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74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74A
KR20170004074A KR1020150093913A KR20150093913A KR20170004074A KR 20170004074 A KR20170004074 A KR 20170004074A KR 1020150093913 A KR1020150093913 A KR 1020150093913A KR 20150093913 A KR20150093913 A KR 20150093913A KR 20170004074 A KR20170004074 A KR 20170004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lever
housing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10463B1 (en
Inventor
강석일
문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463B1/en
Publication of KR2017000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4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ver (20) is rotationally installed in a first connector (10), and a second connector (30)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0) performs electrical connection. Provided is a stop protrusion (42) which slows the rotation of the lever (20) in the second connector (30) during rotation in a direction of rotating directions of the lever (20), which separates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The stop protrusion (42) is formed at one end of a connection part (44) which is elastically deformable. An interworking guide face (43) and a hanging face (43)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in the stop protrusion (42). The interworking guide face (43), having a certain slope with respect to a moving direction of a hanging part (29), guides the hanging part (29) with the stop protrusion (42) moving backward when the hanging part (29) moves. The hanging face (43)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nging part (29) is hung in the stop protrusion (42) to prevent rotation of the lever (20) when the hanging part (29) moves. Terminals (15, 16) of the first connector (10) separate from a terminal (36) of the second connector (30) after a delay after a first interlock terminal (19) and a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separate, which prevents spark generation.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0001]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분리시에 통전되는 터미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락터미널을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rlock terminal for preventing a spark from occurring in a terminal that is energized when a connector is detached.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12볼트 정도의 낮은 전압에서 사용되다가, 최근에 전기자동차가 양산되기 시작하면서 수백볼트의 고전압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는 저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수가 크다. 따라서, 각각의 커넥터 또는 이들이 결합된 커넥터 조립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used at a voltage as low as 12 volts. Recently, an electric vehicle has begun to be mass-produced, and it is widely used at a high voltage of several hundred volts. Connectors used at high voltages are relatively large in size compared to connectors used at low voltages.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each connector or the connector assembly to which they are coupled increases.

그리고, 고전압에서 사용되면서 서로 결합되어 통전이 이루어지던 터미널이 분리될 때, 스파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스파크는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변형을 발생시키고 심한 경우 화재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sparks are generated when terminals that are energized by being coupl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used at a high voltage are separated. Such a spark causes deformation of the housing, which forms the outer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and causes a fire even in severe cases.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통전을 위한 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기 전에 미리 터미널을 통한 통전이 종료되도록 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인터락터미널을 사용한다.To overcome this, an interlock terminal is used which provides a signal to cause the energization through the terminal to be terminated b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for energization is disconnected.

하지만, 커넥터조립체에서 커넥터 사이의 분리를 빠른 속도로 하다보면 인터락 터미널 사이의 분리 후에 매우 짧은 시간내에 통전을 위한 터미널도 분리되므로 실질적으로 인터락터미널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separation of the connectors from the connector assembly is performed at a high speed, the terminal for energizing is disconnected in a very short time after the separation between the interlock terminals, so that the interlock terminal can not function effectivel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레버의 회전을 다단계로 진행되도록 하여 인터락터미널의 분리 후에 일정한 지연시간을 확보하고 다시 레버가 회전되면서 통전을 위한 터미널 사이의 분리가 진행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레버가 설치되는 커넥터에 레버의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레버래치를 두는 등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늘어나고 구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rotation of the lever is advanced in a multi-step manner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so that a constant delay time is ensured after the interlock terminal is separated, . However, in the prior art docu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parts i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is increased, for example, by providing a lever latch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to the connector on which the lever is install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679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679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터락터미널의 분리 후에 소정의 지연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스톱돌기를 구비하는 커넥터조립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parks in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top projection for securing a predetermined delay time after separation of an interlock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락터미널의 분리 후에 소정의 지연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스톱돌기를 구비하는 커넥터조립체의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of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top projection for securing a predetermined delay time after detachment of the interlock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제1인터락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장착판과 상기 레버장착판에 일체로 된 레버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장착판의 일측에 걸이부가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 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분리되기 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분리되는 제2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걸이부가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시에 상기 걸이부를 걸어 레버의 회전을 차단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걸이부가 통과되도록 하는 스톱돌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terminal in a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rough a first housing, A lever moun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connector, and a lever handle integrally formed on the lever mounting plate, wherein a hook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ver mounting plate, And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is installed in a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a second housing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by being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and befo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disconnecte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first interlock terminal and a second interlock terminal separated from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and a second interlock terminal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wherein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 stop protrusion for block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and being operated by the operator to allow the hook to pass therethrough.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제1인터락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장착판과 상기 레버장착판에 일체로 된 레버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장착판에는 연동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장착판의 일측에 걸이부가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 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분리되기 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분리되는 제2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걸이부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시에는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되어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시에는 상기 걸이부를 걸어 레버의 회전을 차단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걸이부가 통과되도록 하는 스톱돌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terminal provided in a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rough a first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first interlock terminal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A lever mounting plate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and a lever handl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ever mounting plate, wherein the lever mounting plate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slot, and at one side of the lever mounting plate,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is installed in a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a second housing which is electrically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constitutes an outer appearance, And 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disconnecte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second interlock terminal which is separated from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before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and a second interlock terminal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is guided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hooked by the lever, And a stop protrusion configured to allow the hook to pass through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block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and allowing the hook to be operated by an operator.

상기 스톱돌기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된 장착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판과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다.The stop protrus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late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상기 장착판 양측의 상기 스톱돌기들은 해제레버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해제레버의 일측에는 해제손잡이가 설치되어 양측의 스톱돌기를 동시에 조작한다.The stop projections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lease lever, and a release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to simultaneously operate the stop projections on both sides.

상기 스톱돌기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을 위해 회전할 때에 걸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동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걸이부가 스톱돌기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연동안내면과 반대쪽에는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를 위해 상기 레버가 회전할 때 상기 걸이부의 이동방향에 직교하게 걸이면이 형성된다.Wherein the stop projection has an interlocking guide surfac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hook when the lever rotates for engag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so that the hook can pass through the stop protrusion while elastically deforming, And is formed at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when the lever is rotated to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from each other.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터미널이 더 설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이 상기 제1연결터미널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A first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so tha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의 외면 양측에는 상기 레버의 연동슬롯을 따라 안내되는 연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에는 상기 연동돌기와 제1하우징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돌기슬롯이 제1하우징의 선단에서부터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or has a protruding slot for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interlocking protrusion and the first housing. The protruding slot is formed in a first hous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is formed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레버가 설치된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에 스톱돌기가 있고, 상기 스톱돌기에 상기 레버의 회전도중에 일측이 걸어지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가 계속해서 회전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톱돌기를 후퇴시키는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의 수행은 인터락터미널의 분리 후에 통전을 위한 터미널의 분리가 일어나기 전에 이루어지므로 통전을 위한 터미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or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provided with the lever is provided with a stop protrusion, and one side is hooked on the stop protrus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ver to be continuously rotated to separat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t is necessary to perform an operation of retracting the stop projection. Such an operation is performed before the detachment of the terminal for energizing after the detachment of the interlock terminal, so that the spark is prevented from occurring at the terminal for energizing.

그리고, 상기 스톱돌기는 탄성변형되는 해제레버 상에 있고 레버가 커넥터의 결합을 위해 회전할 때는 레버의 일측이 상기 스톱돌기에 형성된 연동안내면에 안내되어 스톱돌기가 자연스럽게 후퇴되어 레버의 동작이 정지없이 진행될 수 있어 커넥터의 결합동작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lever is rotated to engage with the connector, one end of the lever is guided by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formed on the stop protrusion, the stop protrusion is naturally retracted, and the operation of the lever is stopped So that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 is greatly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톱돌기는 제2커넥터에 있고, 레버는 제1커넥터에 있어 구조들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에 잘 분산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커넥터 조립체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lever is well dispersed 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 the first connector, so that the size of the connector assembly as a whole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터미널 사이의 결합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인터락터미널이 있는 위치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6에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manner. Fig.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erminal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ation of an interlock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lso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operat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10 and a second connector 30.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2)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설치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공간(14)에는 제1터미널(15)이 설치된다. 상기 제1터미널(15)의 선단에 해당되는 상기 제1터미널설치공간(14)에는 연결터미널(16)이 있다. 상기 연결터미널(16)은 양단 리셉터클 터미널로서, 일측 단부로는 상기 제1터미널(15)이 삽입되고 타측 단부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30)의 제2터미널(36)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상기 제1터미널(15)과 제2터미널(36)이 직접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first housing 12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first housing 12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A first terminal installation space (14)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12). A first terminal (15)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installation space (14). The first terminal installation space (14)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first terminal (15) has a connection terminal (16). The connection terminal 16 is a both-end receptacle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15 is inserted at one end and the second terminal 36 of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erted at the other en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However, the first terminal 15 and the second terminal 36 may be directly coupl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제1하우징(12)의 양측 외면에는 돌기슬롯(17)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슬롯(17)은 상기 제1하우징(12)의 선단까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슬롯(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30)의 연동돌기(38)가 삽입되어 안내된다.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2, a projection slot 17 is formed long. The protrusion slot 17 is formed to be open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12. An engaging projection 38 of the second connector 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guided in the projection slot 17. [

상기 돌기슬롯(17)의 끝부분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외면 양측으로 돌출되게 회전중심축(1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2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축(18)은 레버(20)의 회전중심이 된다.A rotation center shaft 18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2 adjacent to the end of the protrusion slot 17. The rotation center shaft 18 is provided with a lever 20 to be described below. The rotation center shaft 18 serves as a rotation center of the lever 20. [

한편,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는 제1인터락터미널(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9)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30)의 제2인터락터미널(39)과 결합되고 분리되면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결합과 분리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Meanwhile, a first interlock terminal 19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12.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19 is engaged with and disengaged from the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of the second connector 30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Thereby providing a signal for separation.

레버(20)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결합과 분리를 위한 힘을 전달한다. 상기 레버(20)는 레버손잡이(22)의 양단에 레버장착판(24)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레버장착판(24)은 소정 형상의 판으로 상기 제1하우징(12)의 양측 외면에 안착된다. 상기 레버장착판(24)에는 회전통공(26)이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2)의 회전중심축(18)이 위치된다.The lever 20 acts as a lever and transmits a force for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 The lever 20 includes a lever mounting plate 2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ever handle 22. The lever mounting plate 24 is seat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12 with a predetermined shape. A rotation hole 26 is formed in the lever mounting plate 24 so that the rotation center shaft 18 of the first housing 12 is positioned.

상기 레버장착판(24)에는 또한 연동슬롯(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슬롯(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의 연동돌기(38)가 안내되어 이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동슬롯(28)은 상기 회전통공(26)에서부터의 거리가 연동슬롯(28)의 입구에서 부터 시작해서 내측으로 가면서 점차 짧아지도록 된다.The lever mounting plate 24 also has an interlocking slot 28 formed therein. The interlocking slot 28 is a portion where the interlocking projection 38 of the second connector to be described below is guided and moved. The distance of the interlocking slot 28 from the rotating through hole 26 gradually becomes shorter from the entrance of the interlocking slot 28 to the inner side.

상기 레버(20)의 레버장착판(24)에는 각각 걸이부(29)가 있다. 상기 걸이부(29)는 상기 레버장착판(24)의 일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29)는 레버(20)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톱돌기(42)에 걸어진다. 그리고, 레버(20)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는 스톱돌기(42)의 연동안내면(43)에 안내되어 걸리지 않고 레버(20)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The lever mounting plate 24 of the lever 20 has hook portions 29, respectively. The hooking portions 29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lever mounting plate 24. The hook portion 29 is hooked on the stop protrusion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from each other. When the lever 20 is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the lever 20 can be rotated without being guided by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43 of the stopper 42 do.

제2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3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32)도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32)을 전후로 관통하여서 제2터미널안착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34)에는 제2터미널(36)이 설치된다. 상기 제2터미널(36)은 상기 제1커넥터(10)에 있는 터미널(15,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분리된다.The second housing (32)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second connector (30). The second housing 32 is also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34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using 32 forward and backward. A second terminal (36) is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34). The second terminal 36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separated from the terminals 15, 16 in the first connector 10.

상기 제2하우징(32)의 양측 외면에는 연동돌기(3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동돌기(38)는 상기 레버(20)의 연동슬롯(28)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제2커넥터(30)와 제1커넥터(10)가 서로 가까워지고 멀어지도록 한다.Interlocking protrusions 38 protrude from out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32. The interlocking protrusion 38 is guided along the interlocking slot 28 of the lever 20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first connector 10 are moved toward and away from each other.

상기 제2하우징(32)의 내부에는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9)과 결합될 수 있는 제2인터락터미널(39)이 설치된다. 상기 제2인터락터미널(39)과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9)과의 결합이 상기 제2터미널(36)이 제1커넥터(10)의 터미널(15,16)과 분리되기 전에 분리되도록 구성된다.A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19, is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32. So that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and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19 is released before the second terminal 36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s 15 and 16 of the first connector 10. [ .

상기 제2하우징(32)의 외면에는 장착판(40)이 있다. 상기 장착판(40)은 제2커넥터(30)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모서리에 인접하여 다수개의 체결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2, a mounting plate 40 is provided. The mounting plate 40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not shown) adjacent to the corner for mounting the second connector 30 to the fixing portion.

상기 장착판(40)에는 스톱돌기(42)가 있다. 상기 스톱돌기(42)에는 연동안내면(43)과 걸이면(43')이 서로 반대쪽에 있다. 상기 연동안내면(43)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레버(20)의 걸이부(29)가 안내되면서 상기 스톱돌기(42)가 형성된 연결부(44)를 탄성변형시키도록 한다. 상기 연동안내면(43)은 상기 레버(20)의 회전시에 상기 걸이부(29)의 이동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mounting plate (40) has a stop projection (42).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43 and the back surface 43 'of the stop protrusion 42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43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so that the hooking portion 29 of the lever 20 is guided to elastically deform the connection portion 44 formed with the stop protrusion 42.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43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ook 29 when the lever 20 is rotated.

상기 걸이면(43')은 상기 연동안내면(43)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20)의 회전시에 상기 걸이부(29)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43')은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분리를 위해 상기 레버(20)가 회전할 때, 상기 레버(20)의 회전을 잠깐 차단하기 위해 상기 걸이부(29)가 걸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The hooking surface 43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43 and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ooking portion 29 when the lever 20 is rotated. The hooking surface 43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20 so as to temporarily block the rotation of the lever 20 when the lever 20 is rotated for separating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ortion 29 is hooked.

상기 스톱돌기(42)는 연결부(44)를 통해 상기 장착판(40)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스톱돌기(42)가 상기 연결부(44)를 통해 직접 상기 제2하우징(32)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44)는 외팔보 형상으로 된 것으로, 선단에 상기 스톱돌기(42)가 있다. 상기 양측의 연결부(44)를 연결하도록 해제레버(46)가 있다. 상기 해제레버(46)는 양측에 있는 스톱돌기(42)를 연결하여 양측의 스톱돌기(42)가 동시에 동작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해제레버(46)는 '∪'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해제레버(46)의 일측에는 해제손잡이(48)가 있어, 해제레버(46)를 작업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op projection 42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plate 40 via a connecting portion 44. Of course, the stop protrusion 42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32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44. [ The connecting portion 44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and has the stop projection 42 at its tip end. And a release lever 46 is provided to connect the connection portions 44 on both sides. The release lever 46 connects the stop projections 42 on both sides so that the stop projections 42 on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op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release lever 46 has a U-shape. At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46, there is a release handle 48, which allows the release lever 46 to be easily operated by an operato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커넥터(10)에 장착된 레버(2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기슬롯(17)의 입구와 상기 연동슬롯(28)의 입구가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마주보게 하고, 상기 제2커넥터(30)의 연동돌기(38)가 상기 돌기슬롯(17)과 연동슬롯(28)에 들어가도록 한다.In order to allow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to be coupled with each other, the lever 20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10 is in a state shown in FIG. 6, 17 and the inlet of the interlocking slot 28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is state,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interlocking protrusion 38 of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slot 17 and the interlocking slot 28 Enter.

상기 연동돌기(38)가 상기 돌기슬롯(17)과 연동슬롯(28)에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레버(20)를 도 6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동돌기(38)가 상기 연동슬롯(28)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20)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30)와 서로 가까워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레버(20)의 걸이부(29)는 도 7의 상태를 지나면서, 상기 스톱돌기(42)의 연동안내면(43)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걸이부(29)가 상기 연동안내면(43)을 따라 안내되면, 상기 스톱돌기(42)가 상기 걸이부(29)에 의해 밀린다. 즉, 상기 연결부(44)와 해제레버(46)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져, 상기 스톱돌기(42)가 상기 레버(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The lever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6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locking projection 38 enters the protrusion slot 17 and the interlocking slot 28. As the interlocking protrusion 38 moves along the interlocking slot 28, the first connector 10 is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or 30 by the lever 20, . In this process, the latching portion 29 of the lever 20 moves along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43 of the stop protrusion 42, as shown in FIG. When the hooking portion 29 is guided along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43, the stopping projection 42 is pushed by the hooking portion 29.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portion 44 and the release lever 46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top projection 4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20.

상기 레버(20)가 계속하여 회전하게 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돌기(38)가 상기 연동슬롯(28)의 끝 부분에 오게 되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의 결합이 완성된 상태가 된다.The lever 20 is continuously rotated so that when the interlocking projection 38 comes to the end of the interlocking slot 28 as shown in FIG. 8,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10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 30 is completed.

한편, 도 7에 도시된 상태 근처에서 상기 제2터미널(36)과 상기 제1연결터미널(16)이 결합되기 시작하고, 상기 레버(20)의 걸이부(29)가 스톱돌기(42)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9)과 제2인터락터미널(39)이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인터락터미널(19,39)이 서로 결합하게 되면, 그 때부터 상기 제1터미널(15), 제1연결터미널(16), 제2연결터미널(36)을 통해 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7, the second terminal 36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6 start to be engaged, and the hook portion 29 of the lever 20 is engaged with the stop protrusion 42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19 and the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 terminals 19 and 39 are coupled to each o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terminal 15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6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36, .

상기와 같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결합되어 통전을 수행하다가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야 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제2터미널(36)과 제1연결터미널(16)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generation of sparks between the second terminal 36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6 is prevented.

상기 레버(20)가 커넥터(10,30) 사이의 결합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커넥터(30)의 연동돌기(38)가 상기 레버(20)의 연동슬롯(28)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사이의 결합이 분리되기 시작한다.The coupling protrusion 38 of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interlocking slot 28 of the lever 20 when the lever 20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when the lever 20 is engaged with the connector 10, As a resul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begins to separate.

상기 레버(20)가 회전되어 상기 걸이부(29)가 상기 스톱돌기(42)에 걸어진, 도 9의 상태가 되기 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9)과 제2인터락터미널(39) 사이의 결합이 분리된다. 제1인터락터미널(19)과 제2인터락터미널(39)이 분리된 상태는 도 4에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터미널(36)과 상기 제1연결터미널(16) 사이의 결합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직 분리되지 않은 상태이다.The first interlock terminal 19 and the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fore the lever 20 is rotated so that the latching portion 29 is hooked on the stop projection 42, Are separated.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19 and the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are separated can also be seen in FIG. However,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terminal 36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6 is not yet separated as can be seen in FIG.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9)과 제2인터락터미널(39)이 분리된 직후에 상기 레버(20)의 걸이부(29)가 상기 제2커넥터(30)의 일측에 걸어진다. 즉, 상기 제2커넥터(30)의 스톱돌기(42)에 상기 레버(20)의 걸이부(29)가 걸어지고, 레버(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레버(20)가 더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톱돌기(42)가 상기 걸이부(29)에서 후퇴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해제레버(46)를 작업자가 조작하면 된다. 즉, 상기 해제손잡이(48)를 작업자가 눌러서 상기 스톱돌기(42)가 상기 레버(20)의 걸이부(29)에서 분리되어 후퇴되도록 하면 된다. 작업자가 상기 해제손잡이(48)를 조작하여 해제레버(46)가 탄성변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시간이 지체될 수 밖에 없다. The hook portion 29 of the lever 20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30 immediately after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19 and the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are separated. That is, the latching portion 29 of the lever 20 is hooked on the stop protrusion 42 of the second connector 30, so that the lever 20 can not rotate any more. The stop protrusion 42 must be retracted from the hook 29 to allow the lever 20 to rotate further. This can be accomplished by the operator by operating the release lever 46. That is, the operator can press the release knob 48 so that the stop projection 42 is separated from the hook portion 29 of the lever 20 and retracted.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must be delayed in order for an operator to operate the release knob 48 to cause the release lever 46 to be elastically deformed.

이때,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19)과 제2인터락터미널(39) 사이의 분리는 이미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여기서 제공되는 신호를 받아 제2터미널(36)과 제1연결터미널(16) 그리고 제1터미널(15)을 통한 통전은 중단된다. 이와 같이 터미널(36,16,15)들을 통한 통전이 중단된 상태이지만, 이들 터미널(36,16,15)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직도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since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19 and the second interlock terminal 39 has already been performed, the second terminal 36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6, The energization through the first terminal 15 is stopped. In this state, energization through the terminals 36, 16, 15 is interrupted, but these terminals 36, 16, 15 are still coupled as shown in Fig.

상기 스톱돌기(42)가 후퇴되어 상기 레버(20)가 계속하여 회전하면, 상기 연동돌기(38)는 상기 연동슬롯(28)의 입구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30) 사이는 점차 분리되도록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터미널(36)과 제1연결터미널(16)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데, 이미 통전이 중단된 상태이므로 스파크 발생은 없게 된다.When the stop protrusion 42 is retracted and the lever 20 is continuously rotated, the interlocking protrusion 38 moves toward the inlet of the interlocking slot 28,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30) are gradu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is process,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terminal 36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6 is separated. Since the energization is already stopped, no spark is genera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커넥터(10)에 제1터미널(15)과 제1연결터미널(16)이 동시에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제1터미널(15)만 있어, 제2커넥터(30)의 제2터미널(36)과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15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6 are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or 10 at the same time, , And the second terminal (36) of the second connector (30).

그리고, 상기 스톱돌기(42)는 상기 제2커넥터(30)의 제2하우징(32)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제2하우징(32)에 있는 장착판(40)에 있다.The stop protrusion 4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and is in the mounting plate 40 in the second housing 32 in this embodiment.

또한, 상기 연결부(44)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해제레버(4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연결부(44)가 상기 해제레버(46)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각각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lso, the connection portions 4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elease lever 46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this is not necessarily so. That is, the connecting portion 44 may not be connected by the release lever 46 but may be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한편,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부(29)가 상기 레버(20)의 회전방향중 커넥터(10,30)의 결합시에는 상기 스톱돌기(42)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지나가고, 커넥터(10,30)의 분리시에는 상기 스톱돌기(42)에 걸어져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스톱돌기(42)를 후퇴시켜야 레버(20)의 회전이 진행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스톱돌기(42)에 상기 걸이부(29)가 항상 걸어져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스톱돌기(42)를 후퇴시켜야 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 connector (10, 30) is engag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ever (20), the hook portion (29) passes the stop projection (42)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connector The stopper 42 engages with the stopper 42 so that the worker artificially moves the stopper 42 back to advance the rotation of the lever 20. However, the hook 29 may be always hooked on the stop protrusion 42 so that the operator may artificially retract the stop protrusion 42.

물론, 커넥터(10,30)의 분리시에는 반드시 스톱돌기(42)에 걸이부(29)가 걸어져 인위적으로 조작해서 레버(20)가 더 돌아가도록 하고, 결합시에는 어떠하게 동작되어도 상관없다.Of course, when the connectors 10, 30 are detached, the latching portions 29 are always hooked on the stop protrusions 42 so that the levers 20 can be manually operated so that the lever 20 is rotated further. .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4: 제1터미널안착공간 15: 제1터미널
16: 제1연결터미널 17: 돌기슬롯
18: 회전중심축 19: 제1인터락터미널
20: 레버 22: 레버손잡이
24: 레버장착편 26: 회전통공
28: 연동슬롯 29: 걸이부
30: 제2커넥터 32: 제2하우징
34: 제2터미널안착공간 36: 제2터미널
38: 연동돌기 39: 제2인터락터미널
40: 장착판 42: 스톱돌기
43: 연동안내면 43': 걸이면
44: 연결부 46: 해제레버
48: 해제손잡이
10: first connector 12: first housing
14: Terminal 1 seating space 15: Terminal 1
16: first connection terminal 17: projection slot
18: rotation center shaft 19: first interlock terminal
20: lever 22: lever handle
24: lever mounting piece 26: rotating hole
28: interlocking slot 29:
30: second connector 32: second housing
34: Terminal 2 seating space 36: Terminal 2
38: cooperating projection 39: second interlock terminal
40: mounting plate 42: stop projection
43: interlocking guide surface 43 ':
44: connection part 46: release lever
48: Release handle

Claims (7)

외관을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제1인터락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장착판과 상기 레버장착판에 일체로 된 레버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장착판의 일측에 걸이부가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 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분리되기 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분리되는 제2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걸이부가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시에 상기 걸이부를 걸어 레버의 회전을 차단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걸이부가 통과되도록 하는 스톱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 first connector in which a first terminal is installed in a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rough an inside of a first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first interlock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A lever including a lever mount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connector and a lever handle integrally formed on the lever mounting plate and having a hook on one side of the lever mounting plate;
And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is installed in a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which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constitutes an outer appearance, And a second interlock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befo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separated. 2 connector,
And a stop protrus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hooked by the lever to stop the rotation of the lever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allow the hook to be manipulated by the operator Respectively.
외관을 구성하는 제1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1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 제1인터락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장착판과 상기 레버장착판에 일체로 된 레버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장착판에는 연동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장착판의 일측에 걸이부가 구비되는 레버와,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외관을 구성하는 제2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터미널안착공간 내에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 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분리되기 전에 상기 제1인터락터미널과 분리되는 제2인터락터미널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걸이부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시에는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되어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시에는 상기 걸이부를 걸어 레버의 회전을 차단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어 걸이부가 통과되도록 하는 스톱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 first connector in which a first terminal is installed in a first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rough an inside of a first housing constitut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first interlock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The lever mounting plate includes a lever mounting plate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connector, and a lever handle integrally formed on the lever mounting plate. The lever mounting plate has a link slot and a lever having a hook on one side of the lever mounting plate ,
And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is installed in a second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which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constitutes an outer appearance, And a second interlock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interlock terminal befor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separated. 2 connector,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hook of the lever is guided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engaged and elastically deformed to pass therethrough and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separated, And a stop protrusion configured to block rotation of the hook and to be manipulated by an operator to allow the hook to pass therethrough.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돌기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된 장착판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판과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
3.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op projec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 mounting plat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are connected to the mounting plate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 양측의 상기 스톱돌기들은 해제레버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해제레버의 일측에는 해제손잡이가 설치되어 양측의 스톱돌기를 동시에 조작하는 커넥터 조립체.
3.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op projections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elease lever, and a release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lease lever to simultaneously operate the stop projections on both sid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돌기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을 위해 회전할 때에 걸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동안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걸이부가 스톱돌기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연동안내면과 반대쪽에는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분리를 위해 상기 레버가 회전할 때 상기 걸이부의 이동방향에 직교하게 걸이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op projection has an interlocking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hook when the lever rotates to engag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is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ook when the lever rotates to separat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터미널이 더 설치되어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이 상기 제1연결터미널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housing furth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The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의 외면 양측에는 상기 레버의 연동슬롯을 따라 안내되는 연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하우징에는 상기 연동돌기와 제1하우징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돌기슬롯이 제1하우징의 선단에서부터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7.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is formed with an associated protrusion on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the interference protrusion being guided along the associated slot of the lever, Is formed from the tip of the first housing.
KR1020150093913A 2015-07-01 2015-07-01 Connector assembly KR102410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13A KR102410463B1 (en) 2015-07-01 2015-07-01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913A KR102410463B1 (en) 2015-07-01 2015-07-01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74A true KR20170004074A (en) 2017-01-11
KR102410463B1 KR102410463B1 (en) 2022-06-17

Family

ID=5783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913A KR102410463B1 (en) 2015-07-01 2015-07-01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46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931A (en) * 2001-11-20 2003-05-30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Lever-operated connector
KR20120046796A (en) 2009-10-08 2012-05-1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stage latching sequence
KR101234338B1 (en) * 2011-10-31 2013-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having inter lock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7931A (en) * 2001-11-20 2003-05-30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Lever-operated connector
KR20120046796A (en) 2009-10-08 2012-05-1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Connector assembly having multi-stage latching sequence
JP2013507734A (en) * 2009-10-08 2013-03-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Connector assembly having a multi-stage latch sequence
KR101234338B1 (en) * 2011-10-31 2013-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Lever type connector having inter lock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463B1 (en)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136B1 (en) Cpa device for direct mating and unmating
EP1914847B1 (en) Cable connector for vehicle door
US8333613B2 (en) Header assembly
EP2525444B1 (en) Low-insertion-force connector
US9531105B2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JP2014512659A (en) Airbag connector system
JP2008226534A (en) Connector
KR20170051901A (en) Connector assembly
US9837763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4245956A (en) Electrical plug connectio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fixing element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JP2007173164A (en) Connector
KR101530431B1 (en) Connector device
KR101939072B1 (en) Lever type connector
US20090098758A1 (en) Connection system and squib connector therefor
KR101899841B1 (en) Connector assembly
KR20170004074A (en) Connector assembly
CN110770981A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KR102078163B1 (en) Lever type concector
KR20120120810A (en) Interlock connector assembly
JP2016046133A (en) Connector with lever
KR101856382B1 (en) Connector assembly
KR101632708B1 (en) Connector assembly
KR200466962Y1 (en)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JPH0918174A (en) Electric engineering structure member
KR20210084145A (en) Connector having center aligning function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