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203U - 농작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203U
KR20170004203U KR2020160003104U KR20160003104U KR20170004203U KR 20170004203 U KR20170004203 U KR 20170004203U KR 2020160003104 U KR2020160003104 U KR 2020160003104U KR 20160003104 U KR20160003104 U KR 20160003104U KR 20170004203 U KR20170004203 U KR 201700042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support
thread
crops
pitc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기형
Original Assignee
왕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기형 filed Critical 왕기형
Priority to KR2020160003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203U/ko
Publication of KR201700042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고추나 오이, 가지, 토마토 등과 같은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농작물이 일정하게 성장시 열매의 무게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쓰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는데 사용하는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지지대(1)에 있어서, 지지 본체(2)의 하단부의 삼각뿔 모양의 끝단부(3)에서 육각형상 으로 시작되는 경계지점(4)에서 부터 나사산(5)의 형상을 다수 개로 형성하고, 상기의 나사산(5)을 형성함에 있어 나사산(5)의 피치와 피치 사이의 거리를 2단계로 두어 1단계 피치부(10)와 2단계 피치부(11)를 연결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1단계 피치부(10)는 좁은 간격의 피치부로 하며, 2단계 피치부(11)는 피치와 피치의 간격을 넓게 형성한 피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다.

Description

농작물 지지대{holder for the crops}
본 고안은 주로 고추나 오이, 가지, 토마토 등과 같은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농작물이 일정하게 성장시 열매의 무게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쓰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주는데 사용하는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고추지지대나, 농작물 지지대로서 다양한 종류로 만들어져 사용하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지지대를 지면에 세울 때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상단 부분에 타격을 가해 지면에 세우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지지대는 지면에 들어가는 하단부분은 지지대의 제조 방법에 따라 끝단부가 여러 형상으로 만들어져 지면에 세우는 과정에 망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단 부분을 여러번 타격하여 지면에 세우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지대는 끝 부분이 대부분 제조상의 문제로 뽀족하지 않아 지면에 세울 시 힘을 많이 사용하여 타격하여 세우게 된다.
이렇게 지지대 상단에 타격을 가해 지면에 세워지게 되므로 농작물의 재배 면적이 넓어 많은 수량의 지지대를 지면에 세울 경우 무거운 망치나 도구를 지속적으로 들고 내려쳐야 하는 관계로 어깨 근육이 뭉쳐지거나 근육통이 발생하여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아 특히 노약자가 작업하기에는 건강에 좋지 않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지지대의 하단부분을 나사산 형상으로 만들어 지지대를 지면에 세울 때 드릴과 같은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적은 힘으로 많은 수량의 지지대를 빠른시간 내에 지면에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지지대에 있어서, 지지 본체 하단부의 삼각뿔 모양의 끝단부에서 육각형상으로 시작되는 경계지점에서부터 나사산의 형상을 다수 개로 형성하며, 상기의 나사산을 형성함에 있어 나사산의 피치와 피치 사이의 거리를 2단계로 두어 1단계 피치부 와 2단계 피치부를 연결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1단계 피치부는 좁은 간격의 피치부로 하며, 2단계 피치부는 피치와 피치의 간격을 넓게 형성한 피치부로 구성하여 전동공구를 통해 적은 힘으로 손쉽게 지면에 세울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넓은 농작물의 경작지에서 이른 시간 내에 편안하게 많은 수량의 지지대를 농작물 주변에 꼿 을 수 있는 는 것으로 노약자들도 이른 시간에 많을 수량을 작업할 수 있으며 지지대의 상단부분을 타격하지 않아도 되므로 변형 없이 오랫동안 재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본 고안은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공지 상의 지지대(1)에 있어서, 지지 본체(2)의 하단부의 삼각뿔 모양의 끝단부(3)에서 육각형상 으로 시작되는 경계지점(4)에서 부터 나사산(5)의 형상을 다수 개로 형성한다.
상기의 나사산(5)을 형성함에 있어 나사산(5)의 피치와 피치 사이의 거리를 2단계로 두어 1단계 피치부(10)와 2단계 피치부(11)를 연결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1단계 피치부(10)는 좁은 간격의 피치부로 하며, 2단계 피치부(11)는 피치와 피치의 간격을 넓게 형성한 피치부로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지지대(1)를 사용하여 농작물이 성장하고 있는 지면의 주변에 세워 사용하고자 하면 먼저 하단부의 삼각뿔 모양의 끝단부(3)를 지면에 꽂은 다음 육각 복스알 소켓을 장착한 공구(전동드릴)로서 지지대(1) 본체(2)의 상단부분에 육각 복스알 소켓을 끼운 상태에서 전동드릴을 작동 회전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전동드릴이 회전을 하기 시작하면 육각 복스알 소켓에 끼워지는 지지대(1) 본체(2)가 회전하면서 나사산(5)의 피치가 좁은 1단계 피치부(10)에서는 짧은 회전주기로 인해 쉽게 지면으로 내려가다 피치의 간격이 다소 넓은 2단계 피치부(11)에 도달하면 긴 회전 주기로 인해 빠르게 지면 아래로 진입하게 되면 아래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업하여 일정 깊이로 지지대(1) 본체(2)가 지면에 세워지게 되면 전동공구의 작동을 중지하여 육각 복스알 소켓을 지지대(1) 본체(2)의 상단에서 제거하면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는 하단부의 삼각뿔 모양의 끝단부(3a)에서 원통형으로 시작되는 경계지점(4a)에서 부터 몸통부(20)에 1단계 좁은 피치부(10a)와 2단계 넓은 피치부(11a)로 된 나사산(5a)의 형상을 다수 개로 형성하고 내부에 지지대 삽입공간(22)을 만든 지지대 홀더(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 홀더(20)의 삽입공간(22)은 그 형상을 육각으로 형성하며 각각의 면 중심에는 세로홀(2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지지대 홀더(20)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지지대를 끼워서 손쉽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지지대의 하단 부분을 지지대 홀더(20)의 삽입공간(22)에 끼워 사용되며 각각의 면 중심의 세로홀(23)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지지대의 형상의 구조에 대응하여 손쉽게 끼워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지지대를 지지대 홀더(23)에 용이하게 끼워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지지대는 육각면의 일면에 세로돌기 결합부가 돌출되어 있어 이를 세로홀(23)의 한곳에 끼워지게 삽입하면 지지대가 지지대 홀더(20)에 쉽게 삽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된 다른 실시 예의 지지대 홀더(20)를 결합한 종래의 지지대의 사용에 있어서도 전자의 사용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지지대 홀더(20)가 결합 된 지지대를 농작물이 있는 지면 한곳에 하단부의 삼각뿔 모양의 끝단부(3a)를 지면에 꽂은 다음 육각 복스알 소켓을 장착한 공구(전동드릴)로서 지지대의 상단부분에 육각 복스알 소켓을 끼운 상태에서 전동드릴을 작동 회전시켜 주면 육각 복스알 소켓에 끼워지는 지지대가 회전하면서 나사산(5a)의 피치가 좁은 1단계 피치부(10a)에서는 짧은 회전주기로 인해 쉽게 지면으로 내려가다 피치의 간격이 다소 넓은 2단계 피치부(11a)에 도달하면 긴 회전 주기로 인해 빠르게 지면 아래로 진입하게 되면 아래로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업하여 일정 깊이로 지지대가 지면에 세워지게 되면 전동공구의 작동을 중지하여 육각 복스알 소켓을 지지대의 상단에서 제거하면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2: 본체 3, 3a: 끝단부
4, 4a: 경계지점 5, 5a: 나사산
10, 10a; 1단계 피치부 11, 11a: 2단계 피치부
20: 몸통부 21: 몸통
22: 삽입공간 23: 세로홀

Claims (2)

  1. 통상의 지지대(1)에 있어서, 지지 본체(2)의 하단부의 삼각뿔 모양의 끝단부(3)에서 육각형상 으로 시작되는 경계지점(4)에서 부터 나사산(5)의 형상을 다수 개로 형성한다.
    상기의 나사산(5)을 형성함에 있어 나사산(5)의 피치와 피치 사이의 거리를 2단계로 두어 1단계 피치부(10)와 2단계 피치부(11)를 연결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1단계 피치부(10)는 좁은 간격의 피치부로 하며, 2단계 피치부(11)는 피치와 피치의 간격을 넓게 형성한 피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지지대.
  2. 하단부의 삼각뿔 모양의 끝단부(3a)에서 원통형으로 시작되는 경계지점(4a)에서부터 몸통부(20)에 1단계 좁은 피치부(10a)와 2단계 넓은 피치부(11a)로 된 나사산(5a)의 형상을 다수 개로 형성하고 내부에 지지대 삽입공간(2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22)은 그 형상을 육각으로 형성하며 각각의 면 중심에는 세로홀(23)을 만든 지지대 홀더(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농작물 지지대.
KR2020160003104U 2016-06-08 2016-06-08 농작물 지지대 KR201700042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04U KR20170004203U (ko) 2016-06-08 2016-06-08 농작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04U KR20170004203U (ko) 2016-06-08 2016-06-08 농작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03U true KR20170004203U (ko) 2017-12-18

Family

ID=6125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104U KR20170004203U (ko) 2016-06-08 2016-06-08 농작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20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980A (ko) * 2017-12-26 2019-07-04 권혜경 고추대 지주
KR102511963B1 (ko) * 2022-03-08 2023-03-20 (주)아이에이치피엠 나사식 지주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980A (ko) * 2017-12-26 2019-07-04 권혜경 고추대 지주
KR102511963B1 (ko) * 2022-03-08 2023-03-20 (주)아이에이치피엠 나사식 지주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203U (ko) 농작물 지지대
TW201618665A (zh) 組裝式網狀植物塑形裝置
CN205040307U (zh) 园林用松土型花盆
CN204090644U (zh) 一种藤类植物攀爬架
CN214332047U (zh) 监测设备固定架
CN211881410U (zh) 一种园林绿化用树木支撑装置
KR101732683B1 (ko) 농작물 지주용 설치 및 철거장치
KR200411736Y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CN203280983U (zh) 乒乓球拾取器
CN206960024U (zh) 一种便于更换弹簧的物理实验用弹簧测力计
CN102578980A (zh) 洗碗机底脚以及洗碗机
CN207284128U (zh) 花生播种用双行打孔器
CN207519296U (zh) 一种伸缩式烤烟地膜破膜器
CN204815577U (zh) 一种高尔夫球洞杯调整装置
JP5595645B2 (ja) 植物の補助に用いる支柱。
CN207802839U (zh) 一种扦插育苗装置
CN215346182U (zh) 一种脐橙种植用树枝支撑装置
CN206689034U (zh) 一种筛网自清理装置
CN207815060U (zh) 一种植物光照处理装置
CN220630255U (zh) 一种白姜育苗装置
DE202006009328U1 (de) Vorrichtung zur hängend-abgestützten Halterung von Blumentöpfen
CN213280834U (zh) 一种市政园林用植物支架
CN111084051A (zh) 一种树木的抗倒伏装置
CN211227756U (zh) 洗衣机固定脚架
KR102281824B1 (ko) 접이식 작물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