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190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190A
KR20170014190A KR1020150107119A KR20150107119A KR20170014190A KR 20170014190 A KR20170014190 A KR 20170014190A KR 1020150107119 A KR1020150107119 A KR 1020150107119A KR 20150107119 A KR20150107119 A KR 20150107119A KR 20170014190 A KR20170014190 A KR 2017001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etal layer
touch sensor
panel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7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1166B1 (en
Inventor
하헌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166B1/en
Publication of KR2017001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1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1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touch sensor electrodes is arranged in a panel, and a metal layer is positioned in a reflection plate, wherein the reflection plate is exposed to a cut area of a bottom plate. The display device can prevent a back touch from being misrecognized as a front touch.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터치센서전극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electrode.

부가적인 무게와 공간을 차지하는 키보드, 마우스를 대체하는 터치스크린 기술이 표시장치에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기술은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같은 위치에서 사용자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직관성이 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Touch screens that replace keyboards and mice that take up additional weight and space are being introduced into displays. Such a touch screen technology provides a highly intuitive user interface in that it can recognize user operation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터치스크린 기술을 적용한 표시장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패널과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패널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터치센서가 패널 내에 인셀 타입(In-cell type)으로 내장되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touch screen technology is applied may include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 screen and a touch panel for recognizing a touch. However, in recent years, touch 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s in which a touch sensor is built in an in-cell type in a panel have been developed.

그런데 이러한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들은 터치센서들이 패널 내에 위치하면서 터치센서들과 표시장치의 배면과의 거리가 가깝게 되고, 이에 따라 터치드라이버가 표시장치의 배면에 대한 터치를 전면에 대한 터치로 오인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터치드라이버는 표시장치의 전면을 터치하는 오브젝트와 터치센서들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에 따라 터치를 인식하게 된다. 그런데, 터치센서들과 배면과의 거리가 가깝게 되면서 터치센서들과 배면을 터치하는 오브젝트 사이에서도 정전용량이 형성되고 터치드라이버가 이를 전면에 대한 터치로 오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touch screen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s, the touch sensors are located within the pane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sensors and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is shortened. Accordingly, the touch driver mistakenly touches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e touch driver recognizes a touch according to a capacitance formed between an object touch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touch sensors. Howev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sensors and the back surface approaches to each other, a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touch sensors and objects touching the back surface, and a problem arises that the touch driver perceives the touch sensor as a touch to the front surface.

최근 슬림화의 경향에 따라 표시장치의 두께가 점점 더 얇아지면서 이러한 문제는 심화되고 있다.Recently, as the thickness of a display device becomes thinner with the trend of slimming down, such a problem is getting worse.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배면 터치를 전면 터치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배면에 근접한 오브젝트와 터치센서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영향을 줄이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forego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 one aspect, a technique for preventing misrecognition of the rear touch by the front touch.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object proximate to the back surface a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터치센서전극이 배치되는 패널, 금속층이 위치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광학모듈, 도광판 및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니트 및 백라이트유니트를 지지하며 절개영역을 통해 반사판이 노출되는 바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cklight unit including a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touch sensor electrodes are disposed, a reflector on which a metal layer is disposed, and a backlight unit including an optical module, And a bottom plate through which the reflector is exposed through the incision reg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 터치를 전면 터치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인식시, 배면에 근접한 오브젝트와 터치센서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recognition of the rear surface touch by the front touc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ouch recognition is performed, the influence of the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object proximate to the back surface a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can be reduc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바텀플레이트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표시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금속층이 위치하는 반사판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터치센서전극 주변의 정전용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art of the bottom plate is cut.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reflection plate where a metal layer is located.
5A to 5D are diagrams showing capacitance arou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In the same context,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an "upper" or "lower" side of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form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another element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평판 표시소자의 일 예로서 표시장치를 액정표시소자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장치가 액정표시소자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d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electrophoresis (EPD) display devic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display device is describ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an example of a flat panel display devic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패널(110), 드라이버블록(120) 및 호스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panel 110, a driver block 120, and a host 130.

패널(110)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표시패널과 터치를 위한 터치패널이 결합된 것으로 패널(110) 내에 터치센서전극이 내장될 수 있다. 먼저, 패널(110)이 표시패널로 기능하기 위한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한다.The panel 11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for a display and a touch panel for a touch. The panel 110 may include a touch sensor electrode. First,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nel 110 functions as a display panel will be described.

패널(110)은 두 장의 기판들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110)의 하부 기판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교차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되는 다수의 TFT(Thin Film Transistor), 액정셀들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화소전극, 화소전극에 접속되어 액정셀의 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110 may have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between two substrates. The lower substrate of the panel 110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lines, a plurality of gate lines crossing the data lines,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TFT) formed at intersections of the data lines and the gate lines,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for charging the data voltage, and a storage capacitor connected to the pixel electrode for maintaining the voltage of the liquid crystal cell.

패널(110)의 화소들은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에 형성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화소들에 대응되는 액정셀은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의 전압차에 따라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pixels of the panel 110 may be formed in the pixel region defined by the data lines and the gate lines and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liquid crystal cell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ixels may be driven by an electric field formed accor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a data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and a common voltage a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패널(110)의 상부 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패널(110)의 하부 기판은 COT(Color filter On TFT)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는 패널(110)의 하부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bstrate of the panel 110 may include a black matrix, a color filter, and the like. The lower substrate of the panel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OT (Color Filter On TFT) structure. In this case, the black matrix and the color filt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of the panel 110. [

패널(110)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과 접하는 내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110)의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An alignment film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of the panel 110 to attach a polarizing plate and set a pretilt angle of the liquid crystal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iquid crystal. A column spacer for maintaining a cell gap of the liquid crystal cell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of the panel 110.

드라이버블록(120)은 터치센서전극을 구동하는 터치드라이버(122),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을 구동하는 표시드라이버(124) 및 타이밍콘트롤러(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r block 120 may include a touch driver 122 for driving touch sensor electrodes, a display driver 124 for driving data lines and gate lines, and a timing controller 126.

표시드라이버(124)는 타이밍콘트롤러(126)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Vdata)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전압(Vdata)은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화소전극들로 공급된다. 표시드라이버(124)는 또한, 데이터전압에 동기되는 스캔신호(SCAN)를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데이터전압(Vdata)이 기입되는 패널(110)의 라인을 선택한다.The display driver 124 may convert the digital video data R'G'B 'input from the timing controller 126 into an analog positive / negative gamma compensation voltage to output the data voltage Vdata. The data voltage Vdata is supplied to the pixel electrodes through the data lines. The display driver 124 also sequentially supplies a scan signal SCAN synchronized with the data voltage to the gate lines to select a line of the panel 110 in which the data voltage Vdata is written.

타이밍콘트롤러(126)는 호스트(1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GB)를 표시드라이버(124)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각종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켜 표시드라이버(124)와 터치드라이버(122)의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The timing controller 126 can convert the video data RGB input from the host 150 into digital video data R'G'B 'that the display driver 124 can recognize. The timings of the display driver 124 and the touch driver 122 can be controlled by generating various timing signals.

도 1의 실시예에서 표시드라이버(124)는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표시드라이버(124)는 데이터드라이버와 게이트드라이버로 나누어질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드라이버는 데이터라인들로 데이터전압(Vdata)을 공급하고, 게이트드라이버는 게이트라인들로 스캔신호(SCAN)를 공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 the display driver 124 is shown as one block, but the display driver 124 can be divided into a data driver and a gate driver. Here, the data driver supplies the data voltage (Vdata) to the data lines, and the gate driver can supply the scan signal (SCAN) to the gate lines.

한편, 패널(110)은 터치패널로 기능할 수 있다. 패널(110)이 이러한 터치패널로 기능하기 위한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한다.Meanwhile, the panel 110 may function as a touch panel.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for the panel 110 to function as such a touch panel will be described.

패널(110)은 터치를 인식하기 위해 터치센서전극을 내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장치(100)는 이러한 터치센서전극을 구동하기 위해 터치드라이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110 may incorporate a touch sensor electrode to recognize a touch.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touch driver 122 for driving the touch sensor electrodes.

패널(110)의 터치센서전극들은 패널(110) 내에서 표시전극들(화소전극들 및 공통전극들)과 함께 인셀(In-cell) 타입으로 하부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혹은 터치센서전극은 화소전극,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공통전극 중 하나이거나 화소전극,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공통전극 중 두 개의 조합일 수 있다.The touch sensor electrodes of the panel 1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in an in-cell type together with display electrodes (pixel electrodes and common electrodes) in the panel 110. [ Alternatively, the touch sensor electrode may be one of a pixel electrode, a gate line, a data line, and a common electrode, or a combination of two of a pixel electrode, a gate line, a data line, and a common electrode.

패널(110)은 터치센서전극으로 구동전압(Tx)을 공급하기 위한 Tx 라인들, 이러한 구동전압(Tx)에 대응하여 터치센서전극에 형성되는 센싱전압 혹은 센싱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Rx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110 includes Tx lines for supplying the driving voltage Tx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 and Rx lines for measuring the sensing voltage or the sensing current formed on the touch sensor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voltage Tx can do.

Tx 라인들과 Rx 라인들은 별도의 라인들로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Tx 라인들과 Rx 라인들의 교차부에는 센서노드가 형성되고, 이러한 센서노드는 두 개의 터치센서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x lines and the Rx lin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eparate lines. At this time, a sensor node is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Tx lines and the Rx lines, and the sensor node may be composed of two touch sensor electrodes.

Tx 라인들과 Rx 라인들은 동일한 라인들일 수 있다. 이때, Tx 라인들의 종단 혹은 Rx 라인들의 종단에 터치센서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The Tx lines and the Rx lines may be the same lines. At this time, the touch sensor electrode may b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Tx lines or at the end of the Rx lines.

터치드라이버(122)는 Tx 라인들에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Rx 라인들을 통해 구동전압에 대응하여 터치센서전극 혹은 센서노드에 형성되는 센싱전압 혹은 센싱전류를 측정하여 터치센서전극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드라이버(122)는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터치드라이버(122)에서 Tx 라인들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회로와 Rx 라인들의 전압을 센싱하는 회로는 분리되어 별도의 IC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의 예시와 같이 하나의 ROIC(Read-out IC) 내에 집적될 수 있다.The touch driver 122 a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Tx lines and measures a sensing voltage or a sensing current formed on the touch sensor electrode or the sensor nod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voltage through the Rx lines, You can detect changes. Then, the touch driver 122 can convert such capacitance change into digital data. The circuit for supplying the driving voltage to the Tx lines and the circuit for sensing the voltage of the Rx lines in the touch driver 122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as separate ICs. However, as illustrated in FIG. 1, one ROIC Lt; / RTI >

터치드라이버(122)는 디지털 데이터들을 미리 설정된 터치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터치 데이터들에 대한 좌표값을 추정하여 좌표 정보를 포함한 터치 데이터(XYZ)를 생성하고 호스트(150)로 출력할 수 있다.The touch driver 122 analyzes the digital data using a preset touch algorithm and estimates coordinate values of the touch data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generate touch data XYZ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output the touch data XYZ to the host 150 have.

터치센서전극이 화소전극,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공통전극 중 하나인 경우, 터치드라이버는 터치구동을 위해 일 시간에서 터치센서전극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센싱전압 혹은 센싱전류를 측정할 수 있고, 표시드라이버는 다른 일 시간에서 터치센서전극으로 표시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전극이 공통전극인 경우, 패널(110)에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고 이러한 화소로 데이터전압(Vdata)가 인가되는 시간에 터치센서전극으로는 공통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화소로 데이터전압(Vdata)이 인가되지 않는 시간 중 일부 시간에서 터치센서전극으로 구동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When the touch sensor electrode is one of a pixel electrode, a gate line, a data line, and a common electrode, the touch driver may apply a driving voltage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 in one hour to measure the sensing voltage or sensing current, The display driver can supply the voltage necessary for the display drive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 at another one hour. For example, when the touch sensor electrode is a common electrode, a plurality of pixels are disposed in the panel 110, and a common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 at a time when the data voltage Vdata is applied to the pixel. The driving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 at some time during the time when the data voltage (Vdata) is not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ixel.

한편, 종래 터치패널은 표시패널 위에 위치함으로써 터치패널에 위치하는 터치센서전극이 표시장치의 배면과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터치센서전극이 패널(110) 내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 터치센서전극과 표시장치 배면과의 거리는 가까워진다. 터치센서전극이 하부 기판에 내장되는 경우, 터치센서전극과 표시장치 배면과의 거리는 더욱 가까워진다. 터치센서전극과 표시장치의 배면이 가깝게 되면 배면 터치를 전면 터치로 오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표시장치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배면 쪽에 위치하는 바텀플레이트의 일부 영역을 절개한 경우, 이러한 오인식의 문제가 더욱 크게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touch panel, since the touch panel is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the touch sensor electrode positioned on the touch panel can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uch sensor electrode is built in the panel 11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sensor electrod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becomes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touch sensor electrode is embedded in the lower substrate,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sensor electrod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becomes closer. If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is brought close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 a problem may occur that the back surface touch is erroneously recognized as the front touch.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a part of the bottom plate located on the back side is cut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the problem of this type of misunderstanding may occur more greatly.

도 2는 바텀플레이트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표시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art of the bottom plate is cut,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의 배면에는 바텀플레이트(210)가 위치하고, 이러한 바텀플레이트(210)에는 절개영역(220)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bottom plate 210 is positioned on the back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 incision region 22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late 210.

평면상으로 보면, 절개영역(220)은 바텀플레이트(2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절개영역(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터치센서전극(S)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위치할 수 있다.The cutout region 220 can be located inside the bottom plate 210 and a portion or all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electrodes S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region 220. [ have.

단면상으로 보면, 바텀플레이트(210) 상에는 반사판(310), 광학모듈(미도시), 도광판(320) 및 광학시트(330)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니트(340)가 위치하는데, 바텀플레이트(210)는 이러한 백라이트유니트(3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바텀플레이트(210)는 백라이트유니트(340)의 전면을 지지하지 않고, 백라이트유니트(340)의 외곽에 위치하는 외곽영역(212)과 접촉하면서 이러한 외곽영역(212)을 통해 백라이트유니트(34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유니트(340)의 하면 중 바텀플레이트(210)와 접촉되지 않는 영역은 절개영역(220)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니트(340)의 최하단에 반사판(310)이 위치하는 경우, 반사판(310)이 이러한 절개영역(220)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A backlight unit 340 including a reflection plate 310, an optical module (not shown), a light guide plate 320, and an optical sheet 330 is positioned on the bottom plate 210, The backlight unit 340 can be supported. At this time, the bottom plate 210 does not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light unit 340 but contacts the backlight unit 340 through the outer area 212 in contact with the outer area 212 locat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cklight unit 340 ). ≪ / RTI > Accordingly, a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light unit 340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210 can be exposed through the incision region 220. When the reflector 310 is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backlight unit 340, the reflector 310 may be exposed through the incision 220.

백라이트유니트(340) 상에는 하측편광판(350), 패널(110) 및 상측편광판(360)이 위치할 수 있는데, 하측평관판(350)과 상측편광판(360)은 패널(110)에 부착되어 있으면서 패널(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lower polarizer 350 and the upper polarizer 360 may be positioned on the backlight unit 340. The lower polarizer 350 and the upper polarizer 360 may be attached to the panel 110, (Not shown).

패널(110)은 가이드패널(3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패널(370)은 테이프(380)를 통해 바텀플레이트(210)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따라, 패널(110)은 가이드패널(370)을 거쳐 최종적으로 바텀플레이트(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panel 110 may be supported by a guide panel 370. The guide panel 370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210 via a tape 380.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anel 110 is finally supported by the bottom plate 210 via the guide panel 370, .

전술한 구성들은 최종적으로 바텀플레이트(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니트(340)는 바텀플레이트(210)와 외곽영역(212)에서 접촉하면서 바텀플레이트(210)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패널(110) 및 패널(110)에 부착된 편광판(350, 360)은 가이드패널(370)을 통해 간접적으로 바텀플레이트(210)에 의한 지지를 받을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can be finally supported by the bottom plate 210. Fig. For example, the backlight unit 340 may be directly supported by the bottom plate 210 in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210 and the outer area 212, and may be attached to the panel 110 and the panel 110 The polarizers 350 and 360 can be indirectly supported by the bottom plate 210 through the guide panel 370.

이러한 바텀플레이트(210)에 의한 지지 구조에서 지지력이 전달되는 접촉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절개영역(2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유니트(340)의 외곽영역(212)으로 바텀플레이트(210)의 지지력이 전달되는데, 이러한 외곽영역(212)을 제외한 영역 중 백라이트유니트(340)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절개영역(220)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bottom plate 210, the incision region 220 may be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contact region where the supporting force is transmitted. For exampl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ottom plate 210 is transmitted to the outer region 212 of the backlight unit 340.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acklight unit 340 except for the outer region 212, 220 may be formed.

도 3에는 가이드패널(370)의 하측 전면이 테이프(380)를 통해 바텀플레이트(210)로부터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가이드패널(370)의 하측면 중 일부 영역만 바텀플레이트(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380)와 접촉되는 바텀플레이트(210)의 접촉면 중 일부에는 절개영역(220)이 형성될 수 있다.3 shows that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guide panel 370 is supported from the bottom plate 210 through the tape 380. Only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panel 370 is supported by the bottom plate 210 Can be supported. In this case, an incision region 220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contac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210 contacting the tape 380.

바텀플레이트(210)의 절개영역(220)은 바텀플레이트(210)의 무게를 줄이는 효과를 창출한다. 바텀플레이트(210)는 금속과 같은 비중이 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바텀플레이트(210)에 절개영역(220)을 형성하면 절개영역(220)에 해당되는 만큼 바텀플레이트(2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 incision region 220 of the bottom plate 210 creates the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bottom plate 210. [ When the incision region 220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210, the weight of the bottom plate 210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region 220 can be reduced, .

한편, 패널(110)에는 터치센서전극(S)이 배치되는데, 패널(110)에서 절개영역(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터치센서전극(S)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위치할 수 있다.A touch sensor electrode S is disposed on the panel 110. Some or all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s S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ision region 220 in the panel 110. [

이러한 절개영역(220)에 대응되는 자리에 위치하는 터치센서전극(S)은 배면으로 근접하는 외부 오브젝트와 정전용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드라이버(도 1에 도시된 122 참조)는 이러한 정전용량을 표시장치(100)의 전면에 대한 터치로 오인식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electrode S position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ff region 220 can form an electrostatic capacity with an external object which is close to the back surface. The touch driver (see 122 in Fig. 1) can misinterpret this capacitance as a touch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

이러한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해 반사판(310)에 금속층이 위치할 수 있다.A metal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reflection plate 310 to prevent such a false sense.

도 4a 내지 도 4c는 금속층이 위치하는 반사판의 단면도이다.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reflection plate where a metal layer is located.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반사판(310)은 반사층(410)과 금속층(420a 및/혹은 420b)을 포함할 수 있다.4A to 4C, the reflection plate 310 may include a reflection layer 410 and metal layers 420a and / or 420b.

반사층(410)은 도광판(도 3에서 320 참조)을 통해 배면 쪽으로 향하는 광을 패널(11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층이다.The reflective layer 410 is a layer that reflects light toward the back side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320 (see FIG. 3) toward the panel 110.

이러한 반사층(410)은 백색의 불투명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합성수지 내에는 발포기포가 포함될 수 있다.The reflective layer 410 may be formed of a white opaque synthetic resin, and the synthetic resin may include foamed bubbles.

여기서,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올레핀(polyolefin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등을 포함한다.Here, the synthetic resin may be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carbonate, polystyrene, polyolefin, Cellulose acetate, polyvinyl chloride, and the like.

반사층(410)은 내부적으로 여러 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층은 동일한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 서로 다른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reflective layer 410 may be composed of several layers internally, and each layer may be composed of the same synthetic resin or may be composed of a different synthetic resin.

이러한 합성수지에는 각종 첨가물이 함유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유기, 무기미립자, 내광제, 대전방지제, 핵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Such synthetic resins may contain various additives such as heat stabilizers, antioxidants, lubricants, organic, inorganic fine particles, light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nucleating agents and the like.

반사층(410)은 TiO2, SiNx, ZnO, Al2O3 중 어느 하나의 무기막 재료(물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TiO2, SiNx, ZnO 및 Al2O3 재료 중 적어도 2가지의 선택된 재료의 혼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flective layer 410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film material (material) of any one of TiO2, SiNx, ZnO, and Al2O3, or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at least two selected materials of the TiO2, SiNx, ZnO, and Al2O3 materials have.

금속층(420a 및/혹은 420b)은 비저항(Resistivity)이 낮은 은(Ag),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Alloy)으로 이루어진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층(420a 및/혹은 420b)은 이러한 단일막에 더하여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크롬(Cr), 티타늄(Ti), 또는 탄탈륨(Ta)으로 이루어진 막을 더 포함하는 다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etal layers 420a and / or 420b may be formed of a single film made of silver (Ag), aluminum (Al), or an alloy thereof having a low resistivity. In addition, the metal layers 420a and / or 420b may be formed as a multilayer film further comprising a film made of chromium (Cr), titanium (Ti), or tantalum (Ta) excellent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such a single film.

도 4a를 참조하면, 반사판(310)은 반사층(410)과 제1금속층(420a)을 포함하는데, 반사층(410)은 도광판(도 3의 320 참조)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금속층(420a)은 바텀플레이트(도 3의 210 참조)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4a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금속층(420a)이 바텀플레이트(도 3의 210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 터치에 대한 오인식이 개선되고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4A, the reflection plate 310 includes a reflection layer 410 and a first metal layer 420a. The reflection layer 410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320 (see FIG. 3), 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And may b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see 210 in Fig. 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A, the first metal layer 420a may be electrically or thermally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see 210 in FIG. 3).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rroneous recognition of the rear touch is improved and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and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b를 참조하면, 반사판(310)은 반사층(410)과 제2금속층(420b)을 포함하는데, 반사층(410)은 바텀플레이트(도 3의 210 참조)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2금속층(420b)은 도광판(도 3의 320 참조)과 접촉될 수 있다. 도 4b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금속층(420b)이 배면 터치 오인식 방지 뿐만 아니라 배면 쪽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까지 함께 수행하여 휘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다.4B, the reflection plate 310 includes a reflection layer 410 and a second metal layer 420b. The reflection layer 410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210 (see FIG. 3) (Refer to 320 in Fig. 3) of the light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B, the second metal layer 420b may function not only to prevent rear-view touching, but also to reflect light directed toward the back side, thereby enhancing brightness.

도 4c를 참조하면, 반사판(310)은 반사층(410), 제1금속층(420a) 및 제2금속층(420b)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상으로 볼 때, 반사판(310)의 일측면에 제1금속층(420a)이 위치하고 타측면에 제2금속층(420b)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금속층(420a)은 바텀플레이트(도 3의 210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열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금속층(420b)은 도광판(도 3의 320 참조)에서 배면 쪽으로 향하는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C, the reflection plate 310 may include a reflection layer 410, a first metal layer 420a, and a second metal layer 420b. The first metal layer 420a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reflector 3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b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flector 310. [ At this time, the first metal layer 420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thermally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see 210 in FIG. 3),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b may transmit light directed toward the back side from the light guide plate 320 Reflec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이러한 금속층(420a 및/혹은 420b)은 배면 터치에 의한 터치 오인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is metal layer 420a and / or 420b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touch misidentification due to the back touch.

터치드라이버(도 1에 도시된 122 참조)는 터치센서전극(S)의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여 터치를 인식한다.The touch driver (see 122 in Fig. 1) measures the capacitance change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and recognizes the touch.

터치센서전극(S)은 주변 전극 및 외부 오브젝트와 정전용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터치센서전극(S)의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터치센서전극(S)에 저장되는 전하량이 변하게 되는데, 터치드라이버(122)는 이러한 전하량을 측정하여 터치를 인식한다.The amount of charge stored in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ance change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2 recognizes the touch by measuring the amount of the charge.

[수학식 1][Equation 1]

dQ = dC x VdQ = dC x V

수학식 1에서 dC는 터치센서전극(S)의 정전용량 변화를 의미하고, V는 터치센서전극(S)의 정전용량에 형성되는 전압을 의미하며, dQ는 터치센서전극(S)에 저장되는 전하량의 변화를 의미한다.In Equation 1, dC denotes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V denotes a voltage formed in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and dQ denotes a voltage to be stored in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This means a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도 5a 내지 도 5d는 터치센서전극 주변의 정전용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A to 5D are diagrams showing capacitance arou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반사판(310)에 제1금속층(420a)이 위치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반사판(310)에는 제1금속층(420a) 및/혹은 제2금속층(420b)이 위치할 수 있다.5A to 5D, the first metal layer 420a is disposed on the reflection plate 3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the first metal layer 420a and / or the second metal layer 420b may be disposed on the reflection plate 310. FIG.

도 5a는 외부 오브젝트가 근접하지 않은 상황에서의 터치센서전극(S) 주변의 정전용량을 나타낸다. 5A shows the capacitance arou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in a situation where the external object does not approach.

외부 오브젝트가 근접하지 않은 상황에서 터치센서전극(S)은 그라운드와 제1정전용량(CSA)을 형성하고, 제1금속층(420a)과 제2정전용량(CSR)을 형성한다. 또한, 그라운드와 제1금속층(420a) 사이에서는 제3정전용량(CRA)이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electrode S forms the ground and the first capacitance C SA and forms the first metal layer 420a and the second capacitance C SR in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object is not adjacent. Also, a third capacitance C RA may be form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이때, 그라운드와 제1금속층(420a)이 동일 전압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3정전용량(CRA)은 실질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수학식 1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전하량의 변화는 정전용량의 변화와 전압의 곱으로 결정되는데, 전압이 0볼트(volt)가 되면 전하량의 변화도 0이 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그라운드와 제1금속층(420a)이 동일 전압을 가지게 되면, 제3정전용량(CRA)은 실질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동일 전압이 아니더라도 그라운드와 제1금속층(420a) 사이의 전압차가 작은 경우, 제3정전용량(CRA)은 실질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ground 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have the same voltage, the third capacitance C RA can be substantially ignored. As shown in Equation 1,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i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by the voltage. When the voltage is 0 vol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is also zero. According to this principle, when the ground 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have the same voltage, the third capacitance C RA can be substantially ignored. If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is small even though the voltage is not the same, the third capacitance C RA can be substantially ignored.

그라운드와 제1금속층(42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그라운드와 제1금속층(420a)의 전압 차이는 실질적으로 0볼트(volt)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정전용량(CRA)은 실질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When the ground 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may be substantially zero volts. In this case, the third capacitance C RA can be substantially ignored.

금속층으로 제2금속층(420b)이 사용되고 제2금속층(420b)이 그라운드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2금속층(420b)이 반사판(310)의 전면에 도포되는 경우, 제2금속층(420b)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제2금속층(420b)의 전위는 실질적으로 그라운드와 같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3정전용량(CRA)은 실질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metal layer 420b is a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reflection plate 310 even though the second metal layer 420b is used as the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420b is not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 potential of the second metal layer 420b can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ground because the area is widened. Even in this case, the third capacitance C RA can be substantially neglected.

한편, 터치드라이버(122)는 터치센서전극(S)으로 구동전압(Tx)을 인가하고 이러한 구동전압에 대응하여 터치센서전극(S)에 형성되는 센싱전압 혹은 센싱전류를 측정하여 터치센서전극(S)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터치드라이버(122)는 터치센서전극(S)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기본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데,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부 오브젝트가 근접하지 않은 상황에서 측정되는 정전용량이 기본 정전용량이 된다. 도 5a의 실시예에서, 제1정전용량(CSA), 제2정전용량(CSR) 및 제3정전용량(CRA)이 기본 정전용량이 될 수 있다. 터치드라이버(122)는 이러한 기본 정전용량으로부터 추가되는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터치를 인식한다.The touch driver 122 applies a driving voltage Tx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and measures a sensing voltage or a sensing current formed on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in response to the driving voltage, S of the electrostatic capacity can be detected. At this time, the touch driver 122 can measure the basic capacitance in order to measure a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A, The capacitance becomes the basic capacitance. In the embodiment of FIG. 5A, the first capacitance C SA , the second capacitance C SR , and the third capacitance C RA can be basic capacitances. The touch driver 122 measures the added capacitance from the basic capacitance to recognize the touch.

도 5b는 전면으로 외부 오브젝트가 근접한 상황에서의 터치센서전극(S) 주변의 정전용량을 나타낸다.5B shows the capacitance arou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in a state where the external object is close to the front surface.

도 5b를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된 기본 정전용량 이외에 터치센서전극(S)과 외부 오브젝트 사이에 제4정전용량(CST1)이 더 추가되어 있다. 터치드라이버(122)는 이러한 제4정전용량(CST1)을 측정하여 외부 오브젝트에 의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5B, in addition to the basic capacitance shown in FIG. 5A, a fourth capacitance C ST1 is further added between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and the external object. The touch driver 122 can recognize the touch by the external object by measuring the fourth capacitance C ST1 .

터치드라이버(122)는 터치센서전극(S)에서의 전하량 변화를 측정하여 제4정전용량(CST1)을 측정할 수 있다.The touch driver 122 can measure the fourth capacitance C ST1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amount of charge in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

도 5c는 금속층이 없는 반사판 구조에서 배면으로 외부 오브젝트가 근접한 상황에서의 터치센서전극(S) 주변의 정전용량을 나타낸다.5C shows a capacitance arou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in a situation where an external object is close to the back surface in a reflector structure without a metal layer.

도 5c를 참조하면, 터치센서전극(S)과 외부 오브젝트 사이에 제5정전용량(CST2)이 형성된다. 이때, 터치드라이버(122)는 이러한 제5정전용량(CST2)이 작을 경우, 이를 무시하거나 배제시킬 수 있으나, 제5정전용량(CST2)이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4정전용량(CST1)과 유사한 경우, 이를 배제시킬 수 없게 된다. 터치센서전극(S)의 정전용량 변화에는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터치드라이버(122)는 전면 터치와 배면 터치를 구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터치드라이버(122)는 제5정전용량(CST2)의 형성에도 전면에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오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a fifth capacitance C ST2 is formed between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and the external object. At this time, if the fifth capacitance C ST2 is small, the touch driver 122 may ignore or exclude the fifth capacitance C ST2 . However, if the fifth capacitance C ST2 is larger than the fourth capacitance C ST1 ), it can not be excluded. Since the capacitance change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has no directionality, the touch driver 122 can not distinguish between the front touch and the back touch. Accordingly, the touch driver 122 can be mistaken for touching the front surface even when the fifth capacitance C ST2 is formed.

도 5d는 금속층이 있는 반사판 구조에서 배면으로 외부 오브젝트가 근접한 상황에서의 터치센서전극(S) 주변의 정전용량을 나타낸다.5D shows the capacitance arou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in a situation where the external object is close to the back surface in the reflector structure having the metal layer.

도 5d를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된 기본 정전용량 이외에 제1금속층(420a)과 외부 오브젝트 사이에 제6정전용량(CRT)이 더 추가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D, a sixth capacitance C RT is further added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420a and the external object, in addition to the basic capacitance shown in FIG. 5A.

이때, 제6정전용량(CRT)은 터치센서전극(S)의 정전용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그 영향의 정도가 미약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xth capacitance C RT does not affect the capacitance change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or the degree of the influence thereof may be weak.

우선, 제1금속층(420a)의 전위는 그라운드 전위와 유사할 수 있고, 외부 오브젝트의 전위도 그라운드 전위와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금속층(420a)과 외부 오브젝트의 전압차는 실질적으로 0볼트(volt)에 가깝거나 매우 작을 수 있다. 이렇게 전압차가 작은 경우, 전하량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제6정전용량(CRT)은 실질적으로 터치센서전극(S)의 정전용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First, the potential of the first metal layer 420a may be similar to the ground potential, and the potential of the external object may be similar to the ground potential. Accordingly,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420a and the external object may be substantially close to 0 volts or very small. When the voltage difference is small, the sixth capacitance C RT does not substantially affect the capacitance change of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because the change of the charge amount is small.

다른 측면에서, 제2정전용량(CSR)과 제6정전용량(CRT)은 병렬 연결된 것으로 모델링될 수 있는데, 이때, 제2정전용량(CSR)의 크기가 제6정전용량(CRT)의 크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상대적인 크기에서 제6정전용량(CRT)이 무시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econd capacitance C SR and the sixth capacitance C RT can be modeled as being connected in parallel, wherei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capacitance C SR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sixth capacitance C RT ), The sixth capacitance (C RT ) in the relative size can be ignored.

이와 같이, 반사판(310)에 금속층(420a 및/혹은 420b)이 위치하면 배면 터치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터치센서전극(S)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100)는 배면 터치를 전면 터치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etal layers 420a and / or 420b are disposed on the reflection plate 310, the influence of the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formed by the rear surface touch on the touch sensor electrode S can be blocked.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can prevent the rear surface touch from being erroneously recognized by the front touch.

한편, 반사판(310)에 제1금속층(420a)이 위치하고, 이러한 제1금속층(420a)이 바텀플레이트(도 2의 210 참조)와 접촉함으로써 방열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방열은 표면적이 넓을 수록 효과가 높아지게 되는데, 절개영역(도 2의 220 참조)을 통해 노출된 부분에 금속층이 위치하고 이러한 금속층이 바텀플레이트(210)와 연결됨으로써 방열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is located on the reflection plate 310, and the first metal layer 420a contacts the bottom plate 210 (see FIG. 2) to form a heat radiation path. The greater the surface area, the more effective the heat dissipation. The metal layer is located in the exposed region through the cutout region (see 220 in FIG. 2) and the metal layer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210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한편, 터치 오인식 방지 및 방열 효과는 반사판(310)의 금속층 두께가 얇더라도 충분히 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판(310)의 금속층 두께는 바텀플레이트(21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ouch-correcting effect and the heat dissipation effect can be sufficiently expressed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of the reflection plate 310 is thin.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of the reflection plate 310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2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면 터치를 전면 터치로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인식시, 배면에 근접한 오브젝트와 터치센서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의 금속층이 바텀플레이트와 연결됨으로써 방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바텀플레이트보다 얇은 두께의 금속층을 이용함으로써 표시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isrecognition of the rear surface touch by the front touc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ouch recognition is performed, the influence of the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object proximate to the back surface and the touch sensor electrode can be reduced. The metal layer of the reflector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to increase the heat radiation effect. Further, by using a metal layer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plate,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as used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further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복수의 터치센서전극이 배치되는 패널;
금속층이 위치하는 반사판을 포함하고, 광학모듈, 도광판 및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니트; 및
상기 백라이트유니트를 지지하며 절개영역을 통해 상기 반사판이 노출되는 바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touch sensor electrodes are disposed;
A backlight unit including a reflection plate on which a metal layer is disposed, the backlight unit including an optical module, a light guide plate, and an optical sheet; And
A bottom plate for supporting the backlight unit and exposing the reflection plate through a cu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영역은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절개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터치센서전극 중 일부 혹은 전부가 위치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off region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plate, and a part or all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or electrodes ar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금속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late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반사판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1금속층과 타측면에 위치하는 제2금속층으로 구성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layer comprises a first metal layer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flection plate and a second metal layer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flect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되고 상기 화소로 데이터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에 상기 터치센서전극으로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pixels are disposed in the panel and a common voltage is applied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s at a time when a data voltage is applied to the pix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전극으로 구동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구동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센서전극에 형성되는 센싱전압 혹은 센싱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터치센서전극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터치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ouch driver that applies a driving voltage to the touch sensor electrode and measures a sensing voltage or a sensing current formed on the touch sensor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voltage to detect a change in capacitance formed on the touch sensor electrode / RTI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터치드라이버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metal lay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of the touch dr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플레이트는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층은 일부 영역에서 상기 바텀플레이트와 접촉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plat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metal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in a part of th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상기 도광판과 접촉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metal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light guide plate.
KR1020150107119A 2015-07-29 2015-07-29 Display device KR1023711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19A KR102371166B1 (en) 2015-07-29 2015-07-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7119A KR102371166B1 (en) 2015-07-29 2015-07-29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190A true KR20170014190A (en) 2017-02-08
KR102371166B1 KR102371166B1 (en) 2022-03-07

Family

ID=5815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7119A KR102371166B1 (en) 2015-07-29 2015-07-29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1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5381A (en) * 2009-03-23 2010-10-07 Kyocera Corp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light source device
JP2012068981A (en) * 2010-09-24 2012-04-05 Sony Corp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30067632A (en) * 2011-12-14 2013-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3157270A1 (en) * 2012-04-19 2013-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5381A (en) * 2009-03-23 2010-10-07 Kyocera Corp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light source device
JP2012068981A (en) * 2010-09-24 2012-04-05 Sony Corp Display device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30067632A (en) * 2011-12-14 2013-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3157270A1 (en) * 2012-04-19 2013-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166B1 (en)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638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nsor reducing influence of parasitic capacitance upon the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US1017580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rce touch function
US9977527B2 (en) Touch 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785283B2 (en)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ens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209819B2 (en) Electronic device
KR10132201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970524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KR102228561B1 (en) Display device indlucing touch sensor
US874306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EP3252524B1 (en) Mirror display
US10871849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US10444889B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JP2008090623A (en) Display unit, drive unit thereof, and driving method
US8823671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JP2009205379A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JP2017134249A (en) Display device
US10275102B2 (en) Display device
KR101675859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KR102153620B1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KR101678209B1 (en) Touch sensing dev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71166B1 (en) Display device
KR20150077161A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US10795500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70072095A (en) Self capacitive type touch screen and touch 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2668555B1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