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536U - Relay - Google Patents
Re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3536U KR20170003536U KR2020160001779U KR20160001779U KR20170003536U KR 20170003536 U KR20170003536 U KR 20170003536U KR 2020160001779 U KR2020160001779 U KR 2020160001779U KR 20160001779 U KR20160001779 U KR 20160001779U KR 20170003536 U KR20170003536 U KR 2017000353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wer housing
- coupling
- hole
- upper housing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는,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체결공을 포함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과의 결합 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체결공에 대응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체결공을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This invention relates to relays. The re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housing including a coupl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to penetrate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and a first coupl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coupl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upper housing including an engaging project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hole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and a second engag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engaging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ing hole, And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so as to mutually connect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Description
본 고안은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y capable of increasing a coupling force between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계전기 또는 릴레이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계전기가 전기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에 적용되는 경우, 계전기는 차량 내부에서 배터리의 안정적인 공급과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Relays or relays are a type of electrical circuit switching devices that supply or block current, and are installed in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machines, and vehicles. For example, when a relay is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the relay can perform stable supply and shutdown of the battery inside the vehicle.
일반적으로 계전기는 하우징, 챔버, 고정접촉자, 가동접촉자 및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접점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가동접촉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는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장치 내에서 스위치 역할을 한다.In general, the relay may include a housing, a chamber, a stationary contactor, a movable contactor,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ovable contactor so as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by an electrical signal. The stationary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ct as switches in the device by being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계전기의 구동부는 전기자 및 가동자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자는 전원 인가 시 자기력을 발생시켜 가동자를 이동시킨다. 로드는 양 단에서 가동자 및 가동접촉자와 각각 연결되어 구동부에 의한 구동력을 가동접촉자로 전달할 수 있다. 가동접촉자는 로드의 이동에 대응하여 고정접촉자와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of the relay may include an armature and a mover, and the armature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move the mover. The rod is connected to the mover and the movable contactor at both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vable contactor. The movable contacto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ontactor in correspondence with the movement of the rod.
도 1은 종래의 계전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전기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라인 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of the relay shown in FIG. 1 are disassembled,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0)은 하부하우징(20)에 결합되고, 상부하우징(10)이 결합된 하부하우징(20)은 베이스플레이트(30)에 체결부재(40)에 의해서 결합된다.1 and 2, the
하부하우징(20)에는 결합공(21)이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0)에는 결합돌기(11)가 형성된다. 상부하우징(10)은 결합돌기(11)가 하부하우징(20)의 결합공(21)에 걸림으로써 하부하우징(20)에 결합된다. 하부하우징(20)에는 체결부재(40)가 삽입되는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체결공(22)에 체결부재(40)가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30)에 결합될 수 있다.A
한편, 종래의 계전기(1)에서는 상부하우징(10)이 하부하우징(2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력을 결합돌기(11)와 결합공(21)의 걸림만으로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1)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도록 결합돌기(11)의 두께(d)를 증가시켜 사용하였다. 결합돌기(11)는 상부하우징(10)이 하부하우징(20)에 결합되는 과정(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변화)에서 내측으로 휨 응력을 받고, 이에 따라 결합돌기(11)가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In the
본 고안은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ay capable of increasing a coupling force between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which are mutually coupled to receive parts therein.
또한 본 고안은 상부하우징의 결합돌기와 하부하우징의 결합공이 상호 결합 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합돌기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ay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of coupling protrusions that may occur when coupling holes of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combination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 체결공을 포함하는 하부하우징, 하부하우징에 결합 시,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제1 체결공에 대응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체결공을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제1 체결공 및 제2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계전기가 제공된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lower housing comprising: a lower housing including a coupl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to penetrate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and a first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 upper housing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and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coupling hole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upp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And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여기서, 상부하우징은 하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제2 체결공은 플랜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upper housing may include a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하부하우징은 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요부(凹部)를 포함하고, 상부하우징은 하부하우징에 결합 시 결합 위치를 안내하도록 가이드요부에 대응되게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철형(凸形)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housing includes a guide recess formed to extend alo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ower housing. The upper housing includes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ecess to guide the engagement position when the lower housing is engaged with the lower housing. . ≪ / RTI >
그리고 상부하우징은 제2 체결공의 외주를 따라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하우징에 결합 시 제1 체결공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housing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when engaged with the lower housing.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하우징을 하부하우징에 결합시킨 후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력을 상부하우징의 결합돌기와 하부하우징의 결합공이 걸림으로써 1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2차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계전기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coupling force for maintaining the engaged state after the upper housing is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by engaging the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engagement hole of the lower housing, A relay capable of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can be realized because the coupling can be obtained by the coupling member integrally connecting the housings.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을 일체로 체결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돌기의 휨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상부하우징의 결합돌기의 두께를 축소시킴에 따라 결합돌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된 계전기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can be improved by the fastening member that integrally fastens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fastening protrusions, The breakag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can be prevented, and accordingly, the relay having improved durability can be realized.
도 1은 종래의 계전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전기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라인 Ⅰ-Ⅰ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계전기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of the relay shown in Fig. 1 are disassembl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in Fig.
4 shows a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of the relay shown in Fig. 4 are disassembled; Fig.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emed unnecessary,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계전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rela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계전기의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of the relay shown in FIG. 4 are disassembl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100)는 하부하우징(110), 상부하우징(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100)는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의 베이스 플레이트(50) 상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50)란 계전기(100)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50)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은 내부에 각종 부품을 수용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각종 부품을 보호하도록 상호 결합되며, 계전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품에는 고정접촉자, 가동접촉자 및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접점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가동접촉자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될 수 있다.The
한편,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다수의 격벽이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의 배치 및 결합을 위한 다수의 프레임 등이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artitions for dividing an internal space may be provided in 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은 폭 방향(D1), 두께 방향(D2) 및 길이 방향(D3)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하 방향이란 하부하우징(110) 및 상부하우징(120)의 길이 방향(D3)과 일치하고, 측 방향이란 하부하우징(110) 및 상부하우징(120)의 폭 방향(D1) 또는 두께 방향(D2)과 일치할 수 있다.4, the
하부하우징(110)은 결합공(112) 및 제1 체결공(114)을 포함한다. 결합공(112)은 하부하우징(110)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측면에 형성되고, 제1 체결공(114)은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The
결합공(112)은 하부하우징(110)의 측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하부하우징(110)의 복수의 측면 중 두께 방향(D2)에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측면에 두 개의 결합공(112)이 각각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결합공(112)의 형성 개수는 하부하우징(110) 및 상부하우징(120)의 형상 또는 요구되는 결합력의 크기 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The
결합공(112)은 하부하우징(110)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여기서 하부하우징(110)의 내부란 각종 부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한편, 하부하우징(110)은 내외부를 관통하는 결합공(112) 대신에 내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리세스(recess)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후술할 상부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는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The
제1 체결공(114)은 상하 방향 또는 하부하우징(110)의 길이 방향(D3)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5는 하부하우징(110)의 제1 체결공(114)이 내측 코너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1 체결공(114)은 하부하우징(110)의 외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체결공(114)은 하부하우징(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The
상부하우징(120)은 결합돌기(122) 및 제2 체결공(124)을 포함한다. 결합돌기(122)는 상부하우징(120)이 하부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하부하우징(110)의 결합공(112)에 삽입되도록 결합공(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제2 체결공(124)은 상부하우징(120)이 하부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제1 체결공(114)에 대응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체결공(124)이 제1 체결공(114)에 대응되도록 관통된다는 것은, 제2 체결공(124)의 단면 형상이 제1 체결공(114)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고,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2 체결공(124)과 제1 체결공(11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 축 상에 놓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체결부재(130)는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하부하우징(110)의 제1 체결공(114) 및 상부하우징(120)의 제2 체결공(124)에 삽입된다. 체결부재(130)는 제2 체결공(124)과 제1 체결공(114)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The
체결부재(130)는 상호 결합된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을 베이스 플레이트(50)에 일체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체결부재(130)는 제2 체결공(124)으로 삽입되어 제1 체결공(114)을 지나 베이스 플레이트(50)에 도달하도록 제1 체결공(114)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체결부재(130)는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을 베이스 플레이트(50)에 일체로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력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은 상부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가 하부하우징(110)의 결합공(112)에 삽입됨으로써 1차 결합력을 획득하고, 체결부재(130)에 의하여 2차 결합력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Th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100)는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돌기(122)와 결합공(112)에 의한 결합력뿐만 아니라 체결부재(130)에 의한 결합력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이 보다 견고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22)의 두께를 종래에 비하여 축소시킬 수 있고,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의 결합 과정에서 결합돌기(122)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즉, 결합돌기(122)의 두께를 축소하여도 체결부재(130)에 의한 충분한 결합력을 획득할 수 있고, 결합돌기(122)는 두께의 축소로 인하여 휨 강성이 증대될 수 있어 결합돌기(122)가 휨 응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전기(100)는 체결부재(130)에 의해서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이 베이스 플레이트(5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하여 상부하우징(120)이 하부하우징(110)과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한편, 상부하우징(120)은 하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2 체결공(124)은 플랜지부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공(124)을 플랜지부(126)에 형성함으로써, 체결부재(130)의 전체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즉, 제2 체결공(124)이 상부하우징(1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체결부재(130)는 상부하우징(120)의 길이와 하부하우징(110)의 길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다만, 제2 체결공(124)이 상부하우징(120)의 플랜지부(126)에 형성되는 경우, 체결부재(130)는 하부하우징(110)의 길이와 플랜지부(124)의 두께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면 충분하므로, 체결부재(130)의 제조상의 측면 및 제조 비용의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 by forming the
하부하우징(110)은 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요부(118)를 포함하고, 상부하우징(120)은 하부하우징(110)에 결합 시 결합 위치를 안내하도록 가이드요부(118)에 대응되게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철형(128)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부하우징(120)을 하부하우징(110)에 결합할 때, 가이드철형(128)과 가이드요부(118)가 합치되도록 상부하우징(120)을 하부하우징(110)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의 결합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The
상부하우징(120)은 제2 체결공(124)의 외주를 따라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하우징(110)과의 결합 시 제1 체결공(114)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연장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연장부(129)는 제1 체결공(114)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장부(129)의 외주면과 제1 체결공(114)의 내주면 사이에 접촉에 의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의 상호 결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하우징(120)을 하부하우징(110)에 결합시킨 후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호 결합력으로 상부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와 하부하우징(110)의 결합공(112)이 걸림으로써 1차 결합력을 얻을 수 있고, 하부하우징(110)과 상부하우징(120)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재(130)에 의해서 2차 결합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한 구조의 계전기(100)를 구현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122 of the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부재(130)에 의한 결합력으로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10)이 결합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부하우징(120)의 결합돌기(122)의 두께를 축소시킬 수 있다. 결합돌기(122)의 두께가 축소됨으로써, 결합돌기(122)의 휨 강성이 증대되어 결합돌기(122)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파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upling between the
전술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50: 베이스 플레이트
100: 계전기
110: 하부하우징
112: 결합공
114: 제1 체결공
118: 가이드요부
120: 상부하우징
122: 결합돌기
124: 제2 체결공
126: 플랜지부
128: 가이드철형
129: 연장부
130: 체결부재
50: Base plate 100: Relay
110: lower housing 112: engaging hole
114: first fastening hole 118: guide recess
120: upper housing 122: engaging projection
124: second fastening hole 126: flange portion
128: guide iron type 129: extension part
130: fastening member
Claims (4)
상기 하부하우징과의 결합 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체결공에 대응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체결공을 포함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을 상호 결합시키도록 상기 제1 체결공 및 상기 제2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계전기.
A lower housing including a coupling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so as to penetrate the inner and outer portions and a first coupling hole formed to penetr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t the time of coupling with the lower housing, and a second coupling hol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upper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 upper housing; And
And a fasten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to couple the lower housing and the upper housing together.
상기 상부하우징은 하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공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계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housing includes a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a lower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상기 하부하우징은 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요부(凹部)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과의 결합 시 결합 위치를 안내하도록 상기 가이드요부에 대응되게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철형(凸形)을 포함하는, 계전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wer housing includes a guide recess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so as to extend along a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upper housing includes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ecess to guide the engagement position when engaged with the lower housing.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제2 체결공의 외주를 따라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하우징과의 결합 시 상기 제1 체결공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계전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upper housing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being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when engaged with the lower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779U KR20170003536U (en) | 2016-04-04 | 2016-04-04 | Re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779U KR20170003536U (en) | 2016-04-04 | 2016-04-04 | Rela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536U true KR20170003536U (en) | 2017-10-16 |
Family
ID=6040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1779U KR20170003536U (en) | 2016-04-04 | 2016-04-04 | Rel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3536U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262A (en) | 2020-11-02 | 2022-05-10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Relay installation struc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4493A (en) | 2012-11-20 | 2014-05-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Relay with pressing member |
-
2016
- 2016-04-04 KR KR2020160001779U patent/KR20170003536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4493A (en) | 2012-11-20 | 2014-05-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Relay with pressing memb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9262A (en) | 2020-11-02 | 2022-05-10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Relay installa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1396B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US11101092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US9502906B2 (en) | Relay uni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 |
KR101631760B1 (en) | Electromagnetic relay | |
KR101644636B1 (en) | A section switch connected with controller box | |
US9966214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6243220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20140000341A (en) | Fuse unit for vehicles | |
US10574043B2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US9166333B2 (en) | Connector | |
KR20140042014A (en) | Electromagnetic contactor | |
KR20170003536U (en) | Relay | |
EP2462609B1 (en) | A switching device | |
JP5199615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JP2014236655A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US20140070910A1 (en) |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 |
JP2010223338A (en) | Vibration damping device | |
KR101354368B1 (en) | Fuse box structure | |
KR20170003784U (en) | Relay | |
WO2016135969A1 (en) | Case and battery module | |
KR101091951B1 (en) | Protector of wire harness | |
JP5080869B2 (en) | Electromagnetic relay | |
KR200482705Y1 (en) | Electro magnetic relay | |
KR20140083963A (en) |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 |
KR20140000610U (en) | Electric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