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243A - 다기능 욕실 거울 - Google Patents

다기능 욕실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243A
KR20170014243A KR1020150107251A KR20150107251A KR20170014243A KR 20170014243 A KR20170014243 A KR 20170014243A KR 1020150107251 A KR1020150107251 A KR 1020150107251A KR 20150107251 A KR20150107251 A KR 20150107251A KR 20170014243 A KR20170014243 A KR 2017001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source
frame
led light
ho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214B1 (ko
Inventor
이대화
Original Assignee
이대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화 filed Critical 이대화
Priority to KR102015010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2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오피스텔 또는 숙박업소 등의 욕실에 사용되는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거울을 고정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거울 안치부와 광원 안치부 및 수용 공간부를 각기 형성하여 이들을 통해 거울 및 엘이디 광원과 전원제어부 및 컨버터와 스위치 및 감지센서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거울의 배면에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마감커버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감지센서로 인해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백라이트 점등에 의한 장식광의 연출 및 전도열에 의한 거울의 가열로 인해 거울 표면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려한 장식성은 물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프레임과 거울 간의 방수 처리를 통해 거울 전면에서의 습기나 물기로부터 내장의 제어부 및 컨버터와 광원 등이 노출되어 고장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그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것이며, 스위치를 통해 감지센서의 작동 유무 및 광원에 대한 작동 유무를 제어할 수 있어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조립 및 생산성이 뛰어나 대량 생산에 적합한 것은 물론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배면 마감커버의 적용으로 인해 더욱 우수한 방수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욕실 거울 {Bathroom mirrors}
본 발명은 가정이나 오피스텔 또는 숙박업소 등의 욕실에 사용되는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틀체로 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거울을 고정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거울 안치부와 광원 안치부 및 수용 공간부를 각기 형성하여 거울 및 엘이디 광원과 전원제어부 및 컨버터와 스위치, 감지센서 등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엘이디 광원에 의한 백라이트 효과와 더불어 엘이디 광원에서의 발열 작용을 거울로 전도시켜 거울 표면에 대한 김 서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욕실 거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오피스텔 혹은 호텔이나 펜션 및 콘도 등의 숙박 시설의 내부에서 샤워 및 세면 시설이 갖춰진 욕실 또는 화장실에는 사용자를 위한 거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거울은 통상적으로 직사각 형태의 평판형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사각 테두리를 구성하기 위한 틀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의 틀체를 이용하여 내측으로 거울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의 틀체를 이용하여 거울을 벽면에 걸어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거울은 세면대 혹은 샤워기 등으로부터 고온으로 물을 사용하게 되면 수증기 및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해 거울의 표면에 김 서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거울의 표면에 김 서림이 발생하면 거울을 전혀 볼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손이나 수건 등으로 거울을 닦아 내거나 물을 뿌려 상기의 김 서림 상태를 제거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김 서림 제거방법은 지극히 일시적인 시간 동안에만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손이나 수건 및 물로 인해 닦여진 거울 면은 다시 재빠르게 김 서림이 발생하게 되는바,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용자는 거울 면을 닦아내는 불편함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실용신안공고 제20-0175321호와 같이 거울의 배면에 열선을 부착 형성함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하는 열선에 의해 상기의 거울을 가열시켜 거울 면에 발생한 김 서림을 제거하고자 한 욕실용 거울이 안출된 바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997-0068972호와 같이 온수관을 거울 뒷면으로 연장 배설시켜 상기 온수관을 통과하는 온수의 열에 의해 거울 표면의 수증기가 서리를 것을 자동으로 방지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욕실용 거울 수증기서림 방지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공개특허 제2001-0097890호와 같이 거울의 이면에 온수 공급관과 온수 배출관에 연결된 파이프를 배관하여 상기 파이프의 가열로 인해 거울 표면의 결로가 방지되도록 한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욕실용 거울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다양한 김 서림 방지장치를 갖는 욕실용 거울은 김 서림 방지장치가 매우 복잡하게 만들어져 있어 경제성의 측면에서 지극히 불합리한 것이고, 효율성의 측면에서도 과도하게 전원을 사용한다든지 온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거울에 대한 적용이 쉽지 않거나 과도한 설치비가 발생하므로 지극히 불리한 것이다.
더욱이 기존의 김 서림 방지장치가 적용된 욕실용 거울은 상기 김 서림 방지장치가 거울의 배면으로부터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고온 다습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상태의 김 서림 방지장치는 부식이나 경화가 촉진되면서 사용 수명이 지극히 짧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많은 량의 습기 또는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물을 뿌리는 행위 등으로 인해 상기 김 서림 방지장치에 누전이나 쇼트 등이 발생하면서 안전 사고의 위험성은 물론 작동 불능이 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김 서림 방지장치가 적용된 욕실용 거울의 경우 욕실 내부의 콘센트를 이용하여 항상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거나 사용자가 매번 플러그를 분리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전원을 단속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고, 손이 물기가 남은 상태에서 플러그를 꼽거나 제거하는 과정에서 감전 등의 사고가 예측될 수 있어 사용시 상당한 주의를 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압출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거울을 고정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거울 안치부와 광원 안치부 및 수용 공간부를 각기 형성하여 이들을 통해 거울 및 엘이디 광원과 전원제어부 및 컨버터와 스위치 및 감지센서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거울의 배면에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마감커버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거울 및 광원에 대한 빠르고 효과적인 체결은 물론 상기 광원에 의한 거울의 백라이트 효과와 더불어 광원에서의 점등열이 거울로 전도되면서 거울 표면의 김 서림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고, 습기와 물기로부터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전원제어부 및 컨버터 등에 의해 그 사용 수명이 크게 연장되는 특징의 다기능 욕실 거울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출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거울이 고정 형성되는 욕실 거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측으로 거울 안치부가 형성되고 후측에는 광원 안치부와 수용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거울 안치부 상에는 거울이 안치 고정되고 상기 광원 안치부 상에는 엘이디 광원판이 안치 고정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에는 전원 제어부 및 컨버터가 내장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스위치와 감지센서가 각기 장착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 및 컨버터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지센서로 인해 사용자가 접근하면 자동으로 백라이트 점등에 의한 장식광의 연출 및 전도열에 의한 거울의 가열로 인해 거울 표면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려한 장식성은 물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프레임과 거울 간의 방수 처리를 통해 거울 전면에서의 습기나 물기로부터 내장의 제어부 및 컨버터와 광원 등이 노출되어 고장 및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그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것이며, 스위치를 통해 감지센서의 작동 유무 및 광원에 대한 작동 유무를 제어할 수 있어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조립 및 생산성이 뛰어나 대량 생산에 적합한 것은 물론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배면 마감커버의 적용으로 인해 더욱 우수한 방수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정면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요부 분리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정면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의 요부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 거울은 연속하여 생산되는 압출물을 필요 길이만큼 절단하여 직사각이나 정사각 혹은 다각형 및 원형 등으로 만들어지는 프레임(10)의 내측에 거울(20)을 고정 형성함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욕실 거울에 대하여 백라이트에 의한 미려한 장식광의 연출은 물론 거울 표면의 김 서림에 대한 제거 및 발생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더불어 감지센서를 통해 사용자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장식광 및 김 서림 방지가 실현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의 프레임(10)은 전면 및 일측은 평면 형태로 만들어지고 타측에는 거울 안치부(11)가 형성되며 후측에는 광원 안치부(12)와 수용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거울 안치부(11)를 이용하여 거울(20)을 안치 고정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광원 안치부(12)에는 엘이디 광원판(30)을 고정 장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수용 공간부(13)에는 엘이디 광원판(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40) 및 컨버터(50) 등이 내장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프레임(10)의 전면으로는 각기 스위치(60)와 감지센서(61)가 상기 수용 공간부(13)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고정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전원 제어부(40)에 대한 전원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감지센서(61)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엘이디 광원판(3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센서(40)에 의한 자동 전원 공급 과정은 상기 스위치(60)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엘이디 광원판(30)은 넓적한 평판의 기재상에 엘이디 소자(31)가 무수히 배열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고 상기 엘이디 소자(31)는 거울이 아닌 벽체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엘이디 광원판(30)의 중간부는 중공부(32)를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의 중공부(32)는 기재 원판의 중간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기다란 광원판을 사각 형태로 배치하여 중공부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부(32)에는 횡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연속하여 반복되는 금속재의 열전대(33)(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열전대(33)(33')는 엘이디 광원판(30)과 연결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엘이디 소자(31)의 일측과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점등시 고열을 발생하는 엘이디 소자(31)의 점등 열이 상기 열전대(33)(33')로 빠르게 전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거울 안치부(11) 상에는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진 신축탄력재(63)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광원 안치부(12) 상에는 발포 우레탄 혹은 스펀지 등으로 된 쿠션재(64)가 위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거울 안치부(11) 상에 거울(20)을 올려놓되, 상기 거울(20)의 전면 가장자리는 신축탄력재(63) 상에 올려져 있는 상태가 될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엘이디 광원판(30)을 광원 안치부(12) 상에 올려 체결하되, 상기 엘이디 광원판(30)의 저면은 쿠션재(64) 상에 올려져 있는 상태가 연출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별도로 구비된 볼트(62)를 상기 엘이디 광원판(30)이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광원 안치부(12)에 나사 체결시키면 볼트(62)의 체결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엘이디 광원판(30)은 1차적으로 쿠션재(64)를 압박하면서 하향의 가압력을 받게 될 것이고, 상기 엘이디 광원판(30)의 가압력은 거울(20)로 전달되면서 상기 거울(20) 역시 신축탄력재(63)를 가압하면서 거울 안치부(11) 상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거울(20)은 거울 안치부(11)와의 사이에 신축탄력재(63)가 가압에 의해 압축 변형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거울(20)과 거울 안치부(11)의 사이에는 틈새가 전혀 발생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들 틈새를 통해 습기 혹은 물기가 프레임(1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탄력재(63)는 거울 전면에서의 방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쿠션재(64)는 거울(20)과 엘이디 광원판(30)이 탄력적으로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들에 의해 물기에 잦은 노출이 이루어지는 전면부에서의 방수 기능과 함께 프레임(10)과 거울(20)의 직접적인 간섭으로 인한 소음이나 파손 혹은 거울(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엘이디 광원판(30)의 열전대(33)(33')는 엘이디 소자(3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성 회로 패턴을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금속부재를 상기 엘이디 광원판(30) 혹은 엘이디 소자(31)의 일측에 연결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를 이용하여 상,하 반복 혹은 좌,우 반복된 형태로 배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전대(33)(33')는 엘이디 광원판(30)에 의한 거울(20)의 안치 고정시 상기 열전대(33)(33')가 거울(2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엘이디 소자(31)의 점등 열이 상기 열전대(33)(33')를 통해 거울(20)로 빠르게 전달되도록 하여 거울(20)에 대한 가열을 통해 거울 표면의 김 서림이 제거되거나 김 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엘이디 광원판(30)에 대한 전원의 인가 및 엘이디 소자(31) 점등시 프레임(10)과 벽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엘이디의 점등 빛이 새어나오면서 은은하고 미려한 백라이트 효과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엘이디 소자의 점등 열은 열전대(33)(33')를 통해 거울(20)로 전달되면서 거울(20)의 가열로 인해 김 서림이 방지 및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점등 시 고온으로 발열하는 엘이디 소자(31)는 열전대(33)(33')를 통해 빠르게 방열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엘이디 소자(31)에 대한 효율 향상 및 사용 수명에 대한 연장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스위치(60)의 조작을 통해 감지센서(61)를 통해서 전원이 인가되도록 설정하면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엘이디 광원판(30)에 대한 전원이 단락되고 사용자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엘이디 광원판(30)으로 전원을 제공하여 백라이트 효과 및 김 서림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더욱 효율적인 전기 에너지의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욕실 거울은 전면의 신축탄력재(63)에 의해 습기나 물기가 프레임(10)과 거울(20)의 사이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였으나 더욱 우수한 방수 효과를 기대할 목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의 배면부에 별도로 구비된 마감커버(70)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프레임(10)과 거울(20) 배면의 공간부 전체에 대한 방수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고, 이때의 마감커버(70)는 반투명 혹은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에 따라 백라이트 효과는 그대로 연출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또한, 상기의 마감커버(70)는 프레임(10)에 대하여 억지 끼움 형태로 가압에 의해 결합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볼트 혹은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프레임(10)에 밀착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프레임 11 : 거울 안치부
12 : 광원 안치부 13 : 수용 공간부
20 : 거울
30 : 엘이디 광원판 31 : 엘이디 소자
32 : 중공부 33,33' : 열전대
40 : 전원 제어부
50 : 컨버터
60 : 스위치 61 : 감지센서
62 : 볼트 63 : 신축탄력재
64 : 쿠션재
70 : 마감커버

Claims (6)

  1. 압출물을 이용하여 프레임(10)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거울(20)이 고정 형성되는 욕실 거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일측으로 거울 안치부(11)가 형성되고 후측에는 광원 안치부(12)와 수용 공간부(13)를 형성하여, 상기 거울 안치부(11) 상에는 거울(20)이 안치 고정되고 상기 광원 안치부(12) 상에는 엘이디 광원판(30)이 안치 고정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13)에는 전원 제어부(40) 및 컨버터(50)가 내장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는 스위치(60)와 감지센서(61)가 각기 장착되어 상기 전원 제어부(40) 및 컨버터(50)와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욕실 거울.
  2. 제 1항에 있어서,
    거울 안치부(11) 상에 올려진 거울(20)은 엘이디 광원판(30)이 광원 안치부(12) 상에 볼트(62)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엘이디 광원판(30)에 의해 가압 고정되도록 하되,
    엘이디 광원판(30)의 엘이디 소자(31)는 거울(20)의 반대 방향인 벽체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엘이디 소자(31)에 의한 벽체 조명을 이용한 백라이트 효과가 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욕실 거울.
  3. 제 1항에 있어서,
    거울 안치부(11) 상에는 신축탄력재(63)를 안치 형성하여 상기 거울(20)이 신축탄력재(63)를 가압하며 거울 안치부(11)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욕실 거울.
  4. 제 1항에 있어서,
    광원 안치부(12) 상에는 쿠션재(64)를 안치 형성하여 상기 엘이디 광원판(30)이 쿠션재(64)를 가압하며 광원 안치부(12) 상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욕실 거울.
  5. 제 1항에 있어서,
    엘이디 광원판(30)은 중간부에 중공부(32)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32)에는 엘이디 광원판(30) 상에 실장된 엘이디 소자(31)의 점등열을 전도시키기 위한 열전대(33)(33')를 상,하로 반복 형성하며, 상기 열전대(33)(33')는 거울(2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욕실 거울.
  6.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10)의 배면에는 마감커버(70)를 결합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욕실 거울.
KR1020150107251A 2015-07-29 2015-07-29 다기능 욕실 거울 KR101720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251A KR101720214B1 (ko) 2015-07-29 2015-07-29 다기능 욕실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251A KR101720214B1 (ko) 2015-07-29 2015-07-29 다기능 욕실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243A true KR20170014243A (ko) 2017-02-08
KR101720214B1 KR101720214B1 (ko) 2017-03-27

Family

ID=5815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251A KR101720214B1 (ko) 2015-07-29 2015-07-29 다기능 욕실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7693A (zh) * 2017-08-11 2017-11-03 嘉兴众想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多彩智能防雾灯镜
WO2020119005A1 (zh) * 2018-12-12 2020-06-18 陈亿志 一种具有伸缩模块的镜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616Y1 (ko) * 2019-08-19 2021-05-04 주식회사 엔트윌 거울 조명용 엘이디 백라이트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662A (ja) * 1994-02-14 1995-08-22 Makoto Toyama 曇り止めヒータ付き鏡
JP2008073174A (ja) * 2006-09-20 2008-04-03 Wako Denken Kk 照明付き鏡
KR20110113432A (ko) * 2010-04-09 2011-10-17 이진욱 장식용 조명거울
KR20120107830A (ko) * 2011-03-22 2012-10-04 제이에스제이텍(주)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662A (ja) * 1994-02-14 1995-08-22 Makoto Toyama 曇り止めヒータ付き鏡
JP2008073174A (ja) * 2006-09-20 2008-04-03 Wako Denken Kk 照明付き鏡
KR20110113432A (ko) * 2010-04-09 2011-10-17 이진욱 장식용 조명거울
KR20120107830A (ko) * 2011-03-22 2012-10-04 제이에스제이텍(주) 슬림형 엘이디 조명등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7693A (zh) * 2017-08-11 2017-11-03 嘉兴众想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多彩智能防雾灯镜
WO2020119005A1 (zh) * 2018-12-12 2020-06-18 陈亿志 一种具有伸缩模块的镜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214B1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214B1 (ko) 다기능 욕실 거울
KR101584594B1 (ko) 조명장식 및 김 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욕실용 거울
JP5215256B2 (ja) くもり止め機能付き鏡
KR101723124B1 (ko) 김 서림 방지 효과를 갖는 방수구조의 욕실 거울
KR101584597B1 (ko) 엘이디 발열을 이용한 김 서림 방지구조를 갖는 욕실용 거울
ES1042673U (es) Dispositivo para el desempeñado de espejos en cuartos de baño.
KR101736433B1 (ko) 김서림방지기능과 조명기능을 갖는 거울
GB2222077A (en) Demisting mirror
KR101723123B1 (ko) 김 서림 방지구조가 적용된 욕실용 거울
JP2011171131A (ja) 浴室用鏡の支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浴室用鏡ユニット
KR200423112Y1 (ko) 욕실용 거울유니트
KR20190108398A (ko) 발열체를 이용한 김서림 방지거울
HUP9900107A1 (hu) Zuhanyok
KR20050077949A (ko)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KR200368864Y1 (ko) 다기능 거울장
CN201636624U (zh) 一种可防雾的浴室灯
CN218127895U (zh) 一种人体微波感应卫浴镜
CN209744305U (zh) 一种灯饰
CN218852528U (zh) 一种用电安全的led灯饰浴室柜
CN208186482U (zh) 卫生间用电加热镜
CN209203056U (zh) 一种智能组合式家具
KR200381127Y1 (ko) 다기능 거울장
JP3188978U (ja) 照明放熱エネルギー吸収機構
CN205504694U (zh) 一种安装方便的led灯具
KR102580033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