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921A - 주파수 호핑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동기화 - Google Patents

주파수 호핑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동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921A
KR20170017921A KR1020167034914A KR20167034914A KR20170017921A KR 20170017921 A KR20170017921 A KR 20170017921A KR 1020167034914 A KR1020167034914 A KR 1020167034914A KR 20167034914 A KR20167034914 A KR 20167034914A KR 20170017921 A KR20170017921 A KR 20170017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hop
frequency
node
carri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796B1 (ko
Inventor
폴 브렌트 라스밴드
크라이그 에반 트리벨피에세
Original Assignee
타이코 파이어 앤 시큐리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파이어 앤 시큐리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이코 파이어 앤 시큐리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1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6Arrangements for sequenc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6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impulse radio
    • H04B1/7183Synchr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서 노드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은, 홉 주파수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노드에 의해 사용중인 제어 채널들의 그룹 상에서 송신되는 홉 공고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홉 공고는 호핑 시퀀스에서 제 1 홉 주파수에 후속하여 활용될 제 2 홉 주파수 채널을 특정한다. 홉 공고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노드는 드웰 시작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홉 주파수를 모니터링한다. 드웰 시작 메시지는, 제 2 홉 주파수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드웰 기간의 시작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코디네이터 노드로부터 송신된다.

Description

주파수 호핑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동기화{NODE SYNCHRONIZATION IN A FREQUENCY HOPPING WIRELESS NETWORK}
[0001] 본 발명의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호핑 방식(frequency hopping scheme)에 따라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0002] 수많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통신 채널들(주파수 대역들)을 한 번에 하나씩 사용하고 미리결정된 시퀀스에 따라 적시에 라디오 주파수 채널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노드들 사이에서의 통신을 허용하는 소위 주파수 호핑 방법들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이 채널 "호핑(hopping)"은 매우 규칙적인 스케줄에 따라서 초당 수 회(예컨대, 3-5회) 발생한다. 각 라디오 주파수 또는 채널에 소비되는 시간은 "드웰 시간(dwell time)" 또는 "드웰 시간 지속기간(dwell time duration)"으로서 정의되고, 이러한 시간 기간의 범위는 통상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0003] 주파수 호핑에서의 이 가치는, 사실상, (1) 그것이 시스템으로 하여금, 환경에서의 전자기적 잡음에 의해 방해될 수 있는 적은 수의 채널들 또는 임의의 하나의 채널 상에서 최소 시간을 소비하도록 허용하고, (2) 그것이 여러 시스템들로 하여금 공존하여 공통 세트의 채널들을 사용하도록 허용하며, 그리고 (3) 그것이 통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 외에도 추가 보안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나, 특정 타입들의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슬립 상태이며 정확한 시간 클록을 유지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의 일 예는, 저비용의 낮은 듀티 사이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에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구현하는데 있어서의 하나의 큰 난제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슬립상태이거나 또는 비활성 상태인) 다양한 노드들이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노드들과의 채널 홉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몇몇 메커니즘 또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타이밍 보정(timing correction)을 달성하기 위해 노드들 사이에서 규칙적인 메시징 없이 이러한 동기화가 유지되는 경우에 특히 어렵게 된다.
[0004]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홉 동기화를 유지하는 문제에 대한 2가지의 일반적인 해결책들이 존재한다. 하나의 접근법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각의 무선 노드가 실시간 클록을 사용하고, 그 클록의 정확도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자주 웨이크 업하도록 요구된다. 이 접근법에 따른 문제점은, 노드가 동기화를 유지할 목적으로 반드시 웨이크 업해야만 하는 빈도가 너무 높을 수 있어서, 그 노드는 그 노드에서 이용가능한 상당한 양의 제한 전력 리소스들을 시간에 걸쳐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접근법은 네트워크에서 무선 노드들의 배터리 수명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적인 접근법은, 비활성 또는 슬립상태 노드가 동기화를 유지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대신에, 특정 노드가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그 특정 노드는 먼저 네트워크를 스캔하여 네트워크의 현재의 액티브 채널을 "다시-찾는다(re-find)". 그러나, 이 네트워크 스캐닝 프로세스는 또한,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내에서 배터리 전원 노드(battery powered node)들의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000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에서 2개 또는 그 초과의 노드들은 통신을 위해 주파수 호핑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법은,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일 세트의 홉 주파수 채널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RF 반송파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호핑 시퀀스의 제 1 RF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호핑 시퀀스의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로의 네트워크 전이 시간 이전에, 홉 공고(hop announcement)는 선택된 그룹의 제어 채널들(즉, 반송파 설정들) 상에서 송신된다. 홉 공고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노드에 의해 송신되고, 제 2 RF 반송파 주파수(예컨대, 시퀀스에서 다음 호핑)를 특정한다. 홉 공고를 송신하고 그것의 채널을 새로운 채널(반송파 주파수)로 변경한 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노드는 드웰 기간의 시작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제 2 RF 주파수 상에서 드웰 시작 메시지를 송신한다. 드웰 기간은, 다음 주파수로 호핑하기 전에, 제 2 RF 주파수가 다양한 노드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기간이다. 드웰 시작 메시지를 송신한 후, 코디네이터 노드는 드웰 기간 동안 청취하여,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노드들 중 하위(subordinate)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드웰 기간의 종료시에, 새로운 세트의 홉 공고 메시지들, 및 새로운 채널 변화, 및 새로운 채널 상에서의 드웰 시작 메시지 송신을 통해 새로운 사이클이 시작된다. 채널 호핑은 이러한 방식으로 무기한으로 진행된다.
[0006] 본 발명은 또한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의 하위 노드에서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위 노드는, 복수의 RF 홉 주파수 채널들 중 임의의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노드에 의해 사용중인 제어 채널들의 그룹 상에서 송신되는 홉 공고를 검출한다. 홉 공고는, 호핑 시퀀스에서 제 1 RF 주파수에 후속하여 활용될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를 특정한다. 홉 공고를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하위 노드는 홉 공고에 의해 특정된 제 2 RF 주파수를 모니터링하도록 자체 내부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어된다. 이 프로세스는, 제 2 RF 주파수 상에서 드웰 시작 메시지를 하위 노드에서 수신함으로써 계속된다. 드웰 시작 메시지는, 제 2 RF 주파수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드웰 기간의 시작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코디네이터 노드로부터 송신된다.
[0007] 실시예들은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동일한 번호들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아이템들을 나타낸다.
[0008] 도 1은 무선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0009] 도 2는 도 1의 무선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에서 코디네이팅 노드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흐름도이다.
[0010] 도 3은 도 1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제어 주파수 그룹핑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주파수 계획이다.
[0011] 도 4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팅 노드의 동작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타이밍 도면이다.
[0012] 도 5는 도 1의 무선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에서 하위 노드에서의 주파수 홉들을 코디네이팅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유용한 흐름도이다.
[0013] 도 6은 도 2-5에 설명된 바와 같이 주파수 홉들을 코디네이팅하기 위한 방법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타이밍 도면이다.
[0014] 도 7은 도 1의 무선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무선 노드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면이다.
[0015]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면들은 실척대로 그려진 것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양상들은 설명을 위해 예시의 응용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수많은 특정 세부사항들, 관계들, 및 방법들이 설명되어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잘-알려진 구조들 또는 동작은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어떤 동작들이 다른 동작들 또는 이벤트와 동시에 그리고/또는 상이한 순서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들 또는 이벤트들의 예시된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예시된 동작들 또는 이벤트들 모두가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0016] 간단하게, 본 발명은 코디네이터 노드 및 복수의 하위 노드들을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이 네트워크는, 일 세트의 홉 주파수 채널들을 통해 네트워크가 호핑하기 때문에, 가변적인(그리고 일반적으로는 매우 짧은) 채널 드웰 시간들을 활용한다. 각각의 홉 이전에,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노드는 더 큰 세트의 홉 주파수 채널들로부터 선택된 채널들의 서브세트 상에서 간단한 홉 공고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된 채널들의 서브세트는 제어 채널들의 세트 또는 그룹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특정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에서, 50개의 홉 주파수 채널들이 제공될 수 있고, 특정 제어 채널 세트는 10개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채널들의 5개의 그룹들이 존재할 것이고, 이들 각각은 10개의 채널들을 갖는다.
[0017] 홉 공고 메시지는, 다음 드웰 시간에 대응하는 홉 반송파 주파수(즉, 채널 번호)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는 공고 메시지에 의해 특정된 새로운 채널 번호로 호핑하고, 드웰 시작 메시지로 지칭되는 제 2 타입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코디네이터 노드는 그것의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양한 노드들 중 임의의 노드로부터의 메시지에 대해 그 새로운 채널을 청취한다. 드웰 기간의 종료시에, 코디네이터는 단계들의 사이클(제어 채널들의 (새로운 및 상이한) 세트 상의 홉 공고 메시지, 다음으로 채널 변화, 다음으로 드웰 시작 메시지, 다음으로 채널 상에서 도달할 수도 있는 임의의 메시지에 대한 간략한 청취)을 다시 거친다.
[0018] 코디네이터 노드가 채널 상에서 그것의 간략한 드웰 시간 동안 다른 노드들 중 하나로부터 메시지의 시작을 듣는다면, 그것은 필요한 경우, 완전한 메시지를 듣고 임의의 요청되는 응답(이를테면, 확인응답 메시지)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만큼 가능한 한 길게 드웰 시간을 연장할 것이다. 코디네이터 노드는 또한 드웰 시간 동안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에 대한 메시지들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된 메시지들의 목적을 위해,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은 홉 공고 및 드웰 시작 메시지들을 프로세싱하는 것에 대한 결과로서, 네트워크 주파수 홉들을 추적(및 이들과 동기화)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러한 가정이 행해질 수 없다면(예컨대, 코디네이터의 아웃바운드 메시지의 의도된 수신자가 슬립상태에 있을 개연성이 아주 높다면), 코디네이터는 자신의 메모리에 메시지를 홀딩할 것이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채널 주파수 호핑을 계속할 것이며, 다음으로 그 이후에 수신 노드가 깨어있는 것으로 안전하게 가정될 수 있을 때(예컨대, 코디네이터가 그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바로 직후에), 코디네이터는 수신 노드에 아웃바운드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노드들로의 메시징 그리고 이러한 노드들로부터의 메시징은, 메시지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메시지 확인응답(즉, 수신-후-응답)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0019] 슬립상태 하위 노드가 부분적으로 비활성 상태로부터 깨어날 때, 그 하위 노드는 공고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홉 주파수 채널들 중 하나를 선택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선택된 홉 주파수 채널은 중요하지 않다. 선택된 홉 주파수 채널이 왜 중요하지 않은지 이해하기 위해, 코디네이터 노드는 특정 홉의 지속기간 동안 제어 채널들로서 순간적으로 지정된 다음 그룹 또는 홉 주파수 채널들의 세트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복하거나 또는 사이클링할 것임을 이해해야만 한다. 각각의 홉에 대해, 코디네이터 노드는, 네트워크가 사용할 다음 또는 후속 홉 주파수 채널을 식별하기 위해 제어 채널들의 그룹상에서 그것의 공고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특정 홉 주파수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하위 노드는, 미리결정된 수의 네트워크 주파수 홉들 이후에 임의의 홉 주파수 채널 상의 공고 메시지를 필연적으로 들을 것이다. 예컨대, 각각 10개의 채널들로 구성된 5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로 조직되는 50개의 홉 주파수 채널들을 갖는 시스템을 가정한다. 네트워크 코디네이터가 각 네트워크 주파수 홉을 갖는 상이한 제어 채널 그룹을 반복적으로 선택하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하위 노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홉 주파수 채널 상에서 홉 공고를 전송하기 전에 5회 이상은 홉핑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어레인지먼트들이 이제 도 1-7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0020] 이제 도 1을 참조로, 코디네이터 노드(104) 및 복수의 하위 노드들(1021, 1022, 1023, ...102n)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100)가 도시된다. 코디네이터 노드들 및 하위 노드들은 주파수 호핑 방법을 사용하여 서로 무선으로 통신한다. 주파수 호핑 방법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일 세트의 홉 채널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RF 반송파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주파수 호핑 시스템들의 기본적인 동작들은 일반적으로 잘 공지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간단하게, 주파수 호핑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노드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디오 반송파 주파수(이하 “홉 주파수”로 지칭됨)는 급격하게 변경된다. 임의의 주어진 모멘트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네트워크에 할당된 다양한 홉 주파수 채널들 중 하나와 연관된 주파수일 것이다. 예시적인 세트의 홉 주파수 채널들이 도 3에 도시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f1-f50으로 식별된 50개의 상이한 홉 주파수 채널들이 존재한다. 각각의 홉 주파수 채널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크(1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특정 홉 주파수에 대응한다. 물론,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수의 홉 주파수 채널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이상의 또는 그 이하의 채널들이 사용될 수 있다.
[0021] 홉 주파수가 변하지 않을 때 홉들 사이의 시간은 드웰 시간 지속기간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되거나 또는 간단하게 드웰 시간으로 지칭된다. 이 드웰 시간 지속기간은, 네트워크 통신들이 특정 주파수 상에서 네트워크의 다양한 노드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시간의 길이이다. 더욱 상세하게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100) 내에서의 드웰 시간 지속기간은 가변적이다.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각각의 후속 네트워크 홉에 할당된 홉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미리결정된 홉 시퀀스에 따라 결정된다. 홉 시퀀스는, 이러한 통신들에 사용될 라디오 주파수들 또는 채널들의 시퀀스를 특정할 것이다. 시퀀스는 의사랜덤 함수에 따라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0022] 네트워크(100)의 각각의 노드는, 네트워크의 현재 홉 주파수가 공지된 경우, 후속 홉 주파수들의 시퀀스를 결정하기 위해 충분한 수단(예컨대, 룩-업 테이블 또는 알고리즘)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노드들(1021, 1022, 1023, ...102n)이 대부분의 시간 동안 슬립 상태인(절전 부분-비활성(power-saving partially-inactive)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 이들은 네트워크(100)의 나머지 부분과의 홉 동기화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정확도로 시간 클록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의 일 예는, 저비용의 낮은 듀티 사이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노드들(1021, 1022, 1023, ...102n)이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들과의 채널 홉 동기화를 유지하게 할 수 있는 몇몇 메커니즘 또는 방법이 유리하게 제공된다.
[0023]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채널 홉 동기화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노드(104) 및 이하에 설명되는 것과 같은 동기화 방법을 사용하여 유지된다.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노드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서 이러한 노드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별히 제공되는 특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갖는 노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위 노드들(1021, 1022, 1023, ...102n)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네트워크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될 때, 코디네이터 노드(104)로서 선택적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노드들의 구성은 도 7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0024] 이제 도 2를 참조로, 네트워크(100) 내의 코디네이터 노드의 동작을 이해하기에 유용한 프로세스(200)가 도시된다. 프로세스(200)는, 주파수 계획인 도 3, 및 타이밍도인 도 4를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된다.
[0025] 프로세스(200)는, 제어 채널 그룹이 현재 채널 홉에 대해 선택되는 단계(204)에서 시작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어 채널 그룹 내의 홉 주파수 채널들은, 공고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코디네이터 노드에 의해 사용될 것들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이용가능한 홉 주파수 채널들(예컨대, 50개 채널들)의 전체 세트는 N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로 분할된다. 도 3에 예시된 예시적인 어레인지먼트에서, 5개 그룹들의 제어 채널들(N=5)로 균등하게 분할된 50개의 홉 주파수 채널들(f1-f50)이 존재한다. 홉 주파수 채널들(f1-f10)은 제어 채널 그룹 1에 포함되고, 홉 주파수 채널들(f11-f20)은 제어 채널 그룹 2에 포함되고, 홉 주파수 채널(f21-f30)은 제어 채널 그룹 3에 포함되고, 홉 주파수 채널들(f31-f40)은 제어 채널 그룹 4에 포함되고, 홉 주파수 채널들(f41-f50)은 제어 채널 그룹 5에 포함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5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 또는 세트들 각각은 10개의 홉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한다. 물론, 각각의 제어 채널 그룹 내의 홉 주파수 채널들의 수는 도 3에 도시된 것들 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을 수 있다. 예컨대, 홉 주파수 채널들의 수는 비교적 적은 수(예컨대, 10 또는 25) 내지 1000 초과의 범위일 수 있다.
[0026] 유사하게, 각각의 제어 채널 그룹에 할당된 홉 주파수 채널들의 수는 특정 시스템 및 그것의 요구조건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채널 그룹 내의 제어 채널들의 수는, 코디네이터 노드(104)가 N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 모두를 통해 사이클링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히 크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제어 그룹에 더 많은 수의 홉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시키는 것은 더 적은 수의 제어 채널 그룹들(이를 통해, 반드시 코디네이터 노드가 사이클링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초래할 것이다. 반대로, 코디네이터 노드(104)의 송신기 제한들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과도하게 많은 수의 홉 주파수 채널들이 각각의 제어 그룹에 포함되면, 그것은 총 네트워크 시간 중 과도한 부분이 제어 채널 메시징에 전용되는 것, 그리고 이에 상응하여 총 네트워크 시간 중 작은 부분이 채널 드웰을 위해 사용되는 것(여기서, 채널 드웰 동안 네트워크는 그것의 애플리케이션-지향 메시징을 수행함)을 초래할 수 있다. N의 값 및 각각의 제어 그룹에 대한 홉 주파수 채널들의 할당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N의 값은 옵션 단계(미도시)에서 코디네이터 노드(104)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0027] 제어 채널 그룹이 204에서 선택되었다면, 코디네이터 노드는 선택된 제어 채널 그룹을 포함하는 전체 제어 채널들 상에서 홉 주파수 공고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단계(206)로 진행한다. 이 단계는, 홉 주파수 공고 메시지(402)가 제어 채널 그룹 1 상에서 송신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 4에 예시된다. 공고 메시지는, 다음 홉 주파수 채널이 f31임을 나타낸다.
[0028] 공고 메시지(402)의 정확한 포맷은, 그것이 후속 홉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홉 주파수 채널에 대한 홉 주파수 채널 번호(또는 등가의 데이터)를 특정하는 경우에는, 중요하지 않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고 메시지(402)는, 공고 메시지가 송신되는 홉 바로 직후의 다음 홉에서 네트워크(100)에 의해 사용될 홉 주파수를 특정할 것이다.
[0029] 홉 주파수 공고 메시지(402)를 송신한 후, 코디네이터 노드는 드웰 시작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208로 진행한다. 드웰 시작 메시지는, 그 홉에 대한 공고 메시지에 사전에 특정된 홉 주파수 채널 상에서 송신된다. 이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 4는 드웰 시작 메시지(404)가 홉 주파수 채널(f31) 상에서 송신되는 것을 도시한다. 채널(f31)이 공고 메시지(402)에 사전에 특정되었던 홉 주파수 채널임에 유의한다. 드웰 시작 메시지의 정확한 포맷은, 그것이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노드(1021, 1022, 1023...102n)로 하여금 그 특정 홉에 대한 드웰 시간 지속기간의 시작을 마킹하도록 허용하기에 충분한 경우, 중요하지 않다.
[0030] 드웰 시작 메시지를 송신한 후, 단계(210)에서의 코디네이터 노드는 특정 홉에 대해 특정된 바와 같은 현재 홉 주파수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디네이터 노드(104)는 드웰 시간 지속기간 동안 홉 주파수 채널을 청취하거나 또는 그 채널 상에서 수신한다. 이러한 개념은, 코디네이터 노드가 드웰 시간(406) 동안 홉 주파수 채널(f31)을 모니터링한다고 도시하는 도 4에 예시된다. 코디네이터 노드는, 네트워크(100)를 포함하는 하위 노드들(1021, 1022, 1023, ...102n) 중 하나로부터 데이터 메시지(예컨대, 데이터 메시지(106))의 출현에 대해 홉 주파수 채널(f31)을 청취한다. 데이터 메시지(106)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메시지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디네이터 노드(104)는, 이용가능한 드웰 시간 지속기간을 사용하여, 본원에 설명된 것과 같은 공고 및 드웰 시작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네트워크(100)와의 주파수 홉 동기화를 유지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하위 노드들에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0031] 코디네이터는 메시지가 홉 채널 상에서 수신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링하고(단계 212), 또한 드웰 시간 인터벌이 만료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시간을 모니터링한다(단계 214). 임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212: 예), 그 메시지는 프로세싱된다(단계 216). 단계(214)의 구현의 예로서, 코디네이터 노드는, 드웰 시작 메시지가 먼저 송신될 때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고, 다음으로 경과 시간(elapsed time)량을 추적할 수 있다. 드웰 시간 지속기간이 만료되지 않았으면(214: 아니오), 프로세스는 특정 주파수 홉에 대한 드웰 시간이 계속되는 단계(210)로 계속된다. 코디네이터는, 드웰 시간 지속기간이 만료된 것으로 결정될 때까지(214: 예), 수신된 메시지들을 계속 체크하고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드웰 시간의 만료를 계속 체크한다. 단계(212)가 단계(214) 이전에 발생하고 예(yes) 조건하에서 단계(216)를 항상 실행하기 때문에, 특정 어레인지먼트 및 단계들(212, 214 및 216)의 시퀀싱의 순수 효과는, 메시지가 나타날 때마다 메시지는 프로세싱되고 채널 드웰에 대한 종료(214: 예)를 선언하기 전에 임의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이 발신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된 것임에 유의한다. 이러한 결과는, 홉 채널 상에서 실제 드웰 시간의 작게-내지는-보통의 연장(small-to-moderate extension)을 초래하지만, 특정 네트워크 노드와의 메시지 교환 도중에 다음 채널로의 홉이 불편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0032] 전술한 어레인지먼트를 통해, 특정 주파수 홉에 대한 드웰 시간의 전체 지속기간은 가변적이다. 이러한 개념은, 드웰 시간(412)이 제 2 드웰 시간(406)과 비교하여 상이한 지속기간을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하는 도 4에 예시된다. 드웰 시간 지속기간에 대한 최소 시간 값은 단계(214)에서 초기에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최소 시간은, 메시지가 코디네이터 노드에서 수신되는지(또는 전송되는지) 적어도 결정하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될 것이다. 그후, 이렇게 최소로 미리결정된 드웰 시간 지속기간이 더 긴 길이 메시징을 수용하도록 자동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변 지속기간 드웰 시간 지속기간 특징은, 어떠한 메시징도 존재하지 않을 때 다음 홉 주파수로의 신속한 전이를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는, 자신의 비활성 상태로부터 막 깨어난 하위 노드(1021, 1022, 1023 ...102n)가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네트워크(100)와 동기화될 것임을 보장한다.
[0033] 예시적인 어레인지먼트에서, 그룹 i가 현재의 홉에 대해 단계(204)에서 선택되면, 그룹(i-1)은 이전의 홉에 대해 사용되었으며, 그룹(i+1)은 다음 홉에 대해 사용될 것이다(i가 5와 동일하면, i+1은 1과 동일함). 모든 홉 주파수 채널들이 각각 단지 한 번 제어 채널 그룹에 포함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각각의 채널이 채널 제어(즉, 채널 홉 이전의 홉 공고들의 송신)에서 동일한 양의 시간 동안 사용될 것임이 참이어야만 한다. 지정된 제어 채널 그룹들을 통해 사이클링하는 것에 대한 이러한 간단한 반복적인 접근법은 대부분의 경우 만족스럽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 제어 채널 그룹을 선택하기 위해 다른 수단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홉 주파수 채널이 채널 제어시에 동일한 양의 시간이 사용될 것임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제어 채널 그룹들의 선택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34] 일 특정 실시예에서, 제어 채널 그룹은 현재 채널 뿐만 아니라 가장 최근에 사용된 홉 채널들(예컨대, 가장 최근의 4개의 채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가 현재 채널 17 상에 있고, 그 이전에 네트워크는 채널 3, 25, 1, 44, 6, 및 34 상에 있었다면(이 순서로, 채널(34)이 채널(17) 바로 직전에 사용됨), 4개의 제어 채널들의 현재 제어 그룹은 17, 34, 6 및 44일 것이다. 채널(17) 드웰로부터 새로운 채널(말하자면, 채널 8)로 호핑하기 바로 직전에, 코디네이터는 이러한 제어 채널들(즉, 17, 34, 6, 및 44) 상에서 홉 공고 메시지를 송신할 것이다. (채널 8 상에서의 드웰 이후에) 다음 사이클 상에서, 제어 그룹은 8, 17, 34, 및 6이 될 것이다(채널(44)은 제어 채널 그룹으로부터 삭제되었음). "제어 채널 그룹을 트레일링하는(trailing control channel group)" 방법은, 하위 노드가 네트워크를 추적하려 시도하고 그것의 현재 채널 상에서 하나 또는 2개의 홉 공고 메시지들을 분실하는 경우, 그것은 그의 현재 채널이 목록에서 빠지기 전에, 홉 공고 메시지를 최종적으로 캐치하는 좋은 기회를 여전히 갖는다는 큰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예에서, 추적 하위 노드의 현재 채널이 제어 채널들의 목록에서 삭제되기 전에 홉 공고의 4번 연속 누락들이 발생할 것이다. 이는, 우수한 제어 채널 사용 효율과 짧은 평균 네트워크 획득 시간으로 매우 강건하고 추적가능한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0035] 단계(206)에서, 코디네이터 노드는 선택된 제어 채널 그룹과 연관된 홉 주파수 채널들 상에서 홉 주파수 공고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컨대, 도 4에서, 홉 주파수 채널(f48)이 다음 홉 주파수임을 특정하는 홉 주파수 공고 메시지(408)를 코디네이터 노드가 송신하는 것이 도시된다. 다음으로, 코디네이터 노드는 홉 주파수 채널(f48) 상에서 드웰 시작 메시지(410)를 송신하고, 그후 홉 주파수 채널(f48) 상의 드웰 시간(412)(이 시간 동안, 메시지들이 수신(또는 송신)될 수 있음)을 송신하고, 그리고 확인응답 메시지(414)로 끝낸다. 그 이후에, 제어 채널 그룹 3이 선택되고, 다음 홉 주파수 채널이 f5임을 공고 메시지가 특정하는 것이 도 4에서 관찰될 수 있다.
[0036] 이전의 논의로부터 그리고 도 3으로부터, 홉 주파수 채널들로부터 다양한 그룹들의 제어 채널들이 선택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제어 채널 그룹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그 초과의 홉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할 것이다. 특정 드웰 시간 동안 공고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제어 채널 그룹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채널들의 그룹들 중 2개 또는 그 초과로부터 선택된다는 점이 더 이해될 것이다. 특정 홉 동안 사용되는 제어 채널 그룹은, 제어 채널들의 그룹들 중 2개 또는 그 초과로부터 반복적으로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예컨대,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0037] 이제 도 5를 참조로, 하위 노드(1021, 1022, 1023...102n)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이해하기에 유용한 흐름도(500)가 제공된다. 프로세스는, 502에서 시작하고, 홉 주파수 채널들 중 하나가 모니터링을 위해 선택되는 단계(504)로 계속된다. 이러한 모니터링의 목적은, 코디네이터 노드(104)로부터 홉 주파수 공고를 청취하는 것이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채널은 채널 제어(즉, 채널 홉 이전에 홉 공고 메시지들의 송신)시에 평균적으로 동일한 양의 시간 동안 사용될 것이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을 위해 하위 노드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홉 주파수는 중요하지 않으며,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모니터링할 채널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홉 주파수 채널은 랜덤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아래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대안적인 수단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0038] 홉 주파수 채널이 단계(504)에서 선택되면, 하위 노드는 선택된 채널 상에서의 송신들을 모니터링하기 시작하여 공고 메시지의 존재를 검출한다. 508에서, 하위 노드는, 공고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체크한다. 만약 수신되지 않았다면(508: 아니오), 하위 노드는 506으로 돌아가고 선택된 홉 주파수 채널 상에서의 모니터링을 계속한다. 단계(510)는, 미리결정된 시간 이후에 선택된 홉 주파수 상에서 어떠한 공고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는 상황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단계(510)는, RF 간섭 또는 다른 통신 조건들이 특정 홉 주파수 채널 상에서 공고 메시지의 수신을 방지하는 이벤트 시에 유용할 수 있다. 타임-아웃 기간이 단계(510)에서 만료된 후, 프로세스는 계속하기 전에 새로운 홉 주파수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단계(504)로 리턴할 수 있다.
[0039] (N개의 홉들을 초과하지 않는) 약간의 시간 이후에, 508에서 공고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결정(508: 예)이 행해질 것이다. 이것이 발생하면, 하위 노드는 단계(510)에서 홉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공고 메시지로부터 추출할 것이고 특정된 홉 주파수 채널로 그것의 수신기를 설정할 것이다. 단계(511)에서, 하위 노드는 알려진 주파수 홉 시퀀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의 현재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해 공고된 홉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위 노드는 네트워크에 대한 홉 시퀀스가 ...f17, f31, f22, f9, f40, f37, f3, f22, f6...임을 특정하는 정보를 저장했으며, 공고 메시지는 다음 홉이 f31임을 특정한다고 가정한다. 다음 홉 주파수 채널을 특정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하위 노드는 또한 공지된 또는 미리결정된 홉 시퀀스에 있는 모든 후속 홉들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고 메시지는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현재의 홉 주파수 채널에 바로 뒤따르는 네트워크 홉 주파수 채널을 특정할 것이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는, 호핑 시퀀스를 통해 하위 노드의 가장 빠른 가능한 동기화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으며, 공고 메시지에 의해 특정된 홉 주파수 채널은 또한 호핑 시퀀스에서 이후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홉들일 수 있다. 이러한 딜레이는, 하위 노드가 공고 메시지를 프로세싱한 후 그것의 수신기를 특정된 홉 주파수 채널로 전이할 충분한 시간을 허용하기에 유용할 수 있다.
[0040] 프로세스는, 하위 노드가 코디네이터 노드로부터 송신된 드웰 시작 메시지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공고된 홉 주파수 채널을 청취하거나 또는 모니터링하는 것을 시작할 512에서 계속할 것이다. 하위 노드는, 드웰 시작 메시지가 수신되었던 시기를 514에서 결정하기 위해 공고된 홉 주파수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할 것이다. 드웰 시작 메시지가 수신될 때(514: 예), 이는 현재 주파수 홉에 대한 드웰 시간 지속기간의 시작을 나타내는, 하위 노드에 대한 타이밍 동기 신호로서 기능할 것이다. 타임-아웃 체크는, 드웰 시작 메시지가 일정 시간 기간 이후에 수신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가 단계(506)로 리턴하도록 야기하는 타임-아웃 체크가 선택적으로 516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506에서 업데이트된 공고 메시지를 하위 노드로 하여금 획득하게 할 것이며, 그후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계속할 것이다.
[0041] 일부 실시예들에서, 드웰 시작 메시지는 생략될 수 있고, 새로운 채널 상에서 드웰링하는 실제 시간은 홉 공고들에 제공된 타이밍 정보에 의해 함축되거나 또는 홉 공고들에 명시적으로 언급될 것임을 인식해야만 한다(예컨대, 드웰은 "x" 밀리초들 단위로 시작하는데, 여기서 "x"는, 모든 홉 공고들의 송신이 완료되고 새로운 채널 드웰이 시작하기 전에 남아있는 시간의 양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각각의 홉 공고에 주어진다).
[0042] 드웰 시작 메시지가 514에서 수신된 후, 프로세스는 데이터 메시지가 하위 노드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단계(518)로 계속될 것이다. 데이터 메시지는 다른 하위 노드들(1021, 1022, 1023, ...102n) 중 하나 또는 코디네이터 노드(104)로 지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시지 데이터는 또한 현재 홉과 연관된 드웰 시간 지속기간 동안 하위 노드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는, 송신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다른 노드로부터의 확인응답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메시지 데이터는 또한 이 시간 동안 선택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0043] 520에서, 메시지가 현재 수신되는 중이거나 송신되는 중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행해진다. 현재 수신되는 중이거나 송신되는 중이라면(520: 예), 드웰 시간 지속기간은 단계(522)에서 미리결정된 양만큼 연장될 것이고, 하위 노드는 518에서 계속해서 수신할 것이다. 어떠한 메시지도 현재 수신되고 있지 않는 중이거나 또는 송신되고 있지 않는 중이라면(520: 아니오), 프로세스는 노드가 자체 비활성 또는 슬립 상태로 리턴할지 여부를 524에서 결정할 것이다. 현재 수신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송신되고 있지 않다면(524: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526)로 계속할 것이고 미리결정된 홉 시퀀스에 따라 다음 홉 주파수로 이동할 것이다. 이러한 단계는 이제, 노드가 홉 시퀀스와 관련하여 네트워크의 현재 포지션을 511에서 확립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홉 주파수 공고 메시지들을 수신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다. 하위 노드가 어떠한 추가적인 메시지들도 갖지 않고 슬립 모드가 적절하다면(524: 예), 프로세스는 단계(528)에서 종료한다.
[0044]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하위 노드들(1021, 1022, 1023, ...102n)은 전력 소모를 제한하기 위해 대부분의 시간 동안 비활성일 수 있거나 또는 슬립-모드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로써, 이러한 노드들은 노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정한 노드 서브-시스템들(이를테면, 라디오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의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위 노드들은, 깨어나서, 오직 데이터 통신 또는 다른 하우스키핑 작업들에 필요한 경우에만 통신들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특정 하위 노드가 활성일 때, 이전에 전력이 차단된 서브-시스템들은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이 시스템은 완전히 다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들에 대한 제어는 온-보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센서가 모니터링되는 환경에서 변동 또는 몇몇 다른 액티비티를 검출할 때, 노드는 전력 공급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0045]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복수의 노드들(1021, 1022, 1023, ...102n)은 몇몇 타입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종종 긴 시간의 기간들 동안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데이터를 갖지 않고, 이에 따라 이러한 기간들 동안 슬립 상태로 전이한다. 이러한 노드들은 이러한 긴 기간의 비활성으로 인해 네트워크 내에서 통신하는 다른 노드들과 채널 홉 동기화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신규의 어레인지먼트들은, 비활성 노드들이 전력 공급될 수 있고 주파수 호핑 시퀀스를 통해 신속하게 동기화될 수 있는 수단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0046] 임의의 하위 노드(1021, 1022, 1023, ...102n)가 코디네이터 노드(104)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원할 때, 그것은 네트워크(100)를 발견/추적하고 드웰 시작 공고를 캡쳐해야만 하고, 그 후 그것은 코디네이터 노드에 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코디네이터 노드가 메시지를 하위 노드에 전송하게 하기 위해, 그것은 (1) 다른 노드가 네트워크를 추적하고 있음을 가정해야만 하거나(이 경우, 드웰 시간 지속기간 동안 그것은 메시지를 단순히 전송할 수 있음), 또는 (2) 다른 노드가 일종의 "keep alive", "heartbeat", 또는 "checking for messages"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대기해야만 한다. 2개의 하위 노드들(1021, 1022, 1023, ...102n)은, 이러한 하위 노드들이 동시에 네트워크(100)를 추적하는 경우(각각이 서로를 가정함), 코디네이터 노드 또는 임의의 다른 중간 노드를 거치지 않고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홉 채널 상의 드웰 시작 메시지를 대기한 후, 발신 노드가 수신 노드를 직접 어드레싱하는 메시지의 송신을 시작(commencing)함으로써 행해진다.
[0047] 본원에 설명된 주파수 호핑 방법은 임의의 특정 호핑 스케줄에 대한 정확한 준수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정확한 그리고 예측가능한 드웰 시간들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는, 필요한 경우, 긴 드웰 시간들/긴 메시지를 허용하지만 그와는 달리 짧은 드웰 시간 및 편리한 제어 채널 그룹 사이즈들(즉, 그룹당 포함되는 편리한 홉 주파수 채널들의 수)에 의존하는 유연한 방식이다. 이 접근법은, 매우 긴 시간 동안 슬립해야만 하고 그리고 슬립상태 동안 네트워크(100)를 실질적으로 추적할 수 없거나 또는 그것의 채널 홉들을 예측할 수 없는 하위 노드들(1021, 1022, 1023, ...102n)에 대해 (평균적으로) 가능한 가장 짧은 네트워크 포착 시간을 초래한다.
[0048]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은, 하위 노드들에 포착 채널들로서 사용하기 위해 특정 홉 주파수 채널들(즉, 그것들이 홉 공고 메시지들을 모니터링할 할당된 채널들)이 할당되는 실시예들을 특히 포함한다. 이는, 하위 노드들(1021, 1022, 1023, ...102n)이 세트들로 분할되도록 허용하며, 이는 몇몇 하위 노드들이 다른 노드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경우들에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을 최적화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100)는 2가지 타입들의 하위 노드들(하나는 높은 우선순위 그리고 하나는 낮은 우선순위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낮은 우선순위의 하위 노드들 모두에는 제한된 수의 제어 채널 그룹들(예컨대, 제어 채널 그룹 5)과 연관된 포착 채널들이 할당될 수 있는 반면, 높은 우선 순위의 하위 노드들에는 더 많은 수의 제어 채널 그룹들(제어 채널 그룹들 1-4) 사이에서 균등하게 분할될 수 있다.
[0049] 말하기-전-청취(listen-before-talk) 방법들이 (대개의 경우) 사용되는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은 제어 채널 그룹들(1-4)을 통해 전송된 홉 공고 메시지들에 후속하는 채널 드웰 시간 동안 상당히 더 가벼워질 것이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를 위해, 네트워크는 100개의 노드들(4개의 노드들은 높은 우선순위이고, 96개 노드들은 낮은 우선순위임)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노드들 모두는 매우 낮은 듀티 사이클을 가져서 이에 따라 각각의 메시지 교환 이전에 맨 처음부터 (즉, 제어 채널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포착해야만 한다고 가정한다. 4개의 높은 우선순위 노드들이 각각 제어 채널 그룹들(1, 2, 3, 또는 4)에 할당된다면(예컨대, 각각에 하나씩), 그리고 다른 96개의 낮은-우선순위 노드들이 모두 제어 채널 그룹 5에 할당된다면, 높은-우선순위 노드들로부터 개시된 메시지들은 명백하게 다수의 실패들 및 재-전송들/재-시도들 없이 송신될 훨씬 높은 가능성을 가질 것이다. 낮은 우선순위 노드들은 그들의 각각의 메시지들을 전송할 기회를 위해 모두 (매 5번째 홉마다) 서로 경쟁하게 될 것이다. 비지(busy)한 네트워크 기간들 동안, 이는 이러한 낮은 우선순위 노드들로부터 메시지 딜레이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특정 환경들에서 낮은 우선순위 모드에 있을 수 있지만(예컨대, 간단한 하우스키핑 메시지들을 전송할 때), 그러나 상이한 세트의 상황들에 있을 때(예컨대, 경보 상태에 있을 때)에는 높은 우선순위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0050]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원에 설명된 공고 메시지는 다음 홉 주파수를 간단하게 식별하는 것 이상의 추가적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상이한 홉 시퀀스들을 활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들에서, 공고 메시지는 사용중인 특정 홉 시퀀스를 특정할 수 있다. 공고 메시지는 또한 하위 노드들에 유용한 다른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코디네이터 노드(104)가 특정 홉 주파수 채널 상의 RF 간섭이 과도하다고 결정한다면, 그 채널은 미리결정된 호핑 시퀀스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미리결정된 호핑 시퀀스로부터 생략된 홉 주파수 채널들은 공고 메시지에서 식별될 수 있다.
[0051] 이제 도 7을 참조로, 예시적인 무선 노드(700)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코디네이터 노드(104) 및 하위 노드(1021, 1022, 1023, ...102n)는 각각 무선 노드(700)와 유사한 아키텍쳐 및 어레인지먼트를 가질 수 있다. 무선 노드(700)는, 시스템 버스(720)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712), 메인 메모리(716), 및 정적 메모리(718)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노드(700)는 또한,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이 송신될 수 있는 송신기(724), 및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이 수신될 수 있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노드(700)는 수신기 및 송신기 대신에 트랜시버를 포함하며, 여기서 트랜시버는 송신기 및 수신기 둘 다로서 동작한다.
[0052]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704)은 무선 노드(700), 이를테면 키패드 및/또는 커서 제어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702), 이를테면,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상태 표시자 광(들)은 무선 노드(700)의 동작들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704) 및 사용자 출력 디바이스들(702)은 시스템 버스를 통해 중앙 프로세싱 유닛과 통신할 수 있지만, 또한 다른 인터페이스 및 버스 구조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인 사용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714)는 유선 또는 무선 수단에 의해 무선 노드 디바이스가 연결된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와의 데이터 통신 동작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기능들은 중앙 프로세싱 유닛(712)에 의해 대신에 수행될 수 있다.
[0053] 드라이브 유닛(70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절차들, 또는 기능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의 세트들(708)(예컨대, 소프트웨어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710)를 포함한다. 명령들(708)은 또한, 무선 노드(700)에 의해 실행되는 동안 메인 메모리(716), 정적 메모리(718), 및/또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712) 내에서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716) 및 중앙 프로세싱 유닛(712)은 또한 머신-판독가능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0054] 용어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기계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할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초과를 머신으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는 임의의 비-일시적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용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고체-상태 메모리들, 이를테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판독-전용(비-휘발성) 메모리들, 랜덤 액세스 메모리들, 또는 다른 재-기록가능(휘발성) 메모리들을 하우징하는 메모리 카드 또는 다른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으로(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적절히 간주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열거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그리고 (소프트웨어 구현들은 저장되는) 인식된 등가물들 및 후속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당업자들은 도 7에 도시된 디바이스 아키텍쳐가 무선 노드의 하나의 가능한 예시임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적절한 컴퓨팅 디바이스 아키텍쳐는 또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0055] 주문형 집적 회로들, 프로그래머블 로직 어레이들, 및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 전용 하드웨어 구현들이 마찬가지로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장치 및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다양한 전자 및 컴퓨터 시스템들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주문형 집적 회로의 일부분들로서 또는, 2개 또는 그 초과의 상호연결형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디바이스들 내에서, 이 모듈들 사이에서 그리고 이 모듈들을 통해 통신되는 관련 제어 및 데이터 신호들을 통해 기능들을 구현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 구현들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하에 설명된 방법들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로서 저장되고 컴퓨터 프로세서상에서 구동하기 위해 구성된다.
[0056]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앞서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한정이 아닌 단지 예시에 의해 제시되었음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수의 변경들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원의 개시내용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폭 및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들 및 그 등가물들에 따라 정의되어야만 한다.

Claims (20)

  1.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일 세트의 홉 주파수 채널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RF 반송파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주파수 호핑 방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노드들 사이에서 통신하는 단계;
    상기 호핑 시퀀스의 제 1 RF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상기 호핑 시퀀스의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로의 네트워크 전이 시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코디네이터 노드를 사용함으로써 제어 채널들의 그룹상에서 홉 공고(hop announcement)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홉 공고는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를 특정함 ―;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가 상기 통신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동안 상기 코디네이터 노드에 의해 특정된 시간에 드웰 시간 지속기간(dwell time duration)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노드들 중 하위 노드로부터의 메시지를 상기 드웰 시간 지속기간 동안 상기 코디네이터 노드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홉 공고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하위 노드에서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네이터 노드로부터 수신된 드웰 시작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드웰 시간 지속기간의 시작을 상기 하위 노드에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웰 시간 지속기간 동안 상기 하위 노드로부터 상기 코디네이터 노드로 상기 데이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노드에서, 상기 호핑 시퀀스의 제 3 RF 주파수의 홉 공고를 수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에 후속하는 적어도 제 3 RF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노드에서, 상기 호핑 시퀀스를 특정하는 상기 하위 노드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에 후속하는 상기 호핑 시퀀스의 적어도 제 3 RF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웰 시간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미리결정된 시간 기간의 만료에 응답하여 상기 하위 노드에서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 3 RF 반송파 주파수로 자동으로 전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체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시 미리결정된 시간 지속기간을 자동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홉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채널들의 그룹 각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들에 대해 현재 특정된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채널들의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통신하기 위해 가장 최근에 사용되었던 RF 반송파 주파수들을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그룹의 상기 복수의 홉 주파수 채널들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2.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일 세트의 홉 주파수 채널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RF 반송파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주파수 호핑 방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노드들 사이에서 통신하는 단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노드에 의해 사용중인 제어 채널들의 그룹상에서 송신되는 홉 공고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노드들의 하위 노드에서 복수의 RF 홉 주파수 채널들 중 임의의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홉 공고는 상기 호핑 시퀀스에서 제 1 RF 반송파 주파수에 후속하여 활용될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를 특정함 ―;
    상기 홉 공고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위 노드가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를 모니터링하게 하도록 상기 하위 노드를 제어하는 단계;
    드웰 시간 지속기간의 시작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상기 코디네이터 노드로부터의 드웰 시작 메시지를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 상에서 상기 하위 노드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웰 시간 지속기간 동안,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는 상기 통신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드웰 시작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하위 노드로부터의 메시지를 상기 드웰 시간 지속기간 동안 상기 코디네이터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노드에서, 상기 호핑 시퀀스의 제 3 RF 반송파 주파수의 홉 공고를 수신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 2 RF 주파수에 후속하는 적어도 제 3 RF 반송파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RF 반송파 주파수는 상기 호핑 시퀀스를 특정하는 상기 하위 노드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웰 시간 지속기간에 대응하는 미리결정된 시간 지속기간의 만료에 응답하여 상기 하위 노드에서 상기 제 2 RF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상기 제 3 RF 반송파 주파수로 자동으로 전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체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필요시 상기 하위 노드에서 상기 미리결정된 시간 지속기간을 자동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홉 주파수 채널들을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채널들의 그룹 각각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들에 대해 현재 특정된 반송파 주파수를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채널들의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호핑 시퀀스에 따라 통신하기 위해 가장 최근에 사용되었던 RF 반송파 주파수들을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그룹의 상기 복수의 홉 주파수 채널들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호핑 네트워크 내에 홉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KR1020167034914A 2014-05-13 2015-05-12 주파수 호핑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동기화 KR102339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76,257 US9106320B1 (en) 2014-05-13 2014-05-13 Node synchronization in a frequency hopping wireless network
US14/276,257 2014-05-13
PCT/US2015/030382 WO2015175540A1 (en) 2014-05-13 2015-05-12 Node synchronization in a frequency hopping wirel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921A true KR20170017921A (ko) 2017-02-15
KR102339796B1 KR102339796B1 (ko) 2021-12-15

Family

ID=5327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914A KR102339796B1 (ko) 2014-05-13 2015-05-12 주파수 호핑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동기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06320B1 (ko)
EP (1) EP3143701B1 (ko)
KR (1) KR102339796B1 (ko)
CN (1) CN106471747B (ko)
AU (1) AU2015259363B2 (ko)
CA (1) CA2952171A1 (ko)
ES (1) ES2741738T3 (ko)
WO (1) WO20151755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738B1 (ko) * 2020-04-16 2021-06-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주파수 할당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416416B2 (en) 2016-07-28 2021-09-23 Razer (Asia-Pacific) Pte. Ltd. Receiver devices, transmitter devices, methods for controlling a receiver device, methods for controlling a transmitter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a
CN107070498B (zh) * 2017-04-17 2019-01-2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基于跳频tdma系统的分簇多级自组网时间同步方法
TWI656775B (zh) * 2017-10-17 2019-04-11 郭昱均 分散式協調通訊方法
DE102017220063A1 (de) * 2017-11-10 2019-05-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Effizienter Einsatz eines Einkanalempfängers zum Empfang mehrkanaliger Übertrag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2905A1 (en) * 2012-03-19 2013-09-19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calable protocol for large wsns having low duty cycle end nodes
US20140029567A1 (en) * 2012-07-24 2014-01-30 Mueller International, Llc Transmitting data within a mesh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1858B2 (en) * 2003-07-17 2010-04-20 Sensicast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esh network
US7529217B2 (en) 2004-03-27 2009-05-05 Dust Networks, Inc. Low-power autonomous node for mesh communication network
US7813318B2 (en) * 2006-10-16 2010-10-12 Stmicroelectronics, Inc. Methods of messaging control of dynamic frequency selection (DFS) for cognitive radio based dynamic spectrum access network systems
US8351369B2 (en) 2007-12-12 2013-01-08 Synapsens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data packet scheduling in mesh networks
KR101213474B1 (ko) * 2008-07-11 2012-12-18 리서치 파운데이션 오브 더 시티 유니버시티 오브 뉴욕 멀티홉 센서네트워크의 mac 시스템
US8054864B2 (en) * 2008-08-08 2011-11-08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fast synchronization and frequency hop sequence detec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1873700B (zh) * 2009-04-21 2013-03-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8879604B2 (en) * 2011-07-06 2014-11-04 Cisco Technology, Inc. Efficient rendezvous for distributed messages in frequency-hopping communication networks
US8989211B2 (en) * 2011-10-18 2015-03-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hannel resource
US9584179B2 (en) * 2012-02-23 2017-02-28 Silver Spring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channel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US9793947B2 (en) * 2012-03-19 2017-10-17 Tyco Fire & Security Gmbh Scalable protocol for large WSNs having low duty cycle end nodes
US20140044150A1 (en) * 2012-08-13 2014-02-13 Redlin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ference triggered frequency hopp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2905A1 (en) * 2012-03-19 2013-09-19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calable protocol for large wsns having low duty cycle end nodes
US20140029567A1 (en) * 2012-07-24 2014-01-30 Mueller International, Llc Transmitting data within a mesh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738B1 (ko) * 2020-04-16 2021-06-0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주파수 할당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59363A1 (en) 2017-01-12
KR102339796B1 (ko) 2021-12-15
AU2015259363B2 (en) 2018-03-22
CN106471747B (zh) 2020-01-10
US9106320B1 (en) 2015-08-11
EP3143701A1 (en) 2017-03-22
EP3143701B1 (en) 2019-07-10
ES2741738T3 (es) 2020-02-12
CN106471747A (zh) 2017-03-01
WO2015175540A1 (en) 2015-11-19
CA2952171A1 (en)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119B2 (en) Asynchronous low-power multi-channel media access control
JP400479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基地局で用いられる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方法
JP6081504B2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低電力シグナリング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704816B (zh) 用于节能的时隙协议的调度器
EP1461907B1 (en) Network protocol for an ad hoc wireless network
US8693495B2 (en) Wireless network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CN107483396B (zh) 根据多个通信协议配置无线通信和广告事件
KR102339796B1 (ko) 주파수 호핑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동기화
US9204389B2 (en) Methods, device and node for DRX of data
US10070388B2 (en) Coordinated duty cycle assignment in mesh networks
US20220150831A1 (en) Wakeup Radio for Low Power Nodes in Bluetooth
Galzarano et al. A learning-based mac for energy efficient wireless sensor networks
JP2018535565A5 (ko)
Djimli et al. Energy-efficient MAC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a survey
CN109906644B (zh) 页面监测启用和禁用
Balachandran et al. Adaptive sleeping and awakening protocol (ASAP) for energy efficient adhoc sensor networks
KR20100075285A (ko) 비컨 기반 메쉬 네트워크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 방법
JP5045558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プログラム
Ghosh et al. Energy efficient medium access control with single sleep schedul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KR20210085298A (ko) 듀티 사이클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저전력/저지연 경로 설정을 위한 라우팅 메트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JP5423850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Hyder et al. Fuzzy logic based snooze schema for wireless sensor network MAC protocol
CN114765839A (zh) 资源选择方法、省电处理方法、装置及设备
Preshiya Curtail Idle Listening without Losing the Network Conne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