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509A - Portable mobile cradle - Google Patents
Portable mobile cra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9509A KR20170009509A KR1020150101697A KR20150101697A KR20170009509A KR 20170009509 A KR20170009509 A KR 20170009509A KR 1020150101697 A KR1020150101697 A KR 1020150101697A KR 20150101697 A KR20150101697 A KR 20150101697A KR 20170009509 A KR20170009509 A KR 201700095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base
- portable terminal
- rotary shaft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내장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older incorporated in a vehicle.
최근에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으로써 이를 위한 다양한 엑세서리 또한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는 차량 운전 중에 사용이 금지되고 있지만, 급한 용무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or a mobile phone have become widespread, and a variety of accessories have been proposed. Although such a portable terminal is prohibited from being used while driving the vehicle, it is a reality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for urgent business or the like.
차량 운전 중 휴대형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위험을 줄이고자 최근에 보급되는 차량에는 휴대형 단말기를 연결하여 차량의 스피커를 통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예를 들어, 핸즈프리 기능)이 내장되고 있으며, 무선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등의 장비가 보급되고 있기도 하다.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using a portable terminal while driving a vehicle, recently introduced vehicles have a built-in function (for example, a hands-free function) that enables a portable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vehicle through a speaker, Bluetooth and other devices are becoming popular.
이처럼 휴대형 단말기를 차량 운행 중에 직접 파지하거나 보지 않고서도 통화할 수 있게끔 하는 편리한 장치가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는 차량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또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A convenient device for allowing the user to talk without holding or watching the portable terminal while driving the vehicle has already been used. For this purpose, a portab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which is mounted on a vehicle and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is widely used.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는 예컨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고, 사용자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방식으로 다른 사람과 통화하거나,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고 있다.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st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vehicle instrument panel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stand to talk to another person in a hands-free manner or use it as navigation.
현재 판매 중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경우,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시 사용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상단 그립형 거치대. 집게형 거치대 및 접착식 거치대 등 다양한 종류의 그립방식이 사용되고 있다.In case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currently being sold, an upper grip type holder is provid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Various types of grips are used, such as a claw-type cradle and a cradle-type cradle.
그러나, 차량 내장형 거치대의 경우 법규 및 기타 제약 사항으로 인하여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기 어려운 상태이며, 이로 인해 장치의 사용성이 기존 판매 중인 용품에 비해 많이 뒤쳐지는 상황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built-in vehicle type cradle, it is difficult to apply various structures due to regulations and other constraints, and the usability of the device is much lower than that of existing products.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고, 링크 구조 적용을 통해 장치의 사용성을 증가시키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older that is embedded in a vehicle and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apparatus through application of a link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가 고정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링크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각각은,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radle including: a base portion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 link portion having a pair of link member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a rotation axis portion to which the pair of link members are fixed; And a link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unit to rotate the rotary shaft unit, wherein each of the pair of link members includes: a first link fixed to the rotary shaft unit; And 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on one sid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on the other side.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부; 상기 베이스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부;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베이스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 돌기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includes: a base;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surfac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ase side; A lower support formed on the bas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a guide rail portion to which the guide projection portion is slidably connected.
상기 제2 링크는 일측에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힌지부의 양단을 수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ink may include a first hinge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nd the first link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that accommodates both ends of the first hinge portion.
상기 제2 링크는 타측에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힌지부의 양단을 수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ink may include a second hinge portion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on the other side,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that accommodates both ends of the second hinge portion.
상기 제1 링크는 몸체 부분이 대각선으로 파여진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link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diagonally waved.
상기 회전축부는 외주에 상기 링크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The rotary shaft portion may include a rotary shaft gear connected to the link driving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상기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구비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cradle may be installed in a vehicle, and the rotary shaft may have a fixed shaft fixed to the vehicle.
상기 링크 구동부는, 웜기어가 구비된 모터; 상기 웜기어에 연결되는 웜휠; 상기 웜휠에 연결되는 스퍼기어; 및 상기 스퍼기어와 상기 링크부의 회전축 기어에 연결되는 출력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having a worm gear; A worm wheel connected to the worm gear; A spur gear connected to the worm wheel; And an output gear connected to the spur gear and the rotary shaft gear of the link portion.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베이스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수용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bas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vehicle,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accommodating portion by the operation of the link portion.
상기 베이스에 상부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 하부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이탈 방지부와 상기 하부 이탈 방지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se includes an upper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the lower support portion includes a lower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and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and the lower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can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from depart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차량에 내장되고, 링크 구조 적용을 통해 장치의 사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link structure, which is built in the vehicle.
또한, 이중 구조의 링크부재 및 회전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부를 통해, 수직 방향 움직임의 개선이 가능하고, 작동성 및 동력 전달 효율이 증가하며, 공차관리(치수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link member in which the double structure link member and the rotating shaft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improved, the operability and th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are increased, and the tolerance management (dimension management) can be facilitated.
또한, 링크부 및 링크 구동부의 연결 구조 적용을 통해 작동부품 공차관리가 용이하고, 작동성이 향상되며, 부품수가 절감될 수 있다.Further,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link structure of the link portion and the link driving portion, the operating tolerance of the operating parts is easily managed, the operability is improved, and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또한, 휴대형 단말기의 하단 지지 구조를 통해 기존 상단 그립 구조 대비 거치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lso, the ease of use of the cradle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upper grip structure through the bottom support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이와 더불어, 링크부 및 링크 구동부 조립에 필요한 공수가 줄어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flow required for assembling the link portion and the link driving por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링크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동작 설명을 위한 설명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link portion of a portab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베이스부(100), 링크부(200) 및 링크 구동부(300)를 포함하며, 링크 구동부(300)에 의해 링크부(200)가 동작하면, 링크부(200)에 연결된 베이스부(100)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에서 외부로 상승(배출)되며, 상승된 베이스부(100)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는 장치이다.1 to 4, a
베이스부(100)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대로서, 베이스(110), 돌출부(120), 가이드 돌기부(130), 가이드 레일부(140) 및 하부 지지부(150) 를 포함할 수 있다.The
베이스(110)는 상하 방향으로 긴 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10)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될 시, 상부가 휴대형 단말기의 일측면과 맞닿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 상부에는 휴대형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 이탈 방지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베이스(110)는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베이스 수용부(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지 않는 평소에 상부가 외부에 위치하지 않도록, 베이스 수용부(20)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The
돌출부(120)는 베이스(110) 일면과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베이스부(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베이스(110) 일면 좌우측(도 2 기준)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링크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돌출부(120)는, 동일 형상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이중 구조이며, 링크부(200)에 형성된 힌지부 양단을 수용 가능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20)의 구멍과 링크부(200)의 힌지부는 지름이 거의 일치하며, 링크부(200)의 힌지부는 회전 가능하도록 돌출부(120)의 구멍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가이드 돌기부(130)는 베이스(110)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130)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130)는 베이스(11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130)는 가이드 레일부(140)에 슬라이드 연결되어, 링크부(200)의 동작시 베이스(110)를 수직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The
가이드 돌기부(130)는 제1 돌기(131), 제2 돌기(132) 및 제3 돌기(1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많은 돌기 또는 더욱 적은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가이드 레일부(140)는 상하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140)는 베이스(110)의 일측에 하나 배치되거나, 베이스(110)의 양측에 두 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140)는 베이스(110)의 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복수의 레일홈(141, 14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부(140)의 레일홈(141, 142)에 상기한 바 있는 가이드 돌기부(130)가 슬라이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부(200) 동작시, 가이드 돌기부(130)가 가이드 레일부(140)의 레일홈(141, 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베이스(110)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베이스 수용부(20)의 내외부를 수직하게 왕복 이동 가능하다.The
하부 지지부(15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베이스(110) 타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50)는 베이스(11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50)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되고, 베이스(110)의 상부가 휴대형 단말기의 일측면과 맞닿게 될 경우, 휴대형 단말기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지지부(150)에는 휴대형 단말기가 거치될 시, 휴대형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이탈 방지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The
링크부(200)는 베이스부(100)와 링크 구동부(300)에 연결되어, 링크 구동부(300)의 구동력을 통해 베이스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제1 링크(210), 제2 링크(220) 및 회전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링크(210)는 회전축부(230)에 일측이 고정 결합하고, 제2 링크(220)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회전축부(230)의 외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210)는 중앙 몸체 부분이 대각선으로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링크(210)의 타측은 동일 형상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한 형태로 형성된 이중 구조일 수 있다. 이중 구조인 제1 링크(210)의 타측에는 서로 동일한 축을 가지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제2 링크(220)는 제1 링크(210)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링크(210)의 대각선으로 파여진 몸체 부분에 몸체 측면이 맞닿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100)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의 공간 활용이 높아질 수 있다.The
제2 링크(220)는 일측 및 타측에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힌지부(221) 및 제2 힌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링크(220)의 제1 힌지부(221)는 제1 링크(210)의 타측에 형성된 구멍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제2 링크(220)의 제2 힌지부(222)는 베이스부(100)의 돌출부(12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 링크(210) 및 제2 링크(220)는 링크부재로 정의할 수 있고, 링크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링크부재는 회전축부(230) 외주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회전축부(230)는 회전하기에 용이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230)는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일 수 있다. 회전축부(230)는 상기한 한 쌍의 링크부재를 연결시킬 수 있다. 회전축부(230)는 외주 및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에 링크 구동부(300)와 연결되는 회전축 기어(23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 기어(231)는 회전축부(230) 외주 전체가 아닌 소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회전축부(230)는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축(232)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축(232)은 회전축부(230)의 내부 빈 공간에 삽입되어 회전축부(230)의 양측 외부에 돌출될 수 있다. 고정축(232)은 차량에 고정되어 회전축부(23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The
링크 구동부(300)는 링크부(200)를 구동하여 베이스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장치로서, 모터(310), 웜휠(320), 스퍼기어(330), 출력기어(340) 및 링크 구동 판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모터(31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하는 장치로서, 회전축 외주에 웜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The
웜휠(320)은 모터(310)의 웜기어와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웜휠(320)은 모터(310)의 웜기어와 연결되는 제1 기어(321), 스퍼기어(330)와 연결되는 제2 기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321)와 제2 기어(322)는 회전축 외주에 형성되어 동시에 회전 가능하다.The
스퍼기어(330)는 제2 기어(322) 및 출력기어(340)와 기어 연결될 수 있다. The
출력기어(340)는 스퍼기어(330) 및 링크부(200)의 회전축부(230)에 기어 연결될 수 있다.The
링크 구동 판부(350)는 상하로 긴 판 형상이며, 한 쌍의 링크부재 사이 및 베이스(110)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 구동 판부(350)는 모터(310)가 설치되고, 웜휠(320), 스퍼기어(330) 및 출력기어(340)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link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링크부재 및 회전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링크부재가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링크부 구조를 통해, 거치대의 수직 방향 움직임의 개선이 가능하고, 작동성 및 동력 전달 효율이 증가하며, 공차관리(치수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링크부 및 링크 구동부의 연결 구조 적용을 통해 작동부품 공차관리가 용이하고, 작동성이 향상되며, 부품수가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휴대형 단말기의 하단 지지 구조를 통해 기존 상단 그립 구조 대비 거치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10)는 링크부 및 링크 구동부 조립에 필요한 공수가 줄어들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기 거치가 필요한 경우,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310)의 회전축이 회전한다. 이때, 모터(310)의 회전축에 구비된 웜기어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어(320, 330, 340)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needs to hold the portable terminal, the rotation axis of the
그런 다음, 회전축 기어(231)를 통해 출력기어(340)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부(230)가 반시계 방향(도5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부(230)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링크(210)가 반시계 방향(도5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1 링크(210)에 힌지 결합된 제2 링크(220)가 시계 방향(도5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Then, the
그런 다음, 돌출부(120)를 통해 제2 링크(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부(100)가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베이스 수용부(20) 외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가이드 레일부(14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부(130)를 통해 안정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Then, the
여기서, 링크부(200) 구동에 의한 베이스부(100)의 최대 상승 길이는 대략 97mm일 수 있으며, 이때 제2 링크(220)의 최대 변경 각도는 대략 79도 일 수 있다.Here, the maximum rising length of the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기가 베이스부(100)에 거치되어, 베이스부(100)에 장착된 감지 센서가 휴대형 단말기의 거치를 감지하면, 제어 신호에 의해 링크 구동부(300)가 동작하고, 구동부(300)에 의해 링크부(200)가 동작하며, 링크부(200)에 의해 베이스부(100)의 하부 지지부(140)가 베이스 수용부(20)의 상단과 거의 수평한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Finally, when the user's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100: 베이스부
110: 베이스
120: 돌출부
130: 가이드 돌기부
140: 하부 지지부
150: 가이드 레일부
200: 링크부
210: 제1 링크
220: 제2 링크
230: 회전축부
300: 링크 구동부
310: 모터
320: 웜휠
330: 스퍼기어
340: 출력기어
350: 링크 구동 판부10: Portable terminal holder
100: Base portion
110: Base
120: protrusion
130: Guide protrusion
140:
150: guide rail part
200: Link part
210: first link
220: second link
230:
300:
310: motor
320: Worm wheel
330: Spur gear
340: Output gear
350: Link drive plate
Claims (10)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가 고정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링크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링크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 각각은,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링크;
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A base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 link portion having a pair of link member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and a rotation axis portion to which the pair of link members are fixed; And
A link driver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to rotate the rotary shaft;
/ RTI >
Wherein each of the pair of link members includes:
A first link fixed to the rotating shaft portion; And
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on one sid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on the other side;
The portable terminal cradle comprising: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부;
상기 베이스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부;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거치시, 상기 베이스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및
상기 가이드 돌기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unit includes:
Base;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surfac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ase side;
A lower support formed on the bas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And a guide rail portion 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slidably connected.
상기 제2 링크는 일측에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힌지부의 양단을 수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link has a first hinge part extending in one direction at both sides,
Wherein the first link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that accommodates both ends of the first hinge portion.
상기 제2 링크는 타측에 양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힌지부의 양단을 수용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link has a second hinge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that accommodates both ends of the second hinge portion.
상기 제1 링크는 몸체 부분이 대각선으로 파여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ink has a shape in which a body portion is diagonally waved.
상기 회전축부는 외주에 상기 링크 구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ry shaft portion includes a rotary shaft gear connected to the link driving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상기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cradle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the rotary shaft portion includes a fixed shaft fixed to the vehicle.
상기 링크 구동부는,
웜기어가 구비된 모터;
상기 웜기어에 연결되는 웜휠;
상기 웜휠에 연결되는 스퍼기어; 및
상기 스퍼기어와 상기 링크부의 회전축 기어에 연결되는 출력기어;
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3,
The link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provided with a worm gear;
A worm wheel connected to the worm gear;
A spur gear connected to the worm wheel; And
An output gear connected to the spur gear and the rotary shaft of the link;
The portable terminal cradle comprising: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베이스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링크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 수용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e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bas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vehicle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se accommodating portion by the operation of the link portion.
상기 베이스에 상부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에 하부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이탈 방지부와 상기 하부 이탈 방지부는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3. The method of claim 2,
An upper release preven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base, a lower release preven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Wherein the upper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and the lower detachment prevention portion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697A KR102319433B1 (en) | 2015-07-17 | 2015-07-17 | Portable mobile cra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1697A KR102319433B1 (en) | 2015-07-17 | 2015-07-17 | Portable mobile crad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9509A true KR20170009509A (en) | 2017-01-25 |
KR102319433B1 KR102319433B1 (en) | 2021-10-29 |
Family
ID=5799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1697A KR102319433B1 (en) | 2015-07-17 | 2015-07-17 | Portable mobile cra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943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4180B1 (en) * | 2022-03-02 | 2023-06-16 | 고무생 | hol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4258A (en) * | 2009-09-01 | 2011-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eposit unit for cell phon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
KR20120029113A (en) * | 2010-09-16 | 2012-03-26 | 정제을 | Storage type automobile cradle |
KR20140033823A (en) * | 2012-09-10 | 2014-03-19 | 허재원 | Sub-step for vehicles |
-
2015
- 2015-07-17 KR KR1020150101697A patent/KR1023194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4258A (en) * | 2009-09-01 | 2011-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eposit unit for cell phon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
KR20120029113A (en) * | 2010-09-16 | 2012-03-26 | 정제을 | Storage type automobile cradle |
KR20140033823A (en) * | 2012-09-10 | 2014-03-19 | 허재원 | Sub-step for vehicl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4180B1 (en) * | 2022-03-02 | 2023-06-16 | 고무생 | hol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19433B1 (en) | 2021-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18466B2 (en) |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 |
US20170067595A1 (en) | Device for supporting portable terminal | |
US20150207286A1 (en) | Phone mount | |
US20170192342A1 (en) | Camera apparatus | |
KR20140069684A (en) | A mobile phone mount for vehicles | |
KR101572101B1 (en) | Smartphone cradle for handle of vehicle | |
US20080253008A1 (en) | Foldable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 | |
KR101403413B1 (en) | A variable holder for vehicles Monitor bracket | |
KR20170009509A (en) | Portable mobile cradle | |
US20180186013A1 (en) | Robot head rotating structure | |
CN102035915B (en) | Radio telephone base | |
KR102342238B1 (en) |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based on state of terminal | |
WO2021052265A1 (en) | Clamping device and vehicle-mounted support | |
CN106584503B (en) | Head and shoulder rotation multiplexing structure of robot | |
JP2011109407A (en) |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384652B1 (en) | Holder for vehicles | |
KR20080000283U (en) | Apparatus for mounting a multimedia device in vehicle | |
KR100922169B1 (en) | Machine support for car the inside portable | |
JP2010064552A (en) | Stand device | |
KR20110057324A (en) | Usb module | |
KR20120029113A (en) | Storage type automobile cradle | |
WO2019233080A1 (en) | Charging stand | |
CN108574889B (en) | Sound equipment maintenance method | |
CN215552929U (en) | Vehicle-mounted terminal for intelligent monitoring platform | |
KR20120004135U (en) | Terminal holder apparatus for c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