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603A -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603A
KR20170004603A KR1020150095188A KR20150095188A KR20170004603A KR 20170004603 A KR20170004603 A KR 20170004603A KR 1020150095188 A KR1020150095188 A KR 1020150095188A KR 20150095188 A KR20150095188 A KR 20150095188A KR 20170004603 A KR20170004603 A KR 20170004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beacon receiver
signal
mobile termi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용
박성재
민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얍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to KR102015009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603A/ko
Publication of KR2017000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AP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수신기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주파수 감지부와, 상기 주파수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비콘 수신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ACON RECEIVER USING IDENTIFICATION OF RADIO FREQUENCY}
본 발명은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 인프라의 확충과 인터넷의 보급,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현대인들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 예컨대 모바일 기기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통신 서비스를 기초하여 인터랙티브 서비스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인터렉티브 서비스는 기존 단방향 데이터 전송에서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서비스 형태를 말한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AP(Access Point) 및 이러한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 단말기가 필수적이다.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기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모듈의 활성화 상태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단말기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모듈을 온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렉티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단말기에서는 상기 모듈을 향상 온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량이 급증하여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는 단말기에 비해 배터리의 소모가 빠르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91155호(2004.10.27 공개)
본 발명은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가 스캐닝될 때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켜 비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지역에서의 비콘 수신기의 동작을 막아 모바일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는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주파수 감지부와, 상기 주파수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비콘 수신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는 상기 주파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무선 주파수를 갖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는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유무선 AP에 대한 위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위치 정보 도출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비콘 수신기가 활성화된 후 상기 비콘 수신기가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고 기 설정된 변동 패턴으로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번호를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를 수신하여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며,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 수신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은 유무선 AP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수신기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 설정된 반경 내의 무선 신호의 스캐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주파수가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은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유무선 AP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비콘 수신기가 활성화된 후 상기 비콘 수신기가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고 기 설정된 변동 패턴으로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번호를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를 수신하여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며,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은 상기 비콘 수신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가 스캐닝될 때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켜 비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불필요한 지역에서의 비콘 수신기의 동작을 막아 모바일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로컬 인터랙티브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로컬 인터랙티브 플랫폼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신호 기반의 로컬 인터랙티브 플랫폼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50), 유무선 AP(100), 모바일 단말(120), 위치 서버(140) 및 콘텐츠 서버(1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50)은 모바일 단말(120)에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로서, 모바일 단말(120)과 동기화되어 복수의 측위 기준 신호를 모바일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50)은 동시에 각각 다른 측위 기준 신호, 예컨대 프리엠블 신호를 모바일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20)은 상관기(correlator)를 통해 각 기지국(50)의 측위 기준 신호를 복원한 후 각 기지국(50)의 측위 기준 신호가 모바일 단말(120)에 도달하는 수신 시간 간의 차이값을 산출하며, 산출한 수신 시간간의 차이값을 TODA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모바일 단말(120)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유무선 AP(100)는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고 미리 설정된 변동 패턴으로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무선 AP(100)는 인터넷망으로 통신하는 PC의 스피커 혹은 스피커가 장착된 전용 AP를 통해 음파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 서버(140) 및 콘텐츠 서버(160) 등에 접속하여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모바일 단말(120)은 고유 식별 정보를 구비하며, 기록매체에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20)은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유무선 AP(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비콘 수신기(130)를 구비하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비콘 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정보를 위치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모바일 단말(12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수신기(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컨대 블루투스 3.0, 블루투스 LE(Low Energy), WiFi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위치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고유 정보, 고유 식별 정보 및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고, 고유 정보와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를 콘텐츠 서버(160)에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160)는 고유 정보와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리 매핑된 멀티 포맷 콘텐츠 정보를 모바일 단말(12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20)은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한 후 이를 기반으로 비콘 수신기(1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도 2의 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위치 기반의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위치 기반의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는 주파수 감지부(205),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 전원부(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위치 기반의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는 신호 세기 측정부(230), 메모리(235), 위치 정보 도출부(24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감지부(205)는 기 설정된 반경 내 스캐닝을 통해 모바일 단말(120)이 수신 가능한 무선 신호에 대한 무선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감지부(205)는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며,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감지됨에 따라 감지 알림 신호를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초음파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 신호이거나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무선 신호이거나 5GHz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무선 신호 이거나 60GHz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 무선 신호 일 수 있다.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무선 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감지됨에 따라 비콘 수신기(1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감지 알림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부(220)에 동작 신호를 인가시켜 비콘 수신기(130)에 전원을 공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수신기(130)는 전원 온 되어 외부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모듈(210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모듈(210a)은 모바일 단말(120)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번호를 콘텐츠 서버(160)에 전송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모듈(210a)은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에 의해 비콘 수신기(130)가 활성화된 후 유무선 AP(100)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120)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번호를 콘텐츠 서버(160)에 전송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콘텐츠는 모바일 단말(120)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세기 측정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부(230)는 주파수 감지부(205)에 의해 감지된 무선 주파수에 대한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무선 신호의 세기 값을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무선 신호의 세기 값과 기 설정된 임계 값의 비교를 통해 비콘 수신기(130)에 대한 활성화 여 부를 판단하여 비콘 수신기(13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무선 신호의 세기 값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일 경우에 전원부(220)의 제어를 통해 비콘 수신기(1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비콘 수신기(1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35) 및 위치 정보 도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5)에는 복수의 유무선 AP(100)에 대한 위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가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235)에 저장된 복수의 유무선 AP(100)에 대한 위치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외부 서비스 서버(미도시됨)로부터 제공받아 업데이트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도출부(240)는 모바일 단말(120) 내의 GPS 수신기(미도시됨)와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복수의 기지국(50), 즉 기 설정된 반경 내 통신 가능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지국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관성 센서부(미도시됨)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한 위치 정보를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에 제공할 수 있다.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위치 정보 도출부(240)에 의해 도출된 모바일 단말(120)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235)에 저장된 유무선 AP(100)의 위치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비콘 수신기(13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모바일 단말(120)의 위치 정보와 기 설정된 오차 범위에서 일치한 유무선 AP(100)의 위치 정보가 메모리(235)에 존재할 경우 전원부(220)의 제어를 통해 비콘 수신기(130)에 전원을 공급하여 비콘 수신기(1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는 주파수 감지부(205)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수신 가능한 무선 신호에 대한 스캐닝을 통해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한다(단계 302).
이후,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는 감지한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04).
단계 304의 판단 결과,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인 경우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는 신호 세기 측정부(230)를 통해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 후(단계 306), 측정한 신호의 세기를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이후,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08).
단계 308의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비콘 수신기 제어부(210)는 전원부(220)에 동작 신호를 인가하여 비콘 수신기(13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비콘 수신기(130)를 활성화시킨다(단계 310). 이에 따라, 비콘 수신기(130)는 구동되어 외부의 유무선 AP(1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312).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모듈(210a)은 모바일 단말(120)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비콘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모바일 단말(120)의 고유 번호를 콘텐츠 서버(160)에 전송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20)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단계 304의 판단 결과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아니거나 단계 308의 판단 결과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 값 미만일 경우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는 단계 302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무선 신호의 세기 값을 기반으로 비콘 수신기(13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가 감지될 경우 모바일 단말(120)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235)에 저장된 유무선 AP(100)의 위치 정보의 비교를 통해 비콘 수신기(13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된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 : 기지국
100 : 유무선 AP
120 : 모바일 단말
130 : 비콘 수신기
140 : 위치 서버
160 : 콘텐츠 서버
200 :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205 : 주파수 감지부
210 : 비콘 수신기 제어부
220 : 전원부
230 : 신호 세기 측정부
235 : 메모리
240 : 위치 정보 도출부

Claims (9)

  1. 유무선 AP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수신기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주파수 감지부와,
    상기 주파수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비콘 수신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는,
    상기 주파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무선 주파수를 갖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는,
    상기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유무선 AP에 대한 위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위치 정보 도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비콘 수신기가 활성화된 후 상기 비콘 수신기가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고 기 설정된 변동 패턴으로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번호를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를 수신하여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며,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 수신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5. 유무선 AP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수신기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에서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 설정된 반경 내의 무선 신호의 스캐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주파수가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은,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와 복수의 유무선 AP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간의 비교를 통해 상기 비콘 수신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비콘 수신기가 활성화된 후 상기 비콘 수신기가 위치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고 기 설정된 변동 패턴으로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번호를 콘텐츠 서버에 전송하여 콘텐츠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를 수신하여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며,
    상기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은,
    상기 비콘 수신기를 동작시킨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095188A 2015-07-03 2015-07-03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04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88A KR20170004603A (ko) 2015-07-03 2015-07-03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88A KR20170004603A (ko) 2015-07-03 2015-07-03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603A true KR20170004603A (ko) 2017-01-11

Family

ID=5783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88A KR20170004603A (ko) 2015-07-03 2015-07-03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6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078A (ko)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에스원 초음파 인식 기술을 활용한 재실자 감지 보안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155A (ko) 2002-03-28 2004-10-27 노키아 코포레이션 비콘 신호의 수신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 수신기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155A (ko) 2002-03-28 2004-10-27 노키아 코포레이션 비콘 신호의 수신 시간을 결정하는 방법, 수신기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9078A (ko)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에스원 초음파 인식 기술을 활용한 재실자 감지 보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6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자동 연결 방법 및 장치
US942672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scanning
US8571600B2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wireless devices
KR100848139B1 (ko) 근접한 무선 단말 간의 네트워크 자동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779767B1 (ko) 신호 분석을 통한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JP2014192813A (ja) チャネル毎の電波受信強度に基づいて特定位置を検知する端末、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21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CN105007566A (zh) 一种室内外定位快速切换方法及系统
CN108040357A (zh) 移动终端无线局域网扫描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
KR101754535B1 (ko) Ble 기반 위치 측량을 위한 rssi 신호 보정 시스템 및 방법
US10725181B2 (en) In-band pseudolite wireless positioning method, system and device
CN107820302A (zh) 移动终端无线局域网扫描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
US10687197B2 (en) Terminal discovery at a gateway node
US2016032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uperpixel clusters
EP27671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evice
KR101603160B1 (ko) 네트워크 연동 기능을 가진 비콘 게이트웨이를 이용하는 비콘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콘 신호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04603A (ko) 무선 주파수 식별을 통한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37089A (ko) 무선 송수신기의 커버리지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440577B1 (ko) 이동형 라우터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동형 라우터를 인식하는 장치
KR101785985B1 (ko) 버스 정류장 위치 정보 기반의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19062B1 (ko) 지하철 진출입 기반의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50572B1 (ko)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099650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移動速度検出方法
KR101769920B1 (ko) 핑거프린트 수집을 통한 이동 동선 기반의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US8254960B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selectively sending location update request to cellular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