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720A -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 Google Patents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720A
KR20170013720A KR1020150106786A KR20150106786A KR20170013720A KR 20170013720 A KR20170013720 A KR 20170013720A KR 1020150106786 A KR1020150106786 A KR 1020150106786A KR 20150106786 A KR20150106786 A KR 20150106786A KR 20170013720 A KR20170013720 A KR 20170013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ent
media
transcoding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욱
Original Assignee
김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욱 filed Critical 김형욱
Priority to KR102015010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720A/ko
Publication of KR2017001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미디어 센터로부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를 소싱 및 분석하고 인제스트하는 캐치업부와, 일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미디어 콘텐츠를 소싱 및 분석하는 한편, 상기 캐치업부로부터 송출된 다중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멀티 코어의 분산 트랜스코딩을 하는 트랜스코딩부와, 상기 캐치업부와 상기 트랜스코딩부로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콘텐츠 관리부로부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 소스를 기반으로 방송 스케쥴을 편성하여 미디어 기기에게 퍼블리싱하는 채널 편성부와, 상기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채널 편성부로부터 송출받은 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멀티 플랫폼에게 배포하는 콘텐츠 배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Contents service platform}
본 발명은 뉴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 유통 등을 비롯한 콘텐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IP 기반 방송 콘텐츠가 TV를 대체하는 서비스의 환경 급변이 예고되고 있다. 즉, 최근 통계조사에 따르면, 젊을수록 TV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IP 기반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전송 기술이 시시각각으로 발전하고, 다양한 미디어 단말을 통한 고객의 콘텐츠 소비 행태의 변화가 급속히 이루어짐에 따라 콘텐츠업체는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 환경이 대두됨에 따라 서비스 경쟁력 강화가 불가피해지면서 종합적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방송 산업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보유한 기업과 기관에서도 IP 기반의 콘텐츠 유통 및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요구 사항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 유통을 비롯한 콘텐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부합되는 퍼블리싱 기능을 구현하여 콘텐츠를 보유한 개인 또는 기업에게 용이하고 신속하게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 배포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미디어 센터로부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를 소싱 및 분석하고 인제스트하는 캐치업부와, 일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미디어 콘텐츠를 소싱 및 분석하는 한편, 상기 캐치업부로부터 송출된 다중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멀티 코어의 분산 트랜스코딩을 하는 트랜스코딩부와, 상기 캐치업부와 상기 트랭스코딩부로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콘텐츠 관리부로부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 소스를 기반으로 방송 스케쥴을 편성하여 미디어 기기에게 퍼블리싱하는 채널 편성부와, 상기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채널 편성부로부터 송출받은 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멀티 플랫폼에게 배포하는 콘텐츠 배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인제스트, 트랜스코딩, 퍼블리싱 및 배포를 원스톱으로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콘텐츠 유통을 비롯한 콘텐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 부합되는 퍼블리싱 기능을 구현하여 콘텐츠를 보유한 개인 또는 기업에게 용이하고 신속하게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 배포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데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업부(10), 트랜스코딩부(20), 콘텐츠 관리부(30), 채널 편성부(40) 및 콘텐츠 배포부(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캐치업부(10)는 디지털 미디어 센터(60)로부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를 소싱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캐치업부(10)는 소싱된 미디어 파일을 디지털 데이터화하는 인제스트 실행을 한다.
트랜스코딩부(20)는 일반 사용자(70)로부터 수집된 미디어 콘텐츠를 소싱 및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사용자(70)는 디지털 미디어 센터(60)와 비교하여 소규모의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여 배포한다.
또한, 트랜스코딩부(30)는 캐치업부(10)로부터 송출된 다중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영상 시간을 분할하며 멀티 코어 분산의 트랜스코딩을 한다.
콘텐츠 관리부(30)는 캐치업부(10)와 트랭스코딩부(20)로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를 받아 채널 편성부(40)와 콘텐츠 배포부(50)를 통해 통합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채널 편성부(40)는 콘텐츠 관리부(30)로부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 소스를 기반으로 방송 스케쥴을 편성하여 미디어 기기에게 퍼블리싱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미디어 기기로는 바람직하게는 TV, PC, 모바일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미디어 기기로의 퍼블리싱을 통해 N-스크린 환경에서의 최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콘텐츠 배포부(50)는 콘텐츠 관리부(30)와 채널 편성부(40)로부터 송출받은 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멀티 플랫폼에게 배포한다.
상기 다른 멀티 플랫폼으로는 동영상 콘텐츠를 공급하는 서비스를 영위하는 유튜브, 티빙 등이 있으며, 다음, 네이버 등의 검색 포털사이트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반의 소셜 네트웍스 플랫폼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콘텐츠 배포부(50)는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 센터와 사용자의 미디어 콘텐츠를 상술한 멀티 플랫폼에 배포하는 OTT(over the top) 서비스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배포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에 따르면, 미디어 콘텐츠를 인제스트, 트랜스코딩, 배포, 퍼블리싱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부(50)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콘텐츠를 보유한 개인 또는 기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보유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 배포할 수 있도록 한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10 : 캐치업부
20 : 트랜스코딩부
30 : 콘텐츠 관리부
40 : 채널 편성부
50 : 콘텐츠 배포부
60 : 디지털 미디어 센터
70 : 사용자

Claims (2)

  1. 디지털 미디어 센터로부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를 소싱 및 분석하고 인제스트하는 캐치업부와,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미디어 콘텐츠를 소싱 및 분석하는 한편, 상기 캐치업부로부터 송출된 다중 프로파일을 관리하고 멀티 코어의 분산 트랜스코딩을 하는 트랜스코딩부와,
    상기 캐치업부와 상기 트랜스코딩부로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콘텐츠 관리부로부터 송출된 미디어 콘텐츠 소스를 기반으로 방송 스케쥴을 편성하여 미디어 기기에게 퍼블리싱하는 채널 편성부와,
    상기 콘텐츠 관리부와 상기 채널 편성부로부터 송출받은 미디어 콘텐츠를 다른 멀티 플랫폼에게 배포하는 콘텐츠 배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인제스트, 트랜스코딩, 퍼블리싱 및 배포를 원스톱으로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KR1020150106786A 2015-07-28 2015-07-28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KR20170013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786A KR20170013720A (ko) 2015-07-28 2015-07-28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786A KR20170013720A (ko) 2015-07-28 2015-07-28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720A true KR20170013720A (ko) 2017-02-07

Family

ID=5810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786A KR20170013720A (ko) 2015-07-28 2015-07-28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7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067B1 (ko) * 2017-05-24 2018-05-23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다중 sns 채널 자동 스트리밍 서버, 스트리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중 sns 채널 자동 스트리밍 방법
KR101895030B1 (ko) 2017-04-27 2018-09-04 김형욱 온라인기반 방송서비스에서 고품질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895028B1 (ko) 2017-04-27 2018-09-04 김형욱 온라인 주조정실을 이용한 실시간 편성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KR102259637B1 (ko) * 2020-10-13 2021-06-02 (주)와이즈콘 무인 방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방송 송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030B1 (ko) 2017-04-27 2018-09-04 김형욱 온라인기반 방송서비스에서 고품질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895028B1 (ko) 2017-04-27 2018-09-04 김형욱 온라인 주조정실을 이용한 실시간 편성 기능을 갖는 방송 시스템
KR101860067B1 (ko) * 2017-05-24 2018-05-23 트라이콤텍 주식회사 다중 sns 채널 자동 스트리밍 서버, 스트리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중 sns 채널 자동 스트리밍 방법
KR102259637B1 (ko) * 2020-10-13 2021-06-02 (주)와이즈콘 무인 방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방송 송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71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data management
US20170339114A1 (en) Protecting content-stream portions from modification or removal
US20200068234A1 (en) User-Defined Content Streaming
JP5678029B2 (ja) 対話式コンテンツによりビデオ広告をエンハンス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11729237B2 (en) Custom content insertion
KR20170013720A (ko)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KR101626910B1 (ko) 맞춤형 컨텐츠 스트림들의 어셈블리에 대한 컨텐츠 편성
US20220150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manifest representing a video channel
Reznik et al. Transitioning broadcast to cloud
US10187667B1 (en) Simultaneously optimizing transport bandwidth and client device performance
US2017004857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ent control
US871221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ime-shifting content
Jo et al. Building a common encryption scrambler to protect paid broadcast services
AU2015101492A4 (en) A Technique, method and/or process to combine various sports content owners, and broadcasters to a common web platform to stream or publish live as well as pre-taped sporting events onto viewers mobiles, tablets, websites, Smart-TV app, gaming consoles, and any other form of connected media. This web platform will provide seamless connectivity to users, and access to multiple sporting events not necessarily associated to one particular broadcasters digital platform. This web platform will be an additional digital platform for small sports and existing broadcasters in the market.
Baumgartner CableLabs spec aims to simplify multiscreen VOD: unifies encoding of'mezzanine'video files
Annex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