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37U -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37U
KR20170003837U KR2020160002351U KR20160002351U KR20170003837U KR 20170003837 U KR20170003837 U KR 20170003837U KR 2020160002351 U KR2020160002351 U KR 2020160002351U KR 20160002351 U KR20160002351 U KR 20160002351U KR 20170003837 U KR20170003837 U KR 201700038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rame
fastener
fasten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767Y1 (ko
Inventor
허영희
Original Assignee
허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희 filed Critical 허영희
Priority to KR2020160002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76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7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은 본체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결합시 삽입공으로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체결되도록 탄성체가 마련된 탄성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본체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동공의 일단부에 체결구의 직경보다 작으며 이동공의 내경보다 확대된 안착공을 구비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체결구의 이동을 미연에 단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 Entered into a one-touch frame type ceiling luminaires }
본 고안은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결합시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체결구가 삽입공으로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체결되는 체결구에 탄성체가 마련된 탄성체결수단이 구비된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건축물의 내부를 밝혀주는 천장등기구는 내부 인테리어에 따라 장식적인 미려함이 세심하게 형성되고, 내부를 밝혀주는 조도가 높아지도록 등기구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천장등기구는 내부에 구비된 램프의 교환 및 세척을 위하여 하부에 부착되는 등기구커버를 이탈시키고 다시 체결하는 탈착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그 형상이 장식적인 미려감과 함게 그 크기가 증가되는 것으로 무게가 무거워져 천장과 같은 높은 위치에 천장등기구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문헌으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76879호(명칭:자석착탈형 LED등기구)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자석착탈형 LED등기구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전면에 부착되도록 영구자석이 배면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투광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배면에는 전원공급부가 안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하는 노출방지판이 구비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석착탈형 LED등기구는 그 등기구커버를 이탈시키고 다시 체결하는 탈착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은 분명히 존재하나, 화려한 미감과 대형화되어 고중량을 설계된 최근 등기구커버에는 체결된 이후 하부방향으로 낙하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결합시 삽입공으로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체결되도록 탄성체가 마련된 탄성체결수단을 구비하여 본체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동공의 일단부에 체결구의 직경보다 작으며 이동공의 내경보다 확대된 안착공을 구비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체결구의 이동을 미연에 단속하는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은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며 일면에 발광체 및 제어수단이 구비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면에 안착되어 상기 발광체의 빛을 분산시키는 커버프레임으로 구성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으로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정해진 내경으로 천공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공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이동공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체결공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체결공과 대향되며 상기 삽입공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형상의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의 하부에 상기 이동공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프레임의 상면을 관통하며 그 하부에 배치되는 볼트형상의 단속구와, 상기 체결구와 단속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코일스프링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체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공의 일단부에는 상기 체결구가 상기 이동공의 일단부로 이동될 경우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며 안착되도록 상기 체결구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이동공의 내경보다 크게 천공된 안착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구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안착공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의 하면에는 상기 이동공의 일단부로 이동된 경우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며 안착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체결구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체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의 결합시 삽입공으로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체결되는 탄성체가 구비된 탄성체결수단이 구비됨으로써, 탄성체결수단의 가압력을 향상시켜 커버프레임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둘째, 이동공의 일단부에 체결구의 직경보다 작으며 이동공의 내경보다 확대된 안착공을 구비함으로써, 체결구가 이동공의 일단부로 이동될 경우 하부방향으로 안착시켜 외부충격에 의한 체결구의 이동을 미연에 단속할 수 있으며,
셋째, 안착공과 체결구의 일면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안착공에 안착되는 체결구의 하면을 면밀하게 안착시키고 체결구의 이탈시 보다 적은 힘으로 이탈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을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체결수단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수단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수단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며 일면에 발광체(L) 및 제어수단(P)이 구비된 본체프레임(2)과, 상기 본체프레임(2)의 하면에 안착되어 상기 발광체(L)의 빛을 분산시키는 커버프레임(3)으로 구성된 천장등기구 프레임(1)로서, 상기 본체프레임(2)의 하부에 정해진 내경으로 천공된 삽입공(11)과, 상기 삽입공(11)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공(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이동공(12)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체결공(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부에 상기 체결공(11)과 대향되며 상기 삽입공(1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형상의 체결구(21)와, 상기 체결구(21)의 하부에 상기 이동공(1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면을 관통하며 그 하부에 배치되는 볼트형상의 단속구(22)와, 상기 체결구(21)와 단속구(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21)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코일스프링형상의 탄성체(23)로 이루어진 탄성체결수단(2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21)의 하면에는 상기 단속구(22)가 나사체결되도록 그 중심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단속구(22)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체(23)가 하부방향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직경이 확대된 단속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속부(미도시)의 하면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조임도구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십자 또는 일자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공(12)의 일단부에는 상기 체결구(21)가 상기 이동공(12)의 일단부로 이동될 경우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며 안착되도록 상기 체결구(21)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이동공(12)의 내경보다 크게 천공된 안착공(1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안착공(13)은 그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공(13)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구(21)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안착공경사면(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공경사면(14)은 그 형상이 직선경사 또는 만곡경사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21)의 하면에는 상기 이동공(12)의 일단부로 이동된 경우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며 안착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체결구경사면(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경사면(24)은 그 형상이 직선경사 또는 만곡경사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은 천장 또는 벽면에 부착되며 일면에 발광체(L) 및 제어수단(P)이 구비된 본체프레임(2)과, 상기 본체프레임(2)의 하면에 안착되어 상기 발광체(L)의 빛을 분산시키는 커버프레임(3)으로 구성된 천장등기구 프레임(1)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2)과 커버프레임(3)이 상호 결합되는데 이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체결구(21)가 상기 삽입공(11)으로 삽입된 후 상기 이동공(12)의 직경보다 큰 체결구(21)가 상기 이동공(12)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하부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21)의 하부에는 탄성력을 가해주는 코일스프링형상의 탄성체(2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체결구(21)의 하면과 이동공(12)의 상면에 대한 가압력을 상승시켜 상기 체결구(21)가 일측방향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공(12)의 일단부에 상기 체결구(21)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이동공(12)의 내경보다 확대된 안착공(13)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체결구(21)가 상기 이동공(12)의 일단부로 이동될 경우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며 안착되어 상기 체결구(21)의 이동을 미연에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공(13)의 내측면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안착공경사면(1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착공(13)에 안착되는 체결구(21)의 하면을 면밀하게 안착시키고 상기 체결구(21)의 이탈시 보다 적은 힘으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21)의 하면에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체결구경사면(2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착공경사면(14)과 같이 상기 안착공(13)에 안착되는 체결구(21)의 하면을 면밀하게 안착시키고 상기 체결구(21)의 이탈시 보다 적은 힘으로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발광체 P : 제어수단
1 : 천장등기구 프레임 2 : 본체프레임
3 : 커버프레임 10 : 체결공
11 : 삽입공 12 : 이동공
13 : 안착공 14 : 안착공경사면
20 : 탄성체결수단 21 : 체결구
22 : 단속구 23 : 탄성체
24 : 체결구경사면

Claims (4)

  1.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며 일면에 발광체(L) 및 제어수단(P)이 구비된 본체프레임(2)과, 상기 본체프레임(2)의 하면에 안착되어 상기 발광체(L)의 빛을 분산시키는 커버프레임(3)으로 구성된 천장등기구 프레임(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의 하부에 정해진 내경으로 천공된 삽입공(11)과, 상기 삽입공(11)의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공(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천공된 장공형상의 이동공(12)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체결공(10)과;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부에 상기 체결공(11)과 대향되며 상기 삽입공(1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형상의 체결구(21)와, 상기 체결구(21)의 하부에 상기 이동공(1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커버프레임(20)의 상면을 관통하며 그 하부에 배치되는 볼트형상의 단속구(22)와, 상기 체결구(21)와 단속구(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21)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코일스프링형상의 탄성체(23)로 이루어진 탄성체결수단(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공(12)의 일단부에는 상기 체결구(21)가 상기 이동공(12)의 일단부로 이동될 경우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며 안착되도록 상기 체결구(21)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이동공(12)의 내경보다 크게 천공된 안착공(1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13)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구(21)의 하면이 안착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안착공경사면(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1)의 하면에는 상기 이동공(12)의 일단부로 이동된 경우 하부방향으로 하강되며 안착되도록 정해진 각도로 경사진 체결구경사면(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KR2020160002351U 2016-04-29 2016-04-29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KR200485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51U KR200485767Y1 (ko) 2016-04-29 2016-04-29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51U KR200485767Y1 (ko) 2016-04-29 2016-04-29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37U true KR20170003837U (ko) 2017-11-09
KR200485767Y1 KR200485767Y1 (ko) 2018-02-20

Family

ID=6040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51U KR200485767Y1 (ko) 2016-04-29 2016-04-29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7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4142A1 (en) * 2019-04-29 2020-11-04 Leedarson Lighting Co., Ltd. Surface-mount downlight
EP3745021A1 (de) * 2019-05-29 2020-12-02 Siteco GmbH Befestigung eines geräteträgers in einer optischen abdeckung ohne zusatzbautei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417Y1 (ko) * 2018-07-25 2020-04-03 우철균 일체형 전등의 천장 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875Y1 (ko) * 2002-05-30 2002-08-14 김용식 천정등용 전등갓의 고정클립
KR20120104047A (ko) * 2011-03-11 2012-09-20 나노엘이디(주)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53855B1 (ko) * 2014-11-11 2015-09-18 (주) 코콤 조명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875Y1 (ko) * 2002-05-30 2002-08-14 김용식 천정등용 전등갓의 고정클립
KR20120104047A (ko) * 2011-03-11 2012-09-20 나노엘이디(주)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53855B1 (ko) * 2014-11-11 2015-09-18 (주) 코콤 조명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4142A1 (en) * 2019-04-29 2020-11-04 Leedarson Lighting Co., Ltd. Surface-mount downlight
EP3745021A1 (de) * 2019-05-29 2020-12-02 Siteco GmbH Befestigung eines geräteträgers in einer optischen abdeckung ohne zusatzbaute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767Y1 (ko)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767Y1 (ko) 원터치형 체결구가 구비된 천장등기구 프레임
US10281099B2 (en) Electric candle having flickering effect
KR101230594B1 (ko) 투광확산판 고정구가 구비된 조명등
JP2009277552A (ja) Led照明器具
KR101027438B1 (ko) 엘이디조명등기구의 반원구조 형상을 갖는 각도조절장치
KR20180027175A (ko) 조명등의 결착구
KR100953608B1 (ko) 커버판의 간편한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 조명등
KR200433632Y1 (ko) 분수용 조명등
KR100750666B1 (ko) 분수용 조명등
KR200454087Y1 (ko) 자력 부착방식 플렉시블 조명기구
US10845035B1 (en) Detachably assembled and independently used LED mother-son lamp
KR101212410B1 (ko) 등기구 고정장치
KR101046600B1 (ko) 공간활용도가 우수한 엘이디 센서등
KR200483684Y1 (ko) 천장등용 체결장치
CN210135538U (zh) 组合式灯座
WO2013091116A1 (de)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einer elektrischen leuchte
KR102044805B1 (ko) 착탈이 용이한 조명장치
KR200382412Y1 (ko) 조명기구
KR101684142B1 (ko) 조명기구용 확산 커버 고정 구조
KR101590379B1 (ko) 링형 조명장식체를 구비한 천정매다는등
KR102245361B1 (ko)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KR101426672B1 (ko) 포커스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0220294Y1 (ko) 조명등커버의 결합구조
CN220152620U (zh) 一种发散三束不同颜色光源的造型灯具
KR101314219B1 (ko) 램프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