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56U - 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 Google Patents

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56U
KR20170004056U KR2020160002787U KR20160002787U KR20170004056U KR 20170004056 U KR20170004056 U KR 20170004056U KR 2020160002787 U KR2020160002787 U KR 2020160002787U KR 20160002787 U KR20160002787 U KR 20160002787U KR 20170004056 U KR20170004056 U KR 201700040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ock
blanket
swing body
rope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7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6393Y1 (en
Inventor
이혜승
Original Assignee
이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승 filed Critical 이혜승
Priority to KR2020160002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93Y1/en
Publication of KR20170004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5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9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아기용 해먹 그네는, 아기용 해먹 그네에 있어서,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고정 프레임부;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버클을 포함하는 로프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 및 일측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 버클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을 기준으로,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중앙 측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부;를 포함한다.The baby hammock s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for providing a fixing position in a hammock swing for a baby; A rop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rope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xed buckl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ope; A hammock swing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straps fixed on one side of the hammock swing body and the other side on which the fixed buckle is fitted, And a hammock swing body portion on which a boarding space is formed.

Description

아기용 해먹 그네 및 아기용 해먹 담요{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본 고안은, 해먹 그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해먹 타입으로 형성되는 아기용 해먹 그네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hammock sw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hammock swing for a baby hammock type.

일반적으로 1세 미만인 영아나, 1세 내지 4세 미만의 아기에 해당하는 아기를 재울 때, 아기가 부모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 침대 매트리스나 바닥에 펼쳐진 침구류에서 혼자 눕혀진 상태로 수면에 들지 못한다.Generally, babies who are younger than 1 year of age, babies of 1 to 4 years of age, and the baby feels uneasy when away from their parents, may be lying alone in bed mattresses or bedding spread on the floor I can not sleep.

이러한 경우, 부모가 아기를 품에 안은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의 진동을 주게 되면, 아기는 안락감을 느끼게 되며, 혼자서 침대 매트리스 등에 눕혀진 경우에 비하여 원활하게 수면에 들게 된다.In such a case, when the parent holds the baby in his / her bosom and gives a certain period of vibration, the baby feels comfortable, and the baby sleeps more smoothly than when laid alone on the bed mattress.

이러한 경우, 부모가 아기가 수면에 들때까지 아기를 안고 있어야 하며, 이로 인하여 부모의 관절 등에 무리가 갈 수 있고, 아기를 재우는 동안은 다른 일을 전혀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the parents have to hold the baby until the baby is asleep, which can lead to a strain on the parent's joints, and while the baby is sleeping, there is no other way to do anything else.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기용 바운서 또는 흔들 침대이 같이 아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아기에게 일정한 움직임을 줌으로써, 아기에게 안락감을 주어, 아기가 쉽게 수면에 들게 할 수 있는 제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have been developed products which allow the baby to comfortably sleep by giving a certain movement to the baby while the baby is lying down, such as a baby bouncer or a rocking bed. .

다만, 이러한 제품의 경우, 움직임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며,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은 아기의 성장에 따라서, 사용 빈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는 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당한 크기로 인하여, 공간을 불필요하게 점유함으로써, 집안의 공간 효율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part for movement is required and the volume becomes large. In addition, these products tend to decrease in frequency of use as the baby grows. In such a case, too, the space is unnecessarily occupied due to a considerable size, which hinders the space efficiency of the house.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채용하며 동시에 아기에게 안락감을 줌으로써, 부모에게 아기의 수면에 따른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아기용 해먹 그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aby hammock swing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baby's sleep by provid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comforting the baby at the same time .

또한, 단순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집안의 공간 점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아기용 해먹 그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adopting a simple structu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ammock swing for a baby that can minimize space occupancy in the hous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아기용 해먹 그네는, 아기용 해먹 그네에 있어서,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고정 프레임부;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버클을 포함하는 로프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 및 일측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 버클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을 기준으로,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중앙 측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부;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by hammock swing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for providing a fixed position in a baby hammock swing; A rop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rope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xed buckl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ope; A hammock swing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straps fixed on one side of the hammock swing body and the other side on which the fixed buckle is fitted, And a hammock swing body portion on which a boarding space is formed.

또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담요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의 상기 탑승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해먹 담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hammock blanket body including a hammock blanket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air of grip units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detachably received in the boarding space of the hammock swing body; .

또한, 상기 해먹 담요부의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호 간에 제1 방항으로 이격되며, 각각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손잡이 유닛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pair of grip units of the hammock blanket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nd each of the grip units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A pair of knob fixing parts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fixed to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a grip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and providing a grip position to a user.

또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할 수 있다.The knob fixing unit of the knob unit may further include a slit sewing line sewn to the hammock blanket body along an intersecting lin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knob fixing unit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simultaneously .

또한, 상기 해먹 담요부의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전면은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과 다른 재질 또는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에는 아기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of the hammock blanket par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r the same material as the back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a baby seat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또한, 상기 해먹 그네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는,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인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는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인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가, 상기 탑승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해먹 담요부의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의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해먹 담요부를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hammock swing body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are formed of a fabric material. The hammock swing body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ammock swing body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hammock swing body Wherein the hammock blanket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im of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ortion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The hammock blanket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of the hammock swing body so that the hammock blanket portion is fixed to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

또한, 상기 해먹 그네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모서리들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의 일측은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의 타측에는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그네 몸체측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의 단부에는 로프부측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버클은 상기 그네 몸체측 고정홀 및 상기 로프부측 고정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로프부 및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를 연결시킨다.In addition,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of a fabric material, and a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with a transition padding along the rim, and the connecting straps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edges of the hammock swing body A swing body side fixing hole projecting from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trap, and a rope-side fixing hol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ope, And the fixed buckle passes through the swing body side fixing hole and the rope side fixing hole at the same time to connect the rope portion and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또한, 상기 로프부의 상기 로프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로프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연결 스트랩들과 상기 고정 버클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중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지지될 수 있다.Further, the ropes of the rope porti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pe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trap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mmock swing body by the fixed buckle ,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rope may be supported by the fixed frame portion.

또한, 상기 해먹 그네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 공간을 두고 상기 일단이 상기 탑승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 리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of a fabric material, and a rim portion of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along the rim, and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is fixed to the rim portion at one end, And a pair of fixing ribbon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one end there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boarding space.

또한, 상기 로프부의 상기 로프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rope of the rope portion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다른 아기용 해먹 담요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담요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의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호 간에 제1 방항으로 이격되며, 각각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손잡이 유닛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한다. Another baby hammock blanket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hammock blanket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air of grip units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wherein a pair of grip units of the hammock blanket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handle unit includes a pair of knob fixing parts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knob unit and fixed to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a grip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and providing a gripping position to a user, wherein the handle fixing portion of the grip unit has a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int of the handle fixing portion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at the same time, The hammock blanket body is sewn on the intersecting lin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ammock blanket bod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에게 안락감을 제공하여, 아기가 보다 수면에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feeling for a baby, thereby providing a baby hammock swing for allowing the baby to easily sleep.

또한, 부피가 적은 아기용 해먹 그네를 제공함으로서, 집안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hammock swing for a baby with a small volu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hous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용 해먹 그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아기용 해먹 그네에서, 해먹 담요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해먹 그네 몸체부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해먹 그네 몸체부의 배면을 부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해먹 담요부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해먹 담요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해먹 담요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aby hammock s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hammock blanket part from a baby hammock swing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III i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hammock swing body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hammock swing body of FIG. 1. FIG.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hammock blanket of FIG. 1. FIG.
FIG. 7 is a rear view of the hammock blanket portion of FIG. 1.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mmock blankets of FIGS. 6 and 7 are us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since 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본 고안에 있어서 "~상에"라 함은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on " means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member,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기용 해먹 그네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aby hammock sw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기용 해먹 그네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아기용 해먹 그네에서, 해먹 담요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baby hammock s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hammock blanket from a baby hammock swing of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III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아기용 해먹 그네(1)는 집안의 기설정된 장소, 예시적으로 문틀 또는 기둥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아기용 해먹 그네(1)에 탑승한 아기에게 일정한 주기의 흔들림을 제공하여, 아기가 원활하게 수면에 들 수 있도록 한다.1 to 3, the baby hammock sw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lace of the house, for example, a door frame or a pillar, Provide the baby with a certain period of shaking, so that the baby can go to sleep smoothly.

아기용 해먹 그네(1)는 고정프레임부(400), 로프부(300)와, 해먹 그네 몸체부(100)와, 해먹 담요부(200)를 포함한다.The baby hammock swing 1 includes a fixed frame portion 400, a rope portion 300, a hammock swing body portion 100, and a hammock blanket portion 200.

보다 상세히, 고정프레임부(400)는,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아기용 해먹 그네(1)의 고정위치를 제공하며,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의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와,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의 양 단에 배치되는 샤프트 고정부(42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xed frame portion 400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provide a fixed position of the baby's hammock swing 1 and includes a stationary frame shaft 410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And a shaft fixing portion 420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haft fixing portions 420 and 410.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는, 고정 위치에 따라서, 연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일부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frame shaft 410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fixed frame shaft 410 can be pulled in or pulled out so that the extended length thereof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fixed position.

샤프트 고정부(420)는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의 양 단에 마련되며, 샤프트 고정부(420)의 일부를 관통하는 예시적으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고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위치는 예시적으로, 문틀과 같이 건축물에 고정된 부재일 수 있다.The shaft fixing portion 4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xed frame shaft 410 and may be fixed to the fixing position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n example screw penetrating a part of the shaft fixing portion 420 . The fixing position may be, for example, a member fixed to the building such as a door frame.

고정프레임부(400)가 예시적으로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고정 프레임부(400)는 상기 문틀의 상측부에 고정되며,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가 상기 문틀 폭에 맞춰서 인입 또는 인출되어, 고정 프레임 샤프트(410)의 길이가 상기 문틀의 폭에 대응되도록 조절된다. 그 다음, 샤프트 고정부(420)를 상기 문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를 샤프트 고정부(420)가 관통되도록 한 다음, 상기 문틀에 고정시킴으로써, 고정프레임부(400)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fixed frame part 400 is fixed to the door frame by way of example, the fixed frame part 400 is fixed to the upper side part of the door frame, and the fixed frame shaft 410 is drawn or drawn in accordance with the door frame width , And the length of the fixed frame shaft 410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door frame. Next, in a state in which the shaft fixing portion 420 is in contact with the door frame, the fixing of the fixing frame portion 400 is performed by securing the screw to the shaft fixing portion 420 and fixing the shaft to the door frame .

로프부(300)는, 고정프레임부(400)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310)와, 각각의 로프(3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버클(320)을 포함한다.The rope portion 300 includes a plurality of ropes 310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portion 400 and a plurality of fixed buckles 320 coupled to the ends of the respective ropes 310.

본 실시예에서 로프부(300)의 로프(310)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하나의 로프(3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로프부측 고정홀(311)이 형성되고, 고정 버클(320)은 로프부측 고정홀(311)에 끼워진다. 그리고, 로프(310)의 중앙부, 즉 로프(310)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의 영역 중 일부는 고정프레임부(440)에 걸쳐져 지지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opes 310 of the rope portion 300 are provid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ne rope 310 has a rope-side fixing hole 311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320) is fitted in the rope-side fixing hole (311). A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pe 310, that is, a portion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pe 310 is supported across the fixed frame portion 440.

이때, 로프(31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고무 및 섬유 복합재질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rope 31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or rubber and fiber composite material.

해먹 그네 몸체부(100)는, 모서리 측이 로프부(300)와 연결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중앙측에는 탑승 공간(150)이 형성된다.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모서리 측이 로프부(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해먹 그네 몸체부(100)는 탑승 공간(150)을 감싸 올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100 is connected to the rope portion 300 at a corner sid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urface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boarding space 15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100. The hammock swing body 100 is formed in a shape that raises the boarding space 150 in a state where a corner side of the hammock swing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rope unit 300.

해먹 담요부(200)는,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150)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해먹 담요부(200)에 아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해먹 담요부(200)를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에 안착 시킴으로써, 아기를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그네(1)에 탑승시킬 수 있다.The hammock blanket 200 can be selectively accommodated in the boarding space 150 of the hammock swing body 100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hammock blanket 200 with the baby lying down on the hammock blanket 200. [ The baby can be mounted on the hammock sw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seating the hammock swing body 100 in the boarding space of the body part.

아기가 해먹 담요부(200)에 눕혀진 상태에서, 해먹 그네(1)에 탑승하였을 때, 아기를 해먹 담요부(200)로부터 꺼내는 경우, 아기가 눕혀진 해먹 담요부(200)의 손잡이부(220)를 들어올림으로써, 아기를 손쉽게 해먹 그네(1)의 해먹 그네 몸체부(100)로부터 꺼낼 수 있다.When the baby is taken out of the hammock blanket 200 when the baby is laid on the hammock blanket 200 and when the child is aboard the hammock swing 1, 220 to lift the baby from the hammock swing body 100 of the hammock swing 1 easily.

또한, 해먹 그네(1)에 아기가 탑승한 상태에서, 해먹 담요 몸체부(200)에 일정 주기의 좌우 방향 진동을 주면서, 아기가 수면에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주며,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150)이 아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아기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baby is on the hammock swing (1), the hammock blanket body (200) is vibr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giving an atmosphere that the baby can easily get to the water surface, Since the boarding space 150 of the body 100 is formed to surround the baby, the baby can feel comfort.

그리고, 로프부(300)의 로프(310)가 탄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로프(310)에 연결된 해먹 그네 몸체부(100)에 대하여 상하 방향 진동을 줄 수 있다.The rope 310 of the rope portion 3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100 connected to the rope 310 can be vertically vibrat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그네(1)의 로프부(300)는 2개의 로프(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로프부(300)가 그 일단은 고정프레임부(400)에 연결되며, 타단은 해먹 그네 몸체부(100)에 연결되는 4개의 로프(110)를 포함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Although the rope portion 300 of the hammock sw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wo ropes 110, one end of the rope portion 300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portion 400 And the other end includes four ropes 110 connected to the hammock swing body part 100.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the configurat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해먹 그네 몸체부(100)에 해먹 담요부(200)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아기가 해먹 담요부(200)에 눕혀지지 않고, 바로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에 눕혀지며, 별도의 해먹 담요부(200)가 사용되지 않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Although the hammock blanket 200 is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hammock swing body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by hammock is not laid on the hammock blanket 200,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parate hammock blank portion 200 is not used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hammock swing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도 1의 해먹 그네 몸체부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해먹 그네 몸체부의 배면을 부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front view of the hammock swing body of FIG. 1,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hammock swing body of FIG. 1.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해먹 그네 몸체부(100)는, 해먹 그네 몸체(110)와, 그네 몸체 스트랩(120)들과, 리본부재(130)와, 제1 고정부(140)들을 포함한다.4 and 5, the hammock swing body 100 includes a hammock swing body 110, swing body straps 120, a ribbon member 130, and first fixing portions 140 .

해먹 그네 몸체(110)는, 예시적으로 패브릭 재질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hammock swing body 110 is formed of, for exampl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abric material,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해먹 그네 몸체(110)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111)가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해먹 그네 몸체(110) 중 테두리부(111)가 형성된 부분은 천이 2겹으로 배치되며, 테두리부(1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천이 1겹으로 배치된다.At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a rim 111 is formed along the rim.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where the rim portion 111 is formed is arranged in two layers, an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rim portion 111 is arranged in one layer.

연결 스트랩(120)은 해먹 그네 몸체(110)의 각 모서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에 고정된다. 이때, 해먹 그네 몸체(110)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The connecting strap 120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corner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and is fixed to the hammock swing body 110. At this time, the hammock swing body 110 is provided at least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rim.

연결 스트랩(120)은, 연결 스트랩(120)의 일측에 형성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의 테두리부(111)에 고정되는 스트랩 고정부(122)와, 연결 스트랩(120)의 타측에 형성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고정홀(121)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strap 1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strap 120 an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trap 120 and includes a strap fixing portion 122 fixed to the rim portion 111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And a fixing hole 121 protruding at least a part from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고정홀(121)에는 로프부(300)의 고정버클(320)이 로프부측 관통홀(311)을 관통한 상태에서 끼워져, 로프부(200)와 해먹 그네 몸체부(10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The fixing buckle 320 of the rope portion 3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1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of the rope portion so that the rope portion 200 and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이때, 하나의 로프(310)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연결되는 연결 스트랩(120)들은, 해먹 그네 몸체(110)의 상기 테두리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straps 120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one rope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therebetween.

한편, 복수의 연결 스트랩(120)들을 기준으로, 해먹 그네 몸체(110)의 전면(110A) 중앙 측에는 탑승 공간(150)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boarding space 15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110A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on the basis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straps 120.

리본부재(130)는, 아기가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150)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 공간(15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아기가 탑승 공간(150)에 탑승한 상태에서, 한 쌍의 리본부재(130)가 탑승 공간(150)을 감싼 상태로 결속되어, 탑승 공간(150)에 탑승한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The ribbon member 130 prevents the baby from escaping from the boarding space 150 while the baby is boarding the boarding space 150 of the hammock swing body 100.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baby is aboard the boarding space 150, a pair of the ribbon members 130 are bound while the boarding space 150 is wrapped, thereby safely protecting the baby boarded in the boarding space 150 .

한 쌍의 리본부재(130)는, 각각 길게 연장 형성되는 리본 부재 몸체(131)와, 리본부재(130)의 일단에 형성되며 테두리부(111)에 고정되는 리본부재 고정부(132)를 포함한다.The pair of ribbon members 130 includes a ribbon member body 131 which is elongated and extended and a ribbon member fixing portion 132 formed at one end of the ribbon member 130 and fixed to the frame portion 111 do.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스트랩 고정부(122) 및 리본부재 고정부(132)는 테두리부(111)에 박음질 처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아기의 탑승 또는 리본부재(130)의 결속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힘이 집중되는, 스트랩 고정부(122) 및 리본부재 고정부(132)가 두껍게 처리된 테두리부(11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힘의 집중에 따른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파손이 감소될 수 있다.The strap fixing part 122 and the ribbon fixing part 132 of the hammock swing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titched and fixed to the rim 111. [ At this time, the strap fixing portion 122 and the ribbon fixing portion 132, which are relatively concentrated by the binding of the baby or the ribbon member 130, are fixed to the thickened frame portion 111, The breakage of the hammock swing body part 100 due to the concentration of force can be reduced.

이때, 스트랩 고정부(122) 및 리본부재 고정부(132)는 해먹 그네 몸체(110)의 배면(110B)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strap fixing portion 122 and the ribbon member fixing portion 132 ar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110B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

복수의 제1 고정부(140)는, 해먹 그네 몸체(110)의 테두리에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의 전면(110A)에 배치된다. 제1 고정부(140)는 예시적으로 벨크로 부재, 단추 부재, 자석 부재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해먹 그네 몸체(110)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고정부(140)들은 상기 4개의 모서리부들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며, 해먹 그네 몸체(11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고정부(140)들은 해먹 그네 몸체(110)의 상기 테두리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호 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fixing portions 140 are disposed on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110A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The first anchor 140 may be, for example, a velcro member, a button member, a magnet member, or the like. When the hammock swing body 110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the first hammers 140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four corner portions, respectively. When the hammock swing body 1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1 fixing portions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state adjacent to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110.

한편, 이하에서는 해먹 담요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hammock blanke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6은 도 1의 해먹 담요부의 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해먹 담요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front view of the hammock blanket portion of FIG. 1, and FIG. 7 is a rear view of the hammock blanket portion of FIG.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먹 담요부(200)는, 해먹 담요 몸체(210)와, 한 쌍의 손잡이 유닛(220)들과, 복수의 제2 고정부(240)들을 포함한다.6 and 7, the hammock blank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ammock blanket body 210, a pair of grip units 220,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ortions 240, .

해먹 담요 몸체(210)는, 패브릭 재질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해먹 담요 몸체(210)는 해먹 그네 몸체(1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형상 및 해먹 그네 몸체(11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mmock blanket body 21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fabric material,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t this time,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hammock swing body 110, or may have the same shape and a size smaller than the hammock swing body 110.

해먹 담요 몸체(210)의 전면(210A)은, 해먹 담요 몸체(210)의 배면(210B)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며, 전면(210A)에는 아기가 눕혀질 수 있는 아기 안착면이 형성된다. 이때, 전면(210A)의 재질은 기모 처리가 된 패브릭 재질일 수 있다.The front surface 210A of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is made of a material softer than the back surface 210B of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and a baby bearing surface on which the baby can be lai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210A. 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front surface 210A may be a fabric material subjected to a brushed process.

전면(210A)의 재질은 기모 처리가 된 패브릭 재질 이외에 통기성이 좋은 망사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material of the front surface 210A may be formed of a mesh material having good breathability in addition to the fabric material subjected to the brushed process.

본 실시예에서는 해먹 담요 몸체(210)의 전면(210A) 및 배면(210B)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210A and the rear surface 210B of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but the same material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 쌍의 손잡이 유닛(220)들은, 해먹 담요 몸체(210)의 배면(210B)에 배치되어, 아기가 상기 아기 안착면에 눕혀진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한다.The pair of grip units 220 are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210B of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to provide a gripping position to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baby is laid down on the baby seat surface.

손잡이 유닛(220)들은, 상호 간에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 된다.The grip units 2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extended in a second direction (X-axis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손잡이 유닛(220)은, 손잡이 유닛(220)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해먹 담요 몸체(1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222),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221)를 포함한다. 이때, 손잡이부(221)는 해먹 담요 몸체(110)와 고정되지 않는다.The grip unit 220 includes a pair of grip holders 222 dispos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grip unit 220 and fixed to the hammock blanket body 110, And a grip portion 221 for providing a grip position. At this time, the handle 221 is not fixed to the hammock blanket body 110.

손잡이 고정부(222)는, 봉제 처리되어 해먹 담요 몸체(210)에 고정되며, 손잡이 고정부(222)에는 복수의 봉제선(223, 224, 225, 226)들을 포함한다.The handle fixing portion 222 is sewn and fixed to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and the handle fixing portion 222 includes a plurality of sewing lines 223, 224, 225, and 226.

이 때, 손잡이 고정부(222)는, 손잡이 고정부(222) 및 해먹 담요 몸체(210)의 중심점(C)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L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L2)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226)을 포함한다. 사선 봉제선(226)은 복수의 봉제선(223, 224, 225, 226) 중 손잡이부(221)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handle fixing part 222 is provided with an intersecting line L (L)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enter line L 1 passing the center point C of the handgrip fixing part 222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at the same time 2 ) of the hammock blanket body. The diagonal sewing line 226 is disposed nearest to the handle 221 of the plurality of sewing lines 223, 224, 225, and 226.

사선 봉제선(226)이 손잡이 유닛(22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형상, 즉 교차 라인(L2)을 따라서 형성됨으로써, 아기가 해먹 담요부(200)에 탑승한 상태에서, 손잡이 유닛(220)의 손잡이 고정부(222)에 집중되는 무게를 분산시킴으로써, 손잡이 유닛(220)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아기를 안정적으로 탑승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iagonal sewing line 226 is formed along the intersecting line L 2 so as to be tilted with respect to the grip unit 220 so that the handle of the grip unit 220 By dispersing the weight concentrated on the fixed portion 222,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grip unit 220, and to stably ride the baby.

본 실시예에 따른 봉제선(223, 224, 225, 226)들은 예시적으로 사다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wing lines 223, 224, 225, and 226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form a trapezoidal shape by way of example.

복수의 제2 고정부(240)들은, 해먹 담요 몸체(210)의 배면(210B) 중 해먹 담요 몸체(210)의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며,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해먹 담요 몸체(210)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고정부(240)들은 4개의 모서리부에 각각 인접한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fixing portions 240 ar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210B of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in a region adjacent to the rim of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econd fixing portions 24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regions adjacent to the four corner portions.

제2 고정부(240)는 예시적으로 벨크로 부재, 단추 부재, 자석 부재 등일 수 있으며, 해먹 담요(200)가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탑승 공간(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해먹 그네 몸체부(100)의 제1 고정부(140)들과 각각 결합되어, 해먹 그네 몸체부(100)로부터 해먹 담요(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ammock blanket 200 may be attached to the hammock swing body 100 in the boarding space 150. The hammock blanket 200 may be a hammock swing The hammock blanket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ammock swing body 100 by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hammocks 140 of the body 10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는 해먹 그네 몸체(110) 및 해먹 담요 몸체(21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해먹 그네 몸체(110) 및 해먹 담요 몸체(210)가 사각형 이외의 원형, 사다리꼴 등의 형상이나,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해먹 그네 몸체(110) 및 해먹 담요 몸체(210)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Although the hammock swing body 110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mmock swing body 110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may have a circular shape, a trapezoid shape, O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 shape. Also, the hammock swing body 110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210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해먹 담요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mmock blankets of FIGS. 6 and 7 are used.

도 8을 참조하면, 아기가 해먹 담요부(200)의 상기 아기 안착면에 눕혀진 상태에서, 해먹 담요부(200)의 배면(210B)에 배치된 손잡이 유닛(220)을 파지하면, 해먹 담요 몸체(210)는 상기 아기 안착면을 내측으로 하여 아기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8, when the baby is held on the baby resting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200 and grips the grip unit 220 disposed on the back surface 210B of the hammock blanket 200, The body 210 is formed by wrapping the baby with the baby resting surface inward.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아기를 해먹 담요부(200)에 태운 상태로, 해먹 그네 몸체부(100)에 손쉽게 아기를 탑승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easily ride the baby on the hammock swing body 100 while the baby is placed on the hammock blanket 200.

또한, 해먹 그네 몸체(100)에 아기를 탑승시키기 않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해먹 담요부(200)를 파지한 상태로, 기설정된 주기의 흔들림을 제공함으로써, 아기가 보다 용이하게 수면에 들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baby is not carried on the hammock swing body 100, since the user directly grasps the hammock blanket 200 and provides the shake of a predetermined cycle, Can be provid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 : 아기용 해먹 그네 100 : 해먹 그네 몸체부
200 : 해먹 담요부 300 : 로프부
400 : 고정 프레임부
1: baby hammock swing 100: hammock swing body
200: hammock blanket part 300: rope part
400: fixed frame part

Claims (11)

아기용 해먹 그네에 있어서,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고정 프레임부;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로프와, 상기 로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 버클을 포함하는 로프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 및 일측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에 고정되며 타측은 상기 고정 버클이 끼워지는 복수의 연결 스트랩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을 기준으로,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중앙 측에 탑승 공간이 형성되는 해먹 그네 몸체부;를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For baby hammock swings,
A fixed frame portion for providing a fixed position;
A rop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rope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xed buckl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rope;
A hammock swing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straps fixed on one side of the hammock swing body and the other side on which the fixed buckle is fitted, A hammock swing for babies that includes a hammock swing body that forms a boarding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담요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의 상기 탑승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해먹 담요부;를 더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mmock blanket body including a hammock blanket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pair of grip units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detachably received in the boarding space of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A baby dragon hammock sw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담요부의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호 간에 제1 방항으로 이격되며, 각각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손잡이 유닛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ir of grip units of the hammock blank portion includes:
Each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The handle unit includes a pair of knob fixing parts arrang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knob unit and fixed to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a grip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and providing a grip position to a u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The method of claim 3,
The handle fixing unit of the handle unit includes:
Wherein the hammock blanket body is sewn to the hammock blanket body along an intersecting lin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andgrip fixing body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simultaneous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담요부의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전면은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과 다른 재질 또는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에는 아기 안착면이 형성되는 아기용 해먹 그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ammock blanket body of the hammock blanket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ck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or the same material,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is formed with a baby seat surfa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그네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는,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인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는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인접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상기 배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가, 상기 탑승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해먹 담요부의 상기 제2 고정부는 각각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의 상기 제1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해먹 담요부를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에 고정시키는 아기용 해먹 그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ammock swing body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are formed of a fabric material,
The hammock swing bod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hammer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hammock swing body, the hammock swing body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hammock swing body and adjacent to each other,
The hammock blanke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ortion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the hammock blanket portions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adjacent to each other,
The hammock blanket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boarding space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s of the hammock blanket portion are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s of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respectively to fix the hammock blanket portion to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Dragon hammock sw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그네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스트랩들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모서리들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의 일측은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 스트랩의 타측에는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그네 몸체측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의 단부에는 로프부측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버클은 상기 그네 몸체측 고정홀 및 상기 로프부측 고정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로프부 및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를 연결시키는 아기용 해먹 그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of a fabric material,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with a rim with a transition along the rim,
The connecting straps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corners of the hammock swing body, respectively,
A swinging body side fixing hole projecting from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strap,
A rope-side fixing hole is formed at an end of the rope,
Wherein the fixed buckle passes through the swing body side fixing hole and the rope side fixing hole at the same time to connect the rope portion and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의 상기 로프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로프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연결 스트랩들과 상기 고정 버클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로프의 중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아기용 해먹 그네.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opes of the rope portion are provid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pe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straps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mmock swing body by the fixed buckle,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rope is supported by the fixed frame portion.
제 1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먹 그네 몸체는 패브릭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해먹 그네 몸체의 테두리에는, 상기 테두리를 따라서 천이 덧대어진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해먹 그네 몸체부는, 일단이 상기 테두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탑승 공간을 두고 상기 일단이 상기 탑승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고정 리본부재를 더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그네.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of a fabric material,
The rim of the hammock swing body is formed with a rim with a transition along the rim,
Wherein the hammock swing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air of fixing rib members fixed at one end to the rim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boarding space at one end with the boarding space.
제 1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부의 상기 로프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아기용 해먹 그네.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rope of the rope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해먹 담요 몸체;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배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해먹 담요부의 한 쌍의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호 간에 제1 방항으로 이격되며, 각각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유닛은, 상기 손잡이 유닛의 일단 및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에게 파지 위치를 제공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유닛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 및 상기 해먹 담요 몸체의 중심점을 동시에 지나는 중심 라인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교차 라인을 따라서 상기 해먹 담요 몸체에 봉제 처리된 사선 봉제선을 포함하는 아기용 해먹 담요.
A hammock blanket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nd a pair of grip units disposed on a back surface of the hammock blanket body,
Wherein the pair of grip units of the hammock blanket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nd each of the grip units extends in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direction,
The handle unit includes a pair of knob fixing parts arrang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knob unit and fixed to the hammock blanket body; And a grip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ortions and providing a grip position to a user,
The handle fixing unit of the handle unit includes:
And a diagonal sewing line sewn to the hammock blanket body along an intersecting lin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andgrip fixing body and the hammock blanket body simultaneously.
KR2020160002787U 2016-05-23 2016-05-23 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KR2004863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87U KR200486393Y1 (en) 2016-05-23 2016-05-23 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87U KR200486393Y1 (en) 2016-05-23 2016-05-23 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56U true KR20170004056U (en) 2017-12-01
KR200486393Y1 KR200486393Y1 (en) 2018-05-11

Family

ID=6125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787U KR200486393Y1 (en) 2016-05-23 2016-05-23 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9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499B1 (en) * 2020-03-26 2021-08-20 도홍구 jumping to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890A (en) * 1947-02-25 1949-04-19 Gladys S Harvey Baby hammock
KR20120008531U (en) * 2011-06-02 2012-12-12 김주연 Bed with swing function for chil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890A (en) * 1947-02-25 1949-04-19 Gladys S Harvey Baby hammock
KR20120008531U (en) * 2011-06-02 2012-12-12 김주연 Bed with swing function for chil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499B1 (en) * 2020-03-26 2021-08-20 도홍구 jumping toy
CN113439970A (en) * 2020-03-26 2021-09-28 都洪九 Jumping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93Y1 (en)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000B2 (en) Portable infant cushion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WO2006094341A1 (en) A portable infant support apparatus
US7588291B2 (en) Breathable infant support pad and head support
US4139131A (en) Child carrier having enveloping structure and suspension strap
US5540188A (en) Toddler harness
US9585494B2 (en) Infant lounger
US9326619B2 (en) Multifunction baby carrier, portable swing and exercise device
US9756960B2 (en) Child-support device with soothing device
US20100187268A1 (en) Infant sling and hip carrier
US8365329B1 (en) Infant feeding and support pillow
US20090199337A1 (en) Cover for a Person that Attaches with Clips Apparatus and Method
US9980580B2 (en) Baby handling device
US20150121627A1 (en) Baby handling device
US10905255B1 (en) Adjustable voluminous padded chair
KR200486393Y1 (en) Hammock type swing apparatus for baby and hammock type blanket for baby
US20160286981A1 (en) Feeding and support pillow
JP6931638B2 (en) Baby carrier
US114577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hild's head
US8495776B1 (en) Toy sleeve
KR101295873B1 (en) Baby carriage for baby sleepping
JP4183595B2 (en) Baby carrier
GB2596776A (en) Lightweight carry swing
KR102278113B1 (en) Infant cushion
JP3124255U (en) Lulla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