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08U - 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 - Google Patents

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308U
KR20170003308U KR2020160001394U KR20160001394U KR20170003308U KR 20170003308 U KR20170003308 U KR 20170003308U KR 2020160001394 U KR2020160001394 U KR 2020160001394U KR 20160001394 U KR20160001394 U KR 20160001394U KR 20170003308 U KR20170003308 U KR 201700033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cooling
mainstream
case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6280Y1 (en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호 filed Critical 박진호
Priority to KR2020160001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80Y1/en
Publication of KR20170003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0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8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소주나 맥주 등의 주류가 시원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냉매의 교체가 용이하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음주 과정에서의 재미를 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고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는 냉매와 병의 일부가 수납될 수 있게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 형성된 하부케이스; 하부케이스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병이 통과하는 병투입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형성된 결합수단; 및 병투입구의 둘레에 설치되는 패킹;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This design makes it easy to replace the refrigerant used to maintain the cool state of the alcoholic beverages such as shochu and beer,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and further improve the mainstream cool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nt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nt container for cooling a mainstream, comprising: a lower case formed in the form of a cup so as to have a storage space therein so that a part of the refrigerant and the bottle can be received; The upper case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rel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having a bottle inlet through which the bottle is passed,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being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acking provided around the bottle inlet; May be constructed.

Description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0001] 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 [

이 고안은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주나 맥주 등의 주류가 시원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냉매의 교체가 용이하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음주 과정에서의 재미를 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nt container for cooling a mainstr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nt container for cooling a mainstream such as soju and beer,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improve cooling efficienc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which is configured to add fun in the drinking process.

음주 문화는 지역, 술의 종류, 음주자의 연령, 음주하는 정도 등 다양한 환경에 따라서 매우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Drinking culture is very different depending on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the area, the type of alcohol, the age of the drinker, and the degree of drinking.

특히, 저녁 회식을 즐기는 한국에서는 회식장소인 식당에서 제공되는 음식과 함께 소주, 맥주 등의 대중적인 주류를 마시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Especially, in Korea enjoying dinner, it is common to drink popular alcoholic beverages such as shochu, beer, etc., in addition to the food served at the dining room.

그런데 이러한 회식장소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일부는 테이블 위에서 직접 불을 사용해야만 하거나 주방에서 뜨겁게 끓여서 내온 상태에서 제공이 된다.However, some of the food served at these dining venues must be served directly on the table, or served hot in the kitchen.

한편, 소주나 맥주 등의 주류는 시원한 상태(대략 10℃)에서 마시는 것이 가장 맛이 좋기 때문에, 식당에서는 테이블로 주류가 제공되기 전까지는 냉장고에 술을 넣어 보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coholic beverages such as shochu and beer are the most delicious to drink in a cool condition (approximately 10 ℃), so in the restaurant, alcohol is stored in the refrigerator until the liquor is served on the table.

그런데 차갑게 냉장 보관되어 있던 상태에서 테이블로 제공된 주류는 음식이 요리되는 시간, 음주를 즐기는 속도, 술병이 놓인 테이블 주분의 온도 등의 상황에 따라서 음주자가 마시기 원하는 차가운 상태를 훨씬 벗어나 미지근한 상태가 되곤 한다.However, the liquor provided on the table in the state of being coldly refrigerated is often lukewarm, far from the cold condition that the drinker would like to drink,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food being cooked, the rate of drinking, and the temperature of the table liquor on which the liquor bottle is placed .

차가운 상태의 소주나 맥주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식당이나 주점 등에서는 소주병이나 맥주병 자체를 담을 수 있는 냉매용기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지만, 이러한 냉매용기는 그 자체를 냉각시켜야 하기 때문에 냉매용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enable users to enjoy cold soju and beer, a refrigerator container capable of containing shochu bottles or beer bottles itself is provided in a restaurant or a pub, but since such a refrigerant container must cool itself, And a lot of space is required for the operation.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1980호(2004.06.01)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51980 (June 1, 2004)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3-0065252호(2003.08.06)2. KIPO Publication No. 10-2003-0065252 (Aug. 2003)

이에 이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소주나 맥주 등의 주류가 시원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냉매의 교체가 용이하고,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replace a refrigerant used to maintain a cool state of a mainstream such as soju and be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나아가, 이 고안은 음주 과정에서 재미를 더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idea is to provide a mainstream coolant container that can be used as a tool to add fun to the drinking process.

이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서 냉매와 병의 일부가 수납될 수 있게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 형성된 하부케이스; 하부케이스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병이 통과하는 병투입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형성된 결합수단; 및 병투입구의 둘레에 설치되는 패킹;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case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p so as to have a storage space therein so that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and the bottle can be stored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design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ase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rel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having a bottle inlet through which the bottle is passed,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being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packing provided around the bottle inlet; May be constructed.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서는 상부케이스의 외부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되 손잡이는 외력이 가해질 때 레일을 따라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ase in a coolant container for cooling the mainstream, and the handle is rotatably installed along the rai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이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서는 하부케이스 또는 상부케이스의 외부면에 홍보 명함을 꽂을 수 있도록 명함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olant container for cooling the mainstream, a business card slot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se or the upper case so that a publicity card can be inserted.

이 고안은 식당 등에서 제공되는 소주 또는 맥주가 차가운 상태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냉매만을 교체하면 됨으로서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This desig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managed by replacing only the refrigerant in the process of allowing the soju or beer provided in a restaurant or the like to be maintained in a cold state for a long time.

이 고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서는 본체에 설치된 손잡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주자들의 취향에 따라서 회전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the coolant container for cooling the mainstream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handle provided on the main body can be rotated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spin game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drinker.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의 사시도.
도 2 는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의 정단면도.
도 3 및 도 4 는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 는 이 고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 설치된 손잡이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작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이 고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 명함을 꽂아 둔 상태를 보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ool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ol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provided on a coolant for cooling mainstream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s operated in a rotatable state;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siness card is inserted in a coolant container for cooling the mainstream according to this invention.

이하에서는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ol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의 정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ool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를 지시하는 것이다.Reference numeral 100 in the figure indicates a coolant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configur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의 몸체(110)는 도면에서 보이는 것처럼 결합수단(140)을 매개로 하부케이스(120)와 상부케이스(130)로 분리 및 조립이 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body 110 of the coolant container 100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assembled into the lower case 120 and the upper case 130 via the coupling means 140 as shown in the drawing .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는 하부케이스(120)와 상부케이스(1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원 또는 다각의 통 형태를 이루게 된다. 내부에 수납되는 병의 몸체가 원통형상인 점을 감안하여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wer case 120 and the upper case 130 are assembled together to form a circular or polygonal tube as a whole. The body of the bottle to be stored therein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cylindrical shape.

우선, 하부케이스(120)는 냉매(200)와 병(300)의 일부가 수납공간(150)에 수납될 수 있도록 컵의 형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lower case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refrigerant 200 and the bottle 300 are opened like a cup so that a part of the bottle 300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50.

한편, 상부케이스(13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통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하단부는 하부케이스(120)의 상단부에 상호 결합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케이스(130)의 상부에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병투입구(132)는 상부케이스(130)의 몸통 단면적에 비하여 좁은 단면적으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upper case 1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rel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The lower end of the upper case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se 120. The bottle inlet 132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case 130 is formed to have a narrow cross-sectional area as compared with the body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case 130.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하부케이스(120)와 상부케이스(130)가 상호 분리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는 결합수단(140)은 나사 결합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140 for assembling the lower case 120 and the upper case 130 in a detachable form may be various coupling methods including a screw coupling method.

한편, 상부케이스(130)의 상부에 형성된 병투입구(132) 둘레에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패킹(160)이 설치될 수 있다. 패킹(160)의 설치를 위해 병투입구(132)의 내부 둘레 등에는 홈 또는 돌기 등의 구조로 된 패킹 조립수단(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상부케이스(130)의 내부에 패킹(160)의 조립설치를 위한 패킹 조립수단(162)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패킹(162)이 돌기에 끼워져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이고 있다.Meanwhile, the packing 16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round the bottle inlet 132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ase 130. A packing assembling means 162 having a structure such as a groove or a proj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ttle input port 132 for the installation of the packing 160. In order to expla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is formed in a packing assembling means 162 for assembling and installing a packing 160 in an upper case 130, and a packing 162 is inserted and assembled into a protrusion Structure shown in FIG.

도 3 및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에 규격이 상호 다른 병(소주병 또는 맥주병)의 사용이 호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패킹(160)이 2장(160a, 160b)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패킹(160)은 절개위치가 상호 다른 두 장이 패킹이 교차하는 형태로 조립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in order to make the use of different bottles (soju bottles or beer bottles) compatible with the coolant container 100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wo sheets 160a and 160b can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packing 160 can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wo sheets having different incision positions cross each other.

그리고 상부케이스(130)의 외부에는 손잡이(170)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이 손잡이(170)는 외력이 가해질 때 상부케이스(130)의 외부면에 형성된 레일(180)을 따라 회전가능 하도록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 손잡이(170)는 사용자들이 외력을 가해 회전시켰을 경우에 특정 지점이 위치되는 방향에 따라서 게임규칙 등을 반영할 수 있다.A handle 17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upper case 130. Particularly, the handle 170 can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along the rail 18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3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handle 170 may reflect a game rule or the like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a specific point is positioned when the user applies external force and rotates.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170)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를 들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170)가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고정수단(17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손잡이(170)는 손잡이 고정수단(172)에 의해서 본체(110)에 대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5 는 이 고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에 설치된 손잡이(17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작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170 installed to be rotatable as described above and holds the coolant container 100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170 is fixed to the main body 110 A handle fixing means 172 for holding the state can be formed. That is, in a general state, the handle 170 can be held fix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10 by the handle fixing means 172.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170 installed in the coolant for cooling mainstrea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in a rotatable state.

또한,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 또는 상부케이스에는 홍보 명함을 꽂을 수 있도록 명함 슬롯(1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명함 슬롯(190)은 하부케이스 또는 상부케이스를 사출 등의 방식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제작된 후 일체로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lso, as shown in the figure, a business card slot 190 may be formed in the lower case or the upper case so that a publicity card can be inserted. The business card slot 190 may be formed in the process of molding the lower case or the upper case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but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then assembled integrally.

이하에서는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refrigerant container 100 for mainstream coo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에 사용되는 냉매(200)는 별도로 마련된 냉장고에서 일정 수준의 이하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게 냉각된 상태가 된다.The refrigerant 200 used in the mainstream cooling refrigerant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oled so that a certain level of the following temperature can be maintained in the separately provided refrigerator.

이와 같이 차갑게 냉각된 상태의 냉매(200)를 사용자는 상부케이스(130)가 분리된 상태의 하부케이스(120)에 수납시키고, 상부케이스(130)를 하부케이스(120)와 조립이 되게 한다.The coolant 200 cooled in the cold state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case 120 in which the upper case 130 is separated and the upper case 130 is assembled with the lower case 120.

이후, 사용자는 소주 또는 맥주가 담긴 병을 병투입구(132)에 투입시키게 되면, 패킹(160)에 의해서 냉매(200)가 수납된 수납공간(150)과 외부의 공간이 상호 차단이 된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inserts a bottle containing soju or beer into the bottle inlet 132, the storage space 150 in which the refrigerant 200 is stored by the packing 160 and the external space are blocked from each other do.

따라서 냉매(200)에 의해서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의 내부 공기는 차가운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소주 또는 맥주가 담긴 병(300)이 차가운 상태가 더욱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inside air of the refrigerant container 100 for mainstream cooling is kept cool by the refrigerant 200, so that the bottles 300 containing soju or beer can be maintained in a cool state for a longer time.

한편, 사용자는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의 외부에 마련된 손잡이(170)를 돌려 손잡이(170)의 특정 부위가 위치되는 지점에 따라서 함께 음주하는 음주자들 간에 게임규칙을 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170)가 레일(180)을 따라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사용자는 손잡이 고정수단(172)가 고정상태에서 해제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may rotate the handle 170 provided outside the main cooling liquid refrigerant container 100 to set the game rules among the drinkers drinking together along the point where the specific portion of the handle 170 is located. To this end, the user releases the handle fastening means 172 from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handle 170 can be rotated along the rail 180.

그리고 이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100)의 하부케이스(120) 또는 상부케이스(130)에 마련된 명함 슬롯(190)에 홍보용 명함(400), 메모지 등을 꽂아 둘 수 있게 된다.A promotional card 400 and a note pad can be inserted into the card slot 190 provided in the lower case 120 or the upper case 130 of the coolant container 100 for cooling the mainstre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 고안에 따른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의 몇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 고안의 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In the foregoing, some embodiments of the coolant container for cooling the mainstr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s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is invention. Furthermore,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interpreting the claims of this invention.

100 :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 110 : 본체
120 : 하부 케이스 130 : 상부 케이스
132 : 병투입구 140 : 결합수단
150 : 수납공간 160 : 패킹
170 : 손잡이 172 : 손잡이 고정수단
180 : 레일 190 : 명함 슬롯
200 : 냉매 300 : 병
100: Cooling container for mainstream cooling 110:
120: lower case 130: upper case
132: Bottle inlet 140: Coupling means
150: storage space 160: packing
170: Handle 172: Handle fixing means
180: rail 190: business card slot
200: refrigerant 300: bottle

Claims (3)

냉매와 병의 일부가 수납될 수 있게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 형성된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는 통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병이 통과하는 병투입구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게 형성된 결합수단; 및
상기 병투입구의 둘레에 설치되는 패킹;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
A lower case formed in the shape of a cup so as to have a storage space therein so that a part of the refrigerant and the bottle can be housed,
The upper case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rrel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lower case, and an upper case having a bottle inlet through which the bottle passes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being held in a coupled state; And
A packing provided around the bottle inlet; And cooling the cooling mediu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부면에는 손잡이가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는 외력이 가해질 때 레일을 따라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the handle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along a rai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또는 상부케이스에는 홍보 명함을 꽂을 수 있도록 명함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냉각용 냉매용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wer case or the upper case is formed with a business card slot for inserting a promotional business card.
KR2020160001394U 2016-03-15 2016-03-15 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 KR2004862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94U KR200486280Y1 (en) 2016-03-15 2016-03-15 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94U KR200486280Y1 (en) 2016-03-15 2016-03-15 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08U true KR20170003308U (en) 2017-09-25
KR200486280Y1 KR200486280Y1 (en) 2018-04-27

Family

ID=6057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94U KR200486280Y1 (en) 2016-03-15 2016-03-15 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80Y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104A (en) * 1995-02-27 1996-09-10 Konbi Kk Container with rotary handle
KR200250580Y1 (en) * 2001-07-06 2001-10-19 김학수 Cooler detachable from a cup
KR200313062Y1 (en) * 2003-02-24 2003-05-16 이환열 Container for cooling
KR20030065252A (en) 2002-01-29 2003-08-06 허균 Cooling Pack for Beverage and Liquor Container
KR200351980Y1 (en) 2004-01-12 2004-05-31 강희인 Elasticity Bone And Butten White Shirts
KR200393934Y1 (en) * 2005-04-02 2005-08-30 오상규 The cooling case for liquors and drink
KR20160028094A (en) * 2014-09-03 2016-03-11 방청우 Card inserted Mug Cu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104A (en) * 1995-02-27 1996-09-10 Konbi Kk Container with rotary handle
KR200250580Y1 (en) * 2001-07-06 2001-10-19 김학수 Cooler detachable from a cup
KR20030065252A (en) 2002-01-29 2003-08-06 허균 Cooling Pack for Beverage and Liquor Container
KR200313062Y1 (en) * 2003-02-24 2003-05-16 이환열 Container for cooling
KR200351980Y1 (en) 2004-01-12 2004-05-31 강희인 Elasticity Bone And Butten White Shirts
KR200393934Y1 (en) * 2005-04-02 2005-08-30 오상규 The cooling case for liquors and drink
KR20160028094A (en) * 2014-09-03 2016-03-11 방청우 Card inserted Mug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280Y1 (en)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070B2 (en) Fluid insulation assembly
JP5484727B2 (en) Beverage supply assembly
JP6360999B2 (en) Beverage container in which beverage is injected through the bottom
US8413838B2 (en) Inverted bottle holder
US20190133358A1 (en) Bottle with insulated chamber and internal storage for cups and accessories
KR200486280Y1 (en) Refrigerant container for liquor bottles
US20160022074A1 (en) Stay-cold drinking can
KR101037913B1 (en) A Beverage Vessel with a Drum and a Winecup Rack
US20160370104A1 (en) Refrigerator and beverage supply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120662A (en) A cooling case for liquor and drink
KR20130074992A (en) Table
KR101041351B1 (en) Cup
CN207759242U (en) A kind of ice bucket of square-outside and round-inside
US9828231B2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wine
KR200407490Y1 (en) Multi-purpose thermo cup
KR200250580Y1 (en) Cooler detachable from a cup
US20160258666A1 (en) Refrigerated Well Tray
Curtis et al. For the kids
KR200444947Y1 (en) Container with cups
KR20160033474A (en) Liquids Storage Containers Dispenser For Simple Conduit Replacement
KR200356838Y1 (en) A container for cooling alcoholic liquors
US20080083244A1 (en) Thermo-preserving container
KR20160128570A (en) Improved paper cup with a dual structure
US9272895B2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wine
KR20100003069U (en) Cool and hot system table which is the possibility of inserting m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