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969A -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969A
KR20170008969A KR1020150100196A KR20150100196A KR20170008969A KR 20170008969 A KR20170008969 A KR 20170008969A KR 1020150100196 A KR1020150100196 A KR 1020150100196A KR 20150100196 A KR20150100196 A KR 20150100196A KR 20170008969 A KR20170008969 A KR 20170008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hasia
treatment
type information
patient
aphasia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성범
황유미
박기남
임성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15010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969A/ko
Publication of KR2017000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F19/3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최적화된 맞춤형 실어증 치료 문제를 제공할 수 있는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 {Th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phasia and the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aphasia}
본 발명은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최적화된 치료 문제를 원격으로 환자 단말장치에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재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어증은 신경말·언어장애의 한 분류로서, 뇌졸중, 외상, 종양, 그 외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후천적 언어 이해 장애 및 언어 표현 장애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러한 실어증은 언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읽기, 쓰기, 셈하기 등의 여러 가지 의사소통양식에 장애를 주기 때문에, 실어증 증상과 정도에 맞는 적절한 치료 방법은 매우 중요하다.
도면 1도는 기존의 실어증 치료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존의 실어증 치료 방법은 병원 등에 구비되는 일정한 치료실에서 의사 등의 치료사(10)가 환자(20)와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실어증 치료 훈련을 진행하였다. 즉, 치료사(10)가 그림, 도형 또는 단어가 기입되어 있는 실어증 훈련 카드(30)을 환자(20)에게 제시하고, 환자(20)의 반응을 측정하므써 환자의 훈련 정도와 훈련의 난이도 등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실어증 치료 방법은 환자(20)가 일일이 병원 등을 방문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고, 치료사(10)도 한번에 한 환자(20)의 실어증 재활 치료를 보조할 수 없어서 시간 및 공간적 면에서 제약이 많았다.
도면 2도는 기존의 실어증 치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의 실어증 치료 방법은 도면 1의 치료 방법과는 달리 컴퓨터(40)의 화면을 이용하여 제시되는 실어증 치료 문제를 환자(20)가 풀고, 그 옆에서 치료사(10)는 환자(20)의 문제 풀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훈련 방식은 오프라인 교재를 이용한 치료 방법 보다는 치료사(10)의 부담이 경감되기는 하지만, 여전히 환자(20)와 치료사(10)가 직접 대면하는 방식으로 재활 훈련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훈련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기존의 실어증 치료 방법은 환자(20)의 실어증 유형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언어재활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환자(20)의 훈련 효과가 경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최적화된 맞춤형 훈련 치료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실어증 환자의 재활 훈련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어증 치료 서버(server)에 환자 단말장치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실어증 치료 문제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아이디(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set)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전 실어증인 경우 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혼합연결피질 실어증인 경우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브로카(broca) 실어증인 경우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연결피질운동 실어증인 경우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베르니케(wernicke) 실어증인 경우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연결피질감각 실어증인 경우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전도 실어증인 경우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따라 말하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명칭 실어증인 경우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아이디 및 실어증 치료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module);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실어증 치료 문제를 전송하는 출력 모듈; 실어증 치료 문제를 저장하는 문제 데이터베이스(database);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출력 모듈, 상기 입력 모듈,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환자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데이터 교환과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전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및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따라 말하기 문제로 구성되며, 상기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답안이 음성 답안인 경우, 음성 답안의 의미를 추출하여 정답 여부를 평가하는 음성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따른 맞춤형 훈련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실어증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따라 부족한 부분에 대한 치료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언어 장애 환자의 조기 일상 복귀를 도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환자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언제 어디서나 실어증 치료 문제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훈련의 편이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 1도는 기존의 실어증 치료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2도는 기존의 실어증 치료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의 사용 환경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에서 제공되는 실어증 치료 문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의 문제 데이터베이스의 내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의 순서도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 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의 사용 환경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어증 치료 장치(1000)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환자(20)들의 상태 또는 실어증 유형을 판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실어증 치료 문제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00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의 주위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실어증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들은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고,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하는 단말장치들은 그 사용자에 따라 다음의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다.
먼저, 단말장치들 중의 일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할과 권한을 가지는 마스터 (100)일 수 있다. 이러한 마스터 (100)는 환자(20)의 실어증 유무 또는 실어증 유형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최종 책임을 가지는 의사가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단말장치들 중 다른 일부는 치료사 (200)일 수 있다. 치료사 (200)는 마스터 (100)와 같이 환자(20)의 분류, 관리 또는 배분하거나, 실어증 유형 판단 문제의 갱신 등의 포괄적 역할을 지니는 단말장치는 아니지만, 배분받은 환자(20)의 실어증 여부 또는 실어증 치료 결과를 수신하여 환자(20)에게 적절한 훈련을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치료사(10)들을 지원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 3도에서 나머지들은 환자(20)이 실어증 여부 또는 실어증 유형을 검사받을 때 사용되는 일 수 있다.
즉, 어떠한 환자(20)는 가정 등에 구비되는 개인용 컴퓨터(3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하여 실어증 여부 또는 실어증 치료을 받을 수 있고, 또 다른 사용자는 태블릿 컴퓨터(400)을 이용하여 실어증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실어증 검사를 받고자 하는 환자(20)는 최근 널리 보급된 스마트 폰(500)을 이용하여 실어증 치료 장치(1000)에 접속하여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에 의하면, 장소나 시간의 구애 없이 실어증을 치료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에서 제공되는 실어증 치료 문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의 사용자는 도면 4도와 유사한 화면을 환자 단말장치를 통하여 제공받음으로써, 실어증 치료를 위한 훈련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4도의 실어증 치료의 훈련의 예는 그림 또는 사진을 환자에게 보여주고, 해당 그림 또는 사진의 명칭을 환자에게 대답하게 하는 이름 말하기 훈련 문제의 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는 이 밖에도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등 다양한 유형의 실어증 치료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은 환자의 개인용 컴퓨터(300), 태블릿 컴퓨터(400) 또는 스마트 폰(500) 등 실어증 치료 장치(1000)에 접속되는 기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의 사용자는 편리한 방법으로 실어증 치료 훈련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환자(20)를 관리하는 치료사(10)들도 언제 어디서나 환자(20)의 훈련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는 입력 모듈(1200), 출력 모듈(1300), 제어 모듈(1100), 음성 평가 모듈(1500),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 환자 데이터베이스(1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어증 치료 장치(1000)의 입력 모듈(1200)은 환자 단말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접속 아이디,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 또는 실어증 치료 문제 셋에 대한 풀이 답안을 수신하는 모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실어증 치료 문제에 대한 답안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모듈(1300)은 환자의 개인용 컴퓨터(300), 태블릿 컴퓨터(400) 또는 스마트 폰(500) 등의 환자 단말장치로 실어증 치료 문제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의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는 환자 단말장치를 통하여 실어증 치료 장치(1000)로 접속하는 환자의 실어증 치료를 위한 문제들을 저장하는 장소로서, 환자의 실어증 치료 유형에 최적화된 각종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포함하고 있는 저장공간이다. 즉,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에는 이름 대기 문제,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이 조합되어 해당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최적화된 문제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의 환자 데이터베이스(1600)는 환자(20)의 아이디, 실어증 유형, 훈련 진행 상태 등의 환자(20)와 관련된 각종 기록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성 평가 모듈(1500)은 환자(20)의 단말장치로부터 입력 모듈(1200)을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1100)은 입력 모듈(1200), 출력 모듈(1300),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 환자 데이터베이스(1600), 음성 평가 모듈(1500)의 작동과정을 총괄적으로 지휘하고, 해당 모듈과 데이터베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의 문제 데이터베이스의 내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의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는 실어증 환자의 실어증유형에 맞게, 전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10),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20),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30),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40),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50),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60),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70),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는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따라 가장 최적화된 실어증 치료 문제를 환자 단말장치로 원격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재활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환자의 실어증 유형이 명칭 실어증인 경우, 이 유형의 환자는 듣고 이해하기나 따라 말하기도 비교적 유창한 편이나, 사물의 이름대기에 특히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는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80)에 저장되는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셋 내의 주요 문제를 이름 대기 문제들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명칭 실어증 환자는 이름 대기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공받음으로써, 자신의 취약 부분에 대한 집중적은 훈련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는 해당 환자의 실어증 유형을 파악하고, 해당 유형에 최적화된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실어증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의 문제 데이터베이스(1400)의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70)는 따라 말하기 문제들이 대부분의 문제로 구성되는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전도 실어증 유형의 환자가 따라 말하기에 극히 취약하기 때문에, 이 유형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구성하여 환자의 재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나머지 치료 문제 저장부도 앞서 살펴본 바와 유사하게 각각의 실어증 유형의 환자가 가장 취약한 부분의 치료 문제들로 중점적으로 구성된 치료 문제 셋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60)는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가 주로 포함되는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저장하며,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50)는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대다수의 문제 유형으로 파함하는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저장한다. 그리고,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40)의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의 유형으로 구성되며,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30)의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의 유형을 주 유형의 문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20)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된 치료 문제 셋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전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1410)는 전 실어증이 가장 심각한 유형의 실어증인 점을 감안하여, 모든 유형의 문제들이 골고루 포함된 문제 셋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는 이렇게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맞는 치료 재활 문제들을 환자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실어증 환자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의 순서도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은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7-1)
그리고, 그 다음으로 해당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 정보가 전 실어증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7-2) 이 과정에서, 환자(20)의 실어증 유형이 전 실어증으로 판별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는 환자 단말장치로 전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송신하게 된다.(S7-3)
만일,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접속된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이 전 실어증이 아닌 경우,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장치(1000)는 해당 환자(20)가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S7-4) 이 과정에서, 환자(20)가 혼합연결피질 실어증에 해당하면, 환자 로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송신될 수 있다.(S7-5)
환자 단말장치의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이 혼합연결피질 실어증이 아니면,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는 실어증 유형이 브로카 실어증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7-6)
이 과정에서 환자가 브로카 실어증에 해당하는 경우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게 되나(S7-8), 브로카 실어증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으로 환자의 실어증 유형이 연결피질운동 실어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7-9)
이 과정에서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이 연결피질운동 실어증인 경우에는 해당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환자 로 송신되나(S7-10),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유형에 해당되지 않으면,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는 환자의 유형이 베르니케 실어증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7-11)
여기서 베르니케 실어증에 해당하면 해당 치료 문제 셋을 환자 단말장치로 송신하고(S7-12),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다른 실어증 유형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유형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7-13)
환자 단말장치의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 정보가 연결피질감각 실어증인 경우, 해당 유형에 최적화된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환자 단말장치로 송신되나(S7-14), 이 과정에서 역시 해당 실어증 유형에 속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는 환자의 유형이 전도 실어증에 속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S7-15), 이에 해당시 해당 유형에 최적화된 치료 문제 셋을 전송한다.(S7-16)
만일, 환자의 실어증 유형이 전도 실어증에도 해당되지 않는 경우,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는 환자의 유형이 명칭 실어증인지 여부를 파악하고(S7-17), 이에 해당하는 경우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7-18)
이렇듯,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는 환자의 실어증 유형에 최적화된 재활 치료 문제를 집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재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치료사
20 : 환자
30 : 검사 카드
40 : 컴퓨터
100 : 마스터
200 : 치료사
300 : 환자의 개인용 컴퓨터
400 : 태블릿 컴퓨터
500 : 스마트 폰
1000 : 실어증 치료 장치
1100 : 제어 모듈
1200 : 입력 모듈
1300 : 출력 모듈
1400 : 문제 데이터베이스
1410 : 전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1420 :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1430 :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1440 :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1450 :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1460 :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1470 :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1480 :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1500 : 음성 평가 모듈
1600 : 환자 데이터베이스
2000 : 데이터베이스

Claims (21)

  1. 실어증 치료 서버(server)에 환자 단말장치가 접속되는 단계;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실어증 치료 문제 전송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아이디(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접속 아이디의 실어증 유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set)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전 실어증인 경우 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혼합연결피질 실어증인 경우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브로카(broca) 실어증인 경우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연결피질운동 실어증인 경우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스스로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베르니케(wernicke) 실어증인 경우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연결피질감각 실어증인 경우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전도 실어증인 경우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따라 말하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어증 치료 서버가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에 따른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을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어증 유형 정보가 명칭 실어증인 경우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셋은 이름 대기 문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방법.
  18. 환자 단말장치로부터 접속 아이디 및 실어증 치료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module);
    상기 환자 단말장치로 실어증 치료 문제를 전송하는 출력 모듈;
    실어증 치료 문제를 저장하는 문제 데이터베이스(database);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출력 모듈, 상기 입력 모듈,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환자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데이터 교환과 처리를 담당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전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 및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연결피질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브로카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피질운동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스스로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베르니케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듣고 이해하기 문제, 따라 말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피질감각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듣고 이해하기 문제 및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고,
    상기 전도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따라 말하기 문제로 구성되며,
    상기 명칭 실어증 치료 문제 저장부는 이름 대기 문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하여 입력되는 답안이 음성 답안인 경우, 음성 답안의 의미를 추출하여 정답 여부를 평가하는 음성 평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어증 치료 장치.

KR1020150100196A 2015-07-15 2015-07-15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 KR20170008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96A KR20170008969A (ko) 2015-07-15 2015-07-15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96A KR20170008969A (ko) 2015-07-15 2015-07-15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969A true KR20170008969A (ko) 2017-01-25

Family

ID=5799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196A KR20170008969A (ko) 2015-07-15 2015-07-15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89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68A (ko) 2018-10-30 2020-05-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로디를 이용한 실어증 환자의 치료 방법 및 치료 기기
CN111833678A (zh) * 2020-06-03 2020-10-27 四川大学华西医院 问诊教学方法、装置及设备
KR20220132963A (ko) 2021-03-24 2022-10-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표현 게임을 이용한 실어증 환자의 치료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68A (ko) 2018-10-30 2020-05-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로디를 이용한 실어증 환자의 치료 방법 및 치료 기기
CN111833678A (zh) * 2020-06-03 2020-10-27 四川大学华西医院 问诊教学方法、装置及设备
KR20220132963A (ko) 2021-03-24 2022-10-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표현 게임을 이용한 실어증 환자의 치료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ng et al. The future of health tourism in the industrial revolution 4.0 era
Ben-Pazi et al. The promise of telemedicine for movement disorder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Chamoso et al. A device supporting the self management of tinnitus
Dorsey et al. A new day: the role of telemedicine in reshaping care for persons with movement disorders
US10116458B2 (en) Family communications in a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Yorkston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municative participa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KR20170008969A (ko) 실어증 치료 방법 및 실어증 치료 장치
CN116762125A (zh) 环境协作智能系统和方法
Meyer et al. Promoting patient-centered hearing care through the use of e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US11322139B2 (en) Presentation of indications with respect to questions of a communication session
Henshaw et al. Cogmed training does not generalize to real-world benefits for adult hearing aid users: Results of a blinded, active-controlled randomized trial
Cerda et al. Telehealth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in Chronic Pain Management: A Narrative Review
KR20200051319A (ko)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의료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0023482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disorders
Maidment et al. Argumentum ad ignorantiam: smartphone-connected listening devices
US20220254514A1 (en) Medical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
Ellison et al. Statewide initiative of intensive psychiatric rehabilitation: Outcomes and relationship to other mental health service use.
Beijer et al. Asynchronous telemedicine applications in rehabilitation of acquired speech-language disorders in neurologic patients
Duffy Motor speech disorders: where will we be in 10 years?
Lin et al. A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obile gynaecological cancer support program for patients with gynaecological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Study protocol
Boothroyd Aural rehabilitation as comprehensive hearing health care
Kawi et al.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Virtually Delivered Auricular Point Acupressure in Self‐Managing Chronic Pain: Qualitative Study
Krumm Teleaudiology model considerations
Nikolaev et al. A Review of International Experience for Telerehabilitation of Post-stroke Patients with Aphasia and Cognitive Problems
Sweetow Aural rehabilitation builds up patients’ communication sk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