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106U - 가위,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106U
KR20170004106U KR2020177000068U KR20177000068U KR20170004106U KR 20170004106 U KR20170004106 U KR 20170004106U KR 2020177000068 U KR2020177000068 U KR 2020177000068U KR 20177000068 U KR20177000068 U KR 20177000068U KR 20170004106 U KR20170004106 U KR 201700041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cissors
blade
pedestal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7000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앙 강동
Original Assignee
노바꾸와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꾸와프 filed Critical 노바꾸와프
Publication of KR20170004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이 가위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장착된 두 개의 절단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절단기는 자루(4, 5)에 의해 연장되는 칼날(3)를 포함하며; 제1 자루(4)는 측방향 개구(8)가 제공되는 세장형 몸체의 형태인 그립에 의해 커버되고 두 손가락들이 만나는 곳인 고리부에 맞대어 지지되는 위치로 손의 두 손가락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자루(5)는 엄지를 수용하기 위한 받침대(10)를 형성하는 하프-링으로 마감된다. 제1 자루(4)는 굴곡진 자루이고, 탄성 변형 가능한 그립 내 측방향 개구(8)는 그립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제1 자루(4)가 슬라이딩하여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시스를 형성하고, 제1 자루(4)에 더 가까운 받침대(10)의 단부는 엄지를 보유하기 위한 지지대(11)를 형성하도록 받침대의 안쪽을 향해 구부러져 있다.

Description

가위,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
본 고안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머리를 자르기 위한 가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가위의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하도록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두 개의 절단기(shear)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절단기는 자루에서 연장되는 칼날(blade)을 포함하고, 상기 칼날들은, "길이방향 축"이라 칭하는, 가위의 축을 따라서 가위의 닫힌 위치에서 연장되고, "제1 자루"라 칭하는 자루들 중 하나는, 가위의 길이방향 축 및 피벗 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35° 내지 60°의 범위에 있는 각도 A를 형성하도록 공조하는 평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칼날과의 연결 구역으로부터 그의 자유단으로 향하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칼날들이 움직이는 평면으로부터 적어도 35°의 각도 B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자루는 손의 두 손가락, 일반적으로 약지와 중지 사이에서, 상기 손가락들이 만나는 곳인 고리부(crook)에 맞대서 지지되는 위치에 횡방향으로 삽입되기 적절한 세장형 몸체(elongate body)의 형상인 그립(grip)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씌워질 수 있고, 그립은 측방향의 개구 및 상기 개구에 인접한 몸체의 끝에, 그립이 사이에 삽입되기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의 원위 지골(distal phalange)을 위한 지지 구역을 가지고, "제2 자루"로 칭하는 다른 자루는 엄지를 수용하는 받침대(cradle)를 형성하는 하프-링(half-ring)으로 마감된, 가위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러한 가위는 특허 FR 2 955 284에 개시되어 있다. 그 가위는 손이 손목과 계속 일직선을 이룰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커팅 작업 동안 손/손목 움직임이 제한되고, 그래서 근골격 장애의 위험을 줄여준다.
그 가위는 또한 시술자가 불편해하고 어쩌면 부상으로 이끌지도 모르는 자세를 취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가위의 다른 품질에 저하 없이, 매우 다양한 손에서 가위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가위에 대한 개선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를 제공하며, 이 가위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장착된 두 개의 절단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절단기는 자루에서 연장되는 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은 가위의 닫힌 위치에서, "길이방향 축"이라 칭하는, 가위의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제1 자루"라고 칭하는 자루들 중 하나는 가위의 길이방향 축 및 35° 내지 60°의 범위에 있는 각도 A를 형성하도록 피벗 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협동하는 평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칼날과의 연결 구역으로부터 칼날의 자유단을 향하는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칼날이 움직이는 평면으로부터 적어도 35°인 각도 B만큼 이격되어 있고, 제1 자루는 손의 두 개의 손가락, 일반적으론 약지와 중지 사이에 상기 손가락들이 만나는 곳에 있는 고리부에 맞대어 지지되는 위치로 횡방향으로 삽입되기 적절한 세장형 몸체의 형상인 그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씌워지는데 적절하고, 그립은 측방향의 개구 및 상기 개구에 인접한 몸체의 끝에, 그립이 사이에 삽입되기 적절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의 원위 지골을 위한 지지 구역을 가지고, "제2 자루"라 칭하는 다른 자루는 엄지를 수용하기 위한 받침대를 형성하는 하프-링으로 마감되는 가위에 있어서, 제1 자루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제1 자루의 "제2 부위"라 칭하는 부분을 갖는 굴곡진 자루(bent shank)이며, 제2 부위는 제1 자루가, 80° 내지 120°의 범위에 있는 각도를 형성하도록 칼날과 제1 자루가 만나는 구역과 굴곡부의 사이에 있는, 제1 자루의 "제1 부위"라 칭하는 부분과 협동하는 상기 자루의 굴곡부와 자유단 사이에 있고, 그립의 내부로 연장되는 그 측방향의 개구를 갖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그립은 적어도 제1 자루의 제2 부위가 미끄러지는 동작에 의해 위치 조절이 되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시스(sheath)를 형성하고, 제1 자루에 더 가까운 받침대의 끝은 엄지를 보유하기 위한 지지대(abutment)를 형성하도록 받침대의 내부를 향하는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자루를 굴곡진 자루의 형태로 만들고, 상기 제1 자루 위로 미끄러질 수 있는 그립을 장착하는 것은 그립과 제1 자루 간의 협동에 의해서 그립에 의해 제공되는 손가락 지지 구역의 상대적인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서, 더 넓적하거나 또는 더 긴 손가락을 수용하는 것이나, 또는 특정 커트 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단 하나의 손가락 대신에, 중지와 약지와 같은 두 개의 손가락들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제2 자루 상에 엄지를 보유하기 위한 지지대의 존재는, 받침대에서 엄지가 미끄러져 나갈 어떤 위험도 줄이면서, 손과 가위 사이에서 힘의 전달이 보다 잘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자루의 제1 부위는 1.5 센티미터(cm) 보다 작지 않은의 길이로 나타난다.
일 실시형태에서, 보유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에 맞춰진 부속품(fitting)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변형에 있어서, 받침대와 보유 지지대는 단일 부재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칼날이 움직이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배치된, 상기 받침대는 O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일부분을 한정하고, 원의 중심과 칼날들의 피벗 및 길이방향 축들 간의 교차점을 지나는 직선은 20° 보다 작지 않은 각도를 형성하도록 가위의 길이방향 축과 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대에 의해 한정된 원 부위의 중심 및 칼날들의 피벗 축과 길이방향 축 간의 교차점 사이의 거리는 3.5 cm보다 작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자루의 제2 부위는 굽어 있고, 굽이의 오목한 측은 칼날들의 움직임 평면으로 향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립과 제1 자루는 그립의 내부로 제1 자루를 삽입하는 방법을 식별하기 위한 개별적인 마킹(marking)들을 포함한다. 이 마킹은 제1 자루를 그립 안으로 미끄러져 이동시키는 것을 쉽게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그립은, 쇼어 A 스케일(Shore A scale) 상에 60 내지 80 범위에 있는 경도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PDM)로,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만들어진다.
본 고안은 첨부된 주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을 읽어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위를 들어올려서 본 사시도;
- 도 2는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 그립 및 보유 지지대를 갖춘 부속품이 달린 가위의 단편적인 도면;
- 도 3은, 보유 지지대의 두 실시예를 도시한, 제2 자루의 두 가지 형태의 단편적인 평면도;
- 도 4는 그립에 의해 형성된 시스 내에 제1 자루가 차지할 수 있는 위치들의 예들을 도시한, 제1 자루의 세 가지 형태의 단편적인 도면;
- 도 5는 그립이 생략되어 있는 가위의 단편적인 측면도;
- 도 6은 그립이 생략된 가위의 후방에서 본 단편적인 도면; 그리고
- 도 7 및 도 8은 한 손으로 가위를 잡는 단계들을 도시한 두 가지 형태의 도식적인 단편적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위(1),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를 제공한다. 이 가위(1)는 두 개의 절단기(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절단기(2)는 자루에서 연장되는 커팅 칼날(3)을 포함한다. 자루들 중 하나는, "제1 자루"라 칭하며, 도면에 4로 참조되고, 다른 한 자루는, "제2 자루"라 칭하며, 도면에 5로 참조된다.
절단기(2)들은, 상기 절단기 칼날들이 가위의 닫힌 위치인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밀착 위치로부터 가위의 열린 위치인 서로 떨어져 있는 위치로 작동할 수 있게 해주는, 축(X)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하는 가동 피벗 연결부를 통해서 서로 조립된다.
가위의 닫힌 위치에서, 이들 칼날(3)들은 가위의 "길이방향 축(Y)"이라 칭하는 축을 따라 연장되고 이들은,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넘어가기 위하여 "칼날 이동" 평면(P2)이라 칭하는 한 평면에서 움직인다.
가위의 닫힌 위치에서, 자루(4)는 가위(1)의 길이방향 축(Y) 및 피벗축(X) 둘 다를 포함하는 평면(P1)과 35° 내지 60° 범위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45°에 가까운, 각도(A)를 형성하도록 협동하는 평면(P)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칼날(3)과 연결되는 그 구역에서 그 자유단으로 향해 가는,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이 제1 자루(4)는 또한 적어도 35°,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의 범위에 있는 각도 B만큼 칼날 움직임 평면(P2)으로부터 떨어져있다.
이 제1 자루(4)는 제1 자루를 두 부분, 즉 제1 자루(4)가 칼날(3)과 연결되는 구역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부위(41), 및 굴곡부와 제1 자루의 자유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부위(42)로 세분하는 굴곡부가 있는 자루이다.
제1 자루(4)의 제1 부위(41)는 1.5 cm보다 좁지 않은 폭을 하고 이것은 80° 내지 120°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100°에 가까운 각도(C)를 형성하도록 제1 자루의 제2 부위와 협동한다.
제1 자루(4)의 제2 부위(42)는 굽어 있고, 그 굽이의 오목한 쪽이 칼날(3)들의 움직임 평면(P2)을 향해 마주하고 있다.
가위가 그 이용 배치에 있을 때, 이 제1 자루(4)는 그립(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씌워진다. 그립(6)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쇼어 A 스케일 상에 60 내지 80의 범위에 있는 경도를 갖는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PDM),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6)은 두 손가락, 특히 이 예시에서는 손의 약지와 중지 사이에 횡방향으로 상기 손가락들이 있는 고리부에 맞대어 지지되는 위치로 삽입되기 적절한 세장형 몸체의 형상을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그립(6)은 맞은편에 있는 두 개의 길이방향 면들을 가지고 각각의 면(61)은 그립(6)이 사이에 삽입되기 적절한 손가락 쌍의 손가락들 중 하나의 근위 지골에 맞대어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 그립(6)은 또한 상기 몸체의 끝들 중 하나의 부근에서 지지면들 중 하나에 형성된 측방향 개구(8)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예시에서, 지지면(61)들 중 하나는 상기 몸체의 한 끝의 근처에 다른 지지면(61)으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을 가져서, 상기 개구에서 그립(6)의 측방향 개구(8)를 정의하는 뚜껑이 없는(open top) 상기 지지면(61)의 표면에 굴뚝이 형성되게 한다.
측방향 개구(8)는 상기 개구에 인접한 몸체의 끝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몸체의 끝을 향해 그립의 내부로 연속해서 진행하는 굴뚝 연통으로 연장되어, 상기 그립에 시스의 형태가 제공되게 한다. 그립 내에 이 방식으로 형성된 통로는 도 4에 도시된다. 그립 내부에서, 이 통로는, 제1 자루(4)의 제2 부위(4)의 모양에 상보적인, 굴곡진 형태이다. 길이방향 지지면(61)들은 길이방향 모서리들을 형성하도록 만난다. 두 손가락이 만나는 곳인 고리부에 삽입될 길이방향 모서리는 그러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오목한 형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루는 그립 내 통로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 안에서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어서, 지지 구역(9)에 맞대어 지지되는 손가락, 구체적으로 이 예시에서는 시술자의 손의 중지의 길이와 폭의 기능에 따라서 달라지는 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 한다.
필요한 경우, 미끄러지는 움직임은 또한 중지와 약지를 나란히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케 만든다.
가위(1)의 제2 자루(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를 수용하기 위한 받침대(10)를 형성하는 하프-링으로 마감된다. 제1 자루에 가까운 받침대(10)의 끝은 엄지를 보유하기 위한 보유 지지대를 형성하도록 받침대의 안쪽을 향해 굽어있다. 이 보유 지지대(11)는 도 3의 상단 도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에 맞춰진 부속품(7)의 형태로 만들어지거나, 아니면 도 3의 하단 도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0)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실시형태와 독립적으로, 이 보유 지지대(11)는 엄지가 하프-링에서 미끄러져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서, 손에서 가위로 힘이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가 부속품(7)의 형태로 만들어진 경우, 부속품은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로 만든 것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부속품(7)은 C-모양이고, C-모양의 자유단은 C-모양의 안쪽을 향해 굽어 있으며, C-모양의 뒤쪽은 제2 자루(5)의 받침대(10)로 넣어서 상기 부속품이 위치를 잡을 수 있게 하는 슬롯이 제공된다.
칼날(3)의 움직임 평면(P2)과 평행한 평면에 배치된 상기 받침대(10)는 중심(O)의 원의 일부분을 정의하고, 원의 중심(O)과 칼날(3)의 피벗 축(X)과 길이방향 축(Y) 간의 교차점을 통과하는 직선은 적어도 20도의 각도(D)를 형성하도록 가위(1)의 길이방향 축(Y)과 협동한다.
조립을 다 마치기 위하여, 그립(6)과 제1 자루(4)는 그립(6)의 안쪽으로 제1 자루(4)를 도입하는 법을 식별하기 위한 개별적인 마크(12, 13)들을 포함한다. 이들 마크는 그립과 제1 자루에 있는 펀치 마크에 불과할 수 있다.
이러한 가위를 잡기 위하여, 다음의 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모서리를 통해 평면 표면 상에 놓여있는 손으로, 가위의 제1 자루에 의해 운반된 그립(6)은 중지(21)와 약지(20) 사이에 삽입되고, 그립의 지지면들은 그 손가락들의 근위 지골과 대면한다. 그 후에, 엄지(22)는 제2 자루의 받침대에 놓인다. 이로써 가위를 쥐는 것이 완료된다.

Claims (9)

  1. 가위,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로서,
    축(X)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장착된 두 개의 절단기(2)를 포함하고, 각각의 절단기(2)는 자루(4, 5)에 의해 연장되는 칼날(3)을 포함하며, 상기 칼날(3)은 닫힌 위치에서 길이방향 축(Y)이라 칭하는 가위의 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자루(4, 5)들 중 제1 자루(4)라 칭하는 하나의 자루는, 35° 내지 60° 범위의 각도(A)를 형성하도록 가위(1)의 길이방향 축(Y)과 피벗 축(X)을 포함하는 평면(P1)과 협동하는 평면(P)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칼날(3)과의 연결 구역에서 자유단으로 향하는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칼날이 움직이는 평면(P2)으로부터 적어도 35°의 각도(B)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자루(4)는 손의 두 개의 손가락, 일반적으로 약지와 중지, 사이에 상기 손가락들이 만나는 고리부에 맞대어 지지되는 위치로 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세장형 몸체의 형상인 그립(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될 수 있고,
    상기 그립(6)은 측방향 개구(8) 및, 상기 개구(8)에 인접한 상기 몸체의 단부에, 상기 그립(6)이 사이에 삽입되는 손가락들 중 적어도 하나의 원위 지골을 위한 지지 구역(9)을 가지고,
    제2 자루(5)라 칭하는 나머지 하나의 자루(5)는 엄지(22)를 수용하기 위한 받침대(10)를 형성하는 하프-링에 의해 마감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루(4)는,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서, 상기 제1 자루(4)의 자유단과 굴곡부 사이에 있는 제2 부위(42)라 칭하는 부분을 갖는 굴곡진 자루이고, 상기 굴곡부는 80° 내지 120°의 범위에 있는 각도(C)를 형성하도록 제1 자루(4)가 상기 칼날(3)과 만나는 구역과 상기 굴곡부 사이에 있는 제1 부위(41)라 칭하는 부분과 협력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상기 그립(6)은, 그립(6)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측방향 개구(8)를 가지고, 상기 제1 자루(4)의 적어도 제2 부위(42)가 슬라이딩하여 위치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시스(sheath)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0)의 제1 자루(4)에 가까운 단부는 엄지를 보유하기 위한 지지대(11)를 형성하도록 상기 받침대의 안쪽을 향하는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루(4)의 제1 부위(41)는 1.5 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받침대(10)에 맞춰진 부속품(7)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 및 지지대(11)는 단일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는, 상기 칼날(3)이 이동하는 평면(P2)에 평행한 한 평면에 배치된 것으로, 중심(O)의 원의 일부분을 한정하며,
    상기 원의 중심(O)과 상기 칼날(3)의 피벗 및 길이방향 축(X, Y)들 간의 교차점을 지나는 직선은 20° 이상의 각도(D)를 형성하도록 가위(1)의 길이방향 축(Y)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에 의해 한정되는 원 부분의 중심(O)과 상기 칼날의 피벗 및 길이방향 축(X, Y)들 간의 교차점 사이의 거리는 3.5 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루(4)의 제2 부위(42)는 굽어 있으며 굽이의 오목한 쪽이 상기 칼날(3)의 이동 평면(P2)을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6)과 제1 자루(4)는, 상기 그립(6)의 안으로 제1 자루(4)를 삽입하는 방법을 식별하기 위한 개별적인 마킹(12, 13)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6)은, 쇼어 A 스케일 상에 60 내지 80 범위의 경도를 갖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PDM),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2020177000068U 2015-04-07 2016-04-04 가위,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 KR20170004106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2948A FR3034698B1 (fr) 2015-04-07 2015-04-07 Paire de ciseaux, notamment pour la coupe de cheveux
FR1552948 2015-04-07
PCT/FR2016/050762 WO2016162621A1 (fr) 2015-04-07 2016-04-04 Paire de ciseaux, notamment pour la coupe de cheve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06U true KR20170004106U (ko) 2017-12-06

Family

ID=5320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7000068U KR20170004106U (ko) 2015-04-07 2016-04-04 가위,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89015B2 (ko)
EP (1) EP3280570B1 (ko)
KR (1) KR20170004106U (ko)
CN (1) CN208726753U (ko)
CA (1) CA2981950C (ko)
ES (1) ES2742810T3 (ko)
FR (1) FR3034698B1 (ko)
PL (1) PL3280570T3 (ko)
WO (1) WO2016162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95540A (ja) * 2019-05-31 2020-12-10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前髪カット用ハサミ
FR3133332B1 (fr) * 2022-03-09 2024-02-16 Insolent Ciseaux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436A (en) * 1890-11-11 Shears
US2939213A (en) * 1958-10-13 1960-06-07 John M Daniel Insertible blade scissors
US3861038A (en) * 1973-10-25 1975-01-21 Wesley N Charles Shears
USD259854S (en) * 1977-05-02 1981-07-14 Aktiebolaget Bahco Verktyg Engineers' pliers
US5046381A (en) * 1989-06-16 1991-09-10 Lawrence P. Mueller Grip system for hand tools and instruments
US5463814A (en) * 1994-09-19 1995-11-07 General Housewares Corp. Shears
US5819416A (en) * 1996-09-27 1998-10-13 Elmer's Products, Inc. Scissors
US5781999A (en) * 1997-03-07 1998-07-21 Chang; Meng Cheng Thinning scissors
FR2797606B1 (fr) * 1999-08-16 2002-02-01 Michel Droin Paire de ciseaux ergonomique
US6592603B2 (en) * 2000-12-15 2003-07-15 Michael Lasner Manually adjustable scissors or forceps
US6883238B1 (en) * 2003-09-08 2005-04-26 Khiem Tran Hairstyling scissors
US7497867B2 (en) * 2004-07-12 2009-03-03 Jeffrey Lasner Handles and shafts for manually adjustable scissors and forceps
US20060064879A1 (en) * 2004-09-30 2006-03-30 Lauritzen Pamela S Adjustable ergonomic scissors
TWM366459U (en) * 2009-06-12 2009-10-11 Jun-Wei Chen Scissors with adjustable type handle
FR2955284B1 (fr) * 2010-01-19 2012-09-21 Julien Gandon Paire de ciseaux ergonomique
US8726522B2 (en) * 2010-10-04 2014-05-20 Nusharp Inc. Pair of scissors with an open second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42810T3 (es) 2020-02-17
US20180079091A1 (en) 2018-03-22
EP3280570B1 (fr) 2019-06-05
CA2981950C (fr) 2023-04-25
EP3280570A1 (fr) 2018-02-14
PL3280570T3 (pl) 2019-12-31
CA2981950A1 (fr) 2016-10-13
US10889015B2 (en) 2021-01-12
WO2016162621A1 (fr) 2016-10-13
FR3034698A1 (fr) 2016-10-14
CN208726753U (zh) 2019-04-12
FR3034698B1 (fr)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160B2 (en) Ergonomic handle for scissors and other tools
US6134994A (en) Pliers with ergonomic handles
US8043298B2 (en) Tool system for adapting a bone plate
US20110240049A1 (en) Scissors with bent distal portions
JPS62176781A (ja) やつとこ状の手工具
US20020023359A1 (en) Ergonomic poultry knife
WO2012120499A1 (en) Shaving apparatus and method of shaving
KR20170004106U (ko) 가위, 특히 헤어 커트용 가위
KR860001796B1 (ko) 수술용 스테이플 제거기
EP3375276B1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functions of hanging on tree branch and absorbing shock
US20150033919A1 (en) Blade Cover
KR20220121752A (ko) 가위용 핑거 그립
JP4465707B2 (ja)
US11110618B2 (en) Hand-held shearing device
US11110621B2 (en) Hair cutting device
CN106028977B (zh) 外科器械
US20180304338A1 (en) Drive Cleat Tool
US20230146615A1 (en) Finger-Operated Cutting Device
US20230102796A1 (en) Surgical instrument having a thenar eminence handle and method for use thereof
EP0970781A2 (en) Ergonomic pliers
KR20220121749A (ko) 가위용 핑거 그립
JP4041533B2 (ja) 爪整形具
US20220079612A1 (en) Surgical instrument
CN114951806A (zh) 用于剪切器的手指抓握部
JP6059550B2 (ja) 小型切断具及びその載置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