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141A -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touch ac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touch ac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141A
KR20170007141A KR1020160085028A KR20160085028A KR20170007141A KR 20170007141 A KR20170007141 A KR 20170007141A KR 1020160085028 A KR1020160085028 A KR 1020160085028A KR 20160085028 A KR20160085028 A KR 20160085028A KR 20170007141 A KR20170007141 A KR 2017000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beacon
reception strength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0008B1 (en
Inventor
이재승
김영훈
이문식
박재우
신경철
이후성
천익재
최지연
권동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JP2016136304A priority Critical patent/JP6879685B2/en
Publication of KR2017000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1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0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04W76/023
    • H04B5/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a touch acti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The disclosed user terminal receives a beacon including estimated receiving strength in a location that is spaced a predefined distance apart from a communication device, measures a receiving strength of the received beacon, compares the measured receiving strength and the estimated receiving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and transmits an associa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measured receiving strength is more than or equal to the estimated receiving strength.

Description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TOUCH AC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a touch acti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performing the method,

아래의 설명은 터치 액션을 수행하는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a touch acti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최근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모바일 기기, 태블릿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휴대성이 높다. 사용자는 주변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등의 통신 장치에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켜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demand for user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wearable devices, mobile devices, and tablet computers has increased rapidly. Such a user terminal has high portability that can be carried by the user. A user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by connecting a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access point (AP) located nearby.

다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신 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주변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선택하고, 연결 버튼을 누르는 등 일련의 번거로운 조작이 요구된다. 더욱이, 사용자 단말은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가지는데, 이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However, in order for a user to connect a user terminal to a communication device, a series of cumbersome operations are required such as selecting one of the peripheral communication device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pressing a connection button. Moreover, the user terminal typically has a small display size to increase portability, which makes user operations on the user terminal more difficult.

따라서, 사용자 단말을 주변의 통신 장치에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easily connecting a user terminal to a nearby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통신 장치의 연결 허용 범위 내로 사용자 단말을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 설정(association establishment)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association establishment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by simply taking a user terminal within a connection allowable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나 키오스크 등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는 일련의 조작 없이 사용자 단말을 해당 통신 장치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터치 액션(touch action)만으로도 손쉽게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action for moving a user terminal close to a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a series of operations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access point (AP) or a kiosk to which the user wants to connect the user terminal,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은 근접거리 통신에서 연결 설정 및 종료를 사용자의 개입 없이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termination in close range communication without user intervention.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 방법은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a beacon including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Measuring a received strength of the received beacon, comparing the measured received strength and an expected received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And transmitting an associa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f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mission strength of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ath los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송신 전력(TX power), 안테나 이득(antenna gain), 케이블 손실(cable loss)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based on transmission power (TX power), antenna gain, cable loss at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path los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 / RTI >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The step of comparing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rrecting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based on an antenna gain and a cable loss in the user terminal, The strength can be compared to the measured received strength.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다음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다음 프레임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next fram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less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measuring a reception strength of the received next frame, And comparing the reception strength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next frame.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을 포함하고,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수신된 비콘의 Expected RSSI을 포함할 수 있다.In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nclud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of a beac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Lt; RTI ID = 0.0 > RSSI < / RTI >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비콘에서 1dB의 resolution으로 +30 dBm부터 -226 dBm 사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may include a value between +30 dBm and -226 dBm with a resolution of 1 dB in the beacon.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연결 요청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설정(establish)된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종료될 수 있다.In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established as the conne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include an association timeout period (ATP) included in the beacon, May be terminated when n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가 수행하는 통신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A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a beacon including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to a user terminal;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a connec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nection request is a request for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beacon, 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The connec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In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onnection request may includ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estimated reception strength corrected based on the antenna gain and the cable loss at the user terminal with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beac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transmission strength of a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path los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송신 전력, 안테나 이득, 케이블 손실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can be determined based on transmission power at the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gain, cable loss, and path los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상기 비콘에 포함된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when the beacon does not receive an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uring an association timeout period (ATP) included in the beacon.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A user terminal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beacon including a predicted reception strength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processor for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n associa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And the conne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expected received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etermin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transmission strength of the beacon transmitted at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ath los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교할 수 있다.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can correct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based on antenna gain and cable loss at the user terminal, and compare the corrected expected reception strength with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다음 프레임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cessor measures a reception intensity of a next fram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small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next frame.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비콘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비콘에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A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beacon to the user terminal; And a processor included in the beacon a predicted reception strength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a connec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통신 장치의 연결 허용 범위 내로 사용자 단말을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 설정(association establishment)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ssociation establishment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can be simply performed by taking a user terminal within a connection permission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나 키오스크 등의 통신 장치를 선택하는 일련의 조작 없이 사용자 단말을 해당 통신 장치에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터치 액션(touch action)만으로도 손쉽게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action (a touch screen) for moving a user terminal close to a communication device without a series of operations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access point (AP) touch action can be used to easily connect to a communication device.

일실시예에 따르면, 근접거리 통신에서 연결 설정 및 종료를 사용자의 개입 없이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termination in proximity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user intervention.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통신 장치에 접근함에 따라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결정된 예상 수신 세기가 사용자 단말에서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비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종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전력 절감(power sav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mmunication setup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is performed as a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redicted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in a communication apparatus is correct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eacon transmitt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ermin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ower save perform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are set forth for illustration purposes only and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such terms should be interpreted sole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although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one or more of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모바일 기기, 태블릿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스마트 가전 기기, 키오스크(kiosk), 지능형 자동차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스마트 폰,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장치 등에서 통신을 수행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used to perform communications.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smart phones, wearable devices, mobile devices, tablet computers, personal computers, laptop computers, smart home appliances, kiosks, intelligent automobiles, For example,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 smart phone, a mobile device,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 및 통신 장치(110)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located at various distances from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communication device 110 are shown.

통신 장치(110)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HRCP PNC(High Rate Close Proximity Coordinator), PPC(Point-to-Point Coordinator) 장치, 키오스크, 지불 단말, 티켓 게이트(ticket gate), 액세스 포인트(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10)는 P2P(peer to peer)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s a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surrounding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be a High Rate Close Proximity Coordinator (HRCP) A point-to-point coordinator device, a kiosk, a payment terminal, a ticket gate, an access point (AP),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using peer to peer (P2P) communication.

이 때, 통신 장치(110)는 통신 가능 범위(111) 및 연결 허용 범위(112)를 가질 수 있다. 통신 가능 범위(111)는 통신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비콘이 유효하게 사용자 단말로 수신될 수 있는 범위 혹은 물리적으로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을 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로부터 최대 10cm 거리로 이격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통신 가능 범위(111)와 별도로 연결 허용 범위(112)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연결 허용 범위(112)는 통신 장치(110)로의 통신 연결 설정 시작이 허용되는 범위를 의미하고, 통신 가능 범위(111)보다 좁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연결 허용 범위(112)는 통신 장치(110)에서 설정되고,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로부터 최대 1cm 거리로 이격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서만 연결 설정을 개시하며, 연결이 설정된 이후에는 통신 가능 범위(111) 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have the communication range 111 and the connection range 112. [ The communicable range 111 means a range where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be effectively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or a range where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can physic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 distance of up to 10 cm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have a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separately from the communication availability range 111. Here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indicates a range in which commencement of communic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s permitted , And can be narrower than the communicable range (111). The connection tolerance range 112 may be set at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may be set to include an area spaced a maximum of 1 cm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initiates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only with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and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in the communication availability range 111 after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장치(1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모바일 기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10)와의 통신이 허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are terminals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wearable device, A computer, and the like. The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may be allow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이 통신 장치(110)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과 통신 장치(110) 간의 통신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을 가정하여 설명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s the user terminals 120-1, 120-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n the assumption that a communication connection is established.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가능 범위(111)를 벗어나 위치하는 단말로, 통신 장치(110)로부터의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없다. 그래서,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The user terminal 120-1 shown in Fig. 1 can not effectively receive the beac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o the terminal located outside the communication coverage 111. [ Thus, the user terminal 120-1 can not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사용자 단말(120-2)은 통신 가능 범위(111) 내에 위치하는 단말로,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20-2)이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단말(120-2) 및 통신 장치(110) 간의 통신 연결이 허용되지 않는다.The user terminal 120-2 can effectively receive the beac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o the terminal located in the coverage area 111. [ However,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20-2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s not allowed because the user terminal 120-2 is not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

사용자 단말(120-3)은 통신 가능 범위(111) 내에 위치하는 단말로,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3)은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도 위치하므로, 사용자 단말(120-3) 및 통신 장치(110) 간의 통신 연결이 허용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3 can effectively receive the beac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o the terminal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111. [ Further, since the user terminal 120-3 is also located 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20-3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be allowed.

통신 가능 범위(111)뿐만 아니라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20-3)에 대해서만 통신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통신 장치(110)는 비콘에 연결 트리거 임계 정보(connection trigger threshold information)를 포함시켜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연결 허용 범위(112)의 경계에서 수신되는 비콘의 예상 수신 세기를 연결 트리거 임계 정보로 비콘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a communication connection only to the user terminal 120-3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coverage 112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coverage 111,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ransmits connection trigger threshol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located nearby.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include the expected reception intensity of the beacon received at the boundary of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as the connection trigger threshold information in the beacon.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전송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이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이 연결 허용 범위(112)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은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장치(110)와의 연결을 트리거(trigger)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measure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compare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are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are located 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the user terminals 120-1, 120-2, The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be triggered by transmitting an associa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이와 같은 연결 방식은 터치 액션(touch action)이라고 지칭되고, 연결 허용 범위(112)의 거리를 터치 액션 제한 거리라고 지칭될 수 있다.Such a connection method is called a touch action, and a distance of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action restriction distance.

사용자 단말(120-1, 120-2, 120-3)과 통신 장치(110) 간의 연결 설정(association establishment)이 수행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The process of performing association establishment between the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에서 수행되는 통신 방법이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 각각은 통신부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at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is shown. Specifically, each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d a processor.

단계(201)에서,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거리는 도 1의 통신 장치(110)로부터 연결 허용 범위(112)의 경계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통신 장치(1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는 도 1의 연결 허용 범위(112)의 경계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장치(110)에서 결정된 예상 수신 세기는 예상 RSSI(Expected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In step 201,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determine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Here, the predetermined distance means a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o the boundary of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in FIG. 1, and a position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112). ≪ / RTI > At this time,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be determined as a value of an expected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예를 들어,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10)에서 전송되는 비콘의 전송 세기 및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예상 수신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10)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사용자 단말(120)에서 감지되는 비콘의 수신 세기를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실제 실험적으로 측정된 값을 예상 수신 세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예상 수신 세기가 통신 장치(110)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예시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러한 설명이 실험적인 측정된 값을 예상 수신 세기로 결정하는 예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determine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based on the transmission strength of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path los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experimentally measure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beacon sensed by the user terminal 120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actually experimentally measure the received reception intensity . In the following,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an example in which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mission strength of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path los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It does not exclude the example of deciding by century.

단계(202)에서, 통신 장치(110)는 예상 수신 세기를 비콘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120)로 전송한다. 이 때, 통신 장치(110)는 예상 수신 세기가 포함된 비콘을 일정한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202,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ncludes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 a beacon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12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transmit beacons including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t regular intervals.

단계(203)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20)은 수신한 비콘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값을 수신 세기로 측정할 수 있다.At step 203, the user terminal 120 measures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beac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20 may measure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value of the received beacon by the received strength.

단계(204)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측정된 수신 세기 및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한다. 사용자 단말(120)은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가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20)에서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는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게 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 장치(110)로부터 다음 비콘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로부터 다음 비콘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20)은 단계(203) 및 단계(204)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At step 204, the user terminal 120 compares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contained in the beacon. The user terminal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f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20 is not within the connection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measured beacon at the user terminal 120 becomes small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intensity. Whe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small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the user terminal 120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120 is not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allowable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until the next beac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You can wait. If the next beac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he user terminal 120 may repeat step 203 and step 204. [

만약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계(205)에서,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에서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는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게 되고, 이 때, 사용자 단말(120)은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장치(110)와의 연결을 트리거할 수 있다.If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then at step 205, the user terminal 12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measured at the user terminal 120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allowance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becomes larg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nd the user terminal 12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hereby enabling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o be triggered.

단계(206)에서,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전송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20)로 연결 요청에 대한 ACK(acknowledgement)를 전송할 수도 있다. In step 206,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send an association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120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sent from the user terminal 120. [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transmit an acknowledgment (ACK) for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120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

상술된 통신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이 통신 장치(110)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여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하더라도 통신 장치(110)로 연결이 요청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120)이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에만 통신 장치(110)로의 연결이 요청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10)와 통신 장치(110)의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Even if the user terminal 120 is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effectively receives the beac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 the connection is not reques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be requested only when the device 110 is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of the device 110. [ That is,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be performed.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120)이 연결 허용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통신 가능 범위 내에만 위치하면,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되더라도, 해당 사용자 단말(120)이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 간의 연결 설정이 종료될 수 있다.If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is performed and the user terminal 120 is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even if the user terminal 120 is out of the connection allowable range, Can be maintained. However, even if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is performed, if the user terminal 120 is out of the communication coverage range, the connection sett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is terminated .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통신 장치에 접근함에 따라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 설정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mmunication setup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is performed as a user terminal accesses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를 기준으로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120-1, 120-2, 120-3)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3, there are illustrated user terminals 120-1, 120-2, and 120-3 located at various distances relative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s shown in FIG.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을 중심으로 설정된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내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1)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20-1 receives the beac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n a valid manner (i.e., receives the beac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not do. Therefore,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1 is not performed.

사용자 단말(120-2)은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장치(110)로 접근함에 따라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120-2)은 여전히 연결 허용 범위 내에는 위치하지 못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2)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2)은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수 있고,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2)은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통신 장치(110)로부터 다음 비콘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2 indicates a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as the user terminal 120-1 approaches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However, the user terminal 120-2 is still not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toleranc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20-2 can effectively receive the beac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measure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received beacon. The user terminal 120-2 can compare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with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contained in the beacon and determine that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small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The user terminal 120-2 may wait until the next beacon is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s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사용자 단말(120-3)은 사용자 단말(120-2)이 통신 장치(110)로 더 접근함에 따라 연결 허용 범위의 경계 또는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3)은 통신 장치(110)로부터 비콘을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3)은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수 있고,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3)은 측정된 수신 세기가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3 indicates a terminal located within a connection permission range or a connection permission range as the user terminal 120-2 further approaches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20-3 can effectively receive the beacon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measure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received beacon. The user terminal 120-3 can compare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with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and determine that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The user terminal 120-3 may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s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3)로부터의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20-3)로 연결 응답을 전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3)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send a connection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120-3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20-3 and thereb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3, Can be performed.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결정된 예상 수신 세기가 사용자 단말에서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predicted reception strength determined in a communication apparatus is correct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와 사용자 단말(120)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4, a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a user terminal 120 are shown.

통신 장치(110)는 통신 장치(110)에서의 송신 전력(TX power)

Figure pat00001
, 안테나 이득(antenna gain)
Figure pat00002
, 케이블 손실(cable loss)
Figure pat00003
을 이용하여 EIRP(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전력
Figure pat00004
은 통신 장치(110)의 RF단에서 출력되는 비콘의 전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EIRP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
Figure pat00005
을 뺌으로써 예상 수신 세기
Figure pat00006
를 계산할 수 있다. 경로 손실
Figure pat00007
은 비콘의 전송 거리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가 증가할수록 해당 전송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
Figure pat00008
도 함께 증가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ransmits the transmission power TX power at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Figure pat00001
Antenna gain,
Figure pat00002
Cable loss,
Figure pat00003
Can be used to determine EIRP (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 Here,
Figure pat00004
Means the power of the beacon output from the RF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hen determines the pathloss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in EIRP
Figure pat00005
The estimated reception strength
Figure pat00006
Can be calculated. Path loss
Figure pat00007
Means a loss occurring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beacon. As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creases, the path loss
Figure pat00008
Can also increase.

정리하자면, 통신 장치(110)에서는 예상 수신 세기

Figure pat00009
를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To summarize, i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Figure pat00009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즉, 통신 장치(110)는 송신 전력

Figure pat00011
, 안테나 이득
Figure pat00012
, 케이블 손실
Figure pat00013
, 경로 손실
Figure pat00014
에 기초하여 예상 수신 세기
Figure pat00015
를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ransmits the transmission power
Figure pat00011
, Antenna gain
Figure pat00012
, Cable loss
Figure pat00013
, Path loss
Figure pat00014
0.0 >
Figure pat00015
Can be determined.

사용자 단말(120)에서는 비콘을 수신하고, 수신한 비콘의 수신 세기

Figure pat00016
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에서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
Figure pat00017
는 사용자 단말(120)에서의 안테나 이득
Figure pat00018
, 케이블 손실
Figure pat00019
이 포함되어 측정된 결과이다. 따라서,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와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때, 사용자 단말(120)에서의 안테나 이득
Figure pat00020
, 케이블 손실
Figure pat00021
을 고려해야 한다.The user terminal 120 receives the beacon and determines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eceived beacon
Figure pat00016
Can be measured. At this time,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measured by the user terminal 120
Figure pat00017
0.0 > antenna gain < / RTI >
Figure pat00018
, Cable loss
Figure pat00019
Are included. Therefore, when comparing the measured reception beacon reception strength with the expected reception interference included in the beacon, the antenna gain at the user terminal 120
Figure pat00020
, Cable loss
Figure pat00021
.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 단말(120)에서의 안테나 이득

Figure pat00022
, 케이블 손실
Figure pat00023
을 고려하여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20)은 예상 수신 세기에서 안테나 이득
Figure pat00024
을 더하고 케이블 손실
Figure pat00025
을 뺌으로써,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tenna gain < RTI ID = 0.0 >
Figure pat00022
, Cable loss
Figure pat00023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can be corrected. 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120 estimates the antenna gain
Figure pat00024
And cable loss
Figure pat00025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can be corrected.

그리고, 사용자 단말(120)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

Figure pat00026
와 비교할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120 calculates the estimated reception intensity corrected as shown in Equation (2) by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measured beacon
Figure pat00026
≪ / RTI >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7

상술된 방법으로 비콘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120)이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와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와 비교할 때, 안테나 이득 또는 케이블 손실 등에 오차가 존재하고 페이딩 채널(fading channel)로 인한 추정 오차(estimation error)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러한 오차가 존재하더라도 그 영향은 미미할 수 있다.The accuracy of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the user terminal 120 receiving the beacon is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can be improv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lthough there is an error in the antenna gain or cable loss and an estimation error due to the fading channel may occur when the corrected received signal strength is compared with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of the measured beacon, Even if it exists, the effect may be minimal.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비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eacon transmitt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비콘(500)이 도시된다.5, there is shown a beacon 500 transmitted from a communication device to a user terminal.

통신 장치는 예상 수신 세기를 나타내는 Expected RSSI(510)을 비콘(500)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xpected RSSI(510)는 1 dB의 resolution을 가지며, +30 ~ -226 dBm의 범위로 비콘에 나타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transmit the beacon 500 with the Expected RSSI 510 indicating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For example, the Expected RSSI 510 has a resolution of 1 dB and can be set to appear in the beacon in the range of +30 to -226 dBm.

Expected RSSI(510)이 비콘(500)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Expected RSSI(510)에 기초하여 연결 요청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expected RSSI 510 is included in the beacon 50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the connection request based on the Expected RSSI 510.

만약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비콘의 Expected RSSI(510)이 특정 값(예를 들어, "0")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비콘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에 상관없이 항상 연결 요청을 통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액션이 비활성화(disable)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은 통신 장치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는 위치하여야 한다.If the Expected RSSI 510 of the beac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specific value (for example, "0"), the user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beacon always transmits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touch action is disabled. In this case, however, the user terminal should be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비콘(500)에는 Recommend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520)가 포함될 수 있다. Recommend ATP는 통신 장치에서 추천된 ATP 길이 값(ATP length value)을 포함하고, 1ms의 resolution을 가지며, 0~65535 ms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ATP는 0~500ms 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Recommend ATP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so, the beacon 500 may include a Recommend ATP (association timeout period) 520. Recommend ATP contains the recommended ATP length value in the communication device, has a resolution of 1 ms, and can range from 0 to 65535 ms. For example, it may be desirable for ATP to have a value between 0 and 500 ms. Recommend ATP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5의 비콘(500)에서는 Expected RSSI(510)가 1 octet을 가지고, Recommend ATP(520)가 2 octet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beacon 500 of FIG. 5, the Expected RSSI 510 has 1 octet and the Recommend ATP 520 has 2 octet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추가적으로, 비콘(500)에는 연결 트리거 임계 정보에 해당하는 Expected RSSI(510)뿐만 아니라 단선 임계 정보(disconnection threshold information)도 포함될 수 있다. 단선 임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제2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과 통신 장치 간의 연결이 종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acon 500 may include disconnection threshold information as well as the Expected RSSI 51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trigger threshold information. Using the disconnection threshold informa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terminated if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away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 또는 ack 프레임(예컨대, 통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된 후 통신 장치에서 전송되는 제2 비콘)에 단선 임계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해당 프레임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해당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프레임의 수신 세기와 단선 임계 정보에 포함된 제2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프레임의 수신 세기가 제2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단말은 통신 장치와 미리 결정된 제2 거리보다 멀리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고,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된 프레임의 수신 세기가 제2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은 통신 장치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can transmit the data frame or the ack fram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second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fter the connection setting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is performed) have.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frame can measure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frame and compare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measured frame with the second expected reception intensity included in the one-wire threshold information. If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measured frame is less than the second expected received strength, the user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away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erminate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Conversely, if the received strength of the measured fra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expected received strength, the user terminal may maintain a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와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이 종료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erminating a connection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10)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3) 및 통신 불가 범위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120-1)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6, there is shown a user terminal 120-3 located in a communication coverage area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a user terminal 120-1 moved to a communication impossible area.

사용자 단말(120-3)은 통신 장치(110)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한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120-3) 및 통신 장치(110) 간의 연결은 유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장치(110)에서 사용자 단말(120-3)로 전송되는 비콘은 ATP를 포함할 수 있다. ATP는 사용자 단말(120-3)이 통신 장치(110)에 연결될 때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3) 간의 협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3 is a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mmunicable ran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20-3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be valid. At this time,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o the user terminal 120-3 may include ATP. ATP may be determined through negoti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3 when the user terminal 120-3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3)로부터 ATP에 지정된 시간 동안 아무런 데이터를 전송 받지 못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20-3)과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 사용자 단말(120-3)이 통신 장치(110)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불가 범위에 위치하게 되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로 어떠한 데이터도 전송하지 못하게 되고, 통신 장치(110)는 ATP 동안 사용자 단말(120-1)로부터 데이터를 받지 못하면 사용자 단말(120-1)과의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fails to receive any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20-3 for the time specified in the ATP,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terminate the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3. In this example, as the user terminal 120-3 moves away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he user terminal 120-1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disablement rang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20-1,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can not transmit any data to the user terminal 120-1. I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does not receiv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120-1 during the ATP, th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1 can be terminated.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불가 범위 내로 이동한 경우에 해당 사용자 단말(120-1)과의 연결을 신속히 종료하기 위해서는, ATP 값이 작아야 한다. 만약 ATP 값이 충분히 작지 않아 통신 불가 범위 내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120-1)과의 통신이 신속히 종료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불가 범위에 진입한 후에도 해당 사용자 단말(120-1)의 세션이 지속되고, 이 때 다른 단말이 통신 장치(110)과의 연결 설정 후 지속되는 세션을 계속 이용할 수 있는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취약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ATP 값은 충분히 작아야 한다(예를 들어, 0~500ms의 ATP 값).In order to quickly terminate the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1 when the user terminal 120-1 moves within the communication impossible range, the ATP value must be small. If the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20-1 that has moved to the communication impossible range because the ATP value is not sufficiently small can not be quickly terminated, even if the user terminal 120-1 enters the communication disablement range, the user terminal 120-1 May be continued, and at this time, a vulnerability may occur in which another terminal can continue to use a session that continues afte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 Therefore, the ATP value should be sufficiently small (for example, an ATP value of 0 to 500 ms) so that the above-described vulnerability does not occur.

다른 일례로,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120-3)과 통신 장치(110) 간에 상호 교환되는 프레임이 일시적으로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120-3)과 통신 장치(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전력 절감 모드(power sav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ATP보다 긴 시간 동안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할 경우, 전력 절감 모드 도중 사용자 단말(120-3)과 통신 장치(110) 간의 연결이 종료되어 버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ATP의 시간 구간보다 전력 절감 모드의 시간 구간이 짧게 설정되어야 한다. 다만, ATP의 시간 구간이 필요 이상으로 짧게 설정되면, 전력 절감 모드의 시간 구간이 더욱 짧아지게 되고, 오히려 전력 절감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ATP 값은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In anothe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re is temporarily no frame exchanged between the user terminal 120-3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and in this case, (110) may operate in a power save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However, when operating in the power saving mode for a longer time than the ATP,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20-3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may be terminated during the power saving mode. To prevent this, the time interval of the power saving mode should be set shorter than the time interval of the ATP. However, if the ATP time interval is set to be shorter than necessary, the time interval of the power saving mode becomes shorter, and the power saving efficiency may be lowered. Therefore, the ATP value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즉, 통신 장치(110) 및 사용자 단말(120-3)은 전력 절감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ATP 값이 만료(expire)되기 전에 동시에 웨이크업(wake up) 해야 한다. 사용자 단말(120-3)은 웨이크업한 후 통신 장치(110)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프로브 요청, ACK 등의 프레임을 전송하여, ATP가 만료되지 않고 지속되도록 하여야 한다.That is, even th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3 operate in the power saving mode, they must wake up simultaneously before the ATP value expires. After the user terminal 120-3 wakes up, it transmits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or if there is no data to be transmitted, transmits a frame such as a probe request and an ACK so that the ATP does not expire do.

사용자 단말(120-3)은 ATP가 만료되기 전에 주기적으로 프로브 요청, ACK 등의 keep alive frame을 통신 장치(110)로 전송함으로써 ATP를 짧게 설정함에 따라 발생하는 취약점을 방지하면서도 통신 장치(110)와의 세션을 지속시킬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3 transmits a keep alive frame such as a probe request and an ACK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periodically before the ATP expires, thereby preventing a vulnerability caused by shortening the ATP, Can continue the session with < / RTI >

또한, ATP 값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비콘 내에 ATP를 1 octet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비콘의 프레임 사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ATP value to be short, ATP can be expressed in one octet in the beacon,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frame size of the beacon.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 단말(120-3)을 통신 장치(110)로부터 통신 불가 범위까지 이동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0.3 ~ 0.35초이고, 사용자 단말(120-3)을 통신 장치(110)로부터 통신 가능 범위의 경계까지 이동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0.2초라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20-3)을 통신 장치(110)의 통신 가능 범위의 경계 근처에서 통신 가능 범위 밖으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0.1 ~ 0.15 초가 된다. 이 시간이 경과하면 연결 종료가 발생해야 하며, 상술된 케이스에서는 이를 위해 ATP가 127ms로 설정될 수 있고, 이 때, ATP는 1 octet으로 표현 가능하다. ATP 값은 각 제조사 경우의 서비스 환경이나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맞도록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ime spent in moving the user terminal 120-3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o the inability to communicate is 0.3 to 0.35 seconds and the user terminal 120-3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ssuming that the time spent for moving to the boundary of the communication coverage is 0.2 seconds, the time required for moving the user terminal 120-3 out of the communication coverage range near the boundary of the communication coverag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s 0.1 ~ 0.15 seconds. When this time has elapsed, a connection termination must occur. 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e ATP can be set to 127 ms and the ATP can be expressed in 1 octet. The ATP value may be set to suit the service environment or the application provided for each manufacturer.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연결 설정 이전 혹은 연결 설정 과정 중의 전력 절감(power sav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ower saving before connection establishment or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불가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1) 및 연결 허용 범위 내로 이동한 사용자 단말(120-3)이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7, there is shown a user terminal 120-1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disablement range and a user terminal 120-3 moved with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통신 불가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20-1)이 Touch action을 위해 통신 장치(11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비콘(710)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10)와의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20-1)은 언제 단말이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될 지 알 수 없으므로 통신 불가 범위에 있을 때에도 항상 통신 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비콘(710)에 대한 수신 시도를 수행해야 한다. 다만, 지속적으로 wake up 상태를 유지하며 비콘(710)에 대한 수신 시도를 할 경우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20-1)은 전력 절감 모드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해당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based on the beacon 710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as the user terminal 120-1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impossible range moves toward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for a touch action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since the user terminal 120-1 can not know when the terminal will be located within the communicable range, the user terminal 120-1 always performs a reception attempt on the beacon 710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Should be. However, if the beacon 710 is continuously received while maintaining the wake-up state, much power may be consumed.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20-1 can operate according to the power saving mod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and a specific method thereof is as follows.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가능 범위의 경계에서 통신 장치(110)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0.2초이고, 사용자 단말(120-1)을 연결 허용 범위의 경계에서 통신 장치(110)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0.02초라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20-1)이 통신 장치(110)에 도달하기 전까지 비콘(710)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0.2 - 0.02 = 0.18초 중 일회 이상 웨이크업 해야 한다. 즉, 사용자 단말(120-1)은 도 7에 도시된 웨이크업 구간에서 일회 이상 웨이크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번 웨이크업 하면 비콘 인터벌(beacon interval)만큼 웨이크업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가능 범위 또는 연결 허용 범위 내에서 웨이크업하여 비콘(710)을 수신할 수 있다. 한 번 비콘(710)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20-1)은 웨이크업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비콘(710)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710)의 수신 세기와 비콘(710)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통신 장치(1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7,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terminal 120-1 to travel from the boundary of the coverage area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s 0.2 seconds, and the user terminal 120-1 is divided into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0.02 seconds to receive the beacon 710 until the user terminal 120-1 reaches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on the assumption that the time taken from the boundary of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s 0.02 seconds, You should wake up more than once in 0.18 seconds. That is, the user terminal 120-1 preferably wakes up more than once in the wakeup period shown in Fig. Also, once wake up, you should keep wake up as much as the beacon interval. Through this, the user terminal 120-1 can receive the beacon 710 by waking up with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or connection permission range. Once receiving the beacon 710, the user terminal 120-1 continuously receives the beacon 710 while maintaining the wakeup state, and transmits the beacon 710 to the beacon 710 And may determine whether to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by comparing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일실시예에 따라 비콘 인터벌을 2ms로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120-1)을 연결 허용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비콘 인터벌의 10배정도 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20-1)은 통신 장치(110)에 도달하기 전에 통신 장치(110)와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전력 절감 모드를 통해,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을 98~99%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Assuming that the beacon interval is 2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ince the time required for moving the user terminal 120-1 within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is 10 times that of the beacon interval, And may establish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before reaching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Further, through the power saving mode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atio of the power saving time to 98 to 99%.

도 8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810)를 기준으로 다양한 거리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들(820-1, 820-2, 820-3)이 도시된다.8, user terminals 820-1, 820-2, and 820-3 located at various distances relative to a communication device 810 are shown.

앞서 설명한 통신 방법은 사용자 단말(120)이 통신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비콘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10)와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패시브 스캐닝(passive scanning) 방식이었다면, 도 8에서는 사용자 단말(810-1, 810-2, 810-3)이 통신 장치(810)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함으로써 통신 장치(810)와의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 방식이 도시된다.The communication method described above is a passive scanning method in which the user terminal 120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based on the beac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110. In FIG 8, 1, 810-2 and 810-3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by transmitting a probe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

사용자 단말(820-1)은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내고, 이 경우, 사용자 단말(820-1)은 연결 허용 범위만큼 전송할 수 있는 전력으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820-1)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은 통신 장치(810)에 수신되지 않는다.The user terminal 820-1 indicates a terminal located outside the communicable range.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820-1 can transmit the probe request with a power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connection allowable range. Thus, the probe request sent from the user terminal 820-1 is not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

사용자 단말(820-2)은 사용자 단말(820-1)이 통신 장치(810)로 이동함에 따라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820-2)은 여전히 연결 허용 범위 내에는 위치하지 못한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연결 허용 범위만큼 전송할 수 있는 전력으로 사용자 단말(820-2)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은 통신 장치(810)에 수신되지 않는다.The user terminal 820-2 indicates a terminal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coverage as the user terminal 820-1 move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 However, the user terminal 820-2 is still not located within the connection tolerance. In this case as well, the probe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820-2 with the power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connection allowable range is not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

사용자 단말(820-3)은 사용자 단말(820-2)이 통신 장치(810)로 더 이동함에 따라 연결 허용 범위의 경계 또는 연결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을 나타낸다. 이 경우, 연결 허용 범위만큼 전송할 수 있는 전력으로 사용자 단말(820-3)로부터 전송된 프로브 요청은 통신 장치(810)에 유효하게 수신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820-3 represents a terminal located within a connection permission range or a connection permission range as the user terminal 820-2 further move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 In this case, the probe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820-3 with the power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connection permission range can be effectively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

통신 장치(810)는 사용자 단말(820-3)로부터 수신한 프로브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820-3)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할 있다. 통신 장치(810)로부터 프로브 응답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820-3)은 현재 위치가 연결 허용 범위 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통신 장치(810)로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810)는 사용자 단말(820-3)로부터 수신한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820-3)로 연결 응답을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통신 장치(810) 및 사용자 단말(820-3) 간의 연결 설정이 수행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810 may send a prob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820-3 in response to a probe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820-3. The user terminal 820-3 receiving the probe respons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can confirm that the current position is within the connection allowable range and can transmit the connec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can send a connection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820-3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820-3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810 and the user terminal 820-3, -3) can be performed.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such as an array,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appli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110: 통신 장치
111: 통신 가능 범위
112: 연결 허용 범위
120-1, 120-2, 120-3: 사용자 단말
110: Communication device
111: Available communication range
112: Connection tolerance
120-1, 120-2, and 120-3:

Claims (19)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A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Receiving a beacon including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Measuring a received strength of the received beacon, comparing the measured received strength and an expected received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And
Transmitting an associa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path loss)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calculated by:
The transmission strength of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ath los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송신 전력(TX power), 안테나 이득(antenna gain), 케이블 손실(cable loss)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calculated by:
Wherein the transmission power is determined based on a TX power, an antenna gain, a cable loss and a path los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교하는,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mparing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Correcting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based on an antenna gain and a cable loss at the user terminal, and comparing the corrected expected reception strength with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다음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다음 프레임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next fram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is less than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nd measuring a reception intensity of the received next frame, Comparing expected received signal strengths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을 포함하고,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수신된 비콘의 Expected RSSI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ed received strength compris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of a beac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expected receive strength comprises an Expected RSSI of a beacon received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비콘에서 1dB의 resolution으로 +30 dBm부터 -226 dBm 사이의 값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ected receive strength comprises a value between +30 dBm and -226 dBm with a resolution of 1 dB in the beac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이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됨에 따라 설정(establish)된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연결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종료되는, 통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established as the connec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erminating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fails to receive any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uring an association timeout period (ATP) included in the beacon.
통신 장치가 수행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통신 방법.
A communication method performed by a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a beacon including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a connec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Lt; / RTI >
The connection request,
Wherein the beac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on request,
And if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on request,
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cted expected reception intensity based on the antenna gain and the cable loss at the user terminal with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beac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calculated by:
The transmission strength of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ath los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송신 전력, 안테나 이득, 케이블 손실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calculated by:
The transmission power at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antenna gain, the cable loss, and the path loss to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에 포함된 ATP(association timeout period)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receiving no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during an association timeout period (ATP) included in the beacon,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 및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측정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
A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beacon including expected reception strength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n association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and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Lt; / RTI >
The connection request,
And if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contained in the beac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수신 세기는,
상기 통신 장치에서 전송된 비콘의 전송 세기 및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s calculated by:
Wherein th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mined by the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a transmission strength of the beac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a path loss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안테나 이득 및 케이블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 수신 세기를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예상 수신 세기를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와 비교하는, 사용자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ocessor comprising:
Correcting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based on antenna gain and cable loss at the user terminal and comparing the corrected expected reception strength to the measured reception strength.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수신 세기가 상기 예상 수신 세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다음 프레임의 수신 세기 및 상기 다음 프레임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를 비교하는, 사용자 단말.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rocessor comprising:
Measuring a reception intensity of a next fram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measured reception intensity is less than the expected reception intensity and comparing a reception intensity of the measured next frame and an expected reception intensity included in the next frame ,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비콘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비콘에 통신 장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예상 수신 세기를 포함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립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수신된 비콘의 수신 세기가 상기 비콘에 포함된 예상 수신 세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통신 장치.
1. A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beacon to the user terminal; And
A processor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based on a connec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Lt; / RTI >
The connection request,
And if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beacon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expected reception strength included in the beacon, the communication device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KR1020160085028A 2015-07-09 2016-07-05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touch ac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5100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6304A JP6879685B2 (en) 2015-07-09 2016-07-08 A communication method that performs a touch action, a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the above method, and a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8021 2015-07-09
KR1020150098021 2015-07-09
KR20150127270 2015-09-08
KR1020150127270 2015-09-08
KR20150147143 2015-10-22
KR1020150147143 2015-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141A true KR20170007141A (en) 2017-01-18
KR102510008B1 KR102510008B1 (en) 2023-03-15

Family

ID=5799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028A KR102510008B1 (en) 2015-07-09 2016-07-05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touch ac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0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510B1 (en) * 2018-11-13 2019-10-23 주식회사 엘핀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osition of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193A (en) * 2003-04-25 200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association of device to a piconet
JP2005252495A (en) * 2004-03-02 2005-09-15 Fuji Xerox Co Ltd Data supply apparatu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them
KR20100018296A (en) * 2008-08-06 2010-02-17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Method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reception signal strength and base station for providing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153281A (en) * 2012-01-24 2013-08-08 Sony Corp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proximity determination method,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193A (en) * 2003-04-25 200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association of device to a piconet
JP2005252495A (en) * 2004-03-02 2005-09-15 Fuji Xerox Co Ltd Data supply apparatu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them
KR20100018296A (en) * 2008-08-06 2010-02-17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Method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reception signal strength and base station for providing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153281A (en) * 2012-01-24 2013-08-08 Sony Corp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proximity determination method, program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510B1 (en) * 2018-11-13 2019-10-23 주식회사 엘핀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osition of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008B1 (en)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66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autoscaling in a resource-constrained network
US9749955B2 (en) Connectivity management for mobile wireless low-power wake-up radios
US9877158B2 (en) Wi-Fi scan scheduling and power adaptation for low-power indoor location
US9066327B2 (en) Low energy wireless proximity pairing
US11546013B2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ranging operation by using ultra wide-band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US9635690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40801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077640B2 (en) D2D connection recovery scheme
US693456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2305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standard
US9974040B1 (en) Peer to peer ranging exchange
KR1020082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terminal in wireless environment
KR100848139B1 (en) Automatic Network Configuration Setup Apparatus and Method between Adjacent Short-Range Wireless Terminals
US20220321240A1 (en) Beam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55114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 communication using active communication mode
KR20150132271A (en) Intelligent beaconing by software-enabled access point
WO2017003586A1 (en) Soft access point backend data connection speed within a wi-fi beacon
Moravek et al. Energy Analysis of Received Signal Strength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US20150098348A1 (en) Wireless communicat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apparatus
EP3130160B1 (en) Wireless docking/undocking using fine time measurement
US96550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10008B1 (en) Communication method for performing touch ac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user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6879685B2 (en) A communication method that performs a touch action, a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the above method, and a user terminal.
KR20190019958A (en) Adaptive inactivity timeout management
JP2013153322A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