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124A -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124A
KR20170008124A KR1020150100103A KR20150100103A KR20170008124A KR 20170008124 A KR20170008124 A KR 20170008124A KR 1020150100103 A KR1020150100103 A KR 1020150100103A KR 20150100103 A KR20150100103 A KR 20150100103A KR 20170008124 A KR20170008124 A KR 2017000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ttery
auxiliary battery
presen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희
송승현
김상길
Original Assignee
송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현 filed Critical 송승현
Priority to KR102015010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8124A/ko
Publication of KR2017000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2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 1 배치홈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 2 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 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형 보조배터리는 케이스식 배터리를 사용함으로 인해 이동시 휴대가 편의하며, 다른 충전제품의 도움없이 쉽게 충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스형 보조배터리{Case of Extra Battery}
본 발명은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충전을 보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보조배터리에 관해서는 공개실용신안 10-2007-0076109(고안의 명칭 : 배터리 팩)와 같이, 보조형 배터리 등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제안된 배터리라고 하더라도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케이스가 아닌 배터리 팩으로 인해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이로 인해 배터리 팩의 활용이 용이치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터리를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며, 충전에 번거로움 없이 가능케 하는 케이스형 보조배터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형 보조배터리는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 1 배치홈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 2 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 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형 보조배터리는 케이스식 배터리를 사용함으로 인해 이동시 휴대가 편의하며, 다른 충전제품의 도움없이 쉽게 충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의 전체적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형 보조배터리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형 보조배터리는 케이스로서 케이스 안에 배터리를 넣을 수 있는 홈이 있으며 실제 배터리와는 다른 크기가 작은 형태이다. 케이스 자체적으로 충전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결합시 간단한 버튼만을 이용해 충전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 1 배치홈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 2 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10);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12) 및 상기 케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1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도록 보관하면서 보조 배터리를 간편하게 분실의 염려없이 휴대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배터리의 방전시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의 필요없이 휴대단말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기본 배터리와 더불어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케이스부 12. 덮개부
14. 보조전원부

Claims (1)

  1. 휴대단말기가 삽입배치되는 제 1 배치홈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가 삽입배치되는 제 2 배치홈을 형성한 외부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부(10);
    상기 외부케이스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배치홈에 삽입배치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12); 및
    상기 케이스부(10)를 통하여 외부노출되도록 일측단에 충전 소켓단자가 구비되는 회로기판을 갖추고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배터리를 상기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와의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배치하는 보조전원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KR1020150100103A 2015-07-13 2015-07-13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KR20170008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03A KR20170008124A (ko) 2015-07-13 2015-07-13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103A KR20170008124A (ko) 2015-07-13 2015-07-13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124A true KR20170008124A (ko) 2017-01-23

Family

ID=5798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103A KR20170008124A (ko) 2015-07-13 2015-07-13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81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94A (ko) 2018-04-16 2019-10-24 (주)게이트코리아 충전커넥터가 분리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기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594A (ko) 2018-04-16 2019-10-24 (주)게이트코리아 충전커넥터가 분리되는 보조배터리 일체형 휴대단말기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50195009A1 (en) Wireless charge and discharge wrist band for placing cell phone
US20160134142A1 (en) Portable device case having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tation
JP2017099259A5 (ko)
PH12018502626A1 (en) Electronic vaping device, battery section, and charger
CN204205226U (zh) 多用途数据连接公头
KR102415970B1 (ko) 배터리 교체형 이어버드 및 그 전용장치
KR101441677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구조
WO2015171818A8 (en) Battery charg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207506085U (zh) 一种智能设备放置收纳盒
CN204350068U (zh) 一种多功能手机壳
KR101567048B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장치
KR20170008124A (ko) 케이스형 보조배터리
CN206963035U (zh) 一种应用于蓝牙耳机的手环
KR200478882Y1 (ko) 스피커를 내장한 휴대용 파워팩
KR101741726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180001777U (ko) 부착기능을 갖는 휴대용 충전지
KR101800814B1 (ko) Usb 충전단자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WO2016024238A3 (en) Charging device for computing appliances
KR20190059517A (ko) 케이스 복합 베터리
EP2983253A3 (en) Power socket with touch switch function
CN203301563U (zh) 一种移动终端
CN104654037A (zh) 一种多功能手电筒
KR20190063309A (ko) 스마트폰 케이스 부착형 배터리
KR20200062597A (ko) 케이스형 보조 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