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67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676A
KR20170013676A KR1020150106676A KR20150106676A KR20170013676A KR 20170013676 A KR20170013676 A KR 20170013676A KR 1020150106676 A KR1020150106676 A KR 1020150106676A KR 20150106676 A KR20150106676 A KR 20150106676A KR 20170013676 A KR20170013676 A KR 20170013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buffer
data
uplink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3676A/ko
Publication of KR2017001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04W72/042
    • H04W72/12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단말이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때,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SR을 트리거링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제 1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 1 메시지를 버퍼(buffer)에 할당하는 단계 및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 링크를 통해 제 1 메시지가 재전송되지 않아 버퍼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삭제(discard)하고, 제 1 메시지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E-UMTS(Enhanc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크게 단말(User Equipment, UE)과 셀(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이하 AG)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eNB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 송신할 수 있다. eNB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AG는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질 수도 있다. 이때, 새로운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위한 AG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 사이에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G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며, 상기 TA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된다. 단말은 특정 TA에서 다른 TA로 이동할 경우, AG에게 자신이 위치한 TA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CN(Core Network)은 AG와 UE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E-UTRAN과 CN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데이터 재전송 과정에서 ack 처리된 데이터에 대한 불필요한 재전송을 취소하여 비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불필요하게 팬딩 중인 스케쥴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를 취소하여 효율적으로 무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트리거링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제 1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 1 메시지를 버퍼(buffer)에 할당하는 단계 및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 링크를 통해 아직 전송되지 않은 상기 제 1 메시지가 재전송되지 않아 버퍼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삭제(discard)하고, 제 1 메시지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외부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 및 송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트리거링하고,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타이머를 시작하고,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제 1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 1 메시지를 버퍼(buffer)에 할당하고,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 링크를 통해 아직 전송되지 않은 상기 제 1 메시지가 재전송되지 않아 버퍼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삭제(discard)하고, 제 1 메시지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단말 장치에 대해서 다음 사항들은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제 1 메시지에 대한 수신이 확인되면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삭제하고,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메시지는 RLC PDU에 기초하여 송신되는 메시지이고, 응답 메시지는 RLC status report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메시지가 버퍼에 할당되는 경우, SR을 다시 트리거링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거링된 SR은 팬딩(pending) 상태를 유지하되,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메시지가 버퍼에서 삭제(discard)되면 팬딩 중인 SR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SR이 트리거링되면 SR은 팬딩(pending) 상태를 유지하되,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상기 데이터가 삭제되면 팬딩 중인 SR을 취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데이터 재전송 과정에서 ack 처리된 데이터에 대한 불필요한 재전송을 취소하여 비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불필요하게 팬딩 중인 스케쥴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를 취소하여 효율적으로 무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E-UTRAN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E-UMT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리 채널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지연되어 수신되는 경우, 단말이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지연되어 수신되는 경우, 단말이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메시지가 버퍼에서 삭제된 경우, 단말이 팬딩 중인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취소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메시지가 버퍼에서 삭제된 경우, 단말이 팬딩 중인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취소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 유무에 따라 팬딩 중인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취소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 유무에 따라 팬딩 중인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취소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스케쥴링 리퀘스트가 팬딩 중인 상태에서 BO에 기초하여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취소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E-UTRAN시스템은 기존 UTRAN 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E-UTRAN은 셀(eNB)들로 구성되며, 셀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셀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EPC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DN-GW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한편 3GPP 표준문서 TS 36.304에는 E-UTRAN이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아래 표 1과 같은 3가지 타입으로 구분하고 있다.
Figure pat00001
또한 3GPP 표준문서 TS 36.304에는 셀의 타입을 셀이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타입과 관련하여 아래 표 2와 같이 구분하고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Acceptable 셀은 단말 입장에서, 금지(barred)되어 있지 않고 단말의 셀 선택 기준은 만족시키는 셀로서, 긴급 통화 및 ETWS와 같은 Limited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셀이다. 또한 Suitable 셀은 Acceptable 셀의 조건을 만족시키며, 동시에 추가 조건들을 만족시킨다. 추가적인 조건으로는, 이 셀이 해당 단말이 접속할 수 있는 PLMN 소속이어야 하고, 단말의 TA 갱신 절차의 수행이 금지되지 않은 셀이어야 한다. 해당 셀이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라면, 단말이 CSG 멤버로서 접속이 가능한 셀이어야 한다.
참고로, 3GPP 표준문서 TS 25.304에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와 셀 타입을 정의하고 있으며, 3GPP 표준문서 TS 43.022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이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와 셀 타입을 정의하고 있다. 특히 UTRAN 및 GSM이 제공하는 Limited 서비스는 ETWS를 제외한 긴급 통화만을 지원한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사용자평면(U-Plane, User-Plane)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직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평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 신호(Signaling)의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또한, 도 3 및 4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에 기반한 것으로, 하위 3개 계층을 L1(제 1 계층), L2(제 2 계층), L3(제 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평면은 단말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프로토콜의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 1 계층인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 계층 사이는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 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되며,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제 2 계층의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2 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이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 시에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 (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이하 단말의 RRC 상태와 RRC 연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RRC 상태란 단말의 RRC가 E-UTRAN의 RRC와 논리적 연결(logical connection)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말하며,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RRC 연결 상태(RRC_CONNECTED),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RRC 휴지 상태(RRC_IDLE)라고 부른다.
E-UTRAN은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의 존재를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E-UTRAN은 RRC 휴지 상태의 단말을 셀 단위에서 파악할 수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TA 단위로 CN이 관리한다. 즉, RRC 휴지 상태의 단말이 셀로부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RRC 연결 상태로 상태 천이하여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단말의 전원을 맨 처음 켰을 때, 단말은 먼저 적절한 셀을 탐색한 후 해당 셀에서 RRC 휴지 상태에 머무른다. RRC 휴지 상태에 머물러 있던 단말은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야 비로소 E-UTRAN의 RRC과 RRC 연결 설정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을 수행하여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한다. 여기서 RRC 연결을 맺을 필요가 있는 경우란 사용자의 통화 시도 등의 이유로 상향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거나, E-UTRAN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셀 선택 절차는 단말이 RRC 휴지 상태로 머물러 있을 셀을 현재 결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므로, 가능한 신속하게 셀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일정 기준 이상의 무선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셀이라면, 비록 이 셀이 단말에게 가장 좋은 무선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셀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즉 Suitable 셀이 아닌 Acceptable 셀인 경우에도, 단말의 셀 선택 절차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무선 채널의 품질 악화 또는 단말-네트워크간 설정 불일치 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통신을 할 수 없을 경우, 단말은 현재의 통신 링크에 장애가 있다고 판단하고 RRC 연결 재설정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3GPP 표준 문서 TS 36.331에서는 상기 정상적인 통신을 할 수 없을 경우의 예로서 단말의 물리 계층의 무선 품질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단말이 하향 통신 링크 품질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MAC 부계층에서 임의 접근(Random Access) 절차가 계속적으로 실패하거나 RLC 부계층에서 상향 데이터 전송이 계속해서 실패하여 상향 링크 전송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핸드오버를 실패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또는 단말이 수신한 메시지가 무결성 검사(integrity check)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등을 들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RRC 연결 상태에서 특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동기화 상태가 비동기화 상태로 전환되어 상향 링크 자원이 해제된 후, 상향 링크 자원을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도 5는 E-UMT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리 채널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리채널은 시간 축 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축 상에 복수의 심볼(Symbol)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복수의 심볼들과 복수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된다.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E-UMTS 시스템에서는 10ms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을 사용하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 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두 개의 연속되는 슬롯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이며,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1ms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OFDM 심볼들(예를 들어, 첫 번째 심볼)의 특정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에 L1/L2 제어정보 전송 영역(PDCCH, 501)과 데이터 전송 영역(PDSCH, 502)을 도시하였다.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제어신호 또는 특정한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전송채널인 DL-SCH를 이용하여 물리 채널인 PDSCH(502)를 통해서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다. PDSCH(502)의 데이터가 어떠한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들)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501)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501)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를 들면,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전송형식정보(예를 들면,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해당 셀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PDCCH(501)를 모니터링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있다면 상기 단말들은 PDCCH(501)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501)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502)를 수신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은 상향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데이터는 메시지, 정보 등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되고, 현재 수신한 자원 할당 정보가 없으면 스케쥴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 SR)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자원 할당 정보로서 UL-grant가 없으면 상향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바, 자원 할당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SR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메시지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로서 물리 계층을 통해 할당되어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메시지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로서 논리 계층에서 할당되어 전송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메시지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의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은 BO(Buffer Occupy)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PDCP PDU(Protocol Data Unit)를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의 MAC 계층이 BO를 업데이트하는 경우, 단말의 MAC 계층은 PDCP PDU에 기초하여 전송해야되는 데이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의 MAC 계층은 버퍼(buffer)에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버퍼가 비워져있지 않으면 전송해야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SR을 트리거링하여 UL-grant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regular BSR(Buffer Status Report)이 트리거링되어 있고, UL-grant가 없는 경우에만 SR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이때, regular BSR은 상위 계층에 의해 전송해야할 데이터에 대한 UL-grant가 없는 경우 트리거링될 수 있다. 즉, regular BSR은 현재 전송해야할 데이터에 대한 UL-grant가 없는 상태에서 트리거링될 수 있다.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있지만 UL-grant가 없는 경우, 단말은 SR을 트리거링하고 UL-grant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UL-grant를 할당받지 못하면 SR을 재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말은 UL-grant를 할당 받으면 전송해야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RLC PDU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단말은 RLC SDU(Service Data Unit)을 전송하기 위해 RLC PDU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RLC 계층은 제 1 타이머를 시작하고 RLC PDU를 단말의 MAC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타이머는 RLC Poll timer일 수 있다. 단말의 MAC 계층은 RLC PDU를 포함하는 MAC PDU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생성된 MAC PDU를 UL-grant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SR은 팬딩(pending) 상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UL-grant를 할당받기 위해 SR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이때, 트리거링된 SR은 일정한 조건 하에 취소되지 않으면 팬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일정한 조건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만큼 UL-grant를 수신하는 경우, MAC PDU에 트리거링된 BSR이 포함되는 경우, 또는 스레스홀드 횟수(ex: dsr-transmax)만큼 SR을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SR은 전송하고자 하는 모든 데이터만큼 UL-grant가 수신되어 사이즈 제한없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으면 취소될 수 있다. 또한, SR은 UL-grant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만큼 할당되지 않더라도 MAC PDU가 트리거링된 BSR을 포함하여 단말이 버퍼 상태를 보고할 수 있으면 취소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트리거링된 BSR은 MAC PDU에 포함되어 전송되면 취소될 수 있다. 또한, SR은 스레스홀드 횟수만큼 시도되면 UL-grant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여 취소될 수 있다. 즉, SR은 트리거링된 후, 일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팬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RLC PDU를 포함하는 MAC PDU를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RLC PDU는 AM(Acknowledge Mode)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AM-RLC PDU는 단말 및 기지국 양방향 전송서비스를 제공하고 RLC PDU의 전송이 실패하면 재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해 수신측으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상태를 포함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이 실패하면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이 AM-RLC PDU를 상향 링크를 통해 송신하는 경우, 기지국은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응답 메시지는 RLC status report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수신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RLC PDU에 Poll bit를 설정하면 AM-RLC PDU가 될 수 있다. 즉, 단말이 RLC PDU에 대한 Poll bit를 설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RLC status report를 단말로 송신하여야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제 1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응답 메시지가 부정(NACK)이면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제 1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까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은 RLC PDU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의 RLC 계층은 RLC PDU를 RLC 재전송 버퍼에 트리거링할 수 있다. 즉, 단말의 RLC 계층은 RLC PDU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MAC 계층은 BO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재전송이 필요한 RLC PDU가 존재하는바, 버퍼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은 SR을 트리거링하여 기지국으로 UL-gran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RLC PDU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하며, 새로운 타이머인 제 2 타이머에 기초하여 RLC PDU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타이머는 제 1 타이머와 동일한 타이머일 수 있다.
도 7 및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지연되어 수신되는 경우, 단말이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RLC PDU를 포함하는 MAC PDU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RLC PDU가 AM 데이터인 경우, 기지국은 응답 메시지로서 RLC status PDU를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제 1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RLC PDU의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수신할 수 있다. 즉, 응답 메시지는 지연되어 전송되어 제 1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수신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가 긍정(ack)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RLC PDU를 재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은 제 1 타이머에만 기초하여 RLC PDU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는바, 응답 메시지의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자원 낭비를 막기 위해서 RLC PDU의 재전송을 취소할 필요성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RLC 재전송 버퍼에 저장된 RLC PDU를 삭제(discard)하고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ack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신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메시지가 상향 링크를 통해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ack 처리된 RLC PDU가 RLC 재전송 버퍼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RLC PDU 재전송을 위해 RLC 재전송 버퍼에 ack 처리된 RLC PDU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은 RLC PDU를 삭제하고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미 전송이 완료된 RLC PDU에 대한 재전송을 불필요한 절차인바,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버퍼에 저장된 RLC PDU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9,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메시지가 버퍼에서 삭제된 경우, 단말이 팬딩 중인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취소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SR을 트리거링하여 UL-gran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송해야될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RLC PDU에 대한 재전송을 위해 RLC PDU 버퍼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면 전송해야될 데이터가 삭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PDCP SDU에 대한 PDCP discard timer가 만료되면 전송해야될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면 전송해야할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다른 이유에 기초하여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리거링되어 팬딩 중인 SR은 일정한 조건에 기초하여 취소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조건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만큼 UL-grant를 수신하는 경우, MAC PDU에 트리거링된 BSR이 포함되는 경우, 또는 스레스홀드 횟수(ex: dsr-transmax)만큼 SR을 전송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SR은 일정한 조건이 되지 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팬딩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이 RLC SDU를 삭제(discard)하여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단말은 팬딩 중인 SR에 기초하여 UL-gran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AC padding PDU를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지만 팬딩 중인 SR에 의해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자원이 낭비될 수 있으며,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불필요한 상향 링크 전송을 취소하여 무선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을 참조하면, RLC SDU가 삭제되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의 MAC 계층은 BO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바, BO는 비워져 있을 수 있다. 단말은 BO가 비워져있는 것을 확인하고 SR을 취소할 수 있다. 즉, SR이 팬딩되어 있는 경우, 단말은 BO를 한번 더 확인하여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없으면 SR을 취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게하여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 유무에 따라 팬딩 중인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취소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이 상향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SR이 팬딩 중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은 UL-grant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상향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UL-grant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상향 링크 데이터를 스케쥴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조건에 부합되면 팬딩 중인 SR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UL-gran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BO가 비워져(empty)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BO가 비워져있지 않은 경우, 단말은 팬딩 중인 SR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팬딩 중인 SR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SR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SR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전송해야할 데이터가 존재하나 UL-grant가 없는 경우, regular BSR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단말은 regular BSR이 트리거링되어 있고,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데이터가 있지만 UL-grant가 없는 경우, SR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SR을 팬딩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조건 하에 SR을 취소할 수 있다.
도 12,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SR이 팬딩 중인 상태에서 BO에 기초하여 스케쥴링 리퀘스트를 취소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SR을 트리거링한 후 SR을 팬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단말이 SR이 팬딩된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단말은 BO가 비워져(empty)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단말은 SR이 트리거링된 후에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BO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BO가 비워져 있는 경우), 단말은 팬딩 중인 SR을 취소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SR은 취소될 수 있다. 반대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BO가 채워져 있는 경우), 단말은 SR에 기초하여 UL-grant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SR을 트리거링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410) 이때, 도 6 내지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수신한 자원 할당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제 1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S1420) 이때, 도 6 내지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전송해야할 데이터는 RLC PDU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의 RLC 계층은 RLC PDU를 MAC 계층으로 전달하고, 제 1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타이머는 RLC poll timer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430) 단말의 MAC 계층은 상술한 RLC PDU를 포함하는 MAC PDU를 생성하고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메시지는 RLC PDU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메시지는 RLC PDU를 포함하는 MAC PDU일 수 있다. 즉, 제 1 메시지는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의해 설정되는 데이터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1 타이머 만료 이전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40) 이때, 단말은 제 1 타이머 만료 이전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송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메시지는 긍정(ack) 메시지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이 제 1 타이머 만료 이전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제 1 메시지를 버퍼에 할당할 수 있다.(S1450) 이때, 일 예로, 제 1 메시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AM-RLC PDU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AM-RLC PDU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 예로, 버퍼는 RLC 재전송 버퍼일 수 있다. 즉, 단말은 제 1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제 1 메시지가 제대로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은 제 1 타이머 만료 이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60) 이때, 단말이 제 1 타이머 만료 이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은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S1470) 다음으로, 단말이 제 1 타이머 만료 이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삭제하고,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S1480) 이때,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ack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신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ack 처리된 제 1 메시지가 버퍼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제 1 메시지 재전송을 위해 버퍼에 ack 처리된 제 1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제 1 메시지를 삭제하고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미 전송이 완료된 제 1 메시지에 대한 재전송을 불필요한 절차인바,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버퍼에 저장된 제 1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는 상향 링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110),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130) 및 송신 모듈(110)과 수신 모듈(13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은 송신 모듈(110) 및 수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는 다른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는 기지국일 수 있다. 즉, 외부 디바이스는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100)는 송신 모듈(110) 및 수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송신 모듈(110) 및 수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와 교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SR을 트리거링하고, 수신 모듈(130)을 이용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제 1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 1 메시지를 버퍼에 할당하고, 송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 링크를 통해 아직 전송되지 않은 제 1 메시지가 재전송되지 않아 버퍼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삭제하고, 제 1 메시지에 대한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메시지는 RLC PDU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응답 메시지는 RLC status report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타이머는 RLC poll timer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버퍼는 RLC 재전송 버퍼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제 1 메시지에 대한 수신이 확인되면 버퍼에 할당된 제 1 메시지를 삭제하고,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단말은 제 1 메시지에 대한 ack 처리를 수행한 후, ack 처리된 제 1 메시지가 재전송 버퍼에 존재하면 버퍼에 저장된 제 1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단말은 제 1 메시지가 버퍼에 할당되면 SR을 다시 트리거링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할당 자원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때, 트리거링된 SR은 팬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메시지가 버퍼에서 삭제되면 팬딩 중인 SR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SR이 팬딩된 상태에서 제 1 메시지가 다른 이유에 기초하여 삭제되면 팬딩 중인 SR을 삭제할 수 있다. 즉, 단말은 SR이 팬딩 중인 경우, 전송해야할 데이터를 확인하여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없으면 팬딩 중인 SR을 취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단말 장치
110 : 송신 모듈
120 : 프로세서
130 : 수신 모듈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스케쥴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 SR)를 트리거링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링크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제 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 1 메시지를 버퍼(buffer)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에 할당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 링크를 통해 상기 제 1 메시지가 재전송되지 않아 버퍼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에 할당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삭제(discard)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상기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수신이 확인되면 상기 버퍼에 할당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삭제하고, 상기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RCL PDU에 기초하여 송신되는 메시지이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RLC status report인,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상기 버퍼에 할당되는 경우, 상기 SR을 다시 트리거링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된 상기 SR은 팬딩(pending)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메시지가 상기 버퍼에서 삭제(discard)되면 상기 팬딩 중인 SR을 취소하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R이 트리거링되면 상기 SR은 팬딩(pending)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상기 데이터가 삭제되면 상기 팬딩 중인 SR을 취소하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외부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및
    상기 수신 모듈 및 상기 송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스케쥴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 SR)를 트리거링하고,
    상기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상향 링크를 통해 제 1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제 1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제 1 메시지를 버퍼(buffer)에 할당하고,
    상기 송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에 할당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되,
    상기 제 1 타이머가 만료된 후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향 링크를 통해 상기 제 1 메시지가 재전송되지 않아 버퍼에 할당되어 있을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에 할당된 상기 제 1 메시지를 삭제(discard)하고, 상기 제 1 메시지에 대한 상기 재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가 상기 버퍼에 할당되는 경우, 상기 SR을 다시 트리거링하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자원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된 상기 SR은 팬딩(pending)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메시지가 상기 버퍼에서 삭제(discard)되면 상기 팬딩 중인 SR을 취소하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R이 트리거링되면 상기 SR은 팬딩(pending)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상향 링크를 통해 전송할 상기 데이터가 삭제되면 상기 팬딩 중인 SR을 취소하는,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
KR1020150106676A 2015-07-28 2015-07-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13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676A KR20170013676A (ko) 2015-07-28 2015-07-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676A KR20170013676A (ko) 2015-07-28 2015-07-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676A true KR20170013676A (ko) 2017-02-07

Family

ID=5810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676A KR20170013676A (ko) 2015-07-28 2015-07-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36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33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xed HARQ feedbacks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92950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access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13033B1 (ko) 다중 계층 구조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
CN110583006B (zh) 发送数据单元的方法和装置
US10425941B2 (en) Method for de-configuring a cell from PUCCH resourc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7010698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3047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재전송 제어 방법
WO201619517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0016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xed HARQ feedbacks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20180014332A1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JP201653550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622608A (zh) 无线通信系统中的资源管理
US20180020444A1 (en) Method for applying a new pucch configuration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034312B2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687369B2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18718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xed HARQ feedbacks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102503950B1 (ko)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사용자기기
US10348476B2 (en) Method for removing a last PUCCH resource of a PUCCH group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20170374688A1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271356B2 (en) Method for initiat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20170366306A1 (en) Method for selecting pucch transmission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20180007640A1 (en)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caling for pucch transmission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7001367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373805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pucch transmission on a pucch cell in a carrier aggreg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6013864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재설정 수행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