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96U - Flot for fishing - Google Patents

Flot for f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96U
KR20170003896U KR2020160002474U KR20160002474U KR20170003896U KR 20170003896 U KR20170003896 U KR 20170003896U KR 2020160002474 U KR2020160002474 U KR 2020160002474U KR 20160002474 U KR20160002474 U KR 20160002474U KR 20170003896 U KR20170003896 U KR 201700038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iron core
crucible
buoyanc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4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8195Y1 (en
Inventor
윤인덕
최정민
Original Assignee
윤인덕
최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덕, 최정민 filed Critical 윤인덕
Priority to KR2020160002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95Y1/en
Publication of KR20170003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9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9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찌(2)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부(20)와, 찌몸통부(2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톱부(22)와 찌몸통부(2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다리부(24)로 구성하되, 찌다리부(24)는 찌몸통부(20)보다 길고 찌톱부(22)보다는 짧은 길이와 찌몸통부(20)의 부력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2g∼7g)을 갖고 찌몸통부(20)에 일부 삽입고정되는 봉돌용 철심(26)과 외부 노출되는 봉돌용 철심(26)을 피복하는 철심피복부(28)로 구성하여서, 수면에 부는 바람에도 영향을 별로 받지 않으며 중층낚시나 내림낚시를 할 수 있고, 다양한 무게를 갖는 봉돌 장착을 포함한 복잡한 방식의 채비나 찌맞춤을 하지 않아도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수초지에서의 낚시도 가능토록 해준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 fishing crucible 2, and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 fishing crucible 2, which comprises a crucible 20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a notch 22 inserted a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rucible 20, The damper section 24 is longer than the crater body section 20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crater section 22 and a buoyancy section of the crater body section 20, And an iron core-covered portion 28 having a relatively light weight (2 g to 7 g) and covering the iron core 26 for bobbin partly inserted and fixed to the squeegee body 20 and the iron core 26 for bobbi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not affected much by the wind blowing on the water, it can do middle-class fishing and down-fishing, and it allows you to do fishing without complicated methods such as mounting a bollard with various weights, It also makes fishing possible.

Description

낚시용 찌{FLOT FOR FISHING}{FLOT FOR FISHING}

본 고안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면에 부는 바람에도 영향을 별로 받지 않으며 복잡한 채비나 찌맞춤을 하지 않도록 되도록 해주는 낚시용 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tack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ment of a fishing tackle which does not suffer from the influence of the wind blow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does not allow complicated preparation or chewing.

낚시용 찌는 낚시 바늘의 봉돌(추)과 조합하여 수중에서 부력과 중력이 균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적당한 부력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물고기가 미끼를 낚아채는 행동으로 인해 그 균형이 깨지면서 상하나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낚시자가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고 챔질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낚시 용구이다.It is made of material with appropriate buoyancy so that buoyancy and gravity are balanced in water in combination with fishing pole needle (chu) of fishing rod for fishing, and the balance is broken by action of fishing bait, It is a fishing tool that allows the fisherman to determine the fish's nibble and determine the timing of the fish.

이러한 낚시용 찌는 주야에 관계없이 시야성이 양호해야 하고 적절한 부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Regardless of day or night, these fishing crucibles should have good visibility and adequate buoyancy.

특히 시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찌 올림이 명확히 관찰되어야 하므로 찌톱 중 상반부가 수면 위에서 위치하도록 찌맞춤을 하게 되며, 낚시용 찌의 찌톱상단에는 야광체인 케미라이트를 주로 장착한다. Particularly, in order to secure visibility, it is necessary to clearly observe the elevation, so that the upper half of the chisstock is crush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chimney top of the fishing chisels is mainly equipped with a light chain chemilite.

낚시용 찌의 부력의 조절을 위해서 낚시용 찌의 찌다리에 연결하는 봉돌을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In order to control the buoyancy of the fishing tackle, an additional tackle is used to connect to the fishing tackle.

봉돌의 치수는 낚시용 찌의 부력에 비례한다. 낚시용 찌의 부력에 대한 세심한 가감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는 봉돌의 무게를 크게 한 다음 현장 찌맞춤시 기존에는 봉돌의 일부를 짤라 내는 과정을 통해서 낚시용 찌의 부력을 최종 맞추거나 낚시용 찌의 부력에 따라 다른 치수의 봉돌로 일일이 교체하여 사용하여서 최종 부력을 맞추게 된다. The dimensions of Bongdol are proportional to the buoyancy of fishing tackle. In order to attenuate the buoyancy of fishing crucibles carefully, the weight of the bolls is generally increased and then the buoyancy of the fishing crucibles is finalized by cutting a part of the bolls in the past. , The end buoyancy can be adjusted by using one of the different sizes of bongle.

봉돌은 납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음이 일반적인데 납은 자연적으로 제거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근래에는 이러한 납으로 이루어진 봉돌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철이나 황동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재질의 봉돌을 사용하게 되는바, 이로 인하여 봉돌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번거로워 부력 조절이 쉽지 않다. It is common that lead is composed of lead, but lead is not removed naturally,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recent years, lead can not be us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buoyancy because it is difficult to arbitrarily adjust the size of the boll stone, because the metal bolls made of iron or brass are used.

즉 종래기술은 낚시용 찌를 이용한 찌맞춤하기가 쉽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찌 맞춤하는데에도 여러 가지의 도구를 추가해야한다. That is,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crush with a fishing tackle, and various tools need to be added to crush it.

또 낚시용 찌 중에서 중충낚시나 내림낚시에 이용되는 저부력 찌의 경우는 바람의 영향으로 낚시채비의 투척을 힘들게 하므로 바람이 많은 날에는 중충낚시나 내림낚시가 어렵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low buoyancy crucibles used for fishing and lowering fishing among fishing lures, it is difficult to throw fish fishing equipment due to the influence of wind, so it is difficult to catch fly fishing and lowering fishing on windy days.

그리고 수초지에서는 낚시용 찌에 수초가 걸려오거나 낚시용 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낚시하기가 쉽지 않는바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낚시용 찌가 구현된다면 낚시하는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것이다.
And, in a paddy field, it is not easy to catch a few seconds on a fishing tackle or a fishing tackle does not work properly. If a fishing tackle that can improve it is implemented, it will get a great response from the fishing people.

등록특허공보 제10-1552347호 "부력 맞춤이 가능한 낚시 찌 제작방법"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52347 entitled " How to make a fishing tackle capable of buoyancy adjustment "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면에 부는 바람에도 영향을 별로 받지 않으며 복잡한 채비나 찌맞춤을 하지 않도록 되도록 해주는 낚시용 찌를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crucible that does not suffer much from the wind blow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does not make complicated preparation or chew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봉돌의 크기를 일일이 교체하지 않도록 해주는 낚시용 찌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crucible that will not replace the size of the bongl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초지에도 사용이 가능한 낚시용 찌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shing crucible that can be used in aquatic plants.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은, 낚시용 찌에 있어서,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부(20)와, 찌몸통부(2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톱부(22)와 찌몸통부(2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다리부(24)로 구성하되, 찌다리부(24)는 찌몸통부(20)보다 길고 찌톱부(22)보다는 짧은 길이와 찌몸통부(20)의 부력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갖고 찌몸통부(20)에 일부 삽입고정되는 봉돌용 철심(26)과 외부 노출되는 봉돌용 철심(26)을 피복하는 철심 피복부(2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shing tack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shing tackle includes a fishing tackle body portion 20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a jiggle portion 22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shing tackle body portion 20, The damper section 24 is longer than the crater body section 20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crater section 22 and a buoyancy section of the crater body section 20, And an iron core covering portion 28 covering the bending iron core 26 having a relatively light weight and partially inserted and fixed to the squeegee body portion 20 and the bending iron core 26 exposed to the outside .

또한 본 고안은, 낚시용 찌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ishing tackle,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부(20)와, 찌몸통부(2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톱부(22)와 찌몸통부(2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다리부(24)로 구성하되, 찌다리부(24)는 찌몸통부(20)보다 길고 찌톱부(22)보다는 짧은 길이와 찌몸통부(20)의 부력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갖고 찌몸통부(20)에 일부 삽입고정되는 봉돌용 철심(26)과 봉돌용 철심(26)의 하측부에 형성된 침력점용 무게비드(27)와 외부 노출되는 봉돌용 철심(26) 및 침력점용 무게비드(27)를 피복하는 철심피복부(2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A jaw portion 22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the upper end of the jaw body 20 and a prong portion 24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jaw body 20, Wherein the stem portion 24 is longer than the stem portion 20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staple portion 22 and a relatively light weight relative to the buoyancy of the stem portion 20, And an iron core 26 for covering the pendulum iron bead 27 and the pendulum iron bead 27 which are externally exposed and which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ndulum iron core 26, And a covering portion (28).

본 고안의 낚시용 찌(2)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봉돌용 칠심(26)의 무게는 2g∼7g임을 특징으로 하며, In constructing the fishing crucib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of the bollard crucible 26 is 2 g to 7 g,

그리고, 찌다리부(24)의 하단에는 0.3g ∼ 1.5g의 분납봉돌(4)이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0.3 to 1.5 g of the minute barbing rod 4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rb 24.

본 고안은 낚시용 찌의 찌다리 자체가 균형잡힌 봉돌역할을 담당하므로 투척과 동시에 낚시용 찌 역할이 바로 가능해 투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고기 챔질을 확인할 수 있고 또 투척이 쉬워 수면에 부는 바람에도 영향을 별로 받지 않아 중층낚시나 내림낚시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게를 갖는 봉돌 장착을 포함한 복잡한 방식의 채비나 찌맞춤을 하지 않아도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은 수초지에서의 낚시도 가능하도록 해주며 낚시 원줄이 끊어져도 낚시용 찌가 그대로 서 있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This design is able to identify the fish chamber that can be made at the same time as throwing, and it is easy to thrown, so it is not affected much by the wind blowing on the water. It allows you to do middle-class fishing and down-fishing, and allows you to do fishing without the need for complicated methods such as mounting bongles with various weights, or without having to squeeze. In addition, this design makes it possible to do fishing in a water field, and even if the fishing line is cut off,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less likely to be lost because the fishing tack is standing as it is.

도 1은 본 고안의 낚시용 찌를 이용한 낚시채비로 낚시를 하는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낚시용 찌의 사용 확대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분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란 낚시용 찌의 사용 확대 구성도.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shing operation using a fishing tackle using a fishing ta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 fishing cruc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xplanatory enlarged configuration of the fishing ta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fishing cruci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construction view of a fishing tack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낚시용 찌(2)를 이용한 낚시채비로 낚시를 하는 개략 구성도로서, 낚시채비를 함에 있어 본 고안의 낚시용 찌(2)에 케미라이트(6)와 분납봉돌(4)만을 장착하면 그 채비 구성이 완료된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shing operation using fishing rods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fish crucible 6 and the minute bar 4 ), The preparation of the preparation is completed.

도 1을 참조하면, 낚시용 찌(2)의 상단에는 케미라이트(6)가 장착되고, 낚시용 찌(2)의 하단에는 분납봉돌(4)이 장착된다. 1, a chemilite 6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shing crucible 2, and a barbing rod 4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crucible 2.

낚시용 찌(2)의 하단에 장착된 분납봉돌(4)의 일측 연결고리에는 낚시대에 일단이 연결된 원줄(12)이 연결되게 하고, 분납봉돌(4)의 타측 연결고리에는 일단이 낚시바늘(10)에 연결된 목줄(8)과 연결되게 하여서 낚시 채비를 구성한 것이다.
A rope 12 connected at one end to a fishing rod is connected to one connecting link of the connecting rod 4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shing rope 2 and one end of the fishing rod 4 is connected to the other connecting link of the connecting rod 4, 10 to be connected to the neckline 8 to form a fishing gear.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찌(2)는 찌다리부(24) 자체가 균형잡힌 봉돌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서 무게가 나가는 다양한 종류의 봉돌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으며, 미세한 현장 찌맞춤을 위해서 0.3g ∼ 1.5g의 적은 무게를 갖는 분납봉돌(4)만이 추가되는 구성이다.The fishing tackle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tackle portion 24 itself can serve as a balanced tackle so that it does not have various kinds of weighted tackles separately, Only the minute lead bar stones 4 having a small weight of 0.3 g to 1.5 g are added.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찌(2)의 분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낚시용 찌(2)의 사용 확대 구성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shing crucib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view of the fishing crucib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찌(2)는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부(20)와, 찌몸통부(2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톱부(22)와, 찌몸통부(2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다리부(24)로 구성하되, 찌다리부(24)는 찌몸통부(20)보다 상대적으로 긴 봉돌용 철심(26)과 봉돌용 철심(26)을 피복하는 철심 피복부(28)로 구성한다. The fishing crucib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ucible 20 formed of a buoyant material, a notch 22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crucible 20, Of the iron core 26 covering the bending iron core 26 and the bending iron core 26 which are relatively longer than the crater body 20, And an abdomen (28).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낚시용 찌(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찌몸통부(20)는 찌의 부력을 위한 재질(예컨대 목재재질)로 구성하며, 찌몸통부(20)의 상부 끼움홈에는 탄소섬유소재나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수지소재로 된 찌톱부(22)가 일부 삽입되어서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다. 2, the crucible 20 is made of a material (for example, a wood material) for buoyancy of the crucible, and the upper part of the crucible 20 The insert groove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22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a carbon fiber material or polycarbonate, and is bonded by an adhesive.

그리고 찌몸통부(2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다리부(24)는 본 고안에 따라 봉돌용 철심(26)과 철심 피복부(28)로 구성하되, 봉돌용 철심(26)은 그 길이(H)가 찌몸통부(20)의 길이(I)보다 길고 찌톱부(22)의 길이(J)보다는 짧도록 구성한다. The prong portion 24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trickle body portion 20 is constituted by a bollard iron core 26 and an iron core covering portion 2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 is longer than the length I of the jaw body 20 and shorter than the length J of the jaw 22.

또한 봉돌용 철심(26)의 무게는 봉돌역할을 대신하기 위한 것으로 찌몸통부(20)의 부력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가벼운 중량을 갖도록 구성하며, 낚시용 찌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본 고안에서 규정하는 2g∼7g 범위 내에서 정해진다.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bending iron core 26 is designed to have a relatively light weight relative to the buoyancy of the crater body 20 in order to replace the role of a bollard, It is set within the range of 2g to 7g.

상기와 같은 봉돌용 철심(26)은 찌톱부(22)보다 직경이 굵으며 그 일부가 찌몸통부(20)에 삽입되고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 고정된다. The bending iron core 26 as described above is thicker in diameter than the tooth top portion 22, and a part of the iron cor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ooth top portion 20 through an adhesive.

본 고안에 따라 찌몸통부(20)에 삽입되는 깊이는 봉돌용 철심(26) 전체 길이의 1/3~1/2가 양호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to be inserted into the sash body 20 is 1/3 to 1/2 of the total length of the iron core 26 for pendulum.

만일 봉돌용 철심(26)이 찌몸통부(20)에 삽입되는 깊이가 봉돌용 철심(26) 전체 길이의 1/2를 넘어서면 침력의 약화로 물 위에서 스스로 서는 힘이 약해지고 심지어는 낚시용 찌(2)의 역할을 제대로 못할 수 있으며, 봉돌용 철심(26)이 찌몸통부(20)에 삽입되는 깊이가 봉돌용 철심(26) 전체 길이의 1/3에도 못 미치면 하중이 한쪽으로 너무 편중되어 물에서 너무 빨리 서면서 수중으로 내려 가버리는 현상이 발생되고 찌몸통부(20)에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는데에 그 임계적 의의가 있다. If the depth at which the bending iron core 26 is inserted into the barrel body 20 exceeds 1/2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arrel iron core 26, the weakening of the bending force weakens itself on the water, If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bending iron core 26 into the barrel body 20 is less than one third of the total length of the bending iron core 26, the load is excessively biased toward one side So that a phenomenon of falling down into the water while standing too fast in the water occurs and is not firmly fixed to the crucible 20, which is critical.

찌몸통부(20)의 하부에 봉돌용 철심(26)이 삽입고정시킨 다음에는 우레탄수지 등으로 봉돌용 철심(26)을 피복하여 철심 피복부(28)를 형성하되 찌몸통부(20)의 하측 일부까지 연장 피복하여서 봉돌용 철심(26)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미관상으로도 수려한 외관을 갖도록 한다.After the iron core 26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trick trunk 20, the iron core 26 is covered with a urethane resin or the like to form an iron core covering portion 28, So as to protect the bending iron core 26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have a cosmetic appearance.

이때 연결고리(30a)를 갖는 연질 끼움편(30)이 찌다리부(24)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봉돌용 철심(26)의 하단부에는 철심 피복부(28)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ron core covering portion 28 is not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ron core for boll 26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soft fitting portion 30 having the connection ring 30a can be easily fitted to the burr portion 24 .

봉돌용 철심(26)과 철심 피복부(28)로 이루어진 본 고안 낚시용 찌(2)의 찌다리부(24)는 균형감 있는 봉돌 역할을 담당하다. 낚시자가 낚시용 찌(2)의 부력 가감을 위한 일 예로서 니퍼(nipper)와 같은 절단공구로 하단 일부를 절단하여서 부력무게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고, 세밀한 부력조절용으로서 별도의 분납봉돌(4)을 연결하여서 부력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데, 분납봉돌(4)을 연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prickly portion 24 of the present invention fishing tackle 2 made up of the iron core 26 and the iron core covering portion 28 plays a role of balancing feeling. As an example of the buoyancy enhancement of the fishing tackle 2, the fisherman can cut a part of the lower end with a cutting tool such as a nipper to adjust the buoyancy weight to a desired state, ), And the buoyancy weight can be adjusted. It is more preferable to connect the minute bar 4.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낚시용 찌(2)의 찌다리부(24) 하단에는 연결고리(30a)를 갖는 연질 끼움편(30)이 끼움고정되며, 연질 끼움편(30)의 연결고리(30a)는 분납봉돌(4)이 연결하기 위한 연질재질의 분납봉돌 연결편(32)의 일측편에 끼움 고정되고 분납봉돌 연결편(30)의 타측편에는 분납봉돌(4)의 상측 연결고리가 끼움 고정된다. The flexible hook 30 having the connecting hook 30a is fitt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urr portion 24 of the fishing net 2 with the connecting hook 30a of the flexible hook 30, The upper connecting link of the connecting rod 4 is fitted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30 of the connecting rod 30 by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rod 32 of the connecting rod 32 of soft material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4.

이러한 분납봉돌(4)은 손쉬운 교체를 허락하므로 낚시형태의 다양성에 적합한 여러 낚시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se brass rods (4) allow for easy replacement, allowing you to use various fishing methods suitable for diversity of fishing styles.

분납봉돌(4)의 상측 연결고리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낚시 원줄(12)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the fishing line 12 is gener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link of the minute bar 4.

분납봉돌(4)은 본 고안에 따라 세밀한 낚시용 찌(2)의 부력조절을 위해 0.3g ∼ 1.5g의 무게범위 내에서 선정 사용되고, 분납봉돌(4)의 하측 연결고리에는 낚시바늘(10)의 목줄(8)이 연결되게 구성한다.
A minute fishing rod 4 is used in a weight range of 0.3 g to 1.5 g for adjusting the buoyancy of the fishing crucib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shing needle 10 is attached to a lower connecting ring of the minute fishing rod 4, The neckline 8 of the neckband 1 is connect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낚시용 찌(2)는 봉돌역할을 하는 찌다리부(24) 자체가 균형잡힌 무게를 제공하므로 투척과 동시에 낚시용 찌 역할이 바로 가능해 투척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물고기 챔질을 확인할 수 있고, 또 중층낚시나 내림낚시에 사용되는 저부력찌라 하더라도 수면에 부는 바람 영향을 받지 않고 투척을 할 수 있게 해주며, 이러한 본 고안의 낚시용 찌(2)는 무게추 역할의 중량을 갖는 기존과 같은 봉돌이 필요 없다. As described above, the fishing tack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anced weight of the tackle portion 24 itself serving as a bollard so that it can immediately play a role of a fishing tackle at the same time as throwing, (2), which is used for fishing in middle or lower floats, can be thrown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wind blowing on the water even in case of a low buoyancy. I do not need the same bongol.

그리고, 본 고안의 낚시용 찌(2)는 다양한 무게를 갖는 봉돌이 목줄에 달리는 구성을 포함하는 복잡한 채비가 필요 없고 현장에서의 어려운 찌맞춤을 하지 않아도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낚시용 찌(2)에 케미라이트(6)와 분납봉돌(4)만 장착하면 낚시채비가 완료되며, 분납봉돌(4)도 일반 찌맞춤할 경우에는 0.70g나 0.81g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fishing tack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complicated preparation includ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bollworm having various weights runs on a neckline, and does not need to make difficult jabs on the spot. In other words, in this embodiment, when only the chemilite (6) and the minute barb (4) are attached to the fishing bar (2), fishing is completed and 0.70 g or 0.81 g is used when the barb Is effective.

또 본 고안의 낚시용 찌(2)는 수초의 방해가 있더라도 수면에 자립이 가능하므로 수초지에도 낚시가 가능하도록 해주며, 이때에는 분납봉돌(4)을 0.70g나 0.81g를 사용하면 찌맞춤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fishing tack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ishing even in a few seconds since it can stand on the water even if it interferes with a few seconds. In this case, if 0.70g or 0.81g is used, .

그리고 본 고안이 수초와 같은 장애물이 있어 낚시 원줄(12)이 끊어져도 낚시용 찌(2)가 그대로 서 있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적으며, 균형감 있는 무게 편중에 의해서 낚시용 찌(2)가 흔들림없이 부드럽게 바로 물에 서면서 낚시용 찌(2)의 역할을 담당하므로 투척 후 바로 미끼를 무는 물고기에 대한 챔질도 가능케 해주는 이점이 있다.
Even if the fishing line 12 is cut off due to an obstacle such as a pla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little fear of losing the fish crucible 2 because the fish crucible 2 is standing as it is and the fishing crucible 2 is smoothly It stands in the water and plays the role of a fishing crucifix (2), which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player to fish bait immediately after throwing.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찌의 분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란 낚시용 찌의 사용 확대 구성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shing cruci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se of a fishing cruci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찌(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낚시용 찌(2)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나 찌다리부(24)를 구성함에 있어 봉돌용 철심(26)의 하측부에 침력점용 무게비드(27)가 더 구비되어 있는 점이 다른 점이다. 4 and 5, the fishing crucibl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fishing crucible 2 shown in Figs. 2 and 3, except that the crucible 24 And a pedometer point weight bead 27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ndulum iron core 26 in the constitution.

침력점용 무게비드(27)은 성형 철재구슬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봉돌용 철심(26)에 침력점용 무게비드(27)를 끼워거나 봉돌용 철심(26)을 제조시에 일체로 형성되게 구현할 수 있다. The pellet weight bead 27 is preferably made of a molded iron bead and can be realized by putting the pellet weight bead 27 in the pellet iron core 26 or by forming the pellet iron core 26 integrally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

침력점용 무게비드(27)는 본 고안의 낚시용 찌(2)가 물에 서있을 때 물속에서의 무게중심을 잡아주어서 바람영향에도 그 자립이 흔들리지 않게 해준다. 즉 바람영향에도 안정적인 자립 자세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또 상기 침력점용 무게비드(27)는 물고기 챔질시 낚시용 찌(2)가 한번 머뭇거리는 수중 하강현상을 나타내어서 낚시자가 챔질을 확인하는데에 상당히 효과적이다.The weight bead (27) for the pelvic spot keeps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water when the fishing tack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nding in water, so that its independence is not shaken even when the wind is affected. In other words, it maintains a stable self-reliance posture even in the wind. In addition, the puddle weight bead 27 shows a falling phenomenon in which the fish crucible 2 pauses once in the fish course, so that the fisherman is very effective in confirming the fish catch.

침력점용 무게비드(27)는 1~2g의 무게중량을 가지며, 찌몸통부(20)와 찌다리부(24)의 합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 찌다리부(24)의 하단에서 15~35% 상방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최고 부력점은 찌몸통부(20)와 찌다리부(24)의 합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 찜몸통(20)의 상단에서 15~35% 아래지점에 형성되게 하는 것이 안정적인 자립 자세 유지에 효과적이다. The puddle weight bead 27 has a weight of 1 to 2 g and has a weight of 15 to 35% at the lower end of the top portion 24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top portion 20 and the top portion 24 is 100% As shown in Fig. The highest buoyancy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stable at a point 15 to 35% below the upper end of the steam body 20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barrel body 20 and the barbs 24 is 100% It is effective to maintain self-standing posture.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찌(2)는 고부력찌를 사용가능하며 대상 어종에 관계없이 큰 물고기의 찌올림과 같은 찌올림이 이루어지게 해준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ing tackle 2 can use a high buoyancy tackle and can raise a fish like a large fish regardless of the target fish species.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찌(2)는,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부(20)와, 찌몸통부(2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톱부(22)와 찌몸통부(2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다리부(24)로 구성하되, 찌다리부(24)는 찌몸통부(20)보다 길고 찌톱부(22)보다는 짧은 길이와 찌몸통부(20)의 부력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갖고 찌몸통부(20)에 일부 삽입고정되는 봉돌용 철심(26)과 봉돌용 철심(26)의 하측부에 형성된 침력점용 무게비드(27)와 외부 노출되는 봉돌용 철심(26) 및 침력점용 무게비드(27)를 피복하는 철심피복부(28)로 구성하는 것이다. That is, the fishing crucibl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ucible 20 formed of a material having buoyancy, a notch 22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crucible 20, The stem portion 24 is longer than the stem portion 20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chip portion 22 and a shorter length than the chip portion 20, A pearl iron core 26 having a relatively light weight relative to the buoyancy force of the pearl body 20 and partially fixed to the pearl body 20 and pneumatic weight beads 27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earl iron core 26, And an iron core covering portion 28 for covering the iron core 26 and the weight bead 27 for the pivot point.

상기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낚시용 찌(2)는 고부력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써 원하는 곳으로 투척이 용이하고 침력점의 초점이 수중에 잘 맞춰져 있어 입질시 바람 등이 있더라도 찌올림 형태가 균형있게 유지되는 자립찌가 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shing tackle (2) allows the use of a high buoyancy force so that it can be easily thrown to a desired place and the focus of the piercing point is well adjusted to the water. It becomes a self-reliant crucible that maintains balance.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Although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determin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nd the scope of claim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2)-- 낚시용 찌 (4)-- 분납봉돌
(6)-- 케미라이트 (8)-- 목줄
(10)-- 낚시바늘 (12)-- 원줄
(20)-- 찌몸통부 (22)-- 찌톱부
(24)-- 찌다리부 (26)-- 봉돌용 철심
(27)-- 침력점용 무게비드 (28)-- 철심 피복부
(30)-- 연질끼움편 (32)-- 분납봉돌 연결편
(2) - fishing tackle (4) - minute barbed rod
(6) - Chemilite (8) - Neckline
(10) - Fishing Needle (12) - Ribbon
(20) - Trunk portion (22) - Truncated portion
(24) - Chidaribu (26) - Iron core for bongdol
(27) - weight bead for piercing spot (28) - iron core abdomen
(30) - soft fitting piece (32) - minute connecting rod connecting piece

Claims (3)

낚시용 찌에 있어서,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부(20)와, 찌몸통부(2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톱부(22)와 찌몸통부(2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다리부(24)로 구성하되, 찌다리부(24)는 찌몸통부(20)보다 길고 찌톱부(22)보다는 짧은 길이와 찌몸통부(20)의 부력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갖고 찌몸통부(20)에 일부 삽입고정되는 봉돌용 철심(26)과 외부 노출되는 봉돌용 철심(26)을 피복하는 철심피복부(2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In a fishing crucible,
A jaw portion 22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the upper end of the jaw body 20 and a prong portion 24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jaw body 20, Wherein the stem portion 24 is longer than the stem portion 20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staple portion 22 and a relatively light weight relative to the buoyancy of the stem portion 20, And an iron core-covered portion (28) covering the iron core (26) to be inserted and fixed and the iron core (26)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낚시용 찌에 있어서,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찌몸통부(20)와, 찌몸통부(2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톱부(22)와 찌몸통부(20)의 하단에 삽입 결합되는 찌다리부(24)로 구성하되, 찌다리부(24)는 찌몸통부(20)보다 길고 찌톱부(22)보다는 짧은 길이와 찌몸통부(20)의 부력보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중량을 갖고 찌몸통부(20)에 일부 삽입고정되는 봉돌용 철심(26)과 봉돌용 철심(26)의 하측부에 형성된 침력점용 무게비드(27)와 외부 노출되는 봉돌용 철심(26) 및 침력점용 무게비드(27)를 피복하는 철심피복부(2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In a fishing crucible,
A jaw portion 22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the upper end of the jaw body 20 and a prong portion 24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jaw body 20, Wherein the stem portion 24 is longer than the stem portion 20 and has a shorter length than the staple portion 22 and a relatively light weight relative to the buoyancy of the stem portion 20, And an iron core 26 for covering the pendulum iron bead 27 and the pendulum iron bead 27 which are externally exposed and which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ndulum iron core 26, And a covering portion (2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봉돌용 칠심(26)의 무게는 2g∼7g이고, 찌다리부(24)의 하단에는 0.3g ∼ 1.5g의 분납봉돌(4)이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of the bongdol forehearth (26) is 2g to 7g, and the bottom bar (24) has 0.3g to 1.5g of minute bar (4) Fishing cruise.
KR2020160002474U 2016-05-09 2016-05-09 Flot for fishing KR2004881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74U KR200488195Y1 (en) 2016-05-09 2016-05-09 Flot for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74U KR200488195Y1 (en) 2016-05-09 2016-05-09 Flot for fi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96U true KR20170003896U (en) 2017-11-17
KR200488195Y1 KR200488195Y1 (en) 2018-12-27

Family

ID=6048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474U KR200488195Y1 (en) 2016-05-09 2016-05-09 Flot for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95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241A (en) * 2007-10-11 2009-04-15 김종두 Leg of fishing float with adjustment device of gravity moment
KR101552347B1 (en) 2014-01-09 2015-09-10 김해준 Method of producting fishing flote possible to customize buoyanc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241A (en) * 2007-10-11 2009-04-15 김종두 Leg of fishing float with adjustment device of gravity moment
KR101552347B1 (en) 2014-01-09 2015-09-10 김해준 Method of producting fishing flote possible to customize buoya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195Y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338B2 (en) Spitting weedless surface fishing lure
US7827731B2 (en) Weighted fishing lure having interchangeable lure body
CA2198942C (en) Natural bait holding fishing lure
WO2005110077A3 (en) Fishing lure for sinking presentation
CA2852357C (en) Fishing lure with mechanism for fish hook replacement
US20140059916A1 (en) Rubber or soft plastic fishing spoon lure
US20160330946A1 (en) Crawfish lure
US20090145017A1 (en) Fishing Bait Including Fly Tying Materials
US5253446A (en) Flow-through fishing lure
CA2390333A1 (en) Plastic worm shroud
KR200488195Y1 (en) Flot for fishing
US2645051A (en) Fishing tackle with retrieving means combined therewith
US4314420A (en) Fishing device
US10165766B2 (en) Horizontally balanced symmetrical fishing lure
US20090100740A1 (en) Triangular shaped cedar plug fishing lure and method
US9456592B1 (en) Snag-resistant fishing lure
US20120030991A1 (en) Floating fishing lure supporting a dancing bait on the water surface
KR200494549Y1 (en) Linier sinker set for fishing with joint region
KR200490888Y1 (en) Lure fishing gear equipped air tube
US20200187471A1 (en) Oscillating standup jig
US4144665A (en) Fishing lure
KR20210152712A (en) Weight-adjustable fishing pendulum assembly
CN105766746B (en) Convenient for the artificial marine habitat for cultivating and catching
CA1287211C (en) Diving plug fish lure
KR200442751Y1 (en) Structure for constructing coupling type sea fo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