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048U - Bag - Google Patents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048U
KR20170004048U KR2020160002771U KR20160002771U KR20170004048U KR 20170004048 U KR20170004048 U KR 20170004048U KR 2020160002771 U KR2020160002771 U KR 2020160002771U KR 20160002771 U KR20160002771 U KR 20160002771U KR 20170004048 U KR20170004048 U KR 201700040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opening
drawer
closing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77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기
Original Assignee
이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기 filed Critical 이창기
Priority to KR2020160002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048U/en
Publication of KR20170004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04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6Closures of the roller-blin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은, 종래에 비해 더 많은 수납공간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납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내부에 제1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후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등 부분과 맞닿는 등판 및 상기 몸체 하면과 등판 하면을 서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able to accommodate more storage space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configure the storage space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bag has a body in which a first storage space is formed, And a bottom plate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and contacts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a bottom plate which connects and supports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plate.

Description

가방{Bag}Bag {Bag}

본 고안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등에 매는 가방에 비해 더 많은 수납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g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formed therein so that a larger storage space can be us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bag, and a storage space .

일반적으로 등에 매는 가방은 학생, 직장인, 여행자 등과 같이 다양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내부는 하나의 공간으로서 여러 가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backpack is used by various people such as students, workers, travelers, and the like, and the inside can accommodate various objects as one space.

근래의 가방 재질은, 캔버스와 같은 천연섬유 또는 비닐, 또는 나일론제 등의 화학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물지나 인조피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직물지나 인조피혁으로 제작되는 등에 매는 가방은, 여행용 트렁크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가방에 비하여 가방 자체의 중량은 가볍지만 지지력이 약하여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물건의 중량 및 개수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변형되어 내부의 물건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Recently, bag materials are made of fabrics made of natural fibers such as canvas or vinyl fibers, or chemical fibers such as nylon, and artificial leather. Bags made of such fabrics and artificial leather are used as traveling trunks Compared with a bag made of plastic material, the weight of the bag itself is light, but its supporting force is weak, so that the weight and the number of objects that can be stored therein are limited, and the object may be damaged instantaneously.

또한 통상 등에 매는 가방은, 지퍼로 여닫거나, 덮개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데, 하나의 공간을 구획하여 수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납공간이 제한적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어, 공간 활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g hanging on the back is usually closed by a zipper or is opened / closed by a lid, the storage space is formed by partitioning and storing one space. Therefore, the storage space is limited,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가방의 하부를 합성수지로 된 수납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수납부에 서랍이 형성된 가방에 관한 기술이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5478호("가방", 1998.06.25, 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가방 하부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일정 지지력은 확보하였으나 하나의 공간을 구획하여 상하부로 나누어 수납공간이 더 제한적으로 형성되어 더 많은 물건을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a technique relating to a bag in which a lower portion of a bag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a receiving portion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drawer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15478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However, in the prior art, the lower portion of the bag i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o secure a certain supporting forc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one space is divided and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a storage space is formed more restrictively.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5478호("가방", 1998.06.25.)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15478 ("Bag ", Jun. 25, 1998).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에 비하여 더 많은 수납공간이 형성된 가방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g having a larger storage space than the conventional on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은,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된 등판 및 상기 등판에 설치되는 어깨끈을 포함하는 가방에 있어서, 내부에 제1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후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등 부분과 맞닿는 등판; 및 상기 몸체 하면과 등판 하면을 서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바닥판; 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g comprising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 back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houlder strap provided on the back plate. A body having a first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 back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body and abutting against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a bottom plate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ck plate; . ≪ / RTI >

또한 상기 가방은, 상기 몸체와 상기 등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2수납공간; 및 상기 몸체, 등판, 제2수납공간 및 바닥판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제2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된 외피;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ag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back plate; And a cover enclosing the body, the back plate,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having opening / closing means for opening / closing the second storage space;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몸체는, 전면이 개방되는 통 형상으로, 상기 제1수납공간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구획 분할된 서랍부 및 상기 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서랍부를 각각 덮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include a drawer portion divided horizontally in the inside of the first storage space, and a cover which is fastened by the body and the fastening means and covers the drawer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서랍부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 분할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dividing the space inside the drawer unit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또한 상기 구획판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자바라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may be formed of a Java LASIK structure which is slid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덮개는, 일측단이 상기 서랍본체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서랍부를 개폐하며, 인접한 덮개의 회동 방향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cover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drawer main body at one end, turn the hinge coupling about the axis to open / close the drawer s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djacent cov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몸체는, 상측에 상기 서랍부를 개폐하는 개폐용 시트가 감겨진 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roll on which an opening / closing sheet for opening / closing the drawer portion is wound on the upper side.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방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가방 몸체와 사용자의 등판이 밀착되는 등판을 이격시켜 또 다른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더 많은 수납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g body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nd a back plate on which a user's back plate is closely contacted to separate another storage space, .

또한 상기 가방은, 몸체의 내부 수납공간에 서랍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랍부에 접이식 구획판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ag has an effect of forming a drawer portion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of the body, and providing a foldable partition plate in the drawer portion so that a space can be selectively formed as necessary.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이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삼실시예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삼실시예의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of thre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물건을 넣을 수 있는 수납공간과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된 사용자의 등이 밀착되는 등판 및 상기 등판에 설치되어 양 어깨에 걸어지는 어깨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등에 매는 가방(백팩, 이하 가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posing a body, comprising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articles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 back plate to which a user's back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is closely attached, and a shoulder strap (Backpack,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g).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은 외피로 둘러싸인 전체 수납공간의 내부를 제1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제2수납공간으로 구획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몸체의 제1수납공간을 수평으로 구획 분할하여 다수개의 서랍부를 형성하되, 사용자가 재차 구획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구조를 갖는 가방이다. Specifically, th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side of the entire storage space surrounded by the shell is divided into a body in which the first storage space is formed and a second storage space. Further, the first storage space of the body is partitioned horizontally to form a plurality of drawer parts, and the user is able to use the storage space by dividing the storage space again,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specifical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ttached drawings.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실시예는 세 가지로, 수납공간의 개수와 각각 서랍부를 개폐하는 덮개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공통된 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차이에 따라 달라지는 실시예들을 차례로 설명한다. The embodiment of th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ree,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storage spaces and the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wer portion, respectively. Accordingly, common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first, and embodiments that vary depending on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in turn.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방향 표시는, 전방은 도면의 전방, 전면은 도면의 전면, 후방은 도면의 후방 및 후면은 도면의 후면, 측면은 도면의 측면, 상면은 도면의 상면, 하면은 도면의 하면으로 정의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directional desig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ront view in the front view, front view in the front view, rear view in the rear view and rear view in the drawing, side view in the drawing, top view in the top view, As shown in Fig.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io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제1실시예는 몸체(100), 등판(200), 바닥판(300) 및 외피(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and 2,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back plate 200, a bottom plate 300, and a skin 500.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제1수납공간(110)이 형성된다. The body 100 has a first receiving space 110 in which an object can be stor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전면이 개방되는 통 형상으로, 제1수납공간(110)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구획 분할된 서랍부(120), 상기 몸체(100)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개방면을 덮는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body 100 has a tubular shape with a front opening, and includes a drawer unit 120 divided horizontally in a first storage space 110, And a lid 130 which is fastened by the means and covers the opening.

상기 서랍부(12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납공간(110)에 층별로 구획된 구성으로, 상기 서랍부(120) 각각의 바닥면(미도시)은 상기 제1수납공간(110)에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판으로 연장 형성되어 층을 구획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서랍부(120)의 개수 및 공간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1 and 2, the bottom part (not shown) of each of the drawer parts 120 is divided into the first storage space 110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110. The drawer part 120 is divided into layers in the first storage space 110, 1 accommodating space 110 and may be extended by a separate plate to divide the layers and may be detachably installed or fixed as necessary.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onfigure the number and space of the drawer unit 120.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부(120)의 일측을 개폐하는 덮개(130)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100)와 체결될 수 있다. 1 and 2, the lid 130, which opens and closes one side of the drawer unit 120, may be fastened to the body 100 by fastening mean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30)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다수의 체결수단(미도시) 일측단이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서랍부(120)를 개폐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id 130 is a rectangular plate, and one end of a plurality of fastening means (not shown)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drawer unit 120 is opened and closed.

상기 덮개(130)는 상기 제1수납공간(110)이 구획되어 이루어진 각각의 상기 서랍부(120)를 각각 여닫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서랍부(120)내부의 네 공간을 개폐하도록 네 개가 몸체(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데, 이때 힌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덮개(130)의 일측단이다. The lid 130 may b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respective drawer units 120 formed by partitioning the first receiving space 110. More specifically, And four hinged portions are hinged to one side of the body 100 so as to open and close the four internal spaces, wherein the hinged portion is one end of the lid 130.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덮개(130)가 서로 평행하게 결합되고, 인접한 상기 덮개(130)끼리 회동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후술될 제2실시예의 구성인 구획판(121)과 연계를 위함으로써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는 상기 구획판(121)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덮개(130)의 회동방향을 일 방향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1 and 2, the lid 130 is coup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acent lids 130 are pivoted is shown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o the partition plate 121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partition plate 121 is not provided, the cover 130 ma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상기 등판(200)은 상기 몸체(100) 후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등 부분과 맞닿는다.The back plate 200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body 100 and contacts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상기 등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도면을 기준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방본체(100) 후방에 배치되는데, 상기 등받이부(100)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등에 맞닿는 구성은 아니며, 정확하게는 상기 외피(500)가 상기 등판(200)과 사용자의 등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등판(200)은 통기 또는 완충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1, the back plate 200 is disposed in the rear of the bag body 10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back plate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ckrest 100 directly contacts the back of the user And the backboard 200 can be made to function as a vent or buffer because the enclosure 500 is located between the backboard 200 and the back of the user.

도 1에 도시된 상기 등판(200)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각형, 원형, 타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사용자의 등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척추의 형상에 따라 일정 곡률로 절곡된 만곡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back plate 200 shown in FIG. 1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back plate 200 may have various plate shapes such as polygonal, circular, and elliptical shapes. A curved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may be further formed.

상기 바닥판(300)은 상기 몸체(100) 하면과 상기 등판(200) 하면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몸체(100) 및 상기 등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bottom plate 300 conn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plate 200 and supports the body 100 and the back plate 200.

상기 외피(500)는 상기 몸체(100), 상기 등판(200) 및 상기 바닥판(500)의 외면을 감싸는 구성이다.The outer cover 5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 back plate 200, and the bottom plate 50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피(500)는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개방면을 제외하고 상기 몸체(100), 상기 등판(200) 및 상기 바닥판(500)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몸체(100)를 개폐하는 개폐수단(600)이 설치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uter cover 500 is formed of a fiber material and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 back plate 200, and the bottom plate 500 except the open surface of the body 100 An opening / closing unit 600 for opening / closing the body 100 is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피(500)는 천연섬유 또는 화학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인조피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등판(200)과 사용자의 등 사이를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게 하거나, 탄성 및 통기성을 가지는 별도의 완충재(솜, 완충패드)가 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200)을 감싸는 상기 외피(500)에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어깨끈이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kin 500 is made of natural fiber or chemical fiber or is made of artificial leather. The outer skin 500 may be made thicker than other parts between the back panel 200 and the back of the user, A separate cushioning material (cotton pad, cushioning pad) is formed inside, thereby enhancing the user's convenience. In addition, a shoulder strap is formed on the outer skin 500 surrounding the back plate 200 so that the shoulder strap can be hung on a user's shoulder.

상기 몸체(100), 상기 등판(200) 및 상기 바닥판(400)은 강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하되,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체결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작비용 절감을 위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재질은 인체에 무해하고 신축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움직였을 때 불편함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body 100, the back plate 200, and the bottom plate 400 may be made of a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or they may be integrally formed or coupl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devic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injection molding is integrally performed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elasticity, so that inconvenience can be prevented when the user mov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상기 몸체(100), 등판(200), 바닥판(300) 및 외피(5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며, 상기 몸체(100) 내부의 서랍부를 재차 구획하는 구성과 제2내부공간(400)이 추가된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nstituent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body 100, the back plate 200, the bottom plate 300, and the sheath 500 of the second embodiment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have a configuration for re-partitioning the drawer portion inside the body 100, 2 internal space 400 is added.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실시예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of the removal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가방의 제2실시예는 몸체(100), 등판(200), 바닥판(300), 제2수납공간(400) 및 외피(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 and 4,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ody 100, the back plate 200, the bottom plate 300,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and the outer cover 500, .

제2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0)는, 보다 넓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랍부(120)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 분할하는 구획판(1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121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drawer unit 120 into upper and lower parts so as to use a wider space.

상기 구획판(121)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자바라식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rtition plate 121 may have a JAVA LASIK structure slid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이를 위하여 상기 서랍부(120) 내부에는 슬라이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구획판(121)이 설치되는 상기 서랍부(200) 내부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서랍부(120) 내부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종의 레일을 형성한다.To this end, a sliding par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drawer part 120. More specifically, the partition plate 12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unit 200 in which the partition plate 121 is installed. The sliding part protrudes inward from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drawer part 120 to form a kind of rail.

상기 구획판(121)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끼워지기 위하여 일측단에 프레임(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상기 프레임은 단면적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면적에 대응되거나, 약간 작은 면적을 가지는 일종의 파이프이다.A frame (not show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artition plate 121 so as to fit into the sliding portion. The frame is a kind of pipe having a sectional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sliding portion or a slightly small area.

상기 구획판(1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단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서랍부(200)의 내면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획판(120)의 타측단이 결합되는 상기 서랍부(200)의 내면은 상기 등판(20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서랍부(200)의 내벽면이다. The partition plate 121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fram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awer unit 200,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drawer unit 20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120 is coupled is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drawer unit 200 facing the back plate 200.

상기 구획판(121)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연성 재질로 마루와 골이 교번 형성된 자바라식 구조로 수축이 가능하다. 도 3에는 상기 구획판(120)이 주름이 져서 수축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The partition plate 121 is shrinkable by a JAVA LASIK structure in which the floor and the bone are alternately formed by a flexible material capable of shrinking and expanding. 3 shows a shape in which the partition plate 120 is wrinkled and contracted.

상기 구획판(121)은 수축 및 연장이 되더라도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데, 대표적으로는 강성이 강한 실리콘이나, 천이 바람직하다. 단,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때에는 폭이 길고, 길이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직사각형 형상의 판 여러 개를 길이방향으로 실 또는 경첩과 같은 장치로 연결하여, 수축시 주름이 잡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전에 종이대신 사용되었던 죽간(竹竿)과 유사한 구성이다.The partition plate 12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ructural stability even if it is shrunk or extended. Typically, the partition plate 121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 or cloth having high rigidity. However, when formed of rigid material, several rectangular plates having a long width and a relatively short length relative to the width may b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means of a device such as a thread or a hinge, have. This structure is similar to the bamboo rod used in place of paper in the past.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121)이 수축 및 팽창되게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1내부공간(110)에 다수개의 층으로 나뉜 상기 서랍부(120)를 재차 상기 구획판(121)으로 상하 구획분할 하도록 하되, 접이가 가능한 자바라식 구조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서랍부(120)를 보다 넓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artition plate 121 is configured to be contracted and expanded because the drawer unit 120,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in the first internal space 110,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use the drawer unit 120 more widely by dividing the space into two, and by forming it into a foldable JAVA LASIK structure.

즉, 도 4에 도시된 상기 구획판(121)을 도 4의 우측 방향으로 밀면, 상기 구획판(121)이 수축하면서 두 개의 상기 서랍부(120)가 통합되어 보다 넓게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artition plate 121 shown in FIG. 4 is pushed in the right direction of FIG. 4, the partition plate 121 contracts and the two drawer units 120 are integrated to utilize the space more widely .

상기 서랍부(120)의 구성 중 상기 구획판(12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합성수지(플라스틱)를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The rest of the structure of the drawer unit 120 except for the partition plate 121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typically a synthetic resin.

상기 서랍부(120)의 개구된 측을 개폐하는 구성은 제1실시예의 상기 덮개(130)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30)는 서로 평행하게 결합되고, 인접한 상기 덮개(130)끼리 회동하는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성된다. 인접한 상기 덮개(130)끼리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구획판(121)을 수축시켜 상기 서랍부(120) 내부의 공간을 넓게 확보해도 그 사용에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상기 덮개(130)끼리 회동하는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하여 보다 편리하게 상기 서랍부(120)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ed side of the drawer unit 120 is the same as that of the lid 130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130 is coup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acent covers 130 are rotate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the adjacent lids 13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each other, the space inside the drawer unit 120 may be widened by shrinking the partition plate 121, which may be inconvenient to use. Therefo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acent lids 130 are rotate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drawer unit 120 more conveniently.

상기 제2수납공간(400)은 상기 몸체(100)와 상기 등판(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와 상기 등판(200)의 이격방향인 길이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갖는다.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back plate 200 and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height direction, which are the spacing directions of the body 100 and the back plate 20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납공간(400)은 상기 몸체(100)의 상기 제1수납공간(110)과 별개로 형성되는 수납공간으로, 보다 부피가 큰 형태의 물건을 수납할 때 사용되는 공간이다. 도 3에는 상기 제2수납공간(400)의 양측면은 뚫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후술할 상기 외피(500)에 의해 밀폐되게 된다. 3 and 4,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is a storage space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torage space 110 of the body 100, Is a space used for storing the image. In FIG. 3, both sides of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are opened, but they are sealed by the envelope 500 described later.

도 3 및 4에는 상기 몸체(100)와 상기 등판(200)의 하측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2수납공간(400)을 형성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과 상기 등판(200)의 양측면 또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2수납공간(40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0)와 상기 등판(200)의 하측이 서로 연결되는 것은 상기 제2수납공간(400)을 형성하는 최소 조건인 것이다. 3 and 4, the body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oth sides of the body 100,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400. That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back plate 200 is a minimum condition for forming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상기 제2수납공간(400)은 양측면 및 상하면이 상기 외피(500)에 의해 감싸지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납공간(400)을 덮는 상기 외피(500) 중, 상기 제2수납공간(400)의 상면 및 측면 일부에 상기 개폐수단(60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수납공간(400)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600)의 위치는 도 3 및 4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수납공간(400)의 어디에도 형성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 among the outer envelopes 500 covering the second enclosure space 400, the second enclosure space 4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600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The posi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600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S. 3 and 4, and can be formed anywhere in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몸체(100)와 상기 등판(200) 사이, 즉 상기 제2수납공간(400)의 양측면이 개방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제2수납공간(400)의 개방된 양측면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3 and 4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100 and the back plate 200, that is,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are opened. However,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openings of both sides of the opening 400 may be closed.

상기 제2수납공간(400)의 양측면을 폐쇄하는 방법은,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등판(200)의 양측면에 별도의 판을 각각 덧붙이는 방법으로 결합시켜 상기 제2수납공간(400)의 양측면을 폐쇄하거나,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등판(200)의 양측면이 서로 연결되도록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상기 제2수납공간(400) 양측면이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각각의 외면을 상기 외피(500)가 감싸도록 하거나, 개방된 상면에만 상기 외피(500) 및 상기 개폐수단(600)을 설치하고 사용자의 등과 밀착되는 상기 등판(200)의 일면에 직접 어깨끈을 형성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A method for clos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storage space 400 includes the steps of attaching separate plates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100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back plate 200 corresponding thereto by a method of attaching them, Both side surfaces of the space 400 may be closed or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100 may be integrally injection molded so that both side surfaces of the back panel 20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reaft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outer skin 500 is wrapped around each outer surface, or the outer skin 500 and the opening / closing means 600 are provided only on the opened upper surface, 200 may be formed by directly forming a shoulder strap on one side of the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서랍부(120)를 개폐하는 수단이 달라진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wer unit 120 is chang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r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rrespective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고안의 삼실시예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삼실시예의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of thre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상기 몸체(100)의 개방면, 정확하게는 상기 서랍부(120)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2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상측에 상기 서랍부를 개폐하는 개폐용 시트(141)가 감겨진 롤(14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용 시트(141)가 상기 롤(140)에서 풀리거나 감겨 상기 서랍부(120)의 일측을 개폐한다. 상기 롤(140)에 감기는 상기 개폐용 시트(141)의 재질은 상기 외피(500)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용 시트(141)가 상기 서랍부(120)의 일측을 닫았을 때 전체적인 통일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5 and 6 illustrate a second embodiment of opening and closing one side of the drawer unit 120 on the open side of the body 10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5 and 6, A roll 140 o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sheet 14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wer unit is woun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unit 100. Accordingly, the opening / closing sheet 141 is unwound or wound on the roll 140 to open / close one side of the drawer unit 120. The material for the opening and closing sheet 141 wound on the roll 14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envelope 500.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sheet 141 closes one side of the drawer part 120 To provide a sense of unity.

상기 개폐용 시트(141)는 끝단에 별도의 후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서랍부(120)의 일측을 닫았을 때, 이 후크를 걸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140)에는 별도의 태엽장치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용 시트(141)가 닫히는 방향 쪽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고, 별도의 버튼이 상기 개폐용 시트(141)의 하측 끝단에 설치되어, 이 버튼을 누르면 상기 후크가 풀려 자동으로 상기 개폐용 시트(141)가 상기 서랍부(120)의 일측을 열도록 할 수 있다.A separate hook (not show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pening / closing sheet 141 so that when one side of the drawer unit 120 is closed, the hook can be clos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A separate spring device is formed in the roll 140 to apply a forc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heet 141 is closed and a separate butt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sheet 141, When the user presses this button, the hook is released and the opening / closing sheet 141 automatically opens one side of the drawer unit 120.

상기 후크는 상기 서랍부(120)의 하부에만 걸 수 있는 것이 아닌, 중단에도 걸어 상기 서랍부(120)의 일부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The hook can not be hooked only to the lower part of the drawer part 120 bu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hanging only a part of the drawer part 120. [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롤(1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 상측에 별도의 공간을 더 형성하거나 상기 외피(500)로 가리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a separate spac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0 or may be covered with the sheath 500 to prevent the roll 14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몸체
110 : 제1수납공간
120 : 서랍부
121 : 구획판
130 : 덮개
140 : 롤
141 : 개폐용 시트
200 : 등판
300 : 바닥판
400 : 제2수납공간
500 : 외피
600 : 개폐수단
100: Body
110: first storage space
120: Drawer part
121: partition plate
130: cover
140: roll
141: Sheet for opening and closing
200: backing
300: bottom plate
400: Second storage space
500: envelope
600: opening / closing means

Claims (7)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형성된 등판 및 상기 등판에 설치되는 어깨끈을 포함하는 가방에 있어서,
내부에 제1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후방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며 사용자의 등 부분과 맞닿는 등판; 및
상기 몸체 하면과 등판 하면을 서로 연결하며 지지하는 바닥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1. A bag comprising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and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 back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houlder strap provided on the back plate,
A body having a first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back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body and abutting against a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A bottom plate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은,
상기 몸체와 상기 등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2수납공간; 및
상기 몸체, 등판, 제2수납공간 및 바닥판의 외면을 감싸며 상기 제2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된 외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The bag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body and the back plate; And
A cover enclosing the body, the back plate, the second storage sp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having opening /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storage spa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면이 개방되는 통 형상으로,
상기 제1수납공간의 내부에서 수평으로 구획 분할된 서랍부 및
상기 몸체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서랍부를 각각 덮는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2] The apparatus of claim 1,
In the form of a cylinder with its front open,
A drawer part horizontally partitioned inside the first storage space,
A cover which is fastened by the body and fastening means to cover the drawer portions,
≪ / RTI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서랍부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 분할하는 구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The apparatus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plate for partition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drawer unit up and dow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자바라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ag is made of a Java LASIK structure slid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일측단이 상기 서랍본체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을 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서랍부를 개폐하며, 인접한 덮개의 회동 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one end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drawer body, the hinge coupling is pivotally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drawer, and the adjacent lid is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측에 상기 서랍부를 개폐하는 개폐용 시트가 감겨진 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The apparatus of claim 3,
And a roll on which an opening / closing sheet for opening / closing the drawer section is wound on the upper side.
KR2020160002771U 2016-05-20 2016-05-20 Bag KR2017000404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71U KR20170004048U (en) 2016-05-20 2016-05-20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771U KR20170004048U (en) 2016-05-20 2016-05-20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048U true KR20170004048U (en) 2017-11-30

Family

ID=60480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771U KR20170004048U (en) 2016-05-20 2016-05-20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048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5242A (en) * 2018-10-29 2019-02-15 合肥桴槎山软籽石榴研发有限公司 A kind of agricultural planting handling device
CN111392205A (en) * 2019-11-01 2020-07-10 济南启源信息科技有限公司 Mark storage and transportation device applied to sampling in breeding 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478U (en) 1996-09-10 1998-06-25 이경용 ba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478U (en) 1996-09-10 1998-06-25 이경용 ba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5242A (en) * 2018-10-29 2019-02-15 合肥桴槎山软籽石榴研发有限公司 A kind of agricultural planting handling device
CN111392205A (en) * 2019-11-01 2020-07-10 济南启源信息科技有限公司 Mark storage and transportation device applied to sampling in breeding wor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654B2 (en) Luggage with cover
JP2020116443A (en) Garment holding device
US9102455B2 (en) Handbag preservation unit
KR20170004048U (en) Bag
US6073738A (en) Article of luggage having divider for opposing sections
US20130092490A1 (en) Hard luggage case
US20200352298A1 (en) Luggage and garment hanging combination assembly
JP5876135B2 (en) Clothing holding device
KR20150062113A (en) A pouched mounted folding chair
KR102210512B1 (en) Rolling bag that allows clothing to be wrapped and stored
US20040084448A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storage
US1830582A (en) Luggage
BR102016030936A2 (en) CONFIGURABLE OBJECT DOOR DEVICE
KR200480065Y1 (en) The storage adjustable bag for campers
KR19980059004U (en) Back case of student bag
JP2001112528A (en) Bag
KR200270869Y1 (en) Car trunk arrangement box
KR200442065Y1 (en) A case of fold and unfold type for vehicle
JP3049590U (en) Telescopic arrangement shelf
US9808057B2 (en) Material of storage device, storage device and a bag thereof
US1650367A (en) Traveling bag
US1202683A (en) Pocket.
KR200211641Y1 (en) A compartment for caddie bag
KR20180089633A (en) Pillow for a foldable bed
KR20130107891A (en) Pack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