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458A -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458A
KR20170008458A KR1020150099662A KR20150099662A KR20170008458A KR 20170008458 A KR20170008458 A KR 20170008458A KR 1020150099662 A KR1020150099662 A KR 1020150099662A KR 20150099662 A KR20150099662 A KR 20150099662A KR 20170008458 A KR20170008458 A KR 20170008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frame
refrigerator door
refrigerat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586B1 (ko
Inventor
이명하
김나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586B1/ko
Priority to KR1020160001137A priority patent/KR102562149B1/ko
Priority to TW105122344A priority patent/TWI637135B/zh
Priority to US15/500,936 priority patent/US11029075B2/en
Priority to EP16805957.4A priority patent/EP3159636B1/en
Priority to AU2016294298A priority patent/AU2016294298B2/en
Priority to CN201680001974.9A priority patent/CN107076504B/zh
Priority to EP23188314.1A priority patent/EP4265155A3/en
Priority to PCT/KR2016/007682 priority patent/WO2017010828A1/ko
Publication of KR2017000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586B1/ko
Priority to AU2020200727A priority patent/AU2020200727B2/en
Priority to AU2022203939A priority patent/AU202220393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turbines, e.g.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 단열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재를 수용하는 단열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투명창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투명창 지지부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A Doo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내부를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볼 수 있는 투명창부를 가지는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영역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저장품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냉장고는 저장영역 예를 들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포함하며,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냉장고의 종류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정용 냉장고와, 식당, 편의점 등에서 사용되는 상업용 냉장고로도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넷 내부에 구비되며, 각각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업용 냉장고 특히 편의점 등에서 사용되는 쇼 케이스용 냉장고는 도어 전체가 유리로 구성되어,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고의 내부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정용 냉장고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는 불투명하게 구성되어, 냉동실 도어 및 냉장실 도어를 열어야만 냉장고 내부를 볼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고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여, 냉장고의 도어 개폐를 줄여,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가정용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에서는, 도어는 냉장고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부를 지지하는 투명창부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도어의 투명창부는 통상 유리로 구성되고, 유리의 단열성능의 한계로 인하여 유리에 이슬맺힘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 예들 들어, 한국특허공개 10-2013-0113273가 제안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 10-2013-0113273는 상업용 쇼케이스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는 투명창부(유리창)과, 상기 유리창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유리창을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유리창은 실질적으로 냉장고 본체와 같은 크기이며 따라서 유리창이 실질적으로 도어 전체를 구성하며, 프레임은 유리창을 냉장고의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체의 역할을 할 뿐이며, 상기 프레임은 단열기능은 없다. 한국특허공개 10-2013-0113273에서는, 실질적으로 도어인 유리창은 단열 성능이 좋지 못하며, 따라서 유리창의 내외부 온/습도 차이를 없애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열선을 사용하여 유리창 전체를 가열한다. 다만, 열선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유리창의 테두리부분(프레임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열선이 유리창 전체를 가열하므로 소비전력이 과다하게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의 도어의 투명창부의 이슬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의 다른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중국특허공개 CN 104061740A(냉장고)에 의하면, 도어는 3중 유리, 상기 3중 유리를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부 및 상기 유리를 가열하기 한 가열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CN 104061740A에서는 3중 유리중 중간 유리 전체에 전기 가열막(산화인듐주석 전도막)을 구비하고, 전기가열막을 가열하여 결과적으로 중간유리 전체를 가열하여 이슬맺힘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도 역시 유리창 전체를 가열하므로 과도한 전기에너지가 소모되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투명창부의 단열 성능의 한계에 촛점을 맞추어, 투명창부(유리창)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을 취하며, 가열방식은 가열선 또는 가열막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유리창 전체를 가열하므로 과도한 전기에너지 소모되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투명창부의 이슬 맺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 단열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재를 수용하는 단열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투명창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투명창 지지부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투명창 지지부는, 상기 투명창부에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단부를 가지는 제1프레임과; 상기 투명창부에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와 연결되는 제2단부를 가지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의한 단열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제1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제1단부의 사이의 개구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창부의 전방유리는 다른 유리보다 크기가 크도록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용 도어는,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제1단부에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위치하는 열전달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창 지지부의 단부는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열부는 상기 단열재와 상기 투명창부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투명창 지지부의 단부의 내측 및 외측 중의 최소한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투명창 지지부의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이웃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접하는 상기 투명창부의 전방유리의 부분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투명창부의 확장부의 내측 및 외측의 최소한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열전달부의 내측 및 외측의 최소한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열전달부와 상기 투명창부의 테두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창부의 전방유리는 빛 투과율이 조절 가능한 변색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색유리는 상기 도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변색유리는 상기 발열부가 상기 변색유리의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불투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열부는 알루미늄 테이프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의 제1단부는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의 재질은 단열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프레임의 재질은 AB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은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유리의 사이에는 아르곤 가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는,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재를 수용하는 단열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투명창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투명창 지지부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부와 연결되는 제1단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투명창부와 연결되는 제1단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와 연결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부의 연결부에 이웃하여 위치하며,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부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정의하는 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투명창부의 전방유리는 다른 유리보다 크기가 크도록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전방유리의 확장부의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장고용 도어는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는 다른 열전달부를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투명창부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전방유리의 확장부의 내측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의 제1단부는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은 단열성능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프레임은 ABS 재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제2단의 내측에서 서로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상기 스페이서를 덮도록 상기 투명창부와 연결되는 제1단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단열성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투명창부와 연결되는 제1단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와 연결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정의하는 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제2단의 내측에서 서로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프레임은 열전달성능이 우수한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장고용 도어는, 상기 제2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부의 연결부에 이웃하여 위치하며,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은 단열성능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프레임은 ABS 재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창부와 투명창부 지지부의 연결 부위에서 이슬 맺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창부 전체를 가열하지 않고, 투명창부와 투명창부 지지부의 연결 부위를 가열함으로써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투명창부 전체를 가열하는 것에 비하여, 소비전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투명창부 전체를 가열하는 것이 비하여 전기에너지를 대략 1/8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창부 전체를 가열하지 않고, 투명창부와 투명창부 지지부의 연결 부위를 가열함으로써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하므로, 발열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도어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창부와 투명창부 지지부의 연결 부위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도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서브도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투명창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서브도어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실용 도어가 메인도어 및 서브도어 2개로 구성되는 냉장고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장실의 도어가 한 개로 구성되는 냉장고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도어에 투명창부가 구비된 모든 냉장고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의 갯수, 설치 형태 등은 본 실시예의 주된 주제는 아니며, 따라서 이에 대하여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 한도 내에서 간략히 설명한다.
캐비넷(1)의 상부에는 냉장실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넷(1)의 상하부에는 각각 도어(3,5,9,1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는 2개의 도어(3,5,9,11)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 개의 도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용 우측 도어로서 메인도어(5) 및 서브도어(7)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냉장실용 우측도어로서 한 개의 도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실용 우측 도어는 캐비넷(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도어(5)와, 상기 메인도어(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도어(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도어(5)에는 바스켓과 같은 다른 보조 저장공간이 구비되어, 사용자는 메인도어(5)를 열지 않고, 서브도어(7) 만을 열어서 상기 보조 저장공간에 보관된 저장물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도어(7)는 냉장고의 외부에서 투시 가능한 투명창부(10)와, 상기 투명창부(10)를 지지하는 투명창 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명창부(10)를 가지는 냉장고용 도어 예들 들어 서브도어(7)도 당연히 소정 단열 성능을 가져야 한다. 서브도어(7)도 냉장고의 도어이며 따라서 상기 서브도어(7)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거나 냉장고 외부의 열이 냉장고의 내부로 전달되면 안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브도어(7)를 구성하는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0)도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 각각의 단열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또한, 투명창부(10)가 주로 유리로 구성되므로 투명창부(10) 자체의 단열 성능이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하여, 특히 투명창부(10)의 단열 성능의 향상에 주목하였다. 예들 들어, 종래 기술에서는, 투명창부(10) 자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열 복층유리를 사용하거나 단열유리의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는 투명창부(10)의 자체의 단열 성능의 한계를 고려하여, 투명창부(10)의 내외부 온/습도 차이를 줄여 이슬 맺힘을 방지하려고 투명창부(10)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0) 자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켜,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0) 자체의 이슬 맺힘 현상은 방지할 수 있었다. 즉,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용 조건에서는 소정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10)와 소정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 지지부(20)로 도어를 구성하면, 상기 투명창부(10) 및 상기 투명창 지지부(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 결과, 오히려 종래 기술에서 생각한 것과는 달리, 특히 장마철, 열대기후 등과 같은 악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단열 성능의 확보가 어렵다고 생각되는 투명창부(10)보다는 투명창부(10)과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2)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실험 결과, 냉장고 주위 온도 25도, 상대습도 80% 이상의 경우에는 투명창부(10)과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2)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투명창부(10)를 가지는 서브도어(7)는 크게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이질적인 2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투명창부(10)과 투명창 지지부(20)의 단열 성능의 차이로 기인하여, 악조건시에는 오히려 투명창부(10)과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2)가 단열 취약 부위가 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일반적 생각과는 달리, 악조건에서도 이슬맺히는 것을 방지하려면, 투명창부(10) 자체보다도 오히려 투명창부(10)과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2)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업용 냉장고 특히 쇼케이스용 냉장고의 경우에 어느 정도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여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지만, 가정용 냉장고의 경우에는 악조건에서도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고 따라서 이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창부(10) 자체보다도 투명창부(10)과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2)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창부(10)과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20)에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창부(10)와 이와 연결되는 투명창 지지체(20)의 연결 부위(2)에 발열부(30)를 설치하여 이슬 맺힘 현상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창부(10) 전체가 아니고 투명창부(10)와 이와 연결되는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부위(2)를 가열하는 발열부(3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 즉 투명창부(10) 전체를 가열하는 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에너지가 약 1/8로 감소가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도어의 설계의 자유도 향상, 도어의 미적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 종래 기술 즉 투명창부(10) 전체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대략 60W 이상의 전기에너지가 필요하지만, 본 실시예처럼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체(20)의 연결부위(2)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7W 내외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악조건에서도 이슬 맺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서브도어(7)는 투명창부를 가지는 도어의 일 예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서브도어(7)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외에는 서브도어(7)를 설명의 편의상 도어라 지칭한다.
투명창부(10)는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태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대략 사각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창 지지부(20)는 투명창부(10) 바람직하게는 투명창부(10)의 테두리를 지지하며,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30)는 투명창부(10)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20)가 연결되는 연결부(10a)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열부(30)는 투명창부(10)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20)가 연결되는 연결부(10a)의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투명창부(10)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부위를 가열할 수 있다면, 상기 발열부(30)는 상기 연결부(10a)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발열부의 상세한 설치 위치는 후술함.)
도어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명창부(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명창부(10)는 소정 단열성능을 얻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유리(12,14,16)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12,14,16)의 테두리 부분에는 유리(12,14,16)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18)가 구비되며, 상기 유리(12,14,16)들은 실런트(19)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유리(12,14)들은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유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2개 이상의 단열유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단열유리(12,14)는 복사에 의한 열손실을 차단하기 위하여, 저방사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방사 유리는 하드 저방사 유리(hard low-e glass) 및 소프트 저방사 유리(soft low-e glass)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저방사 성능을 보다 우수하게 하기 우하여 소프트 저방사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유리(12,14,16) 중에 전방에 위치한 전방유리(16)는, 서브도어(7)의 전방에 위치하여 도어(7)의 외관이 되므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유리(16)는 빛 투과율이 조절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이하 편의상 "변색유리"라 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방유리(16)는 냉장고 내부의 조명이 꺼졌을 때는 불투명 상태로 되어 외부에서 냉장고 내부가 보이지 않고, 냉장고 내부의 조명이 켜졌을 때는 투명 상태로 되어 외부에서 냉장고 내부가 보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색 기능을 가지는 전방유리(16)는 특정 유리도 한정되지 않으며, 칼라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TI 증착에 의한 불투명 코팅을 한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전방유리(16)도 단열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방유리(16)는 후방에 위치한 유리(12, 14)보다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전방유리(16)는 대략 도어의 크기와 같은 크기가 되도록 후방에 위치한 유리(12, 14)의 테두리에 상당하는 부분에서 도어의 상하좌우의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16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도어 전체가 유리로 보이므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방유리(16)와 후방에 위치한 유리(12, 14)의 크기가 같아도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방유리(16)가 확장부(16a)를 가지는 것을 일예로서 설명한다.
스페이서(18)는 알루미늄(Al), TPS(Thermal Protection Spacer, 단열간봉)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스페이서(18)가 설치되는 부분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열간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페이서(18)의 내부에는 흡습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열유리(12)와 단열유리(14)의 사이, 단열유리(14)와 전방유리(16)의 사이는 진공 상태로 되거나, 공기 또는 아르곤(Ar)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아르곤 가스가 공기보다 단열 성능이 우수하고 화학작용에 의한 변질 방지가 가능한 비활성 기체이므로, 공기보다는 아르곤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투명창 지지부(20)를 상세히 설명한다.
투명창 지지부(20)는 소정 단열 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예들 들어, 투명창 지지부(20)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투명창부(10)를 지지하기 위한 소정 강도를 가지고 도어를 지지하는 부분(200, 300)과, 실질적으로 단열 기능을 주로 하는 부분(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창 지지부(20)는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재(60)를 수용하는 단열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투명창부(10)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창 지지부(20)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도어의 조립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투명창 지지부(20)는 제1프레임(200)과 제2프레임(300, 400, 500, 60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200) 및 상기 제2프레임(300, 400, 500, 600)에 의하여, 단열재(60)가 수용되는 단열공간 및 투명창부(10)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200) 및 상기 제2프레임(300, 400, 500, 600) 선단 사이의 개구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명창 지지부(20)는 도어 내측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200)과, 상기 제1프레임(200)과 연결되어 소정 공간을 만드는 제2프레임(300, 400, 500, 600)으로 구성될 수 있다.(제2프레임은 도 3 참조) 제1프레임(200)은 도어 내측에 위치하며 도어 전체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프레임(300, 400, 500, 600)은 투명창부(10)의 상하좌우에 위치하며, 도어의 외형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300, 400, 500, 600)은 도어 조립 전에는 도어의 비틀림을 방지하며, 도어 조립 후에는 단열재(60)와 함께 도어에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프레임(200) 및 제2프레임(300, 400, 500, 600)에 의하여 단열재(60)를 수용하는 단열 공간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지만, 투명창부(10)의 테두리와 함께 단열재(60)가 수용되는 단열 공간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프레임(300, 400, 500, 600)은 투명창부(10)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부재(400) 및 제2부재(30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3부재(500) 및 제4부재(600)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은 도어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1부재, 제2부재, 제3부재 및 제4부재는 각각 우측데코(Deco), 좌측데코, 상부데코 및 하부데코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데코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제1프레임(200), 제2프레임 및 이들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프레임(200) 및 제2프레임의 상호 관계는 제1프레임(200)과 제2프레임 중에 투명창부(10)의 우측데코(400) 및 좌측데코(300)를 위주로 설명한다. 투명창부(10), 제1프레임(200) 및 제2프레임의 상부데코(500), 하부데코(600)의 상호 관계도 이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프레임(200)은 투명창부(10)와 연결되는 제1단부(220)와, 제2프레임(300, 400)과 연결되는 제2단부(230)와, 상기 제1단부(220) 및 상기 제2단부(230)를 연결하는 연결부(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10)는 냉장고의 캐비넷의 전면과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200)의 소정 부위(235)에는 가스켓(4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스켓(40)은 제1프레임(200)의 연결부(210)와 대략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프레임의 우측데코(400)는 제1프레임(200)과 연결되는 제2단부(420)와, 상기 제2단부(420)에서 연장되며 대략 투명창부(10)의 외측에 인접하는 제1단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단부(410)와 제2단부(420)는 대략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좌측데코(300)도 제1프레임(200)과 연결되는 제2단부(320)와, 상기 제2단부(320)에서 연장되며 투명창부(10)의 외측에 인접하는 제1단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측데코(300)의 제1단부(310)와 제2단부(320)도 대략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제1단부(310)와 제2단부(320) 사이에서 도어의 내측으로 만입되는 만입부(330)를 구비하여, 상기 만입부(330)가 도어의 핸들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프레임의 좌측데코(300) 및 우측데코(400)의 제1단부(410, 310)는 전방유리(16)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각 스페이서(18)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00) 및 제2프레임(300, 400, 500, 600)은 소정 공간을 정의하며, 더 나아가 제1프레임(200), 제2프레임(300, 400, 500, 600) 및 투명창부(10)의 테두리 부분은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공간에 단열재(60) 예들 들어 폴리우레탄폼(PU 폼)이 발포 충진되어, 투명창 지지부(20)가 소정 단열 성능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발열부(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용 조건에서는 소정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10)와 소정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 지지부(20)로 도어를 구성하면, 상기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종래의 생각과는 달리, 악조건에서는 투명창부(10) 보다 오히려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에서 이슬 맺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이슬 맺힘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에서의 이슬 맺힘도 악조건에서 주로 문제가 되므로,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 자체의 단열 성능을 강화하기보다는, 악조건시에 이 부분에서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에서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이유는,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0)의 단열 성능의 차이로 인하여, 상호 연결 부분이 단열 성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이 부분으로 냉장고의 냉기가 집중되어 이슬 맺힘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 중에서도 투명창부(10)의 스페이서(18) 부분이 특히 단열 성능이 취약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부(10a)에 이웃하여 즉 상기 연결부(10a)나 상기 연결부(10a)의 근처에 발열부(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발열부(30)는 단열재(6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사이(A)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부(30)를 도어(7)의 전면에 가깝도록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투명창부(10)의 전면 즉 도어의 전면 부위에서 주로 이슬 맺힘이 발생하므로, 도어(7)의 전면 부분을 가열할 수 있는 위치에 발열부(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예들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창부(10) 중 전면유리(16)의 후면에 발열부(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부(30)는 투명창 지지부(20)의 단부(220, 310)의 내측 및 외측 중의 최소한 한 곳(B)에 구비될 수 있다. 투명창 지지부(20)의 단부가 투명창부(10)와 주로 연결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투명창 지지부(20)의 테두리(B,A,E) 에 구비된다고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8)가 단열 취약 부위가 되므로, 발열부(30)는 스페이서(18)에 이웃하는 부분(C) 즉 상기 스페이서(18) 내부에 설치되거나 접촉되어 설치되거나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스페이서(18)의 내부에 발열부(30)를 설치하는 경우에, 스페이서(18)의 흡습제가 빠져나와 투명창부(10)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18)는 투명창부(1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스페이서(18) 또는 스페이서(18)의 내부 또는 접촉하여 발열부(3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장착 구조를 마련해야 하며, 별도의 배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 등을 고려하면, 발열부(30)는 투명창부(1)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열부(30)를 투명창부(1)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하면, 스페이서(18)에 가깝게 발열부(30)를 설치하면서도 설치 구조가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부(30)는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의 연결부(10a)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부(10a)와 조금 이격되어 있더라도 상기 연결부(10a)에 열을 전달하여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발열부(3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들 들어, 상기 발열부(30)는 상기 투명창부(10)의 전방유리(16)의 가장자리 즉 대략 확장부(16a)의 내측 또는 외측(D)의 최소한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발열부(30)는 제2프레임(300, 400)과 투명창부(10)의 연결 부위를 가열하면 되므로 소비전력이 적은 선발열 형태의 열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발열부(30)는 열선 형태로 구비되어 대략 투명창부(10)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발열부(30)는 열선이며 대략 투명창부(10)의 테두리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실험 결과, 종래의 기술에서 투명창부 전체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약 60W 이상의 소비전력이 필요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프레임과 투명창부의 연결부위를 가열하므로 7W 내외의 소비전력만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소비전력을 1/8 수준으로 낮출 수 있었다.
한편, 도어의 외측 즉 제2프레임의 제1단부(310)를 스페이서(18)를 감싸도록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부분은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므로 도어의 미감 상 좋지 못하다. 따라서, 투명창부(10) 중에 전방유리(16)는 도어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게 하여 투명창부(16)가 굴곡없는 평면이 되도록 사용자에게 보이고,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0)의 연결부에 이웃하여 발열부(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열부(30)가 도어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전방유리(16)의 확장부(16a)의 내면에는 불투명부(50)가 구비되고, 상기 불투명부(50)의 내측에 발열부(3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불투명부(50)는 전방유리(16)의 내측을 불투명하게 인쇄하는 것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발열부(30)는 알루미늄(Al)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30)가 알루미늄(Al) 테이프로 부착되면, 도어 제조시 발열부(30)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으며, 단열재(60) 발포시에 단열재(60)가 투명창부(10)로 밀려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열부(30)의 열이 알루미늄 테이프에 의하여 주변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에서, 이슬 맺힘이 방지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0)는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환경 조건에서는 서브도어(7)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냉장고의 주변 환경이 악조건이 되는 경우 예들 들어 장마철이나 열대 기후와 같은 조건에서는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도어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의하면, 투명창부(10) 및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부(10a)의 근처에 발열부(30)가 설치되고, 따라서 도어의 외부까지 전달되는 냉기는 발열부(30)에 의하여 가열된다. 따라서 전면유리(16)의 근처의 공기의 상대습도가 높더라도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의 연결 부위에서 이슬이 맺히지 않는다. 또한 발열부(30)의 열이 상대적으로 열전달 성능이 좋은 알루미늄 테이프 및 제2프레임(300, 400)을 통하여 전달되므로, 제2프레임(300, 400)에서도 이슬이 맺히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제2프레임은 열전달 성능이 좋은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열부(30)를 이용하여 도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창 지지부(200)의 구조를 변경하여 도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발열부(30)를 더욱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제1프레임(200)을 설명한다.
제1프레임(200)의 제1단부(220)는 투명창부(10)의 테두리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18)가 설치되는 부분을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페이서(18)는 상대적으로 단열성능이 떨어지므로, 제1프레임(200)의 제1단부(220)가 상기 스페이서(18)를 덮으면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스페이서(18)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프레임(200)의 제1단부(220)가 스페이서(18)를 덮는 공간에 단열재를 발포할 수 있으므로 단열성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200)의 제1단부(220)가 스페이서(18) 보다 내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투명창부(10)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투명창부(10)의 크기를 최대화하면서도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프레임(200)의 제1단부(220)는 실질적으로 스페이서(18)를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프레임(200)의 제2단부(230)는 우측데코(400)의 제2단부(420)의 내부에서 서로 겹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프레임(200)의 제2단부(230)와 좌측데코(300)의 제2단부(320)는 서로 겹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단열재(60)의 외부를 다시 단열성능이 있는 제1프레임(200)이 감싸기 때문에, 단열재(60)를 통과한 냉기를 제1프레임을 이용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다시 한 번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200)은 냉장고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냉장고의 냉기가 최초로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열전달계수가 비교적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형성도 고려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프레임(200)은 열가소성수지 바람직하게는 AB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에서는 제1프레임(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1프레임(1000의 구조뿐만 아니라 제2프레임(300, 400)의 구조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300, 400)의 바람직한 구조를 설명한다.
제2프레임(300, 400)은 도어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이슬 맺힘 방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프레임(300, 400)은 냉장고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부분이며, 따라서 냉장고 외부의 상온의 열을 흡수하여, 도어(7)의 전면까지 전달된 냉기와 열교환하게 하여 이슬 맺힘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프레임(300, 400)은, 냉장고 외부의 상온의 열을 흡수하여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0)의 연결 부위로 전달하여 이 곳까지 전달된 냉기와 열교환하게 하여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프레임(300, 400)은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도 열에너지를 쉽게 전달 발산하는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질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프레임(300, 400)은 제2프레임(300, 400)에 흡수된 상온의 열은 보다 용이하게 단열 취약부로 전달하기 위한 열전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제2프레임의 우측데코(400)에는 상기 우측데코(400)의 소정위치에서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0)의 연결부(10a)로 연장되는 열전달부(4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부(415)는 우측데코(400)의 제1단부(410)에서 스페이서(18)의 인접 부위까지 연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415)는 전방유리(16)의 확장부(16a)의 내측에 접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냉장고 외부의 실온의 공기로 부터 우측데코(400)로 전달된 열은, 열전달부(415)를 통하여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0)의 연결부(10a)로 전달되어 이 부분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한다.
유사하게, 좌측데코(300)에는 상기 좌측데코(300)의 소정위치에서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0)의 연결부(10a)로 연장되는 열전달부(3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달부(315)는 좌측데코(300)의 제1단부(310)에서 스페이서(18)의 인접 부위까지 연장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315)는 전방유리(16)의 확장부(16a)의 내측에 접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냉장고 외부의 실온의 공기로 부터 좌측데코(300)로 전달된 열은, 열전달부(315)를 통하여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0)의 연결부(10a)로 전달되어 이 부분에서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0)의 연결부(10a)에 이웃하여 발열부(30)를 더욱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부(30)에 열전달부(315, 415)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 300, 400, 500) 구조를 각각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 300, 400, 500) 구조를 모두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 300, 400, 500) 구조를 모두 변경하는 경우의 작용을 설명한다.
냉장고 내부의 냉기는 제1프레임(200) 및 단열재(60)에 의하여 냉장고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1차적으로 차단된다. 제1프레임(200)이 단열성능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 되어 있으면, 더욱 효과적으로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때, 제1프레임의 제2단부(230)가 제2프레임의 내측에 겹쳐있으므로, 단열재(60)를 통과한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다시 한번 차단할 수 있다.
냉장고 냉기 중의 일부는 제1프레임(200) 및 단열재(60)에 의하여 차단되지 못하고 도어(7)의 전면까지 전달될 수 있다. 그런데, 제2프레임(300, 400)은 열전달 성능이 좋은 금속재질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300, 400)은 냉장고 외부 공기의 열(상온)을 흡수하여 제2프레임(300, 400)의 내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300, 400)의 내측으로 전달된 열은, 제1프레임(100) 및 단열재(60)에 의해 차단되지 못하고 서브도어(7)의 전면으로 전달된 냉기를 가열하여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300, 400)에 구비된 열전달부(315, 415)에 의하여, 제2프레임(300, 400)에서 흡수한 상온의 열이 투명창부(10)와 투명창 지지부(200)의 연결부위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부(3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부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들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전달부(315a, 315b)는 단열재(6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열전달부(315a)는 단열재(60)를 관통하는 관통부(3151)와, 상기 관통부(3151)에서 연장되며 투명창부(10)의 테두리에 접하는 접촉부(3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접촉부(3153)는 투명창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열전달부(315b)는 단열재(60)를 관통하는 관통부(3155)와, 상기 관통부(3155)에서 연장되며 투명창부(10)의 테두리에 접하는 접촉부(315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접촉부(3157)는 전방유리(16)의 확장부(16a)의 내측을 따라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2프레임(300)의 제1단부(310)가 전방유리(16)의 확장부(16a)의 끝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열전달부(315c)는 상기 제1단부(310)에서 연장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4의 (D) 및 (E)를 참조하면, 열전달부는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4의 (D)에서는 각각 2 개의 열전달부(315, 315d)를 가지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도 4의 (E)에서는 각각 2 개의 열전달부(415, 415a)를 가지는 것을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투명창부를 가지는 여러 형태의 도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메인도어(5)와 서브도어(7)의 크기가 같은 경우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도어(5)에 비하여 서브도어(7a)가 작은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어(7)의 전면 전체를 투명창부(10)의 전방 유리 예를 들어 변색유리가 덮는 구조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들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창부(10)의 전방유리의 테두리가 별도의 구조로 구비되는 도어(7b)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7b)는 투명창부(10a)와 투명창 지지부(20a)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투명창부(10a)와 투명창 지지부(20a)의 연결부에 이웃하여 발열부(30)가 구비된다. 투명창 지지부(20a)는 제1프레임(200a)와 제2프레임(30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명창부(10a)는 다수의 유리(12a, 14a, 16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5, 7 : 도어 10 : 투명창부
20 : 투명창 지지부 30 : 발열부

Claims (40)

  1.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 단열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재를 수용하는 단열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투명창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투명창 지지부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 지지부는,
    상기 투명창부에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단부를 가지는 제1프레임과;
    상기 투명창부에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와 연결되는 제2단부를 가지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의한 단열공간에 구비되는 상기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제1단부와 상기 제2프레임의 제1단부의 사이의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부의 전방유리는 다른 유리보다 크기가 크도록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4.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의 제1단부에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위치하는 열전달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 지지부의 단부는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단열재와 상기 투명창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투명창 지지부의 단부의 내측 및 외측 중의 최소한 한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투명창 지지부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접하는 상기 투명창부의 전방유리의 부분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투명창부의 확장부의 내측 및 외측의 최소한 한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열전달부의 내측 및 외측의 최소한 한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열전달부와 상기 투명창부의 테두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부의 전방유리는 빛 투과율이 조절 가능한 변색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색유리는 상기 도어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변색유리는 상기 발열부가 상기 변색유리의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불투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알루미늄 테이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단부는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8. 제1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재질은 단열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재질은 AB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유리의 사이에는 아르곤 가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3.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도어와;
    상기 메인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어는,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단열재를 수용하는 단열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투명창부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투명창 지지부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 지지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이웃하여 구비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부와 연결되는 제1단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과;
    상기 투명창부와 연결되는 제1단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와 연결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부의 연결부에 이웃하여 위치하며,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부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정의하는 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부의 전방유리는 다른 유리보다 크기가 크도록 상기 도어의 폭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전방유리의 확장부의 내측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는 다른 열전달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투명창부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전방유리의 확장부의 내측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단부는 상기 스페이서를 수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2. 제24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단열성능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ABS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제2단의 내측에서 서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5. 다수의 유리와, 상기 유리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소정의 단열 성능을 가지는 투명창부와;
    상기 스페이서를 덮도록 상기 투명창부와 연결되는 제1단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며, 단열성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투명창부와 연결되는 제1단부, 상기 제1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와 연결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이 정의하는 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도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단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제2단의 내측에서 서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열전달성능이 우수한 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투명창부와 상기 투명창부의 연결부에 이웃하여 위치하며,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열전달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단열성능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ABS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KR1020150099662A 2015-07-14 2015-07-14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KR10180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62A KR101802586B1 (ko) 2015-07-14 2015-07-14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KR1020160001137A KR102562149B1 (ko) 2015-07-14 2016-01-05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US15/500,936 US11029075B2 (en) 2015-07-14 2016-07-14 Door for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EP16805957.4A EP3159636B1 (en) 2015-07-14 2016-07-14 Home appliance door and home appliance
TW105122344A TWI637135B (zh) 2015-07-14 2016-07-14 家電製品用門及具有該門的家電製品
AU2016294298A AU2016294298B2 (en) 2015-07-14 2016-07-14 Home appliance door and home appliance
CN201680001974.9A CN107076504B (zh) 2015-07-14 2016-07-14 用于家用电器的门和具有该门的家用电器
EP23188314.1A EP4265155A3 (en) 2015-07-14 2016-07-14 Home appliance door and home appliance
PCT/KR2016/007682 WO2017010828A1 (ko) 2015-07-14 2016-07-14 가전제품용 도어 및 가전제품
AU2020200727A AU2020200727B2 (en) 2015-07-14 2020-01-31 Home appliance door and home appliance
AU2022203939A AU2022203939B2 (en) 2015-07-14 2022-06-07 Home appliance door and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62A KR101802586B1 (ko) 2015-07-14 2015-07-14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37A Division KR102562149B1 (ko) 2015-07-14 2016-01-05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458A true KR20170008458A (ko) 2017-01-24
KR101802586B1 KR101802586B1 (ko) 2017-11-28

Family

ID=5799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662A KR101802586B1 (ko) 2015-07-14 2015-07-14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5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576A1 (ko) * 2017-03-2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45510B1 (ko) * 2019-06-24 2019-11-15 박지용 과냉각 냉각고
CN114754537A (zh) * 2021-01-11 2022-07-15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846464B2 (en) 2017-03-24 2023-12-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94334B2 (en) 2019-06-24 2024-05-28 Ji Yong Park Supercooling freezer box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781B2 (ja) * 1990-06-20 1999-05-17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の扉体
JP4424300B2 (ja) * 2005-11-10 2010-03-03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US8869493B2 (en) * 2012-03-14 2014-10-28 Thermoseal Industries, L.L.C. Door for a refrigerated cabinet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8458B2 (en) 2017-03-24 2022-09-2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248836B2 (en) 2017-03-24 2022-02-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8174576A1 (ko) * 2017-03-24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670329B2 (en) 2017-03-24 2020-06-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846464B2 (en) 2017-03-24 2023-12-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015864B2 (en) 2017-03-24 2021-05-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80108287A (ko) * 2017-03-24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S2830548R1 (es) * 2019-06-24 2021-06-15 Ji Yong Park Refrigerador con funcion de superenfriamiento
WO2020262724A1 (ko) * 2019-06-24 2020-12-30 박지용 과냉각 냉각고
KR102045510B1 (ko) * 2019-06-24 2019-11-15 박지용 과냉각 냉각고
EP4001805A4 (en) * 2019-06-24 2024-01-10 Ji Yong Park SUPERCOOLING FREEZER
US11994334B2 (en) 2019-06-24 2024-05-28 Ji Yong Park Supercooling freezer box
CN114754537A (zh) * 2021-01-11 2022-07-15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4754537B (zh) * 2021-01-11 2024-01-09 Lg电子株式会社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586B1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3939B2 (en) Home appliance door and home appliance
US20240159454A1 (en) Door for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02586B1 (ko)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US9289079B2 (en) Door for a refrigerated merchandiser
AU2019375590B2 (en) Panel assembly,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s
CA2841773C (en) Heat absorbing door for a refrigerated merchandiser
KR100804608B1 (ko)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와인저장고가 구비된김치저장고
KR20230116763A (ko) 냉장고용 도어 및 냉장고
KR20200027718A (ko) 냉장고
KR100796293B1 (ko) 단열유리도어의 이슬 맺힘 방지구조
JP2007178032A (ja) 冷蔵ショーケース用ガラス扉及びそれを有するショーケース
KR20060004540A (ko) 보냉 투시창 구조를 가지는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