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68A - Inside mirro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Inside mirro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68A
KR20170004368A KR1020150094633A KR20150094633A KR20170004368A KR 20170004368 A KR20170004368 A KR 20170004368A KR 1020150094633 A KR1020150094633 A KR 1020150094633A KR 20150094633 A KR20150094633 A KR 20150094633A KR 20170004368 A KR20170004368 A KR 20170004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troller
unit
function
tou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8893B1 (en
Inventor
손정권
강동욱
전병철
최형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893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8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ide mirror for a vehicle, comprising: a mirror housing; a mirror coupled to the mirror housing; at least one touch unit coupled to the mirror housing and coming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a body of a user to receive touch input; and a controller transmitting data signal to the touch unit and receiving the data signal from the touch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ouch is inputted into the touch unit when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and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unit are different.

Description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 for vehicle}[0001] Inside mirror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부를 적용하여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hicle mirro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hicle mirror that improves convenience and safety by applying a touch portion.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자동차의 운전석이 위치한 앞 좌석에는 주행 시에 전면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차내 유입을 방지하면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윈드실드 글래스가 장착 되어 있고, 윈드실드 글래스를 비롯하여 앞 좌석 측면의 윈도우 글래스에는 운전자의 후방시야와 측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인사이드 미러(Inside mirror)와 아웃사이드 미러(Outside mirror)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Generally, in a vehicle, a windshield glass is installed in a front seat where a driver's seat of the automobile is located so as to block the wind blowing from the front at the time of driving and to secure a forward visibility while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vehicle. And the window glass on the side of the front seat is provided with an inside mirror and an outside mirror to secure a rear view and a rear view of the driver, respectively.

예를 들어, 인사이드 미러는 백미러(Back mirror) 또는 룸미러(Room mirror)라고도 하며,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거나 좌우회전 또는 유턴을 하기 전에 후방의 상황을 살피기 위하여 주시하는 것으로, 인사이드 미러를 통해 전후방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n inside mirror is also referred to as a back mirror or a room mirror. The inside mirror is used to monitor the rear situation before the driver changes lanes or turns left or right or turns on. Can be determined.

일반적으로 인사이드 미러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차실 내측 면의 상부에 부착됨으로써, 주행 시에 운전자가 후속 차량의 동태와 차간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운전에 기여하게 된다.In general, the inside mirror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surface of the cabin of the windshield glass,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recognize the dynamic state of the following vehicle and the vehicle-to-vehicle distance during driving, thereby contributing to safe driving.

최근 차량에 ETC 기능, ECM 기능, RCD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었고,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이 인사이드 미러에 내장됨으로써, 인사이드 미러는 미러 본연의 기능뿐만 아니라 ETC 기능, ECM 기능, RCD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Recently, various functions such as ETC function, ECM function, RCD function and the like have been added to the vehicle. By incorporating these various functions in the inside mirror, the inside mirror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ETC function, ECM function, RCD function .

따라서, 인사이드 미러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푸쉬 버튼이 구비되었고, 사용자가 푸쉬 버튼을 일정 힘으로 푸쉬할 경우, 인사이드 미러의 각도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inside mirror has a plurality of push button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nd when the user pushes the push button with a certain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gle of the inside mirror is changed.

또한, 푸쉬 버튼은 기계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푸쉬 버튼을 정확하게 푸쉬하여야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푸쉬 버튼을 푸쉬하기 위해서는 푸쉬 버튼을 주시하면서 푸쉬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 중에 푸쉬 버튼을 푸쉬할 경우, 전방을 주시하기 어려워 사고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Also, since the push button operates mechanically, the driver must operate the push button precisely. Accordingly, the driver must push the pushbutton while pushing the pushbutton. Therefore, when the pushbutton is pushed while the driver is driving, it is difficult to see the forward dire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부를 적용하여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vehicle mirror for a vehicle that improves convenience and safety by applying a touch por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는, 미러 하우징; 상기 미러 하우징에 결합되는 미러; 상기 미러 하우징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어 터치 입력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부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상기 터치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상이한 경우, 상기 터치부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terior mirror including: a mirror housing; A mirror coupled to the mirror housing; At least one touch part coupled to the mirror housing, the at least one touch part being in contact with a part of a user's body to receive a touch input; And a controll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data signal to and from the touch unit. When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is different from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touch unit is touch input.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타측에 인접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접촉부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접촉될 경우, 상기 컨트롤러에서 송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uching portion includes a contact portion to which a part of the user's body is contacted; And an electrod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ortion, wherein the electrode portion can change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일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pattern formed in an engraved or embossed pattern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user to which it is to be contacted.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는 일측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pattern formed in an angled or embossed pattern on one side.

몇몇의 실시예에서, 빛을 출사하여 상기 터치부를 발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emit the touch portion.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터치부를 향해 출사하는 광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ight guid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guide for e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touch portion.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부에 터치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소정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when determining that the touch input has been made to the touch portion.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은, ECM(Electronic Toll Collection) 기능, ECM(Electronic Chromic Mirror) 기능 및 RCD(Rear Camera Display)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predetermined function may be at least one of an ECM (Electronic Toll Collection) function, an ECM (Electronic Chromic Mirror) function, and an RCD (Rear Camera Display) function.

몇몇의 실시예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부에 터치 입력을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진동 출력 유닛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output unit that generates vibration, and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touch unit receives the touch inpu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vibration output unit to generate vibration.

몇몇의 실시예에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부에 터치 입력을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음성 출력 유닛에서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and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touch unit has received the touch input,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voice output unit to output a voice message.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TTL(Transistor & Transistor Logic) 신호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ata signal may be a TTL (Transistor & Transistor Logic) signal.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2개의 터치부에서 동시에 터치 입력을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각각의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소정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touch inpu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two touch units of the plurality of touch units receive a touch input at the same time I can no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in-vehicle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터치부를 통해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의 다양한 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작동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By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in-vehicle mirror through the touch par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perational convenience and safety of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가 차량 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에 터치 입력이 된 경우, 데이터 신호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된 경우, 출력 유닛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터치부에 터치 입력이 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nterior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vehicl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side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data signal is changed when a touch is input to a tou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vehicle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A portion of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utput unit is driven when a user's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a tou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where touch input is performed on two touch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taken to spec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interior mirr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가 차량 내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interior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1)는 윈드 실드 글래스의 차실 내측면의 상부에 부착되어 차량 주행 시에 운전자로 하여금 후속 차량의 동태와 차간 거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사이드 미러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미러는 차량 내에 구비되는 각종 미러일 수 있다.1, a vehicle mirr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an inner side surface of a windshield glass of a windshield glass so that a driver can recognize a dynamic state of a following vehicle and an int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vehicle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vehicle interior mirrors It can be a mirro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에 터치 입력이 된 경우, 데이터 신호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side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a data signal is changed when a touch is input to a tou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vehicle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1)는 미러 하우징(100, 도 4 참고), 미러(200, 도 4 참고), 터치부(300) 및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1)는,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모듈(500), ECM(Electronic Chromic Mirror) 모듈(600), RCD(Rear Camera Display) 모듈(700) 및 출력 유닛(800)을 포함한다. 2 to 4, a vehicle interior mirr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rror housing 100 (see FIG. 4), a mirror 200 (see FIG. 4), a touch portion 300, (400). The vehicle inside mirror 1 includes an ETC (Electronic Toll Collection) module 500, an ECM (Electronic Chromic Mirror) module 600, an RCD (Rear Camera Display) module 700 and an output unit 800 do.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100)은 일측에 미러(2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윈드 실드 글래스 상단부에 위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전방 시야를 유지하면서도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윈드 실드 글래스 상단부에 장착되는 스테이에 부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mirror housing 100 can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mirror 200, and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windshield glass to allow the driver to adjust the windshield It can be attached to a sta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gla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은 미러(200)와 터치부(300)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미러(200)와 터치부(300)이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을 전부 형성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is formed of a mirror 200 and a touch portion 300. In other words, the mirror 200 and the touch portion 300 all form one side surface of the mirror housing 100.

미러 하우징(100)은 내부에 각종 구성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러 하우징(100)은 내부에 ETC 모듈(500), ECM 모듈(600), RCD 모듈(700) 및 출력 유닛(800)이 수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러 하우징(100)은 내부에 미러 하우징(100)을 스테이에 부착시키거나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구송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irror housing 100 may have a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components therein. The ETC module 500, the ECM module 600, the RCD module 700, and the output unit 800 are accommodated in the mirror housin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mirror housing 100 may include various sliding element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attaching the mirror housing 100 to the stay 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irror.

미러 하우징(100)은 타측면(미부호)과 타측면의 경계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미부호)을 포함한다. 미러 하우징(100)의 측벽의 일측 단부(미도시)에는 미러(200)가 결합된다. 예를 들면, 미러(200)는 미러 하우징(100)의 측벽의 일측단부에 열융착, 접착제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irror housing 100 includes sidewalls (not shown)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other side (not shown) and the other side. The mirror 200 is coupled to one side end (not shown) of the side wall of the mirror housing 100. For example, the mirror 200 may be bonded to one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mirror housing 100 by heat fusion, an adhesive,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미러(200)는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미러(200)는 터치부(300)과 함께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은 차량의 후방 방향을 의미한다.Accordingly, the mirror 200 forms a part of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In other words, the mirror 200 can form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together with the touch portion 300. Here, one side refers to the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터치부(300)는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300)은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터치부(300)은 미러(200)와 함께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을 형성한다. The touch portion 3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As shown in FIG. 4, the touch portion 300 forms a part of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Accordingly, the touch part 300 forms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together with the mirror 200. [

터치부(30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터치부(300)로 터치 입력을 부여함으로써, 미러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각종 구성 요소를 작동시킬 수 있다. The touch unit 300 receives a touch input from the user. The user can operate various components contained in the mirror housing 100 by giving a touch input to the touch unit 300. [

터치부(300)은 적어도 하나가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터치부(310, 320, 330)이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위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이상의 터치부(300)이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touch parts 3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4, three touch units 310, 320, and 330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300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터치부(310, 320, 330) 중 제1 터치부(310)은 ETC 모듈(500)의 온-오프에 관한 스위치 역할을 하고, 제2 터치부(320)은 ECM 모듈(600)의 온-오프에 관한 스위치 역할을 하며, 또한, 제3 터치부(330)은 RCD 모듈(700)의 온-오프에 관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터치부(3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4, the first touch part 310 of the three touch parts 310, 320, and 330 serves as a switch for on-off of the ETC module 500, and the second touch part 320 Off function of the ECM module 600 and the third touch unit 330 serves as a switch for on-off of the RCD module 700. [0064] Details of the touch uni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컨트롤러(400)는 미러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미러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각종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러(400)는 미러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각종 구성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컨트롤러(400)는 터치부(30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소정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roller 4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mirror housing 100 and serves to control various configurations accommodated in the mirror housing 100. The controller 400 serves to activate or deactivate functions of various configurations housed in the mirror housing 100.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when it is judged that the touch input is made to the touch unit 300.

소정의 기능은, ECM(Electronic Toll Collection) 기능, ECM(Electronic Chromic Mirror) 기능, RCD(Rear Camera Display) 기능, 블루 링크 기능 및 홈 림크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기능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The predetermined function may be at least one of ECM (Electronic Toll Collection) function, ECM (Electronic Chromic Mirror) function, RCD (Rear Camera Display) function, BlueLink function and Home Rim fun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does not exclude other functions.

컨트롤러(400)는 터치부(300)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터치부(30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터치부(300)로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여 터치부(300)에 터치 입력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400 transmits and receives a data signal to and from the touch unit 300 and compar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300 with the data signal received by the touch unit 300, .

컨트롤러(400)는 터치부(30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400)는 미러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복수의 터치부(310, 320, 330)이 위치된 경우, 각각의 터치부(310, 320, 330)로 데이터 신호(S1, S2, S3)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신호는 TTL(Transistor & Transistor Logic) 신호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ler 400 transmits the data signal to the touch unit 300. 3, when the plurality of touch parts 310, 320, and 330 ar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mirror housing 100,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touch parts 310, 320, And transmits the data signals S1, S2, and S3.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ignal is a TTL (Transistor & Transistor Logic)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컨트롤러(400)는 각각의 터치부(310, 320, 33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S1, S2, S3)를 각각의 터치부(310, 320, 330)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400)는 터치부(30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터치부(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여 터치부(300)의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400 receives the data signals S1, S2, and S3 transmitted from the touch units 310, 320, and 330 through the touch units 310, 320, and 330, respectively. The controller 400 compar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300 with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unit 30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uch unit 300 is touch input.

예를 들면,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S1)와 제1 터치부(3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S1)가 동일할 경우,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S1)와 제1 터치부(3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S1')가 상이할 경우,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For example, when the data signal S1 transmitted to the first touch unit 310 is the same as the data signal S1 received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first touch unit 310 are not touch input. When the data signal S1 transmitted to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data signal S1 'received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first touch unit 310 As shown in Fig.

컨트롤러(400)는 터치부(30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미러 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각종 구성 중 터치 입력된 터치부(300)에 대응되는 구성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touch panel 300 to display a touch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ortion 300. When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touched portion 300 is touched, Lt; / RTI >

예를 들면, 컨트롤러(400)는 미러 하우징(100)에 수용된 ETC 모듈(500)에 대응되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ETC 모듈(500)의 ETC 기능을 활성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ETC 모듈(500)의 ETC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일 경우, 컨트롤러(400)는 ETC 모듈(500)의 ETC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ETC 모듈(500)의 ETC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일 경우, 컨트롤러(400)는 ETC 모듈(500)의 ETC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corresponding to the ETC module 500 accommodated in the mirror housing 100 is touch-operated, the controller 400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ETC function of the ETC module 500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inactivating the control signal. That is, when the ETC function of the ETC module 500 is activated,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eactivating the ETC function of the ETC module 500. When the ETC function of the ETC module 500 is deactivated,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ETC function of the ETC module 500.

또한, 컨트롤러(400)는 터치부(30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채널(TX1, TX2, TX3)과 터치부(3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채널(RX1, RX2, RX3)을 포함한다. The controller 400 includes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and TX3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to the touch unit 300 and reception channels RX1, RX2 and RX3 for receiving data signals from the touch unit 300 d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400)는 복수의 터치부(310, 320, 33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각각의 송신 채널(TX1, TX2, TX3)과 복수의 터치부(310, 320, 33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수신 채널(RX1, RX2, RX3)을 포함한다. 3, the controller 400 includes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and TX3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to a plurality of touch units 310, 320 and 330 and a plurality of touch units 310 and 320 RX2, and RX3, which receive data signals from the base stations 330, 330, respectively.

또한, 컨트롤러(400)는 출력 유닛(800)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that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function of the output unit 8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출력 유닛(800)은 터치부(300)에 대한 터치 입력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출력 유닛(300)은 광학 출력 유닛(810), 진동 출력 유닛(820) 및 음성 출력 유닛(830)을 포함한다. The output unit 800 informs the user whether or not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The output unit 300 includes an optical output unit 810, a vibration output unit 820, and a voice output unit 830.

광학 출력 유닛(810)은 미러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며, 터치부(300)에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광량을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부(300)의 터치 입력 여부를 시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The optical output unit 810 is installed in the mirror housing 100 and can increase the amount of ligh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unit 300. 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whether or not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진동 출력 유닛(820)은 미러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며, 터치부(300)에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부(300)의 터치 입력 여부를 촉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The vibration output unit 820 is installed in the mirror housing 100 and generates vibration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 the touch unit 300.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or not through a tactile sens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음성 출력 유닛(830)은 미러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며, 터치부(300)에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부(300)의 터치 입력 여부를 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The voice output unit 830 is installed in the mirror housing 100 and outputs a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touch unit 300.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touch unit 300 is touched or not through auditory sense. Details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모듈(500)은 미러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다. ETC 모듈(500)은 차량이 고속 도로와 같은 유료 도로를 이용할 때 요금소 시스템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요금을 징수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ETC 모듈(500)은 컨트롤러(40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ETC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다시 말하면, ETC 모듈(500)은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된다. A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ETC) module 500 is installed in the mirror housing 100. The ETC module 500 is a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ollgate system to exchange necessary information and collect fees when a vehicle uses a toll road such as a highway. The ETC module 500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ETC function by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In other words, the ETC module 5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0.

또한, ECM(Electronic Chromic Mirror) 모듈(600)은 미러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다. ECM 모듈(600)은 미러(200)에 들어오는 빛을 광 센서 등을 통해 자동으로 감지하여 미러의 반사율을 낮추어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ECM 모듈(600)은 컨트롤러(40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ECM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다시 말하면, ECM 모듈(600)은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된다.Also, an ECM (Electronic Chromic Mirror) module 600 is installed in the mirror housing 100. The ECM module 600 means a module that automatically detects the light entering the mirror 200 through an optical sensor or the like to reduce the reflectance of the mirror to prevent the driver's glare. The ECM module 600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ECM function by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 In other words, the ECM module 6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0.

RCD(Rear Camera Display) 모듈(700)은 미러 하우징(100) 내에 설치되며, 미러(200)의 타측에 위치된다. RCD 모듈(700)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Rear Camera)에서 촬영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RCD 모듈(700)은 컨트롤러(40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RCD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다시 말하면, RCD 모듈(700)은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된다.An RCD (Rear Camera Display) module 700 is installed in the mirror housing 100 and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rror 200. The RCD module 700 means a module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 rear camera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driver. The RCD module 700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RCD function by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In other words, the RCD module 7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0.

또한,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1)는 블루 링크 모듈(미도시), 홈 링크 모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 링크 모듈(미도시)은 차량의 고객 서비스 센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나 제조자가 설정한 전화번호로 전화 연결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inside mirror 1 may include a blue link module (not shown), a home link module (not shown), and the like. A blue link module (not shown) refers to a module that connects to a telephone number designated by a user or a telephone number set by a manufacturer, such as a customer service center of a vehicle.

또한 홈 링크 모듈(미도시)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무선 태그가 구비되고, 주차장 등에 설치된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가 무선 태그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주차장의 문을 오픈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In addition, a home link module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radio tag such as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the device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dio tag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dio tag, Module.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300)은 접촉부(311), 전극부(312) 및 기판(313)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touch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unit 311, an electrode unit 312, and a substrate 313.

접촉부(311)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F, 도 3 참고)가 접촉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면, 접촉부(311)는 사용자의 손가락(F) 등이 직접 닿는 부분이다. The contact portion 311 is a portion where the user's body part (F, see FIG. 3) is contacted. For example, the contact portion 311 is a portion directly touching the user's finger F or the like.

접촉부(311)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일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패턴(311a)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F) 등이 접촉부(311)에 직접 닿게 될 경우,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패턴(311a)을 통해 정확하게 터치부(300)에 접촉하였음을 촉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311 includes a pattern 311a formed on the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user to be engraved or embossed. Accordingly, when the user's finger F or the like directly touches the contact portion 311, it can be recognized as a tactile sense that the contact with the touch portion 300 through the pattern 311a formed with a negative or positive angle.

전극부(312)는 접촉부(311)의 타측에 인접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타측은 차량의 전방 방향을 의미한다. 전극부(312)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부(312)에 접촉될 경우, 컨트롤러(400)에서 터치부(300)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변경한다. The electrode portion 31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ortion 31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side means the front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electrode unit 312 chang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00 to the touch unit 300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touches the contact unit 312.

전극부(312)는 일측면에 접촉부(311)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요철 형상(312a) 을 갖는다. 복수의 요철 형상(312a)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요철 형상(312a)의 단면은 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portion 312 has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shapes 312a protruding toward the contact portion 311 on one side. The plurality of irregularities 312a may b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addition, the cross-s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cave-convex shapes 312a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a triangle shape, a semicircular shape, or the like.

예를 들면, 접촉부(311)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할 경우, 접촉부(311)를 통해 신체에 흐르는 전류 등이 전극부(312)가 형성하는 전자기장을 변화시킨다. 터치부(300)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는 전극부(312)가 형성하는 전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변경된다.For example,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touches the contact portion 311, a current or the like flowing through the contact portion 311 changes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ed by the electrode portion 312.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300 is changed by the chang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ed by the electrode unit 312.

다시 말하면, 터치부(30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F)가 접촉되어 터치 입력을 받을 경우, 컨트롤러(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변경하여 컨트롤러(400)로 송신한다.In other words, the touch unit 300 changes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4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400 when the user touches the body part F to receive the touch input.

다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극부(312)는 일측면에 복수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극부의 일측면을 평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de part 312 may not have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shapes on one side. In other words, in some embodiments, one side of the electrode portion may be a flat plane.

기판(313)은 전극부(3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전극부(312)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판(313)은 기재 표면에 복수의 회로가 형성된 것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류, 컨트롤러에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기판(313)에는 컨트롤러(40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채널과 컨트롤러(40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채널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bstrate 3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unit 312 and supports the electrode unit 312. The substrate 313 has a plurality of circuits formed on the substrate surface, and receives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The substrate 313 may be provided with a reception channel for receiving a data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0 and a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the controller 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출력 유닛(810)은 광 가이드(811)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812)을 포함한다. The optical output unit 8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guide 811 and at least one light source 812. [

광원(812)은 빛을 출사하여 터치부(300)의 접촉부(311)를 발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원(812)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ight source 812 emits light to emit the contact portion 311 of the touch portion 300. The light source 812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LD (Laser Diode) or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광원(812)은 광 가이드(811)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광 가이드(811)를 향해 빛을 출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원(812)은 복수개가 구비된다. At least one light source 812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light guide 811 and emits light toward the light guide 811.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812 are provided.

또한, 광원(812)은 컨트롤러(40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컨트롤러(400)는 차량의 시동이 켜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1, 도 1참고)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광원(812)을 온(ON)시키고, 차량의 시동이 껴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광원(812)을 오프(OFF)시킨다. Further, the light source 812 is on-off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0. [ The controller 400 turns on the light source 812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and power is applied to the vehicle inside mirror 1 (see FIG. 1) When the power source is not applied, the light source 812 is turned off.

또한, 컨트롤러(400)는 광원(812)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터치 입력된 제1 터치부(310)에 대응되는 광원(812)에서 출사하는 광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된 제1 터치부(310)가 다른 터치부(320, 330)보다 더 밝게 발광하여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해당 터치부에 터치 입력이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도 6 참고).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0 can control the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812. [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a touch input is made to the first touch unit 310,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8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unit 310 . Accordingly, the first touch unit 310 that is touched can emit brighter light than the other touch units 320 and 33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touch unit has been touched (refer to FIG. 6).

다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차량의 시동이 켜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1)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라도 컨트롤러(400)는 광원(812)을 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컨트롤러(400)는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터치 입력된 터치부(310)에 대응되는 광원(812)을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400 may not turn on the light source 812 eve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vehicle inside mirror 1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controller 400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812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310 to be turned on or off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광 가이드(811)는 접속부(311)와 전극부(312) 사이에 위치된다. 광 가이드(811)에는 광원(812)에서 출사된 빛이 입사된다. 또한, 광 가이드(811)는 광원(812)에서 출사된 빛을 터치부(310)의 접촉부(311)를 향해 출사하는 역할을 한다. The light guide 811 is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11 and the electrode portion 312.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812 is incident on the light guide 811. The light guide 811 serves to e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812 toward the contact portion 311 of the touch portion 310.

광 가이드(811)는 접촉부(311)를 지지하는 지지부(미부호)와 지지부의 경계로부터 일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미부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접촉부(311)는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광 가이드(811)에 감싸진다. The light guide 811 includes a support portion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contact portion 311 and a side wall portion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ne side. Thus, the contact portion 311 is surrounded by the light guide 811 except for one side.

다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광학 출력 유닛(810)은 터치부(310)의 접촉부(311)를 향해 바로 빛을 출사하여 터치부(310)의 접촉부(311)를 발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output unit 81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directly toward the contact portion 311 of the touch portion 310 and for emitting the contact portion 311 of the touch portion 310 .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터치부(300)과 광학 출력 유닛(810)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ouch unit 300 and the optical output unit 8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1, 도 4 참고)는, 제1 터치부(310), 제2 터치부(320) 및 제3 터치부(330)을 포함한다. 4) includes a first touch part 310, a second touch part 320, and a third touch part 330. The first touch part 310, the second touch part 320, do.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터치부(310)은 복수의 터치부 중 가장 좌측에 위치된다. 제1 터치부(310)은 제1 기능을 을 수행하는 구성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touch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leftmost of the plurality of touch units. The first touch unit 310 functions as a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first func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1 터치부(31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F)가 접촉되는 제1 접촉부(311), 제1 접촉부(311)의 타측에 인접 배치되는 제1 전극부(312) 및 제1 전극부(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기판(313)을 포함한다. 5, the first touch part 310 includes a first contact part 311 for contacting a body part F of the user, a first electrode part 312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tact part 311, And a first substrate 313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312.

제1 접촉부(311)는 일측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제1 패턴(311a)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턴(311a)은 음각으로 형성되나, 이는 일 실시예일뿐이며 제1 패턴은(311a)은 양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contact portion 311 includes a first pattern 311a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311 in a negative or positive angl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attern 311a is formed at an obtuse angle,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first pattern 311a may be formed with an embossed shape.

제1 패턴(311a)은 음각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각의 단면이 반원형, 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턴(311a)은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음각 라인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pattern 311a may have a triangular cross-section, but the shape of the first pattern 311a may be semicircular or quadrilateral. Further,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attern 311a is formed by a plurality of engraved lines formed along one direction.

제1 전극부(312)는 제1 접촉부(311)의 타측에 인접 배치된다. 제1 전극부(312)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F)가 제1 접촉부(311)에 접촉될 경우, 컨트롤러(400)에서 제1 터치부(310)로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변경한다. The first electrode portion 31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311. The first electrode unit 312 chang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00 to the first touch unit 310 when a part F of the user's body contacts the first contact unit 311. [

제1 전극부(312)는 일측면에 제1 접촉부(311)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요철 형상(312a) 을 갖는다. 복수의 요철 형상(312a)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철 형상(312a)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요철 형상(312a)은 삼각형, 반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part 312 has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312a projecting toward the first contact part 311 on one side. The plurality of irregularities 312a may b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plurality of irregularities 312a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irregularities 312a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 semicircular shape, or the like.

제1 기판(313)은 제1 전극부(3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1 전극부(312)를 지지한다. The first substrate 3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312 and supports the first electrode unit 312.

또한, 광학 출력 유닛(810)은 제1 접촉부(311)와 제1 전극부(312) 사이에 위치되는 광 가이드(811)와 광 가이드(811)를 향해 빛을 출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812)을 포함한다. 제1 접촉부(311)와 제1 광 가이드(811)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접촉부와 광 가이드의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optical output unit 810 further includes a light guide 811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311 and the first electrode portion 312 and at least one first light source 810 emitting light toward the light guide 811. [ Gt; 812 < / RTI > The content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311 and the first light guide 811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light guide described above.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로 데이터 신호(S1, 도 3 참고)를 송신한다.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S1)를 제1 터치부(310)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S1)와 제1 터치부(3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S1', 도 3 참고)를 비교하여 제1 터치부(310)의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400 transmits the data signal S1 (see Fig. 3) to the first touch unit 310. [ The controller 400 receives the data signal S 1 transmitted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The controller 400 compares the data signal S1 transmitted to the first touch unit 310 with the data signal S1 'received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Or not).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S1)와 제1 터치부(3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S1')가 상이한 경우,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When the data signal S1 transmitted to the first touch unit 310 is different from the data signal S1 'received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first touch unit 310 to touch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 has been made.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first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제1 기능은 ETC 기능, ECM 기능, RCD 기능, 불루링크 기능 및 홈 링크 기능 중 어느 하나가 된다. The first function is any one of an ETC function, an ECM function, an RCD function, a forward link function, and a home link func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부(310)은 ETC 모듈(500)의 ETC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스위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ETC 모듈(500)의 ETC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touch unit 310 may serve as a switch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ETC function of the ETC module 5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ETC function of the ETC module 5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ETC 모듈(500)은 컨트롤러(4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ETC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즉, ETC 모듈(500)은 ETC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 컨트롤러(4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ETC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ETC 모듈(500)은 ETC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컨트롤러(400)로부터 제1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ETC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다.The ETC module 500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ETC function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That is, the ETC module 500 activates the ETC function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when the ETC function is disabled. In addition, the ETC module 500 deactivates the ETC function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when the ETC function is activated.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광원(812)의 광량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light source 81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예를 들면,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대응되는 제1 광원(812)에서 출사하는 광량이 다른 터치부(320, 330)에 대응되는 광원(미도시)에서 출사되는 광량과 대략 동일한 상태에서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광원(812)에서 더 많은 빛을 출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광원(812)에서 출사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400 may control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s 320 and 330,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8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unit 31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light source 812 to emit more light when it is judged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is touch-inputted. In other words, when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812 can be increased.

또한,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대응되는 제1 광원(812)에서 출사하는 광량이 다른 터치부(320, 330)에 대응되는 광원(미도시)에서 출사되는 광량보다 많은 상태에서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광원(812)에서 출사되는 광량이 다른 터치부(320, 330)의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량과 대략 동일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812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unit 310 to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other touch units 320 and 330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812 can be reduc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of the other touch units 320 and 330 when the first touch unit 310 is touched .

또한, 컨트롤러(400)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기능을 활성화시킬 경우 제1 광원(812)의 광량을 증가시키고,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경우 제1 광원(812)의 광량을 감소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activates the first function, the controller 400 increases the light amount of the first light source 812, and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deactivate the first function, (81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터치부(320)은 제1 터치부(310)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 터치부(320)은 제1 터치부(310)에 대응되는 제1 기능과 상이한 제2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touch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touch unit 310. The second touch unit 320 functions as a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unit 310.

컨트롤러(400)는 제2 터치부(32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러(400)는 제2 터치부(32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를 제2 터치부(320)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400)는 제2 터치부(32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제2 터치부(3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여 제2 터치부(320)의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400 transmits the data signal to the second touch unit 320. [ The controller 400 receiv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touch unit 320 from the second touch unit 320. The controller 400 compar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touch unit 320 with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ouch unit 32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touch unit 320 is touched.

컨트롤러(400)는 제2 터치부(32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제2 터치부(3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상이한 경우, 제2 터치부(32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touch input has been made to the second touch unit 320 when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second touch unit 320 and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touch unit 320 are different.

컨트롤러(400)는 제2 터치부(32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2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second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ouch unit 320 has been touched.

제2 기능은 전술한 제1 기능과 상이한 기능이다. 또한, 제2 기능은 ETC 기능, ECM 기능, RCD 기능, 불루링크 기능 및 홈 링크 기능 중 어느 하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능은 ETC 기능인바, 제2 기능은 ECM 기능, RCD 기능, 불루링크 기능 및 홈 링크 기능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The second function is a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described above. The second function is any one of an ETC function, an ECM function, an RCD function, a forward link function, and a home link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unction is an ETC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can be any one of an ECM function, an RCD function, a link function, and a home link func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부(320)은 ECM 모듈(600)의 ECM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400)는 제2 터치부(32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ECM 모듈(600)의 ECM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touch unit 320 serves as a switch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ECM function of the ECM module 600.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ECM function of the ECM module 600 when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touch unit 320 has been touched.

ECM 모듈(600)은 컨트롤러(400)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ECM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The ECM module 600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ECM function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

즉, ECM 모듈(600)은 ECM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 컨트롤러(400)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ECM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ECM 모듈(600)은 ECM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컨트롤러(400)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ECM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다.That is, the ECM module 600 activates the ECM function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when the ECM function is inactivated. Also, the ECM module 600 deactivates the ECM function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when the ECM function is activa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터치부(330)은 제2 터치부(320)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3 터치부(330)은 제1 터치부(310)에 대응되는 제1 기능과 제2 터치부(320)에 대응되는 제2 기능과 상이한 제3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hird touch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touch unit 320. The third touch unit 330 includes a switch for on-off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thir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unit 320, .

컨트롤러(400)는 제3 터치부(330)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러(400)는 제3 터치부(33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를 제3 터치부(330)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400)는 제3 터치부(33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제3 터치부(3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비교하여 제3 터치부(330)의 터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400 transmits the data signal to the third touch unit 330. [ The controller 400 receiv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hird touch unit 330 from the third touch unit 330. The controller 400 compar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hird touch unit 330 with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third touch unit 33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hird touch unit 330 is touched.

컨트롤러(400)는 제3 터치부(33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제3 터치부(3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상이한 경우, 제3 터치부(33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When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hird touch unit 330 differs from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third touch unit 330,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third touch unit 330 has been touched.

컨트롤러(400)는 제3 터치부(33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3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third func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made to the third touch unit 330.

제3 기능은 전술한 제1 기능 및 제2 기능과 상이한 기능이다. 또한, 제3 기능은 ETC 기능, ECM 기능, RCD 기능, 불루링크 기능 및 홈 링크 기능 중 어느 하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능은 ETC 기능이며, 제2 기능은 ECM 기능인바, 제3 기능은 RCD 기능, 불루링크 기능 및 홈 링크 기능 중 어느 하나가 된다.The third function is a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described above. The third function is any one of an ETC function, an ECM function, an RCD function, a null link function, and a home link fun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unction is the ETC function, the second function is the ECM function, and the third function is one of the RCD function, the link function, and the home link func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터치부(330)은 RCD 모듈(700)의 RCD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400)는 제3 터치부(33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RCD 모듈(700)의 RCD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As shown in FIG. 4, the third touch unit 330 functions as a switch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RCD function of the RCD module 700.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RCD function of the RCD module 7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made to the third touch unit 330.

RCD 모듈(700)은 컨트롤러(400)로부터 제23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RCD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킨다. 즉, RCD 모듈(700)은 RCD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 컨트롤러(400)로부터 제3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RCD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RCD 모듈(700)은 RCD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 컨트롤러(400)로부터 제3 제어 신호가 입력될 경우, RCD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다.The RCD module 700 activates or deactivates the RCD function when the 23r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 That is, the RCD module 700 activates the RCD function when the third control signal is inputted from the controller 400 when the RCD function is inactivated. In addition, the RCD module 700 deactivates the RCD function when the third control signal is input from the controller 400 when the RCD function is activ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된 경우, 출력 유닛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utput unit is driven when a user's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a tou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1) 의 출력 유닛(800, 도 2 참고)이 구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6, a process of driving the output unit 800 (see FIG. 2) of the inside mirror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where the user inputs a touch to the first touch unit 3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사용자는 비활성화된 ETC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을 부여한다. 다시 말하면, 제1 터치부(31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F)가 접촉되어 터치 입력을 받는다. The user grants the touch input to the first touch unit 310 to activate the inactivated ETC function. In other words, the first touch part 310 contacts the body part F of the user to receive the touch input.

제1 터치부(31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경우, 제1 수신 채널(미부호)을 통해 컨트롤러(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변경하고, 변경된 데이터 신호를 제1 송신 채널(미부호)을 통해 컨트롤러(400)로 송신한다(도 3 참고). When receiving the touch input from the user, the first touch unit 310 changes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400 through the first receive channel (unsigned), and transmits the changed data signal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o the controller 400 (see FIG. 3).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를 제1 터치부(310)로부터 수신하고, 제1 터치부(31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제1 터치부(3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비교한다. The controller 400 receiv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touch unit 310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ransmit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to the controller 400. [ And compares the received data signals.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제1 터치부(3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상이할 경우,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is touch input when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are different.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1 터치부(3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광원(812, 도 5 참고)의 광량이 다른 터치부(320, 330)의 광원(미도시)보다 크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 광원(812)은 다른 터치부(320, 330)의 광원보다 큰 광량을 제1 광 가이드(811, 도 5 참고)를 향해 출사한다.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light of the first light source 812 (see FIG. 5)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touch unit 31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touch unit 320 (Not shown) of the light sources 330 and 330. Accordingly, the first light source 812 emits a larger amount of light than the light sources of the other touch units 320 and 330 toward the first light guide 811 (see FIG. 5).

제1 광 가이드(811)는 제1 광원(812)에서 출사된 빛을 제1 터치부(310)의 제1 접촉부(311)를 향해 출사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터치부(310)가 다른 터치부(320, 330)보다 더 발광하게 되어 사용자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first light guide 811 emi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source 812 toward the first contact portion 311 of the first touch portion 310. Accordingly, the first touch unit 310 receiving the touch input of the user emits light more than the other touch units 320 and 33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is touch input have.

또한,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미러 하우징(100)에 설치된 진동 출력 유닛(820, 도 2 참고)이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vibration output unit 820 (see FIG. 2) provided in the mirror housing 100 to generate vibr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진동 출력 유닛(820)은 진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진동 출력 유닛(820)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진동 모터를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는 것을 촉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vibration output unit 820 includes a vibration motor (not shown). Accordingly, the vibration output unit 820 drives the vibration mo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generate vibr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또한,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미러 하우징(100)에 설치된 음성 출력 유닛(830, 도 2 참고)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컨트롤러(400)는 음성 출력 유닛(830)에서 제1 터치부(310)의 터치 입력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제1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을 할 경우, 컨트롤러(400)는 음성 출력 유닛(830)에서 ETC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었다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audio output unit 830 (see FIG. 2) provided in the mirror housing 100 to output a voice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voice output unit 830 to output a voi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unction activated or deactivated by the touch input of the first touch unit 310. [ For example,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touch unit 310,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voice output unit 830 to output a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ETC function is activated or deactivated.

음성 출력 유닛(830)은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터치부(310)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는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어떠한 기능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었는지를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voice output unit 830 outputs a voice mess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0. [ Accordingly, the user can perceptually recognize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has been touched. In addition, the user can perceive audibly whether a function is activated or deactivated.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가 동시에 2개의 터치 입력을 받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touch unit receiving two touch input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을 동시에 신체의 일부(F)를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F)와 접촉하여 터치 입력을 대략 동시에 받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user may touch the first touch part 310 and the second touch part 320 at the same time with a part F of the user's body. Accordingly, the first touch part 310 and the second touch part 320 can contact the body part F of the user to receive the touch input at about the same tim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터치부(310)은 컨트롤러(4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S1)를 변경하여 컨트롤러(4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터치부(320)도 컨트롤러(4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S2)를 변경하여 컨트롤러(4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로부터 변경된 데이터 신호(S1', S2')를 각각 수신한다. 8, the first touch unit 310 may transmit the data signal S1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00 to the controller 400 by changing the data signal S1. The second touch unit 320 may also transmit the data signal S2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400 to the controller 400 by changing the data signal S2.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400 receives the changed data signals S1 'and S2' from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second touch unit 320, respectively.

컨트롤러(400)는 복수의 터치부(300) 중 적어도 2개의 터치부에서 동시에 터치 입력을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각각의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소정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The controller 400 may not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touch inpu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two touch units 300 among the plurality of touch units 300 have received a touch input at the same time have.

예를 들면, 컨트롤러(400)는 대략 동시에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에 터치 입력을 받았다고 판단하고, 이 경우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의 터치 입력은 잘못 입력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컨트롤러(400)는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에 터치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더라도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touch input is received by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second touch unit 320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second touch unit 320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of the two-touch unit 320 is mistakenly input. Therefore, the controller 400 may not generate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even if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second touch unit 320 have been touched.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잘못하여 두 개 이상의 터치부(310, 320)을 대략 동시에 터치 입력을 한 경우, 컨트롤러(400)는 미러 하우징(100)에 설치된 각종 구성들의 기능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erroneously touches two or more touch portions 310 and 320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40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the functions of the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in the mirror housing 100 Do not create.

또한, 컨트롤러(400)는 대략 동시에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에서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출력 유닛(800)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second touch unit 320 have received the touch input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400 controls the output unit 800 to inform the user that the touch input is wrong .

예를 들면, 컨트롤러(400)는 대략 동시에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에서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음성 출력 유닛(830)에서 터치 입력의 오인식의 내용을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입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400 determines that the touch input has been performed at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second touch unit 320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output a voice message. Accordingly, the user can perceptually recognize that the touch input is wrong.

또한, 컨트롤러(400)는 대략 동시에 제1 터치부(310)과 제2 터치부(320)에서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광학 출력 유닛(810)의 광원이 복수 회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입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00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of the optical output unit 810 to blink a plurality of tim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performed at the first touch unit 310 and the second touch unit 320 at approximately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touch input is wro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100: 미러 하우징
200: 미러 300: 터치부
310: 제1 터치부 311: 제1 접촉부
311a: 제1 패턴 312: 제1 전극부
313: 제1 기판 320: 제2 터치부
330: 제3 터치부 400: 컨트롤러
500: ETC 모듈 600: ECM 모듈
700: RCD 모듈 800: 출력 유닛
810: 광학 출력 유닛 811: 제1 광 가이드
812: 제1 광원 813: 제2 광 가이드
814: 제2 광원 820: 진동 출력 유닛
830: 음성 출력 유닛
1: Inside mirror for vehicle 100: Mirror housing
200: mirror 300: touch part
310: first touch portion 311: first contact portion
311a: first pattern 312: first electrode portion
313: first substrate 320: second touch part
330: third touch part 400: controller
500: ETC module 600: ECM module
700: RCD module 800: Output unit
810: Optical output unit 811: First optical guide
812: first light source 813: second light guide
814: second light source 820: vibration output unit
830: Audio output unit

Claims (11)

미러 하우징;
상기 미러 하우징에 결합되는 미러;
상기 미러 하우징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어 터치 입력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부로 송신한 데이터 신호와 상기 터치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가 상이한 경우, 상기 터치부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A mirror housing;
A mirror coupled to the mirror housing;
At least one touch part coupled to the mirror housing, the at least one touch part being in contact with a part of a user's body to receive a touch input; And
And a controll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data signal to and from the touch unit,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a touch input is made to the touch unit when the data signal transmitted to the touch unit is different from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타측에 인접 배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접촉부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접촉될 경우, 상기 컨트롤러에서 송신된 상기 데이터 신호를 변경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tact portion to which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is contacted; And
And an electrod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ortion,
Wherein the electrode portion chang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when a part of the user's body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일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패턴을 갖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act portion has a pattern formed in an engraved or embossed shape on one surface of the body part of the user to be contacted.
제1항에 있어서,
빛을 출사하여 상기 터치부를 발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that emits light to cause the touch portion to emit ligh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빛을 상기 터치부를 향해 출사하는 광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of claim 3,
And a light guide for emit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touch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부에 터치입력이 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소정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has been made to the touch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은, ECM(Electronic Toll Collection) 기능, ECM(Electronic Chromic Mirror) 기능 및 RCD(Rear Camera Display)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redetermined function is at least one of an ECM (Electronic Toll Collection) function, an ECM (Electronic Chromic Mirror) function, and an RCD (Rear Camera Display)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부에 터치 입력을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진동 출력 유닛에서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output unit for generating vibra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o cause the vibration output unit to generate vibr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received in the touch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부에 터치 입력을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음성 출력 유닛에서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messag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voice output unit to output a voice messa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received in the touch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는, TTL(Transistor & Transistor Logic) 신호인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signal is a TTL (Transistor & Transistor Logic)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터치부 중 적어도 2개의 터치부에서 동시에 터치 입력을 받았다고 판단한 경우, 각각의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소정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차량용 인사이드 미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oes not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touch inpu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two touch units of the plurality of touch units simultaneously receive a touch input, .
KR1020150094633A 2015-07-02 2015-07-02 Inside mirror for vehicle KR1023488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33A KR102348893B1 (en) 2015-07-02 2015-07-02 Inside mirro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33A KR102348893B1 (en) 2015-07-02 2015-07-02 Inside mirro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68A true KR20170004368A (en) 2017-01-11
KR102348893B1 KR102348893B1 (en) 2022-01-11

Family

ID=5783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33A KR102348893B1 (en) 2015-07-02 2015-07-02 Inside mirro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89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622A (en) * 2011-11-10 2013-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JP2013114906A (en) * 2011-11-29 2013-06-10 Yuhshin Co Ltd Touch sensor
KR20140038757A (en) * 2012-09-21 2014-03-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combined room mirror device
KR20140055354A (en) * 2012-10-31 2014-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ntrol of room-mirr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622A (en) * 2011-11-10 2013-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JP2013114906A (en) * 2011-11-29 2013-06-10 Yuhshin Co Ltd Touch sensor
KR20140038757A (en) * 2012-09-21 2014-03-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combined room mirror device
KR20140055354A (en) * 2012-10-31 2014-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ontrol of room-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893B1 (en)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686B1 (en) Optical user interface system for automotive modules
US20190225057A1 (en)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oad User in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CN107415816B (en) Method for outputting warning information in a motor vehicle and lighting control device
EP3018560A1 (en) Integrated overhead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US10752167B2 (en) Warning signal controlling device for blind zones when vehicles making a lane change
JP6494133B2 (en) Vehicle handle support module
KR20140042378A (en) Headlamp control system for vehicle
US9193301B2 (en) Vehicle reading lamp with low intensity light setting
US20140368029A1 (en) System for providing vehicle manipulation device information
US20140285419A1 (en) Display apparatus equipped with motion detection sensor
US20220250547A1 (en) Rearview mirror device
KR20170004368A (en) Inside mirror for vehicle
JP2014106635A (en) Lighting fixture system for vehicle
WO2023062132A1 (en) Vehicular overhead console with light transmissive panel
JP5763582B2 (en) Automotive lighting system
JPH1021499A (en) Abnormal approach warning display device
JP4289297B2 (en) Switch device using a vehicle rearview mirror
JP6006526B2 (en) Automotive lighting system
KR101096808B1 (en) Switch module for power take-off of special vehicle
CN210156301U (en) Switch knob and operation module with same
JP6341110B2 (en) Notification device and notification system
KR102635890B1 (en) Display pannel offering safty messages
US11820299B2 (en) Rear view camera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273388B1 (en) Portable led emergency ligh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09118A (en) Transparent Electronic Display Using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