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124A - 석션 파일 앵커 - Google Patents

석션 파일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124A
KR20170011124A KR1020150103127A KR20150103127A KR20170011124A KR 20170011124 A KR20170011124 A KR 20170011124A KR 1020150103127 A KR1020150103127 A KR 1020150103127A KR 20150103127 A KR20150103127 A KR 20150103127A KR 20170011124 A KR20170011124 A KR 20170011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link
file
suction file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202B1 (ko
Inventor
최정인
김현수
서종무
안광현
여정환
임인규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2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6Anchors securing to bed
    • B63B21/27Anchors securing to bed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243Anchors foldable or capable of being disassembl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3Ground anchors with pivotable anchor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석션 파일 앵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는, 무어링 라인이 연결되는 석션 파일, 일단이 석션 파일의 측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무어링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링크, 일단이 제1 링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석션 파일의 측부에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제2 링크의 타단과 결합되어 석션 파일이 석션압에 의해 해저층으로 관입시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석션 파일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플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션 파일 앵커{SUCTION PILE APPARATUS}
본 발명은 석션 파일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과 같이 해상에서 부양되는 각종 구조물은 계류장치의 일종인 앵커를 구비하고 있는바, 이러한 앵커는 바람이나 조류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항하여 정박한 해양 구조물 등을 일정한 반경의 수역 내에서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도록 해주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관련한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68346호 (2003.08.21, 석션파일 앵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석션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의 인발각을 조정할 수 있는 석션 파일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어링 라인이 연결되는 석션 파일; 일단이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어링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에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석션 파일이 석션압에 의해 해저층으로 관입시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플로트를 포함하는 석션 파일 앵커가 제공된다.
상기 플로트는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석션 파일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석션 파일의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석션 파일 앵커는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상기 플로트 간을 연결시키는 제3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3 링크는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3 링크의 중간부분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 파일 앵커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빈 공간을 채우는 채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움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 하측에는 제1 인발 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는 제2 인발 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무어링 라인은 상기 제1 인발 고리로부터 상기 제2 인발 고리를 통과하여 해상의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석션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의 성분 중에서 수평력이 수직력보다 크게 작용하도록 하중의 인발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석션 파일에 높은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높은 지지력(bearing capacity)으로 상기 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석션 파일 앵커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에서 제1 링크와 제2 링크와 제3 링크 및 플로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B'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의 설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앵커는 바람이나 조류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항하여 해상에 정박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 등을 일정한 반경의 수역 내에서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도록 해주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앵커의 일종인 석션 파일(suction pile)은, 석션 파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발생된 파일 내외부의 압력차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때, 해저층으로 관입된 석션 파일은 무어링 라인을 통해 해상의 선박이나 구조물 등과 연결되는데, 무어링 라인을 통해 석션 파일을 인발시 석션 파일에 작용하는 인발하중 성분 중에서 수직력이 수평력보다 크게 작용한다. 이때, 해저층에 관입된 석션 파일에 과도한 수직력(즉, 상기 인발하중 성분 중에서 수직성분의 인발력)이 작용할 경우, 석션 파일이 해저층이 지지되지 못하고 수직으로 뽑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참고로, 석션 파일에 수직력이 작용할 경우, 석션 파일은 해저 지층과의 표면 마찰력만으로 상기 인발하중에 저항한다.
그러나, 석션 파일은 인발하중의 성분 중에서 수직력보다 수평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이 석션 파일의 저항력에 보다 유리하다. 즉, 석션 파일에 인발하중이 작용할 때, 기존의 표면 마찰력뿐만 아니라 석션 파일에 작용하는 인발하중을 상기 석션 파일의 관입하중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인발하중에 대한 석션 파일의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석션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의 성분 중에서 수평력이 수직력보다 크게 작용하도록 인발하중(인발력)의 인발각을 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석션 파일 앵커가 요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에서 제1 링크와 제2 링크와 제3 링크 및 플로트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B'절단선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는 석션 파일(10), 제1 링크(100), 제2 링크(200), 플로트(400)를 포함하며, 제3 링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는 석션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의 성분 중에서 수평력이 수직력보다 크게 작용하도록 인발하중의 인발각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석션 파일에 과도한 수직 성분의 인발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수직 성분의 인발하중의 적어도 일부를 수평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진행하려는 인발하중(즉, 관입하중)으로 유도함으로써, 높은 지지력으로 상기 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석션 파일 앵커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석션 파일에 인발하중이 작용할 때, 기존의 표면 마찰력뿐만 아니라 석션 파일에 작용하는 수직 성분의 인발하중을 상기 석션 파일의 관입하중으로 유도(즉, 상기 석션 파일이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수평이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인발하중에 대한 석션 파일의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1000)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석션 파일(10)은 파이프 형상으로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석션 파일(10)의 상부에는 밸브(V)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밸브(V)는 석션 라인을 통해 해상의 석션 펌프(P)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석션 파일(10)은 석션 펌프(P)를 통해, 석션 파일(10) 내부의 압력이 변화됨에 따라 해저층으로 관입될 수 있다. 이렇게 관입된 석션 파일(10)은 해상에 설치되는 선박이나 구조물 등의 앵커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석션 파일(10)의 측부 하측(상기 석션 파일의 하단)에는 제1 인발 고리(14)가 설치되며, 무어링 라인(20)의 일단은 상기 제1 인발 고리(14)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무어링 라인(20)의 타단은 해상의 구조물(선박을 포함)에 연결된다.
제1 링크(100)는 석션 파일(10)의 측부 하측에 결합된 무어링 라인(20)에 경사각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석션 파일(10)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100)의 일단은 석션 파일(10)의 측부에 힌지결합되고, 제1 링크(100)의 타단은 무어링 라인(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100)의 타단에는 제2 인발 고리(110)가 설치되며, 제2 인발 고리(110)는 석션 파일(10)의 제1 인발 고리(14)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석션 파일(10)의 측부에 힌지결합된 제1 링크(100)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측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힌지회동할 경우, 제1 인발 고리(14)와 제2 인발 고리(110)를 연결하는 무어링 라인(20)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축과 수직축 사이의 인발각에 변동(θ1 -> θ2)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링크(200)는 상기 제1 링클(200)가 힌지회동시 상기 제1 링크(200)의 타단이 상기 석션 파일(10)의 측부 하측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단이 제1 링크(10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링크(200)의 타단은 후술할 제3 링크(300)를 통해 후술할 플로트(float, 400)와 결합될 수 있다.
플로트(400)는 석션 파일(10)의 관입에 따라 제1 링크(100)와 제2 링크(200)가 펼쳐지도록 작동함으로써 무어링 라인(20)의 인발각을 변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로트(400)는 석션 파일(4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플로트(400)는 제2 링크(200)의 타단과 결합되도록 석션 파일(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로트(400)는 석션 파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링크(100)와 제2 링크(200)를 석션 파일(10)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석션 파일(10)의 제1 인발 고리(14)로부터 제1 링크(100)의 제2 인발 고리(110)로 연장되는 무어링 라인(20)의 경사각(인발각)이 θ1으로부터 θ2로 변동됨으로써, 석션 파일(10)에 인발하중(도 9의 직선 화살표 참조)이 작용할 때, 석션 파일(10)이 갖는 기존의 표면 마찰력뿐만 아니라 석션 파일(10)에 작용하는 인발하중을 상기 석션 파일(10)의 관입하중으로 유도할 수 있어, 상기 인발하중에 대한 석션 파일(10)의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석션 파일(10)에 인발하중이 작용할 때, 기존의 표면 마찰력뿐만 아니라 석션 파일(10)에 작용하는 수직 성분의 인발하중을 석션 파일(10)의 관입하중으로 유도(즉, 상기 석션 파일이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려는 경향을 수평이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인발하중에 대한 석션 파일(10)의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플로트(400)가 석션 파일(10)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로트(400)는 석션 파일(1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플로트(400)가 석션 파일(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 링크(200)의 타단과 결합되도록, 석션 파일(10)의 측부에는 개구부(16)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6)은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슬랏(slot) 형태일 수 있다.
제3 링크(300)는 상기 개구부(16)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링크(200)의 타단과 상기 플로트(400) 간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제3 링크(300)는 제2 링크(200)의 타단과 힌지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석션 파일(10)이 해저층으로 관입될 때 석션 파일(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에 의해, 플로트(4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링크(100)와 제2 링크(200)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렇게 펼쳐진 제1 링크(100)의 타단에 결합된 제2 인발 고리(110)를 통해 무어링 라인(20)의 경사각(인발각)이 θ1에서 θ2로 변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석션 파일(10) 내부의 플로트(400)가 제3 링크(300)를 통해 제2 링크(200)와 연결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링크(200)는 개구부(16)을 통해 석션 파일(10) 내부로 바로 연장됨으로써 플로트(4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링크(300)의 중간부분은 석션 파일(10)의 측부에 구비된 개구부(16)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납작한 평면(3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링크(300)의 중간부 영역이 개구부(16)의 형상에 상응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쭉한 횡단면을 갖는 평면(310)을 형성함으로써, 석션 파일(10)의 내부와 외부의 연통시키는 개구부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석션 파일(10) 내부에 석션압이 작용시, 석션 파일(10) 외부의 물(해수)이 석션 파일(10) 내부로 유입되어 내외부 압력차가 떨어뜨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310)의 상단과 하단은 유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3 링크(300)의 평면(310)이 개구부(16)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 에어백(5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1000)는 석션 파일(10) 내외부의 압력차가 낮아지는 경우를 최소화하기 위해, 개구부(16)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6)의 빈 공간을 채우는 채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채움부(500)는 상기 개구부(16) 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에어백(51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링크(300)가 개구부(16)를 통해 상하로 이동시, 상기 한 쌍의 에어백(510)이 개구부(16)의 빈 공간을 채움으로써, 개구부(16)의 개방된 빈 공간으로 인해 석션 파일(10) 내외부의 압력차가 떨어지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의 설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의 동작 원리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석션 파일(10)은 해상의 구조물로부터 설치 라인(12)을 통해 해저면으로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 파일(10)이 해저면에 내려진 이후에, 석션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석션 파일(10)에 석션압을 부여함으로써, 석션 파일(10)은 해저층으로 관입될 수 있다.
이때, 석션 파일(10)이 해저층으로 관입되면서, 석션 파일(10) 내부로 해저층의 토사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토사는 석션 파일(10) 내부의 플로트(4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플로트(40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링크(100)와 제2 링크(200)를 석션 파일(10)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1 링크(100)와 제2 링크(200)가 외측으로 펼쳐짐으로써, 석션 파일(10)의 제1 인발 고리(14)로부터 제1 링크(100)의 제2 인발 고리(110)로 연장되는 무어링 라인(20)의 경사각(인발각)이 도 2의 θ1으로부터 도 3의 θ2로 변동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링크(100)와 제2 링크(200)가 석션 파일(10)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석션 파일(10)은 해저층 내부로 관입될 수 있다. 이때, 석션 파일(10)에 연결된 설치 라인(12)은 석션 파일(10)로부터 분리되어 해상으로 회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석션 파일(10)이 해저층에 관입된 상태에서, 무어링 라인(20)에 인발하중(도 9의 직선 화살표 참조)이 작용하게 되면, 무어링 라인(20)의 경사각(인발각)이 θ1으로부터 θ2로 변동됨에 따라, 석션 파일(10)이 갖는 기존의 표면 마찰력뿐만 아니라 석션 파일(10)에 작용하는 인발하중을 상기 석션 파일(10)의 관입하중으로 유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인발하중에 대한 석션 파일(10)의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석션 파일(10)에 인발하중이 작용할 때, 기존의 표면 마찰력뿐만 아니라 석션 파일(10)에 작용하는 수직 성분의 인발하중을 석션 파일(10)의 관입하중으로 유도(즉, 상기 석션 파일이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려는 경향을 수평이나 하측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인발하중에 대한 석션 파일(10)의 저항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 파일 앵커는 석션 파일에 작용하는 하중의 성분 중에서 수평력이 수직력보다 크게 작용하도록 인발하중의 인발각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석션 파일에 과도한 수직 성분의 인발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수직 성분의 인발하중의 적어도 일부를 수평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진행하려는 인발하중(즉, 관입하중)으로 유도함으로써, 높은 지지력으로 상기 하중에 저항할 수 있는 석션 파일 앵커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석션 파일 앵커
10: 석션 파일 12: 설치 라인
14: 제1 인발 고리 16: 개구부
20: 무어링 라인 100: 제1 링크
110: 제2 인발 고리 200: 제2 링크
300: 제3 링크 310: 평면
400: 플로트 500: 채움부
510: 에어백

Claims (7)

  1. 무어링 라인이 연결되는 석션 파일;
    일단이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어링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링크;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에 결합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석션 파일이 석션압에 의해 해저층으로 관입시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를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플로트를 포함하는 석션 파일 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석션 파일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석션 파일의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석션 파일 앵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상기 플로트 간을 연결시키는 제3 링크를 더 포함하는 석션 파일 앵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3 링크는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3 링크의 중간부분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석션 파일 앵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의 빈 공간을 채우는 채움부를 더 포함하는 석션 파일 앵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부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에어백을 포함하는 석션 파일 앵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파일의 측부 하측에는 제1 인발 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링크의 타단에는 제2 인발 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무어링 라인은 상기 제1 인발 고리로부터 상기 제2 인발 고리를 통과하여 해상의 구조물에 연결되는 석션 파일 앵커.
KR1020150103127A 2015-07-21 2015-07-21 석션 파일 앵커 KR10172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127A KR101722202B1 (ko) 2015-07-21 2015-07-21 석션 파일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127A KR101722202B1 (ko) 2015-07-21 2015-07-21 석션 파일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124A true KR20170011124A (ko) 2017-02-02
KR101722202B1 KR101722202B1 (ko) 2017-03-31

Family

ID=5815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127A KR101722202B1 (ko) 2015-07-21 2015-07-21 석션 파일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2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05B1 (ko) * 2017-12-06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앵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착저형 부유식 구조물
CN109956007A (zh) * 2017-12-26 2019-07-0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七五〇试验场 一种基于化学反应产生水下吸力的锚
KR20210140868A (ko) * 2020-05-14 2021-11-23 마스텍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 설비의 고정 방법
CN115245139A (zh) * 2021-11-23 2022-10-28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海洋养殖设施的桩锚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999A (ko) * 1999-12-14 2001-07-04 윤길수 자기 전개식 앵커
WO2012062693A1 (en) * 2010-11-09 2012-05-18 Aker Subsea As Subsea anchor
KR20130130267A (ko) * 2012-05-21 2013-12-02 주식회사 포스코 트라이포드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KR20150052620A (ko) * 2013-11-06 2015-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석션 파일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석션 파일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999A (ko) * 1999-12-14 2001-07-04 윤길수 자기 전개식 앵커
WO2012062693A1 (en) * 2010-11-09 2012-05-18 Aker Subsea As Subsea anchor
KR20130130267A (ko) * 2012-05-21 2013-12-02 주식회사 포스코 트라이포드 석션파일 하부구조물
KR20150052620A (ko) * 2013-11-06 2015-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석션 파일 가이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석션 파일 설치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05B1 (ko) * 2017-12-06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앵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착저형 부유식 구조물
CN109956007A (zh) * 2017-12-26 2019-07-02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七五〇试验场 一种基于化学反应产生水下吸力的锚
KR20210140868A (ko) * 2020-05-14 2021-11-23 마스텍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 설비의 고정 방법
CN115245139A (zh) * 2021-11-23 2022-10-28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海洋养殖设施的桩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202B1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202B1 (ko) 석션 파일 앵커
US7527455B2 (en) Anchor installation system
US8616806B2 (en) Riser support system for use with an offshore platform
Yuan et al. Numerical study on a hybrid mooring system with clump weights and buoys
US20130292128A1 (en) Subsea Production System Having Arctic Production Tower
US20140020616A1 (en) Mooring System for Floating Arctic Vessel
US6910831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pile anchor
KR20190011716A (ko) 해저 지지 유닛 및 천수 천공 터미널을 제공하는 방법
CN106715255B (zh) 具有多孔转塔笼的浮式转塔系泊
CN101400568B (zh) 系泊系统
TW200934954A (en) Buoyant actuator
US10400410B2 (en) Containment un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151151B2 (en) Riser deflection mitigation
DK2994376T3 (en) Separate deep water turntable system with rigid lazy-wave riser configuration
US7140319B2 (en) Pile anchor with external vanes
GB2436241A (en) Pile anchor with angled external vanes
JP5643012B2 (ja) 海底に噴出した原油の回収方法
KR101722166B1 (ko) 앵커링 장치
KR102191055B1 (ko) 결합식 저수심 전용 지반조사선
KR101722170B1 (ko) 앵커링 장치
Saha et al. FOTOAN: A Novel Deepwater Anchoring System
Degenkamp et al. Installation of Vertical Loaded Anchors Using a Subsea Tensioning Device in Ultra-Deepwaters in the Gulf of Mexico
KR200413359Y1 (ko) 해상구조물 설치용 앵커
WO2013134815A1 (en) Submersible docking apparatus
KR100556131B1 (ko) 방조제 상고공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