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277A -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277A
KR20170017277A KR1020150110970A KR20150110970A KR20170017277A KR 20170017277 A KR20170017277 A KR 20170017277A KR 1020150110970 A KR1020150110970 A KR 1020150110970A KR 20150110970 A KR20150110970 A KR 20150110970A KR 20170017277 A KR20170017277 A KR 20170017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bit
slide
hole
drill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철
홍수환
Original Assignee
홍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수환 filed Critical 홍수환
Priority to KR102015011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277A/ko
Publication of KR2017001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on boring machines for positioning or guiding the drill; Devices for indicating failure of drills during boring; Centering devices for holes to be bored
    • B23B49/003Stops attached to drilling tools, tool holders or drilling machines
    • B23B49/005Attached to the dr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48Devices to regulate the depth of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2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작업자가 회전축(151)의 손잡이(153)를 잡고 회전축(151)을 돌리면 그로 인해 회전조절나사가(150)가 회전하게 되고, 이 때 회전조절나사(150)의 나사산(152)과 회전몸체(120)의 나사산(123)이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몸체(120)가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몸체(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슬라이드키(170)가 슬라이드홈(11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홈(112)의 바깥으로 밀려나오거나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슬라이드홈(112)이 테이퍼부(111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키(170)가 슬라이드홈(112)의 바깥으로 밀려나올 때에는 드릴비트(10)를 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밀려나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는 슬라이드키(170)에 의해 드릴비트(10)의 원하는 위치에 물려 고정되며, 이 때 드릴비트(10)의 어느 위치에 고정되느냐에 따라 천공깊이가 정해진다.

Description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drilling-depth}
본 발명은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릴비트에 물려 고정되어 걸림턱 역할을 함으로써 드릴비트가 피가공체의 원하는 깊이까지만 뚫고 들어가고 더 이상은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가공체에 소정 깊이의 드릴 홀을 형성시키고자 할 때에 드릴비트의 삽입깊이를 제어할 특별한 수단이 없다면 오로지 작업자의 주의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되고, 따라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드릴 홀이 원하는 깊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버리거나 피가공체가 아예 관통되어 버리는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드릴에 별도의 눈금자를 설치하여 드릴비트의 삽입깊이를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필요시마다 눈금자를 드릴몸체에 결합시키거나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해체 시에는 분리되어 있는 눈금자를 별도로 보관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눈금자의 분실 위험과 보관을 위한 수납공간이 확보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눈금자가 드릴비트에 바로 붙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이격되도록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드릴 홀의 깊이에 오차가 발생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드릴비트가 원하는 깊이 이상으로는 더 이상 삽입되어 들어가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드릴 작업 이후에도 드릴비트에 끼워진 채로 함께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드릴비트에 직접 체결됨으로써 드릴 홀의 깊이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는,
축 방향으로 드릴비트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한쪽은 드릴몸체를 향하고 다른 한쪽은 피가공체를 향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드릴비트에 끼워지되, 상기 드릴몸체가 있는 쪽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가공체가 있는 쪽에는 베어링 설치부가 마련되는 고정몸체;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에 끼워진 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에 끼워지는 관통홀의 내주연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회전몸체;
상기 베어링 설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드릴비트가 관통되고,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와 겉돌도록 설치되는 피가공체 보호링;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경사지는 테이퍼부; 및
상기 돌출부의 끝단을 입구로 하여 상기 테이퍼부의 외측면에 축 방향으로 길게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슬라이드홈; 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홈 각각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드키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키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드키가 상기 슬라이드홈을 타고 상기 슬라이드홈 바깥으로 경사지게 밀려나와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슬라이드키에 의해 물리게 되어 상기 고정몸체가 상기 드릴비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홈은 등 간격으로 적어도 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몸체의 암나사부와 상기 돌출부의 수나사부는 나사산이 사각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상기 피가공체를 바라보는 상기 회전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베어링 설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축삽입공;
상기 축삽입공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축 회전 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몸체의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조절나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회전축의 축 회전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키의 끝단부가 상기 드릴비트에 면접되면서 상기 드릴비트를 물도록 상기 슬라이드키의 끝단부에는 상기 드릴비트의 축 방향과 나란한 테이퍼링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키의 테이퍼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돌출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몸체를 상기 고정몸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회전몸체 체결수단으로서 스냅링이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부와 상기 회전몸체의 관통홀 내주연부에 상기 스냅링이 끼워지도록 스냅링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가공체 보호링은 상기 피가공체에 닿는 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공 시 상기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가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드릴비트가 원하는 깊이 이상으로는 더 이상 삽입되어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를 상기 드릴비트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천공깊이를 손쉽게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드릴 작업 이후 상기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를 상기 드릴비트에 끼워진 채로 함께 보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가 상기 드릴비트에 직접 체결되어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천공깊이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가 드릴비트(1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의 외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슬라이드키(1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가 드릴비트(1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의 외형도, 도 3은 분해도, 도 4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는 고정몸체(110), 회전몸체(120), 슬라이드키(170), 및 피가공체 보호링(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몸체(110)에는 축 방향으로 드릴비트(10)가 관통하도록 관통홀(110a)이 형성된다. 고정몸체(110)는 이러한 관통홀(110a)을 통하여 한쪽은 피가공체(20)를 향하고 다른 한쪽은 드릴몸체(30)가 있는 쪽을 향하도록 드릴비트(10)에 끼워지며, 드릴몸체(30)가 있는 쪽에는 돌출부(111)가 마련되고, 피가공체(20)가 있는 쪽에는 베어링 설치부(115)가 마련된다.
회전몸체(120)는 관통홀(120a)을 통하여 돌출부(111)에 끼워진 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회전몸체(120)가 돌출부(111)에 끼워진 채로 회전하는 동안에 회전몸체(120)가 돌출부(111)에서 빠지지 않도록 회전몸체(120)를 고정몸체(110)에 체결시키는 회전몸체 체결수단이 요구된다.
상기 회전몸체 체결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냅링(160)이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돌출부(111)의 외주연부에 스냅링 삽입홈(113)을 형성시키고, 스냅링 삽입홈(113)에 스냅링(160)을 끼운 상태에서 회전몸체(120)의 관통홀(120a) 내주연부에 형성되는 스냅링 삽입홈(121)에 스냅링(160)이 딸깍하고 끼워질 때까지 회전몸체(120)를 돌출부(111)에 밀어 넣으면, 회전몸체(120)가 돌출부(111)에 끼워진 채로 빠지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돌출부(111)는 테이퍼부(111a)와 슬라이드홈(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테이퍼부(111a)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경사지며, 슬라이드홈(112)은 돌출부(111)의 끝단을 입구로 하여 테이퍼부(111a)의 외측면에 축 방향으로 길게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슬라이드키(170)는 슬라이드홈(112)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드홈(112)에 삽입 설치된다.
회전몸체(120)의 관통홀(120a) 내주연부에는 암나사부(122)가 형성되고, 슬라이드키(170)에는 암나사부(122)를 바라보는 면에 암나사부(122)에 맞물리도록 수나사부(172)가 형성된다. 그러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120)가 회전할 때 그 회전방향에 따라 슬라이드키(170)가 슬라이드홈(11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홈(112)의 바깥으로 밀려나오거나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슬라이드홈(112)이 테이퍼부(111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키(170)가 슬라이드홈(112)의 바깥으로 경사지게 밀려나오면서 슬라이드키(170)에 의해 드릴비트(10)가 물리게 된다.
슬라이드키(170)는 드릴비트(10)를 사방에서 물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슬라이드키(170)는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역학적으로 볼 때에는 등 간격으로 적어도 3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슬라이드홈(112)도 슬라이드키(170)와 마찬가지의 개수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작업자가 회전몸체(120)를 손으로 직접 잡고 돌릴 수도 있지만, 회전몸체(12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이 별도로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작업자가 회전몸체(120)를 손으로 직접 잡고 돌리는 경우에 대비하여 회전몸체(120)의 외주연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피가공체(20)를 바라보는 회전몸체(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123); 테이퍼부(111a)와 베어링 설치부(115)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부(111)에 형성되는 축삽입공(114); 축삽입공(114)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151); 및 회전축(151)의 축 회전 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축(151)에 설치되며 회전몸체(120)의 나사산(123)에 맞물리도록 나사산(152)이 형성되는 회전조절나사(15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작업자가 회전축(151)의 손잡이(153)를 잡고 회전축(151)을 돌리면 그로 인해 회전조절나사(150)가 회전하게 되고, 이 때 회전조절나사(150)의 나사산(152)과 회전몸체(120)의 나사산(123)이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몸체(120)가 함께 따라서 회전하게 되어 슬라이드키(170)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베어링 설치부(115)에는 베어링(130)이 설치되며, 피가공체 보호링(140)은 베어링(130)에 의해 고정몸체(110)와 겉돌도록 설치된다. 피가공체 보호링(140)의 관통홀(140a)을 통하여 드릴비트(10)가 관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비트(10)에 물려 고정되어 피가공체(20)에 드릴 홀을 형성시킬 때에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드릴비트(10)가 원하는 깊이 이상으로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가 걸림턱 역할을 할 때 피가공체(20)에 닿는 부분은 비가공체 보호링(140)이 된다.
고정몸체(110)는 슬라이드키(170)에 의해 드릴비트(10)에 고정되고, 회전몸체(120) 또한 고정몸체(110)에 체결되어 고정몸체(110)와 한 몸체를 이루므로, 드릴비트(10)가 회전할 때에 고정몸체(110)와 회전몸체(12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피가공체 보호링(140)은 베어링(130)에 의해 고정몸체(110)와 겉돌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드릴비트(10)가 회전하더라도 피가공체(20)에 면접된 상태로 가만히 있게 되어 피가공체(20)의 표면이 절삭으로부터 손상되지 않고 보호된다.
행여나 드릴비트(10)의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피가공체 보호링(140)이 피가공체(20)에 면접된 상태에서 미끄러져 회전될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가공체 보호링(140)에는 피가공체(20)에 닿는 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4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슬라이드키(170)의 수나사부(17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172)는 나사산이 사각 형태를 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태를 할 수 있는데, 회전몸체(120)를 회전시킬 때에 강한 힘에 더욱 잘 버틸 수 있도록 전자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회전몸체(120)의 암나사부(122)는 당연히 수나사부(172)에 합치되는 형태를 할 것이다.
도 6은 슬라이드키(1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키(170)는 봉 형상, 예컨대 사각 봉 형상을 할 것인데, 슬라이드홈(112)의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밀려나왔을 때에 드릴비트(10)에 면접되면서 드릴비트(10)를 물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드릴비트(10)에 닿는 슬라이드키(170)의 끝단부에는 테이퍼링면(17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링면(173)은 드릴비트(10)의 축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키(170)와 드릴비트(10)가 서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테이퍼링면(173)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7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회전축(151)의 손잡이(153)를 잡고 회전축(151)을 돌리면 그로 인해 회전조절나사가(150)가 회전하게 되고, 이 때 회전조절나사(150)의 나사산(152)과 회전몸체(120)의 나사산(123)이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몸체(120)가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몸체(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슬라이드키(170)가 슬라이드홈(11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드홈(112)의 바깥으로 밀려나오거나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슬라이드홈(112)이 테이퍼부(111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키(170)가 슬라이드홈(112)의 바깥으로 밀려나올 때에는 드릴비트(10)를 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밀려나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는 슬라이드키(170)에 의해 드릴비트(10)의 원하는 위치에 물려 고정되며, 이 때 드릴비트(10)의 어느 위치에 고정되느냐에 따라 천공깊이가 정해진다.
상기 회전조절나사(150)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회전몸체(120)를 직접 손으로 잡고 돌리면 될 것이다.
천공깊이는 피가공체 보호링(140)이 피가공체(20)의 표면에 닿을 때까지 드릴비트(10)가 피가공체(20)에 삽입되어 들어감으로써 제한된다. 이 때, 피가공체 보호링(140)은 베어링(130)에 의해 고정몸체(110)와 겉돌기 때문에 드릴비트(10)가 회전하더라도 피가공체(20)에 면접된 상태로 가만히 있게 되어 피가공체(20)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고 보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천공 시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가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드릴비트(10)가 원하는 깊이 이상으로는 더 이상 삽입되어 들어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를 드릴비트(10)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천공깊이를 손쉽게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드릴 작업 이후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를 드릴비트(10)에 끼워진 채로 함께 보관할 수 있으므로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100)가 드릴비트(10)에 직접 체결되어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천공깊이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드릴비트 20: 피가공체
30: 드릴몸체 100: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110: 고정몸체 110a, 120a: 관통홀
111: 돌출부 111a: 테이퍼부
112: 슬라이드홈 113, 121: 스냅링 삽입홈
114: 축삽입공 115: 베어링 설치부
120: 회전몸체 122: 암나사부
123, 152: 나사산 130: 베어링
140: 피가공체 보호링 141, 171: 요철부
150: 회전조절나사 151: 회전축
160: 스냅링 170: 슬라이드키
172: 수나사부 173: 테이퍼링면

Claims (8)

  1. 축 방향으로 드릴비트가 관통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한쪽은 드릴몸체를 향하고 다른 한쪽은 피가공체를 향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드릴비트에 끼워지되, 상기 드릴몸체가 있는 쪽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가공체가 있는 쪽에는 베어링 설치부가 마련되는 고정몸체;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에 끼워진 채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에 끼워지는 관통홀의 내주연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회전몸체;
    상기 베어링 설치부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드릴비트가 관통되고, 상기 베어링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와 겉돌도록 설치되는 피가공체 보호링; 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경사지는 테이퍼부; 및
    상기 돌출부의 끝단을 입구로 하여 상기 테이퍼부의 외측면에 축 방향으로 길게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슬라이드홈; 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홈 각각에는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드키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키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가 회전할 때 상기 슬라이드키가 상기 슬라이드홈을 타고 상기 슬라이드홈 바깥으로 경사지게 밀려나오면서 상기 드릴비트가 상기 슬라이드키에 의해 물리게 되어 상기 고정몸체가 상기 드릴비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이 등 간격으로 적어도 3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의 암나사부와 상기 돌출부의 수나사부는 나사산이 사각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이 더 설치되며, 상기 회전제어수단이,
    상기 피가공체를 바라보는 상기 회전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베어링 설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축삽입공;
    상기 축삽입공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축 회전 시에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몸체의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조절나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회전축의 축 회전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키의 끝단부가 상기 드릴비트에 면접되면서 상기 드릴비트를 물도록 상기 슬라이드키의 끝단부에 상기 드릴비트의 축 방향과 나란한 테이퍼링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키의 테이퍼링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돌출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몸체를 상기 고정몸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회전몸체 체결수단으로서 스냅링이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부와 상기 회전몸체의 관통홀 내주연부에 상기 스냅링이 끼워지도록 스냅링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체 보호링은 상기 피가공체에 닿는 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KR1020150110970A 2015-08-06 2015-08-06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KR20170017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970A KR20170017277A (ko) 2015-08-06 2015-08-06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970A KR20170017277A (ko) 2015-08-06 2015-08-06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277A true KR20170017277A (ko) 2017-02-15

Family

ID=5811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970A KR20170017277A (ko) 2015-08-06 2015-08-06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2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20Y1 (ko) 2017-09-15 2018-04-04 이재열 홀더 겸용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용 비트
WO2018169205A1 (ko) * 2017-03-15 2018-09-20 이재열 드릴비트의 깊이 조절식 스톱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205A1 (ko) * 2017-03-15 2018-09-20 이재열 드릴비트의 깊이 조절식 스톱퍼
US11007582B2 (en) 2017-03-15 2021-05-18 Jae Yeol Lee Depth adjustment stopper for drill bit
KR200486120Y1 (ko) 2017-09-15 2018-04-04 이재열 홀더 겸용 스토퍼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용 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6444B1 (en) Depth limiting device for a boring tool
US9174285B2 (en) Positioning sleeve assembly adapted for engaging with different tool parts
US8550471B2 (en) Tool bit holder
US20140314505A1 (en) Multi-position hole saw assembly with plug ejector
KR20170017277A (ko) 드릴 천공깊이 조절장치
CN103659689A (zh) 棘轮扳手工具
US10549449B2 (en) Tool free bolt system for a saw blade
US11219987B2 (en) Tool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retention knobs
KR20160002084A (ko) 드릴비트용 천공깊이조절구
US10377024B2 (en) Tool with quick-release drill bits
US11045882B2 (en) Chuck mechanism
KR102063882B1 (ko) 어댑터
TWI634971B (zh) 轉接頭
RU2737098C2 (ru)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EP3003614B1 (en) Collet assembly including a locking mechanism
EP3894132B1 (en) An electrospindle
US10654095B2 (en) Swivel adjustment system for fastener pulling heads
EP1782924A1 (en) Depth adjustment apparatus for power tool
EP3109003B1 (en) Quick-release device for screwdriver bits
US9707626B2 (en) Hole saw assembly
US9636754B2 (en) Reamer
US10246907B2 (en) Spinning knob
WO2020000905A1 (zh) 钻夹头
JP6626487B2 (ja) ガイド装置
KR101029553B1 (ko) 드릴링 머신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59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27

Effective date: 2019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