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372A - 커넥터 단자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372A
KR20170011372A KR1020150103901A KR20150103901A KR20170011372A KR 20170011372 A KR20170011372 A KR 20170011372A KR 1020150103901 A KR1020150103901 A KR 1020150103901A KR 20150103901 A KR20150103901 A KR 20150103901A KR 20170011372 A KR20170011372 A KR 20170011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l
connector
terminal portion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건구
류정난
추성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372A/ko
Publication of KR2017001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가 돌출 형성된 메일단자부와,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된 피메일단자부 및 상기 메일단자부와 상기 피메일 단자부가 함께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Connector terminal}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단자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 단자에 관한 것으로, 프린트 배선판, 전기부품 등으로 예시되는 2개의 물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의 분야에 속한다. 최근들어 자동차의 전자화의 가속화 및 전장품 지속적인 추가에 따라, 차량내 회로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와이어링은 차량의 조립 조건 및 장착 위치에 따라 파티셔닝되어 분할 되어 실차상태에서 커넥터 단자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이러한, 커넥터 단자는 2개의 물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가 결합하는 한쌍의 압착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 단자는 유니트측 커넥터의 핀수 증가 및 와이어링간 분할, 결합되는 인라인 커넥터의 핀수 증가를 흡수하기 위하여 차량내 커넥터 사이즈 및 단자의 사이즈가 지속적으로 축소 되고 있다. 즉, 전기커넥터를 사용한 접속구조로서 비용의 저감을 도모하고, 커넥터를 소형화하고 있는데, 이런 추세와 반대로 라인내 작업 과정 및 와이어링의 유통과정에서 메일단자의 휘어짐이 발생하여, 전장품 오작동 및 작동 불량 품질 문제가 증가하고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커넥터 단자 외부로 돌출된 메일단자가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내 외부 유해인자(공구 및 손가락등)의 진입을 막기위한 부가적인 구조로 커넥터내 별도 돌출되게 설치된 리브(RIB)등의 삭제와, 소형 단자가 장착되는 공간을 분할 및 별도의 유동을 방지하는 플레이트(FLATE)를 적용하므로 커넥터내에 단자들이 배치되어야 할 공간을 차지하므로 커넥터 단자의 전체 크기가 증가하거나, 원가 상승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가 돌출 형성된 메일단자부와,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된 피메일단자부 및 상기 메일단자부와 상기 피메일 단자부가 함께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메일단자부의 단부는 상기 메일단자부의 단부보다 삽입방향으로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단자부와 상기 피메일단자부는 순차적으로 병렬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일단자부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 1메일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제 2메일단자가 상기 제 1메일단자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메일단자부 사이에 상기 피메일단자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상기 메일단자부가 'ㄹ'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메일단자부의 빈공간에 상기 피메일단자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일단자가 배치되도록 구획한 격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단자가 배치될 수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에 따르면, 커넥터 단자에 부가적으로 설치된 별물 없이 외부 유해인자(공구 및 손가락등)로부터 단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에 따르면, 소형 단자가 장착되는 공간을 분할 및 별도의 유동을 방지하는 플레이트(FLATE)를 적용하므로 커넥터내에 단자들이 배치되어야 할 공간이 형성되어 커넥터 단자의 크기 감소 및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커넥터와 착탈하는 제 2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커넥터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의 커넥터 단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단자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를 설명하면, 복수의 단자가 돌출 형성된 메일단자부(30)와,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된 피메일단자부(40) 및 메일단자부(30)와 피메일단자부(40)가 함께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우징(10)에는 메일단자부(30)가 배치되도록 구획한 격벽(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단자부(40)가 배치될 수있다. 메일단자부(30)와 피메일단자부(40)는 순차적으로 병렬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도 5에서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로 구분되고, 도 2의 하우징(10)은 제 1커넥터이고, 도 3의 하우징(10)은 제 2커넥터로하여, 이하에서 설명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에 대하여 혼동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
여기서, 도 2의 (a),(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10)에는 격벽(20)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하우징(10)에는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복수의 격벽(20)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복수의 격벽(20) 사이에 메일단자부(30)를 배치되게 수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속홈은 하우징(10)의 격벽(20)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20)은 복수개가 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격벽(20)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병렬배열될 수 있다.
격벽(20) 사이에 메일단자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격벽(20)에는 피메일단자부(40)가 메일단자부(30)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하에서, 메일단자부(30) 및 피메일단자부(40)의 형성되는 표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배치, 설치, 장착 등을 나타낼 수도 있는 것을 밝히는 바이다. 이러한, 격벽(20)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격벽(20) 사이는 외부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접근 방지폭을 15mm 내외가 적당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격벽(20)은 하우징(10)의 측벽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제 1격벽(22)와, 제 1격벽(22)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2격벽(24)가 형성되고, 제 2격벽(24)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3격벽(26)가 형성된다. 하우징(10)과 제 1격벽(22) 사이에 메일단자부가 배치되는 제 1수용홈(15a)이 형성되고, 제 1격벽(22)과 제 2격벽(24) 사이에 메일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2수용홈(15b)이 형성되고, 제 2격벽(24)과 제 3격벽(26) 사이에 메일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3수용홈(15c)이 형성되고, 제 3격벽(116)과 하우징(10) 사이에 메일단자부가 배치되는 제 4수용홈(15d)이 형성된다.
메일단자부(30)는 복수의 단자가 돌출되어 하우징(10)에 형성 배치될 수 있다. 메일단자부(30)는 피메일단자를 삽입되어 고정하는 메일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어 하우징(10)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일단자부(30)는 격벽(20)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수용부(15)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수용홈(15a)에 제 1메일단자(32)가 배치되고, 제 2수용홈(15b)에 제 2메일단자(34)가 배치되며, 제 3수용홈(15c)에 제 3메일단자(36)가 배치되고, 제 4수용홈(15d)에 제 4메일단자(38)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일단자부(30)는 피메일단자에 삽입되어 피메일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를 고정하는 메일고정부를 포함하고, 삽입방향을 향하는 피메일고정부와 메일고정부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피메일단자부(40)는 메일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피메일단자가 구비된다. 피메일단자부(40)는 메일단자가 삽입되게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되어 격벽(20)에 구비된다. 복수의 피메일단자는 피메일고정부(미도시)에 의해 격벽(20)에 고정된다.
피메일단자부(40)는 복수의 결속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커넥터간 결합시 메일단자부(30)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피메일단자부(40)와 메일단자부(30)는 삽입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3의 (a),(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2의 (a),(b)와 같이 제 2커넥터(100)는 하우징(101)에 격벽(110)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1)에 형성된 격벽(110)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1)은 격벽(110) 사이에 메일단자부(1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수용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격벽(110)은 하우징(100)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격벽(110)은 하우징(100)의 측벽으로부터 제 1격벽(112)와, 제 1격벽(11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2격벽(114)가 형성되고, 제 2격벽(114)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3격벽(116)가 형성되고, 제 3격벽(116)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 4격벽(118)가 형성된다.
제 1격벽(112)과 제 2격벽(114) 사이에 메일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1수용홈(105a)이 형성되고, 제 2격벽(114)과 제 3격벽(116) 사이에 메일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2수용홈(105b)이 형성되고, 제 3격벽(116)과 제 4격벽(118) 사이에 메일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3수용홈(105c)형성된다.
메일단자부(120)는 복수의 단자가 돌출되어 하우징(101)에 형성 배치될 수 있다. 메일단자부(120)는 격벽(110)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수용부(105)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수용홈(105a)에 제 1메일단자(122)가 배치되고, 제 2수용홈(105b)에 제 2메일단자(124)가 배치되며, 제 3수용홈(15c)에 제 3메일단자(126)가 배치될 수 있다.
피메일단자부(130)는 제 1격벽(112)에 제 1피메일단자(132)가 배치되고, 제 2격벽(114)에 제 2피메일단자(134)가 배치되고, 제 3격벽(116)에 제 3피메일단자(136)가 배치되고, 제 4격벽(118)에 제 4피메일단자(138)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b)에서 제 1커넥터(1)의 메일단자부 및 피메일단자부와 대응되게 피메일단자부(40)와 메일단자부(30)가 순차적으로 병렬배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터 단자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여 커넥터 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우징(200)에는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된 피메일단자부(230)가 배치된다. 복수의 단자가 돌출 형성된 메일단자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일단자부(220)는 제 1메일단자부(222)와 제 2메일단자부(224)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메일단자부(222)는 하우징(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제 2메일단자부(224)는 제 1메일단자(222)에 의해 둘러쌓이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메일단자부(222)와 제 2메일단자부(224) 사이에 피메일단자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메일단자(222)와 피메일단자(230)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이 하우징(200)의 형상에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메일단자부 및 피메일단자부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도 5의 (b)를 참조하여 커넥터 단자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도 5의 (a)와 같이 하우징(300)에 메일단자부(320)가 'ㄹ'자형으로 배치되고, 피메일단자부(330)는 메일단자부(320)에 의해 적어도 3면이 감싸진 형상으로 배치되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커넥터와 제 2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4의 (a)와 같이, 하우징(10)에 피메일단자부(40)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피메일단자부(40)의 사이에 메일단자부(30)가 각각 배치되어, 메일단자부(30)와 피메일단자부(40)는 순차적으로 병렬배열되어 제 1커넥터(1)가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도4의 (b)와같이, 제 2커넥터(100)가 구비되어, 즉, 하우징(10)에 피메일단자부(40)와 메일단자부(30)가 순차적으로 병렬배열된 제 2커넥터(100)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 1커넥터(1)의 제 1메일단자(32)는 제 2커넥터(100)의 제 1피메일단자(132)와 맞춰 결합하게 되고, 제 1커넥터(1)의 제 1피메일단자(42)는 제 2커넥터(100)의 제 2메일단자(122)와 맞춰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 단자에 부가적으로 설치된 별물 없이 외부 유해인자(공구 및 손가락등)로부터 단자들을 보호할 수 있고, 소형 단자가 장착되는 공간을 분할 및 별도의 유동을 방지하는 플레이트(FLATE)를 적용하므로 커넥터내에 단자들이 배치되어야 할 공간이 형성되어 커넥터 단자의 크기 감소 및 원가가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하우징 20: 격벽
30: 메일단자부 40: 피메일단자부

Claims (9)

  1. 복수의 메일단자가 돌출 형성된 메일단자부;
    복수의 피메일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된 피메일단자부; 및
    상기 메일단자부와 상기 피메일 단자부가 함께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단자부와 상기 메일단자부는 삽입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커넥터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단자부와 상기 피메일단자부는 순차적으로 병렬배열된 커넥터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제1메일단자; 및
    상기 제 1메일단자에 의해 둘러쌓인 형상의 제 2메일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단자는 상기 제 1메일단자와 상기 제 2메일단자 사이에 형성된 커넥터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메일단자와 상기 피메일 단자는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 커넥터 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에 'ㄹ'자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피메일단자부는,
    상기 메일단자부에 의해 적어도 3면이 감싸진 형상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단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단자부는,
    메일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피메일단자; 및
    상기 복수의 피메일단자를 고정하는 피메일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단자부는,
    피메일단자에 삽입되어 피메일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피메일단자; 및
    상기 피메일단자를 고정하는 메일고정부를 포함하고,
    삽입방향을 향하는 상기 피메일고정부와 상기 메일고정부의 면적은 서로 동일한 커넥터 단자.
  9. 제 1커넥터; 및
    상기 제 1커넥터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커넥터 및 상기 제 2커넥터에는 복수의 단자가 돌출 형성된 메일단자부와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속홈이 형성된 피메일단자부가 각각 형성된 커넥터 장치.
KR1020150103901A 2015-07-22 2015-07-22 커넥터 단자 KR20170011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901A KR20170011372A (ko) 2015-07-22 2015-07-22 커넥터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901A KR20170011372A (ko) 2015-07-22 2015-07-22 커넥터 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372A true KR20170011372A (ko) 2017-02-02

Family

ID=5815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901A KR20170011372A (ko) 2015-07-22 2015-07-22 커넥터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3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401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메일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401A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메일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7740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2324639B (zh) 电连接器
US10374334B2 (en) Cable connector
US85740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56237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apacitor connected with one connector and a metallic shell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US9722348B2 (en)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plug-in connectors and multiple plug-in connector
US939745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rt light indicator
US20160192492A1 (en) Circuit module system
US7727020B2 (en) Cable connector
US10418756B2 (en) Plug connector with integrated galvanic separation and shielding element
US7563111B2 (en) Board connector
US7241160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mera module
US9362692B2 (en) Multipolar connector
US8177586B2 (en) Connector system
KR20170011372A (ko) 커넥터 단자
US6821164B2 (en)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tab-receiving insulated spring sleeve and a dual contact with pairs of spaced apart contact members and tails
US10404015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mounting surface
US20130210271A1 (en) Combined stacked connector assembly
CN210866602U (zh) 壳体连接器
US7547229B2 (en) Stacked electrical card connector having stand off
CN103474837B (zh) 电连接器
KR200473302Y1 (ko) 커넥터
EP2999055B1 (en)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