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633A -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633A
KR20170009633A KR1020150101960A KR20150101960A KR20170009633A KR 20170009633 A KR20170009633 A KR 20170009633A KR 1020150101960 A KR1020150101960 A KR 1020150101960A KR 20150101960 A KR20150101960 A KR 20150101960A KR 20170009633 A KR20170009633 A KR 20170009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crystal
reff
polarizing plate
cellulose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경수
김용원
하선영
이유미
이호준
강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5010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633A/ko
Publication of KR2017000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00Preparation of cellulose esters of orga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H01L51/5281
    • H01L51/529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고습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진과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광학 신뢰성이 우수한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Polarized plate optical film for OLED}
본 발명은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고습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진과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광학 신뢰성이 우수한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박형 경량 노트북 컴퓨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표시 장치에서 이용되는 편광판의 보호 필름도 점점 더 박막화, 고성능화로의 요구가 강해져 오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에 의한 편광 제어에 의해 표시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편광판이 필요하고, 통상은 요오드를 포함한 PVA 필름을 연신한 것이 편광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 편광판은 취약하기 때문에, 이것을 보호하는 것으로서 편광판 보호 필름이 이용된다. 편광판 보호 필름에는 일반적으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편광판 보호 필름과는 별도로 편광의 위상차를 제어하기 위해서 위상차 필름이라는 것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위상차 필름은 편광판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두께방향 위상차(Rth)를 이용하여 색 보상, 시야각 확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고, 또한 면내방향 위상차(Ro)를 이용하여 가시광 영역의 파장에 대하여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편광판 보호 필름은 편광판의 보호가 목적이고 수분을 포함한 PVA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편광판의 제조 공정을 고려한 경우에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광학적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이외의 재료가 이용되어 왔다. 즉, 종래부터 위상차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비정질 폴리올레핀 등이 있다. 이들 고분자 필름은 파장이 길수록 위상차가 작아지는 특성을 갖고 있고, 가시광 영역의 전 파장에 대하여 이상적인 위상차 특성을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가시광 영역의 파장에 대하여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경우 1매의 위상차 필름으로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에 입사하는 파장(λ)에 있어서 위상차가 λ/4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면 위상차가 λ/4의 위상차 필름과 편광판을 한장만 사용하여 이면 전극을 반사 전극과 겸한 구성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함으로써, 화질이 우수한 반사형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게스트 호스트형의 액정층의 관측자에 대하여 이면측에 이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거나 좌우 어느 한쪽의 원편광만을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 등으로 구성되는 반사형 편광판의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소자로서도, 마찬가지로 이용된다.
또한, 위상차 필름은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이나 원 편광으로 변환하거나, 어떤 방향에 있는 직선 편광을 다른 방향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콘트라스트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상차 필름은 1쌍의 편광판에 각각 부착되어 사용된다. 현재, VA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위상차 필름으로는, 일본 코니카 미놀타사(Konica Minolta Holdings, Inc.)의 N-TAC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NTAC 위상차 필름은, 상, 하판 모두, 면내의 위상차(Retardation, R0, λ= 550nm 기준)가 50nm,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 λ= 550nm 기준)가 130nm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닐레이트(CAP)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특성(흑색 표시 상태(black 특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파장 분산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N-TAC 필름은 파장이 커지면서 위상차 값이 증가하는 역파장 분산특성을 나타내며, 파장이 커지면서 위상차 값이 감소하는 정파장 분산특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에 비하여, 우수한 시야각 특성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개선을 위해서, 특정 리타데이션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 및 그 조합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위상차 필름(PC, PSu, PA 등)은 파장이 길수록 위상차가 작아지는 특성을 갖고 있고, 가시광 영역의 전 파장에 대하여 이상적인 위상차 특성을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고, 광 대역용에서는 이들 위상차 필름을 접합하여 필요 성능을 얻고 있다. 1매의 위상차 필름에서 그와 같은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에 입사하는 파장(λ)에 있어서 면내방향 위상차(Ro)가 λ/4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를 위해서는 상기 특성과는 반대의 파장이 길수록 면내방향 위상차(Ro)가 커지는 특성이 필요하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필름에서, 이러한 위상차 특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 편광판 보호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겸용할 수 있고, 복수의 위상차 필름으로 구성된 위상차 필름을 생략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에서의 광학 필름의 전 광선 투과도를 개선할 수 있어 유용하다.
이 문제에 대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137116호에서는 2.5 내지 2.8의 총 치환도(아세틸화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배향 필름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르면, 파장이 길수록 위상차가 커져, 가시광 영역의 전 파장에 대하여 이상적인 위상차 특성이 얻어진다고 하고 있다. 즉,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필름 1장으로 측정 파장이 짧을수록 위상차가 작아지는 위상차 판을 제공하고 있다. 파장 400 내지 700nm에서의 복굴절(Δn)이 장파장일수록 큰 고분자 배향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판이며, 상기 고분자 배향 필름은 상기 파장에 있어서의 평균 굴절률이 단파장일수록 큰 고분자 필름의 배향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판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2.5 내지 2.8의 아세틸화도를 갖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연신함으로써 배향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의 실시예에는 와코 준야꾸 고교(주)로부터 입수한 극한 점도[η]=1.335, 아세틸화도 2.917의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100중량부를 염화메틸렌 500중량부에 용해시켜, 이것에 96% 아세트산 수용액 1000중량부를 가하고, 감압에 의해 염화메틸렌을 제거하면서, 70℃에서 100분간, 아세트산과 물에 의한 삼아세트산 셀룰로오스의 가수분해를 실시하여, 반응물을 대과잉의 물에 의해 침전, 세정하고, 건조함으로써, 아세틸화도 2.661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얻은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합체 100중량부 및 가소제인 프탈산디부틸 3중량부를 염화메틸렌/메탄올(중량비 9/1) 혼합 용매 700중량부에 용해시킨 용액으로부터 용매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제작하고, 또한 이 필름을 온도 170℃에서, 1.5배로 일축 연신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공개특허의 실시예 1에서는 연신에 의해 상기 후자와 같은 파장 특성(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고 하고 있다. 그리고, 위상차 값을 조정함으로써, λ/4, 또는 그 밖의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도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의 실시예 4에서는 아세틸화도 2.421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가 얻어지고 있다. 이것을 이용한 필름의 위상차 특성을 측정한 경우, 필름 두께가 100㎛ 정도(50 내지 150㎛)와, 자립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필름 두께일 때에는 위상차는 불충분하다. 또한, 필름 두께가 200㎛ 정도로 두꺼운 경우에는 80 내지 150nm 정도의 바람직한 위상차를 제공하는데, 그 때의 두께방향 위상차(Rth)는 350nm 초과로 과잉이고, λ/4 위상차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경우에는 시야각 확대 필름으로서는 기능하지 않아,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얻어진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분자량 분포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고, 분자량 분포를 제어하여 위상차 특성을 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재되거나 시사되어 있지 않다.
한편, 편광판의 편광자 PVA층의 보호필름으로 TAC, 아크릴 등의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나, 위상차 필름의 제조 시 CAP, COP, TAC에 첨가하는 원료가 고가로 이루어져, 제품 제조 시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기존 위상차 필름으로 제조된 셀룰로오스계 편광판은 고온고습 환경에 대한 내성이 약하여, 고온고습 신뢰성 환경에 노출 시 필름의 내수성 특성이 저하되어 편광판 및 OLED 제조시 신뢰성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온고습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진과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신뢰성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정 코팅층; 액정 코팅 기재 필름; PVA 필름; 및 PVA 보호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코팅 기재 필름은 치환도가 2.70~2.95 범위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및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을 포함하는 비대칭형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MA - [DO - DA]n - DB
(여기서, MA : R1-COOH, DO : HO-R2-OH, DA : HOOC-R1-COOH, DB : HO-R3-OH 이며, R1은 탄소수 6개 이상의 아릴디카르복실산 잔기, R2는 탄소수 2~6개의 화합물로서 프로필렌글리콜, R3은 탄소수 2~12개의 화합물로서 아디프산 잔기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아킬렌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액정 코팅 기재 필름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비커스 경도가 양면에 대해서 20HV 이상이며, TD 방향에 대해서 45°±10° 또는 135°±10° 대각 방향으로 액정 배향이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는 시험 하중, d는 2개의 대각선 길이(d1과 d2)의 산술 평균이다.)
또한, 상기 편광판 광학 필름은 고온고습 챔버를 이용하여 60℃, 90%RH 신뢰성 환경에서 500hr 동안 방치 전/후로 하여, θ=45° & Φ=45° 방향에서 반사율(RM)을 측정 했을 때, 변화율 △RM<±3.0% 이내 범위인 것이 바람직 하다.
이에 더해, 상기 편광판 광학 필름은 23℃, 55%RH 조건하에서 측정한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되는 전체 유효 면위상차값 Reff_Total가 70내지 210nm 이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 하다.
[수학식 2]
Reff_Total=Reff_CEF[=(nx1’- ny1’) × d1] + Reff_LC[=(nx3’- ny3’) × d3]
(여기서, Reff_CEF의 nx1’과 ny1’, Reff_LC의 nx3’과 ny3’은 하기 도1에서와 같이 θ=45° & Φ=45° 위치에서 관찰 했을 때,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 nx1,ny1,nz1과 액정 코팅층의 nx3,ny3,nz3으로부터 각각 형성되는 유효면방향 굴절률 값이며, Reff_Total는 전체 유효 면위상차 값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고온고습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레진과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신뢰성 품질이 뛰어난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의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θ=45° & Φ=45° 위치에서 관찰 했을 때, nx, ny, nz로부터 형성되는 유효면방?h 굴절율 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정 코팅층(d1), 액정 코팅 기재 필름(d2), PVA 필름(d3) 및 PVA 보호 필름(d4)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코팅 기재 필름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비커스 경도가 양면에 대해서 20HV 이상 범위로 코팅성 및 광배향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아세틸기 치환도는 2.70~2.9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을 포함하는 비대칭형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MA - [DO - DA]n - DB
(여기서, MA : R1-COOH, DO : HO-R2-OH, DA : HOOC-R1-COOH, DB : HO-R3-OH 이며, R1은 탄소수 6개 이상의 아릴디카르복실산 잔기, R2는 탄소수 2~6개의 화합물로서 프로필렌글리콜, R3은 탄소수 2~12개의 화합물로서 아디프산 잔기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아킬렌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액정 코팅 위상차 편광판은 고온고습 챔버를 이용하여 60℃, 90%RH 신뢰성 환경에서 500hr 동안 방치 전/후로 하여, θ=45° & Φ=45° 방향에서 반사율(RM)을 측정 했을 때, 변화율 △RM<±3.0% 이내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VA 보호 필름은 TAC, COP, 노르본넨계 필름 중 어느 하나 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은, 용액 필름 형성법(Solvent cast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용액 필름 형성법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가소제, UV 흡수제, 매트제 등의 첨가제와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메탄올 등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교반기에서 용해시켜 도프를 제조하고, 여과장치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분자량 범위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내지 220,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액(도프)의 점도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여 용액 유연법에 의한 필름 제작이 용이해진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분자량 분산 정도(중량평균분자량Mw/수평균분자량Mn)는 2.5 내지 4.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필름 형성법(또는 솔벤트 캐스팅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조성물(도프)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는 유기용매가 바람직하다. 유기용매로는 할로겐화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할로겐화탄화수소로는 염소화 탄화수소,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클로로포름이 있으며, 이 중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할로겐화탄화수소 이외의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로겐화탄화수소 이외의 유기용매로는 에스테르, 케톤, 에테르, 알코올 및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에스테르로는 메틸포르메이트, 에틸포르메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펜틸포르메이트, 메틸아실레이트, 에틸아실레이트, 펜틸아세테 등이 사용 가능하며, 케톤으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등이 사용가능하고, 에테르로는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메톡시메탄, 디메톡시에탄, 1,4-디옥산, 1,3-디옥솔란, 테트라히드로푸란, 아니솔, 페네톨 등이 사용가능하고,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t-부탄올, 1-펜탄올, 2-메틸-2-부탄올, 시클로헥산올, 2-플루오로에탄올,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 등을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주 용매로 사용하고, 알코올을 부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알코올을 80 : 20 내지 95 : 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조성물은 상온, 고온 또는 저온 용해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제조 시에 사용되는 첨가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액 유연법에 사용하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액(도프)에는, 각 조제공정에서 용도에 따른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가소제, 열화방지제, 매트제 미립자, 박리제, 자외선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적외선흡수제 등의 파장분산조정제, 광학이방성 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의 구체적인 종류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필름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를 첨가하는 시기는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도프 조제의 마지막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배향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위상차 필름은 액정 배향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TD 방향에 대해서 45°±10° 또는 135°±10° 대각 방향으로 배향이 되며, 액정 배향이 된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은 23℃, 55%RH 조건하에서 측정한 하기 수학식2에 의해 정의되는 전체 유효 면위상차값 Reff_Total가 70내지 210nm 이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2]
Reff_Total=Reff_CEF[=(nx1’- ny1’) × d1] + Reff_LC[=(nx3’- ny3’) × d3]
(여기서, Reff_CEF의 nx1’과 ny1’, Reff_LC의 nx3’과 ny3’은 하기 도1에서와 같이 θ=45° & Φ=45° 위치에서 관찰 했을 때,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 nx1,ny1,nz1과 액정 코팅층의 nx3,ny3,nz3으로부터 각각 형성되는 유효면방향 굴절률 값이며, Reff_Total는 전체 유효 면위상차 값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광배향층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여기서, n은 50 내지 5,000 이고, p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R1, R2, R3, 및 R4 중 적어도 하나는 라디칼이며, 나머지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12의 시클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40의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15의 아르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탄소수 2 내지 20의 알키닐; 또는 산소, 질소, 인, 황, 실리콘 및 보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비탄화수소 극성기(non-hydrocarbonaceous polar grou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극성 작용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코팅층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액정 구조를 포함하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4
(여기서, P는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그룹 또는 에폭시 그룹을 포함하는 중합성 그룹이며, R20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그룹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한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기계적 강도 향상, 양호한 캐스팅성 및 내흡수성 부여, 수분 투과율의 감소 등을 위해 가소제를 함유한다. 가소제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산에스테르 및 프탈산에스테르 또는 시트르산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카복실산에스테르 등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을 포함하는 비대칭형 에스테르계 가소제인 것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신뢰성 처리 전/후 필름의 광학신뢰성 특성을 소정의 범위로 하는 데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하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6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향족을 포함하는 비대칭형 에스테르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화합물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5
[화학식 5]
Figure pat00006
[화학식 6]
Figure pat00007
상기와 같이 얻어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용액을 캐스팅 다이를 통해 지지체 상에 캐스팅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시트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시트를 텐터 내에서 연신 단계를 거치게 되며, 예열 공정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플레이크(flake)의 유리전이온도(Tg)는 185 내지 200℃, 위상차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는 150 내지 190℃ 범위이다.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은 상기의 조건으로 텐터에서 연신단계를 거친 후, 텐터의 클립 또는 핀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된 필름의 좌우측 말단을 제거한 후 건조기에서의 건조단계를 거쳐 필름이 완성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단계 1> 셀룰로오스 용액( 주도프액 )의 제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에 대해서는 평균 아세틸 치환도(DS)가 2.86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를 사용하고, 가소제로써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말단 비대칭 가소제 1(A) 5kg(질량부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kg(질량부) 대비)을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말단 비대칭 가소제 1(A) =
Figure pat00008
<단계 2>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희석 용액의 제조
<단계 1>에서 제조한 셀룰로오스 용액 20.0중량부, 실리카(SiO2) 1.5중량부 및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을 9:1(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 78.5중량부를 믹싱탱크에 넣고 교반하여 실리카(금속 산화물)를 포함하는 희석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주도프액 100질량부와 미립자 첨가액 5질량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인라인 믹서로 충분히 혼합하여 도프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도프의 조성은 메틸렌클로라이드 72wt%, 메탄올 8wt%,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17.95wt%, 가소제(A+B+C) 2wt%, 실리카 0.05wt%였다. 이후, 벨트 유연 장치를 이용하여 폭 2000mm의 스테인레스 밴드 지지체에 균일하게 유연하였다. 이후, 스테인레스 밴드 지지체 상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스테인레스 밴드 지지체로부터 박리하였다. 이어서, 텐더로 웹 양단부를 파지하고, 170℃ 온도 환경에서 (TD) 방향의 연신 배율이 1.1배가 되도록 연신하였고, 이후 그 폭을 유지한 상태로 몇 초간 유지하고, 폭 방향의 장력을 완화시킨 후, 폭 방향 이완을 하고, 또 110℃로 설정된 건조 구간에서 35분간 반송시켜 건조를 행하여 폭 1900mm, 단부에 폭 10mm, 높이 8㎛의 널링을 갖는 막 두께 20.1㎛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막 두께를 30.1㎛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막 두께를 40㎛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가소제 첨가량을 10kg(질량부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kg(질량부) 대비)으로 변경하고, 막 두께를 20.1㎛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가소제 첨가량을 10kg(질량부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kg(질량부) 대비)으로 변경하고, 막 두께를 30.1㎛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가소제 첨가량을 10kg(질량부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kg(질량부) 대비)으로 변경하고, 막 두께를 40㎛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가소제 첨가량을 10kg(질량부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kg(질량부) 대비)으로 변경하고, 막 두께를 25㎛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가소제로써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말단 대칭 가소제 1(B) 10kg(질량부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kg(질량부) 대비)을 사용하고 막 두께를 40㎛로 형성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말단 대칭 가소제 1(B) =
Figure pat00009
비교예 2
가소제로써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말단 대칭 가소제 2(C) 10kg(질량부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kg(질량부) 대비)을 사용하고 막 두께를 40.1㎛로 형성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말단 대칭 가소제 2(C) =
Figure pat00010
비교예 3
가소제로써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말단 대칭 가소제 3(D) 10kg(질량부 -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100kg(질량부) 대비)을 사용하고 막 두께를 40㎛로 형성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말단 대칭 가소제 3(D) =
Figure pat00011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Micro Vickers Hardness Tester (Mitutoyo(일본) HM-122)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 Air 면과 Belt 면 양면에 대해서 비커스 경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N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가소제 종류 막두께
(㎛)
비커스경도(HV)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NO
종류 첨가량(kg) 종류 첨가량(kg) Air면 Belt면
실시예 1 TAC 100 A 5 20.1 22.3 22.9 RF1
실시예2 TAC 100 A 5 30.1 21.4 21.8 RF2
실시예 3 TAC 100 A 5 40 21.6 22.7 RF3
실시예 4 TAC 100 A 10 20.1 22.3 22.7 RF4
실시예 5 TAC 100 A 10 30.1 21.7 22.1 RF5
실시예 6 TAC 100 A 10 40 21.5 22.1 RF6
실시예 7 TAC 100 A 10 25 21.1 21.8 RF7
비교예 1 TAC 100 B 10 40 18.8 18.9 RF8
비교예 2 TAC 100 C 10 40.1 18.7 18.5 RF9
비교예 3 TAC 100 D 10 40 19.1 19.2 RF1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한 가소제를 포함 했을 경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의 신뢰성 처리 전/후 필름의 ΔReff 특성이 우수하여 광학 신뢰성과 필름 표면의 비커스 경도가 우수하여 표면 코팅성 및 배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의 제조>>
<단계 1> 광배향막 형성
광배향막은 상기 화학식 2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광배향성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광배향막은 상기 제조된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 RF-1 상에, 상기 광배향성 중합체, 바인더 화합물, 선택적으로 광개시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광배향막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선택적으로,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포함된 용매를 건조하고,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자외선(UV)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광 개시제는 UV 경화를 개시 및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개시제로 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상품명 Irgacure 907 또는 819 등으로 알려진 개시제를 사용하였다. 또, 상기 유기 용매는 상술한 각 성분을 용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이의 구체적인 예로 는, 톨루엔(toluene), 아니솔(anisole),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디클로로에탄(dichloroeth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시클로펜탄(cyclopentane)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톨루엔을 용매로 사용 하였다.
상기에서 선택된 각 성분을 포함하는 광배향막용 조성물을 셀룰로오스에스테르 기재 상에 도포한 후, 선택적으로 유기 용매를 제거하고 나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배향성 중합체에 결합된 광반응기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광배향 시키고, 바인더 화합물의 UV 중합 및/또는 경화가 일어나도록 하여 광반응기가 광배향된 광배향성 중합체와, 선택적으로 바인더 화합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광배향막을 형성 하였다. 또, 상기 용매의 건조 단계에서는, 약 50 내지 250 ℃에서 약 20 내지 90분 동안 도막을 가열하여 건조를 진행하여 용매를 제거 하였고, 상기 자외선 조사 단계에서는, 상기 건조된 도막면에, 파장 범위가 약 150 내지 450 ㎚ 영역의 편광된 자외선을 약 50 mJ/㎠ 내지 10 J/㎠ 의 에너지, 바람직하게는 약 500 mJ/㎠ 내지 5 J/㎠ 의 에너지를 조사하여 약 10 내지 1000 ㎚의 두께를 가진 광배향막(PI-1)을 제작 하였다.
<단계 2> 액정 코팅막 형성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광배향막 상의 액정층은 광학 이방성 필름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액정 화합물을 별 다른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형성한 광배향성 중합체와 보다 우수한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액정층은 상기 화학식 3의 액정 화합물을 사용 하였다.
상기 제작된 광배향막 상에 액정층을 제작하는 것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하였다.
상기 화학식2의 액정을 슬릿 노즐법으로 코팅하고, 60℃에서 2분간 건조한 후 5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을 경화시켜서 두께 1.7 ㎛의 액정 코팅층을 형성 하여, 최종적으로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작 하였다.
실시예 9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2 및 두께 1.6㎛의 액정 코팅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3 및 두께 1.6㎛의 액정 코팅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5 및 두께 1.6㎛의 액정 코팅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6 및 두께 1.6㎛의 액정 코팅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7 및 두께 1.6㎛의 액정 코팅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8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9 및 두께 1.6㎛의 액정 코팅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RF-10 및 두께 1.6㎛의 액정 코팅막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1) 액정 배향성을 평가 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된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직교하는 두장의 편광판 사이에 위치시켜 놓고, Φ = 0 ~ 360°로 돌려 가면서 투과되는 빛의 균일성이나 액정의 배향성 정도를 평가 하였다. 액정의 배향 정도를 다음의 기준으로 나타내고, 이러한 액정 배향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2) 상기 제조된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에 대해서, AxoScan(OPMF-1, Axometrics社) 광학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23℃, 55%RH의 환경하에 파장 590nm를 기준 파장으로 하고, θ=45° & Φ=45°의 위치에서 전체 유효 면방향 위상차 값 Reff_ Total을 측정 하여 하기 표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N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광배향막 액정 코팅막 배향성 Reff_Total
종류 막두께(um) 두께(nm) 두께(um)
실시예 8 RF1 20.1 700 1.7 100.5
실시예 9 RF2 30.1 700 1.6 103.4
실시예 10 RF3 40 700 1.6 90.3
실시예 11 RF4 20.1 700 1.7 106.4
실시예 12 RF5 30.1 700 1.6 103.5
실시예 13 RF6 40 700 1.6 107.5
실시예 14 RF7 25 700 1.6 92.3
비교예 4 RF8 40 700 1.7 65.4
비교예 5 RF9 40.1 700 1.6 67.2
비교예 6 RF10 40 700 1.6 X 57.3
◎. 배향 정도가 매우 우수함.
○. 배향 정도가 우수함.
△. 배향성이 관찰되기는 하나, 실제 사용 되기에는 미흡함.
X. 배향성이 거의 관찰되지 않음.
실시예 15
<<편광판 광학 필름의 제조>>
단계 1 : 편광자 - PVA 필름의 제조
두께 12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일축 연신(온도 110°, 연신 배율 5배)하였다.
이것을 요오드 0.075 g, 요오드화칼륨 5 g, 물 100 g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60 초간 침지하고, 이어서 요오드화칼륨 6 g, 붕산 7.5 g, 물 100 g을 포함하는 68 ℃의 수용액에 침지하였다. 이것을 수세, 건조하여 편광자(PF-1)를 얻었다.
단계 2 : 편광판의 제조
하기 공정 1 내지 5에 따라, 상기 편광자로 막두께 20㎛인 PVA 필름과, 상기 편광판 보호 필름은 막 두께 40㎛ TAC 필름을 사용하였고, 뒷면측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막두께 21.4㎛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여 하기 공정에 따라 접합시킨 본 발명의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공정 1: 60 ℃의 2 몰/L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90 초간 침지하고, 이어서 수세하고 건조하여, 편광자와 접합하는 측을 비누화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공정 2: 편광막을 고형분 2 질량%의 폴리비닐알코올 접착제 조(槽) 중에 1 내지 3 초간 침지하였다.
공정 3: 공정 2에서 편광막에 부착된 과잉의 접착제를 가볍게 닦아 내고, 이것을 공정 1에서 처리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상에 얹어 배치하였다.
공정 4: 공정 3에서 적층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과 편광자와 뒷면측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압력 20내지 30 N/cm2, 반송 속도 약 2 m/분으로 접합하였다.
공정 5: 80 ℃의 건조기 중에 공정 4에서 제조한 편광자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과, 뒷면측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접합시킨 시료를 2 분간 건조하여, 편광판(POL-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편광자로 막두께 20.1㎛인 PVA 필름 및 막두께 31.6㎛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17
막두께 41.6㎛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막 두께 40.1㎛인 TAC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18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막 두께 40.1㎛인 TAC 필름, 편광자로 막두께 20.2㎛인 PVA 필름 및 막두께 21.6㎛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19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막 두께 40.1㎛인 TAC 필름, 편광자로 막두께 20.1㎛인 PVA 필름 및 막두께 31.7㎛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20
편광자로 막두께 20.1㎛인 PVA 필름 및 막두께 41.6㎛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21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막 두께 40.1㎛인 TAC 필름, 편광자로 막두께 20.1㎛인 PVA 필름 및 막두께 26.5㎛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7
편광자로 막두께 20.1㎛인 PVA 필름 및 막두께 41.8㎛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8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막 두께 40.1㎛인 TAC 필름, 편광자로 막두께 20.2㎛인 PVA 필름 및 막두께 41.6㎛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 9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막 두께 40.1㎛인 TAC 필름, 편광자로 막두께 20.1㎛인 PVA 필름 및 막두께 41.6㎛ 인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5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편광판을 제조 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제조된 편광판에 대해서 액정 코팅 면에 점착제를 코팅한 후, 0.5mm 두께의 Mirror Glass 기판위에 Lamination 한다. 이 상태에서 23℃, 55%RH 환경하에서 EZ-contrast 3차원 측정기(Eldim사, 프랑스) 광학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면 방위각 시야 위치에서 반사율을 측정 하였다.
상기 Mirror Glass에 Lamination된 편광판에 대하여, 고온고습 챔버를 이용하여 신뢰성 환경 60℃, 90%RH의 조건에서 500 시간 방치한 후, 다시 고온고습 챔버에서 꺼내서 23℃, 55%RH의 환경하에서 동일 장비를 이용 반사율을 측정 하여, 신뢰성 환경 처리 전후의 반사율 변화를 관찰 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편광판 보호 필름 PVA 필름 액정 코팅 필름 신뢰성 전/후 반사율(%)
종류 막두께(um) 종류 막두께(um) 종류 막두께(um) 처리전 처리후 변동량
실시예 15 TAC-1 40 PF-1 20 L-RF1 21.4 6.5 8.2 1.7
실시예 16 TAC-1 40 PF-1 20.1 L-RF2 31.6 6.9 8.8 1.9
실시예 17 TAC-1 40.1 PF-1 20 L-RF3 41.6 7.1 9.6 2.5
실시예 18 TAC-1 40.1 PF-1 20.2 L-RF4 21.6 6.8 8.7 1.9
실시예 19 TAC-1 40.1 PF-1 20.1 L-RF5 31.7 7.5 9.1 1.6
실시예 20 TAC-1 40 PF-1 20.1 L-RF6 41.6 7.1 9.2 2.1
실시예 21 TAC-1 40.1 PF-1 20.1 L-RF7 26.5 6.7 8.9 2.2
비교예 7 TAC-1 40 PF-1 20.1 L-RF8 41.8 8.1 12.2 4.1
비교예 8 TAC-1 40.1 PF-1 20.2 L-RF9 41.6 9.8 13.4 3.6
비교예 9 TAC-1 40.1 PF-1 20.1 L-RF10 41.6 10.2 15.3 5.1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발명의 액정 코팅 위상차 보호 필름의 구성이고, 특히 액정 코팅 기재 필름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가소제를 포함하면, 고온고습 환경의 내습열 특성이 우수하여, 편광판의 신뢰성 처리 전/후 반사율의 신뢰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액정 코팅층; 액정 코팅 기재 필름; PVA 필름; 및 PVA 보호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코팅 기재 필름은 치환도가 2.70~2.95 범위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및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향족을 포함하는 비대칭형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
    [화학식 1]
    MA - [DO - DA]n - DB
    (여기서, MA : R1-COOH, DO : HO-R2-OH, DA : HOOC-R1-COOH, DB : HO-R3-OH 이며, R1은 탄소수 6개 이상의 아릴디카르복실산 잔기, R2는 탄소수 2~6개의 화합물로서 프로필렌글리콜, R3은 탄소수 2~12개의 화합물로서 아디프산 잔기 또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잔기 또는 아킬렌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코팅 기재 필름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비커스 경도가 양면에 대해서 20HV 이상이며, TD 방향에 대해서 45°±10° 또는 135°±10° 대각 방향으로 액정 배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배향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수학식 1]
    Figure pat00012

    (여기서, F는 시험 하중, d는 2개의 대각선 길이(d1과 d2)의 산술 평균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광학 필름은 고온고습 챔버를 이용하여 60℃, 90%RH 신뢰성 환경에서 500hr 동안 방치 전/후로 하여, θ=45° & Φ=45° 방향에서 반사율(RM)을 측정 했을 때, 변화율 △RM<±3.0% 이내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광학 필름은 23℃, 55%RH 조건하에서 측정한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되는 전체 유효 면위상차값 Reff_Total가 70내지 210nm 이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수학식 2]
    Reff_Total=Reff_CEF[=(nx1’- ny1’) × d1] + Reff_LC[=(nx3’- ny3’) × d3]
    (여기서, Reff_CEF의 nx1’과 ny1’, Reff_LC의 nx3’과 ny3’은 하기 도1에서와 같이 θ=45° & Φ=45° 위치에서 관찰 했을 때,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의 굴절률 nx1,ny1,nz1과 액정 코팅층의 nx3,ny3,nz3으로부터 각각 형성되는 유효면방향 굴절률 값이며, Reff_Total는 전체 유효 면위상차 값이다.)
KR1020150101960A 2015-07-17 2015-07-17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KR20170009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60A KR20170009633A (ko) 2015-07-17 2015-07-17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960A KR20170009633A (ko) 2015-07-17 2015-07-17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633A true KR20170009633A (ko) 2017-01-25

Family

ID=5799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960A KR20170009633A (ko) 2015-07-17 2015-07-17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6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9637A (ko) Oled용 편광 필름
KR101716124B1 (ko) 액정 코팅 광배향 위상차 필름용 기재 필름
KR20170009644A (ko) Oled용 액정 코팅 위상차 편광판 필름
KR101878776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1716119B1 (ko) 액정 위상차 필름용 광학 필름
KR20170009633A (ko) Oled용 편광판 광학 필름
KR20170009629A (ko) Oled용 액정 코팅 위상차 편광판 필름
KR101716120B1 (ko) 액정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101787482B1 (ko) 액정 위상차 기재 필름용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KR20180071440A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 장치
KR101787480B1 (ko) 액정 위상차 기재 필름용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
KR20170009634A (ko) 유기전계 발광 소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09630A (ko) 액정 코팅 위상차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디스플레이
KR20170009638A (ko) 유기전계 발광 소자 디스플레이
KR101716123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20170009632A (ko) 광배향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위상차 광학 필름
KR101716117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20170009628A (ko) 광배향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
KR101828365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KR20170009636A (ko) 광배향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액정 코팅 위상차 필름
KR20170009641A (ko) 액정 코팅 광배향 위상차 편광판
KR101716122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101716118B1 (ko) 광학 신뢰성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KR20170009643A (ko) 액정 코팅 광배향 위상차 필름
KR101716121B1 (ko)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