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194A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194A
KR20170016194A KR1020150109632A KR20150109632A KR20170016194A KR 20170016194 A KR20170016194 A KR 20170016194A KR 1020150109632 A KR1020150109632 A KR 1020150109632A KR 20150109632 A KR20150109632 A KR 20150109632A KR 20170016194 A KR20170016194 A KR 2017001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oor
providing unit
image prov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8663B1 (en
Inventor
윤준상
김상오
민들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663B1/en
Publication of KR2017001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Y02B40/30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which compris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in which food is stored; a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nd an image providing unit provided in an upper side of the door. The image providing unit is arranged to protrude more than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An image irradiated 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shown in the front of the door.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전면에 다양한 영상을 도시할 수 있고,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display various images on a front surface of a door and can provide a large screen.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본체의 하부에 기계실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은 냉장고의 무게중심과 조립의 효용성 및 진동저감을 위해 냉장고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Generally, a refrigerator includes a machine room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machine room is general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refrigerator fo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efrigerator, efficiency of assembling, and vibration reduction.

이러한 냉장고의 기계실에는 냉동사이클장치가 설치되어, 저압의 액체상태 냉매가 기체상태의 냉매로 변화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냉장고 내부를 냉동/냉장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게 된다.The refrigerator's machine room is equipped with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which keeps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n a frozen / refrigerated state by using the property of absorbing the external heat while changing the low-pressure liquid refrigerant into gaseous refrigerant, .

상기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장치는 저온저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변화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의 액채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서 변화된 저온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등으로 구성된다.Th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a compressor that changes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to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and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that is changed in the compressor to a high-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for absorbing external heat while changing the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changed in the condenser to a gaseous state.

냉장고에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서 엘시디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엘시디는 비용이 높기 때문에 화면의 크기가 크지 않고, 작은 화면의 크기로 인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정보의 종류도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엘시디에는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 등, 냉장고에 관련된 정보만을 도시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엘시디를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In the refrigerator, a display such as an LCD may be installed to provide images to the user. However, due to the high cost of the LCD, the size of the screen is not so large, and the size of the small screen limits the kinds of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particular, since only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such as foods stored in the refrigerator, is displayed in the LCD, in general, the range in which the user can utilize the LCD is inevitably limi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어 전면에 다양한 영상을 도시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display various images on a door.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다양한 영상을 도시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that can display various images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보다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ovide a larger screen than the prior 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측에 구비되는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해서, 상기 도어의 전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조사된 영상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chamber in which food is stor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And an image provid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where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door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the image irradiated 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A refrigerator is provided.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도어의 좌우폭을 기준으로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에 의해서 도시되는 영상은 상기 도어의 좌우폭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image providing unit may be centrally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width of the door, and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may be centrally disposed on the basis of the width of the door, and may be disposed below the image providing unit.

상기 영상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 영상 수신부와,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을 도시하는 디엘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mag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wireless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 image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the received image, and a de-esse module that displays the processed image.

상기 디엘피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하는 디엠디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디엘피 모듈에서 도시되는 영상의 배율 및 초점을 조정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e-interlacing module includes an LED for generating light and a DMD device for reflect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and the image providing unit includes a lens for adjusting magnification and focus of the image shown in the de- It is possible to include.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디엘피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보다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영상이 상기 도어의 전면에 맺히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해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다.Wherein the image providing unit includes a reflecting unit that reflects an image provided by the deck module, the reflecting unit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forwar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It is possible to reflect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상기 도어는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이 맺혀서 도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평한 면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oor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n image irradiated in the image provid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flat surface having a rectangular shape.

상기 표시부에 상기 평평한 면은 동일한 하나의 색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The fla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of one and the same color.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상단보다 상기 표시부의 하단이 돌출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may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상기 캐비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binet may include a machine room hav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 제공부에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전송받은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해서 영상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service, Receiving an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image providing unit; And displaying the transferred imag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in the image providing unit, where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irradiates the image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As shown in FIG.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인 것이 가능하다.The wireless network may be Wi-Fi or Bluetooth.

전송된 영상이 도시되는 단계는, 디엘피 모듈을 통해서 영상이 도시되고, 도시된 영상은 반사부를 통해서 반사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 도달되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transmitted image, the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e-elpe module, and the displayed image is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or and reaches the front of the door and is displayed.

전송된 영상이 도시되는 단계는, 디엘피 모듈을 통해서 영상이 도시되고, 도시된 영상은 렌즈를 통해서 배율 및 초점이 조정되어 도어의 전면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transmitted image, the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e-elpe module, and the displayed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by adjusting magnification and focus through the lens.

상기 디엘피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하는 디엠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e LP module may include an LED that generates light and a DMD device that reflects light generated by the LED.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는 상술한 단계의 수행 여부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hat provides col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independently drive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above steps are per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가 설치된 주방 공간에 엔터테인먼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image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n entertainment environment can be provided in a kitchen space provided with a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의 도어에 영상을 도시하기 때문에, 영상을 도시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pace for displaying the image is not required, and the kitchen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폭 만큼의 폭을 가지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 및 영상이 다양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having a width as much as the width of the refrigerator door can be provided, so that information and images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can be divers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2는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영상 제공부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영상 제공부의 외관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영상 제공부에서의 흐름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entire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video providing uni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ppearance of a video providing uni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ow in image data providing.
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exampl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0),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도어(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영상 제공부(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embodiment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a storage room for storing food, a door 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room, and an image providing unit 100 provided on the door 20 .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을 향해서, 상기 도어(20)의 전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조사된 영상은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도시된다.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dispos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door 20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10 and the image irradiat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transm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Lt; / RTI >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빔 프로젝터의 형태로,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조사되는 영상이 공기를 거쳐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표시된다.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a beam projector, and an image irradiat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through the air.

따라서, 상기 도어(20)에는 엘시디 등과 같이 자체적으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제작할 때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기 위해서 도어의 내부에 단열재의 두께가 얇아지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door 20 is not provided with a display capable of reproducing images on its own, such as an LCD. Therefore, since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does not become thinner inside the door for installing the display when the door 20 is manufactured,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doo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전원이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기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도어(20)의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n electric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or data to the display mounted on the door 20, the door 20 can be easily manufactured.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도어(20)의 상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20)가 회전될 때에 상기 도어(20)와 함께 상기 영상 제공부(100)가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도어(20)의 전면 보다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installed on the door 20 so that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door 20 when the door 20 is rotated. Of course,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0, but may be arrang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조사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표시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조사되는 영상이 맺혀서 도시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30)는 전기가 공급되어서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전기장치가 아니고,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반사해서 관련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현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30)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illuminat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an image to be illuminat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30 is not an electric device that displays electricity by supplying electric power, and reflects the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to display a related image to the user.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영상 제공부(1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도시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평한 면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영상이 제공되는데, 상기 표시부(30)에서 관련 영상을 전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0 is provided under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The display unit 30 may include a flat surface having a rectangular shape so that an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may be displayed. In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a rectangular image is provided, and the display unit 30 can display the related image as a whole.

상기 표시부(30)에 제공되는 평평한 면은 동일한 하나의 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냉장고에 관련된 정보는 물론,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전달되는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표시부(30)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30)를 통해서 영상의 왜곡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The flat surfac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30 may have the same one color.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can provide various image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s well a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Since the display unit 30 has a uniform color as a whole, The distortion of the image is not generated.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도어(20)의 좌우폭을 기준으로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 의해서 도시되는 영상은 상기 도어(20)의 좌우폭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image providing part 100 is install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door 20 and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providing part 100 is dispos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door 20 , And may be disposed under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도어(20)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는 하방을 향해서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Since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20,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provides the image downward.

상기 도어(20)의 좌우폭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면, 상기 표시부(30)의 폭이 넓게 확보될 수 있어서, 보다 큰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door 20 is dispos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door 20, the width of the display unit 30 can be increased, thereby providing a larger screen to the user.

종래 기술처럼, 디스플레이가 도어에 설치되는 형태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질 때에 가격도 상승하지만, 디스플레이가 도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기 때문에 도어에 충진되는 단열재의 형상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다.As in the prior art, the form in which the display is installed on the door increases in price when the size of the display becomes larger, but affects the shap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 the door because the space occupied by the display becomes larger.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size of the display.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부(30)는 전기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30)가 도어(20)의 폭과 동일한 크기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unit 30 is not an electric device, the display unit 30 can be extended to the same width as the door 20.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상기 영상 제공부(100)를 통해서 상기 표시부(30)에 표시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so that an image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have.

한편 상기 캐비닛(10)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냉매를 압축할 수 있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를 통해서 구동되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서 상기 저장실에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room in which foods are stored and a machine room in which a compressor capable of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s provided. And cold air can be supplied to the storage compartment by a refrigeration cycle driven through the compressor.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고, 상기 압축기는 저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와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압축기에 관련된 정보나, 구동여부 등이 상기 영상 제공부(10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Since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provides an image to the user and the compressor functions to cool the storage room, the compressor and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pressor, whether it is driven, or the lik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도 2는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사용자 단말기(200)로 사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can be used as a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사용자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출력부(240), 메모리(250), 인터페이스부(260), 단말기 제어부(270) 및 전원 공급부(2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n output unit 240, a memory 250, an interface unit 260, A power supply unit 270, a power supply unit 280, and the like. 2 are not essential, a user terminal 2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무선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사용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수신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user terminal 2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is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4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221 and a microphone 222. The camera 2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241. [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5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2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5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t least two cameras 2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2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elimina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2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3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by the user.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출력부(2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41), 음향 출력 모듈(242), 알람부(243), 및 햅틱 모듈(24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240 includes an output unit 241, an audio output module 242, an alarm unit 243, a haptic module 244, and the like,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

디스플레이부(241)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4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it displays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or UI and GUI.

디스플레이부(2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4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24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us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s 200 may have a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241, which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disposed integrally with one another, and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24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241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4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4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4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41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단말기 제어부(270)로 전송한다. 이로써, 단말기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270. Thus, the terminal control unit 27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241 is touched or the like.

음향 출력 모듈(24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42)은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4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242 can receive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5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or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242 also outputs sound signals associated with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tones, message reception tones, etc.)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200. The audio output module 24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243)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4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41)나 음성 출력 모듈(24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41,242)은 알람부(24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24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occurrence of an event.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243 may output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a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can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section 241 or the audio output module 24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section 243. [

햅틱 모듈(haptic module)(24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4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24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24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4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44 are controllable.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메모리(250)는 단말기 제어부(27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2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5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27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25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s and sounds of various patterns output upon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2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25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user terminal 2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storage functions of the memory 25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26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6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60 serves as a path to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e interface unit 26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user terminal 200 or allows data in the user terminal 20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260.

식별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gener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port.

단말기 제어부(controller, 27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부(27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7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71)은 단말기 제어부(27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단말기 제어부(27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27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terminal control unit 27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27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271 may be implemented in the terminal control unit 27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terminal control unit 270.

상기 단말기 제어부(27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 unit 270 can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28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8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7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단말기의 회전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컴퍼스 센서(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퍼스 센서(290)는 방위를 파악할 수 있는 나침반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회전된 방향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이 동서남북 등의 여러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컴퍼스 센서(29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회전된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mpass sensor 290 that can sense the rotated direction of the terminal. The compass sensor 290 may refer to a compass sensor capable of determining the bearing. In this case, the rotated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mean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looks at the user holding the user terminal 200 is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the east, west, north, and so on. Therefore, the compass sensor 290 can grasp the rotated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상기 컴퍼스 센서(290)는 감지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회전된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mpass sensor 29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nsed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controller 270.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단말기의 기울어진 방향과 기울어질 때에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울기 센서(280)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tilt sensor 280 that can measure acceleration when tilted with respect to the tilted direction of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tilt sensor 280 may include a gyro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상기 기울기 센서(28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울어진 방향과 해당 방향으로 기울어질 때에 가속도값을 상기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The tilt sensor 280 may transmit the acceleration value to the controller 270 when the tilt sensor 280 tilts to the tilted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

상기 기울기 센서(280)와 상기 컴퍼스 센서(290)는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tilt sensor 280 and the compass sensor 290 are widely used components in general user terminal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 영상 수신부(110)와,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20)와, 처리된 영상을 도시하는 디엘피 모듈(130)을 포함한다.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ncludes a wireless image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 image processing unit 120 for processing the received image, Module 130 as shown in FIG.

상기 무선 영상 수신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 즉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wireless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such as Wi-Fi or Bluetooth.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서는 전달받은 영상에 대해서 오류 보정이나 색깔 보정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perform error correction, color correction, and the like on the received image.

상기 디엘피 모듈(130)은,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132)와, 상기 엘이디(132)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하는 디엠디 소자(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 LP module 130 may include an LED 132 for generating light and a DMD element 134 for reflecti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132.

디엘피(디지털 광학 기술) 방식은 시스템의 심장부인 표시 디바이스에 이엠디(DMD)를 채용한다. 이것은 표면에 극소의 거울을 무수히 배치한 칩으로, 거울 하나가 화소(pixel) 하나에 대응되는 것으로, 기존의 브라운관 방식이나 액정 방식, 플라스마 방식과 완전히 다른 투사 방식이다. 디엘피 모듈(130)은 1픽셀에 14∼16㎛(Micromirror:깨알의 500분의 1 크기)의 초소형 거울이 신호에 따라 반사 각도를 조절하며 이미지를 구현한다. 거울과 거울 사이의 간격은 1㎛로 매우 촘촘하여 고선명(H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엘피 모듈에 의하면 초소형의 거울이 색과 그러데이션을 표현하면서 색 번짐이나 얼룩짐은 없고, 화면 중앙부와 주변부의 색과 밝기의 균일성이 우수하여 안정적이다.DeLipi (digital optical technology) adopts the EMD (DMD) for the display device which is the heart of the system. This is a chip in which a very small number of mirror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and one mirror corresponds to one pixel, which is a completely different projection system from the conventional CRT method, liquid crystal method and plasma method. The de-elem module 130 implements an image by adjusting the angle of reflection according to a signal, which is an ultra-small mirror of 14 to 16 占 퐉 (Micromirror: 1 / 500th of a micron) per pixel. The gap between the mirror and the mirror is very close to 1 탆 and can provide a high definition (HD) image. Also, according to the DLP module, the ultra-small mirror exhibits color and gradation, and there is no color smearing or unevenness, and the color and brightness uniformity of the center and periphery of the screen is excellent and stable.

디엠디 소자는 반사 디바이스로 더욱이 반사 효율이 높기 때문에 소자 자체에 남는 에너지가 거의 없다. 이 때문에 정지 화면과 문자 정보, 도면 등과 같은 고정 버튼을 장시간 계속해서 표시해도 다른 표시 방식에서 발생하는 달라붙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자계(磁界)의 영향에 의한 색 번짐이나 화상의 일그러짐도 없고, 본래의 화상과 영상을 충실하고 정확히 재현할 수 있다.The DMD device is a reflective device, and because of its high reflection efficiency, there is little energy remaining in the device itself. Therefore, even if the fixed buttons such as the still image,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drawing are continuously displayed for a long time, the sticking phenomenon occurring in other display systems does not occur. In addition, there is no color blurring or distortion of images due to the influence of a magnetic field, and original images and images can be faithfully and accurately reproduced.

한편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디엘피 모듈(130)에서 도시되는 영상의 배율 및 초점을 조정하는 렌즈(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140)는 상기 디엘피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투과시키면서, 배율 및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may include a lens 140 for adjusting magnification and focus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e-eloping module 130. The lens 140 may change magnification and focus while transmitting an image irradiated by the de-elip module 130.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디엘피 모듈(130)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반사하는 반사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부(150)는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전체적으로 반사해서, 상기 도어(20)의 전면, 즉 상기 표시부(30)에 안내될 수 있도록 영상의 이동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ncludes a reflector 150 for reflecting an image provided by the de-interlacing module 130. [ The reflection unit 150 may reflect the image irradiat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and chang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mage so as to be gui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have.

도 4는 영상 제공부의 외관을 설명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pearance of the image providing unit.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구성 부품이 설치되는 본체(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2)에는 상기 무선 영상 수신부(110), 상기 영상 처리부(120) 및 상기 디엘피 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The image providing unit 100 may include a main body 102 on which components are installed. The main body 102 may include the wireless video receiving unit 110, the video processing unit 120, and the decklip module 130.

상기 본체(102)의 전방에는 상기 렌즈(140)가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14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2.

상기 렌즈(140)의 전방에는 상기 반사부(150)가 마련된다. The reflector 15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ens 140.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상기 반사부(150)는 최전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조사되는 영상의 조사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In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the reflecting unit 150 may be installed at the foremost position to change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image irradiat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특히 상기 반사부(15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보다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사부(150)는 영상이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맺히도록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향해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reflective portion 150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and the reflective portion 15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so that an imag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As shown in Fig.

상기 반사부(150)가 상기 도어(20)의 전면보다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디엘피 모듈(130)에서 조사되는 영상은 상기 반사부(150)에서 반사되어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맺히도록 이동경로가 변화될 수 있다. The reflection portion 150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so that the image irradiated by the de LP module 130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ortion 150 and is converg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The movement path may be chang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구성요소보다 상기 반사부(150)가 최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영상이 맺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lective portion 150 is disposed at the foremost position relative to other components, so that the image can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도 5는 영상 제공부에서의 흐름을 설명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in the image providing section.

우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연결된다.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by a wireless network.

이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와이파이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미러링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설정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user terminal 200 can activate the Wi-Fi function and set the user terminal 200 to enable mirroring.

그리고 와이파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상기 영상 제공부(100)를 검색하고, 검색이 완료되면 연결을 시도한다. Then, the user terminal 200 searches for the video data providing unit 100 through the Wi-Fi network, and attempts to connect when the search is completed.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영상 제공부(100)가 연결되면, 와이파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정보가 상기 영상 제공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영상이 상기 영상 제공부(100)로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are connecte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through Wi-Fi. That is, the image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moved to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영상은 일반적인 동영상 등,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mage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such as general moving image.

와이파이 이외에 불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도 상술한 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영상 제공부(100)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onnect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f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기 영상 제공부(100)가 연결되면, 상기 무선 영상 수신부(110)에서 영상을 수신한다(S10). 이때 상기 무선 영상 수신부(110)는 와이파이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1:1로 받아들일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are connected, the wireless imag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image (S10). At this time, the wireless video receiving unit 110 can receiv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a 1: 1 manner via Wi-Fi.

상기 무선 영상 수신부(110)는 HDMI(High Definition Media Interface)를 통해서 영상 정보를 상기 영상 처리부(120)로 이동시킬 수 있다(S14). The wireless image receiving unit 110 may move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through an HDMI (High Definition Media Interface) (S14).

상기 영상 처리부(120)에서는 입력받은 영상을 키스톤 보정을 할 수 있다(S16).The image processing unit 120 can perform keystone correction on the input image (S16).

상기 디엘피 모듈(130)에서는 상기 엘이디(132)를 통해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디엠디 소자(134)에 의해서 반사시켜서 영상을 만들 수 있다(S20).In the de-elpe module 130, light emitted through the LED 132 may be reflected by the DMD element 134 to form an image (S20).

그리고 영상이 상기 렌즈(140)를 통과하면서 일정 배율로 확대하고, 거리에 따른 상 맺힘을 위해서 초점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S24).Then, the image is enlarged at a certain magnifica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lens 140,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cus for image 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S24).

상기 렌즈(140)를 통과한 영상은 상기 반사부(150)에서 반사되어서, 상기 표시부(30)에 맺히도록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S28).The image having passed through the lens 140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unit 150 and can be turned to converge on the display unit 30 (S28).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영상은 상기 영상 제공부(100)로 이동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100) 내에서 가공된 후에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도시된다.The image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200 is moved to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and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door after being processed in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맺히는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영상 제공부(100)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제공되는 영상이 맺히는 면을 제공할 뿐이다.The display unit 30 which is provided with the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or the user terminal 2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Only.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상기 압축기는 상술한 단계의 수행 여부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hat provides col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independently drive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above-described steps are performed.

도 6은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exampl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30)의 상단보다 상기 표시부(30)의 하단이 돌출되도록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unit 30 may be incli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and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3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30.

상기 영상 제공부(100)는 상기 표시부(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부(30) 즉 하방을 향해서 영상을 조사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30)에 영상이 맺히기 위해서는 상기 표시부(30)가 상기 영상 제공부(100), 즉 상기 반사부(150)를 향해서 면이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unit 30 and irradiates the image downward to the display unit 30. In order for the image to be formed on the display unit 30, It is possible for the surface of the image providing part 100, that is, the reflecting part 150 to be inclined.

변형례에 따르면 상기 영상 제공부(100)에서 제공되는 영상은 상기 표시부(30)에 맺히기 쉽기 때문에 상기 렌즈(140)나 상기 반사부(150)의 배치가 상대적으로 간단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since the image provid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100 is easily formed on the display unit 30, the arrangement of the lens 140 and the reflection unit 150 can be relatively simplifi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캐비닛 20: 도어
30: 표시부 100: 영상 제공부
110: 무선 영상 수신부 120: 영상 처리부
130: 디엘피 모듈 150: 반사부
200: 사용자 단말기
10: cabinet 20: door
30: Display unit 100:
110: wireless image receiving unit 120: image processing unit
130: Dielphia module 150: Reflective part
200: User terminal

Claims (15)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측에 구비되는 영상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해서, 상기 도어의 전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조사된 영상은 상기 도어의 전면에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room in which food is store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room;
And an image provid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Where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door toward the front of the cabinet,
Wherein the image irradiated 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도어의 좌우폭을 기준으로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에 의해서 도시되는 영상은 상기 도어의 좌우폭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 제공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centrally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width of the door,
Wherein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door, and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mage provid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수신하는 무선 영상 수신부와,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을 도시하는 디엘피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providing unit,
A wireless video receiver for receiv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a user terminal;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image,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e-esse module showing a processed im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엘피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하는 디엠디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디엘피 모듈에서 도시되는 영상의 배율 및 초점을 조정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3,
The de-
An LED that generates light,
And a DMD element for reflect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ED,
Wherein the image providing unit includes a lens for adjusting a magnification and a focus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de-elip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디엘피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보다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사부는 영상이 상기 도어의 전면에 맺히도록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해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mage providing unit,
And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image provided by the de-interlacing module,
Wherein the reflection portion is dispos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the reflection portion is reflected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so that an imag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이 맺혀서 도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평평한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includes a display unit in which an image to be illuminated 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displayed,
Wherein the display unit has a flat surface having a rectangular sha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평평한 면은 동일한 하나의 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la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is formed of one and the same col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도어의 전면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상단보다 상기 표시부의 하단이 돌출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obliquely to the front of the door, and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an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binet includes a machine room having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 제공부에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전송받은 영상을 상기 영상 제공부에서 냉장고 도어의 전면에 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제공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도어의 전면을 향해서 영상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mage providing unit by a wireless network;
Receiving an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in the image providing uni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mag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in the image providing unit,
Wherein the image providing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and irradiates the imag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do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wireless network is Wi-Fi or Bluetooth.
제11항에 있어서,
전송된 영상이 도시되는 단계는,
디엘피 모듈을 통해서 영상이 도시되고,
도시된 영상은 반사부를 통해서 반사되고, 상기 도어의 전면에 도달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displaying the transmitted image comprises:
An image is displayed through a de-interleaved module,
Wherein the displayed image is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or and reache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to be displayed.
제11항에 있어서,
전송된 영상이 도시되는 단계는,
디엘피 모듈을 통해서 영상이 도시되고,
도시된 영상은 렌즈를 통해서 배율 및 초점이 조정되어 도어의 전면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displaying the transmitted image comprises:
An image is displayed through a de-interleaved module,
Wherein the displayed im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by adjusting magnification and focus through a le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엘피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하는 디엠디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
An LED that generates light,
And a DMD element for reflect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ED.
제10항에 있어서,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는 상술한 단계의 수행 여부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that provides col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 is independently drive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step is performed.
KR1020150109632A 2015-08-03 2015-08-03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5686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32A KR102568663B1 (en) 2015-08-03 2015-08-03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32A KR102568663B1 (en) 2015-08-03 2015-08-03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194A true KR20170016194A (en) 2017-02-13
KR102568663B1 KR102568663B1 (en) 2023-08-22

Family

ID=5815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32A KR102568663B1 (en) 2015-08-03 2015-08-03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6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12A1 (en)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providing image using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469A (en) * 2000-06-19 2002-01-31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for installing display in refrigerator
KR20070033147A (en)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Monitoring System Hav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08244A (en) * 2006-07-19 2008-01-23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ojector optical system
KR101088000B1 (en) * 2011-02-21 2011-12-01 이승원 Electronic board with projector
JP2014240730A (en) * 2013-06-12 2014-12-25 株式会社東芝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469A (en) * 2000-06-19 2002-01-31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for installing display in refrigerator
KR20070033147A (en)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Monitoring System Having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08244A (en) * 2006-07-19 2008-01-23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ojector optical system
KR101088000B1 (en) * 2011-02-21 2011-12-01 이승원 Electronic board with projector
JP2014240730A (en) * 2013-06-12 2014-12-25 株式会社東芝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12A1 (en)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providing image using proj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663B1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0596B1 (en) Indoor lighting device, indoor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883376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2552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20517976A (en) Display panel, photoelectric detec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3784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43381B2 (en) Employing AR element on preview screen to control lamp or curtain
KR101654723B1 (en) Mobile terminal
KR102125445B1 (en) Damper device with multiple kind damping parts for video camera
KR20170115186A (en) POV(Point of View) Globe using LED after-image
KR10256866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571169B1 (en) Camera module assembly for optical stabilizer and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obtaining image by using mobile terminal
KR20170116619A (en) Virtual electronic display using mobile terminal and server
US9438884B2 (en)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KR101873412B1 (en) Mobile terminal and holography controll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1844231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AN IMAGE THEREOF
KR20180006580A (en) Smart clothes displaying pattern and color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17863B1 (en) Smart umbrell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4139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KR101608781B1 (en) Mobile terminal
CN106254919B (en) The method of adjustment and device of smart television working condition
CN112578859B (en) Backlight control method and notebook computer
KR20090124168A (en) Terminal
KR10171186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637419B1 (en) Mobile terminal and 3D image conversion method thereof
KR101584547B1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