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790A -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790A
KR20170011790A KR1020150105061A KR20150105061A KR20170011790A KR 20170011790 A KR20170011790 A KR 20170011790A KR 1020150105061 A KR1020150105061 A KR 1020150105061A KR 20150105061 A KR20150105061 A KR 20150105061A KR 20170011790 A KR20170011790 A KR 20170011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ol
chlorine
temperatur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690B1 (ko
Inventor
박창훈
임상봉
Original Assignee
박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훈 filed Critical 박창훈
Priority to KR102015010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6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장용 염소발생기 및 이를 이용하는 수영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염소발생기는 수영장에서 사용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염소발생기는 소금물이 담기는 반응용기; 상기 소금물에 일부가 잠기게 되는 양전극 및 음전극; 및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포함하되, 상기 소금물의 농도는 600 내지 800 ppm 이며, 상기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 {Clorine generator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영장 물의 잔류염소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염소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영장의 물은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머리카락, 수영복에서 분리되어 나온 실, 기타 협잡물 등의 이물질과 각종 유해균 등에 의해 오염된다.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여 수영장의 물질을 정수하고, 각종 유해균을 살균하기 위해 수영장에는 다양한 여과기, 정수기 및 살균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수영장에는 이용에 적정한 수온을 유지하기 위해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수온 조절을 위한 열을 공급하고 있다.
이때, 수영장의 물은 아래 [표 1]에 나타낸 항목들의 법적 기준치를 만족시켜야 한다. 아울러, 수영장은 수온이 약 27℃ ~ 30℃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권장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28.5℃로 수온을 유지하고 있다.
항 목
기준치
잔류염소농도
0.4 ~ 1.0 mg/L
수소이온농도(pH)
5.8 ~ 8.6
탁도
2.8 NTU 이하
이 경우, 수영장 물에서의 잔류염소농도에 이상이 생기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잔류염소농도를 정확히 유지할 필요가 있고, 만일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발생이 되면 최대한 신속히 정상 범위로 복귀를 시켜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수영장 물에서의 잔류염소농도는 수영장 물의 온도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영장 물의 온도를 고려해서 잔류염소농도를 고려해야 하며, 잔류염소농도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영장 물에서의잔류염소농도가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이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염소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염소발생기를 포함하는 수영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영장 물의 수질 및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용 염소발생기는 상기 염소발생기는 소금물이 담기는 반응용기; 상기 소금물에 일부가 잠기게 되는 양전극 및 음전극; 및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포함하되, 상기 소금물의 농도는 600 내지 800 ppm 이며, 상기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간의 간격은 2 내지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소금물의 부피는 100 내지 300 L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간에는 12 내지 14 V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 관리 시스템은 상기의 염소발생기를 포함하되, 상기 염소발생기에서 생성된 염소를 공급받는 수조; 상기 수영장 수조에서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 상기 수영장 수조로부터 넘치거나 배수되는 물과 상기 급수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밸런싱 탱크; 상기 수영장 수조로 공급되는 물에 열을 제공해주는 열교환기; 상기 수영장 수조로 공급되는 물에 살균제를 공급하는 약품 투입기; 물의 잔류염소농도, 수소이온농도 및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 상기 수영장 수조에 담긴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 상기 수질측정센서 및 온도측정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기준치와 대비하고, 상기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급수 장치, 열교환기 및 약품 투입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시켜 수질 및 물의 온도가 기준치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영장 관리 시스템은 물을 살균하기 위한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상기 밸런싱 탱크에서 유출되는 물과 혼합시키는 혼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질측정센서는 상기 밸런싱 탱크와 상기 혼합기 사이의 구간에서 샘플링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센서는, 상기 수영장 수조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온도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취하여 상기 수영장 수조에 담긴 물의 온도를 산정하고, 산정된 온도를 기준치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영장에 사용되는 물의 잔류염소농도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잔류염소농도에 이상이 있을 경우 간편하게 잔류염소농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영장에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고려하여 염소이온농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수영장 물의 수질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소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영장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 관리 시스템(100)은 수영장 수조(1), 급수 장치(2), 밸런싱 탱크(3), 응집제 투여기(4), 오존 발생기(5), 혼합기(6), 여과기(7), 열교환기(8), 약품 투입기(9), 수질측정센서(10), 온도측정센서(11), 제어부(12) 및 염소발생기(13)를 포함한다.
급수 장치(2)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밸런싱 탱크(3)로 유입이 되며, 이후 각종 배관 및 밸브를 거쳐 수영장 수조(1)로 공급이 된다. 수영장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및 밸브(미도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량 및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은 사용 과정에서 많은 오염이 발생되며 수온이 발생이 되므로 수질측정센서(10) 및/또는 온도측정센서(11)를 이용해서 수질 및 물의 온도를 파악하게 된다. 응집제 투여기(4), 여과기(7), 약품 투입기(9), 오존 발생기(5), 혼합기(6) 및 열교환기(8)는 수질 및 수온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하에서는 수영장에서 물이 순환되는 경로를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급수 장치(2)는 외부로부터 수돗물을 유입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돗물 유입을 위한 배관, 펌프 및 밸브 등을 의미한다. 급수 장치(2)를 통해 유입된 물은 밸런싱 탱크(3)로 유입된다. 밸런싱 탱크(3)에는 급수 장치(2)를 통해 유입된 물뿐만 아니라, 수영장의 사용 과정에서 수영장 수조(1)에서 넘치게 되는 물도 함께 유입이 되며,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을 교체 또는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배수를 시킨 물 또한 유입이 될 수 있다.
밸런싱 탱크(3)에서 유출된 물은 혼합기(6)로 공급된다. 혼합기(6)는 오존 발생기(5)에서 생성된 오존을 공급받아서 유입되는 물과 혼합하기 위한 것이다. 오존 발생기(5)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오존(O3)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오존 발생기(5)에서 생성된 물은 혼합기(6)로 전달이 되며, 혼합기(6)에서는 유입되는 물과 오존이 혼합이 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혼합기(6)에서 유출된 물은 이후 여과기(7)를 거치며 정수가 되고, 살균을 약품의 투입 및 온도 조절 과정을 거친 이후 수영장 수조(1)로 공급이 된다.
수질을 파악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10)는 수영장 내에서 물이 순환되는 과정에서 물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수질을 측정하게 된다. 샘플링은 물의 순환 경로에 적절한 분기용 배관을 설치하여 진행할 수 있다. 수질측정에 사용되는 물은 밸런싱 탱크(3)와 혼합기(6) 사이의 구간에서 샘플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런싱 탱크(3)와 혼합기(6) 사이의 구간에서 물을 샘플링하여 수질을 파악하게 되면 샘플링 시점에서의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의 수질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밸런싱 탱크(3)와 혼합기(6) 사이 구간에는 집모기(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집모기는 일차적으로 머리카락이나 수영복에서 떨어져 나온 실과 같은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오염물들을 제거하여 정수를 한다. 수질 측정을 위한 물의 샘플링은 집모기를 거친 물에 대해 진행될 수도 있고, 집모기로 유입되는 물에 대해서 진행할 수도 있다. 다만, 집모기를 거치기 전에 샘플링 하여 수질을 측정하는 것이 수영장 수조의 수질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응집제가 투여된 다음 여과기(7)를 거치게 되면 잔류염소가 흡착이 된 이후 샘플링을 하게 되므로 정확한 수질의 파악이 어려우므로, 정확한 수질 파악을 위해서는 물이 혼합기(6)를 거치기 전에 샘플링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질측정센서(10)는 샘플링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물에서의 잔류염소농도, 수소이온농도 및 탁도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특성을 측정 가능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수질측정센서(10)는 파악된 잔류염소농도, 수소이온농도 및 탁도의 레벨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형태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수질측정센서(1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는 제어부(12)로 전달된다. 수질측정센서(1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신호는 제어부(12)에 포함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밸런싱 탱크(3)에서 유출된 물에는 응집제 투여기(4)에 의해 응집제가 투여된다. 밸런싱 탱크(3)에서 유출된 물이 집모기를 거치는 경우에는, 집모기를 거친 물에 대해 응집제가 투여될 수 있다. 응집제는 작은 오염물들을 서로 응집시켜 오염물들의 사이즈가 커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응집제 투여기(4)에서 투여된 응집제에 의해 응집이 되어 사이즈가 커진 오염물들은 이후 여과기(7)에서 걸러져서 제거된다. 응집제가 투입된 물은 이후 혼합기(6)로 전달된다. 수질을 파악하기 위한 물은 응집제를 투여하기 전에 샘플링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응집제가 투여된 이후에는 수영장의 현재 수질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온도측정센서(11)는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의 온도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파악된 온도의 레벨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형태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도 1에는 수영장 수조(1)에 1개의 온도측정센서(11)가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보다 정확한 온도의 파악을 위해 수영장 수조(1)에는 복수개의 온도측정센서(11)가 적절한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온도측정센서(11)가 설치되는 깊이 또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온도측정센서(11)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는 제어부로(12)로 전달된다. 온도측정센서(11)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신호는 제어부(12)에 포함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제어부(12)는 수질측정센서(10) 및 온도측정센서에서 신호를 입력받아서 수영장 물의 수질 및 온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수영장에 설치된 응집제 투여기(4), 오존 발생기(5), 열교환기(8), 약품 투입기(9) 및 염소발생기(13)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12)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또는 DSC(Digital Signal Controller)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2)와 상기 설비들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채널에 의해 연결된다. 수질측정센서(11) 및 온도측정센서(12)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의 형태일 수 있으며, 제어부(12)가 응집제 투여기(4), 오존 발생기(5), 열교환기(8), 약품 투입기(9) 및 염소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의 송수신 또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의 형태일 수 있다.
제어부(12)는 수질측정센서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이용해서 잔류염소농도, 수소이온농도(pH) 및 탁도가 적정 수준, 즉 상기 표 1에 나타낸 법적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을 한다. 이 경우, 법적 기준은 잔류염소농도를 0.4 ~ 1.0 mg/L으로, 수소이온농도(pH)를 5.8 ~ 8.6으로, 탁도를 2.8 NTU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준을 넘어서 잔류염소농도를 0.45 ~ 0.95 mg/L으로, 수소이온농도(pH)를 7 ~ 8로, 탁도를 2.5 NTU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어부(12)는 측정된 잔류염소농도가 기준을 벗어날 경우, 약품 투입기(9) 및 염소발생기(13)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만일 잔류염소농도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어부(12)는 우선 염소발생기(13)를 동작시켜 염소(Cl2)를 발생시킨다. 염소발생기(13)에서 발생된 염소는 약품 투입기(9)로 전달이 되고, 약품 투입기(9)는 펌핑 과정을 통해서 염소는 수영장에서 순환되는 물과 혼합을 한다. 약품 투입기(9)를 거치면서 염소가 보충된 물은 수영장 수조(1)로 전달이 되어 수영장 수조(1)에 염소를 보충하게 된다. 염소를 추가로 투입하거나 가동중인 약품 투입기(9)의 동작을 중지시켜 잔류염소농도를 조절한다.
염소발생기(13)에서 염소가 생성되어 약품 투입기(9)로 전달이 되어 염소가 보충이 되는 과정 동안에도, 수질측정센서(10)는 지속적으로 잔류염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염소를 지속적으로 공급을 하면서, 수질측성센서(10)를 이용해서 지속적으로 잔류염소농도를 측정하고, 잔류염소농도가 기준 범위 내로 들어오면 약염소발생기(13)의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될 수도 있다. 잔류염소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면서 염소의 보충이 완료되었을 때 염소발생기(13)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과정은 제어부(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염소발생기(13)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작 및 동작의 정지를 반복하는 형태로 운영될 수도 있다.
수소이온농도(pH)가 기준을 벗어날 경우에도 제어부(12)는 약품 투입기(9)를 제어하여 수소이온농도(pH)를 조절한다. 즉, 수소이온농도(pH)가 높아 수질이 알카리성으로 판정되면 약품 투입기(9)를 가동시켜 염산을 투입함으로써 수질을 중성으로 변화시키고, 반대로 수소이온농도(pH)가 낮아 수질이 산성인 것으로 판단이 되면 약품 투입기(9)를 가동시켜 수산화나트륨 등을 투입하여 중성으로 조절을 한다. 수소이온농도(pH)의 조절을 위해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이외에 절절한 다른 약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탁도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2)는 응집제 투여기(4)의 동작을 제어하여 투입되는 응집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온도측정센서(11)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아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의 온도를 파악하고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수영장 수조(1)는 많은 물의 양이 담기게 되고 위치에 따라 온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영장 수조(1)에는 복수의 온도측정센서(11)가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는(12)는 복수의 온도측정센서(11)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최종적으로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복수의 온도측정센서(11)에 전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취하여 이를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의 온도로 판단을 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수영장 수조(1)의 온도가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열교환기(8)를 가동시켜 열(온수)를 공급할 수 있고, 온도가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열교환기(8)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급수 장치(2)를 조절하여 추가로 물을 투입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물의 온도는, 예를 들어 약 27℃ ~ 30℃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약 28℃ ~ 29℃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의 잔류염소농도 및 수소이온농도(pH)는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제어부(12)는 잔류염소농도 및 수소이온농도(pH)을 조절에 앞서 우선적으로 물의 온도에 대한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수영장 수조(1)에 담긴 물의 온도를 먼저 기준 범위 내로 조절을 한 다음 약품 투입기(9) 또는 염소발생기(13)를 가동시켜 잔류염소농도 및 수소이온농도(pH)를 조절을 하게 되면 보다 정확하게 의도한 잔류염소농도 및 수소이온농도(pH)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잔류염소농도가 기준치에서 벗어났을 경우, 제어부(12)는 곧바로 염소발생기(13)를 동작시키는 것이 아니라 우선 열교환기(8)를 동작시켜서 물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한다. 온도의 조절이 완료되면, 온도 조절이 완료된 물을 다시 샘플링하여 잔류염소농도를 다시 체크를 하고, 온도 조절 후에도 잔류염소농도가 여전히 정상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것이 확인이 되면 제어부(12)는 염소발생기(13)를 동작시킨다. 이처럼, 일단 물의 온도를 조절한 다음 다시 잔류염소농도를 체크하게 되면, 불필요한 염소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보다 정확하게 잔류염소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제어부(12)는 응집제 투여기(4), 오존 발생기(5), 열교환기(8), 약품 투입기(9) 및 염소발생기(13)와 같은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는 염소발생기(13)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시 체크하면서, 전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물의 수질 또는 온도를 모니터링 하며, 기준치를 벗어나는 이상이 발생할 경우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응집제 투여기(4), 오존 발생기(5), 열교환기(8) 및 약품 투입기(9)와 같은 설비에 동작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가 제공하는 알람은 수영장 내부에 설치된 패널을 이용해 제공될 수 있으나, 관리자가 소지를 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되는 알람은 문자메세지, 알람소리일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모니터링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팝업 형태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제어부(12)가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부(12)는 인터넷망과 연결이 된다. 제어부(12)가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과정은 LTE 모뎀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는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수영장에 설치된 설치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2)는 수질 및 온도에 이상이 있을 경우 이를 기준치로 유지하기 위해 각종 설비에 대한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이러한 설비에 대한 제어 과정은 관리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결과 관리자는 원격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수영장 물의 상태 또는 설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원격지에서 직접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영장 물의 수질이나 온도, 또는 설비에 이상이 있을 경우 간편하게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소발생기(13)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소발생기(13)는, 반응용기(14), 양전극(anode)(15)와 음전극(cathode)(16), 전극 간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17) 및 소금물(18)을 포함한다. 또한 수량 조절을 위한 플로우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염소발생기(13)는 소금물(18)의 전기분해를 통해 염소를 발생시킨다. 염소발생기(13)에서 발생되는 염소의 양을 적절하기 조절하기 위해서는 소금물(18)의 농도 및 부피, 전극(15, 16) 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100 내지 300 L의 소금물(18)을 준비하되 소금물(18)의 농도는 600 내지 800 ppm이 되도록 하였다.
염소발생기(13)사용되는 전극(15, 16) 간의 간격은 2 내지 5 mm가 바람직하며, 3 mm가 보다 바람직하며, 전극(15, 16) 간의 간격을 3 mm로 유지할 경우에는 약 600 내지 800 ppm 의 농도를 갖는 소금물(18) 200 L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극(15, 16) 간에는 12 내지 14 V의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전류값은 180 내지 200 A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2)는 염소의 보충이 필요할 경우, 전극(15, 16)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제어를 함과 아울러, 전극(15, 16)에 적정한 전압 및 전류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점검을 하며, 상기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알람을 제공하여 염소발생기(13)의 이상을 관리자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로우 스위치의 개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알람을 제공하여 관리자가 신속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수영장 수조 2 : 급수 장치
3 : 밸런싱 탱크 4 : 응집제 투여기
5 : 오존 발생기 6 : 혼합기
7 : 여과기 8 : 여과기
9 : 약품 투입기 10 : 수질측정센서
11 : 온도측정센서 12 : 제어부
13 : 염소발생기 14 : 반응용기
15 : 양전극 16 : 음전극
17 : 소금물 18 : 전원
100 : 수영장 관리 시스템

Claims (8)

  1. 수영장에서 사용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염소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염소발생기는 소금물이 담기는 반응용기;
    상기 소금물에 일부가 잠기게 되는 양전극 및 음전극; 및
    상기 양전극 및 음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포함하되,
    상기 소금물의 농도는 600 내지 800 ppm 이며, 상기 소금물을 전기분해하여 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용 염소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간의 간격은 2 내지 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용 염소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물의 부피는 100 내지 300 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용 염소발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 간에는 12 내지 14 V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용 염소발생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염소발생기를 포함하는 수영장 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발생기에서 생성된 염소를 공급받는 수조;
    상기 수영장 수조에서 사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
    상기 수영장 수조로부터 넘치거나 배수되는 물과 상기 급수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유입되는 밸런싱 탱크;
    상기 수영장 수조로 공급되는 물에 열을 제공해주는 열교환기;
    상기 수영장 수조로 공급되는 물에 살균제를 공급하는 약품 투입기;
    물의 잔류염소농도, 수소이온농도 및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질측정센서;
    상기 수영장 수조에 담긴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센서;
    상기 수질측정센서 및 온도측정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기준치와 대비하고, 상기 센싱된 데이터가 상기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급수 장치급수 장치기 및 약품 투입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동시켜 수질 및 물의 온도가 기준치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영장 관리 시스템은 물을 살균하기 위한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상기 밸런싱 탱크에서 유출되는 물과 혼합시키는 혼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질측정센서는 상기 밸런싱 탱크와 상기 혼합기 사이의 구간에서 샘플링된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센서는, 상기 수영장 수조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온도측정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취하여 상기 수영장 수조에 담긴 물의 온도를 산정하고, 산정된 온도를 기준치와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장 관리 시스템.
KR1020150105061A 2015-07-24 2015-07-24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 KR10172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061A KR101729690B1 (ko) 2015-07-24 2015-07-24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061A KR101729690B1 (ko) 2015-07-24 2015-07-24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790A true KR20170011790A (ko) 2017-02-02
KR101729690B1 KR101729690B1 (ko) 2017-04-24

Family

ID=5815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061A KR101729690B1 (ko) 2015-07-24 2015-07-24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8007A (zh) * 2020-08-31 2022-03-01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用于制备次氯酸水的组合物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7342B2 (ja) * 1998-08-31 2004-03-15 島田電子工業有限会社 浄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温水プール浄水システム
JP2011038383A (ja) * 2009-08-18 2011-02-24 Ishizuchi-Corp 温水プールの濾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8007A (zh) * 2020-08-31 2022-03-01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用于制备次氯酸水的组合物及其用途
CN114108007B (zh) * 2020-08-31 2023-04-25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用于制备次氯酸水的组合物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690B1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5355C (en)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KR100842423B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 소독수의 제조방법 및 장치
CA2710865C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eneration of a biocidal liquid
KR101772558B1 (ko) 수영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H02149395A (ja) 殺菌水製造装置及び殺菌水製造方法
EP1878704A1 (en)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an aqueous solution
US20100096338A1 (en) Management arrangement
KR101274983B1 (ko) 센서를 이용한 잔류염소농도의 측정방법과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
KR101729690B1 (ko) 염소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시스템
US20130199928A1 (en) Device for producing an electrochemically activated solution by means of an electrolysis process
KR20140086498A (ko) Tds를 이용하는 살균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7799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057093B1 (ko) 전기분해를 통한 살균수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N211419701U (zh) 一种循环消毒系统
KR20120028515A (ko) 살균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20130076174A (ko) 전기분해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살균수기
KR102529701B1 (ko) 실시간 전기분해 기술을 이용한 수도시설 관망 또는 수조의 잔류염소 농도 자동 유지 장치 및 방법
KR20150019755A (ko)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CN210085057U (zh) 一种用于突发性水污染装置
JP3225980U (ja) 殺菌水の製造装置
JP6896259B1 (ja) 殺菌洗浄水製造装置及び殺菌洗浄水製造方法
CN214513802U (zh) 一种无菌水反渗透过滤系统
KR101436111B1 (ko) 살균소독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20230080569A (ko) 전기분해 효율 증폭을 위한 uv-c 탑재형 전기분해모듈과 uv-c 에어 살균 건조장치로 구성된 텀블러 자동살균 세척 및 건조 장치
JP2022536221A (ja) 貯水機能を有する循環路内の水に対し、電気穿孔および酸化作用を組み合わせて消毒及び保全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