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739A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loc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lo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739A
KR20170013739A KR1020150106815A KR20150106815A KR20170013739A KR 20170013739 A KR20170013739 A KR 20170013739A KR 1020150106815 A KR1020150106815 A KR 1020150106815A KR 20150106815 A KR20150106815 A KR 20150106815A KR 20170013739 A KR20170013739 A KR 20170013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lo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동욱
최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106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739A/en
Publication of KR2017001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7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based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In order to transmit a message based on a terminal location,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receives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forming a location based message that a sender wants, and generates the location based message includ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A terminal receives the location based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extract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ocation based message, compares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and displays content of the location based message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matched to each other.

Description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location}[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location-based messages [0002]

본 발명은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location-based message.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단말 및 응용 기술들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메시지 및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술들도 발전하고 있다. 그 중 푸시(Push) 방법 또는 메시지 알림을 통해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연결만 되어 있으면 컨텐츠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erminals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ransmitting messages and contents to users in various ways are also developing. Among them, a push method or a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s through message notification is utilized in many fields because it can receive contents or messages when a use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기존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활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위치를 발신자가 직접 확인하고 메시지 수신자가 특정 위치에 있을 경우 메시지를 직접 발송하는 방법과, 특정 기지국 내의 불특정 다수 가입자에게 방송용 채널(CBS: Cell Broadcasting System)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메시지를 모두 수신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using an existing message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method in which a caller directly confirms a location of a user and a message is directly sent when a message receiver is in a specific location and a method in which an unspecified number of subscribers in a specific base station transmits a broadcast channel CBS: Cell Broadcasting System).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 message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 user must receive all unwanted messages.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자의 위치와 기지국 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location-based message based on a receiver's location and base station information.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essage based on a location of a terminal,

이동통신 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기지국들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유선망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 전송자의 단말로부터 수신자의 단말에 제공할 위치기반 메시지를 형성하는 메시지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메시지 생성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 정보를 토대로 제1 식별 정보와 컨텐츠 내용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단말들에 전송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한다.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a wired network to a terminal; A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for forming a location based message to be provided to a terminal of a receiver from a terminal of a sender; And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location-based message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content based on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based message to the terminals.

상기 단말은, 상기 메시지 생성부가 전송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통신 망을 형성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의 식별 정보 또는 유선 망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기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식별자 확인부;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위치기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 내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includes: a message receiver for receiving a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tted by the message generator;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wired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form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 identifier confirmation unit for compar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based message with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and verifying whether they match;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d providing content contents included in the location-based message to a user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 each other.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메시지 전송 장치가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based on a location of a terminal,

상기 메시지 전송 장치가 전송자가 원하는 위치 기반의 메시지를 형성하는 메시지 생성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메시지 생성 정보를 토대로 제1 식별 정보와 컨텐츠 내용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복수의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상기 메시지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기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제1 식별 정보와 단말이 이미 저장하고 있는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위치기반 메시지의 컨텐츠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Generating a location-based message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device receives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for forming a location-based message desired by the sender;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based messag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Upon receipt of the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device, extract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ocation-based message; And comparing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ready stored by th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location-based message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은 이동통신 망을 형성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 또는 유선 망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include receiving at least on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ase station 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wired network before extrac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위치기반 메시지가 수신되기 원하는 특정 지역의 기지국의 설치 위치 정보를 고유 식별자로 하여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위치 기반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ation-based messag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of the specific area in which the location-based message is desired to be received as the unique identifier without acqui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에게 위치기반 메시지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송신자가 원하는 위치에 수신자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수신자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수신하여도 단말을 통해 확인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ontents can be delivered to a subscriber using a location-based message gateway, if a receiver is not located at a desired location, the receiver can not confirm the location- .

도 1은 일반적인 방송용 채널을 통한 메시지 전송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의 비교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장치가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message transmission over a general broadcast channel and a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location-based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terminal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terminal (MT), a subscriber station (SS),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An access terminal (AT),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of functions of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S) i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obile Multihop Relay-B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functions of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 MMR-BS.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메시지 전송 방법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 사이의 차이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location-based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location-based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fference between a general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은 일반적인 방송용 채널을 통한 메시지 전송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의 비교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through a general broadcast channel and a messag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일반적으로 방송용 채널(CBS: Cell Braodcast Service)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As shown in FIG. 1, (a) is an example of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using a cell broadcast service (CBS), and (b)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FIG.

먼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송용 채널을 이용하여 지역 기반의 메시지를 전송할 때에는, 메시지 제공 시스템(10)이 특정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20)들에 방송하고, 특정 지역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20)들은 방송되는 메시지를 강제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메시지 발송자가 메시지를 발송하는 특정 시점에, 기지국 무선 환경에 소속된 모든 단말(20)들은 메시지 수신 동의 여부와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 (a), when a region-based message is transmitted using a broadcast channel, the message providing system 10 broadcast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20 located in a specific area,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 located at the location forcibly receives the broadcasted message and displays the received message to the user. Also, at a specific point in time when the message sender sends the message, all the terminals 20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radio environment forcibly receive the messag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agree to receive the message.

한편,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이용하여 메시지 전송 장치(100)가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특정 단말(200)에 메시지를 전송할 때 단말(200)은 자신이 속한 무선 환경을 형성하는 기지국의 기지국 정보와 수신한 메시지의 기지국 정보를 비교,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200)이 속한 기지국의 기지국 정보와 메시지를 전송한 기지국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한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발송자는 특정 위치의 특정 대사에게 위치기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1 (b), when a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transmits a message using a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to a specific terminal 200, The base station 200 compares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forming the radio environment with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essage. Since the received mess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ly when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terminal 200 belongs and the base station information that transmitted the message are identical to each other, the sender can deliver the location based message to the specific ambassador at a specific location.

이와 같이 위치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 장치가 적용된 환경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An environment in which a transmiss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location-based messag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장치가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기반으로 단말(200)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환경은, 단말(200)과 위치기반 메시지 게이트웨이(300)간의 메시지 전달을 위하여 기지국(400)을 통해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말(200)의 수신자에게 전달할 위치기반 컨텐츠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100)를 포함한다.2, an environment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a terminal 200 based on a location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base station 400 for message delivery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location-based message gateway 300, An internet network is formed. And a message transmission device 100 for generating a location-based content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receiver of the terminal 200. [

이때, 단말(200)에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정보인 위치 정보는 기지국(400)의 식별 정보 및 설치 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400)에 의해 형성된 이동 통신망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기지국(400)이 아닌 인터넷 망을 형성하는 장비의 위치 정보를 보유한 유선망의 IP 주소 또는 MAC 주소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basic information for providing a message to the terminal 20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400 and an installation loc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med by the base station 4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an IP address or a MAC address of a wired network ha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equipment forming an Internet network, And the like.

발신자는 메시지 전송 장치(100)가 발송 메시지를 전송할 기지국(400)의 식별 정보 또는 유선망의 식별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한 식별 정보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식별자를 발송할 컨텐츠와 함께 메시지로 생성하도록 메시지 전송 장치(100)에 등록한다. 메시지 전송 장치(100)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위치기반 메시지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단말(200)로 전송된다. The sender check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400 or the wired network to which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transmits the transmission message or generates the message together with the content to be transmitt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The message generated by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location-based message gateway 300.

위치기반 메시지 게이트웨이(300)로 전달된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해 단말(200)로 전송된다. 단말(200)은 현재 획득하고 있는 위치 고유 식별자와 위치기반 메시지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고유 식별자를 비교하고, 두 고유 식별자가 일치할 경우에만 단말(200)은 전달된 메시지를 수신 처리하여 수신자에게 디스플레이 한다. 그러나 두 고유 식별자가 불일치할 경우 단말(200)은 전달된 메시지를 폐기 처리하며 수신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The message transmitted to the location-based message gateway 30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Internet network. The terminal 200 compares the location unique identifier currently acquired with the location unique identifier included in the message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message gateway 300, and if the two unique identifiers match, the terminal 200 transmits the received message And displays it to the receiver. However, if the two unique identifiers do not match, the terminal 200 discards the delivered message and does not provide it to the receiver.

이러한 환경에서 메시지 전송 장치(100)와 단말(200)의 구조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and the terminal 200 in such an environ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메시지 전송 장치의 구조도이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위치 정보 제공부(110), 메시지 생성 정보 수신부(120) 및 메시지 생성부(130)를 포함한다.3,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a message generating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and a message generating unit 130. [

위치 정보 제공부(110)는 이동통신 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기지국(400)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거나, 유선망의 고유 식별자를 단말에 제공한다. 그리고 메시지 생성부(130)에 기지국(4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위치 정보 제공부(110)는 복수의 기지국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기지국 식별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400 form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terminal or provides a unique identifier of the wired network to the terminal. And provides the message generator 130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400. To this e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stores and manages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망에 따른 기지국(400)의 위치 정보를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치 정보 제공부(110)가 기지국(40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전송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 an example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400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a terminal of a sender to transmit a message will b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1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400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send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메시지 생성 정보 수신부(120)는 전송자의 단말로부터 수신자의 단말(200)에 제공할 위치기반 메시지를 형성하는 메시지 생성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메시지 생성 정보는 위치기반 메시지가 전송될 위치 정보인 기지국 위치 정보와 메시지 또는 컨텐츠 내용을 포함한다.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receives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for forming a location-based message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s terminal 200 from the sender's terminal. Here,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includes base station position information, which is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a location-based message is to be transmitted, and a message or content content.

메시지 생성부(130)는 메시지 생성 정보 수신부(120)가 수신한 메시지 생성 정보를 토대로 수신자 단말(200)로 제공할 위치기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단말(200)들로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기반 메시지에는 기지국 식별 정보와 수신자의 단말(200)로 제공할 컨텐츠 내용 또는 메시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The message generation unit 130 generates a location-based message to be provided to the recipient terminal 200 based on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reception unit 12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based message to the terminals 200 do. Here, the location-based message includes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contents or message contents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of the receiver.

한편, 메시지 전송 장치(100)를 통해 전송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말(200)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200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은 메시지 수신부(210), 식별자 확인부(220), 위치 정보 수신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한다.4, the terminal 200 includes a message receiving unit 210, an identifier checking unit 220,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and a display unit 240.

메시지 수신부(210)는 위치기반 메시지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전송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수신한다.The messag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the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he location-based message gateway 300.

식별자 확인부(220)는 메시지 수신부(210)가 수신한 위치기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기지국 식별 정보(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기지국 식별 정보'라고도 지칭함)를 추출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 수신부(230)로부터 수신한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따른 기지국 식별 정보(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기지국 식별 정보'라고도 지칭함)와 추출한 제1 기지국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The identifier confirmation unit 220 extracts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based message received by the message reception unit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00 receiv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matches the extracted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만약 두 개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메시지 수신부(210)가 수신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폐기 처리한다.If the two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 not match, the message receiver 210 discards the received location-based message.

위치 정보 수신부(230)는 단말(200)이 임의의 기지국의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면, 해당 기지국(400)으로부터 제2 기지국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기지국 식별 정보는 단말(200)의 이동에 따라 상이한 기지국의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할 때마다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며, 제2 기지국 식별 정보는 기지국(400)의 고유 식별자를 사용할 수도 있고, 사전에 메시지 전송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지국 별로 할당된 위치에 따라 각기 설정된 식별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receives and stores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400 when the terminal 200 enter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of an arbitrary base station. Here,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base station every time it enter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of a different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200,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us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base station 400, The se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llocated to each base station stored in the message transmission device 100 in advance.

그리고 식별자 확인부(220)가 위치기반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제1 기지국 식별 정보를 확인할 때, 비교 정보로 제공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 수신부(230)는 기지국(400)으로부터 제2 기지국 식별 정보를 수신하거나, 유선망에 대한 IP 주소 또는 MAC 주소 중 어느 하나를 식별 정보로 수신할 수도 있다.When the identifier checking unit 220 confirms the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location-based messag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s comparison information.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may receive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400 or may receive either the IP address or the MAC address for the wired network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240)는 식별자 확인부(220)가 확인한 제1 기지국 식별 정보와 단말(200)이 현재 위치한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기지국의 제2 기지국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수신된 메시지 내의 컨텐츠 또는 메시지 내용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the received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ly when the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identifier checking unit 220 matches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form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in which the terminal 200 is currently located, And displays contents or message contents in the message and provides the contents to the user.

이상에서 설명한 환경에서 수신자의 단말(200)에 위치 기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A method of transmitting a location-based message to the recipient's terminal 200 in the above-described environ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전송 장치(100)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송신자로부터 위치기반 메시지 내에 삽입될 컨텐츠 내용이나 메시지 내용, 그리고 위치기반 메시지를 전송할 이동통신 영역을 형성하는 제1 기지국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생성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메시지 생성 정보를 토대로 위치기반 메시지를 생성한다(S100). As shown in FIG. 5,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D) 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area for transmitting a contents content or a message content to be inserted in a location-based message, Upon receiving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the location-based message is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S100).

이와 동시에 단말(200)은 임의의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이동통신 영역에 진입하면,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S110).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S100 단계 이후에 단말(200)이 제2 기지국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e same time, when the terminal 200 enters a mobile communication area formed by an arbitrary base station, the terminal 200 receives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S1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00 receives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fter step S1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메시지 전송 장치(100)가 S100 단계에서 생성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전송하면(S120), 단말(200)은 메시지 전송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1 기지국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S130). 그리고 S110 단계에서 수집한 제2 기지국 식별 정보와 S130 단계에서 추출한 제1 기지국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140). 이는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위치기반 메시지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한다 하더라고, 단말(200)의 위치 기반으로 선택적 메시지 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함이다.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transmits the location-based message generated in step S100 (S120), the terminal 200 receives the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100, 1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S130). In step S140,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110 and the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S130 are identical. This is for displaying an optional message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200, even though it provides the contents to the unspecified number of subscribers using the location based message gateway.

S14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제1 기지국 식별 정보와 제2 기지국 식별 정보가 동일하면, 단말(200)은 위치기반 메시지 내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한다(S150). 그러나, 제1 기지국 식별 정보와 제2 기지국 식별 정보가 상이한 경우, 단말(200)은 위치기반 메시지를 폐기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S16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0 that the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terminal 200 displays and provides the contents in the location based message to the user in step S150. However, if the first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different, the terminal 200 discards the location-based message and does not provide it to the user (S16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기지국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메시지만 단말(200)에 제공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기지국 식별 정보가 아닌 유선망의 IP 주소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ly the location-based message including the match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terminal 200 by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You can also use an IP addres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8)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기지국들에 대한 위치 정보 또는 유선망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부;
전송자의 단말로부터 수신자의 단말에 제공할 위치기반 메시지를 형성하는 메시지 생성 정보를 수신하는 메시지 생성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 정보를 토대로 제1 식별 정보와 컨텐츠 내용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단말들에 전송하는 메시지 생성부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1.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essage based on a location of a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a wired network to a terminal;
A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for forming a location based message to be provided to a terminal of a receiver from a terminal of a sender; And
Based on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a location-based message includ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contents,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based message to the terminals,
And a message transmis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메시지 생성부가 전송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통신 망을 형성하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의 식별 정보 또는 유선 망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위치기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식별자 확인부; 및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위치기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 내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A message receiver for receiving the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tted by the message generator;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wired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form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 identifier confirmation unit for compar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based message with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and verifying whether they match; And
If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displays and provides content contents included in the location-
And a message transmiss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 정보는 기지국 위치 정보 또는 유선 망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메시지 또는 컨텐츠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base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or wired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message or content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가 생성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상기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로 제공하는 위치기반 메시지 게이트웨이
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cation-based message gateway for providing the location-based message generated by the message generator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th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메시지 전송 장치가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장치가 전송자가 원하는 위치 기반의 메시지를 형성하는 메시지 생성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메시지 생성 정보를 토대로 제1 식별 정보와 컨텐츠 내용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복수의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은 상기 메시지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위치기반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한 위치기반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제1 식별 정보와 단말이 이미 저장하고 있는 제2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위치기반 메시지의 컨텐츠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A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based on a location of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location-based message includ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device receives the message generation information for forming a location-based message desired by the sender;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based messag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Upon receipt of the location-based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device, extract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ocation-based message; And
Comparing the extracte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ready stored by the terminal, and displaying the contents of the content of the location-based message whe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 RTI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은 이동통신 망을 형성하는 기지국의 식별 정보 또는 유선 망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Before the step of extract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receives at least on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form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d network
/ RTI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망에 대한 식별 정보는 IP 주소 또는 MAC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식별 정보로 수신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wired network is one of an IP address and a MAC address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한 위치기반 메시지를 폐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 not match, discarding the received location-based message
/ RTI >
KR1020150106815A 2015-07-28 2015-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location KR201700137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815A KR20170013739A (en) 2015-07-28 2015-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815A KR20170013739A (en) 2015-07-28 2015-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lo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739A true KR20170013739A (en) 2017-02-07

Family

ID=5810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815A KR20170013739A (en) 2015-07-28 2015-07-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lo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7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83217B (en) A kind of method, system and the equipment of transmitting satellite message
JP4723457B2 (en) Relay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ulticast relay method
JP4996741B2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related services to subscriber termi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0081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broadcast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23050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very-long short message
US8995319B2 (en) Terminal of supporting direct communication using infra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CN107005430B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data link layer
CN103733657A (en) Identification of ue counting results in embms
JP2018535583A (en) Receiving public alarm system data
US99615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ecurity management of disaster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9076095B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data distribution
US88374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ignal transmission starting point of terminal in wireless network
CN105766054A (en) Enhanc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processing network element, and broadcast method therefor
KR1016396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essage push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50195677A1 (en) Mobile station,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distribution method
TW200644657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decreasing management frame size in wireless networks
WO2017052602A1 (en) Proximity services layer-2 id collision detection
WO2006033607B1 (en) Position/location based service network architecture
KR201700137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ush message based on location
KR200901096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ell based ad broadcasting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2995145B1 (en) Elimination of muting during evolved multicast broadcast service (embs) service change
WO2016115729A1 (en) Group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62754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timing information
KR101336707B1 (en) Messenger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using cell broadcast system network
EP3541008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vice dis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