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042A - 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042A
KR20170017042A KR1020150110097A KR20150110097A KR20170017042A KR 20170017042 A KR20170017042 A KR 20170017042A KR 1020150110097 A KR1020150110097 A KR 1020150110097A KR 20150110097 A KR20150110097 A KR 20150110097A KR 20170017042 A KR20170017042 A KR 20170017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usage
history
usag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헌
이정환
이종환
주우진
박순혁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7042A/en
Publication of KR20170017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0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A system for manag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purifier which sense an amount of water which is used, produces a use pattern according to an operation history, performs a power saving function based on the use pattern, performs a sterilization operation every preset time, and stor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water which is used, the use pattern, a power saving function performing history, and a sterilization operation performing history; and a wireless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s the at least one type of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water which is used, the use pattern, the power saving function performing history, and the sterilization operation performing history, and displays the received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water purifier, thereby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and sterilization efficiency.

Description

정수기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정수, 온수, 냉수 및 얼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절전기능, 살균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Generally,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for providing drinking water, and can provide water, hot water, cold water and ice, and further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ower saving function, a sterilizing function and the like.

종래의 정수기는 정수기의 물 사용량, 사용상태 및 다양한 기능들의 수행 이력 등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절전기능 및 살균기능은 에너지 효율 및 살균 효율의 측면에서 정수기의 사용량이나 사용상태 등의 정보에 따른 설정이 필요하나 종래의 정수기는 정수기의 물 사용량, 사용상태 및 다양한 기능들의 수행 이력 등의 정보를 알 수 없어 조도에 따른 절전기능 또는 4일에 한번씩 살균동작과 같이 획일적인 제어만 가능하므로, 정수기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 에너지 효율성 및 살균 효율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can not know the water usage amount, the use state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history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However, the power saving function and the sterilization function are required to be se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usage amount and the usage state of the water purifier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nd sterilization efficiency. However,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requires water usage, The information can not be obtained and the power sa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r the steriliz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ly once every four day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onvenience, energy efficiency, and sterilization efficiency are inferior in the use of the water purifier.

이에 따라, 사용자가 건강한 물 마시기 습관(물 사용량 체크), 사용상태에 따른 절전기능의 수행 및 살균동작의 수행을 위해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user to perform the water consumption, the usage pattern, the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history, and the sterilization operation history to perform a healthy water drinking habit (water usage check), perform a power sa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state, A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that can easily access information about the water purifier is desperately needed.

하기의 특허문헌 1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고객관리가 가능한 정수기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water purifier capable of managing a customer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anagement method thereof, but fails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645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6645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물 사용량, 정수기 사용패턴,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a water usage amount, a water purifier usage pattern, a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history, A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물 사용량 또는 사용패턴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 또는 절전주기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calculating and providing a recommended disinfection cycle or a power saving cyc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used or the pattern of u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관리 시스템은 물 사용량을 감지하며, 동작이력에 따른 사용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하며,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살균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정수기 및 상기 정수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water use amount, calculates a usage pattern according to an operation history, performs a power saving function based on the usage pattern, performs a sterilization operation every predetermined time, A usage pattern, a history of the power-saving function, and a history of the sterilizing operation, and a water purifier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he usage pattern, the usage pattern, And a wireless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execution history and execution histor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 동안 상기 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can calculate a usage pattern by dividing the operation history by a predetermined cycle unit, and can detect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is not used based on the usage pattern, The power sav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for a time that is not allow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주기별 평균 절전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기 설정된 주기별 평균 절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terminal can calculate the average power saving time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history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and displays the predetermined average power saving time for each period can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물 사용량을 이용하여 순환율을 산출하며, 상기 순환율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may calculate the net exchange rate using the water usage, and may calculate and store the recommended sanit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net exchange ra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순환율, 기 설정된 살균주기 및 상기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수신한 물 사용량, 순환율, 기 설정된 살균주기 및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기 설정된 살균주기를 상기 권장 살균주기로 변경하는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살균주기를 변경하는 입력이 제공되면, 상기 살균주기를 변경하는 입력에 따른 살균주기 변경 신호를 상기 정수기로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terminal compris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water usage amount, the circulation rate, the predetermined sterilization period and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information from the water purifi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cycle and a predetermined sterilization cycle,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changing the predetermined sterilization cycle to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If an input to change the sterilization cycle is provided, a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according to an input to change the sterilization cycle may be transmitted to the water purifi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살균주기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살균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may change the sterilization cycle in accordance with the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 사용량은, 정수 사용량, 냉수 사용량 및 온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usage amou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urified water use amount, a cold water usage amount, and a hot water usage amou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기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1일 평균 물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1일 평균 물 사용량에 따른 1일 물 섭취 권장량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may calculate an average daily water us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may calculate and store the daily water intake recommend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1일 평균 물 사용량 및 상기 1일 평균 물 사용량에 따른 1일 물 섭취 권장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terminal may receive and display at least one of the daily average water use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daily water consumption recommendation based on the daily average water us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기는, 물 사용량을 감지하는 물 사용량 감지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살균수를 생성하여 내부 유로 또는 물탱크를 살균하는 살균부, 동작이력에 따른 사용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하며,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살균부를 제어하며,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includes a water consump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water consumption,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an internal passage or a water tank by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to perform a power saving function based on the usage pattern and controlling the sterilizing unit to perform a sterilization oper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usage amount of the water, the usage pattern of the power saving function, And information on the execution history of the operation; and a control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water usage, the usage pattern, the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history, and the sterilization operation history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one to the wireless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 동안 상기 절전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 usage pattern by dividing the operation history by a predetermined cycle unit, and may detect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is not used based on the usage patter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to perform the power saving function for a period of time that is not allow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물 사용량을 이용하여 순환율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순환율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무선 단말기로 상기 순환율 및 상기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net exchange rate using the water usage, calculate and store a recommended disinfection cycle according to the net exchange rate, and transmit the recommended disinfection cycle to the wireless terminal,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1일 평균 물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1일 평균 물 사용량에 따른 1일 물 섭취 권장량을 산출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무선 단말기로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1일 평균 물 사용량 및 상기 1일 물 섭취 권장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n average daily water us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lculate and store a daily water intake recommend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The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information on the daily water intake recommendation amoun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 사용량, 정수기 사용패턴,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정수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 및 살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설정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a water usage amount, a water purifier usage pattern, a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history, and a sterilization operation execution history is transmitted to a user's terminal device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displayed, Can be collected, and the setting can be made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sterilization efficiency.

또한, 정수기의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절전주기를 산출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하며, 물 사용량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정수기의 에너지 효율 및 살균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the energy saving function i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power saving period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period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ater usage amount,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nd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water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수기 및 무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wireless terminal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관리 시스템은 정수기(100) 및 무선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purifier 100 and a wireless terminal 200.

정수기(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정수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정수, 상기 정수를 냉각시킨 냉수 또는 상기 정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수기(100)는 물 사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물 사용량은 정수 사용량, 온수 사용량, 냉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100 may generate purified water by filtering the water flowing from the outside and supply the purified water that has cooled the purified water or the purified wat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or the heated water that has heated the purified wat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100 can sense water usage. Here, the amount of water us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urified water use amount, a hot water use amount, and a cold water use amount.

또한, 정수기(100)는 동작이력에 따른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이력은 정수, 온수, 냉수 또는 살균수의 생성이력, 추출이력, 온수 및 냉수의 출수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100)는 상기 동작이력에 기초하여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수기(100)는 정수기의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단위는 하루 단위, 일주일 단위, 월 단위, 계절단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정수기(100)에 대한 일별 사용패턴, 주별 사용패턴, 월별 사용패턴 및 계절별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Further, the water purifier 100 can calculate the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operation history. Here, the operation history may include generation history of purified water, hot water, cold water or sterilized water, extraction history, temperature for leaving hot water and cold water, and the like. The water purifier 100 can calculate the usage pattern based on the operation history.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100 may calculate the usage pattern by dividing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water purifier by a predetermined cycle unit. The predetermined periodic unit may be set to a day, a week, a month, a season, or the like. By using the daily usage pattern, the weekly usage pattern, the monthly usage pattern, and the seasonal usage pattern Can be calculated.

정수기(100)는 상기 산출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수기(100)는 상기 산출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정수기(100)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100)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 동안 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절전기능은 정수기(100)의 기능별로 보다 세분화되어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정수기(100)는 온수의 사용패턴, 냉수의 사용패턴 등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온수의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온수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의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냉수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시간 동안 상기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각부(미도시)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100 may perform a power saving function based on the calculated usage pattern.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100 can detect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100 is not used based on the calculated usage pattern, and can perform the power saving function for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100 is not used have. For example, the water purifier 100 may calculate the usage pattern of the hot water, the usage pattern of the cold water, and the like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the hot water. A controller for detecting a time when hot water is not used and adjusting a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for generating the hot water during the time, detecting a time when no cold water is used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the cold water, The power sav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ooling unit (not shown).

또한, 정수기(100)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물탱크(미도시) 또는 내부유로에 대한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0 can perform a sterilization operation on a water tank (not shown) or an internal flow path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일 실시예에서, 정수기(100)는 상기 감지되는 물 사용량을 이용하여 물 순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물 순환률은 기 설정되는 주기별 물 순환율일 수 있으며, 정수기(100)는 상기 산출한 물 순환율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권장 살균주기는 물 순환율에 비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100 may calculate the water circulation rate using the sensed water usage. Here, the water circulation rate may be a predetermined water circulation rate per cycle, and the water purifier 100 may calculate a recommended disinfection cycle according to the calculated water circulation rate. Here, the recommended disinfection cycle can be proportional to the water circulation rate.

또한, 정수기(100)는 물 사용량, 사용패턴, 절전기능 수행 이력,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물 순환률, 물 순환률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0 may store information on water usage, usage pattern, history of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on history of sterilization operation, water circulation rate, and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water circulation rate.

또한, 정수기(100)는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된 물 사용량, 사용패턴, 절전기능 수행 이력,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물 순환률, 물 순환률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200)로부터 살균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살균주기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살균주기 변경 신호에 따라 살균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via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water purifier 10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tored water usage, usage pattern, history of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And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rat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for changing the sterilization cycle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terilization cyc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무선 단말기(200)는 정수기(100)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물 순환률, 물 순환률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usage amount, the usage pattern, the history of the power saving function, the histor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And information on a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rate and the water circulation rate.

일 실시예에서, 무선 단말기(200)는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주기별 평균 절전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산출한 기 설정된 주기별 평균 절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terminal 200 may calculate the average power saving time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history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100, The average power saving time can be displayed.

이러한 정수기(100) 및 무선 단말기(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0 and the wireless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의 정수기 및 무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wireless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물 사용량 감지부(110), 전원공급부(120), 살균부(130), 제어부(140) 및 제2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wate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consumption sensing unit 110, a power supply unit 120, a sterilizing unit 130, a controller 140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150, . ≪ / RTI >

물 사용량 감지부(110)는 정수, 온수 또는 냉수의 사용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정수, 온수 또는 냉수의 사용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 사용량 감지부(110)는 정수, 온수 또는 냉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일 수 있다.
The water consumption sensing unit 110 can sense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hot water, or cold water, and can detect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hot water, or cold water, and output the sensed amount to the controller 140. In one embodiment, the water usage sensing unit 110 may be a flow sensor that senses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hot water, or cold water.

전원공급부(120)는 정수기(100)의 냉각부(미도시), 히터(미도시), 살균수 생성부(미도시) 등 전원이 필요한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구성에 대한 전원공급량이 조절됨으로써 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20 may supply power to a power supply required for the power supply such as a cooling unit (not shown), a heater (not shown), and a sterilization water generating unit (not shown) of the water purifier 100, A power sav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amount for each of the configurations.

살균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살균부(130)는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살균수를 내부 유로 또는 물탱크로 순환시켜 배출함으로써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terilizer 130 may perform a steriliz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In one embodiment, the sterilizer 130 may include a sterilizing water generator (not shown) to generate sterilizing water, and the steriliz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circulating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to the inner passage or the water tank and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can do.

제어부(140)는 전반적인 정수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verall purifier 100. [

제어부(140)는 동작이력에 따른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이력은 정수, 온수, 냉수 또는 살균수의 생성이력, 추출이력, 온수 및 냉수의 출수 온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동작이력에 기초하여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an calculate the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operation history. Here, the operation history may include generation history of purified water, hot water, cold water or sterilized water, extraction history, temperature for leaving hot water and cold water,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40 can calculate the usage pattern based on the operation history.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정수기의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단위는 하루 단위, 일주일 단위, 월 단위, 계절단위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정수기(100)에 대한 일별 사용패턴, 주별 사용패턴, 월별 사용패턴 및 계절별 사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may calculate the usage pattern by dividing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water purifier by a predetermined period unit. The predetermined periodic unit may be set to a day, a week, a month, a season, or the like. By using the daily usage pattern, the weekly usage pattern, the monthly usage pattern, and the seasonal usage pattern Can be calculated.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산출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perform the power saving function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120 based on the calculated usage pattern.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상기 산출한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정수기(100)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100)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 동안 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절전기능은 정수기(100)의 기능별로 보다 세분화되어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정수기(100)는 온수의 사용패턴, 냉수의 사용패턴 등을 각각 산출하고, 상기 온수의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온수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히터(미도시)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고, 상기 냉수의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냉수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하여 상기 시간 동안 상기 냉수를 생성하기 위한 냉각부(미도시)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절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can detect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100 is not used based on the calculated usage pattern, and can perform a power saving function for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100 is not used have. For example, the water purifier 100 may calculate the usage pattern of the hot water, the usage pattern of the cold water, and the like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the hot wate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time when the hot water is not used and generating the hot water for the time, and detecting a time when the cold water is not used based on the usage pattern of the cold water, The power sav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cooling unit (not shown) for generating the cold wat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또한,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살균부(130)를 제어하여 물탱크(미도시) 또는 내부유로에 대한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sterilizer 13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perform a sterilization operation on a water tank (not shown) or an internal flow path.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되는 물 사용량을 이용하여 물 순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물 순환률은 기 설정되는 주기별 물 순환율일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상기 산출한 물 순환율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권장 살균주기는 물 순환율에 비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40 may calculate the water circulation rate using the sensed water usage. Here, the water circulation rate may be a predetermined water circulation rate per cycle, and the controller 140 may calculate a recommended disinfection cycle based on the calculated water circulation rate. Here, the recommended disinfection cycle can be proportional to the water circulation rate.

또한, 제어부(140)는 물 사용량, 사용패턴, 절전기능 수행 이력,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물 순환률, 물 순환률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water usage, the usage pattern, the history of the power saving function, the information on the histor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the water circulation rate, and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water circulation rate.

또한, 제어부(140)는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된 물 사용량, 사용패턴, 절전기능 수행 이력,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물 순환률, 물 순환률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200)로부터 살균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살균주기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한 살균주기 변경 신호에 따라 살균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store the stored water usage pattern, the usage pattern, the history of the power saving function, the histor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And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rate to the wireless terminal 200. [ 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for changing the sterilization cycle from the wireless terminal 200, the sterilization cycl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여기서, 무선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와이파이, Zigbe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ny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Wi-Fi, and Zigbee.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and memory. Th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nd may have a plurality of cores. The memory 1120 can be a volatile memory (e.g., RAM, etc.), a non-volatile memory (e.g., ROM, flash memory,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200)는 제1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입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a display unit 220, and an input unit 230.

제1 통신부(210)는 무선통신을 통해 제2 통신부(1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정수기(100)로부터 상기 저장된 물 사용량, 사용패턴, 절전기능 수행 이력,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물 순환률, 물 순환률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부(230)를 통해 살균주기를 변경하는 입력이 제공되면, 상기 살균주기를 변경하는 입력에 따른 살균주기 변경 신호를 정수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15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tored water usage, usage pattern, power saving function performance, The water circulation rate, and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water circulation rate, and when the input for changing the sterilization cycle is provided through the input unit 230, A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water purifier 100. [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수신한 물 사용량, 사용패턴, 절전기능 수행 이력,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물 순환률, 물 순환률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2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received water usage amount, usage pattern, history of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on history of sterilization operation, water circulation rate, and information on a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water circulation rate hav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2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정보를 표 또는 그래프와 같은 형태로 가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220 may process and display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table or graph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살균주기를 상기 권장 살균주기로 변경하는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권장 살균주기로 변경하는 입력에 따른 살균주기 변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230 may be provided with an input for changing the predetermined sterilization cycle from the user to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nd may generate a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o be changed to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정수기
110: 물 사용량 감지부
120: 전원공급부
130: 살균부
140: 제어부
150: 제2 통신부
200: 무선 단말기
210: 제1 통신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입력부
100: water purifier
110: Water usage detection unit
120: Power supply
130: sterilizing unit
140:
150: second communication section
200: Wireless terminal
210: first communication section
220:
230: Input unit

Claims (13)

물 사용량을 감지하며, 동작이력에 따른 사용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하며,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살균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정수기; 및
상기 정수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무선 단말기;
를 포함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A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operation history, a power saving function based on the usage pattern, a sterilization oper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a usage pattern of the water usage pattern, the usage pattern, A purifier for storing at least one of a history and a histor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history; And
A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water usage, the usage pattern, the history of the power saving function, and the histor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And a water purif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사용패턴을 산출하며,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 동안 상기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that calculates a usage pattern by dividing the operation history by a predetermined cycle unit, detects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is not used based on the usage pattern, and performs the power saving function for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is not used,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주기별 평균 절전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기 설정된 주기별 평균 절전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2,
Calculating the average power saving time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by us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history received from the water purifier, and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power saving time for each predetermined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물 사용량을 이용하여 순환율을 산출하며, 상기 순환율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Calculating a net exchange rate using the water usage amount, and calculating and storing a recommended disinfection cycle according to the net exchange r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순환율, 기 설정된 살균주기 및 상기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수신한 물 사용량, 순환율, 기 설정된 살균주기 및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기 설정된 살균주기를 상기 권장 살균주기로 변경하는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살균주기를 변경하는 입력이 제공되면, 상기 살균주기를 변경하는 입력에 따른 살균주기 변경 신호를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5. 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4,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water usage, the circulation rate, the preset disinfection period and the recommended disinfection period from the water purifi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received water usage, the circulation rate, the preset sterilization cycle, and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nd
An input for receiving an input to change the predetermined sterilization cycle to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 ≪ / RTI &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for changing the sterilization cycle to the water purifier when an input for changing the sterilization cycle is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살균주기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살균주기를 변경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6.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5,
And changing the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sterilization cycle change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사용량은,
정수 사용량, 냉수 사용량 및 온수 사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usage amount, a cold water usage amount, and a hot water usage amou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1일 평균 물 사용량을 산출하며, 상기 1일 평균 물 사용량에 따른 1일 물 섭취 권장량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Calculating a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calculating and storing a daily water intake recommend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1일 평균 물 사용량 및 상기 1일 평균 물 사용량에 따른 1일 물 섭취 권장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9. The wireless terminal of claim 8,
And the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daily water intake amount according to the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and the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물 사용량을 감지하는 물 사용량 감지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살균수를 생성하여 내부 유로 또는 물탱크를 살균하는 살균부;
동작이력에 따른 사용패턴을 산출하고,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절전기능을 수행하며, 기 설정된 시간마다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살균부를 제어하며,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물 사용량, 상기 사용패턴, 상기 절전기능 수행 이력 및 상기 살균동작 수행 이력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통신부;
를 포함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usage sensing unit for sensing water usag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A sterilizing unit generating sterile water to sterilize the internal flow path or the water tank;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erilizing unit to perform a sterilization operation every predetermined time by calculating a usage pattern according to an operation histor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based on the usage pattern, performing a power saving function, A history of the power saving function, and a history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history;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water usage, the usage pattern, the power saving function execution history, and the sterilization operation history to the wireless terminal when the wireless terminal is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water purifi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사용패턴을 산출하며, 상기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정수기가 사용되지 않은 시간 동안 상기 절전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A usage pattern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operation history by a predetermined cycle unit, a time when the water purifier is not used is detected based on the usage pattern,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 사용량을 이용하여 순환율을 산출하며, 상기 순환율에 따른 권장 살균주기를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로 상기 순환율 및 상기 권장 살균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calculate and transmit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rate using the water usage an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circulation rate and the recommended sterilization cycle to the wireless terminal Water purifier managemen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1일 평균 물 사용량을 산출하며, 상기 1일 평균 물 사용량에 따른 1일 물 섭취 권장량을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로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1일 평균 물 사용량 및 상기 1일 물 섭취 권장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정수기 관리 시스템.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Calculating a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calculating and storing a daily water intake recommend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daily average water use amount, storing the average daily water use amount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of water.

KR1020150110097A 2015-08-04 2015-08-04 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 KR201700170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97A KR20170017042A (en) 2015-08-04 2015-08-04 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97A KR20170017042A (en) 2015-08-04 2015-08-04 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042A true KR20170017042A (en) 2017-02-15

Family

ID=5811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097A KR20170017042A (en) 2015-08-04 2015-08-04 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04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31B1 (en) * 2017-04-18 2018-08-09 (주)구츠 Controlling apparatus for intelligent drinking water device capable of self-diagnosis and remotely controllable internet of thing
KR20190032840A (en) 2017-09-20 2019-03-28 오은경 Maintaining smart manager for water purifier and maintaining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456A (en) 2003-01-18 2004-07-27 주식회사 비에스텍 A water purifier having a function of customer management by communication network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6456A (en) 2003-01-18 2004-07-27 주식회사 비에스텍 A water purifier having a function of customer management by communication networks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31B1 (en) * 2017-04-18 2018-08-09 (주)구츠 Controlling apparatus for intelligent drinking water device capable of self-diagnosis and remotely controllable internet of thing
WO2018194211A1 (en) * 2017-04-18 2018-10-25 (주)구츠 Intelligent drinking water dispenser control device capable of self-diagnosis and remote control on basis of internet of things
KR20190032840A (en) 2017-09-20 2019-03-28 오은경 Maintaining smart manager for water purifier and maintaining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6006547A (en) Combined sterilization indicator incubator and reader system.
DE60119531D1 (en) PROGRAMMABLE HOT WATER HEATING SYSTEM
RU2015156039A (en) PLANT GROWING SYSTEM
CN105757996B (en) The sterilization control method of Teat pump boiler
CA2844215A1 (en) Centralized controller for intelligent control of thermostatically controlled devices
KR20170017042A (en) System for managing water purifier
US2012016047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arallel operation of a multi-water heater
EP346470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anitation agents in a laundry system
KR20180103295A (en)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server
CN105734888A (en) Washing machine and bacteria breeding amount detection method used for washing machine
CN108286811A (en) Water heater and its control method
JP2004360956A (en) Remaining hot water amount display device for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device
US20130309131A1 (en) Dynamic Ultraviolet Lamp Ballast System
ES2934223T3 (en) System for washing, disinfecting and/or sterilizing medical, dental, laboratory and/or pharmaceutical products
JP6193740B2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JP2004283755A (en)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CN111750451B (en) Air sterilizer, air sterilizing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2046487B1 (en) BREASTMILK Pasteurization DEVICE AND APPARATUS THEREWITH
JP6522440B2 (en) Gas meter
AU2014360892B2 (en) Hot water power controller
CN113880030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CN208160541U (en) Water fountain
KR20180076120A (en) Appliance including water tank and sterilization and draining management system thereof
DE102004028115A1 (en) Central processing unit with several clock zones and operating procedures
CN109343604A (en) A kind of onlin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of high-temperature disinfection cabine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