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395A - 의료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395A
KR20170014395A KR1020150107718A KR20150107718A KR20170014395A KR 20170014395 A KR20170014395 A KR 20170014395A KR 1020150107718 A KR1020150107718 A KR 1020150107718A KR 20150107718 A KR20150107718 A KR 20150107718A KR 20170014395 A KR20170014395 A KR 2017001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eck
noise
housing
nois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경구
양소라
정심관
조재문
정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7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395A/ko
Priority to US15/183,683 priority patent/US20170027542A1/en
Publication of KR2017001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11Device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05Device being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A61B8/546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involving monitoring or regulation of device temperatur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in systems with fluid flow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7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0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e.g. for generating an i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소음저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목(neck)과 공동(cavity)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는 의료영상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목과 공동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의료영상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능동적으로 제거하여 의료영상장치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영상장치{MEDICAL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소음 저감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영상장치는 일정한 에너지를 투과하면 인체 내의 밀도와 성질에 따라 입사, 반사, 또는 투과되는 특징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는 장치이다. 과거 수십 년간 방사선의 응용이 유일한 의료영상이었으나, 최근에는 초음파, 자기장, 레이저 등을 이용한 다양한 의료영상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의료영상장치의 일 예로서 초음파 영상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목표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침습 없이 얻는 장치이다.
초음파 영상장치는 X선 진단장치, X선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MRI(Magnetic Resonance Image),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영상진단장치와 비교할 때, 소형이고 저렴하며, 실시간으로 표시 가능하고, 방사선 등의 피폭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므로,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내부에 장착된 팬의 유동소음을 줄이는 소음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장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목(neck)과 공동(cavity)를 포함하고, 상기 목과 상기 공동은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부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료영상처리를 위한 처리유닛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음저감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의 상기 목은 상기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은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제1부분 및 상기 공동이 연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 또는 상기 제2부분은 중공의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또는 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면에 상기 목과 연결되는 중공의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은, 상기 장착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분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공동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2부분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상기 목의 상기 제2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복수의 목과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목의 상기 제1부분의 외경 또는 외벽을 포함한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은 일정하고, 상기 복수의 목의 상기 제1부분의 내경 또는 외벽을 제외한 중공부분의 단면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동의 연결부의 외경 또는 외벽을 포함한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은 일정하고, 상기 복수의 공동의 내부 부피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소음저감장치가 통할 수 있는 개구와,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고, 상기 소음저감장치의 상기 목이 연결될 수 있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의 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목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처리유닛에 의해 발생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플랫폼 및 상기 하우징을 감싸고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본체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팬으로 마련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흡기구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팬으로 이동하는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배치된 상기 냉각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유닛은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는 별도의 팬 및 별도의 소음저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장치는 탐지신호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탐지유닛, 상기 탐지유닛으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탐지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처리유닛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처리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 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목(neck)과 공동(cavity)을 포함하고, 상기 목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목과 상기 공동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조합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흡기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장치로 이동하는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영상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목과 공동을 적절하게 조합한 소음저감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의료영상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능동적으로 제거하여 의료영상장치의 정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료영상장치 본체와 본체의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커버를 분리한 본체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커버를 분리한 본체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본체에서 처리유닛 케이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소음저감장치를 분해 및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소음저감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소음저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4의 소음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소음저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장치에 관하여 초음파 영상장치를 의료영상장치의 일 예로 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어 인체 내부를 탐지한 신호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탐지유닛과,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탐지유닛으로부터 전송받은 탐지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처리유닛과, 처리유닛으로부터 변환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출력유닛과, 각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장치의 일 예로서 초음파 영상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영상장치(1)는 본체(2), 탐지유닛으로서 초음파 프로브(3), 제어유닛으로서 입력부(7) 및 출력유닛으로서 디스플레이 부재(8)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부재(8)는 메인 디스플레이(80) 및 서브 디스플레이(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재(8)는 초음파 진단 과정에서 얻어진 초음파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부재(8)는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메인 디스플레이(80)는 초음파 진단 과정에서 얻어진 초음파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81)는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사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8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81)는 브라운관(Cathod Ray Tube:CRT),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80)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81)는 본체(2)과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본체(2)과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초음파 영상장치(1)는 이동 유닛(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유닛(9)은 본체(2)와 디스플레이 부재(8)를 연결할 수 있다. 이동 유닛(9)은 디스플레이 부재(8)가 본체(2)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 유닛(9)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부재(8)는 본체(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체(2)에는 입력부(7)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7)는 키보드(keyboard), 버튼, 다이얼, 풋 스위치(foot switch) 또는 풋 페달(foot pedal)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7)가 키보드인 경우 본체(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7)가 풋 스위치 또는 풋 페달인 경우 본체(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검사자는 입력부(7)를 통해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7)는 키보드, 버튼, 다이얼 등이 입력 패널(70)에 구비되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패널(70)은 본체(2)에 장착될 수 있다. 입력 패널(70)의 일측에는 핸들부(7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71)를 잡고 힘을 가해 초음파 영상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3)는 연결부재(5)에 의해 본체(2)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는 케이블(50) 및 커넥터(51)를 포함한다. 케이블(50)의 일측에는 초음파 프로브(3)가 구비되고, 케이블(50)의 타측에는 커넥터(51)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51)는 본체(2)에 구비된 접속부(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초음파 프로브(3)와 본체(2)이 연결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장치(1)의 일측에는 초음파 프로브(3)가 본체(2)에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부(4)가 마련될 수 있다. 검사자는 초음파 영상 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초음파 프로브(3)를 거치부(4)에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일례로, 거치부(4)는, 입력 패널(70)에 초음파 프로브(3)의 손잡이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3)는 입력 패널(7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됨으로써 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거치부(4)는 본체(2)에 장착되는 홀더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3)는 홀더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본체(2)에는, 사용자가 잡고 초음파 영상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핸들부(21, 71)가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핸들부(21, 71)는 본체(2)의 전방 측에 구비된 제1핸들부(71) 및 본체(2)의 후방 측에 구비된 제2 핸들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부(71)는 입력 패널(7)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핸들부(21)는 본체(2)의 후방에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체(2)에는 초음파 영상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캐스터(caster: 22, 23)가 마련될 수 있다. 캐스터(22, 23)는 본체(2)를 특정 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정렬(정렬 이동 모드)되거나,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구비(프리이동 모드)되거나, 본체(2)이 특정 위치에 정지되도록 록킹(정지 모드)될 수 있다.
캐스터(22, 23)는 제1 캐스터(22) 및 제2 캐스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7) 및 디스플레이 부재(8)가 위치한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이와 대향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하면, 제1 캐스터(22)는 본체(2)의 전방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캐스터(23)는 본체(2)의 후방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캐스터(22)는 본체(2)의 전방 측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 캐스터(23)는 제1 캐스터(22)에 대응되도록 본체(2)의 후방 측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체(2)에는, 캐스터(22,23)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25)는 도 1에서와 같이 풋 페달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버튼, 다이얼 등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발로 풋 페달(25)을 밟아 조작한 후 제1 핸들부(71)를 잡고 초음파 영상장치(1)를 이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100)가 배치된 의료영상장치의 본체(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의료영상장치 본체와 본체의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커버를 분리한 본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버를 분리한 본체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본체에서 처리유닛 케이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영상장치(1)의 본체(2)는 내부에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하우징(6)과, 하우징(6)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플랫폼(60)과, 본체(2)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는 하우징(6)의 좌측면, 우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측면커버(27)와, 하우징(6)의 상면을 덮는 상면커버(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커버(26)에는 입력 패널(70)과 디스플레이 부재(8)등을 지지하는 지지부(29)가 연결될 수 있고, 측면커버(27)에는 제2 핸들부(21)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랫폼(60)에는 캐스터(22, 23)와 캐스터(22, 23)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처리유닛은 탐지유닛으로부터 전송 받은 탐지신호와 제어유닛으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 등을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PU), 회로소자 등의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6)은 열 배출 및 내부 온도 저감을 위한 냉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2)는 내부의 냉각을 위하여 본체(2) 또는 하우징(6)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흡기구(61)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장치는 본체(2) 또는 하우징(6)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팬(62)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61)로 들어온 외부의 공기는 내부의 높은 온도의 처리장치와 열교환을 한 후 팬(62)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6)의 배면에 팬(62)이 마련될 수 있고, 플랫폼(60)의 저면에 흡기구(61)가 마련될 수 있다. 흡기구(61)와 팬(62)은 하우징(6) 또는 플랫폼(60)의 어느 곳이든지 냉각에 필요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6)에 배치된 팬(62)의 위치에 대응하는 측면커버(27)의 위치에 배기구(28)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2) 또는 하우징(6) 내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장치는 내부의 공간을 울림통으로 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팬(62)은 공기의 유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의료영상장치는 병원의 진료실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 소리에 민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장비의 정숙성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장치는 본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장치가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6)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소음저감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100)는 주로 팬(62)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흡기구(61)로 유입된 공기가 팬(62)으로 이동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100)는 목(neck)과 공동(cavity)을 포함하는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로 마련될 수 있다. 헬름홀츠 공명기는 목과 공동의 형상에 따라 하나의 고유주파수를 가지므로, 소음저감장치는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100)는 목(110)과 공동(120)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원하는 고유주파수를 가지도록 각각 다른 형상의 목(110)과 공동(120)을 조합할 수 있다.
서로 다르게 조합된 둘 이상의 소음저감장치(100)가 배열됨으로써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의료영상장치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가지게 되는데, 목과 공동이 조합 가능하므로 원하는 고유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저감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고, 의료영상장치마다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소음에 능동적으로 대처가 가능하다.
하우징(6) 처리유닛이 수용된 케이스(63)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유닛은 의료영상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장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처리유닛은 각각의 케이스(63)에 수용되어 하우징(6) 또는 본체(2)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63)는 하우징(6)의 후면에서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케이스(63)는 하우징(6)에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손잡이(6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63)는 처리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 시키기 위한 냉각장치(62)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고, 냉각장치(62) 주변에 냉각장치(62)에 의한 유동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장치(100)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소음저감장치를 분해 및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소음저감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소음저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소음저감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소음저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100)는 하우징(6) 또는 케이스(63)의 일면에 마련된 장착부(9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은 장착부(9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공동(120)은 목(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은 장착부(90)와 연결되는 제1부분(111)과 공동(120)이 연결되는 제2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은 중공의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100)의 공동(12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또는 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에 목(110)과 결합할 수 있는 중공의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90)는 하우징(6) 또는 케이스(63)의 내부와 소음저감장치(100)가 통할 수 있는 개구(91)와 개구를 둘러싸고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이 연결될 수 있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의 제1부분(111) 및 제2부분(112)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소음저감장치(100)의 공동(120)의 연결부(121)와 하우징(6) 또는 케이스(63)에 마련된 장착부(90)의 측벽(92)도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의 제1부분(111)과 장착부(90)가 결합하기 위하여 목(110)의 제1부분(111)의 외면과 장착부(90)의 측벽(92)의 내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목(110)의 제2부분(112)과 공동(120)의 연결부(121)가 결합하기 위하여 목(110)의 제2부분(112)의 내면과 공동(120)의 연결부(121)의 외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90)에는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의 제1부분(111)이 일정부분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이 교체 가능하도록, 하우징(6) 또는 케이스(63)에 마련되는 장착부(90)의 내경(Dm)과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의 제1부분(111) 외경(Do1)은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의 제1부분(111)과 하우징(6) 또는 케이스(63)에 마련되는 장착부(90)가 사각기둥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목(110)의 제1부분(111)의 외벽을 포함한 단면의 크기 및 형상과, 장착부(90)의 측벽(92)을 제외한 개구(91)의 크기 및 형상이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소음저감장치(100)의 공동(120)이 교체 가능하도록, 목(110)의 제2부분(112)의 내경(Di2)과 공동(120)의 연결부(121)의 외경(Doc)은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의 제2부분(112)과 공동(120)의 연결부(121)가 사각기둥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목(110)의 제2부분(112)의 외벽을 제외한 중공의 단면의 크기 및 형상과, 공동(120)의 연결부(121)의 외벽을 포함한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이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과 장착부(9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의료영상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소음저감장치(100)의 공동(120)만 교체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과 공동(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의료영상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소음저감장치(100)를 교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소음저감장치(100)의 목(110)과 공동(120)은 의료영상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조합이 가능하도록, 목(110)의 제1부분(111)은 내경(Di1) 또는 외벽을 제외한 중공부분의 단면적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고, 제1부분(111)의 높이(H1)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공동(120)은 내부 부피를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의료영상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이 복수개인 경우, 소음저감장치(100)는 복수의 목(110)과 복수의 공동(120)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6) 또는 케이스(63)도 복수의 장착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장착부(90)는 내경(Dm) 또는 측벽(92)을 제외한 개구(91)의 크기 및 형상이 일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초음파 영상 장치 2: 본체
3: 초음파 프로브 4: 거치부
5: 연결부 6: 하우징
7: 입력부 8: 디스플레이 부재
9: 이동 유닛 20: 접속부
21: 핸들부 22: 제1 캐스터
23: 제2 캐스터 25: 조작부
26: 상면 커버 27: 측면 커버
28: 배기구 29: 지지부
50: 케이블 51: 커넥터
60: 플랫폼 61: 흡기구
62: 팬 63: 케이스
64: 손잡이 70: 입력 패널
80: 메인 디스플레이 81: 서브 디스플레이
90: 장착부 91: 개구
92: 측벽 93: 걸림부
100: 소음저감장치 110: 목(neck)
111: 제1부분 112: 제2부분
120: 공동(cavity) 121: 연결부

Claims (22)

  1.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음저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목(neck)과 공동(cavity)를 포함하고,
    상기 목과 상기 공동은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조합이 가능한 의료영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부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의료영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의료영상처리를 위한 처리유닛;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의료영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음저감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의 상기 목은 상기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료영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은 상기 장착부와 연결되는 제1부분 및 상기 공동이 연결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 또는 상기 제2부분은 중공의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인 의료영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또는 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면에 상기 목과 연결되는 중공의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태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은, 상기 장착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부분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공동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2부분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상기 목의 상기 제2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의료영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복수의 목과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목의 상기 제1부분의 외경 또는 외벽을 포함한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은 일정하고,
    상기 복수의 목의 상기 제1부분의 내경 또는 외벽을 제외한 중공부분의 단면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의료영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동의 연결부의 외경 또는 외벽을 포함한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은 일정하고,
    상기 복수의 공동의 내부 부피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의료영상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소음저감장치가 통할 수 있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둘러싸고, 상기 소음저감장치의 상기 목이 연결될 수 있는 측벽을 포함하는 의료영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측벽의 내면에는 상기 목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의료영상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처리유닛에 의해 발생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의료영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플랫폼; 및
    상기 하우징을 감싸고 상기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커버에는 상기 본체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구가 마련되는 의료영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팬으로 마련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흡기구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팬으로 이동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의료영상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측면에 장착되는 의료영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배치된 상기 냉각장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은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는 별도의 팬 및 별도의 소음저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의료영상장치.
  18. 탐지신호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탐지유닛;
    상기 탐지유닛으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탐지신호를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처리유닛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출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처리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 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는 의료영상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의료영상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목(neck)과 공동(cavity)을 포함하고,
    상기 목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동은 상기 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목과 상기 공동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조합이 가능한 의료영상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흡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장치는 상기 흡기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장치로 이동하는 유로 상에 배치되는 의료영상장치.
KR1020150107718A 2015-07-30 2015-07-30 의료영상장치 KR20170014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18A KR20170014395A (ko) 2015-07-30 2015-07-30 의료영상장치
US15/183,683 US20170027542A1 (en) 2015-07-30 2016-06-15 Medical ima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718A KR20170014395A (ko) 2015-07-30 2015-07-30 의료영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395A true KR20170014395A (ko) 2017-02-08

Family

ID=5788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718A KR20170014395A (ko) 2015-07-30 2015-07-30 의료영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27542A1 (ko)
KR (1) KR20170014395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1280A1 (en) * 2002-12-26 2005-07-28 Fujitsu Limited Silencer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70270694A1 (en) * 2006-04-03 2007-11-22 Laurent Pelissier Modular digital ultrasound imaging system
WO2010073571A1 (ja) * 2008-12-22 2010-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
JP2011080612A (ja) * 2009-10-02 2011-04-21 Fujitsu Ltd 消音装置
US20120215111A1 (en) * 2011-02-18 2012-08-23 Samsung Medison Co., Ltd. Natural exhaustion typ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US10085712B2 (en) * 2014-05-09 2018-10-02 Toshiba Medical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connector of ultrasonic probe
US20170027541A1 (en) * 2015-07-31 2017-02-02 Edan Instruments, Inc. Portable ultrasound c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27542A1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7134B2 (en) Emergency electromagnetic tomography solutions for scanning head
CA3031905C (en) Instrument for acquiring co-registered orthogonal fluorescence and photoacoustic volumetric projections of tissue and methods of its use
US8241220B2 (en) Biplane ultrasound imaging and corresponding transducer
US9585596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medical image and method of adjusting table thereof
US10772601B2 (en)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448055B2 (ja) 超音波内視鏡及び超音波内視鏡の製造方法
WO2014125916A1 (ja) 管状装置の相対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内視鏡装置
KR20170014395A (ko) 의료영상장치
US20170239013A1 (en) Patient reference assembly for an electromagnetic navigation system
KR20140133672A (ko) 초음파 프로브
EP26063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echanical waves into living bodies,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an organ or tissue and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s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aid organ or tissue
CN201996527U (zh) 具有红外线热扫描功能的电子腹腔镜系统
CN102100544A (zh) 具有红外线热扫描功能的胆囊镜系统
JP2000116655A5 (ko)
JP2017086458A (ja) 超音波内視鏡及び超音波内視鏡の製造方法
EP3031398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167811B1 (en) Ultrasonic endosco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49063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프루브
US20160235335A1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ri apparatus
US20170213341A1 (en) Magnetic resonan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10208050A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CN202015156U (zh) 具有红外线热扫描功能的胆囊镜系统
EP3449839A1 (en) Ultrasonic probe
CN110731746A (zh) 一种内窥镜形状推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