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1117A -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Fiber Reinforcing Band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illed-up Material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Fiber Reinforcing Band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illed-up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117A
KR20170011117A KR1020150103115A KR20150103115A KR20170011117A KR 20170011117 A KR20170011117 A KR 20170011117A KR 1020150103115 A KR1020150103115 A KR 1020150103115A KR 20150103115 A KR20150103115 A KR 20150103115A KR 20170011117 A KR20170011117 A KR 20170011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a resin
fiber
laid
fiber reinforcement
fib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포스
Priority to KR102015010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1117A/en
Publication of KR2017001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1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a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capable of preventing a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from being damaged due to compaction of a back-filling material by placing a polyurea synthetic resin protecting the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on an upper and a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installed in a moun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comprises: a step of erecting a pacing material (10) on a front side of the back-filling material (G) placed to form a reinforced earth body (R); a step of placing the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30) connected to the pacing material (10) on the back-filling material (G); a step of placing the polyurea resin on the placed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30), and hardening the polyurea resin at least for a tack-free time; and a step of placing and compacting the back-filling material (G) to a predetermined height after placing the polyurea resin.

Description

성토재에 의한 섬유보강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섬유보강재 보강 시공방법{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Fiber Reinforcing Band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illed-up Materi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inforcing fiber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에 사용되는 보강재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토물 내에 부설되는 섬유보강재의 상면 또는 상하면에 섬유보강재를 보호하는 폴리우레아 합성수지를 포설하여 뒤채움재의 다짐에 의해 발생하는 섬유보강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ment material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ment material for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providing polyurea synthetic resin for protecting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on the upper or upper surface of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To a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f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보강토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보강재, 페이싱부재, 및 뒤채움재(성토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보강재는 보강토 구조물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뒤채움재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중력식 옹벽 개념의 보강토체를 이룬다. 이러한 보강재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응력과 토양-보강재 간의 마찰력에 의해 반작용되는 토양의 추력(推力)에 기초하는 밀도를 가지고 토양 내에 설치된다.The reinforced soil structure is generally composed of a reinforcing material, a pacing material, and a backfill material (filler). The reinforcing material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the reinforced soil structure and forms the reinforcing soil of the gravity type retaining wall concept by interaction with the backfill material. These stiffeners are installed in the soil with a density based on the thrust of the soil which is reacted by the stress acting on the structure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soil-stiffener.

보강토 옹벽의 뒤채움을 위해 사용하는 성토재로는 보강토체의 내구성과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실트나 점토 함유량이 적은 사질토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사질토 외에 다양한 뒤채움재를 접할 수 있다.Considering the durability and workability of the reinforced soil, sandy soil with a low silt or clay content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embankment used for backfilling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However, in the field, there are various backfill materials besides sandy soil.

보강재의 내시공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뒤채움재의 범위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보강재의 내시공성이 좋을수록 사용할 수 있는 뒤채움재의 범위는 더욱 넓어지게 된다.Depending on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ement, the range of backfill materials that can be used can vary greatly. For example, the better the workability of the reinforcement material, the wider the range of backfill materials that can be used.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PET) 섬유 원사를 그물망 형태로 배열하고 PVC로 코팅한 형태의 결합형 지오그리드는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고 부드러운 뒤채움재를 사용해야 하는 반면,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폴리에스테르(PET) 섬유 원사 다발을 폴리에틸렌(PE)으로 피복한 형태의, 소위 폴드락 섬유보강재는 지오그리드보다 고강도이어서 지오그리드의 경우보다는 입자가 상대적으로 큰 뒤채움재를 사용할 수 있어 뒤채움재의 활용 범위가 더 넓다고 할 수 있다. In general, a bonded type geogrid in which polyester (PET) fiber yarns are arranged in a net shape and coated with PVC has a weak strength, so that it is necessary to use a relatively small and smooth backfill material while a plurality of polyester The so-called folded-fiber reinforcing material, which is a type of polyethylene (PE) coated fiber bundle of PET yarn, has a higher strength than geogrid, .

즉 지오그리드의 경우 경사(經絲) 방향 리브의 폭 내지 두께가 5~7mm 내외로 작고 피복 역시 얇기 때문에 보강토 시공 중 원사가 손상 가능성과,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보강재의 인장 강도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섬유보강재(가령 (주)한포스 사의 "FOLDLOCK" 제품 등)의 경우 보강재의 폭이 70mm 내외로 넓고, 피복재가 두껍게 코팅되기 때문에 시공 중 원사가 손상될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강재의 인장 강도가 감소할 가능성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처럼 피복재의 두께는 섬유 보강재의 손상 방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geogrid, since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ribs in the direction of the 糸 가 are small to about 5 to 7 mm and the coating is also thi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yarn is damaged during the reinforcing soil and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decreased due to such damage ,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FOLDLOCK" product of HANPHOUS CO., LTD.), The width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s as wide as 70 mm and the covering material is thickly coate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damaging the yarn during the construction can be greatly reduced, The possibility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is reduced can be greatly reduced. Thus, the thickness of the cladding material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damage to the fiber reinforcement.

예를 들면 호박돌, 암버럭과 같이 직경이 크고 단단한 뒤채움재가 사용되는 보강토체의 경우 지오그리드와 같은 형태의 보강재 보다는 가령 "FOLDLOCK" 등의 섬유보강재와 같이 섬유 원사 다발을 감싸는 피복재가 두꺼운 보강재를 사용해야만 보강 섬유의 손상이 적어 시공성 감소 계수가 적게 되어 인장강도 손실에 대한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고, 거꾸로 말하면 이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뒤채움재를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a large diameter and a hard backfill material such as an amber stone or an amber buckle, a covering material covering a bundle of fiber yarns such as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such as a "FOLDLOCK", rather than a geogrid-like reinforcing material, It can be said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tensile strength loss is small because the tensile strength reduction factor is small due to the small damage of the reinforcing fiber. Conversely, this means that a relatively wide variety of backfill materials can be utilized.

한편, 성토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뒤채움재는 주로 현장에 있는 재료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현장에 있는 재료가 비교적 작은 직경의 토사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해당 현장의 재료가 주로 자갈이나 호박돌, 암버럭 등의 암석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이를 뒤채움재로 활용할 때에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backfill materials are mainly used in the field when constructing embankment. There is no major problem in the case that the material in such a site is made of relatively small-diameter gravels. However, when the material of the site is composed mainly of rock such as gravel, amber stone, rock burr, etc., do.

즉 일정 높이까지 성토된 보강토체의 상부면에 섬유보강재를 부설하고 그 위에 뒤채움재를 포설한 후 다지지는 과정에서, 뒤채움재에 자갈 등이 다수 혼합된 경우에는 해당 자갈이나 암석이 섬유보강재를 타격하게 되고, 이에 의해 섬유보강재의 피복재와 섬유심재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섬유보강재가 파손되는 경우, 섬유보강재의 인장강도가 줄어들어, 섬유보강재가 애초에 설계했던 토압을 견디지 못하고 끊어져버릴 가능성이 높다.That is, in the case where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ed soil material up to a certain height and a backfill material is laid on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when the backfill material is mixed with a lot of gravel, Whereby the covering material and the fiber core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are broken. If the fiber reinforcement is broke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fiber reinforcement is reduced, and the fiber reinforcement is likely to break without being able to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originally designed.

이에, 섬유보강재의 피복재 표면에 보강부재를 일체로 부착하는 형태의 섬유보강재와 그 제조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섬유보강재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켜 전체적인 시공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보강부재의 재료로서 제안된 스테인레스망이나 부직포, 고강력사 등은 뒤채움재에 혼합되어 있는 암석이 다져질 때 섬유보강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거나 그 충격을 섬유보강재에 그대로 전달하는 재질이기 때문에 그 효과가 미흡하거나 오히려 이것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나쁠 수 있다.Thus,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in which a reinforcing member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covering material of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is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and raises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The stainless steel mesh, the nonwoven fabric, and the high strength yarn, which are proposed in the above, can not sufficiently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when the rock mixed with the backfill material is mixed or transmit the impact to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t may be worse than not being used or rather not using it.

또한 섬유보강재를 이와 같이 제조할 경우, 실제 현장에 있는 뒤채움재가 비교적 양호하여 충격에 의한 섬유보강재의 파손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고가의 섬유보강재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유연한 적용이 어렵다. 게다가 동일한 현장이라 하더라도 성토물을 구축해 나감에 따라 사용되는 뒤채움재의 직경이나 구성비는 계속 달라지기 마련인데, 그 중 가장 최악의 조건이 되는 뒤채움재의 성격에 대응하는 섬유보강재를 사용하는 것은 상당한 시공 비용 증가를 가져온다.Also, when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manufactured i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because it is necessary to use an expensive fiber reinforcing material even if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breakage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due to the impact due to relatively good backfill materials in the actual field. In addition, even if it is the same site, the diameter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backfill materials to be used are constantly changing as the embankment is constructed. The use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of the backfill material, which is the worst condition among them, Resulting in an increase in cost.

등록특허공보 제1534541호Patent Registration No. 1534541 등록특허공보 제0913423호Patent Registration No. 091342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뒤채움재에 자갈이나 암석이 포함된 경우에도 섬유보강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섬유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fabricating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f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even when gravel or rock is contained in a backfilled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 있는 뒤채움재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섬유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fabricating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that can be flexib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a backfill material in the fiel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강토체(R)를 형성하기 위해 포설된 뒤채움재(G)의 전면에 페이싱 부재(10)를 세우는 단계; 페이싱 부재(10)에 연결된 섬유보강재(30)를 상기 뒤채움재(G) 상에 부설하는 단계; 부설된 상기 섬유보강재(30)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하고 적어도 지촉 건조시간 동안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 후 뒤채움재(G)를 소정 높이까지 포설하고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inforcing soil (R), comprising: laying a pacing member (10) on a front surface of a backfill material (G) Laying a fiber reinforcement (30) connected to the pacing member (10) on the backfill material (G); Laying a polyurea resin on the fiber reinforcement 30 and curing the fiber reinforcement 30 for at least a touch dry time; And a step of laying up the filler (G)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after the polyurea resin is installed, thereby providing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fiber reinforcement.

여기서 포설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뒤채움재를 포설하는 것은 폴리우레아 수지의 지촉 건조시간 이후 이루어질 수 있다.Laying backfill material on the laid polyurea resin can be made after the touch dry time of the polyurea resin.

상기 공법은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 후 경화 건조시간 동안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uring the polyurea resin after curing the polyurea resin.

그리고 포설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뒤채움재를 포설하는 것은 폴리우레아 수지의 경화 건조시간 이후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backfill material is laid on the laid polyurea resin after the curing dry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또한 포설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뒤채움재를 포설하는 것은 폴리우레아 수지의 지촉 건조시간 이후 이루어지고, 포설된 뒤채움재의 다짐은 폴리우레아 수지의 경화 건조시간 이후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backfilling material is laid on the laid polyurea resin after the toughen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and the compaction of the filled material can be performed after the curing dry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상기 공법은 포설된 상기 뒤채움재(G)에 섬유보강재(30)를 펼치기 전에, 섬유보강재가 펼쳐질 뒤채움재(G) 부위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유보강재(30)의 부설 작업은, 상기 뒤채움재(G) 부위 상에 포설된 폴리우레아 수지의 지촉 건조시간이 경과한 후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laying a polyurea resin on a portion of the backfilling material G where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to be spread, before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30 is spread on the backfill material G installed. The laying operation of the fiber reinforcement 30 may be performed after the toughen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laid on the backfill material G has elapsed.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2액 충돌혼합 스프레이 건에 의해 포설될 수 있다.The polyurea resin may be laid by a two-component impingement mixing spray gun.

상기 섬유보강재(30)의 표면은 거칠기 처리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can be roughen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성토물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bankment which is construct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applying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뒤채움재에 자갈이나 암석이 포함된 경우에도 섬유보강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성토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gravel or rock is contained in the backfilled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thereby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embank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장에 있는 뒤채움재의 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flexib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ckfill material in the field, thereby minimizing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시공 방법과 대비하여 시공 기간의 연장 없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quick construction without extending the construction period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보강토체를 소정 높이까지 조성하기 위해 포설된 성토층의 전면에 페이싱 부재를 세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성토층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페이싱 부재에 삽입된 섬유보강재를 성토층 상에 포설된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섬유보강재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페이싱 부재 후방 공간에 뒤채움재를 채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할 때 사용되는 장비의 개념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보강재 시공 방법으로 시공된 성토물의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cing member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a buried soil layer to form a reinforcing soil body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urea resin is laid on the embankment layer,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ber reinforcement inserted in a pacing member is laid out on a polyurea resin laid on an embankment layer,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urea resin is laid on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ck filler is filled in a space behind the pacing member of FIG. 4;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equipment used to install the polyurea resin, and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ankment formed by the method of applying the fib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본 발명은 섬유보강재에 섬유보강재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일체로 성형할 필요 없이, 현장 상황에 따라 보강이 필요할 경우에만 섬유보강재에 대한 보강을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현장에서 섬유보강재에 대한 보강을 할 때, 보강 작업에 숙련된 인부가 요구되거나, 보강 작업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지연된다면, 섬유보강재를 생산할 때 보강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안에 비해 유리할 것이 없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reinforcement of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performed only when reinforcing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field situation, without the necessity of integrally forming a reinforcing portion reinforcing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n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However, when reinforcing fiber reinforcements in the field, if skilled personnel are required in the reinforcement work, or if the construction period is delayed due to the reinforcement work, there is no advantage in comparison with the method of integrally forming the reinforcement portion when producing the fiber reinforcement.

그러나 본 발명의 섬유보강재 시공방법은, 섬유보강재의 현장 보강 작업에 숙련된 인부가 필요하지도 않고 공사 기간의 지연도 없으면서, 섬유보강재와 보강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생산할 때보다 성토물을 더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killed person in the field reinforcement work of the fiber reinforcement, and the embankment is formed more firmly than when the fiber reinforcement and the reinforcement are integrally formed can do.

도 1은 보강토체를 조성하기 위해 포설된 성토층의 전면에 페이싱 부재를 세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성토층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페이싱 부재에 삽입된 섬유보강재를 성토층 상에 포설된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섬유보강재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페이싱 부재 후방 공간에 뒤채움재를 채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할 때 사용되는 장비의 개념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보강재 시공 방법으로 시공된 성토물의 측면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c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entire surface of an embankment layer provided for constructing a reinforcing soil,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urea resin is laid on the embankment layer,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lyurea resin is laid on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of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lyurea resin is laid on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of Fig. FIG. 6 is a conceptual view of a device used for laying a polyurea resin, and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embankment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applying a fiber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본 발명의 섬유보강재 시공 방법은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체(R)를 구성하기 위해 포설된 뒤채움재(G)의 전면에 페이싱 부재(10)를 상하 좌우로 연결 설치한다. 포설된 뒤채움재(G)는 다짐 공정에 의해 잘 다져진다.As shown in FIG. 1, a method of constructing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pacing members 10 connected to a front surface of a backfill material G, which is installed to construct the reinforcing soil body R. After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G) is well compacted by the compaction process.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층(G)의 상면 일정 부위에 폴리우레아 수지(40)를 포설한다. 폴리우레아 수지가 포설되는 영역은 후술할 섬유보강재 부설 단계에서 섬유보강재가 펼쳐지는 영역이다. 후술하겠지만 폴리우레아 수지는 수분의 통과가 비교적 자유로우므로 섬유보강재의 부설 영역뿐만 성토층 상의 모든 면적에까지 다 포설되어도 무방하다.Next, as shown in FIG. 2, a polyurea resin 40 is installed on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mbankment layer G. As shown in FIG. The area where the polyurea resin is laid is the area where the fiber reinforcement is spread in the step of laying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to be described lat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lyurea resin is relatively free to pass moisture, so that it can be laid up to all areas on the embankment layer as well as the laying area of the fiber reinforcement.

폴리우레아 수지는 말단에 1급 아민을 갖고 있는 폴리에테르와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로서, 폴리에테르아민(Polyetheramine)을 원료로 사용한다. 이 수지는 100% 고형분으로서 휘발분이 전혀 없어 현장에서 작업할 때 작업자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차단하기 위한 방독면 등을 착용할 필요 없이 통상적인 마스크만 착용하고도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포설 작업은 스프레이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이 비교적 간단하다.The polyurea resin is a reaction product of an isocyanate with a polyether having a primary amine at the terminal, and polyetheramine is used as a raw material. This resin is 100% solids and has no volatile componen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ly even a conventional mask without wearing a respirator to preve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hen working in the field. In addition, installation work can be done by spray method. Therefore, construction is relatively simple.

또한 폴리우레아 수지는 1급 아민을 사용하므로 촉매 사용 없이 반응성과 경화 속도가 매우 빠르고, 반응성이 균일하며 습도와 온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시공 현장의 기상 상황이나 환경에 관계 없이 시공이 가능하다(시공 가능 온도 : -40 ~ +135℃). 특히 말단에 아민기가 붙은 수지와 말단에 아민기가 붙은 쇄연장제(chain extender)로 제조되는 혼합 아민과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를 원료로 하여 제조한 폴리우레아 수지는 반응성이 매우 빠르면서 초속경화형이다. 따라서 성분의 조정을 통해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시공 기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섬유보강재에 대한 보강 작업이 가능하다.Since polyurea resin uses a primary amine, it is very fast in reactivity and curing speed without catalyst, homogeneous in reactivity, and is not influenced greatly by humidity and temperature changes. Therefore,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or environment, (Possible temperature for operation: -40 to + 135 ° C). Particularly, a mixed amine prepared from a chain extender having an amine group at the terminal and an amine group at the terminal thereof, and a polyurea resin prepared from an isocyanate prepolymer as a raw material have a very fast reaction speed and a fast curing type. Therefore, when the quick-setting polyurea resin is used through adjustment of the componen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fiber reinforcement without substantially affecting the construction period.

게다가 폴리우레아 수지는 철판, 알루미늄, 콘크리트 등의 다양한 피착물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우레아 수지에 의해 보강된 섬유보강재는 그와 접하는 보강토체의 뒤채움재와 매우 긴밀하게 부착되어 섬유보강재와 성토재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lyurea resin has excellent adhesion to various adherends such as iron plate, aluminum, and concrete,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reinforced by the polyurea resin adheres very closely to the backfill material of the reinforcing material in contact therewith, Can be maximized.

또한 폴리우레아 수지는 수증기 투과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보강토체 내부에 포설되어도 보강토체에 함유된 수분의 이동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Also, the polyurea resin has excellent water vapor permeability, so that even if the polyurea resin is placed inside the reinforcing soil,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movement of water contained in the reinforcing soil.

그리고 무엇보다도 폴리우레아 수지는 악조건 하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장기간에 걸친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섬유보강재를 보강하는 재료로서 최적의 재질이라 할 수 있다. 즉 폴리우레아 수지는 신축율과 충격저항과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뒤채움재에 포함되는 자갈이나 암석에 의해 충격을 받는 섬유보강재를 보강하는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Above all, polyurea resin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under extreme conditions and durability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polyurea resin is an optimum material for reinforcing fiber reinforcement. That is, since the polyurea resin is very excellent in stretch ratio, impact resistance and abrasion resistance, it has a very excellent effect of reinforcing fiber reinforcing materials that are impacted by gravel or rocks contained in backfill materials.

아울러 폴리우레아 수지는 산, 염기, 온도, 습도, 압력 등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화학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다고 해서 환경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polyurea resin has a stable chemical structure that is hardly influenced by acid, base,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etc., the placement of the polyurea resin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개념도의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아 수지는 주제(61)와 경화제(62)를 혼합하며 스프레이 건(66)을 통해 포설할 수 있다. 주제(61)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경화제(62)는 혼합 아민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레이 건(66)의 트리거를 당기면 이송펌프(63)들을 통해 주제(61)와 경화제(62)가 충돌혼합 스프레이 기계(64)로 투입된 후, 예비히터(65)에 의해 약 70℃ 내외로 가열되며 스프레이 건(66)으로 이송되어 고압으로 충돌 혼합 분사된다. 스프레이 건을 통한 폴리우레아 수지의 토출량은 2 ~ 10 kg/min 정도이며 토출압은 130 ~ 210 kgf/cm2 일 수 있다.When the polyurea resin is installed, the apparatus shown in the conceptual view shown in Fig. 6 can be used. The polyurea resin can be laid through the spray gun 66 by mixing the base 61 and the curing agent 62. [ The subject 61 is made of an isocyanate component, and the curing agent 62 is made of a mixed amine. When the trigger of the spray gun 66 is pulled, the subject 61 and the curing agent 62 are introduced into the impingement mixing spray machine 64 through the transfer pumps 63 and then heated to about 70 캜 by the preliminary heater 65 And is delivered to the spray gun 66 so as to be mixed and injected at a high pressur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olyurea resin through the spray gun is about 2 to 10 kg / min and the discharge pressure can be 130 to 210 kgf / cm 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체(G)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하는 경우, 폴리우레아 수지는 약 3~5초 정도의 겔타임을 가지므로 울퉁불퉁한 보강토체 상에서도 흘러내림 없이 접착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polyurea resin is laid on the reinforcing soil G, the polyurea resin has a gel time of about 3 to 5 seconds, so that the polyurea resin can be adhered to the rugged reinforcing soil without flowing down.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싱 부재(10)의 보강재 삽입구(20)에 끼워진 띠형 섬유보강재(30)를 보강토체 상에 포설한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펼쳐 부설한다.Next, as shown in Fig. 3, a band-shaped fiber reinforcing member 30 fitted to the reinforcing material insertion port 20 of the pacing member 10 is laid on the polyurea resin laid on the reinforcing layer.

이러한 섬유보강재의 재치는 폴리우레아 수지가 지촉건조 시간을 경과한 후, 그리고 경화건조 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촉건조 시간은 대략 30초 ~ 1분 내외 정도에 불과하고, 경화건조 시간은 1시간 내외가 되도록 폴리우레아 수지의 성분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 1인이 폴리우레아 수지를 성토층 상에 포설하고, 그 뒤에 다른 작업자가 잇따라서 지촉건조된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섬유보강재를 펼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2와 도 3의 작업은 시간차를 두고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공 방법에 의하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폴리우레아 수지를 사용한 보강이 가능하고, 아울러 시공 시간이 지체되지도 아니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brous reinforcement is worn after the toughen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has elapsed and before the curing drying time has elapsed. The composition of the polyurea resi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ouching time is only about 30 seconds to 1 minute, and the curing time is about 1 hour. A worker can then lay the polyurea resin on the embankment layer, followed by another worker to unfold the fiber reinforcement onto the subsequently touched polyurea resin. In other words, the operations of FIG. 2 and FIG. 3 can proceed simultaneously with a time difference. According to such a construction method, reinforcement using polyurea resin is possible without any difficulty, and the construction time is not delay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아 수지(40)가 경화건조 시간이 지나가기 전에 섬유보강재를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부설하는데, 경화건조 시간이 1시간 정도이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맞추는 데에도 별 문제가 없다. 즉 작업자 1인이 폴리우레아 수지를 보강토체 상에 포설하고, 그 뒤에 다른 작업자가 약간의 거리를 두고 잇따라서 지촉건조된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섬유보강재를 펼치는 작업을 수행하면 포설된 폴리우레아 수지의 경화건조 시간 내에 섬유보강재를 부설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urea resin (40) is laid on the polyurea resin before the curing drying time passes, and since the curing drying time is about 1 hour, there is no problem in adjusting the working time. That is, when a worker puts a polyurea resin on a reinforcing soil body, and then another worker spreads a fiber reinforcing material on the polyurea resin which is touch-dried successively at a small distance, the polyurea resin Fiber reinforcement can be laid within the curing drying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지촉건조 시간이 경과하고 경화건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섬유보강재를 재치하게 되면, 폴리우레아 층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아직 경화되기 전의 폴리우레아 층이 그보다 아래층의 보강토체 표면과 그보다 위층의 섬유보강재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하면서 경화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폴리우레아 층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아 내충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폴리우레아 수지(40) 층이 뒤채움재(G)와 섬유보강재(30)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placed before the tack-free drying time has elapsed and the curing drying time has elapsed, the polyurea layer before being yet cured without damaging the polyurea layer, And is cured while being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shape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of Fig.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polyurea resin layer 40 acts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back filling material G and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while the polyurea layer is not damaged and the impact resistance can be maintained.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설된 섬유보강재(30) 상에 다시 폴리우레아 수지(40)를 포설하게 된다. 폴리우레아 수지(40)는 섬유보강재(30)를 덮을 정도만 포설하면 되며 전체 성토층(G) 전면을 덮을 필요는 없다. 앞서 도 2의 작업에서는 부설될 섬유보강재(30)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으므로 폴리우레아 수지를 상대적으로 넓게 포설하는 것이 작업 편의성이 더 높지만, 부설된 섬유보강재(30) 상에 다시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할 때에는 섬유보강재(30)를 덮을 정도로 포설하는 작업이 더 용이하다.Next, the polyurea resin 40 is placed on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laid out as shown in Fig. The polyurea resin 40 may be laid only so as to cover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30 and need not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embankment layer G. [ The position of the fiber reinforcement 30 to be installed can not be precisely confirmed in the work of FIG. 2, so that it is more convenient to work with a relatively wide polyurea resin to be installed. However, the polyurea resin It is easier to lay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so as to cover it.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채움재를 채워 섬유보강재(30)를 매립한다. 여기서 뒤채움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폴리우레아 수지가 지촉건조 시간을 경과한 후, 그리고 경화건조 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채워진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폴리우레아 층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아 내충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폴리우레아 수지(40) 층이 성토층(G)과 섬유보강재(30)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Then, as shown in FIG. 5, the fiber filler 30 is filled with the backfill material. Here, the backfill material is fill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polyurea resin has passed the touch-drying time and before the curing-drying time has elapsed.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polyurea resin layer (40) acts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ller layer (G) and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30) while the polyurea layer is not damaged and can maintain the impact resistance.

또한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작업자 1인이 폴리우레아 수지를 보강토체 상에 포설하고, 그 뒤에 잇따라서 지촉건조된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중장비로 뒤채움재를 성토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is method, a worker can lay the polyurea resin on the reinforcing soil body, and subsequently fill the backfill with heavy equipment on the touch-dried polyurea resin.

이처럼 뒤채움재를 채운 후, 매립된 폴리우레아 수지(40)의 경화건조 시간이 경과한 후 뒤채움재에 대한 다짐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면 매립된 폴리우레아 수지(40)는 경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짐 작업 시 보강토체(G) 내에 있는 자갈이나 암석이 섬유보강재(30)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이를 상당 부분 폴리우레아 수지(40) 층이 흡수하고 저항하게 된다. 폴리우레아 수지(40)는 신축율이 우수하면서도 충격저항성이 높고 내마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짐 과정에서 또는 그 후에 성토 층이 부등 침하하더라도 폴리우레아 수지(40)가 그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파괴되지 않고, 다짐 작업에서 큰 하중이 작용하는 자갈이나 암석이 섬유보강재(30)를 충격하며 누르더라도 이를 폴리우레아 수지(40) 층에서 흡수하고 견뎌주어 섬유보강재(30)가 손상되지 아니한다.After filling the backfill material with the backfill material, the backfill material can be subjected to compaction after the curing and drying time of the embedded polyurea resin 40 has elapsed. Since the buried polyurea resin 40 is in a cured state, even when the gravel or rock in the reinforcing soil G impacts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during the compaction operation, the polyurea resin 40 Absorb and resist. Since the polyurea resin 40 is excellent in the expansion / contraction ratio, high impact resistance and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the polyurea resin 40 is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ly and is not destroyed even when the embankment layer is unevenly set during or after the compaction. Even when the gravel or rock having a large load acts on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in the collapsing operation,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is absorbed by the polyurea resin layer 40 and is not damaged.

도 5의 작업이 마무리된 후에는 다시 도 2 내지 도 5의 작업이 반복되어 필요한 높이까지 성토를 하여 성토물을 시공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토물이 완성된다.After the operation of FIG. 5 is completed, the operations of FIG. 2 to FIG. 5 are repeated to fill the embankment with the required height to complete the embankment as shown in FIG.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섬유보강재(30)의 상하면에 모두 폴리우레아 수지(40)를 포설하는 사항이 예시되었다. 그러나 이 중 하면에 포설되는 폴리우레아 수지 포설 작업(도 2 참조)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에서 이미 보강토체(G)는 다짐 작업이 완료되어 어느 정도 평활도가 확보된 상태이기 때문에, 하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하지 않아도 섬유보강재(30)의 하면이 파손되는 것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polyurea resin 40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respectively. However, the polyurea resin installation work (see FIG. 2) install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above can be omitted. In FIG. 1, since the reinforcing soil G is already in a state in which the compaction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degree of smoothness is secured to some extent, the lower surface of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can be prevented to some extent It is because.

<제3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한편 뒤채움재에 혼합된 자갈이나 암석의 크기가 상당히 크거나, 자갈이나 암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섬유보강재(30) 상에 포설된 폴리우레아 수지의 경화건조 시간이 경과한 후 뒤채움재를 포설하고 다짐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뒤채움재에 자갈이나 암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단순히 뒤채움재를 포설하는 것만으로도 섬유보강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을 때 적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gravel or rock mixed with the backfill material is considerably large or the proportion of the gravel or rock is high, after the curing dry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laid on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30 has elapsed, And may make compromises. This is a method that can be applied when there is a risk that the fiber reinforcement will be damaged by simply installing a backfill material because the ratio of the gravel or rock to the backfill material is high.

이처럼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현장에서 사용되는 뒤채움재의 구성에 따라 섬유보강재의 보강 시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뒤채움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응하여 시공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섬유보강재의 보강 시공 여부를 유연하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가령 동일한 성토물을 구축해 나감에 있어서도 섬유보강재가 부설될 성토층의 표면에 있는 뒤채움재의 성질에 따라 폴리우레아 수지의 포설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 폴리우레아 수지의 포설 영역, 포설 두께 등을 다양하게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reinforc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backfill material used in the field, and also, in response to the concrete composition of the backfill material, Whether it is flexible or diver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lyurea resin is installed or not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backfill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embankment layer to which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will be laid, It can be applied immediately in various fields.

또한 이러한 방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물에 의하면, 섬유보강재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섬유보강재와 뒤채움재 사이의 마찰력을 현저히 높일 수 있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 시공을 통해 그 안정성을 검증한 후에는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섬유보강재의 길이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은, 종래의 섬유보강재 시공 방법과 대비하였을 때, 시공 기간과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constructed by such a metho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ber reinforcement material and the backfill material can be remarkably increased as well as the breakage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can be prevented, and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can be greatly enhan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to be embedded in the reinforcing soil after the stability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is verified to some extent. Therefore, whe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fabricating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This can be an opportunity to reduce cos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 페이싱 부재(패널, 블록 등)
12 : 후면
20 : 보강재 삽입구
30 : 섬유보강재
40: 폴리우레아 수지
61: 주제
62: 경화제
63: 이송펌프
64: 충돌혼합 스프레이 기계
65: 예비히터
66: 2액 충돌혼합 스프레이 건
G : 성토층(성토재, 뒤채움재)
R: 보강토체
10: Facing member (panel, block, etc.)
12: Rear
20: Stiffener inlet
30: Fiber reinforcement
40: polyurea resin
61: Topics
62: Hardener
63: Feed pump
64: Impact mixing spray machine
65: spare heater
66: Two-component impingement mixing spray gun
G: Embankment (embankment, backfill)
R: Reinforcing material

Claims (10)

보강토체(R)를 형성하기 위해 포설된 뒤채움재(G)의 전면에 페이싱 부재(10)를 세우는 단계;
페이싱 부재(10)에 연결된 섬유보강재(30)를 상기 뒤채움재(G) 상에 부설하는 단계;
부설된 상기 섬유보강재(30)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하고 적어도 지촉 건조시간 동안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 후 뒤채움재(G)를 소정 높이까지 포설하고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Setting a face member (1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ler material (G) installed to form the reinforcing body (R);
Laying a fiber reinforcement (30) connected to the pacing member (10) on the backfill material (G);
Laying a polyurea resin on the fiber reinforcement 30 and curing the fiber reinforcement 30 for at least a touch dry time; And
And filling the back filler (G) to a predetermined height after the polyurea resin is insta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설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뒤채움재를 포설하는 작업은 폴리우레아 수지의 지촉 건조시간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for laying backfill material on the laid polyurea resin is carried out after a toughen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한 후 경화 건조시간 동안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urea resin is installed and cured for a curing drying time.
청구항 3에 있어서,
포설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뒤채움재를 포설하는 것은 폴리우레아 수지의 경화 건조시간 이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aying of the backfill material on the laid polyurea resin takes place after a curing dry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청구항 3에 있어서,
포설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 상에 뒤채움재를 포설하는 것은 폴리우레아 수지의 지촉 건조시간 이후 이루어지고,
포설된 뒤채움재의 다짐은 폴리우레아 수지의 경화 건조시간 이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laying of the backfill material on the laid polyurea resin takes place after the touch dry time of the polyurea resin,
Wherein the compaction of the filled filler is performed after a curing dry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청구항 1에 있어서,
포설된 뒤채움재(G)에 섬유보강재(30)를 부설하기 전에, 적어도 섬유보강재가 부설될 뒤채움재(G) 부위 상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polyurea resin is laid on the filler (G) site after at least a fiber reinforcement is laid before laying the fiber reinforcement (30) on the filled filler (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섬유보강재(30)의 부설 작업은, 상기 뒤채움재(G) 부위 상에 포설된 폴리우레아 수지의 지촉 건조시간이 경과한 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aying work of the fiber reinforcing material (30) is performed after a toughening time of the polyurea resin laid on the backfilling material (G) has elap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아 수지는 2액 충돌혼합 스프레이 건에 의해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urea resin is laid by a two-impingement impingement spray gu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보강재(30)의 표면은 거칠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rface of the fiber reinforcing member (30) is subjected to a roughing treatmen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섬유보강재의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성토물.
The embankment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9.
KR1020150103115A 2015-07-21 2015-07-21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Fiber Reinforcing Band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illed-up Material KR201700111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115A KR20170011117A (en) 2015-07-21 2015-07-21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Fiber Reinforcing Band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illed-up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3115A KR20170011117A (en) 2015-07-21 2015-07-21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Fiber Reinforcing Band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illed-up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117A true KR20170011117A (en) 2017-02-02

Family

ID=5815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115A KR20170011117A (en) 2015-07-21 2015-07-21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Fiber Reinforcing Band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illed-up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111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23B1 (en) 2008-04-24 2009-08-21 (주)대한콜크 Belt type extile reinforcement
KR101534541B1 (en) 2014-12-11 2015-07-07 주식회사 한포스 Facing member for the reinforced earth wall, reinforced earth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23B1 (en) 2008-04-24 2009-08-21 (주)대한콜크 Belt type extile reinforcement
KR101534541B1 (en) 2014-12-11 2015-07-07 주식회사 한포스 Facing member for the reinforced earth wall, reinforced earth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123B1 (en) Waterproof Firming Mat Composition with Rapid Hardening Polymer C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aterproof Firming Mat using the Composition thereof
KR101879389B1 (en) Concrete Mat Composite on-site hydratable
US920042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orting structure
KR102008459B1 (en) Reclamation method using new material pocket fiber and expanding agent, and method for maintaining recovery erosion
KR101851183B1 (en) On-site Hydration Concrete Mat with warp directional reinforcing yarn
KR20190058019A (en) Construction method of tunnel using fiber mesh
KR20180025391A (en) Waterproof Firming Ma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aterproof Firming Mat using the Composition thereof
KR20170011117A (en)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Method of Fiber Reinforcing Band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Filled-up Material
US20100215441A1 (en) Reinforced Mass of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LU504639B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tability of Surrounding Rocks of Large-section Railway Tunnels
KR102199615B1 (en) High performanc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40029133A (en) Tunnel reinforcement and tunnel grouting unit
JP7301096B2 (en) Block mat, block mat manufacturing method, and bank protection structure
JPH0673997A (en) Construction of waterway tunnel
JP2977777B2 (en) Method of spraying concrete wall
KR101850782B1 (en) Ground subsidence restoration equipment, and reclamation method of ground subsidence using the same
KR20190059188A (en) Fiber mesh for shotcret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unnel using the same
JPH0649828A (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ssure-proof concrete wall
KR102596453B1 (en) Structure and method of preventing leakage of underground wall
JP2003176699A (en)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of waterproof film and cut-off, using wet adhesive epoxy resin
KR20210115197A (en) Concrete composite mat which is pattern backstitch for preventing damage of reinforcement member
KR101859611B1 (en) Reinforcement and waterproof structure of vertical shafts-utility tunnels interface
KR100458266B1 (en) System for flatting and waterproofing rugged slope in waste landfill using polyurethane foam
KR102411840B1 (en) Concrete Mat Composite on-site hydratable
KR101588772B1 (en) Compound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