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161U - Decorative ring - Google Patents

Decorative 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161U
KR20170004161U KR2020160003038U KR20160003038U KR20170004161U KR 20170004161 U KR20170004161 U KR 20170004161U KR 2020160003038 U KR2020160003038 U KR 2020160003038U KR 20160003038 U KR20160003038 U KR 20160003038U KR 20170004161 U KR20170004161 U KR 201700041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ous
decorative
puzzle
layer
luminou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0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20160003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161U/en
Publication of KR20170004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6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퍼즐조각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진 장식퍼즐시트가 구비된 장식용 고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일측에 관통 형성된 연결공에 연결부재가 체결되고, 내측에 일정 깊이로 수납공간이 형성된 고리몸체; 수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다수 개의 퍼즐조각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수납공간에 안착되는 장식퍼즐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고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orative ring provided with a decorative puzzle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of puzzle are mutually and continuously joine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ing body having a connecting member fastened to a connecting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storage space at a certain depth inside thereof;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And a decorative puzzle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uzzle pieces are seated in a storage space in a state where the puzzle pieces are mutually and continuously engaged.

Description

장식용 고리{Decorative ring}Decorative ring {Decorative ring}

본 고안은 장식용 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퍼즐조각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진 장식퍼즐시트가 구비된 장식용 고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orative ring provided with a decorative puzzle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uzzle pieces are mutually and continuously joined.

일반적으로 장식용 고리는 휴대폰 또는 열쇠고리 등에 걸어서 사용하는 액세서리의 일종으로써, 주로 탄성을 가지는 끈 형상의 연결부재에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 등으로 이루어진 장식부재를 고정시켜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Background Art [2] Generally, a decorative ring is a type of accessory used by hanging on a cellular phone, a key ring, or the like, and exhibits a decoration effect by fixing a decorative member made of various shapes of characters or the like to a string-

이러한 장식용 고리는 최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These ornamental rings have recently been sold in various forms to satisfy various consumer needs.

예컨대 구형의 장식부재 내부에 수용된 액체 속에서 유동될 수 있는 장식편을 삽입한 장식용 고리가 있으며, 장식부재 내부에 개인의 취향에 따라 인물사진 등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식용 고리가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decorative ring in which a decoration piece that can be flowed in the liquid accommodated in a spherical decorative member is inserted, and a decorative ring in which a portrait or the like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an individual's taste.

하지만 예로 든 장식용 고리에서와 같이, 대부분 장식효과가 매우 단조로워 흥미감을 유발하기에는 다소 부족해 액세서리 산업에서 그렇게 환영받고 있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in the case of decorative rings, the decorative effect is so monotonous that it is somewhat lacking in attractiveness.

따라서 단순한 장식효과를 넘어 흥미감을 유발할 수 있는 장식용 고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research to develop a decorative ring that can induce an interest beyond a simple decoration effect.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3230호, 2000.03.13.자 등록.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183230, March 23, 2000 Registration.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다수 개의 퍼즐조각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진 장식퍼즐시트가 구비된 장식용 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corative ring provided with a decorative puzzle sheet in which a plurality of puzzle pieces are mutually and continuously joined togeth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관통 형성된 연결공에 연결부재가 체결되고, 내측에 일정 깊이로 수납공간이 형성된 고리몸체;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다수 개의 퍼즐조각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에 안착되는 장식퍼즐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고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comprising: a ring body having a connection member fastened to a connection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storage space at a predetermined depth; A cover for opening /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And a decorative puzzle sheet which is seated in the storage space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pieces of puzzle are mutually and continuously joined toge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퍼즐조각은, 그림이 인쇄된 이미지층; 상기 이미지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야광층; 및 상기 제1야광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야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uzzle piece comprises: a picture printed layer; A first luminous layer formed under the image layer; And a second luminous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luminous lay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야광층은 액상의 야광액이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야광층은 고상의 야광분말이 상기 제1야광층의 표면에 분산되어 형성되되, 상기 야광분말이 상기 야광액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luminous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 liquid luminous liquid, and the second luminous layer is formed by dispersing a luminous powder of a solid phase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uminous layer,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리몸체의 저면에는,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야광층과 상기 제2야광층의 발광을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convex portion having a convex outward portion at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nular body to enlarge the light emi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lay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식퍼즐시트의 외측 둘레를 따라 탄성의 보호띠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n elastic protective band is attach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corative puzzle sheet.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고리는 내부에 다수 개의 퍼즐조각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장식퍼즐시트가 수용됨에 따라 장식효과 및 흥미로움을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namental ring has a decorative puzzle sheet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puzzle piec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effecting decoration and interes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퍼즐시트.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corative puzzle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식용 고리는 고리몸체(100), 커버(200) 및 장식퍼즐시트(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ar vie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decorative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 body 100, a cover 200, and a decorative puzzle sheet 300.

본 고안의 고리몸체(100)는 일측에 관통 형성된 연결공(110)에 연결부재(120)가 체결되고, 내측에 일정 깊이의 두께로 수납공간(S)이 형성된 구성이다.The ring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120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hole 110 formed at one side and the storage space S is formed at a certain depth in the inner side.

즉, 고리몸체(100)는 내부에 장식퍼즐시트(300)를 수용하여 열쇠고리 등으로 사용하기 위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고리몸체(100)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관통된 연결공(110)에 연결부재(120)를 끼워 별도의 열쇠 등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ring body 100 has a shape for receiving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therein and used as a key ring,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110 passing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ring body 100 in the front- And serves to provide ease of use for storing a separate key or the like by interposing the member 120 therebetween.

여기서 연결부재(120)는 고리몸체(100)의 연결공(110)에 걸려 가압에 따라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걸고리(122)와, 걸고리(122)의 상부에 형성된 걸고리공(122a)에 끼워져 연결된 링 형태의 연결링(124)과, 연결링(124)에 일체로 형성되어 열쇠 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끈 형태의 연결줄(126)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연결부재(120)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The connecting member 120 includes a hook 122 which is hooked on the connecting hole 110 of the hook body 100 and is connectable or detachable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and a hook member 122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122a formed on the hook 122, And a connecting string 126 in the form of a string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ring 124 and can fix a key or the like. However,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limited to such a shape , But it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후술될 제1야광층(314)과 제2야광층(316)의 발광을 확대(확산)시키기 위하여 고리몸체(100)의 저면에는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부(C)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2, in order to enlarge (spread) the light emi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layers 314 and 316, a center portion of the ring body 100 is provided with convex portions C) is formed.

실험 결과, 제2야광층(316)과 인접된 고리몸체(100)의 저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경우보다, 볼록한 볼록부(C)가 형성된 경우에 야광이 외부로 넓게 퍼진 상태로 보임으로써 시인성을 더욱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e case where the convex portion C is formed, the luminous intensity is seen to be widened to the outsid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annular body 100 adjacent to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is formed flat, And it can be ensured clearly.

특히 볼록부(C)는 고리몸체(100)에 접착에 의해 별도로 부착되는 것이 아닌, 고리몸체(10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시킴에 따라 발광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portion C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nular body 100, rather than being attached separately to the annular body 100 by adhesion.

만약 고리몸체의 저면에 볼록한 형태의 볼록부를 별도로 부착한다면, 고리몸체의 저면과 별도의 볼록부 사이 경계면 상에 불투명한 부분이 생겨 발광성이 좋지 못하다.If the convex portion of the convex shape is separate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body, the opaque portion is formed on the boundary surf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body and the convex portion so that the luminous property is poor.

이렇게 발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리몸체(100)의 저면에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부(C)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그립감도 우수하여 분실의 우려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luminous efficiency, convex portions C protruding outward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body 100, so that the grip feeling is excellent an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loss.

본 고안의 커버(200)는 수납공간(S)의 상부를 개폐하는 구성이다.The co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S.

말하자면, 커버(200)는 수납공간(S)의 내측 둘레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수납공간(S)에 수용된 장식퍼즐시트(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수납공간(S)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the cover 20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torage space S so that the storage space S can be closed to prevent the ornamental puzzle sheet 300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 from being separated .

한편 수납공간(S)을 개방할 시에는, 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210)에 핀을 끼워 힘을 주어 당김에 따라 고리몸체(100)로부터 커버(200)의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rage space S is opened, a pin is inserted into a retaining groove 210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200 to allow the cover 200 to be separated from the annular body 100 by pulling force can do.

본 고안의 장식퍼즐시트(300)는 다수 개의 퍼즐조각(310)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수납공간(S)에 안착되는 구성이다.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puzzle pieces 310 are seated in the storage space S in a state where the puzzle pieces 310 are mutually and continuously engaged.

즉 장식퍼즐시트(300)는 본 고안의 특징인 구성인데, 단순한 장식효과를 뛰어넘어 흥미감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is a feature that is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lays a role of causing an interest beyond a simple decoration effect.

이때 장식퍼즐시트(3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보호띠(3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퍼즐조각(310)이 서로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인 장식퍼즐시트(300)에서 각각의 퍼즐조각(310)이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장식퍼즐시트(300)를 수납공간(S)에 안정적으로 수납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protective band 320 may be coupl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This prevents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in a state where the puzzle pieces 310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stably store it.

여기서 보호띠(320)는 탄성의 재질을 가짐으로써, 장식퍼즐시트(300)의 외측 둘레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감쌀 수 있다.Here, the protective band 32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can be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so as not to be damaged.

단, 보호띠(320)가 투명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납공간(S)에 수납된 장식퍼즐시트(300)의 외관을 깔끔하게 보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띠(320)가 만약 불투명한 색을 가진다면, 장식퍼즐시트(300)의 미감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housed in the storage space S neat as the protective band 320 is made of a transparent color. If the protective band 320 has an opaque colo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퍼즐시트(300)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퍼즐조각(310)은 그림이 인쇄된 이미지층(312), 이미지층(3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야광층(314), 제1야광층(314)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야광층(316)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4 is a decorative puzzle sheet 3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puzzle piece 310 includes a printed image layer 312, a first luminous layer 314 formed under the image layer 312, a first luminous layer 314 formed under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And a second light-emitting layer 316 formed thereon.

이렇게 이미지층(312), 제1야광층(314) 및 제2야광층(316)으로 이루어져 분할된 각각의 퍼즐조각(310)으로 구성된 장식퍼즐시트(300)는 고리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다양한 그림을 가진 장식퍼즐시트(300)를 교환하여 고리몸체(100)에 삽입할 수 있다.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composed of the respective puzzle pieces 310 composed of the image layer 312,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and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refore,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having various pictures can be exchanged and inserted into the annular body 100.

첫째, 이미지층(312)은 장식퍼즐시트(300)의 상부에 하나의 그림으로 형성되도록 각각의 퍼즐조각(310) 최상층에 차례로 인쇄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커버(200)를 개방하여 고리몸체(100)로부터 장식퍼즐시트(300)를 분리해 퍼즐놀이가 가능하도록 인쇄된 층이다.First, the image layer 312 is sequentially printed on the uppermost layer of each puzzle piece 310 so as to form one pic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In some cases, the cover 200 is opened, 100 to separate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and enable puzzle play.

둘째, 제1야광층(314)은 이미지층(312)에 인접된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액상의 야광액이 도포되어 형성된 층이다.Second,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image layer 312, and is a layer formed by applying a liquid luminous solution.

이때 제1야광층(314)을 이루는 야광액인 야광안료에는 접착 성질을 지니는 수지가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추후 제2야광층(316)을 이루는 고상의 야광분말과의 접착을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glittering pigment, which is a luminous liquid forming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contains a resin having adhesive properties, in order to adhere the luminous powder to a solid luminous powder forming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to be.

접착 성질을 지니는 수지로는, 아크릴수지 및 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며, 야광액에 야광분말을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을 함유시켜도 무방하다.As the resin having adhesive properties, any one or more of acrylic resin and urethane resin can be selectively used, but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that can adhere the luminous powder to the luminous solution may be included.

단, 환경 조건에 따라 야광액과 야광분말을 접착시키기 위해 핫멜트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hot-melt treatment in order to adhere the luminous liquid and the luminous powder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셋째, 제2야광층(316)은 고상의 야광분말이 제1야광층(314)의 표면에 분산 도포되어 형성되는 층이다.Third,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is a layer formed by dispersing a solid luminous powder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이러한 제2야광층(316)은 제1야광층(314)과 달리, 고상의 야광분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식퍼즐시트(300)의 시인성을 흥미롭게 할 수 있다.Unlike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is formed in the form of a luminous powder of a solid phase, and thus the visibility of the decorative puzzle sheet 300 can be interesting.

즉, 도 3을 참조하면 A부분은 제1야광층(314)의 야광액과 제2야광층(316)의 야광분말이 같은 색으로 이루어져 단일 색상으로 보여지는 부분이고, B부분은 제1야광층(314)의 야광액과 제2야광층(316)의 야광분말이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져 제1야광층(314)상에 제1야광층(314)의 색상과는 다른 제2야광층(316)이 함께 발현되어 독특한 발광을 연출하게 됨을 알 수 있다.3, the portion A is a portion in which the luminous flux of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and the luminous powder of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are the same color, The luminous flux of the layer 314 and the luminous flux of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are made of different colors to form a second luminous layer 314 different from the color of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on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316) are expressed together to produce a unique luminescence.

예를 들어, 파란계통의 야광액으로 이미지층(312)의 하부에 도포하여 제1야광층(314)을 형성한 후, 노랑계통의 야광분말을 제1야광층(314)의 하부에 분산 도포로 접착하여 제2야광층(316)을 형성함으로써, 파란계통의 바탕색인 제1야광층(314) 상에 노랑계통의 야광분말이 혼화된 느낌의 발광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is formed by applying the luminous liquid of the blue system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mage layer 312, and then the luminous powder of the yellow luminous layer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And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is formed by adhering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to the first luminous layer 314, which is a background color of the blue system.

부가적으로, 제2야광층(316)의 표면에는 투명한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제2야광층(316)을 이루는 야광분말이 제1야광층()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발광성이 저하됨을 방지하거나, 수납공간(S) 내부에 야광분말이 떨어져 지저분해 보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 transparent coating layer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In order to prevent the luminous powder from falling off from the first luminous layer () and to prevent the luminous powder from falling into the storage space (S), the coating layer may prevent the luminous powder forming the second luminous layer 316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luminous layer to be.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scope of utility model claim,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 볼록부 S: 수납공간
100: 고리몸체 110: 연결공
120: 연결부재 122: 걸고리
122a: 걸고리공 124: 연결링
126: 연결줄 200: 커버
210: 걸림홈 300: 장식퍼즐시트
310: 퍼즐조각 312: 이미지층
314: 제1야광층 316: 제2야광층
320: 보호띠
C: convex part S: storage space
100: ring body 110: connecting hole
120: connecting member 122: hook
122a: hook ring 124: connecting ring
126: connection line 200: cover
210: engaging groove 300: decorative puzzle sheet
310: Puzzle piece 312: Image layer
314: first luminous layer 316: second luminous layer
320: protective strip

Claims (5)

일측에 관통 형성된 연결공에 연결부재가 체결되고, 내측에 일정 깊이로 수납공간이 형성된 고리몸체;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다수 개의 퍼즐조각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에 안착되는 장식퍼즐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고리.
A ring body having a connecting member fastened to the connecting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storage space at a certain depth inside thereof;
A cover for opening /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And
And a decorative puzzle sheet which is seated in the storage space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puzzle pieces are mutually and continuously join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조각은,
그림이 인쇄된 이미지층;
상기 이미지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야광층; 및
상기 제1야광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야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zzle piece may include:
A printed image layer;
A first luminous layer formed under the image layer; And
And a second luminous layer formed below the first luminous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야광층은 액상의 야광액이 도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야광층은 고상의 야광분말이 상기 제1야광층의 표면에 분산되어 형성되되,
상기 야광분말이 상기 야광액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고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luminous layer is formed by coating a liquid luminous liquid,
The second luminous layer is formed by dispersing a solid luminous powder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uminous layer,
And the luminous powder is adhered to the luminous liqui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몸체의 저면에는,
중앙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야광층과 상기 제2야광층의 발광을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고리.
3. The method of claim 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nular body,
And a convex portion having an outwardly convex central portion is formed to enlarge the light emi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lay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퍼즐시트의 외측 둘레를 따라 탄성의 보호띠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고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ic protective band is coupled along the outer perimeter of the decorative puzzle sheet.
KR2020160003038U 2016-06-02 2016-06-02 Decorative ring KR2017000416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38U KR20170004161U (en) 2016-06-02 2016-06-02 Decorative 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38U KR20170004161U (en) 2016-06-02 2016-06-02 Decorative 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61U true KR20170004161U (en) 2017-12-12

Family

ID=6125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038U KR20170004161U (en) 2016-06-02 2016-06-02 Decorative 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161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30Y1 (en) 1999-12-23 2000-05-15 김성수 The accessary device for a bunch of ke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230Y1 (en) 1999-12-23 2000-05-15 김성수 The accessary device for a bunch of key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4999A1 (en) Magnetic ca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D841090S1 (en) Music education set of cards
US20060203498A1 (en) Multi-colored light bulb cover
US9113682B2 (en) Modular decorative locket
USD914695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388420Y1 (en) An adhesive type accessory
KR102337415B1 (en) Brush decorated with beads
KR20170004161U (en) Decorative ring
US8998451B2 (en) Customizable decorative party apparatus
USD895008S1 (en) Color wire marker sticker label book
USD659744S1 (en) Eyeglasses
USD661338S1 (en) Eyeglasses
USD662535S1 (en) Eyeglasses
CN211918232U (en) Dolphin hanging decoration
JP3176198U (en) Bead accessories
US9644835B2 (en) Twinkling door hanger
JP3235899U (en) marker
TWM563404U (en) Hand-carrying cup sleeve structure
US20150250273A1 (en) Jewelry Item With Cosmetic Container and Indicia
KR200323296Y1 (en) Sticker Type Ornament
JP3429356B2 (en) Reflective / luminescent display that also serves as decoration
KR200341793Y1 (en) A Brush Handle
KR200401472Y1 (en) Accessary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2282923U (en) Portable disk structure
KR200378662Y1 (en) Decoration wire having a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