianc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at any age, except for young children who have to change their skeletal form fundamentally, but they can be corrected by allowing patients to spontaneously fit more than 17 hours a day . For example, if the time measured by the time measuring unit shows an average of less than 17 hours per day,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rthodontic treatment period using the transparent correction apparatus can be increased.

따라서, 센서부(10)는 치아에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를 끼우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환자의 교정 기간 및 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nsor unit 10 can detect the fitting of the wearable devices C1 and C2 to the teeth,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calibration period and the calibration state of the patient.

열전소자(11a)는 치아 부착부(P2)의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환자의 타액과 직접적으로 맞닿을 수 있다. 이 때, 센서부(10)는 타액에 의해 변형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부분이 소수성 코팅막(미도시)으로 코팅 처리 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코팅막은 치아에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a can directly contact the saliva of the patient.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0 may be partially coated with a hydrophobic coating film (not shown)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or failure due to saliva. The hydrophobic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damage the teeth because it is a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teeth.

센서칩(12)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센서 헤드(11)로 공급할 수 있다. 센서칩(12)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가 착용자의 치아에 부착된 상태에서 귀에 결합되는 이어링, 헤드셋, 블루투스 형태의 무선충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를 무선충전장치에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센서칩(12)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The sensor chip 12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not shown)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and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battery may be supplied to the sensor head 11. The sensor chip 12 can be charged wirelessly from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form of an earphone, headset, Bluetooth, which is coupled to the ear with the wearable devices C1, C2 attached to the wearer's teeth. Alternatively, when the wearable devices (C1, C2) for tooth attachment are not used, the battery of the sensor chip (12) can be charged by placing the wearable devices (C1, C2)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센서 헤드에 화학물질 검출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at a chemical detecting element is provided in a sensor head of a wearable apparatus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는 센서 헤드(11)와 센서칩(12)과, 타액 수용부(13)와, 통신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 헤드(11)에는 화학물질 검출소자(11b)가 구비될 수 있다.4, the wearable device C2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head 11, a sensor chip 12, a saliva receiving portion 13, a communication control portion 20 And the sensor head 11 may be provided with a chemical detecting element 11b.

센서 헤드(11)는 치아 부착부(P2)의 일 면에 결합될 수 있고, 구강 내에 노출되어 환자의 타액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화학물질 검출소자(11b)는 타액 속의 여러 가지 성분 가운데 글루코스(glucose)를 감지하여 환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화학물질 검출소자(11b)는 코티졸 호로몬과 같은 각종 호로몬의 양 또는 종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고, 각종 질병의 유뮤를 알 수 있다.The sensor head 11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and may be exposed in the oral cavity to sense the saliva of the patient. More specifically, the chemical detection element 11b can measure blood glucose of a patient by detecting glucose among various components in saliva. In addition, the chemical detection element 11b can measure the amount, kind, change, and the like of various hormones such as cortisol hormone, and can detect the presence of various diseases.

환자의 타액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얻는 것은 표준 혈액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 타액의 경우에는, 약 99%가 수분으로 이루어지나, 나머지 1%로부터 중요한 생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타액으로부터 생물학, 유전학 정보를 비롯하여 질병과 싸우는 데 도움을 주는 물질을 얻어낼 수 있고, 특히 타액의 경우에는 각종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일례로, 혈액검사에서 심장병 위험 지표로 이용되는 특정 단백질을 타액에서도 얻어낼 수 있고, 따라서 혈액 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타액 검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patient's saliva can be a new way to replace standard blood tests. In the case of saliva, about 99% is made of water, and important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remaining 1%. It is possible to obtain materials that help fight diseases, including biology and genetic information from saliva. In particular, saliva has the advantage of collecting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pecific protein, which is used as an index of risk of heart disease, in saliva in a blood test, and thus it is possible to test a level of saliva that can replace a blood test.

타액이 중력에 의하여 구강 하부에 고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타액을 감지하는 센서 헤드(11)의 경우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saliva is generally gathered under the oral cavity by grav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head 11 for detecting the saliva is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C2 for attaching the lower teeth.

센서 헤드(11)에서 감지되는 타액은 침 뿐만 아니라, 치아와 잇몸 사이에서 분비되는 치은 열구액이라는 성분이 될 수 있다. 치은 열구액은 치아와 치은 경계 위에서 배출되는 타액으로서, 특히 상술한 호로몬 관련 측정에 있어서 의학적인 정확성이 침보다 높은 장점이 있다.The saliva sensed by the sensor head 11 may be a component of the gingival sulcus, which is secreted not only between the teeth but between the teeth and the gums.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 is a saliva discharged from the boundary between teeth and gingiva. 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of the related-sex-related gingiva has a merit that the medical accuracy is higher than that of the saliva.

한편, 화학물질 검출소자(11b)는 구강 내부의 구취를 측정할 수 있다. 화학물질 검출소자(11b)는 구취를 측정하기 위한 공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구취를 측정하기 위한 화학물질 검출소자(11b)는 구강 내부의 타액 또는 구강 내부의 공기를 통하여 구취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emical detection element 11b can measure bad breath inside the oral cavity. 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11b can be any known configuration for measuring bad breath, and 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11b for measuring bad breath can measure the degree of bad breath through the saliva in the oral cavity or air in the oral cavity Can be measured.

화학물질 검출소자(11b)는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의 가장 안쪽 치아 부착부(P2) 즉, 가장 안쪽에 위치한 어금니와 맞닿는 치아 부착부(P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의 침샘 가운데 귀밑샘과 턱밑샘이 가장 크며, 상기 귀밑샘과 상기 턱밑샘은 치아 가운데 어금니와 가장 밀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는 아드레날린과 타액의 분비를 늘리고 심장을 빨리 뛰게 만들 수 있다. 이 때, 침샘에서는 침알파아밀라제라는 효소가 분비되는데, 코티졸 호르몬 측정을 통하여 스트레스 진단이 가능하고, 이는 스트레스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11b may be located at the innermost tooth attaching portion P2 of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ing, that is, at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abutting the innermost molars. This is because the parotid gland and the submandibular gland are the largest among the salivary glands of the human being, and the parotid gland and the submolar gland are located most closely to the molars in the teeth. Stress can increase the secretion of adrenaline and saliva and make your heart beat faster. At this time, salivary gland secretes an enzyme called acupunamiamylase, which can be used as an index of stress by measuring cortisol hormone.

센서칩(12)은 센서 헤드(11)와 결합될 수 있고, 하부 치아 부착부(P2)에 고정되어 센서 헤드(1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센서칩(12)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센서 헤드(11)로 공급할 수 있다. 센서칩(12)은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가 착용자의 치아에 부착된 상태에서 귀에 결합되는 이어링, 헤드셋, 블루투스 형태의 무선충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는,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를 무선충전장치에 올려놓음으로써 센서칩(12)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12 can be coupled to the sensor head 11 and fixed to the lower tooth attaching portion P2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11. [ At this time, the sensor chip 12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and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battery can be supplied to the sensor head 11. [ The sensor chip 12 can be charged wirelessly from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form of an earphone, headset, Bluetooth, which is coupled to the ear with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attached to the wearer's teeth. Alternatively, when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is not used, the battery of the sensor chip 12 can be charged by placing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타액 수용부(13)는 치아 부착부(P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환자의 타액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헤드(11)가 타액 수용부(13)에 고인 환자의 타액을 감지할 수 있도록, 타액 수용부(13)는 센서 헤드(11)와 근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saliva receiving portions 13 are formed on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bowl capable of receiving saliva of a patient. The saliva receiving part 1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sensor head 11 so that the sensor head 11 can sense the saliva of the patient in the saliva receiving part 13. [

한편, 센서 헤드(11)는 혈당 이외에도 혈압, 심전도, 맥박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혈압이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헤드(11)는 치아 부착부(P1, P2)로부터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혈압이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헤드(11)는 치아 부착부(P1, P2)로부터 구강 내부로 노출되지 않고, 잇몸 등에 접촉되어 혈압이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공지의 혈압 또는 심전도 측정장치가 센서 헤드(11)에 구비되어 혈압 또는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혈압, 심전도와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헤드(11)의 경우 반드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상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head 11 may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and pulse in addition to blood glucose. The sensor head 11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or electrocardiogram may not be exposed from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In detail, the sensor head 11 for measuring the blood pressure or the electrocardiogram can measure blood pressure and electrocardiogram (ECG) by contact with the gums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from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A known blood pressure or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sensor head 11 to measure blood pressure or electrocardiogram. In the case of the sensor head 11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blood pressure and electrocardiogram, the sensor head 11 is not necessarily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but may be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C1 for upper tooth attachment.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센서 헤드(11)에는 바이오 마커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마커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마커 센서는 타액에 포함된 특정 유전형질을 파악하여 각종 호로몬 지표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종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nsor head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marker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biomarker or the like. The marker sensor can grasp various hormone indices by grasping specific genetic traits included in saliva, thereby diagnosing various diseases.

통신 제어부(20)는 센서 헤드(11)에서 감지한 환자의 타액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와, 데이터 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송신부(22)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M, M')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모니터링부(M, M')는 데스크탑(PC), 노트북, 스마트폰, 기타 원격 전송 가능한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21 for storing saliva information of a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head 11 as data, a data transmission unit 22 for remotely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1, . ≪ / RTI > In this case, a monitoring unit M, M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22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monitoring units M and M 'may be desktop (PC), notebook, smart phone, and various other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motely transmitting.

통신 제어부(20)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 내부에 몰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earable device C1 or C2 for molding.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센서 헤드에 압전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at a piez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in a sensor head of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는 센서 헤드(11)와, 센서칩(12)과, 통신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 헤드(11)에는 압전소자(11c)가 구비될 수 있다.5, a wearable device C2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head 11, a sensor chip 12,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The head 11 may be provided with a piezoelectric element 11c.

센서 헤드(11)는 치아 부착부(P2)의 일 면, 즉 교합면에 결합될 수 있고, 치아와 치아 부착부(P2)가 맞물리는 힘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센서 헤드(11)는 환자의 치아 윗면과 마주보는 치아 부착부(P2)의 교합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가 아랫니에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를 착용하는 경우, 입을 다물 때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힘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와 치아 부착부(P2)가 맞물리는 힘을 감지함으로써 환자의 이갈이 여부와,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힘을 측정하여 치아에 미치는 영향을 체크할 수 있다.The sensor head 11 can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that is, the occlusal surface, and can sense the force of engagement of the tooth and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head 11 is provided on the occlusal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facing the patient's upper surface. When a patient wears a wearable device (C2) for attaching a lower tooth to the lower teeth, the force of engagement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when the mouth is closed can be sensed. Therefore, by sensing the force of engagement between the teeth and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patient is aching or not and the influence of the engagement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on the teeth.

보다 상세히, 센서 헤드(11)에 구비되는 압전소자(11c)의 경우, 센서 헤드(11)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수록 압전소자(11c)에서 발생하는 전기가 증가하므로 압전소자(11c)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이갈이 여부와,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provided in the sensor head 11, a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nsor head 11 increases, the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increases, This is a measure of the strength of the patient's teeth and the force that the upper and lower teeth engage.

또한, 센서 헤드(11)에 의해 환자가 입을 다물 때 맞물리는 힘을 감지하는 것이므로, 센서칩(12)과, 통신 제어부(20)는 치아 부착부(P2)의 윗면이 아닌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or chip 12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because the sensor chip 11 senses the force of engagement when the mouth is closed desirable.

센서 헤드(11)에 압전소자(11c)가 구비될 경우에는, 환자의 턱관절 장애를 판단할 수 있다. 턱관절 장애는 교정 치료 또는 마우스피스 형태의 구강 내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마우스피스에도 이러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턱관절 장애를 치료하는 데 응용될 수 있다.When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is provided in the sensor head 11, it is possible to judge a jaw joint disorder of the patient. It is effective to solve the jaw joint disorder by wearing orthodontic treatment or intraoral device in the form of a mouthpiece. The above-described wearable devices (C1, C2) can be applied to the dental mouthpiece to treat jaw joint disorders.

센서칩(12)은 센서 헤드(11)와 결합될 수 있고, 하부 치아 부착부(P2)에 고정되어 센서 헤드(1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센서칩(12)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센서 헤드(11)로 공급할 수 있다. 센서칩(12)은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가 착용자의 치아에 부착된 상태에서 귀에 결합되는 이어링, 헤드셋, 블루투스 형태의 무선충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 또는,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를 무선충전장치에 올려놓음으로써 상기 센서칩(12)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12 can be coupled to the sensor head 11 and fixed to the lower tooth attaching portion P2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11. [ At this time, the sensor chip 12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and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battery can be supplied to the sensor head 11. [ The sensor chip 12 can be charged wirelessly from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 the form of an earphone, headset, Bluetooth, which is coupled to the ear with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attached to the wearer's teeth. Alternatively, when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is not used, the battery of the sensor chip 12 can be charged by placing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또는, 사용자의 저작 압력 에너지에 의하여 압전소자(11c)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는 센서부(10) 및 통신 제어부(20)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압전소자(11c)는 압전소자(11c)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이갈이 여부와,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힘을 측정하거나, 또는 이러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센서부(10) 및 통신 제어부(20) 등의 다른 구성요소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in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by the user's applying pressure energy can be stored in the battery, and thus the energy stored in the battery drives the sensor unit 10,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and the like Can be used. Therefore,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measures the state of the patient's irregularity and the force with which the upper and lower teeth are engaged by us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or stores the electric energy It is possible to provide electrical energy to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sensor unit 10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

통신 제어부(20)는 센서 헤드(11)에서 감지한 치아와 치아 부착부(P2) 사이의 맞물리는 힘의 크기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와, 데이터 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송신부(22)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M, M')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모니터링부(M, M')는 데스크탑(PC), 노트북, 스마트폰, 기타 원격 전송 가능한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21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the engaging force between the teeth sensed by the sensor head 11 and the tooth attaching unit P2, And a data transmitting unit 22 for transmitting the stored data remotely. In this case, a monitoring unit M, M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22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monitoring units M and M 'may be desktop (PC), notebook, smart phone, and various other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motely transmitting.

통신 제어부(20)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 내부에 몰딩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earable device C1 or C2 for molding.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진동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at a vibration sensor is provided in the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는 진동 센서(11d)와, 센서칩(12)과, 통신 제어부(20) 및 모니터링부(M)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wearable device C1 or C2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sensor 11d, a sensor chip 12,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and a monitoring unit M, . ≪ / RTI >

진동 센서(11d)는 치아 부착부(P1, P2)의 일 면에 결합될 수 있고, 코골이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진동 센서(11d)는 코와 성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기도가 좁아져 숨을 쉴 때 공기가 유동하면서 목젖이나 입천장 등에 마찰, 진동을 일으키면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센서(11d)는 기도를 통한 공기의 유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수면 중 코골이가 발생하는 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진동 센서(11d)를 코골이 감지 센서로 포괄적으로 칭할 수 있다. The vibration sensor 11d can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and can sense vibration caused by the snoring. More specifically, the vibration sensor 11d can sense vibration caused by the snoring occurring between the nose and the vocal cords. Generally, the snoring narrows the airway, causing the air to flow while breathing, causing friction or vibration in the neck or palate. Accordingly, the vibration sensor 11d can detect whether snoring occurs during sleep by sensing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ir flows through the airway. The vibration sensor 11d may be generically referred to as a snoring sensor.

센서칩(12)은 진동 센서(11d)와 결합될 수 있고, 치아 부착부(P1, P2)에 고정되어 진동 센서(11d)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12 can be combined with the vibration sensor 11d and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vibration sensor 11d.

통신 제어부(20)는 센서칩(12)과 결합될 수 있고, 치아 부착부(P1, P2)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can be coupled to the sensor chip 12 and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통신 제어부(20)는 진동 센서(11d)에 의해 감지된 진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진동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may store the vibra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vibration sensor 11d and transmit the stored vibration information.

통신 제어부(20)는 진동 센서(11d)에서 감지한 진동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와, 데이터 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송신부(22)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M)가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21 for storing vibra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vibration sensor 11d as data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22 for remotely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1 can do. In this case, a monitoring unit M capable of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22 may be included.

다시 말해, 진동 센서(11d)는 코와 성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코골이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고, 모니터링부(M)로 송신된 진동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코골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vibration sensor 11d senses the vibration caused by the snoring occurring between the nose and the vocal cords, and displays the vib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unit M to determine whether the snoring is present.

또한, 코골이에 의하여 진동을 감지하는 방법 이외에, 환자의 호흡 시 발생하는 산소의 포화도 또는 코골이 시에 발생하는 소리를 체크할 수 있다. 산소 포화도를 감지하는 경우, 진동 센서 대신 산소포화도 감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소리를 감지하는 경우, 진동 센서 대신 소리 감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detecting the vibration by the snoring,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egree of saturation of the oxygen occurring during the breathing of the patient or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snoring occurs. When detecting the oxygen saturation, an oxygen saturation detecting sensor may be used instead of the vibration sensor, and in the case of detecting sound, a sound detecting sensor may be used instead of the vibration sensor.

산소포화도는 평균값보다 낮을 경우 산소부족으로 인하여 코골이,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수면 장애뿐만 아니라 뇌졸중, 심장마비와 같은 질병을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사람이 코를 고는 경우에는 코를 골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구강 내부에서 감지되는 산소의 포화도가 감소하므로 산소의 포화도를 감지하여 코골이 여부 및 코골이의 심한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When oxygen saturation is lower than the average value, oxygen deficiency may be an indicator for not only sleep disorders such as snoring and sleep apnea but also diseases such as stroke and heart attack. When a person noses his / her nose, the degree of saturation of oxygen in the oral cavity is reduced compared to when the nose is not used, so that the degree of saturation of oxygen and the severity of the snoring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또한, 사람이 코골이 하는 경우에 소리가 발생하므로, 소리의 발생 여부 및 소리의 크기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포화도 감지센서 및 소리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산호 포화도 및 소리 정보는 모니터링부(M)로 송부될 수 있고, 이를 정보를 바탕으로 코골이 여부 및 그 심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sound is generated when a person snores, it is possible to monitor in real time whether or not a sound is generated and the magnitude of the sound. The coronation degree and soun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xygen saturation level sensor and the sound level sensor can be sent to the monitoring unit M,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noring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터치 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touch sensor provided in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는 터치 센서(T)와, 센서칩(12)과, 송신부(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wearable device C2 for attaching a lower tooth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sensor T, a sensor chip 12, and a transmitter 30.

터치 센서(T)는 치아 부착부(P2)의 일 면에 결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패널(T1, T2)이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T may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ouch panels T1 and T2.

일례로, 터치 센서(T)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T1, T2)이 구비되는 마우스와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고, 두 개의 터치 패널(T1, T2) 가운데 어느 하나의 터치 패널을 누르면 송신부(30)에서 신호를 컴퓨터, TV, 냉장고, 세탁기, 보일러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uch sensor T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mouse provided with at least two touch panels T1 and T2, and when the touch panel of one of the two touch panels T1 and T2 is pressed, 30, the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 computer, a TV,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boiler, or the like.

센서칩(12)은 터치 센서(T)와 결합될 수 있고, 치아 부착부(P2)에 고정되어 터치 센서(T)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12 may be coupled to the touch sensor T and may be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touch sensor T. [

송신부(30)는 센서칩(12)과 결합될 수 있고, 치아 부착부(P2)에 고정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T1, T2)을 누르면 신호를 컴퓨터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30 can be coupled to the sensor chip 12 and can be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art P2 and can transmit a signal to a computer or the like when the touch panel T1 or T2 is pressed.

일례로, 터치 센서(T)는 사람의 혀가 닿는 부분이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의 가운데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touch sensor T is a portion of the wearer's tongue contacting the human's tongu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touch sensor 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 의한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를 착용한 사람은 혀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T1, T2)을 눌러서 컴퓨터의 커서를 클릭할 수 있고, 커서를 모니터 상에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를 착용한 사람은 혀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T1, T2)을 눌러서 TV, 냉장고, 세탁기, 보일러 등의 전원을 켜거나. 이들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여 이들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를 착용한 사람은 혀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T1, T2)을 눌러서 TV의 전원을 켜거나, 채널을 선택할 수 있고, 냉장고의 전원을 켜거나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보일러의 전원을 켜거나 보일러의 작동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A person wearing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lick the cursor of the computer by pressing the touch panels T1 and T2 using the tongue and move the cursor on the monitor. A person wearing a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uses a tongue to press the touch panel (T1, T2) to turn on the power of the TV,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boiler, These devices can be operated by transmitting signals to these devices. For example, a wearer wearing the wearable device C2 for lower tooth attachment can press the touch panel T1 or T2 using the tongue to turn on the power of the TV or select the channel, and turn on the power of the refrigerator, You can als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turn on the boiler or adjust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boiler.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환자의 치아 일부에 부착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for attaching a tooth to a part of a tooth of a patien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3)는 센서부(10)와, 통신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wearable device C3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unit 10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0033] FIG.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일 면이 절개된 절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40 having one side cut out.

센서부(10)의 센서 헤드(11)에는 열전소자(11a) 또는 화학물질 검출소자(11b)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센서 헤드(11)에는 압전소자(11c)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형성된 절개부(40)로 인해 치아와 치아 부착부(P2)가 맞물리는 힘을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The sensor head 11 of the sensor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11a or a chemical detection element 11b.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head 11 is not provided with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This i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force with which the tooth and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2 are engaged due to the cut portion 40 formed in the wearable device for tooth attachment.

센서 헤드(11)는 치아 부착부(P3)의 일 면에 결합될 수 있고, 구강 내에 노출되어 환자의 타액 또는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head 11 can b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3 and can be exposed in the oral cavity to sense saliva or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센서칩(12)은 센서 헤드(11)와 결합될 수 있고, 치아 부착부(P3)에 고정되어 센서 헤드(1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12 can be coupled to the sensor head 11 and can be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P3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11. [

통신 제어부(20)는 센서칩(12)과 결합되고, 치아 부착부(P3)에 고정될 수 있으며, 센서 헤드(11)에서 감지된 환자의 타액 정보 또는 체온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환자의 타액 정보 또는 체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chip 12 and may be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unit P3 to store saliva information or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patient detected by the sensor head 11, Information or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3)는 모든 치아에 착용하지 않고, 원하는 부분의 치아에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금니 부분에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3)를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3)는 도 7에 도시된 크기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C3 for tooth attachmen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worn only on a tooth of a desired portion without wearing it on all teeth.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wearable device C3 for dental attachment can be worn on the molar portion. The wearable device C3 for tooth attachment is not limited to the size and shape shown in Fig. 7,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other forms.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 sensing apparatus for fixing teeth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a sensing apparatus for fixing teeth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는 치아에 고정되는 플라스틱 교정 브라켓(B)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sensor for fixing teeth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lastic calibration bracket B fixed to teeth.

플라스틱 교정 브라켓(B)에도 상술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 C3)에 구비된 센서 헤드(11)와, 센서칩(12)과, 통신 제어부(20) 등이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sensor head 11, the sensor chip 12,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wearable wearable devices C1, C2, and C3 for the dental attachment bracket B can be applied to the plastic calibration bracket B in the same manner .

다만, 투명 교정 장치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가 아니므로, 체온을 감지하여 플라스틱 교정 브라켓을 착용한 시간을 측정하지 않아도 된다.However, since it is not a removable type such as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it is not necessary to measure the time when the plastic calibration bracket is worn by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는 적어도 치아의 일 부분에 부착되는 교정 브라켓(B)과, 교정 브라켓(B)에 구비되고, 적어도 구강 내부로 노출되어 환자의 타액과 접촉하여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헤드(11)와, 센서 헤드(11)와 결합되고, 교정 브라켓(B)에 구비되어 센서 헤드(11)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12)과, 센서칩(12)과 결합되고, 교정 브라켓(B)에 구비되며, 센서 헤드(12)에서 감지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fixing sensing device comprising a calibration bracket B attached to at least one part of teeth, a sensor head provided in the calibration bracket B and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o contact the patient's saliva, A sensor chip 12 coupled to the sensor head 11 and provided on the calibration bracket B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11; B,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ontroller 20 for s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head 12 and transmitt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stored patient.

여기서, 교정 브라켓(B)에 구비된 센서 헤드(11)에는 화학물질 검출소자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화학물질 검출소자는 적어도 타액 속에서 글루코스를 감지하여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거나, 호로몬의 양, 종류, 변화, 구취, 혈압, 심전도, 맥박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플라스틱 교정 브라켓(B) 하나에 다른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C2, C3)와 마찬가지로 센서 헤드(11)와, 센서칩(12)과, 통신 제어부(20)이 한꺼번에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sensor head 11 provided in the calibration bracket B may be provided with a chemical detecting element. 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senses glucose in at least saliva fluid to measure the blood sugar level of the patient, , Type, change, bad breath,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and pulse. The sensor head 11, the sensor chip 12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can be provided in one piece of the plastic calibration bracket B in the same manner as the other wearable devices C1, C2 and C3 for dental attachment.

센서 헤드(11)는, 센서 헤드(11)에 구비된 소자의 종류에 따라 플라스틱 교정 브라켓(B)으로부터 노출될 수도 있고,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일례로, 환자의 타액을 통하여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센서 헤드(11)는 구강 내부로 노출될 수 있고, 센서 헤드(11)에는 화학물질 검출소자(11b)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nsor head 11 may be exposed from the plastic calibration bracket B depending on the type of element provided in the sensor head 11 or may be built in. For example, when biometric information is sensed through the saliva of the patient, the sensor head 11 may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and the sensor head 11 may be provided with the chemical detection element 11b.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ensing device for fixing teeth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는 플라스틱 교정 브라켓(미도시)과 고무줄(미도시)로 연결되어 원치 않는 교정 치아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니 스크류(S)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an apparatus for fixing teeth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ni-screw (not shown) connected to a plastic calibration bracket (not shown) by a rubber band (not shown) S).

미니 스크류(S)는 환자의 잇몸 즉, 치주를 관통하여 치조골에 고정될 수 있다. 미니 스크류(S)는 치주의 외부로 노출되는 미니 스크류 헤드(S1)와, 치주 내부로 삽입되는 미니 스크류 바디(S2)로 구분할 수 있다. 미니 스크류 헤드(S1)는 미니 스크류 바디(S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miniscrew S can be fixed to the alveolar bone through the patient's gums, that is, the periodontal ligament. The miniscrew S can be divided into a miniscrew head S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riodontal and a miniscrew body S2 inserted into the periodontal. The miniscrew head S1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iniscrew body S2.

보다 상세히, 미니 스크류 헤드(S1)에는 센서 헤드(11)와, 센서칩(12)과, 통신 제어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 헤드(11)는 미니 스크류 헤드(S1)에 결합될 수 있고, 환자의 구강 내에 노출되어 타액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센서 헤드(11)는 화학물질 검출소자(11b)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mini-screw head S1 may be provided with the sensor head 11, the sensor chip 12,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20. [ The sensor head 11 can be coupled to the miniscrew head S1 and can be exposed in the patient's mouth to sense saliva.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head 11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11b.

또한, 도 11에서는 센서칩(12)과 통신 제어부(20)가 미니 스크류 헤드(S1)에 포함되어 구강 내로 노출되는 형태이지만, 환자의 타액을 통하여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헤드(11)를 제외하고는 미니 스크류 헤드(S1) 내부에 내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11, the sensor chip 12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are included in the miniscrew head S1 and are exposed to the oral cavity. However, the sensor head 11, which detects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the saliva of the patient, And may be built in the mini screw head S1.

미니 스크류 헤드(S1)에 구비된 센서 헤드(11)에는 화학물질 검출소자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화학물질 검출소자는 적어도 타액 속에서 글루코스를 감지하여 환자의 혈당을 측정하거나, 호로몬의 양, 종류, 변화, 구취, 혈압, 심전도, 맥박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The sensor head 11 provided in the mini-screw head S1 may be provided with a chemical detecting element. 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senses glucose in at least saliva fluid to measure the blood sugar of the patient, And can measur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type, change, bad breath,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m, and pulse.

센서칩(12)은 센서 헤드(11)와 결합될 수 있고, 미니 스크류(S)에 고정되어 센서 헤드(11)로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12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head 11 and may be fixed to the miniscrew S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ensor head 11. [

통신 제어부(20)는 센서칩(12)과 결합될 수 있고, 미니 스크류(S)에 고정되어 센서 헤드(11)에서 감지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can be connected to the sensor chip 12 and can stor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detected by the sensor head 11 fixed to the miniscrew S and transmit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stored patient Can play a role.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의 통신 제어부로부터 원격으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rm of transfer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patient remotely from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of a wearable device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는 데이터 송신부(22)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M, M')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wearable device C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M, M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unit 22.

모니터링부(M, M')는 일례로, 데스크탑(M) 또는 스마트폰(M')일 수 있다. 데스크탑(M) 또는 스마트폰(M')은 각각 상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1) 및 하부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2)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에 구비된 데이터 송신부(22)로부터 원격으로 환자의 생체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s M and M 'may be, for example, a desktop M or a smartphone M'. The desktop M or the smartphone M may be mounted on the wearable device C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upper wearable wearable device C1 and the lower wearable wearable device C2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can be received remotely from the data transmitter 22.

모니터링부(M, M')를 통하여 환자의 윗니와 아랫니 각각의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 착용 시간을 따로 확인할 수 있고, 타액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Through the monitoring part (M, M '),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check the wearing time of the wearable device (C)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atient, and can analyze various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aliv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C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는 센서부(10)와, 통신 제어부(20)를 포함한다.First, the wearable device C for dental attachment includes a sensor unit 10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

센서부(10)의 센서 헤드(11)에는 열전소자(11a), 화학물질 검출소자(11b), 압전소자(11c) 가운데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nsor head 11 of the sensor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a, the chemical detection element 11b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먼저, 열전소자(11a)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센서 헤드(11)가 구강 내에 노출되는 위치에서 환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가 투명 교정 장치인 경우에는, 환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가 치아에 얼마만큼의 시간 동안 착용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고, 착용한 시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하여 향후 교정 방향을 결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만약, 환자가 일정 시간 미만으로 투명 교정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치아에 투명 교정 장치를 착용할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First,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a is provided,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can be sensed at a position where the sensor head 11 is exposed in the oral cavity.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device C for a tooth attachment is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measure how long the wearable device C for the tooth attachment is worn for a period of time by sens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nd used to determine future calibration directions. If the patient wears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for less than a certain amount of time, the user may be informed of the time to wear the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on the tooth.

그 다음에, 화학물질 검출소자(11b)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센서 헤드(11)가 구강 내에 노출되는 위치에서 환자의 타액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타액 속 성분 가운데 글루코스를 감지함으로써, 환자의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Then, when the chemical detecting element 11b is provided, the saliva of the patient can be detec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ensor head 11 is exposed in the oral cavity. In particular, by detecting glucose in the saliva component of the patient, the blood glucose of the patient can be measured.

그 다음에, 압전소자(11c)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센서 헤드(11)는 치아 부착부(P1, P2) 가운데 치아의 윗면과 마주보는 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와 치아 부착부(P1, P2)가 맞물리는 힘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이갈이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Next, when the piezoelectric element 11c is provided, the sensor head 11 can be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facing the top surface of the tooth. Therefore, by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that the teeth and the tooth attaching portions P1 and P2 are engaged with, it is possible to grasp whether or not the patient is galling.

센서칩(12)은 센서 헤드(11)와 결합될 수 있고, 무선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를 센서 헤드(11)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ensor chip 12 may be coupled to the sensor head 11 and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wirelessly. And to supply electricity stored in the battery to the sensor head 11. [

통신 제어부(20)는 센서 헤드(11)에서 감지한 환자의 체온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와, 데이터 저장부(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송신부(22)에서 송신된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M, M')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21 for storing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patient sensed by the sensor head 11 as data, a data transmission unit 22 for remotely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21, . ≪ / RTI > In this case, a monitoring unit (M, M ')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tting unit 22 may be further includ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는 환자의 생체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특히,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가 투명 교정 장치인 경우에는, 치아 교정 상태에 관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C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in particular, when the wearable device C for dental attachment is a transparent correction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C)는 운동선수, 군인과 같은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wearable device C for dental attach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occupational groups such as athletes and soldiers.

10: 센서부 11: 센서 헤드
12: 센서칩 13: 타액 수용부
20: 통신 제어부 21: 데이터 저장부
22: 데이터 송신부 30: 송신부
40: 절개부 100: 투명 교정기 데이터 생성장치
1000: 교정기 제조용 치아 데이터 생성장치
C: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M, M': 모니터링부
S: 미니 스크류
10: sensor part 11: sensor head
12: sensor chip 13: saliva receiving part
20: communication control unit 21: data storage unit
22: Data transmission unit 30: Transmission unit
40: incision section 100: transparent calibrator data generation device
1000: tooth data generation device for manufacturing a calibrator
C: Wearable device for tooth attachment M, M ': Monitoring part
S: miniscrew

Claims (4)

치아의 치형에 대응되는 치아 부착부가 형성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아 부착부의 일 면에 결합되고, 코골이에 의한 진동, 산소 포화도, 소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코골이 감지 센서;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와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어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로 전기를 공급하는 센서칩; 및
상기 센서칩과 결합되고, 상기 치아 부착부에 고정되며,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 산소 포화도, 소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
를 포함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1. A wearable device for a tooth attachment, wherein a tooth attachment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profile of a tooth is formed,
A snoring senso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tooth attaching portion and sensing at least one of vibration, oxygen saturation, and sound caused by the snoring;
A sensor chip coupled to the snoring sensor and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ortion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snoring sensor;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which is coupled to the sensor chip and is fixed to the tooth attaching part and stores at least one of vibration, oxygen saturation, and sound sensed by the snoring sensor, and transmits the stored information;
And a wearer's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원격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comprises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snoring sensor,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for remotely transmitting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부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monitoring unit for display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transmit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 감지 센서는 코와 성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 호흡 시 발생하는 산소 포화도, 코골이 시에 발생하는 소리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noring detection sensor senses at least one of vibration occurring between the nose and the vocal cords, oxygen saturation occurring during breathing, and sound generated during snoring.
KR1020170016242A 2017-02-06 2017-02-06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KR1018258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42A KR101825872B1 (en) 2017-02-06 2017-02-06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42A KR101825872B1 (en) 2017-02-06 2017-02-06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98A Division KR101801444B1 (en) 2015-07-02 2015-07-02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976A true KR20170017976A (en) 2017-02-15
KR101825872B1 KR101825872B1 (en) 2018-02-05

Family

ID=5811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242A KR101825872B1 (en) 2017-02-06 2017-02-06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8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8358A (en) * 2017-08-21 2017-12-15 四川大学 System is rescued in a kind of muscular function training
KR20200117229A (en) * 2019-04-03 2020-10-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Oral wear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9189A2 (en) * 2021-09-21 2023-03-30 Rich Able Bruxism, sleep, and dental health monitoring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3157B2 (en) * 2004-09-24 2009-06-30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ntal appliance compliance indication
JP4264472B2 (en) * 2002-11-22 2009-05-20 達次 西原 Intraoral living body monitor / treatment device
JP2004208766A (en) * 2002-12-27 2004-07-29 Nikkiso Co Ltd Denture-type sugar concentration measuring instru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8358A (en) * 2017-08-21 2017-12-15 四川大学 System is rescued in a kind of muscular function training
CN107468358B (en) * 2017-08-21 2021-04-16 四川大学 System is rescued in flesh function training
KR20200117229A (en) * 2019-04-03 2020-10-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Oral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872B1 (en)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444B1 (en)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US20200093436A1 (en)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EP3656345B1 (en)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US20220096207A1 (en) Sensors for monitoring oral appliances
CN113616362B (en) Intraoral appliance with sensing
CN107518952B (en) Intraoral appliance with sensing
US9974473B2 (en) Swallowing assessment and improv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090210032A1 (en) Manufacturing methods, testing methods, and testers for intra-oral electronically embedded devices
KR101825872B1 (en)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and the sensing device fixing at tooth
CA3122126A1 (en) Sleep monitoring device
CN111685907A (en) Wearable device for tooth attachment and induction device for tooth fixation
KR101822329B1 (en) Wearable apparatus attaching on tooth
CN114432656B (en) Muscle func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precise measurement of perioral muscle strength
CN210158883U (en) Tongue training device
JP2020014770A (en)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9907934A (en) Tongue training aids
Flores-Ramírez et al. Bruxist Activity Monitor System (BAMS): An instrumental approach tool in the assessment of Bruxism
WO2022234145A1 (en) Monito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